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582A -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582A
KR20120049582A KR1020100110907A KR20100110907A KR20120049582A KR 20120049582 A KR20120049582 A KR 20120049582A KR 1020100110907 A KR1020100110907 A KR 1020100110907A KR 20100110907 A KR20100110907 A KR 20100110907A KR 20120049582 A KR20120049582 A KR 2012004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er
support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chanis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529B1 (ko
Inventor
김탐나
Original Assignee
김탐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탐나 filed Critical 김탐나
Priority to KR102010011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5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로 마련되어 토양을 수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를 지지하는 재배기 지지대와;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방향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켜 다수확이 가능하며, 재배기의 재배 환경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Plant cultivating device with concentrated type}
본 발명은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 이동, 상하 이동 가능하며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식물 재배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비자는 웰빙화, 건강 관리 등을 이유로 식물 중에서도 특히, 채소류, 야채류, 수채류 등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채소류 등은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지만 많은 경험과 재배 기술을 필요로 한다. 채소류는 밭 등의 노지에서도 재배되지만 유리나 비닐 등으로 개폐 가능한 공간 내부의 온도 유지가 가능한 온실에서도 재배가 된다.
채소류 등의 식물 재배시에는 수분, 온도, 태양, 바람 등의 환경을 식물이 자람에 따른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하고 성장속도에 대응하여 적당한 영양분을 공급하여야 생산된 식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선도 등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물 재배에 있어서도 좁은 공간에서 많은 생산량을 생산할수 있고,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 재배시에 재배 환경을 고르게 유지하는 것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예로 등록번호 제10-851847호의 회전식 재배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재배장치는 원형으로 마련되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진다. 재배기와의 사이 공간 특히, 재배기 상하의 공간 중에 거치봉 등으로 인하여 활용하지 못하는 공간이 발생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중심에서 우측의 재배기에만 재배장치에 배치된 경우, 재배기의 무게로 인해 재배장치가 우측으로 회전하려고하여 재배장치 전체가 전도될 우려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간편한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기 사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기가 일측으로 쏠린 경우에도 재배기의 전도를 예방할 수 있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기의 재배환경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크기로 마련되어 토양을 수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를 지지하는 재배기 지지대와;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방향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상기 상하방향과 상기 좌우방향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지그재그 모양으로 이동되어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이동되는 방향이 상하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순차적으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지지되며, 상기 재배기는 상기 재배기 지지대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배기 지지대가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동력 전달기구 및 상기 구동부 중 하나의 회전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역전 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동력 전달기구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상기 재배기 지지대가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 회전부와; 상기 구동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지지하여 상기 구동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 전환부와; 상기 회전 전환부에 결합되어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어태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간편한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배기 사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배기가 일측으로 쏠린 경우에도 재배기의 전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재배기의 재배환경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동력 전달기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재배기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재배기 지지대의 피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재배기 지지대의 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표시한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공간활용도를 비교하기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동력 전달기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재배기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재배기 지지대의 피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재배기 지지대의 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표시한 개략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공간활용도를 비교하기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기(110)와, 재배기 지지대(120)와, 동력 전달기구(130)와, 하우징(170)과, 구동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는 역전 방지장치(190)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C1 내지 C4의 제일 전방의 하우징(170)을 포함하는 평면을 X-Y 평면으로 하고,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X-Y 평면에 대하여 후방인 R1 에서 R2, R3로 향하는 방향을 Z 방향이라 한다.
재배기(110)는, 일정한 크기로 마련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영양분 등을 함유한 흙과 다양한 성분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토양을 수용한다. 재배기(110)는 물 등이 용이하게 빠지고, 통풍이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재배기(110)의 일 예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43127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재배기(110)는 가볍고 녹이 발생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재배기(110)를 지지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재배기(110)를 지지하여 동력 전달기구(130)에 의해 지지되어 동력 전달기구(130)에 의해 이동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재배기(110)를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Z 방향으로 배열되어 동력 전달기구(130)에 의해 지지되며, Z 방향으로 복수의 예를 들면, 4개 내지 5개의 재배기(110)가 배치되어 지지된다. 일 예로 재배기(110) 하나의 크기가 가로 약 30~40cm, 세로 약 70~80cm, 높이 약 2-3cm라고 하고 재배기(110)가 전후방향인 Z 방향으로 4개가 배열되어 있다면, 재배기(110)를 지지하는 재배기 지지대(120) 부분의 길이는 재배기(110) 사이의 여유를 감안하여 약 300~350cm 정도이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재배기(11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가벼운 재질인 파이프 종류가 바람직하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태치부(139)에 결합되어 회전되어 재배기(110)가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결합홈(123)과 어태치먼트 결합홈(123)에서 연장되어 재배기(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5)를 연결하는 스커트부재(127)를 구비한다.
이에, 재배기 지지대(120)에 지지된 재배기(110)는 동력 전달기구(130)에 의해 하우징(170)을 따라 이동하면서 항상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기 지지대(120)에 지지된 재배기(110) 사이의 간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으로 배치된 재배기(110)와 재배기 지지대(120) 사이에 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아 공간이 충분하게 마련되어 공간 활용도가 매우 증대된다. 즉, 재배기 지지대(120) 사이의 간격인 피치(도 2의 "P" 참조)에서 재배기 지지대(120)의 두께와 재배기(110)의 높이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종래 등록번호 10-0851847호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의 재배틀(26) 사이의 간격의 활용도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은 재배틀(26) 사이에 지지봉(15)이 존재하여 재배틀(26) 사이의 간격에서 재배틀(26) 자체의 높이 이외에서 재배기(110)에서 지지봉(15) 사이의 간격을 제외한 공간만을 활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동일한 조건이라고 가정한다면, 높이 측면의 공간 활용도를 약 30~40%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재배기(110) 내지 재배틀(26)의 공간 활용도를 동일한 크기의 비닐하우스(3)에서 그림으로 비교해 보면, 도 8a 및 8b와 같다. 즉, 도 8a에서의 재배기(110)가 도 8b의 재배장치(10)의 재배틀(26)에 비해 매우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배장치(100)를 크게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재배장치(10)와 달리 상하방향으로 높이방향으로만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인 도 8b의 재배장치(10)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서는 상하방향인 높이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인 폭방향으로 크기를 키워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활용도가 매우 증대되고 그 크기를 키는는데 있어서도 유연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동력 전달기구(130)는, 하우징(170)에 지지되어 재배기 지지대(120)를 하우징(170)에 대하여 이동시킨다. 즉, 동력 전달기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기 지지대(1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여 하우징(170)에 대하여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구동부(180)의 구동에 의해 제일 좌측 첫번째 칼럼(C1)에서 상측(+Y 방향)으로 하우징(170)을 따라 이동하고, 첫번째 칼럼(C1) 상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우측(+X 방향)으로 두번째 칼럼(C2) 상부까지 수평으로 이동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두번째 칼럼(C2) 상부에서 방향이 변경되어 하측(-Y 방향)으로 이동하고, 두번째 칼럼(C2) 하부에서 방향이 변경되어 우측(+X 방향)으로 세번째 칼럼(C3)의 하부로 수평 이동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세번째 칼럼(C3) 하부에서 방향이 변경되어 상측(+Y 방향)으로 세번째 칼럼(C3) 상부까지 이동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세번째 칼럼(C3) 상부에서 우측(+X 방향)으로 네번째 칼럼(C4) 상부까지 수평이동한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네번째 칼럼(C4) 상부에서 네번째 칼럼(C4) 하부까지 이동하여 방향을 전환한다. 방향이 전환된 재배기 지지대(120)는 네번째 칼럼(C4) 하부에서 첫번째 칼럼(C1) 하부로 좌측(-X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배기 지지대(120)는 구동부(180)의 구동에 의하여 계속 순환한다. 이에, 재배기 지지대(120)의 순환 이동에 의해 재배기 지지대(120)에 지지된 재배기(110) 각각에서는 온도, 습도, 태양광, 통풍 등의 재배환경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재배자가 원하는 품질을 유지하기 편리하고 수확도 증대시킬 수 있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기(1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5)와, 어태치부(139)에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홈(123)과, 어태치먼트 결합홈(123)과 지지부재(125)를 연결하는 스커트부재(127)를 구비한다. 어태치먼트 결합홈(123)에는 어태치부(139)에 결합된 재배기 지지대(1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배기 지지대(120)에 지지된 재배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우측-하측-우측-상측-우측-하측-좌측 등으로 순차적으로 이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재배기 지지대(120)는 상측-우측-하측-우측-상측-우측-좌측 등으로 순차적으로 이동 방향이 변경된다. 재배기 지지대(120)은 상하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하방향으로, 높이 방향으로 크게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첫번째 칼럼(C1)의 높이와 다른 칼럼(C2,C3,C4, ..., Cn)의 높이를 달리할 수도 있어 비닐 하우스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적응성도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를 예로 도시하면 도 8a와 같다.
재배기 지지대(120)는 지그재그 형식으로 방향이 변경되어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온실이나 면적에서 종래 기술의 원통형 회전장치의 재배기(110) 배치를 본 발명에 따른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에서의 재배기(110) 배치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의 공간 활용도가 약 세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도 8a에 도시된 형상을 비교해 보면 종래기술에서는 원통형상을 마련되어 활용되지 못하는 공간이 많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활용되지 못하는 공간을 가장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 공간활용도를 극대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우징(170)인 칼럼이 네 개(C1 내지 C4)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칼럼이 여섯 개, 여덟 개 등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배기 지지대(120)는 후방인 Z 방향으로 다수의 재배기 지지대(12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후방인 Z방향으로 재배기 지지대(120)를 3단으로 배치한 예이다. 이러한 재배기 지지대(120) 배치는 4단, 5단 등으로도 할 수도 있다.
한편, 재배기 지지대(120)의 상하 방향 내지 좌우 방향의 간격 또는 피치는 재배기(110)에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 재배기(110)의 크기 등을 고려한다. 재배기 지지대(120)의 간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의 간격뿐만 아니라 재배기 지지대(120)의 방향이 변하는 부분에서 재배기(110)가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간격(도 5의 "K"참조)을 유지할 수 있는 거리이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하우징(170) 사이의 피치를 최대한 짧게 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70)을 이루는 부재 사이의 피치(각 칼럼인 C1 내지 C4 사이의 거리)를 재배기 지지대(120)의 피치의 1.5배 내지 2배 사이로 유지하면, 종래의 재배장치에 비해 훨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인 Z 방향으로는 재배기 지지대(120)의 배열 숫자를 늘이거나, 재배기 지지대(120)에 지지되는 재배기(110)의 숫자를 늘이는 방법으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같은 평수를 기준의 비닐 하우스를 기준으로 하면, 하우스의 높이를 다소 높이면, 종래의 재배장치와 비교하면 면적 대비 용적률을 3~10배 정도 넓혀 재배면적을 넓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재배기(11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재배기(110)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은 하우징(170)의 상측에 미도시된 노즐에서 영양분을 분사하여 공급할 수도 있고, 제일 하측의 재배기(110)가 이동하는 과정에 영양분을 함유한 수액에 잠기게 하여 각 재배기(110)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동력 전달기구(13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80)에 열결된 구동축(133)과, 구동축(133)에 연결되어 구동축(133)의 회전을 재배기 지지대(120)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 회전부(135)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기구(130)는 구동 회전부(135)에 결합되고 재배기 지지대(120)를 지지하여 구동 회전부(135)의 회전을 재배기 지지대(120)의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 전환부(137)와, 회전 전환부(137)에 결합되어 재배기 지지대(120)를 지지하는 어태치부(139)를 더 구비한다.
구동축(133)은 하우징(17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170) 또는 별도의 미도시된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축(133)은 구동부(180)와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구동축(133)은 구동부(18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회전부(135)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축(133)에는 구동부(180)와 연결되는 구동 제1스프라켓(133a)과, 구동축(133)을 따라 배치된 종동 제1스프라켓(133b)이 구비된다. 구동축(133)은 구동축 베이링(133c)에 지지될 수 있다.
구동 회전부(135)는 하우징(170)에 지지되어 구동축(133)의 회전을 회전 전환부(137)에 전달시킨다. 구동 회전부(135)는 구동축(133)과 직접 연결되는 구동 제2스프라켓(135b)과, 회전 전환부(137)를 통해 구동 제2스프라켓(135b)의 회전을 따라 구동되는 종동 제2스프라켓(135c)을 구비한다. 즉, 구동 회전부(135)는 구동 회전축(135a)과 구동 회전축(135a)을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구동 회전 베어링(135d)과 구동 회전축(135a)에 결합된 구동 제2스프라켓(135b) 및 종동 제2스프라켓(135c)을 포함한다. 구동 회전 베어링(135d)는 하우징(170)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전환부(137)는 구동 회전부(135)의 회전에 의해 지지된 재배기 지지대(120)를 회전 이동시킨다. 회전 전환부(137)는 체인을 포함한다. 회전 전환부(137)는 재배기 지지대(120)를 지지하는 어태치부(139)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동력 전달기구(130)의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부(180)가 구동이 되고 구동부(180)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동 제1스프라켓(133a)에 의해 구동축(133)이 회전한다. 구동축(133)의 회전에 의해 종동 제1스프라켓(133b)이 회전하면 종동 제1스프라켓(133b)과 체인 등에 의해 연결된 구동 제2스프라켓(135b)이 회전한다. 구동 제2스프라켓(135b)의 회전에 의해 구동 제3스프라켓(135e)이 회전하고, 구동 제3스프라켓(135e)에 결합된 체인을 포함하는 회전 전환부(137)가 이동을 한다. 회전 전환부(137)의 이동에 의해 종동 제3스프라켓(135f)이 회전하면서 재배기 지지대(120)의 방향을 전환시켜 재배기(110)를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회전축(135a)을 지지하는 구동 회전 베어링(135d)은 하우징(17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종동 제3스프라켓(135f)은 종동 회전 베어링(135h)과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종동 회전축(135g)은 하우징(170)에 지지되고, 종동 회전축(135g)에 종동 회전 베어링(135h)이 지지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동 회전축(135g)은 하우징(170)에 지지된 종동 회전 베어링(135h)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종 스프라켓(133, 135) 사이의 연결은 체인이 바람직하나, 스프라켓이 풀리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풀리 사이의 연결은 벨트가 바람직하다.
이에, 간단한 구동부(180)에 의해 다량의 재배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하우징(170)은 동력 전달기구(130), 재배기 지지대(120)를 지지하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하우징(170)을 일 예로 형강류의 일종인 ㄷ형강(chann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1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칼럼(C1 내지 C4)과 다수의 열(R1 내지 R4)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70)은 다수의 칼럼과 열 사이가 충분한 강도로 지지되어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70)은 Z 방향으로 약 40~70m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구동부(180)는, 동력 전달기구(130)에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180)는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되는 모터 또는 감속기와 일체화된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부(180)는 모터 또는 감속기와 일체화된 모터(M)와 연결되는 감속기(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부(180)는 재배기 지지대(120)가 예를 들면, 20분에 재배기 지지대(120)가 1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감속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부(18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터버를 더 구비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80)는 재배기 지지대(120)의 역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웜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역전 방지장치(190)는, 재배기 지지대(120)가 한쪽으로 치우쳐 한쪽으로만 동력 전달기구(130)가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네번째 칼럼(C4)의 재배기 지지대(120)에만 재배기(110)가 적재된 경우 재배기 지지대(120)의 무게에 의해 동력 전달기구(130)는 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 경우에 역전 방지장치(190)가 작동하여 재배기 지지대(120)의 우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상쇄시킨다.
역전 방지장치(190)는 동력 전달기구(130) 중의 구동 회전 베어링(135d) 또는 종동 회전 베어링(135h)을 역회전 방지를 할 수 있는 베어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역전 방지장치(190)는 구동부(180)에 웜 감속기(19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웜 감속기(191) 중에서 막대 형상의 웜은 모터와 같은 구동부(180)에 결합시키고 웜 휠은 재배기 지지대(120)측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보다 훨씬 더 역전 방지를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기 지지대(1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각 구동 회전부('135-1' 내지 '135-8' 참조)에 작용하는 힘이 상호 각각 다른 방향('F1' 내지 'F8' 참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100)는 종래기술에 비해 재배기 지지대(120)의 역전 내지 전도를 훨씬 더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웜 휠에서 작용하는 힘은 웜을 구동시키지 못하여 재배기 지지대(120)의 전도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예방할 수 있다. 역전 방지장치(190)는 전술한 역전 방지 베어링 및 웜 감속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역전 방지용 베어링은 베어링은 전체 베어링(135d, 135h)에 적용하여도 되고, 베어링(135d, 135h) 중 일부는 일반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역전 방지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역전 방지용 베어링이 적용되는 일 예는 낚시대 릴에 적용되는 베어링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110 : 재배기
120 : 재배기 지지대 123 : 어태치먼트 결합홈
125 : 지지부재 127 : 스커트부재
130 : 동력 전달기구 133 : 구동축
133a : 구동 제1스프라켓 133b : 종동 제1스프라켓
133c : 구동축 베어링 135 : 구동 회전부
135a : 구동 회전축 135b : 구동 제2스프라켓
135c : 종동 제2스프라켓 135d : 구동 회전 베어링
135e : 구동 제3스프라켓 135f : 종동 제3스프라켓
135g : 종동 회전축 135h : 종동 회전 베어링
137 : 회전 전환부 139 : 어태치부
170 : 하우징 180 : 구동부
190 : 역전 방지장치 191 : 웜 감속기

Claims (8)

  1. 일정한 크기로 마련되어 토양을 수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기와;
    상기 재배기를 지지하는 재배기 지지대와;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동력 전달 기구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방향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상기 상하방향과 상기 좌우방향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지그재그 모양으로 이동되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이동되는 방향이 상하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순차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지지대는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지지되며,
    상기 재배기는 상기 재배기 지지대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 지지대가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동력 전달기구 및 상기 구동부 중 하나의 회전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역전 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방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동력 전달기구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상기 재배기 지지대가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구동 회전부와;
    상기 구동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지지하여 상기 구동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재배기 지지대의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 전환부와;
    상기 회전 전환부에 결합되어 상기 재배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어태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KR1020100110907A 2010-11-09 2010-11-09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KR10131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07A KR101314529B1 (ko) 2010-11-09 2010-11-09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07A KR101314529B1 (ko) 2010-11-09 2010-11-09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82A true KR20120049582A (ko) 2012-05-17
KR101314529B1 KR101314529B1 (ko) 2013-10-04

Family

ID=4626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07A KR101314529B1 (ko) 2010-11-09 2010-11-09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476A1 (ko) * 2012-10-25 2014-05-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식물의 대량재배장치
KR101393421B1 (ko) * 2013-06-28 2014-05-12 안영선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2580059B1 (ko) * 2022-05-10 2023-09-19 주식회사 제이더블유 식물 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303801A0 (en) 2001-02-09 2001-03-08 A & B Hydroponics International Pty Ltd A hydroponic apparatus
JP2003164229A (ja) 2001-11-30 2003-06-10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育苗装置
KR100921605B1 (ko) * 2009-01-20 2009-10-14 신남균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0939898B1 (ko) * 2009-01-20 2010-01-29 신남균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476A1 (ko) * 2012-10-25 2014-05-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식물의 대량재배장치
US9832938B2 (en) 2012-10-25 2017-12-05 Green Plus Co., Ltd. Apparatus for mass cultivation of plants
KR101393421B1 (ko) * 2013-06-28 2014-05-12 안영선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2580059B1 (ko) * 2022-05-10 2023-09-19 주식회사 제이더블유 식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529B1 (ko) 201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07654A (ja) 回転可能なラックシステム
KR100851847B1 (ko) 회전식 재배장치
CN102640679A (zh) 植物培育***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KR20190001821A (ko) 다단 회전식 농작물 재배장치
KR101314529B1 (ko)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CN1918966A (zh) 一种立体种植升降装置
CN216163765U (zh) 一种育种效率高的植物育种装置
EP1714544B8 (en) Method of producing young moss seedlings, method of producing moss mat.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CN210492042U (zh) 可变间距栽培槽装置
CN214709257U (zh) 一种高效率的转动式食用菌种植装置
CN217038224U (zh) 一种菌菇自动输送立体种植机
KR102539624B1 (ko) 높낮이조절형 재배장치
JP2022180343A (ja) 栽培槽の首振り機構
CN111990136B (zh) 可升降的梨苗智能培养架
CN209420439U (zh) 一种节能型蔬菜种植架
KR101314769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CN106305559A (zh) 一种多层次小龙虾生态养殖***的建立方法
JPH11318214A (ja) 回転式集中管理栽培システム
CN104472251A (zh) 大棚内自动迎光种植架
JP2000262153A (ja) 栽培用容器
CN220326467U (zh) 多功能旋转升降无土栽培种植装置
CN215122542U (zh) 一种草莓槽式基质育苗用育苗架
CN217088826U (zh) 一种新型农业种植培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