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582A -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 Google Patents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582A
KR20120048582A KR1020127002383A KR20127002383A KR20120048582A KR 20120048582 A KR20120048582 A KR 20120048582A KR 1020127002383 A KR1020127002383 A KR 1020127002383A KR 20127002383 A KR20127002383 A KR 20127002383A KR 20120048582 A KR20120048582 A KR 20120048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battery
electrode termin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316B1 (ko
Inventor
히꼬히또 야마자끼
가오루 유우가하라
줌뻬이 이이지마
다까시 하라야마
마사또 고마쯔끼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취하여,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또한 이와 같은 전지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탑재한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지(1)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40)와, 구리로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부재(50)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극 단자 부재의 일부(4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부극 단자 부재의 일부(5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부극측 수지 부재(30)를 구비하고, 정극 수지 밀착면(43XF) 및 부극 수지 밀착면(53XF)에는, 모두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고, 부극 시일 경로의 최단의 경로(R2)인 부극 시일 길이(L2)가, 정극 시일 경로의 최단의 경로(R1)인 정극 시일 길이(L1)보다도 긴 형태로 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BATTERY, VEHICLE AND BATTERY-MOUNTED DEVICE}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그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와, 구리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그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부극측 수지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 이 전지를 탑재한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 캠코더 등의 포터블 전자 기기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차량의 보급에 의해, 이들의 구동용 전원에 사용되는 전지의 수요는 증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지 중에는, 전지 내부의 발전 요소와 도통하면서 전지 케이스의 외측에까지 연장된 2개의 전극 단자 부재(정극 단자 부재 및 부극 단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덮개와, 이 덮개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으로 각각 삽입 관통되는 2개의 전극 단자(정극 단자 부재 및 부극 단자 부재)와, 이들 덮개와 각 전극 단자 사이에 인서트 성형되어, 덮개와 전극 단자를 절연하는 동시에, 이들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2개의 절연 밀폐 부재(정극측 수지 부재 및 부극측 수지 부재)를 갖는 리튬 전지의 상부 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상부 덮개의 2개의 전극 단자 및 2개의 절연 밀폐 부재는 모두, 정극측 및 부극측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7-179793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서의 밀착성(시일성)이,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에서의 시일성보다도 저하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정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측 수지 부재 및 정극 단자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를 각각 동일한 형태로 한 경우에는,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성이 아직 충분히 유지되고 있어도,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성이 먼저 저하되어버려, 결국 전지로서, 전해액의 액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해버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정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측 수지 부재 및 정극 단자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가 각각 동일한 형상인 특허문헌 1의 전지는, 정극측과 부극측의 시일 성능(시일 내구성)의 균형이 나쁘다. 이로 인해, 이 전지에서는, 정극측의 시일성은 아직 충분한 특성을 갖고 있는데도, 먼저 발생하는 부극측에 있어서의 시일성의 저하에 수반하여, 전해액의 액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성의 저하의 시기와,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성의 저하의 시기가 동시기로 되도록, 양자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취하여,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전지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탑재한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정전극판 및 부전극판을 포함하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극판과 도통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와,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전극판과 도통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부재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극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상기 정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극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상기 부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부극측 수지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이며, 상기 정극 단자 부재 중 상기 정극측 수지 부재가 밀착하고 있는 정극 수지 밀착면 및 상기 부극 단자 부재 중 상기 부극측 수지 부재가 밀착하고 있는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모두 상기 정극측 수지 부재 및 상기 부극측 수지 부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부극 수지 밀착면 상을,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 이르는 부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 길이인 부극 시일 길이가,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상을,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 이르는 정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 길이인 정극 시일 길이보다도 긴 형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전지이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내구성은,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내구성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표면 처리를 실시한 금속의 재질의 차이에 따라, 시일 내구성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정극 단자 부재를 이루는 알루미늄 쪽이, 부극 단자 부재를 이루는 구리에 비해, 표면 처리에 의해, 보다 큰 결착력(밀착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전지에서는,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의 부극 시일 길이(상술)를, 정극 시일 길이(상술)보다도 상대적으로 길게 하고 있으므로, 현실의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정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동일한 정도로 하여 양자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부극측의 시일성의 저하에 수반되는, 전해액의 액 누설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정극측 수지 부재 및 부극측 수지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일체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1개의 부재의 것이나, 2개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도금이나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및 상기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좋다.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의 표면에 유기 도금을 실시하면, 수지 등의 유기 부재와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 유기 도금에 의한 표면 처리를 실시한 정극 단자 부재 및 부극 단자 부재를 사용한 전지에서는, 부극 단자 부재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정극측에 비해 저하되기 쉽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전지에서는,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부극 시일 길이를 정극 시일 길이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극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도금이라 함은, 트리아진 티올류, 유기 인산 또는 유기 카르본산의 알칼리 또는 아민염 등의 용액을 사용하여, 도금하는 물체의 표면에, 트리아진 티올류, 유기 인산 또는 유기 카르본산의 알칼리 또는 아민염을 석출시키는 표면 처리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1840482호에 기재된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도금에는, 예를 들어 전기 화학적 표면 처리(전기 도금)의 방법이나 무전해 도금의 방법이 사용된다.
또는, 전술한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좋다.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배치하면, 수지 등의 유기 부재와의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를 실시한 정극 단자 부재 및 부극 단자 부재를 사용한 전지에서는, 부극 단자 부재에 있어서의 시일성이, 정극측에 비해 저하되기 쉽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전지에서는,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부극 시일 길이를 정극 시일 길이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극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와 부극 단자 부재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라 함은, 금속 등의 무기 재료의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배치하여, 유기 재료와의 접합(밀착)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를 탑재하고, 이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차량이다.
상술한 차량은,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사용한 차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으로서는,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차량이면 되고,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하이브리드 철도 차량, 포크리프트, 전기 휠체어,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전동 스쿠터를 들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를 탑재하고, 이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전지 탑재 기기이다.
상술한 전지 탑재 기기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를 사용한 전지 탑재 기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탑재 기기로서는, 전지를 탑재하고, 이것을 에너지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기기이면 되고,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전지 구동의 전동 공구, 무정전 전원 장치 등, 전지로 구동되는 각종 가전 제품, 오피스 기기, 산업 기기를 들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의 확대 단면도(도 2의 A-A 단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의 확대 단면도(도 2의 B-B 단면)이다.
도 5는 수지 부재 및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성능을 확인하는 실험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수지 부재 및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성능을 확인하는 실험의 설명도(도 5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수지 부재 및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성능과, 침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수지 부재 및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성능과, 침지 시간의 평방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탑재 기기의 설명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전지(1)의 사시도를, 도 2에 그 전지(1)의 부분 파단 단면도를, 도 3에 전지(1)의 부분 단면도(도 2의 A-A 단면)를, 도 4에 전지(1)의 부분 단면도(도 2의 B-B 단면)를, 각각 도시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는, 발전 요소(80)와, 전지 케이스(10)와, 이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40) 및 부극 단자 부재(50)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정극측 수지 부재(20) 및 부극측 수지 부재(30)를 구비하는 권회형의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전지(1)는 이들 외에,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의 혼합 유기 용매에 용질(LiPF6)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이 중, 발전 요소(80)는, 띠 형상의 정전극판(81) 및 부전극판(82)을 포함하고, 이들 정전극판(81) 및 부전극판(82)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세퍼레이터(83)를 개재하여 권회되어 이루어진다(도 1, 도 2 참조).
한편, 전지 케이스(10)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덮개(11) 및 전지 케이스 본체(12)를 갖는다(도 1, 도 2 참조). 이 전지 케이스(10)는, 상술한 발전 요소(80)를 수용하여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이 중 전지 케이스 본체(12)는 개구(12A)를 갖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상자형이고, 내측 전체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밀봉 덮개(1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전지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2A)를 폐색하고, 이 전지 케이스 본체(12)에 용접되어 있다. 이 밀봉 덮개(11)는, 정극 단자 부재(40)를 삽입 관통 가능한 정극측 관통 구멍(11M) 및 부극 단자 부재(50)를 삽입 관통 가능한 부극측 관통 구멍(11N)을 갖는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이 밀봉 덮개(11)는, 도 1, 도 2 중, 좌우 방향의 중앙에 안전 밸브부(11S)를 갖는다. 이 안전 밸브부(11S)는, 일단 밸브를 개방하면 안전 밸브의 기능을 상실하는 원웨이 타입의 안전 밸브이다.
계속해서, 정극 단자 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정극 단자 부재(4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발전 요소(80)의 정전극판(81)이 도통하고,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이 정극 단자 부재(40)는, 전지 케이스(10) 내에 배치되고, 이 정극 단자 부재(40)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정전극판(81)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접속부(41), 정극 단자 부재(40)의 타단부측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정극 단자 노출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정극 단자 접속부(41)와 정극 단자 노출부(42) 사이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0)와 절연되면서, 이 전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관통부(43)를 포함한다(도 2, 도 3 참조).
이 중 정극 단자 노출부(42)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고, 밀봉 덮개(11)와 평행한 평판 형상의 정극 제1 평판부(42A), 정극 제1 평판부(42A)보다도, 도 2 중 상방에 위치한 정극 제2 평판부(42B) 및 정극 제1 평판부(42A)와 정극 제2 평판부(42B)를 연결하는 정극측 연결부(42C)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또한, 정극 제1 평판부(42A)는, 정극 단자 관통부(43)에 연결된다. 또한, 정극 제2 평판부(42B)는, 그 중앙 부근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정극측 볼트(BT1)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정극 단자 관통부(4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극 단자 노출부(42)로부터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고 있는 크랭크부(43X)와, 이 크랭크부(43X)로부터 정극 단자 접속부(41)를 향하여(도 3 중 하방)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평판 연장부(43Y)를 갖는다. 이 중 크랭크부(43X)는, 그 주위가 정극측 수지 부재(20)에 밀착되어 덮여 있다. 이하, 이 정극측 수지 부재(20)가 밀착하고 있는 면을, 정극 수지 밀착면(43XF)이라 한다(도 2, 도 3 참조).
또한, 정극 단자 부재(40)의 표면 중, 이 정극 수지 밀착면(43XF)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크랭크부(43X)와 정극측 수지 부재(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부극 단자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부극 단자 부재(50)는, 구리로 이루어지고, 발전 요소(80)의 부전극판(82)이 도통하고,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이 부극 단자 부재(50)는, 전지 케이스(10) 내에 배치되고, 이 부극 단자 부재(50)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부전극판(82)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접속부(51), 부극 단자 부재(50)의 타단부측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부극 단자 노출부(52)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부극 단자 접속부(51)와 부극 단자 노출부(52) 사이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0)와 절연되면서, 이 전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관통부(53)를 포함한다(도 2, 도 4 참조).
이 중 부극 단자 노출부(52)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고, 밀봉 덮개(11)와 평행한 평판 형상의 부극 제1 평판부(52A), 부극 제1 평판부(52A)보다도, 도 2 중 상방에 위치한 부극 제2 평판부(52B) 및 부극 제1 평판부(52A)와 부극 제2 평판부(52B)를 연결하는 부극측 연결부(52C)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또한, 부극 제1 평판부(52A)는, 부극 단자 관통부(53)에 연결된다. 또한, 부극 제2 평판부(52B)는, 그 중앙 부근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극측 볼트(BT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부극 단자 관통부(5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 단자 노출부(52)로부터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고 있는 크랭크부(53X)와, 이 크랭크부(53X)로부터 부극 단자 접속부(51)를 향하여(도 4 중 하방)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평판 연장부(53Y)를 갖는다. 이 중 크랭크부(53X)는, 그 주위가 부극측 수지 부재(30)에 밀착되어 덮여 있다. 이하, 이 부극측 수지 부재(30)가 밀착하고 있는 면을, 부극 수지 밀착면(53XF)이라 한다(도 2, 도 4 참조).
또한, 부극 단자 부재(50)의 표면 중, 이 부극 수지 밀착면(53XF)을 포함하는 영역에도, 크랭크부(53X)와 부극측 수지 부재(3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다음에, 정극측 수지 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절연성 수지인 폴리페닐 설파이드 수지(이하, PPS라고도 함)로 이루어진다. 이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부재(40)와 전지 케이스(1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정극 단자 부재(40)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도 2, 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노출부(42)의 정극 제1 평판부(42A), 정극측 연결부(42C) 및 정극 단자 관통부(43)의 크랭크부(43X)와, 밀봉 덮개(1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관통부(43)의 크랭크부(4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고 있다. 즉,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크랭크부(43X)의 정극 수지 밀착면(43XF)을 시일하고 있다.
여기서, 정극 수지 밀착면(43XF) 상을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 이르는 정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는, 도 2,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정극 시일 경로(R1)이다. 또한, 이 정극 시일 경로(R1)의 정극 시일 길이(L1)는 4.4㎜이다(도 3 참조).
이 정극 시일 경로(R1)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한 크랭크부(43X)의 정극 수지 밀착면(43XF)을 따르므로, 정극 수지 부재(20)의, 도 3 중 상하 방향의 두께를 정극 시일 길이(L1)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의 정극 단자 부재(40)에서는, 정극 수지 부재(20)의, 도 3 중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정극 시일 길이(L1)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부극측 수지 부재(30)에 대해 설명한다. 이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절연성 수지(PPS)로 이루어지는 정극측과 마찬가지로, 부극 단자 부재(50)와 전지 케이스(10) 사이에 개재하여,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부극 단자 부재(50)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도 2, 도 4 참조).
구체적으로는,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부극 단자 노출부(52)의 부극 제1 평판부(52A), 부극측 연결부(52C) 및 부극 단자 관통부(53)의 크랭크부(53X)와, 밀봉 덮개(1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부극 단자 관통부(53)의 크랭크부(5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고 있다. 즉,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크랭크부(53X)의 부극 수지 밀착면(53XF)을 시일하고 있다.
여기서, 부극 수지 밀착면(53XF) 상을,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 이르는 부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는, 도 2,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부극 시일 경로(R2)이다. 또한, 이 부극 시일 경로(R2)의 부극 시일 길이(L2)는 13.2㎜이다(도 4 참조).
이 부극 시일 경로(R2)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한 크랭크부(53X)의 부극 수지 밀착면(53XF)을 따르므로, 부극 수지 부재(30)의, 도 4 중 상하 방향의 두께를 부극 시일 길이(L2)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의 부극 단자 부재(50)에서는, 부극 수지 부재(30)의, 도 4 중 상하 방향의 두께보다도 큰 부극 시일 길이(L2)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정극 단자 부재(40) 사이 및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에서의 시일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정극 단자 부재(40)와 마찬가지로, 구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유기 도금을 실시한 금속판(T40) 및 이 금속판(T40)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동일한 PPS의 수지 부재(T20)로 이루어지는 제1 시료(TP1)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제1 시료(TP1)의, 수지 부재(T20)를 관통하는 금속판(T40)의 한쪽을, 전지(1)와 동일한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에 침지하고, 침지 시간의 경과에 의한 금속판(T40)과 수지 부재(T20) 사이의 시일의 박리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액으로부터 끌어올린 제1 시료(TP1)에 대해, 금속판(T40)으로부터 수지 부재(T20)를 벗겨내고, 이 금속판(T40) 중, 침지 전에 수지 부재(T20)가 밀착되어 있었던 부위에 대해 원소 분석(EPMA)을 행하고, 거기에 전해액의 성분(인 원소나 불소 원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침지 전에 수지 부재(T20)가 밀착되어 있었던 부위의 일부에 전해액의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침지되어 있는 동안에 거기에서 수지 부재(T20)가 박리되어, 거기에 전해액이 침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해액의 성분이 존재한 부위(영역)에 대해, 도 6에 빗금을 그어 나타낸다. 또한, 시일의 박리 길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T40)이 신장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박리되어 있는 거리 중, 최장의 거리를 사용하였다.
한편, 부극 단자 부재(5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을 유기 도금하여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금속판(T50) 및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동일한 PPS로 이루어지는 수지 부재(T30)로 이루어지는 제2 시료(TP2)를 준비하고, 제1 시료(TP1)와 마찬가지로 하여, 침지 시간의 경과에 의한 금속판(T50)과 수지 부재(T30) 사이의 시일의 박리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에 대해 도 7에 나타낸다.
제1 시료(TP1) 및 제2 시료(TP2)의 박리 길이는, 모두 침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2 시료(TP2)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1 시료(TP1)의 그래프보다도 항상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2 시료(TP2)가 모의하는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의 시일은, 제1 시료(TP1)가 모의하는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정극 단자 부재(40) 사이의 시일보다도 빨리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의 시일 내구성이,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정극 단자 부재(40) 사이의 시일 내구성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의 부극 단자 부재(50)에 있어서의 부극 시일 길이(L2)를, 정극 단자 부재(40)에 있어서의 정극 시일 길이(L1)(4.4㎜)보다도 긴(L2>L1) 형태(12.3㎜)로 하고 있다. 또한, 정극 시일 길이(L1) 및 부극 시일 길이(L2)는, 정극측 및 부극측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한 수치이다.
이로 인해, 전지(1)에 있어서의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 수지 부재(20)와 정극 단자 부재(40)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동일한 정도로 하여 양자의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의 시일성의 저하에 수반되는, 전해액의 액 누설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1)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지(1)에서는 정극 수지 밀착면(43XF) 및 부극 수지 밀착면(53XF)에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부극 시일 길이(L2)를 정극 시일 길이(L1)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극(정극측 및 부극측)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30)와 부극 단자 부재(50)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밀봉 덮개(11)에 정극 단자 부재(40) 및 부극 단자 부재(50)를 고정시키는 공정을 설명한다. 또한, 정극 단자 부재(40) 중 정극 수지 밀착면(43XF)으로 되는 영역 및 부극 단자 부재(50) 중 부극 수지 밀착면(53XF)으로 되는 영역에는, 모두 미리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이 유기 도금에는, 도시하지 않은 트리아진 트리티온의 모노 나트륨염과 2-메틸아미노메틸페놀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유기 용액(유기 용액의 농도는 5중량%)을 사용하였다. 55℃로 조정한 이 유기 용액 중에, 정극 단자 부재(40)[혹은 부극 단자 부재(50)]를 1분간 침지하고, 이 정극 단자 부재(40)[혹은 부극 단자 부재(50)]의 표면에 유기 도금을 실시하였다.
우선, 정극 단자 부재(40)의 정극 제2 평판부(42B)에 정극측 볼트(BT1)를, 부극 단자 부재(50)의 부극 제2 평판부(52B)에 부극측 볼트(BT2)를, 각각 삽입 관통한다. 또한, 밀봉 덮개(11)의 정극측 관통 구멍(11M)에, 정극 단자 부재(40)의 정극 단자 관통부(43)를, 부극측 관통 구멍(11N)에, 부극 단자 부재(50)의 부극 단자 관통부(53)를, 각각 삽입 관통한다(도 8의 상측 도면 참조).
계속해서, 정극측 수지 부재(20) 및 부극측 수지 부재(30)를 각각 1회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정극측 수지 부재(20)에 의해, 정극 단자 부재(40), 정극측 볼트(BT1) 및 밀봉 덮개(11)가 일체로 되므로, 정극 단자 부재(40)는 밀봉 덮개(11)를 관통하면서 고정된다(도 8의 하측 도면 참조).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30)에 의해, 부극 단자 부재(50), 부극측 볼트(BT2) 및 밀봉 덮개(11)가 일체로 되므로, 부극 단자 부재(50)는 밀봉 덮개(11)를 관통하면서 고정된다.
또한,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노출부(42)의 정극 제1 평판부(42A), 정극측 연결부(42C) 및 정극 단자 관통부(43)의 크랭크부(43X)와 밀착한다. 또한,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관통부(43)의 크랭크부(4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 즉, 정극측 수지 부재(20)는 정극 단자 부재(40) 중 정극 수지 밀착면(43XF)으로 되는 영역에 밀착하고 있다.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부극 단자 노출부(52)의 부극 제1 평판부(52A), 부극측 연결부(52C) 및 부극 단자 관통부(53)의 크랭크부(53X)와 밀착한다.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부극 단자 관통부(53)의 크랭크부(5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 즉, 부극측 수지 부재(30)는 부극 단자 부재(50) 중 부극 수지 밀착면(53XF)으로 되는 영역에 밀착하고 있다.
정극 단자 부재(40) 및 부극 단자 부재(50)를 밀봉 덮개(11)에 고정시킨 후에는, 전술한 정극 단자 부재(40)의 정극 단자 접속부(41)를 발전 요소(80)의 정전극판(81)에, 또한 부극 단자 부재(50)의 부극 단자 접속부(51)를 부전극판(82)에 각각 용접한다. 그리고 발전 요소(80)를 전지 케이스 본체(12)에 수용한다. 또한, 밀봉 덮개(11)와 전지 케이스 본체(12)를 용접하여 전지 케이스(10)로 한다. 이 전지 케이스(10) 내에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주입하고, 본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1)가 완성된다(도 1 참조).
(제1 변형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01)에 대해, 도 1 내지 도 6, 도 8,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제1 변형 형태의 전지(101)에서는, 정극 단자 부재의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단자 부재의 부극 수지 밀착면에,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점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고, 그 이외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동일 내용의 것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01)는 발전 요소(80)와, 전지 케이스(10)와, 이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140) 및 부극 단자 부재(150)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정극측 수지 부재(120) 및 부극측 수지 부재(130)를 구비하는 권회형의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이 전지(10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이 중, 정극 단자 부재(140)는, 이 표면 중, 이 정극 수지 밀착면(143XF)을 포함하는 영역에 크랭크부(143X)와 정극측 수지 부재(1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실란 커플링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부극 단자 부재(150)는, 이 표면 중, 이 부극 수지 밀착면(153XF)을 포함하는 영역에 크랭크부(153X)와 부극측 수지 부재(13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실란 커플링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PPS로 이루어지는 정극측 수지 부재(120)는, 정극 단자 부재(140)와 전지 케이스(1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정극 단자 부재(140)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도 2, 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정극측 수지 부재(120)는, 정극 단자 노출부(142)의 정극 제1 평판부(142A), 정극측 연결부(142C) 및 정극 단자 관통부(143)의 크랭크부(143X)와, 밀봉 덮개(1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정극측 수지 부재(120)는 정극 단자 관통부(143)의 크랭크부(14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고 있다. 즉, 정극측 수지 부재(120)는 크랭크부(143X)의 정극 수지 밀착면(143XF)을 시일하고 있다.
여기서, 정극 수지 밀착면(143XF) 상을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 이르는 정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는 도 2,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정극 시일 경로(R3)이다. 또한, 이 정극 시일 경로(R3)의 정극 시일 길이(L3)는 6.3㎜이다(도 3 참조).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130)는 정극측과 마찬가지로, 부극 단자 부재(150)와 전지 케이스(10)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부극 단자 부재(150)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다(도 2, 도 4 참조).
구체적으로는, 부극측 수지 부재(130)는 부극 단자 노출부(152)의 부극 제1 평판부(152A), 부극측 연결부(152C) 및 부극 단자 관통부(153)의 크랭크부(153X)와, 밀봉 덮개(1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130)는 부극 단자 관통부(153)의 크랭크부(153X)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고 있다. 즉, 부극측 수지 부재(130)는 크랭크부(153X)의 부극 수지 밀착면(153XF)을 시일하고 있다.
여기서, 부극 수지 밀착면(153XF) 상을 전지 케이스(10) 내로부터 전지 케이스(10) 외부에 이르는 부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는 도 2,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부극 시일 경로(R4)이다. 또한, 이 부극 시일 경로(R4)의 부극 시일 길이(L4)는 7.0㎜이다(도 4 참조).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정극측 수지 부재(120)와 정극 단자 부재(140) 사이 및 부극측 수지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50) 사이에서의 시일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상이고, 정극 단자 부재(140)와 마찬가지로, 구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도포한 금속판(T140) 및 이 금속판(T140)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120)와 동일한 PPS의 수지 부재(T120)로 이루어지는 제3 시료(TP3)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이 제3 시료(TP3)의, 수지 부재(T120)를 관통하는 금속판(T140)의 한쪽을, 전지(101)와 동일한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에 침지하고, 침지 시간의 경과에 의한 금속판(T140)과 수지 부재(T120) 사이의 시일의 박리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한편, 부극 단자 부재(15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실란 커플링제를 도포한 금속판(T150) 및 부극측 수지 부재(130)와 동일한 PPS로 이루어지는 수지 부재(T130)로 이루어지는 제4 시료(TP4)를 준비하고, 제3 시료(TP3)와 마찬가지로 하여, 침지 시간의 경과에 의한 금속판(T150)과 수지 부재(T130) 사이의 시일의 박리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에 대해 도 9에 나타낸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 시료의 측정 결과에서는, 박리 길이와 침지 시간의 평방근의 값 사이에서 상관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도 9에서는 수지 부재 및 단자 부재 사이의 시일 성능(박리 길이)과, 침지 시간의 평방근의 값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3 시료(TP3) 및 제4 시료(TP4)의 박리 길이는, 모두 침지 시간의 평방근의 값이 증가하는 동시에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4 시료(TP4)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3 시료(TP3)의 그래프보다도 항상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4 시료(TP4)가 모의하는 부극측 수지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50) 사이의 시일은, 제3 시료(TP3)가 모의하는 정극측 수지 부재(120)와 정극 단자 부재(140) 사이의 시일보다도 빨리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부극측 수지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50) 사이의 시일 내구성이, 정극측 수지 부재(120)와 정극 단자 부재(140) 사이의 시일 내구성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01)의 부극 단자 부재(150)에 있어서의 부극 시일 길이(L4)를, 정극 단자 부재(140)에 있어서의 정극 시일 길이(L3)(6.3㎜)보다도 긴(L4>L3) 형태(7.0㎜)로 하고 있다. 또한, 정극 시일 길이(L3) 및 부극 시일 길이(L4)는 정극측 및 부극측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한 수치이다.
본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01)에서는, 정극 수지 밀착면(143XF) 및 부극 수지 밀착면(153XF)에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부극 시일 길이(L4)를 정극 시일 길이(L3)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극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부극측 수지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50)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 및 정극측에 있어서의 시일 내구성의 균형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01)의 제조 방법은, 정극 단자 부재(140) 중 정극 수지 밀착면(143XF)으로 되는 영역 및 부극 단자 부재(150) 중 부극 수지 밀착면(153XF)으로 되는 영역에, 유기 도금 대신에 실란 커플링제를 미리 도포하여 두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전지(1)의 제조 방법과 다르다.
이 실란 커플링제의 도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비스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 속에, 정극 단자 부재(140) 및 부극 단자 부재(150)를 각각 소정 시간 침지하고, 그 후 건조시킨다.
또한, 밀봉 덮개(11)에 정극 단자 부재(140) 및 부극 단자 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공정 이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지(1)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200)은, 전술한 전지(1, 101)를 복수 포함하는 배터리 팩(210)을 탑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00)은 엔진(240), 프론트 모터(220) 및 리어 모터(230)를 병용하여 구동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이 차량(200)은 차체(290), 엔진(240), 이것에 설치된 프론트 모터(220), 리어 모터(230), 케이블(250), 인버터(260) 및 직사각형 상자형 형상의 배터리 팩(210)을 갖고 있다. 이 중 배터리 팩(210)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 혹은 제1 변형 형태에 관한 전지(1, 101)를 복수,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배터리 케이스(211)의 내부에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00)에서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1, 101)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1, 101)를 사용한 차량(200)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또한, 본 제3 실시 형태의 해머 드릴(300)은, 전술한 전지(1, 101)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310)을 탑재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팩(310), 본체(320)를 갖는 전지 탑재 기기이다. 또한, 배터리 팩(310)은 해머 드릴(300)의 본체(320) 중 바닥부(321)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 형태의 해머 드릴(300)에서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전지(1, 101)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내구성이 양호한 전지(1, 101)를 사용한 전지 탑재 기기로 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 및 제1 변형 형태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 등에서는, 정극측 수지 부재 및 부극측 수지 부재를 모두 1회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이들을 각각 2개 이상의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등에서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노출부(42, 142) 및 부극 단자 노출부(52, 152)를 예시하였지만, 형상에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정극 단자 관통부(43, 143)[부극 단자 관통부(53, 153)]로부터, 도 2 중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정극 단자 노출부(부극 단자 노출부)로 해도 된다.
1, 101 : 전지
10 : 전지 케이스
20, 120 : 정극측 수지 부재
30, 130 : 부극측 수지 부재
40, 140 : 정극 단자 부재
43XF, 143XF : 정극 수지 밀착면
50, 150 : 부극 단자 부재
53XF, 153XF : 부극 수지 밀착면
80 : 발전 요소
81 : 정전극판
82 : 부전극판
200 : 차량
300 : 해머 드릴(전지 탑재 기기)
L1, L3 : 정극 시일 길이
L2, L4 : 부극 시일 길이
R1, R3 : 정극 시일 경로[(정극 시일 경로 중)최단의 경로]
R2, R4 : 부극 시일 경로[(부극 시일 경로 중)최단의 경로]

Claims (5)

  1. 정전극판 및 부전극판을 포함하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극판과 도통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정극 단자 부재와,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전극판과 도통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부극 단자 부재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극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상기 정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정극측 수지 부재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극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를 절연하는 동시에, 상기 부극 단자 부재의 일부의 주위에 밀착하면서 이것을 덮는 부극측 수지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이며,
    상기 정극 단자 부재 중 상기 정극측 수지 부재가 밀착하고 있는 정극 수지 밀착면 및 상기 부극 단자 부재 중 상기 부극측 수지 부재가 밀착하고 있는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모두 상기 정극측 수지 부재 및 상기 부극측 수지 부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부극 수지 밀착면 상을,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 이르는 부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 길이인 부극 시일 길이가,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상을, 상기 전지 케이스 내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외부에 이르는 정극 시일 경로 중, 최단의 경로 길이인 정극 시일 길이보다도 긴 형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및 상기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유기 도금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수지 밀착면 및 부극 수지 밀착면에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를 탑재하고, 이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차량.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를 탑재하고, 이 전지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사용하는, 전지 탑재 기기.
KR1020127002383A 2009-08-28 2009-08-28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KR101242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5032 WO2011024286A1 (ja) 2009-08-28 2009-08-28 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582A true KR20120048582A (ko) 2012-05-15
KR101242316B1 KR101242316B1 (ko) 2013-03-11

Family

ID=4362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383A KR101242316B1 (ko) 2009-08-28 2009-08-28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8035B2 (ko)
JP (1) JP5273160B2 (ko)
KR (1) KR101242316B1 (ko)
CN (1) CN102484237B (ko)
WO (1) WO20110242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708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2965B2 (ja) * 2011-05-25 2014-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5832342B2 (ja) * 2012-03-12 2015-12-1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KR101414417B1 (ko) 2012-03-26 2014-07-01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고내열성 전극단자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전극단자 구조
WO2013147372A1 (en) * 2012-03-26 2013-10-03 Shin Heung Energy & Electronic Co.,Ltd. Highly heat-resistantfilm for electrode terminals, method for producing the heat-resistant film and electrode terminal structure including the heat-resistant film
KR20140101228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741028B1 (ko) 2013-04-08 2017-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KR101688481B1 (ko) * 2013-04-08 2016-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JP6086240B2 (ja) * 2013-08-23 2017-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91902B2 (en) * 2015-11-23 2018-10-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module for battery distribution assembly
US10622160B2 (en) * 2017-03-06 2020-04-14 Avx Corporatio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ssembly
KR102337491B1 (ko) * 2017-03-06 2021-1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220087167A (ko) * 2020-12-17 2022-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306A (en) * 1987-10-15 1990-06-19 Wilson Greatbatch Ltd. Anode coating for lithium cell
JPH0551671A (ja) 1991-08-21 1993-03-02 Nikko Kyodo Co Ltd 曲げ性及び応力緩和特性に優る電子機器用高力高導電性銅合金
US6592738B2 (en) * 1997-01-31 2003-07-15 Elisha Holding Llc Electrolytic process for treating a conductive surface and products formed thereby
JP4402211B2 (ja) 1999-08-20 2010-0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マー電池
JP3823189B2 (ja) 2000-01-18 2006-09-20 株式会社東亜電化 金属表面皮膜の反応性保持方法
JP2001216951A (ja) 2000-02-02 2001-08-10 Yuasa Corp 密閉電池
JP2006222185A (ja) 2005-02-09 2006-08-24 Furukawa Circuit Foil Kk ポリイミド系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用銅箔、ポリイミド系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及びポリイミド系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CN1655389A (zh) * 2005-03-04 2005-08-17 北京中信国安盟固利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大容量金属外壳锂离子二次电池
JP2007179793A (ja) 2005-12-27 2007-07-12 Denso Corp 密閉型電池用蓋体
JP5182838B2 (ja) 2006-07-25 2013-04-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チウム電池容器用封口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電池
JP2008103268A (ja) 2006-10-20 2008-05-01 Toyota Motor Corp 組電池及び車両
JP4776515B2 (ja) 2006-12-11 2011-09-21 株式会社東亜電化 密着層
JP2009037817A (ja) 2007-08-01 2009-02-19 Toyota Motor Corp 電池
WO2010095224A1 (ja) 2009-02-18 2010-08-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車両及び電池使用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708A (ko) * 2013-04-08 2014-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6536A1 (en) 2012-06-21
KR101242316B1 (ko) 2013-03-11
CN102484237A (zh) 2012-05-30
JP5273160B2 (ja) 2013-08-28
JPWO2011024286A1 (ja) 2013-01-24
CN102484237B (zh) 2014-03-12
WO2011024286A1 (ja) 2011-03-03
US8748035B2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316B1 (ko)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JP5146065B2 (ja) 電池、組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KR101146414B1 (ko) 이차 전지
EP2958162A1 (en) Secondary battery
EP2450984A2 (en)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rechargeabe battery module
EP2445035A1 (en) Secondary battery with a current collector terminal and a coupling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33257A (ko) 이차 전지
KR101527671B1 (ko) 전지
JP2011222474A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JP5282070B2 (ja) 二次電池
US8828596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lower terminal plate and an upper terminal plate
KR101427541B1 (ko)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JP2012146664A (ja) 2次電池、そ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10183192A1 (en)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US10211446B2 (en) Rechargeable battery
JP5679272B2 (ja) 電極端子付き電池蓋および密閉型電池
EP1921697A1 (en) Battery pack
JP2019096591A (ja) 電極部材、電極ユニット及び充電電池
KR20170021752A (ko) 배터리 셀의 제조 방법 및 배터리 셀
WO2012048652A1 (en) Lithium-ion battery
JP5679271B2 (ja) 電極端子付き電池蓋、電極端子付き電池蓋の製造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
WO2008044763A1 (en) Tab lead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90026697A (ko) 이차전지
CN219017791U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JP5510260B2 (ja) 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