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604A -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604A
KR20120049604A KR1020100110943A KR20100110943A KR20120049604A KR 20120049604 A KR20120049604 A KR 20120049604A KR 1020100110943 A KR1020100110943 A KR 1020100110943A KR 20100110943 A KR20100110943 A KR 20100110943A KR 20120049604 A KR20120049604 A KR 2012004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ollection
mobile device
state
paging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9604A/ko
Priority to US13/292,338 priority patent/US20120117406A1/en
Publication of KR2012004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53Garbage collection, i.e. reclamation of unreferenced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n unwanted signal, e.g. interference or idle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시점에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고, 페이징 주기에 따른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 운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 확보 및 그에 의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슬립 상태에서 페이징을 위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페이징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처리가 완료될 시 가비지 컬렉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수행 결정 시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완료 시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F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을 이용한 메모리 관리 시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모전류를 줄이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메모리를 정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발전에 힘입어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디바이스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다양한 메모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해당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때 바이트(byte)나 워드(word)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때 메모리 내에서 지정된 특정 섹터(sector) 단위로만 삭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내장 파일 시스템(EFS, Embedded File System)은 이러한 메모리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메모리 내 구역을 일정 크기의 블록(block)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 블록마다 헤더(header)를 두어 기록된 내용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블록의 내용이 바뀌게 되면 내용이 바뀌어야 하는 블록에 다시 데이터를 쓰는(write) 것이 아니라, 그 블록은 가비지(garbage)라는 쓰레기 영역(dirty area)인 더티 블록으로 처리하고 새로운 빈 영역인 프리 블록(free block)을 다시 할당하여 바뀐 내용만을 다시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때 발생하는 가비지가 증가하게 되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프리 블록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가비지가 어느 정도 모이면 모인 가비지를 삭제해 주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메모리에서의 가비지 삭제를 메모리 정리 또는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라 한다.
한편,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비지 컬렉션은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설정된 타이머(timer) 주기에 따라 실행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 액션(user action)이 없는 슬립 상태(sleep state)로 존재하는 슬립 구간에서도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웨이크 업 상태(waker up state)로 강제 전환된다. 따라서 종래에서는 슬립 상태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해당 주기마다 웨이크 업 상태로 매번 전환해야 함에 따라 실제 슬립 상태에 있어야 할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이 짧아지게 되며, 결국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류 소모가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비지 컬렉션에 의한 메모리 정리를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및 그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소모전류를 최소화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비지 컬렉션에 의한 메모리 정리 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서 페이징 주기에 따른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 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서 페이징 주기에 따른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 시 상기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의 가변적인 운용에 의해 메모리 정리를 수행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상태에서 가비지 컬렉션 실행 시,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더티 블록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모전류를 고려한 가비지 컬렉션 운용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슬립 상태에서 페이징을 위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페이징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처리가 완료될 시 가비지 컬렉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수행 결정 시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완료 시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통해 페이징에 따른 데이터를 교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비지 컬렉션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유효 블록, 더티 블록, 프리 블록으로 구분되는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 및 웨이크 업 상태 간 전환을 제어하며,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간 페이징 주기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더티 블록에 대한 가비지 컬렉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모전류를 줄이면서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에 의해 메모리 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남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가비지 컬렉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하여 사용자 저장 영역을 확보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모전류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구간에서 동작 중 네트워크와 동기를 위한 페이징 동작을 위해 웨이크 업 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에서 불필요한 웨이크 업 구간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줄이고 슬립 구간의 장기화를 통해 실제 모바일 디바이스 운용에 따른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구간의 슬립 상태에서 네트워크와의 동기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웨이크 업 구간의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가비진 컬렉션을 실행하여 종래에서보다 슬립 구간을 오래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티 블록에 대해 일률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더티 블록에 대해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이 적용되는 더티 블록의 개수를 가변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슬립 구간의 확보 및 소모전류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모리가 적용되는 모든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보다 효과적인 가비지 컬렉션 기능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비지 컬렉션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비지 컬렉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에 의한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sleep state)에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웨이크 업 상태(wake up state)로 전환하는 시점에 메모리의 더티 블록(dirty block)을 프리 블록(free block)으로 변환하는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결국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 확보에 따라 불필요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비지 컬렉션 수행 시 네트워크와의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더티 블록 개수를 조절하는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의 운용이 가능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 확보를 비롯하여 가비지 컬렉션에 따른 안정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는 일정 크기의 다수개의 블록들로 나누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유효 블록(valid block), 데이터 변경에 따라 비유효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가비지(garbage)라는 쓰레기 영역의 더티 블록(dirty block), 새로운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빈 영역이 프리 블록(free block)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블록들의 데이터가 바뀌게 되면 데이터가 바뀌어야 하는 특정 블록에 다시 새로운 데이터(또는 추가 데이터)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해당 특정 블록을 가비지라는 더티 블록으로 처리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새로운 빈 블록 즉, 프리 블록에 할당하여 변경된 데이터만을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수정할 때 발생하는 가비지가 증가하게 되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프리 블록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가비지가 어느 정도 모이면 모인 가비지를 삭제해 주어야 하는데, 메모리에서의 가비지 삭제를 가비지 컬렉션이라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비지 컬렉션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액션이 없는 경우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해 슬립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슬립 구간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은 슬립 구간에서 네트워크와의 페이징(paging)을 위한 시점이 되는 경우 웨이크 업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 구간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비지 컬렉션을 주기적인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에서는 가비지 컬렉션을 생략하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구간에서만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액션 등이 일정시간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슬립 구간에 존재할 수 있다(110블록).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의 동기를 위해 할당된 페이징 시점(페이징 주기)이 도래하면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여 웨이크 업 구간에 존재하게 된다(120블록).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이크 업 구간에서 네트워크와의 페이징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의 페이징 절차가 완료될 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130블록).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비지 컬렉션 실행 시 우선 페이징 주기를 확인하고(140블록),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150블록).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페이징 주기의 길이에 따라 프리 블록으로 회수할 더티 블록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더티 블록의 개수에 대응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비지 컬렉션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이크 업 구간에서 가비지 컬렉션이 완료될 시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슬립 구간에 진입할 수 있다(160블록).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슬립 구간, 웨이크 업 구간, 슬립 상태, 웨이크 업 상태는 설명을 위해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태를 전환하는 것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실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모듈(200), 메모리(300),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운용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이동통신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모듈(200)은 접속된 해당 네트워크와의 페이징 주기에 따라 페이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200)은 슬립 구간에서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웨이크 업 구간에서 웨이크 업 하고, 웨이크 업 상태에서 해당 네트워크와의 페이징에 따른 교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3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모바일 디바이스의 페이징 처리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비지 컬렉션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00)는 네트워크와의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주기에 따른 값들(예컨대, 주기, 타이머 설정 값 등)과, 가비지 컬렉션 수행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TH)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300)는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인 유효 블록(valid block), 데이터가 삭제되고 활용되지 못하는 가비지 영역인 더티 블록(dirty block),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빈 영역인 프리 블록(free block)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운용 상태에 따라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의 전류 소모를 고려한 메모리 관리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페이징 주기에 따른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인 슬립 구간에 존재하는 경우 가비지 컬렉션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구간에서 네트워크와 페이징을 위한 웨이크 업 구간으로 진입하여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될 시 네트워크와의 페이징과 관련된 절차를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웨이크 업 구간에서 페이징 처리가 완료될 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을 운용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00)는 가비지 컬렉션이 완료될 시 슬립 구간으로 진입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웨이크 업 구간에서 더티 블록이 없거나 또는 더티 블록의 개수가 설정된 임계값(TH) 이하인 경우 가비지 컬렉션 운용을 생략하고 바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정의되는 페이징 주기를 고려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위한 더티 블록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더티 블록의 개수만큼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주기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2 내지 9의 프레임(frame)을 가지도록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와의 페이징 주기가 2 프레임으로 설정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이 가장 짧으므로 가비지 컬렉션을 1 페이징당 1 블록으로 제한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주기가 9 프레임으로 설정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이 가장 길어지므로 가비지 컬렉션을 1 페이징당 10 블록으로 확장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구간을 확보하여 소모전류를 줄이고, 페이징 주기에 따른 가변적 가비지 컬렉션 운용에 의해 메모리 관리 및 모바일 디바이스 성능 유지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그의 운용 및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 및 웨이크 업 상태에 대해 페이징 주기에 따른 상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그리고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비지 컬렉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존재하는 것을 가정한다(3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이 일정시간 이상 중단될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에서 네트워크와의 페이징을 위한 페이징 주기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페이징 주기가 도래할 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 하여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303단계).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네트워크와의 교신에 의해 페이징 절차에 따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메모리(300)의 더티 블록을 확인할 수 있다(307단계).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메모리(300)의 확인된 더티 블록의 개수와 가비지 컬렉션 실행을 위해 미리 정의된 임계값(TH)을 비교할 수 있다(309단계).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더티 블록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이하이면(309단계의 NO) 3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400)는 더티 블록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크면(309단계의 YES) 페이징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311단계). 여기서, 상기 페이징 주기 확인은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네트워크와의 교신에 따른 수신 프레임을 확인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제어할 수 있다(313단계). 예를 들어, 페이징 주기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2 프레임 내지 9 프레임 주기 중 어느 하나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페이징 주기에 따라 페이징당 처리할 더티 블록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더티 블록에 대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가비지 컬렉션이 완료(315단계)될 시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317단계).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웨이크 업 상태에서 페이징 처리가 완료된 후에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메모리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메모리의 상태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되,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메모리 상태 점검에 따라 더티 블록의 개수를 확인하여 더티 블록이 메모리의 전체 블록들의 10퍼센트(%) 이상 존재할 경우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페이징 주기에 따른 가변적인 가비지 컬렉션에 의한 메모리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0: 통신모듈
300: 메모리
400: 제어부

Claims (9)

  1.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슬립 상태에서 페이징을 위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페이징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처리가 완료될 시 가비지 컬렉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수행 결정 시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컬렉션 완료 시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여 페이징당 처리할 더티 블록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더티 블록의 개수에 대응하여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메모리 내의 가비지 영역인 더티 블록을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더티 블록의 개수와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더티 블록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가비지 컬렉션 수행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더티 블록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이하이면 가비지 컬렉션을 생략하고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페이징 주기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6.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통해 페이징에 따른 데이터를 교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비지 컬렉션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유효 블록, 더티 블록, 프리 블록으로 구분되는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슬립 상태 및 웨이크 업 상태 간 전환을 제어하며,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간 페이징 주기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더티 블록에 대한 가비지 컬렉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상기 페이징 주기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할 더티 블록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더티 블록의 개수만큼 가비지 컬렉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 시 메모리를 확인하고, 메모리 상태에 따라 가비지 컬렉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비지 컬렉션 결정 시 페이징 주기에 대응하게 결정된 더티 블록에 대한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고, 가비지 컬렉션 생략 시 상기 웨이크 업 상태에서 상기 슬립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00110943A 2010-11-09 2010-11-09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49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43A KR20120049604A (ko) 2010-11-09 2010-11-09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13/292,338 US20120117406A1 (en) 2010-11-09 2011-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management i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43A KR20120049604A (ko) 2010-11-09 2010-11-09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04A true KR20120049604A (ko) 2012-05-17

Family

ID=4602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43A KR20120049604A (ko) 2010-11-09 2010-11-09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17406A1 (ko)
KR (1) KR20120049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8749B2 (en) 2013-03-15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driven garbage coll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8302A1 (en) * 2006-07-31 2008-01-31 Steffen Meschkat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ly updating a web page
US8996985B1 (en) 2011-03-16 2015-03-31 Google Inc. Online document processing service for displaying comments
US10430388B1 (en) 2011-10-17 2019-10-01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mental loading of collaboratively generated presentations
US8471871B1 (en) 2011-10-17 2013-06-25 Google Inc. Authoritative text size measuring
US8266245B1 (en) 2011-10-17 2012-09-11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mental loading of collaboratively generated presentations
US8812946B1 (en) 2011-10-17 2014-08-19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documents
US20150199308A1 (en) 2011-10-17 2015-07-1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online documents
US8751546B1 (en) * 2012-01-06 2014-06-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the effects of garbage collection
CN103365760B (zh) * 2012-04-01 2017-10-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信息的方法和移动终端
US9367522B2 (en) 2012-04-13 2016-06-14 Google Inc. Time-based presentation editing
US9529785B2 (en) 2012-11-27 2016-12-27 Google Inc. Detecting relationships between edits and acting on a subset of edits
US9971752B2 (en) 2013-08-19 2018-05-1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privileged edits within suggested edits
US9348803B2 (en) 2013-10-22 2016-05-2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just-in-time preview of suggestion resolutions
US9442944B2 (en) * 2013-11-12 2016-09-13 Dropbox, Inc. Content item purging
KR20150106778A (ko)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메모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5117897B (zh) * 2015-08-19 2019-08-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关机提醒方法及装置
US10665305B2 (en) * 2015-09-09 2020-05-26 Toshiba Memory Corporation Host device connectable to memory device performing patrol read and memory device performing patrol read
US9792068B2 (en) * 2015-09-10 2017-10-17 Toshiba Memory Corporation Memor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onvolatile memory
US10572388B2 (en) * 2017-08-30 2020-02-25 Micron Technology, Inc. Managed NVM adaptive cache management
US11537513B2 (en) * 2017-12-11 2022-12-27 SK Hyn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garbage collection using host idle
KR102500618B1 (ko) * 2017-12-12 2023-02-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1177075B (zh) * 2019-12-26 2022-04-22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数据的识别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285A (en) * 1993-02-19 1996-12-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ry for increasing reserve memory in a solid state memory disk
US7246195B2 (en) * 2004-12-30 2007-07-17 Intel Corporation Data storage management for flash memory devices
US7848305B2 (en) * 2005-02-03 2010-12-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tune-away cap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8749B2 (en) 2013-03-15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driven garbage collection
US9690700B2 (en) 2013-03-15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driven garbage col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7406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604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509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mory frequency using feed-forward compression statistics
KR100690804B1 (ko)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정리 방법
CN105100876A (zh) 一种流媒体的播放方法及装置
US201400717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terminal
KR20120076859A (ko) 휴대단말에서 킵 얼라이브 패킷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3288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JP2009271591A (ja) 情報処理装置
US96325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volatile memory standby power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1872634B (zh) 电子器件,内容再现方法
US201502487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saving static image display refresh in a dram memory system
CN101521782B (zh) 一种快进退浏览视频的方法、***及多媒体设备
CN105706168A (zh) 用于经由数据掩蔽来降低存储器i/o功率的***和方法
CN100520946C (zh) 存储不同数据格式的存储器件
JP6309621B2 (ja) メモリ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消費を節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502539A (ja) マルチユーザの省電力コードブックの最適化を実現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4059578A1 (zh) 嵌入式多媒体卡分区存储空间调整方法和终端
JP2015029231A (ja) 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29228A (ja) 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80058973A1 (en) Music playback system and music playback machine
KR100592106B1 (ko) 개별 메모리 접근 허용 방법 및 장치
KR100721352B1 (ko)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재생중인 멀티미디어의 끊김 방지를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JP2006019996A (ja) 画像記憶再生装置
CN103501443A (zh) 一种流媒体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TWI772438B (zh) 用於計算設備中的動態緩衝器大小設定的系統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