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905A -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905A
KR20120050905A KR1020110116093A KR20110116093A KR20120050905A KR 20120050905 A KR20120050905 A KR 20120050905A KR 1020110116093 A KR1020110116093 A KR 1020110116093A KR 20110116093 A KR20110116093 A KR 20110116093A KR 20120050905 A KR20120050905 A KR 2012005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ed
thermoelectric material
based thermoelectric
transition metal
metal do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381B1 (ko
Inventor
김성진
한미경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5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3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arsenic, antimony or bismuth

Abstract

본원은 높은 ZT 값을 가지는 실질적인 응용이 가능한 열전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이금속에 의하여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PED Bi2Te3-BASED THERMOELECTRIC MATERIAL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원은 전이금속에 의하여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 (Thermo Electric; 열전) 물질은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능력 때문에 잠재적인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종래 TE 냉각 디바이스는 p-형 및 n-형 반도체 쌍의 시리즈로 제조된다. 다양한 TE 물질 중에서, Bi2Te3 및 그의 유도체 화합물은 상온 TE 응용에 대한 최고 후보로 오랫동안 고려되었다. 예를 들어, 열전 변환 발전은 열전 변환 소자에 온도차를 둠으로써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형태이다.
열전 변환 소자의 에너지 변환 효율은 열전 변환 재료의 제벡(Seebeck) 계수, 전기 전도도 및 열 전도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열전 변환 재료의 열전 변환 성능은 제벡 계수의 제곱 및 전기 전도도에 비례하고, 열 전도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열전 변환 소자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벡 계수 또는 전기 전도도가 높거나 열 전도도가 낮은 열전 변환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Bi2Te3을-기재 벌크 TE 물질은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p-형 반도체는 Bi2Te3-Sb2Te3 고용체(solid solution)로부터 준비되고 n-형 반도체는 Bi2Te3-Bi2Se3 고용체로부터 준비된다. Sb 또는 Se 과 같은, 다양한 성분의 첨가와 제조 공정의 개량은 최적 ZT의 무차원 값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흔히 이용되며, 상기 ZT = σS2T/κ로 정의되며, 여기서, S는 제벡(Seebeck) 계수 [또는 열전력 (thermopower)], σ는 전기 전도도, κ는 열전도도, 및 T는 Kelvin 온도로 정의된다; 이러한 Bi2Te3-기재 물질에서 우수한 향상은 Venkatasubramanian R. 등에 의해 보고된 문헌 ["Thin-Film TE Devices with high room Temperature Figures of Merit" Nature 2001, 413, 597-602.]에 의하면 초격자(superlattice)에서 관찰되었다. 상기 문헌에서 Venkatasubramanian R. 등은 p-형 Bi2Te3-Sb2Te3 초격자에 대하여 상온에서 ZT 지수(열전성능지수)가 ~2.4 임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저차원적 구조를 가진 p-형 Bi0 .52Sb1 .48Te3 벌크 물질은 상온에서 ZT가 ~1.5인 것으로 보고된 반면, n-형 물질에서는, 400 K 에서 1.04 의 최고 ZT 값이 벌크 Bi2Te2 .7Se0 .3 물질에 대해 획득되었다. 그러나, n-형 TE 물질의 제조는 Bi2Te3-Bi2Se3 고용체에서 Se 함량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기술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n-형 반도체 열전재료의 높은 ZT 값은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 여전히 필요하다.
이에, 본원은 높은 ZT 값을 가지는 실질적인 응용이 가능한 열전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이금속에 의하여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기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술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일 측면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제공한다: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0 < x < 1 임.
본원의 다른 측면은,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포함하는 열전 변화 소자 및 열전 변환 냉각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원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일반식 1에 따른 화학양론에 따른 함량비로 Bi, Te 및 전이금속 도판트 M의 각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진공 반응 튜브 내에 로딩하여 진공 하에서 밀봉하여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0 < x < 1 임.
본원에 의하여, 전이금속 도판트에 의하여 Bi2Te3의 열전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층 내에 삽입된 입자의 형성은 초격자 성장과 비슷하게 볼 수 있지만, 대량 생산을 더욱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 있어서, 상기 Bi2Te3의 결정면 내에 삽입된 전이금속 도판트는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Bi2Te3의 p-형 특성을 n-형으로 변화시키면서, 전자 주게(donor)로서 역할을 하며, 전기 전도도와 제벡 계수의 증가 및 열 전도도의 감소의 효과를 나타내어, 열전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a) CuxBi2Te3 (0 ≤ x ≤ 0.10) 샘플의 분말 X-선 회절패턴, 및 (b) 상기 x의 함수로서 단위 셀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상이한 영역들에서 Cu0 .07Bi2Te3 의 TEM 이미지(a-d); Bi2Te3 매트릭스(e)와 나노크기 Cu 입자가 포함된 영역(f)의 제한 시야 전자 회절을 나타낸다.
도 3은 CuxBi2Te3 의 (a) 전기 전도도 및 (b) 제벡 계수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도 4는 CuxBi2Te3 의 역률(power factor)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벽개면에 대하여 수직 (⊥) 및 수평 (∥) 양쪽 방향에서 단결정 Cu0.07Bi2Te3 샘플의 (a) 전기 전도도, (b) 제벡 계수, (c) 역률의 온도 의존성, 및 (d) 열전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벽개면에 대하여 수직 (⊥) 및 수평 (∥) 양쪽 방향에서 단결정 Cu0.07Bi2Te3 샘플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의 일 측면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제공한다: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약 0 < x < 약 1 임.
상기 M의 함량의 적절한 범위는 상기 M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그의 함량은 약 0 < x < 약 1, 예를 들어, 약 0 < x ≤ 약 0.9, 또는 약 0 < x ≤ 약 0.8, 또는 약 0 < x ≤ 약 0.7, 또는 약 0 < x ≤ 약 0.6, 또는 약 0 < x ≤ 약 0.5, 또는 약 0 < x ≤ 약 0.4, 또는 약 0 < x ≤ 약 0.3, 또는 약 0 < x ≤ 약 0.2, 또는 약 0 < x ≤ 약 0.1, 또는 약 0.01 ≤ x ≤ 약 0.2, 또는 약 0.02 ≤ x ≤ 약 0.2, 또는 약 0.03 ≤ x ≤ 약 0.2, 또는 약 0.04 ≤ x < 약 0.2, 또는 약 0.05 ≤ x < 약 0.2, 또는 약 0 < x ≤ 약 0.1, 또는 약 0.01 ≤ x ≤ 약 0.1, 또는 약 0.02 ≤ x ≤ 약 0.1, 또는 약 0.03 ≤ x ≤ 약 0.1, 또는 약 0.04 ≤ x < 약 1, 또는 약 0.05 ≤ x < 약 0.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의 나노입자 크기는 약 1 nm 내지 약 15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 나노입자 크기는 상기 M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약 1 nm 내지 약 15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10 nm, 또는 약 2 nm 내지 약 7 nm, 또는 약 3 nm 내지 약 6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Cu, Ni, Fe, Ag, Mn, Cr, V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의 함량비가 0.05 ≤ x < 1 인 경우, 상기 도핑된 전이금속 M이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Bi2Te3-계 열전 재료의 열전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다결정성 또는 단결정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 변환 성능은 제벡 계수 및 전기 전도도가 클수록, 그리고 열 전도도가 작을수록 높아진다.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는 상기 도핑된 전이금속 M이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전형적인 상용 열전 변환 재료인 Bi2Te3에 비해 열 전도도가 현저히 낮고 제벡 계수도 증가시킬 수 있다. 전기 전도도는 캐리어(carrier)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는데, 본원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전이금속 M이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n-형 반도체 특성이 증가하여 전기 전도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는 종래의 열전 변환 재료와는 다른 새로운 재료로서, 열전 변환 성능이 우수하여 종래의 열전 변환 재료를 대체하거나 종래의 열전 변환 재료에 더하여 열전 변환 소자 및 열전 냉각 디바이스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포함하는 열전 변환 소자 및 열전 변환 냉각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본원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일반식 1에 따른 화학양론에 따른 함량비로 Bi, Te 및 전이금속 도판트 M의 각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진공 반응 튜브 내에 로딩하여 진공 하에서 밀봉하여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0 < x < 1 임.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소결은 약 1,000℃ 내지 약 1,5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소결 후 상기 소결 온도보다 약 100℃ 내지 약 300℃ 낮은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상온으로 급냉(quenching)시키는 것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합성될 수 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소결 후 상기 소결 온도보다 약 100℃ 내지 약 300℃ 낮은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약 10 시간 내지 약 20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반응 튜브를 일정 속도로 하강인발(pulling down)하는 것을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는 단결정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합성될 수 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 나노입자 크기는 약 1 nm 내지 약 15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의 나노입자 크기는 상기 M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약 1 nm 내지 약 15 nm, 또는 약 1 nm 내지 약 10 nm, 또는 약 2 nm 내지 약 7 nm, 또는 약 3 nm 내지 약 6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Cu, Ni, Fe, Ag, Mn, Cr, V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 Cu 도핑된 Bi 2 Te 3 열전 재료 Cu x Bi 2 Te 3 합성>
다결정 샘플을 만들기 위해, 화학양론 CuxBi2Te3 (x = 0, 0.01, 0.03, 0.05, 0.07, 0.1)에 따라, Alfa Aesar 로부터 구입한 원소 Bi (99. 999%), Te (99.999%), 및 Cu (99.999%)의 적절한 양의 중량을 측정하여 진공 실리카 튜브(10 mm 직경, 1 mm 벽 두께) 안으로 로딩시키고, 그리고 나서 진공 하에서 밀봉시켰다. 상기 밀봉된 튜브는 12 시간 이상 1,000℃ 로 가열되었고, 그리고 나서 5 시간 동안 그 상태로 유지하였다. 상기 튜브는 12 시간 이상 800℃ 로 천천히 냉각되고, 그리고 나서 공기 중에서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급냉(quenching)되었다. Bi2Te3의 융점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의 상기 급속 냉각은 Bi2Te3의 배향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수득된 고밀도(dense) 잉곳(ingot)은 진한 은빛 금속성 광택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잉곳은 물과 공기에서 안정하다.
CuxBi2Te3의 단결정은 Bridgman 로(furnace)에서 성장되었다. 화학양론 CuxBi2Te3 (x = 0.05, 0.07, 0.08, 0.1)에 따른 원소 Cu, Bi 및 Te의 적절한 양을 진공 실리카 튜브에 위치시켰다. 상기 실리카 튜브는 12 시간 동안 1,100℃ 에서 가열되어 형성된 용융 액체를 균질화하였고, 12 시간 이상 800℃ 로 냉각하였고, 그리고 나서 12 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튜브는 2.3 mm/h 의 성장 속도로 800℃ 에서 하강인발(pulling down)되었다.
그 결과로 생긴 단결정은 30-40 mm 길이, 약 14 mm 직경을 가지며, 잘 벽개(cleavable)되었고, 그들의 벽개면(cleavage plane)은 항상 인발 방향(pulling direction)에 대하여 수직이었다.
<열전재료의 특성 분석>
상기 물질들의 상(phase) 분석 및 구조적 특성 분석은 분말 X-선 회절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샘플은 막자와 사발을 이용하여 손으로 분쇄하였고 그러고 나서, 270-mesh 체를 통과시켰다. 상기 분말 회절 패턴은 CuKα(l = 1.54056 Å) 를 이용하여 Rigaku D/MAX X-ray (40 KV와 30 A) 회절계에 의하여 수집되었다. CuxBi2Te3 샘플의 격자 파라미터는 Rietveld 세분(refinem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0 °내지 80 °사이의 2θ의 범위에서 데이터의 최소 제곱 세분으로부터 획득되었다. 상기 Bi2Te3 층 내의 Cu 입자는 HR-TEM 에 의해 분석되었다. 상기 TEM 이미지는 JEOL 2100F, HRTEM 에 기록되었다. 제한 시야 전자 회절(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패턴은 TEM 에 의해 획득되었다.
<열전 특성 분석>
열전도도는 열 확산계수 D(T), 비열 Cp(T) 및 샘플 밀도 ρ(T)를 결합함으로써 κtot (T) = D(T) × CP(T) × ρ(T)에 따라 결정된다. 열 확산계수의 측정을 위해, 샘플은 약 10 mm 직경 및 2 mm 두께의 디스크형으로 절단되었다. 상기 여러 시료의 열 확산계수(D(T), 및 비열(CP(T))은 NETZSCH LFA 457 MicroFlash™ 기기를 이용하여 섬광 확산계수 열용량 방법(flash diffusivity-heat capacity method)에 의해 측정되었다. 상기 샘플 밀도 ρ(T)는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7.0 에서 7.4 g/cm3 까지의 범위였다.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상기 샘플은 약 3 × 3 × 8 mm3의 직사각형의 형태로 절단되었다. 전기 전도도 및 제벡 계수는 ULVAC-RIKO ZEM-3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약 650 K 로 헬륨 분위기에서 동시에 측정되었다. 상기 제벡 계수는 각 온도 단계의 5-15 K 범위에서 다양한 온도 구배로 3 회 측정되었다. 캐리어 농도는 공기 중에서 Hall 측정 시스템 (HL5500PC, BIO-PAD)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열전 특성 비교>
도 1a는 다결정 Bi2Te3 및 상이한 Cu 함량을 가진 Cu-도핑된 Bi2Te3 샘플의 의 미세 분말의 XRD 패턴을 나타낸다. 상기 패턴에서 모든 특성 피크는 능면체(rhombohedral) Bi2Te3 (JCPDS, No. 15-0863) 로서 지표(index)될 수 있다. 그러나, Cu2 .86Te2의 불순물 상들이 Cu0 .1Bi2Te3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Bi2Te3 에서 Cu의 용해도의 상한이 x = 0.07 에 가깝다는 것을 결론지을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Bludska, J. 등이 보고한 문헌 ["Copper intercalation into Bi2Te3 single crystals" Solid State Ionics 2004, 171, 251-259.]에 있어서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Bi2Te3 에서 Cu 용해도 한계의 약 x = 0.06 결과와 일치한다.
상기 Cu 도핑된 Bi2Te3 샘플의 패턴을 Bi2Te3의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모든 상기 Cu-도핑된 Bi2Te3 샘플의 (0 0 6) 및 (0 0 15)를 포함한 (0 0 l) 면의 상대 강도는 Bi2Te3의 상대 강도보다 현저하게 약하다. 가장 강한 피크 (015), I(006)/I(015)에 대하여 면 (0 0 6) 의 통합된 강도의 비율은 Bi2Te3에 대하여 ~78% 이고, 모든 Cu-도핑된 Bi2Te3 에 대하여 25~26%이다. 이것은 층들 사이에서 Cu 원자의 첨가가 결정학적으로 c-축을 따라 배열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b는 단위 셀 파라미터에서 구리 함량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c-축 격자 파라미터는 낮은 구리 농도(x ≤ 0.03) 에서 감소하며, 이는 Cu 및 Te 사이에서 결합 형성의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Cu 농도 (0.05 ≤ x ≤ 0.07)에서, Bi2Te3 에 대하여 c~ 30.42(1) Å 로부터 Cu0 .07Bi2Te3에 대하여 c ~ 30.65(1) Å 까지, 상기 c-축 격자 파라미터에서 현저한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구리 함량에서, 상기 삽입된 Cu는 HR-TEM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상기 층들 사이에서 나노크기 입자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 a-축 격자 파라미터는 Cu 농도 증가에 따라 표준 편차 내에서 거의 일정하게 남아 있는데, 즉, Bi2Te3에 대하여 4.38(1) Å 및 Cu0.07Bi2Te3에 대하여 4.40(1) Å 였다. 이러한 XRD 결과로부터, Cu는 단지 상기 층 사이에 도입되며 Bi를 대체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Hall 측정은 상온에 수행되었다. 분석에서 하나의 캐리어 유형 및 단순한 포물선 밴드 모델을 가정할 때, 캐리어 농도(n)는 관계식 RH = 1/ne을 이용하는 상온 Hall 상수로부터 계산되었으며, 여기서 RH는 Hall 계수이고, n은 캐리어 농도이고, e는 전자 충진이다. 상기 캐리어 농도 및 CuxBi2Te3의 이동도는 표 1에 나타냈다. 도핑되지 않은 Bi2Te3을 위한 Hall 전압은 제벡 계수 측정으로 일치한 p-형 전도를 나타내는 양성이었다. 그러나, CuxBi2Te3 (x = 0.01과 0.03)에 대한 Hall 전압은 제벡 계수 측정과 일치하지 않는 음성이었다. 이 불일치가 가능한 한 가지 이유는 단일 대역 근사 때문이다. 반면에, CuxBi2Te3 (0.05 ≤ x ≤ 0.10)에 대한 Hall 전압은 제벡 계수 측정과 일치한 음성이었다. 측정된 캐리어 농도는 약 1019 CM-3의 순이다. 상기 캐리어 농도는 먼저 증가한 구리 함량에 따라 감소하고, 그리고 나서 증가하였다. 상기 CuxBi2Te3 (x = 0.07) 구성은 22 × 1018 cm-3의 최대 값을 나타냈다. 또 다른 결과물은 상기 CuxBi2Te3 (x = 0.07) 구성이 다른 구성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은 이동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저한 분산이 이 구성에서 Cu 나노 입자의 형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제안한다.
Figure pat00001
나노미터 크기에서 구조 분석은 고해상도 투과 전자 현미경(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및 제한시야 전자 회절(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도 2에 나타내었다. Cu0 .07Bi2Te3 의 새로운 벽개면(cleaved surfaces)의 HR-TEM 이미지로부터, 표면 (0001) 상에서 나노크기 Cu 입자를 관찰했다. 상기 샘플 (도 2a)의 저배율 TEM 이미지로부터, 고르게 분산된 나노입자를 관찰하였다. 그것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1 ~ 10 nm 이다. HRTEM 이미지 (도 2c)는 그의 벌크 매트릭스에 간섭적으로(coherently) 임베딩된 나노입자를 일관되게 나타났다. 상기 간섭적으로 성장된 결정 도메인 경계부를 관찰하였다. c-축을 따른 라멜라-유사 구조는 도 2d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전자 회절(electron diffraction; ED) 패턴은 상기 샘플이 국소 원자 배열(도 2f) 뿐만 아니라 조성 요동(compositional fluctuations)과 관련된 나노구조화(nanostructuring) (도 2d의 삽입도)를 가지는 능면체 Bi2Te3 결정 구조(도 2e)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2f에서 개방된 원은 Cu 입자와 관련된 초과(extra) 회절된 강도의 위치를 나타낸다. Bi2Te3 층 사이에 나노크기화된 Cu 입자는 전자를 투과하는 동안에 포논(phonon)을 반사하기 위한 산란 중심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Bi2Te3의 TE 특성에 대한 Cu 삽입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Cu의 농도 및 TE 특성 사이의 관계는, ZT 값이 Bi2Te3 물질에서 Cu의 삽입에 의하여 얼마나 증가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이동 (transport) 측정은 300 ~ 600 K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결정 CuxBi2Te3 샘플 및 단결정 Cu0.07Bi2Te3 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도 3a는 온도에 대한 전기 전도도의 플롯(plot)을 나타낸다. 조성 x ≤ 0.03 에 대해, 전기 전도도의 값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450 K 근처에서 최소에 도달하고, 그리고 나서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x ≥ 0.05 을 가진 샘플은, 상기 전도도가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CuxBi2Te3 (x ≥ 0.05)의 반도체 거동을 나타낸다. Cu 조성에 의한 전기 전도도의 매우 상이한 경향은 삽입된 Cu가 상기 결정에서 화학적 결합을 변화시켜 페르미(Fermi) 준위에서 상태의 밀도를 변화시키는 사실에 기인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제벡 계수의 변화는 도 3b에 나타냈다. 제벡 계수는 이러한 샘플들이 p-형 반도체로서 거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x ≤ 0.03 를 가진 조성에 양(positive)인 것을 발견하였고, 반면에 x ≤ 0.05 를 가진 조성은 전체 온도 범위에서 음(negative)의 제벡 계수를 가지며 이는 전하 캐리어(carrier)의 대부분이 전자(n-형)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캐리어 유형에서의 변화는 Hall 효과 측정 결과의 이송(transport) 결과와 일치한다. 이것은 Cu 로부터 모체상 Bi2Te3로의 전자 전달을 확인하여 주며, Cu의 p-오비탈에 기여함으로써 페르미 준위 주위에서 상당한 전자구조의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Cu-함유 합금에 대하여 절대 제벡 계수 값은 온도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구리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상기 제벡 계수는, Bi2Te3에 대한 200 mV/K와 비교하여, Cu0 .1Bi2Te3 샘플에 대해 -260 mV/K로 낮아졌다.
온도 T의 함수로서 대응하는 역률(S 2 s)은 도 4에 나타냈다. x의 함수로서 두 가지 특징적 거동을 관찰하고, 개별적으로 그것들을 논의한다. CuxBi2Te3 (x = 0, 0.01, 0.03) 시스템에 대하여, 먼저 역률은 T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약 500 K 에서 최소에 도달하고, 그리고 나서 다시 증가하였다. CuxBi2Te3 (x = 0.05, 0.07, 0.10)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역률은 온도에 따라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 x = 0.07 구리 도핑 시편의 역률이 다른 샘플보다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u0 .07Bi2Te3은 ~ 300 K 에서 역률 ~19.9 μW /cm·k2 의 최고 값을 나타낸다.
단결정 Bi2Te3-기재 합금은 그의 층상 구조 때문에 TE 특성에서 강한 비등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u-도핑된 Bi2Te3 샘플의 TE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열 전도도 측정을 위하여 10 mm 직경 및 2 mm 두께의 디스크형 및 전기 전도도 및 제벡 계수 측정을 위한 약 3 × 3 × 10 mm 의 바(bar)형 샘플 각각 Cu-도핑된 Bi2Te3 샘플의 벽개면(cleavage plane)에 대하여 수직 및 평행한 방향 모두에 대하여 만들어졌다. 도 5는 벽개면에 대하여 수직 (⊥) 및 수평 (∥) 양쪽 방향에서 단결정 Cu0 .07Bi2Te3 샘플의 (a) 전기 전도도, (b) 제벡 계수, 및 (c) 역률의 온도의존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벽개면에 대하여 수직 (⊥) 및 수평 (∥) 양쪽 방향에서 단결정 Cu0 .07Bi2Te3 샘플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원에서 연구된 샘플들의 전형적인 것으로서 Cu0 .07Bi2Te3 샘플의 전기 전도도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상기 벽개면에 수직 (⊥) 및 평행 (∥) 방향에서 TE 특성은 300 K 에서 600 K 까지 온도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온도 의존성은 양쪽 방향에서 유사하지만, c-축 전기 전도도(σ⊥)의 크기는 평면 내 전기 전도도(σ∥)의 절반 미만이다. 두 방향에 따른 전기 전도도의 비율(σ⊥/σ∥)은 상온에서 3.0 에서 620 K 에서 3.6 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양쪽 방향에서 Cu0 .07Bi2Te3 샘플의 제벡 계수는 매우 유사하고 (도 5b), 상온에서부터 600 K까지 -240 μV/K에서 -120 μV/K 까지 감소시켰다. 두 방향에 따른 제벡 계수의 비율(σ⊥/σ∥)은 1.1 ~ 1.2 로 유지되었다. 상기 전기 전도도 향상 때문에, ∥ 방향에서 Cu0 .07Bi2Te3 샘플의 역률(power factor) S2σ은 상온에서 38 μW /cm·k2 로 향상되었고 620 K 에서 21 μW /cm·k2 로 떨어진 반면, ⊥ 방향에서 Cu0.07Bi2Te3 샘플의 역률 S2σ은 상온에서 12 μW /cm·k2로부터 620 K 에서 5 μW /cm·k2 로 감소되었다. 상기 ∥ 방향에서 상온 역률은 다른 방향에서 그것보다 3 배 더 크다.
본 실시예에서, 격자 열전도도(kL)는 상기 측정된 전체 열전도도(ktot)로부터 Wiedemann-Frantz 관계식에 따라 계산된 전자 열전도도(ke)를 뺌으로써 추산되며, 여기서, 로렌츠 상수는 L = 1.6 ×0-8 WΩ/K2인 값을 취하였다. 상기 양쪽 방향에서 전기 전도도의 변화에 따라, Cu0 .07Bi2Te3 샘플의 열 전도도 또한 변화된다 (도 5d): 상기 ⊥ 방향 (κ⊥) 에서 전체 열 전도도는 300 K 에서 1.0 W/m·K (격자 기여가 0.7 W/m·K 로 유지됨)였고,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했다. 상기 ∥ 방향 (κ∥) 에서 전체 열전도도는 300 K 에서 1.2 W/m·K 이었고(격자 기여가 0.8 W/m·K 로 유지됨) 2.1 W/m·K 까지 증가했다. 1.1의 비율 (κ⊥/κ∥) 이 관찰되었다. 측정된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전체 열 전도도 값은 현재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진 n-형 Bi2Te2 .925Se0 .075 (300 K 에서 ktot 값 ~1.65 W/m·K, 격자 기여는 1.27 W/m·K)보다 낮고, 또한 볼밀링(ball-milling) 및 dc 열 압축된 n-형 Bi2Te2 .7Se0 .3 벌크 샘플들의 전체 열 전도도 값(300 K 에서 ktot 값 ~1.06 W/m·K 격자 기여는 0.7 W/m·K )과 비교할 만한다. 이것은 삽입된 Cu 나노입자가 효과적으로 포논을 산란시킴으로써 격자 열전도도를 감소시키는 것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강하게 나타낸다.
벽개면을 따라 Cu0 .07Bi2Te3 샘플의 ZT는 상온에서 약 1.15 를 가지며 이는 도핑되지 않은 Bi2Te3의 ZT 보다 약 3배 높은 것이며, 또한 이 값은 n-형 Bi2Te3에 대하여 현재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진 값의 피크 ZT (0.9) 에 대하여 20% 향상된 것이다. 상기 ZT의 값이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면에 대한 ZT(ZT∥= 1.15) 는 벽개면에 수직 방향 ZT ((ZT⊥= 0.39)보다 거의 3 배 높았다. 상기 Cu-삽입된 Bi2Te3 에 대하여 관측된 상당히 더 높은 ZT는 주로 더 큰 역률의 값 및 더 작은 격자 열전도도 때문이다.
요약하면, 본원에 있어서 TE 특성들이 Bi2Te3에서 구리 함량의 함수로서 연구되었다. 상기 삽입된 Cu는 Bi2Te3의 p-형 특성을 n-형으로 변화시키면서, 전자 주게(donor)로서 역할을 한다. Cu 삽입된 Bi2Te3 결정의 이방성 효과가 연구되었다. 기저면에 따른 ZT(ZT∥= 1.15)는 벽개면에 수직 방향인 ZT(ZT⊥= 0.39)보다 거의 3 배 높았다. 주요 개선점은 전기 전도도와 제벡 계수의 증가 및 열 전도도의 작은 감소이며, 이에 따라 장점 특성의 향상된 수치를 가져온다. 그와 같은 향상의 이유는 Bi2Te3 층 내에 나노크기 Cu 입자의 형성이다. 이 결과는 Bi2Te3 층 내 Cu의 삽입이 n-형 Bi2Te3의 TE 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하는 것이다.
[ 실시예 2]
< Ni 도핑된 Bi 2 Te 3 열전 재료 Ni x Bi 2 Te 3 합성>
다결정 샘플을 만들기 위해, 화학양론 NixBi2Te3 (x = 0, 0.01, 0.03, 0.04, 0.05, 0.07, 0.1)에 따라, Alfa Aesar 로부터 구입한 원소 Bi (99. 999%), Te (99.999%), 및 Ni (99.999%) 의 적절한 양의 중량을 측정하여 진공 실리카 튜브(10 mm 직경, 1 mm 벽 두께) 안으로 로딩시키고, 그리고 나서 진공 하에서 밀봉시켰다. 상기 밀봉된 튜브는 12 시간 이상 1,000℃ 로 가열되었고, 그리고 나서 5 시간 동안 그 상태로 유지하였다. 상기 튜브는 12 시간 이상 800℃ 로 천천히 냉각되고, 그리고 나서 공기 중에서 상온으로 자연적으로 급냉(quenching)되었다. Bi2Te3의 융점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의 상기 급속 냉각은 Bi2Te3의 배향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수득된 고밀도(dense) 잉곳(ingot)은 진한 은빛 금속성 광택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잉곳은 물과 공기에서 안정하다.
NixBi2Te3의 단결정은 Bridgman 로(furnace)에서 성장되었다. 화학양론 NixBi2Te3 (x = 0.05, 0.07, 0.08, 0.1)에 따른 원소 Ni, Bi 및 Te의 적절한 양을 진공 실리카 튜브에 위치시켰다. 상기 실리카 튜브는 12 시간 동안 1,100℃ 에서 가열되어 형성된 용융 액체를 균질화하였고, 12 시간 이상 800℃ 로 냉각하였고, 그리고 나서 12 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유지하였다. 상기 튜브는 2.3 mm/h 의 성장 속도로 800℃ 에서 하강인발(pulling down)되었다.
그 결과로 생긴 단결정은 30-40 mm 길이, 약 14 mm 직경을 가지며, 잘 벽개(cleavable)되었고, 그들의 벽개면(cleavage plane)은 항상 인발 방향(pulling direction)에 대하여 수직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i이 도핑됨에 따라 NixBi2Te3의 격자 상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Ni이 Te을 치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i이 도핑됨에 따라 상온에서 NixBi2Te3의 ZT 지수가 약 10% 정도 증가함을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Ni 도핑에 의하여 NixBi2Te3의 열전특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에서는 본원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0 < x < 1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Bi2Te3 결정 내 Bi2Te3 층들 사이에 나노입자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의 나노입자 크기는 1 nm 내지 15 nm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도판트 M은 Cu, Ni, Fe, Ag, Mn, Cr, V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n-형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6. 제 1 항에 있어서,
    다결정성 또는 단결정성을 가지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포함하는, 열전 변환 소자.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를 포함하는, 열전 변환 냉각 디바이스.
  9. 하기 일반식 1에 따른 화학양론에 따른 함량비로 Bi, Te 및 전이금속 도판트 M의 각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진공 반응 튜브 내에 로딩하여 진공 하에서 밀봉하여 소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
    [일반식 1]
    MxBi2Te3:
    상기 일반식 1에서, M은 전이금속 도판트이고, 0 < x < 1 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은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후 상기 소결 온도보다 100℃ 내지 300℃ 낮은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상온으로 급냉(quenching)시키는 것을 추가 포함하며, 다결정성의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가 형성되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후 상기 소결 온도보다 100℃ 내지 300℃ 낮은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10 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상기 반응 튜브를 일정 속도로 하강인발(pulling down)하는 것을 추가 포함하며, 단결정성의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가 형성되는 것인, 도핑된 Bi2Te3-계 열전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0110116093A 2010-11-08 2011-11-08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49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0196 2010-11-08
KR1020100110196 2010-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05A true KR20120050905A (ko) 2012-05-21
KR101249381B1 KR101249381B1 (ko) 2013-04-01

Family

ID=4626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093A KR101249381B1 (ko) 2010-11-08 2011-11-08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3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09A1 (ko) * 2013-03-25 2014-10-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자연 초격자 구조 열전소재
WO2018038477A1 (ko) * 2016-08-22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격자 열전소재 및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
KR20190029969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소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9722708A (zh) * 2018-12-28 2019-05-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一种拓扑半金属材料碲化铋及其制备方法
KR20190089431A (ko) * 2018-01-22 2019-07-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u-Bi-Te계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KR102566339B1 (ko) * 2022-03-23 2023-08-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58B1 (ko) * 2014-06-24 2016-06-20 한국전기연구원 침입형 도핑재 첨가에 의해 복합결정구조가 형성된 Te계 열전재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741A (ko) * 1998-10-12 2000-05-25 안자키 사토루 열전반도체 재료 또는 소자의 제조방법 및 열전모듈의제조방법
KR20020006338A (ko) * 2000-07-12 2002-01-19 병 선 천 급속응고 가스 분무법과 열간 성형가공법을 이용한Bi₂Te₃계 열전변환재료의 제조방법
US9673371B2 (en) * 2008-08-11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isotropically elongated thermoelectric material,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device comprising the material
KR101538068B1 (ko) * 2009-02-02 201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09A1 (ko) * 2013-03-25 2014-10-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자연 초격자 구조 열전소재
US9847469B2 (en) 2013-03-25 2017-12-19 Sk Innovation Co., Ltd. Natural-superlattice-structured thermoelectric material
WO2018038477A1 (ko) * 2016-08-22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격자 열전소재 및 이를 이용한 열전소자
US11223002B2 (en) 2016-08-22 2022-01-11 Lg Electronics Inc. Superlattice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rmoelectric device using same
KR20190029969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9431A (ko) * 2018-01-22 2019-07-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u-Bi-Te계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CN109722708A (zh) * 2018-12-28 2019-05-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一种拓扑半金属材料碲化铋及其制备方法
KR102566339B1 (ko) * 2022-03-23 2023-08-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381B1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Formation of Cu nanoparticles in layered Bi 2 Te 3 and their effect on ZT enhancement
Li et al. Enhanced mid-temperature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textured SnSe polycrystals made of solvothermally synthesized powders
KR101249381B1 (ko) 도핑된 Bi₂Te₃-계 열전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Jabar et al. Achieving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through constructing coherent interfaces and building interface potential barriers in n-type Bi 2 Te 3/Bi 2 Te 2.7 Se 0.3 nanocomposites
Delorme et al.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a3Co4O9–Co3O4 composites
Acharya et al. High performance (ZT> 1) n-type oxide thermoelectric composites from earth abundant materials
Xiong et al.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Yb0. 26Co4Sb12/yGaSb nanocomposites originating from scattering electrons of low energy
Mi et al. Nanostructuring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bulk skutterudite compound CoSb3
Guo et al.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highly oriented polycrystalline SnSe based composites incorporated with SnTe nanoinclusions
US8778214B2 (en) Thermoelectrics compositions comprising nanoscale inclusions in a chalcogenide matrix
Ge et al. Nanostructured Bi 2− x Cu x S 3 bulk materials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Yang et al. Sn vacancy engineering for enhancing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two-dimensional SnS
KR101902925B1 (ko) 열전재료, 열전소자 및 열전모듈
An et al. Synthesis of heavily Cu-doped Bi2Te3 nanoparticles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Isotta et al. Nanostructured kesterite (Cu2ZnSnS4) for applications in thermoelectric devices
Zhang et al.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realized in porous Cu1. 8S based composites by Na2S addition
KR102059674B1 (ko) P형 스커테루다이트 열전재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Wu et al. Realizing tremendous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nSe2 by Cl-doped and anisotropy
Wang et al. Improvement of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u3SbSe4 hierarchical with in-situ second phase synthesized by microwave-assisted solvothermal method
Park et al. Influence of Ba2+ doping on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BiCuSeO fabricated by spark plasma sintering
Zhang et al. Excellent thermoelectric properties and stability realized in copper sulfides based composites via complex nanostructuring
Chen et al. Enhancing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n-type Bi2Te2. 7Se0. 3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MnSb2Se4 nanoinclusions
Falkenbach et al.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anostructured bismuth-doped lead telluride Bi x (PbTe) 1− x prepared by co-ball-milling
Lu et al.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BiSe by Sn doping and ball milling
Popescu et al. The inclusion of ceramic carbides dispersion in In and Yb filled CoSb3 and their effect on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