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340A -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340A
KR20120051340A KR1020100112727A KR20100112727A KR20120051340A KR 20120051340 A KR20120051340 A KR 20120051340A KR 1020100112727 A KR1020100112727 A KR 1020100112727A KR 20100112727 A KR20100112727 A KR 20100112727A KR 20120051340 A KR20120051340 A KR 2012005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portable terminal
tex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1340A/ko
Publication of KR2012005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후 해당 센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여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에 상응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전화통화뿐만이 아니라 카메라 기능, MP3, 일정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키 버튼을 직접 눌러 입력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복수개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버튼식 키 패드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키 버튼에 대한 금형 작업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별도의 키 패드를 통한 입력 방식이 아닌 디스플레이상에 키 패드를 출력한 후 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변경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방식에서도 자주 이용되는 문자 또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복수회 키패드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따른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각각의 축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는 문자 편집부; 및 상기 문자 편집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편집된 문자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입력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된 입력 문자 또는 편집된 문자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인식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따른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설명]
도 1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동작 인식부(110), 문자 편집부(115), 입력부(120), 저장부(125), 설정부(130), 디스플레이부(135)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작 인식부(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해당 센서를 통해 측정된 계측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식된 움직임에 따른 동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 정보를 문자 편집부(11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센서는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과 같이 각 운동량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한 코리올리힘 또는 관성력을 이용한 센서이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Gryosensor)는 자이로 스코프, 관성 센서, 각속도 센서, 네비게이션 센서 등으로 명명되어 불리워지며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및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자이로 센서는 자이로 센서가 부착된 임의의 물체의 움직임, 가속도, 상하좌우 기울어짐 등을 감지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센서는 3개의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현 방법에 따라 2축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력 센서는 3개의 중력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3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각각의 축의 좌표 정보를 생성하여 동작 인식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3개의 자이로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각속도 및 벡터각을 생성하여 동작 인식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자이로 센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Z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X축 및 Y축 2개의 축을 중심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각속도 및 벡터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인식부(110)는 센서를 통해 입력된 계측 정보를 신호처리하여 당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당해 휴대용 단말기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움직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 정보(즉,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를 생성하여 문자 편집부(115)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여기서,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제2 방향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동작 인식부(110)가 가로 방향(즉, 좌우) 또는 세로 방향(상하)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이외에도 앞뒤 또는 회전(예를 들어, 90도, 180도, 270도 360도)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작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정보로 예를 들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일 수 있다.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인식부(110)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입력 문자를 편집하거나 입력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정보가 제1 방향이면 입력 문자로 공백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시, 공백 문자와 같이 자주 쓰이는 문자를 별도로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지 않고, 당해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여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따른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정보가 제2 방향이면, 입력된 전체 문자 또는 현재 시점까지 입력된 문자에 대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동작 정보에 따라 문자 편집부(115)에서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동작 정보에 따라 키패드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정보가 제1 방향이면, 문자 편집부(115)는 제1 키패드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방향이면 문자 편집부(115)는 제2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키패드는 영문 키패드 또는 특수 기호 키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키패드는 영문 키패드 또는 특수 기호 키패드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1 키패드 및 제2 키패드를 특수 기호 키패드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키패드를 설정한 후 해당 동작 정보에 상응하여 설정된 키패드가 선택되어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130)에 의해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된 경우,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정보가 제2 방향인 경우, 입력된 입력 문자를 취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정보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문자(예를 들어, @, ?)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문자 편집부(115)는 동작 정보에 따라 설정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예를 들어, 문자 입력 등)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5)를 통해 출력된 키패드의 임의의 문자(또는 숫자, 특수기호)를 선택받아 문자 편집부(11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2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뿐만이 아니라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설정부(130)는 문자 입력에 따른 자동 맞춤법 검사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정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 맞춤법 검사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설정 또는 해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문자, 숫자,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5)는 액정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동작 인식부(110), 문자 편집부(115),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5), 저장부(12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 설명]
도 2 및 도 3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상응하여 입력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후"와 같이 문자가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백 문자(즉, 띄어쓰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키패드를 선택하여 공백 문자를 입력하지 않고, 현재 커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2의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임으로써 공백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도 2의 230 참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문자 입력시에 공백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문자가 전체 입력된 상태에서 공백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백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위치(즉, 띄어쓰기를 희망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당해 휴대용 단말기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해당 위치에 공백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도 2의 2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이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된 문자에 대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를 참조하면, 310과 같이 문자가 입력되어 있으나, 마지막 문자가 잘못 입력된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320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움직임으로써, 해당 문자를 취소(즉, 삭제)할 수 있다(도 3의 330 참조). 이때, 문자는 하나의 글자 단위로 삭제될 수도 있으며, 문자 단위로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 단위는 자음 또는 모음을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310과 같이 문자가 입력된 상태에서, 글자 단위로 삭제시 “춥”이 삭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단위로 삭제되는 경우, “ㅂ”이 삭제될 수 있다.
글자 단위로의 삭제 또는 문자 단위로의 삭제는 문자가 입력된 시간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문자가 입력되고 기준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문자 단위로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문자 입력후 기준 시간이 초과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글자 단위로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도 4 설명]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문자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고 있는 이후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당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좌우) 및 세로 방향(상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만일 휴대용 단말기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단계 4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 커서가 존재하는 위치에 공백 문자를 입력 문자로써 입력한다.
그러나 만일 휴대용 단말기가 제2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단계 42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된 경우, 단계 4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 커서가 존재하는 위치의 문자를 취소(또는 삭제)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커서가 존재하는 위치의 문자를 글자 단위 또는 문자 단위로 취소(또는 삭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 4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된 문자에 대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동작 인식부
115: 문자 편집부
120: 입력부
125: 저장부
130: 설정부
135: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Claims (9)

  1.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각각의 축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상기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는 문자 편집부; 및
    상기 문자 편집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편집된 문자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다른 하나인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편집부는 상기 동작 정보가 상기 제1 방향이면 입력 문자로 공백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제2 방향이면 입력된 문자에 대해 맞춤법을 검사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에 상응하여 자동 맞춤법 검사를 설정받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된 경우, 상기 문자 편집부는 상기 동작 정보가 상기 제2 방향이면, 상기 입력 문자를 취소 편집하는 휴대용 단말기.
  6.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입력 문자를 입력하거나 문자를 편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된 입력 문자 또는 편집된 문자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세로 방향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문자 입력에 상응하여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자동 맞춤법 검사가 설정되고, 상기 동작 정보가 상기 제2 방향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 문자를 삭제 또는 취소하여 문자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가 상기 제1 방향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100112727A 2010-11-12 2010-11-12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5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27A KR20120051340A (ko) 2010-11-12 2010-11-12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27A KR20120051340A (ko) 2010-11-12 2010-11-12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40A true KR20120051340A (ko) 2012-05-22

Family

ID=4626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27A KR20120051340A (ko) 2010-11-12 2010-11-12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1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7431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851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80961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518643B (zh) 多显示方法、存储介质和电子装置
KR101453703B1 (ko) 센서를 이용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자동 제어들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KR10242279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글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KR20140071035A (ko) 복수 스크린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91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KR2014007827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01130A (ko) 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20150025450A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9665232B2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EP305151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55395B2 (en) Method for editing object with motion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83360B1 (ko) 텍스트 편집 위치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20150233721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51340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N107924276B (zh) 电子设备及其文本输入方法
US201402928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4873B1 (ko) 비동작 신호 및 동작 신호에 기반한 제어 장치 및 그 장치 제어 방법
KR101269034B1 (ko) 모바일 기기의 모션인지 기능을 활용한 공작놀이 공작놀이 수행 방법
KR2011013386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17914A (ko) 문자 입력 확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