KR20120053271A - 곡물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271A
KR20120053271A KR1020100114457A KR20100114457A KR20120053271A KR 20120053271 A KR20120053271 A KR 20120053271A KR 1020100114457 A KR1020100114457 A KR 1020100114457A KR 20100114457 A KR20100114457 A KR 20100114457A KR 20120053271 A KR20120053271 A KR 20120053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loading
frame
gate plate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성
이학선
Original Assignee
제이씨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제이씨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11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3271A/ko
Publication of KR2012005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having bottom discharging open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이 가능하고, 곡물을 저장한 상태로 지게차 등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원하는 장소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곡물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를 가지는 곡물 적재함; 상기 곡물 적재함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 봉; 및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게이트가 관통형성되는 게이트 판; 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판이 슬라이딩 봉을 따라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 적재 장치{GRAIN HOPER}
본 발명은 곡물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층이 가능하고, 곡물을 저장한 상태로 지게차 등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원하는 장소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콤바인 등으로 수확한 곡물은 수매, 가공, 건조 등의 목적에 따라 운반 이동된다.
곡물의 단순 운반은 적절한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이나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으로 운반할 수 있으나, 사일로 또는 건조기나 가공처리기 등 정속 정량 및 상향 이송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용량의 호퍼와 호퍼 내의 곡물을 상향 배출시키기 위한 수평 및 수직 이송장치를 구비한 다목적 곡물 적재함이 사용된다.
이들 이송장치를 구비한 적재함은 정속 정량 배출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호퍼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이송장치와 호퍼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이송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호퍼 하부와 그 상부의 커버에 의해 확보된 공간에 설치되는 수평이송 스크류로 이루어져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곡물을 수평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고, 수직이송장치는 수평이송장치의 배출구에 접하도록 호퍼 외측에 수직 설치되는 케이싱 내부의 수직이송 스크류로 이루어져 수평 배출된 곡물을 받아 수직 이송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를 구비한 다목적 곡물 적재함은 곡물의 운반과, 운반된 곡물의 정속 정량 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곡물의 노상 건조나 집하장 배출 등 신속성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고물 적재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동력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동력으로 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야외 사용이 불가능하며,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트랙터 등과 같은 별도의 유압공급장치가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곡물 적재함이 대부분 차량에 적재한 형태로 운송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지게차 등을 통해 짧은 거리를 움직이는데 있어서는 번거로운 적재 절차로 인하여 큰 불편이 있었으며, 호퍼 자체의 불안정한 구조 및 그 내부 곡물의 유동으로 인하여 운송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대량의 곡물 운송을 위한 대형 호퍼만이 존재하여 소규모의 곡물 운송시 불필요한 공간 낭비가 발생하며, 소량의 곡물을 운송하기 위한 호퍼나 이종이면서 각각 소량인 곡물의 운송을 위한 호퍼가 없어 곡물 적재함을 통한 곡물 운송의 이용 범위가 제한되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하는 장소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운송시 운송 수단으로서 지게차 등에 의해 안정적인 거치 및 운송이 가능한 구조의 곡물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정적인 다단 구조의 적층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예컨데, 이종이면서 각각 소량인 곡물의 운송, 소규모 경작지의 곡물 운송 등)로 활용될 수 있는 곡물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곡물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를 가지는 곡물 적재함; 상기 곡물 적재함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 봉; 및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게이트가 관통형성되는 게이트 판; 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판이 슬라이딩 봉을 따라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적재함은 다수의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게이트 판에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게이트들이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배출구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이 이루어지며, 게이트 판에서 게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들에 배출구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이트 판에는 게이트 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 외곽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는 이탈 방지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 방지구는 수직되는 각을 가지는 2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적재함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거치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는, 원하는 장소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송시 운송 수단으로서 지게차 등에 의해 안정적인 거치 및 운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안정적인 다단 구조의 적층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예컨데, 이종이면서 각각 소량인 곡물의 운송, 소규모 경작지의 곡물 운송 등)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탈 방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의 적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의 이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게이트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는, 곡물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진 곡물 적재함(10), 상기 곡물 적재함(1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 장착되어 곡물 적재함(10)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이탈 방지구(30), 상기 곡물 적재함(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지게차 등의 운송 수단에 곡물 적재함(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홀(40), 상기 곡물 적재함(10)의 하부 배출구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해당 곡물 적재함(10)의 배출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게이트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곡물 적재 장치에서 곡물이 수용되는 상기 곡물 적재함(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외벽(12)에 의해 곡물이 수용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11)을 형성하게 되며, 하부에는 쌍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판(13)과 이 경사판(13)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배출구(14)가 구비되어 내부에 적재된 곡물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즉, 해당 곡물 적재함(10)은 하부에 배출구(14)가 있는 각추형 또는 원뿔형의 용기이며, 내부에 수용되는 곡물은 쌀, 보리, 밀, 옥수수, 감자 등의 다양한 곡물이 수용 가능하다.
이러한 곡물 적재함(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출구(14)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배출구(14) 별로 상기 수용 공간(11)을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상기 곡물 적재함(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출구(14)를 가지게 형성되지만, 그 내부 수용 공간(11)은 하나로 연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곡물 적재함(10)은 하나의 배출구(14)와 이에 따른 하나의 수용 공간(11)만을 가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렬로 형성된 3개의 배출구(14)를 가지는 곡물 적재함(1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곡물 적재함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은 격자 구조의 지지틀체로 상기 곡물 적재함(10)을 내장시켜 지지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곡물 적재 장치에 적용된 이탈 방지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 방지구(30)는 곡물 적재함(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의 구조물로, 해당 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서 일정 부분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즉, 서로 약 90°의 각도를 가지는 2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탈 방지구(30)는 해당 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는 프레임(2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31은 해당 이탈 방지구(30)를 프레임(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나사홀로서, 나사 등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홀(31)은 이탈 방지구(30)의 하부에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구(30)로 인해 상기 곡물 적재함(10) 및 프레임(20)의 상부에는 다른 곡물 적재함(10) 및 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이러한 이탈 방지구(20)를 통한 곡물 적재 장치의 적층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측에 놓인 곡물 적재함(10) 및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된 이탈 방지구(30)는 하측에 놓인 프레임(20)의 상부 외곽면에 결합되며 상부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곡물 적재함(10) 및 프레임(20)이 위로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위에 적층되는 곡물 적재함(10)의 프레임(20) 하부는 상기 상부로 일정 부분 돌출된 이탈 방지구(30)에 의해 수평 유동이 모든 방향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적층 상태에서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이탈 방지구(3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이탈 방지구(30)가 2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20) 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각 방향으로 2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4 개의 모서리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곡물 적재함(10)의 적층 수를 3단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이탈 방지구(30)를 통한 곡물 적재함(10)의 수직 적층 구조는 그 높이(적층단)에 제한이 없다.
통상의 곡물 적재함(10)은 이송을 위해 적절한 적재함을 구비한 트럭이나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으로 운반되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짧은 거리로 운반되거나 신속한 이송이 필요할 때에는 지게차가 사용되게 된다.
지게차는 차의 앞 부분에 두 개의 길쭉한 거치용 철판이 나와 있어 짐을 싣고 위아래로 움직여서 짐을 나르는 차로서, 곡물 적재함을 이송할 때에는 해당 거치용 철판을 곡물 적재함의 프레임 하부로 밀어 넣어서 곡물 적재함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지게차의 두 개의 거치용 철판을 곡물 적재함의 중심에 맞추어 정위치에 밀어 넣어야만 곡물 적재함을 들어올렸을 때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될 수 있는데, 실제로는 작업자의 눈과 경험에만 의존하고 있어 곡물 적재함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더군다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수의 배출구(14)를 가지며 내부 수용 공간(11)이 각 배출구(14) 별로 나누어 질 수 있는 경우에는, 수용 공간 별로 서로 다른 곡물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게차의 거치용 철판을 프레임 하부에 끼워 넣어 중심을 맞춘 상태로 들어올린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곡물 적재함(10)에 2 개의 거치홀(40)을 마련하였다. 상기 거치홀(40)은 해당 곡물 적재함(10)의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된 거치홀(40)을 강화하기 위한 보조 프레임이 거치홀(40)을 따라 부가될 수 있다. 이 거치홀(40)의 관통 직경은 지게차의 거치용 철판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면 된다.
상기 2 개의 거치홀(40)은 도면에서와 같이 3 개의 배출구(14)를 가지는 곡물 적재함(10)인 경우, 각 배출구(14) 사이의 위치 2 곳에 형성되어 정확한 무게 중심에 거치홀(4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2 개의 거치홀(40)이 형성되는 위치는 해당 곡물 적재함(10)의 무게 중심점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의 이송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게차의 2개의 거치용 철판이 곡물 적재함(10)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거치홀(40)에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게차는 곡물 적재함(10)을 간단히 들어올려 빠르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더군다나 이러한 거치홀(40)의 위치에 의해 곡물 적재함(10)의 무게 중심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송시 곡물 적재함(10)의 안정적 자세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곡물 적재 장치에서 곡물 적재함(10)의 하부 배출구(14)는 게이트 판(50)의 슬라이딩 이송에 따라 개폐된다. 이때 이러한 게이트 판(50)의 슬라이딩 이송은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당기고 미는 힘을 낼 수 있는 별도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게이트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적재 장치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판(5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상으로 이루어지며, 곡물 적재함(10)의 배출구(14)와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상의 게이트(51)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게이트(51)의 형상은 상기 배출구(14)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게이트(51)는 배출구(14)의 위치와 맞물려 있을 때 해당 배출구(14)를 개방시키게 된다(도 7의 (b) 참조).
여기에서 상기 게이트 판(50)의 각 게이트(51)들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게 되며, 게이트(51)가 형성되지 않은 이격 부위가 상기 배출구(14)의 위치와 맞물려 있을 때 해당 배출구(14)를 폐쇄시키게 된다(도 7의 (a) 참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게이트 판(50)의 말단(게이트(5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도 이러한 폐쇄에 관여하게 된다.
즉, 상기 게이트 판(50)은 수평 이송에 따라 게이트(51)의 위치가 배출구(14)의 위치로 오게 되면 해당 배출구(14)를 열어 내부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다른 예로 게이트(51)의 위치가 배출구(14)의 사이의 위치로 오게 되면 해당 배출구(14)를 닫아 내부 곡물을 배출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게이트 판(50)에는 상기 배출구(1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게이트(51)들이 이격되어 일렬로 관통형성되어 게이트(51)들과 배출구(14)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을 이루어지며, 게이트 판(50)에서 게이트(51)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들에 배출구(14)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이 차단된다.
이러한 게이트 판(50)의 게이트(51) 개수는 해당 곡물 적재함(10)의 배출구(14)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배출구(14) 개수를 초과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53은 해당 게이트 판(50)을 인력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게이트 판(50)은 일측 말단에 마련된 상기 손잡이(53)를 이용해 인력에 의해 밀고 당김으로서 곡물 적재함(1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어 원하는 장소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게이트 판(50)에는 해당 게이트 판(50)이 인력에 의해 쉽게 밀고 당겨질 수 있도록 롤러(52) 및 슬라이딩 봉(54)이 구비된다.
즉, 상기 게이트 판(50)의 측면에는 다수의 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러한 롤러(52)는 게이트 판(5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는 봉의 일단과 말단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52)는 원주면을 따라 오목한 홈이 파여지게 되며, 해당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봉(54)이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게이트 판(50)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52)들이 회전할 수 있는 슬라이딩 봉(54)의 양 끝단이 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고정되며, 또한 게이트 판(50)의 타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52)들이 회전할 수 있는 슬라이딩 봉(54)의 양 끝단이 프레임(20)의 다른 측 하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판(50)은 슬라이딩 봉(54)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52)에 의해 쉽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어서 인력만으로도 용이하게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판(50)이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게이트 판(50) 또는 해당 게이트 판(50)의 이동경로에 있는 프레임(20)에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곡물 적재함 11 : 수용 공간
12 : 외벽 13 : 경사판
14 : 배출구 20 : 프레임
30 : 이탈 방지구 31 : 나사홀
40 : 거치홀 50 : 게이트 판
51 : 게이트 52 : 롤러
53 : 손잡이 54 : 슬라이딩 봉

Claims (6)

  1. 곡물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배출구를 가지는 곡물 적재함;
    상기 곡물 적재함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 봉; 및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게이트가 관통형성되는 게이트 판; 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판이 슬라이딩 봉을 따라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적재함은 다수의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게이트 판에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게이트들이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배출구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이 이루어지며, 게이트 판에서 게이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들에 배출구들의 위치가 맞물렸을 때 곡물 배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판에는 게이트 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 외곽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는 이탈 방지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구는 수직되는 각을 가지는 2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적재함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거치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거치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적재 장치.
KR1020100114457A 2010-11-17 2010-11-17 곡물 적재 장치 KR20120053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57A KR20120053271A (ko) 2010-11-17 2010-11-17 곡물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57A KR20120053271A (ko) 2010-11-17 2010-11-17 곡물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71A true KR20120053271A (ko) 2012-05-25

Family

ID=4626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57A KR20120053271A (ko) 2010-11-17 2010-11-17 곡물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32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959A (ko) * 2017-12-08 2017-12-28 김윤미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WO2021256803A1 (ko) * 2020-06-18 2021-12-23 현정훈 테이퍼 형상의 드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959A (ko) * 2017-12-08 2017-12-28 김윤미 미곡처리장용 무 잔량 셔터
WO2021256803A1 (ko) * 2020-06-18 2021-12-23 현정훈 테이퍼 형상의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6859B2 (en) Picking systems and methods
US3083879A (en) Dispensing bin
US10364098B2 (en) Robotic picking system device and method
US9440770B2 (en) Plastic pallet for flexible bulk containers
KR20120053271A (ko) 곡물 적재 장치
CN202603235U (zh) 层叠式储粮仓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US20240140703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EP1918215B1 (en)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appliances intended for demolition
JPH1191868A (ja) 移動式飼料タンク
KR20100030062A (ko) 다목적 곡물적재함
US8567135B2 (en) Grain storage pit
KR200472185Y1 (ko) 전동운반차의 적재함 수동 덤프장치
KR102554440B1 (ko) 배출이 용이한 곡물 이송함
CN213536073U (zh) 取货架和货物分拣***
WO2018129126A1 (en) Crop retention systems, containers, and associated methods
CN214740027U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CN210941819U (zh) 一种小钢构件转运装置
JP6216178B2 (ja) 西瓜運搬用収納装置
CN109335437B (zh) 一种料仓及一种自动机台
JP3204821U (ja) 穀物用コンテナ
CN210792012U (zh) 一种易于送料的转运***
KR20040072087A (ko) 이동가능한 벌크 적재터미널
CN102696360A (zh) 层叠式储粮仓
DE60012239D1 (de) Anlage und ihr Betriebsverfahren zur Handhabung , Lagerung und Förderung von Schüttmateria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