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446A -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446A
KR20120048446A KR1020100110076A KR20100110076A KR20120048446A KR 20120048446 A KR20120048446 A KR 20120048446A KR 1020100110076 A KR1020100110076 A KR 1020100110076A KR 20100110076 A KR20100110076 A KR 20100110076A KR 20120048446 A KR20120048446 A KR 20120048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ubframe
base station
downlink
subfram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형
박경민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11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446A/en
Priority to PCT/KR2011/008323 priority patent/WO2012060638A2/en
Publication of KR2012004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4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configure a frame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CONSTITUTION: An offset is set up about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 first cell from a BS(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number of downlink subframe pattern paging message. A subframe of the second cell is set up as a low interference subframe to which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related signal is transmitted.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pplying same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셀 간 간섭(Inter Cell Interference)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향상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3GPP 릴리이즈(release) 8로 소개되고 있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채용한다. 최근에는 3GPP LTE의 진화인 3GPP LTE-A(LTE-Advanced)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an enhancement of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is introduced as 3GPP release 8. 3GPP LTE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in downlink and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in uplink.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th up to four antennas is employed. Recently, a discussion on 3GPP LTE-Advanced (LTE-A), an evolution of 3GPP LTE, is underway.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이종(異種)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이하 '이종 네트워크'라 함) 환경이 대두되고 있다. 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 heterogeneou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s emerging.

상기 이종 네트워크 환경은 매크로 셀(Macro Cell), 펨토 셀(Femto Cell) 그리고 피코 셀(Pico Cell) 등이 함께 이용된다. 펨토 셀과 피코 셀은 매크로 셀과 대비할 때,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시스템이다. The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cludes a macro cell, a femto cell, a pico cell, and the like. The femto cell and pico cell are systems that cover an area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s compared to the macro cell.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셀, 펨토셀 및 피코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은 다른 셀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신호 간섭이 유발되는 셀 간 간섭(inter cell interference)이 일어나게 된다.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a user terminal present in any one of a macrocell, a femtocell, and a picocell may cause inter-cell interference in which signal interference is caused by a signal generated from another cell.

본 발명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ubframe for minimiz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어그레서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어그레서(aggressor)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빅팀(victim)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에 주어지는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한 오프셋을 설정하고,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을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n aggregate cell transmitted from an base station of an aggregator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the base station of an adjacent Victim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to be transmitted to set the offset for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given to the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 cell,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Sets a subframe of the aggregator cell corresponding to the subframes through which uplink HARQ and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s a low interference subframe.

상기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은,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상향링크 HARQ의 최대 전송 횟수를 감축하고,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의 최대 전송 횟수 감축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of uplink HARQ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is reduced, and the maximum number of uplink HARQ 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is reduc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subframe in which an uplink grant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상기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상향링크 HARQ 최대 전송 횟수를 1회 감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r cell may be configured by reducing the maximum number of uplink HARQ transmissions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r cell once.

상기 저간섭 서브프레임은,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또는 ABS(Almost Blank Subframe)일 수 있다.The low interference subframe may be a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or an Almost Blank Subframe (ABS).

상기 ABS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버프레임 패턴에서 노말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When the at least one subframe of the ABS is configured as an ABS preferred subframe and the number of normal subframes in the downlink server 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 cel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the ABS preferred subframe is set as a normal subframe. It may be.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버프레임 패턴에서 노말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MBSFN 선호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subframe among the MBSFN subframes is configured as a MBSFN preferred subframe, and when the number of normal subframes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in the downlink server 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 cell, the MBSFN preferred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It can also be set to a frame.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이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인 경우로서,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가 4회일 때는,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홀수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and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are subframe patterns of 40 ms, when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is four times, 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the subframe of the aggregator cell corresponding to the fifth subframe of the odd numbered frame may be configured as a normal subframe.

상기 어그레서 셀이 펨토 셀인 경우에, 상기 어그레서 셀의 기지국에서 검출한 빅팀 셀의 기지국에서 전송된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펨토 셀의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하는 전송 전력을 감축할 수 있다. 상기 빅팀 셀이 피코 셀인 경우에, 피코 셀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전송 신뢰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피코 셀의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하는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ggregator cell is a femto cell,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big cell detec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aggressor cell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power us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for downlink transmission Can be reduced. When the Victim cell is a pico cell, when the transmission reliability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power us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for downlink transmission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어그레서 셀의 기지국으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고,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인접하는 빅팀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해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주어지는 오프셋 및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에 설정되는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station of an aggregator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comprising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rocessor coupled to the RF unit, wherein the processor is an aggregator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cell is configured, and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 cel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of paging messages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neighboring Victim cell. An offset given to a subframe pattern of an aggregator cell for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 subframe of an aggregator cell corresponding to subframes in which uplink HARQ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 big cell. It includes a low interference subframe that is se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어그레서 셀의 사용자 단말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어그레서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어그레서 셀의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통해 전송되며,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인접하는 빅팀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해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주어지는 오프셋 및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어그레서 셀의 서브프레임에 설정되는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of an aggregator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RF unit.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grayer cell and is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ubframe pattern configur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aggregator cell, and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is a Victim cel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of an adjacent Victim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uplink HARQ and control 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big cell and the offset given to the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e cell for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Victim cell Is set in the subframe of the aggregator cell corresponding to the subframes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Low interference subframes.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크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cell interference can be greatly reduced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capable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cells in a communication system can be configured.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매크로 셀, 펨토 셀 그리고 피코 셀로 구성된 이종 네트워크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펨토 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는 HNB 게이트웨이(GateWay: GW)를 이용하여 HNB를 운용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8은 하향링크에서 매크로 셀, 펨토 셀 그리고 피코 셀 간의 간섭에 의해 이용자의 단말이 영향을 받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펨토 셀이 매크로 셀로부터 간섭을 받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향링크 HARQ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은 단일 오프셋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 내지 17은 복수의 오프셋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주어졌을 때, 유형 1에 대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주어졌을 때, 유형 2에 대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로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어그레서 셀 기지국(2010)과 사용자 단말(20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split between an E-UTRAN and an EPC.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user plan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a heterogeneous network including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pico cell.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emto cell.
7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network structure for operating an HNB using an HNB gateway (GW).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user terminal is affected by interference between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pico cell in downlink.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emto cell receives interference from a macro cell.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uplink HARQ.
11-14 schematically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pplying a single offset.
15 to 17 schematically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pplying a plurality of offsets.
FIG. 1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for type 1, given an offset of three subframes.
19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for type 2 when an offset of 3 subframes is given.
2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of a femto cell as an example of a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of an aggregator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FIG. 2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ggregator cell base station 2010 and a user terminal 2050.

본 발명은 매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형태의 셀이 존재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 간 간섭에 있어서 어그레서(aggressor)인 셀의 하향링크 전송을 시간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셀 간 간섭에 있어서 빅팀(victim)인 셀의 기지국에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어그레서 셀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various types of cells such as a macro cell, a pico cell, a femto cell, and the like exist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downlink transmission of a cell that is an aggregator in inter-cell interference in units of time, the aggregator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operation in a base station of a cell that is a victor in inter-cell interferenc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due to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cell base station can be reduced.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and embodiments, together wit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ork perform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performed in a process of controlling a network and transmitting data by a system (e.g., a base station) Work can be done at a terminal connected to the network.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3GPP LTE/LTE-A의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is may be a network structure of 3GPP LTE / LTE-A. The E-UTR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20 (BS) that provides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to a user equipment (UE) 10. do.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The terminal 1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called by other terms such a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terminal (MT), and a wireless device. .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The base station 20 refers to a fixed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0, and may be referred to by other terms such as an evolved-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d the like.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셀은 기지국(11)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릴레이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One or more cells may exist in one base station 20. In this case, the cell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meaning indicating a partial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11 and encompasses various coverage areas such as a mega cell, a macro cell, a micro cell, a pico cell, a femto cell, a relay, and the like.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traffic may be used between the base stations 20. The base stations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X2 interface.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AE 게이트웨이(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The base station 20 is connected to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through an Evolved Packet Core (EPC), more specifically, S1-MME through an S1 interface, and a Serving GateWay (S-GW) through S1-U. The S1 interface supports a many-to-many-rel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20 and the MME / SAE gateway 30.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Hereinafter, down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20 to the terminal 10, and up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terminal 10 to the base station 20. In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in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part of the terminal 10 and the receiver may be part of the base station 20.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빗금 친 박스는 무선 프로토콜 계층(radio protocol layer)을 나타내고, 흰 박스는 제어 평면의 기능적 개체(functional entity)를 나타낸다. 각 기능적 개체의 기능을 설명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split between an E-UTRAN and an EPC. The hatched box represents the radio protocol layer and the white box represents the functional entity of the control plane. Describe the function of each functional entity.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he base station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1) Radio resource management such as radio bearer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and dynamic resource allocation to a terminal ; RRM) function. (2) Internet Protocol (IP)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of user data streams. (3) Routing of user plane data to S-GW. (4) Scheduling and sending of paging messages. (5)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broadcast information. (6) Set up measurements and measurement reports for mobility and scheduling.

MM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he MME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2) NAS 시그널링 보안(security). (3) 아이들 모드(idle mode) UE 도달성(Reachability), (4)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로밍(Roaming) 기능 (6) 인증(Authentication). (1) Non-Access Stratum (NAS) signaling. (2) NAS signaling security. (3) idle mode UE Reachability, (4) 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Roaming Functions (6) Authentication.

S-GW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S-GW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2) 합법적 감청(lawful interception). (1) mobility anchoring. (2) lawful interception.

P-GW(PDN-Gateway)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P-GW (P-Gateway)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단말 IP(Internet Protocol) 할당(allocation). (2) 패킷 필터링.(1) Terminal IP (Internet Protocol) allocation. (2) packet filtering.

도 3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user plan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The data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user data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control signal transmission.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3 and 4, a physical layer (PHY)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 higher layer by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which is a higher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 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물리 제어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Data travels between the MAC and physical layers over the transport channel. Transport channe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how and with what characteristics data is transmitted over the air interface. Data moves between physical layers, that is, between physical layers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the physical layer, a physical control channel may be used.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nforms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Paging CHannel (PCH) and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formation related to DL-SCH.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The PDCCH may carry an uplink scheduling grant informing the UE of resource allocation of uplink transmission.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The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informs the UE of the number of OFDM symbols used for PDCCHs and is transmitted every subframe.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HICH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carries a HARQ ACK / NAK signal in response to uplink transmission.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arries up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HARQ ACK / NAK, scheduling request, and CQI for downlink transmission.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arries UL-SCH (UpLink Shared CHannel).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매핑 및 논리 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 채널 상으로 물리 채널로 제공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MAC layer include 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and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into transport blocks provided as physical channels on transport channels of MAC service data units (SDUs) belonging to the logical channels.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 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 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The MAC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logical channel may be divided into a control channel for transmitting control region information and a traffic channel for delivering user region information.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을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RLC layer include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 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 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In order to guarantee the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d by the radio bearer (RB), the RLC layer uses a transparent mode (TM), an unacknowledged mode (UM), and an acknowledged mode. , Three modes of operation (AM). AM RLC provides error correction through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Functions of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in the user plane include delivery of user data, header compression, and ciphering. Functions of the PDCP layer in the user plane include the transfer of control plane data and encryption / integrity protection.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The RRC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무선 베어러(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The radio bearer (RB) refers to a logical path provided by the first layer (PHY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C layer, RLC layer, PDCP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etwork. The establishment of the RB means a proces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radio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operation method.

무선 베어러(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The radio bearer RB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a signaling RB (SRB) and a data RB (DRB). The S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RRC message in the control plane, and the D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user data in the user plane.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non-access stratum (NAS) layer located above the RRC layer performs functions such as session management and mobility management.

한편, 이동 무선 통신의 셀 내에서 각 무선 링크의 품질은 빠르게 그리고 어느 정도는 무작위적으로 변화하며, 이런 변화는 통신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each radio link changes rapidly and to some extent randomly within the cell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and this change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ystem.

이런 무선 링크의 품질 변화를 다루기 위한 한 방법으로 스케줄러(Scheduler)가 있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러는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단말들이 공유 자원을 교대로 사용하는 RR(Round-Robin) 스케줄러, 절대적으로 가장 좋은 순방향 채널(Downlink Channel) 상태를 갖는 단말이 스케줄링되는 max-C/I 스케줄러(또는 maximum rate 스케줄러라고도 함), 공유 자원을 상대적으로 최고의 무선 링크 상태를 가진 단말에게 할당하되 단말 간 장기간의 서비스 품질 차이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는 PF(Proportional-Fair) 스케줄러, 비직교 다중접속 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greedy filling 스케줄러 등이 있다. A scheduler is one way to deal with this quality link change. The scheduler for the downlink is generally a round-robin scheduler in which terminals alternately use shared resources without considering the channel state, and the terminal with the absolute best downlink channel state is scheduled. -C / I scheduler (also known as maximum rate scheduler), a PF (Proportional-Fair) scheduler that allocates shared resources to the terminal with the highest radio link state but limits the long-term quality of service difference between terminals to a certain level or less. And the greedy filling scheduler, which is commonly used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chemes.

전력자원이 기지국에 집중되어 있는 하향링크와 달리, 상향링크는 전력 자원이 단말들에게 나뉘어져 있다. 또한, 단일 단말의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출력보다 현저하게 낮다. 이런 점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은 하향링크 스케줄링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술한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원리들은 일반적으로 상향링크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Unlike the downlink in which the power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base station, in the uplink, the power resources are divided among the terminals. In addition, the maximum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 single terminal is gener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utput of the base station. In this regard, uplink scheduling may be different from downlink scheduling, but the above-described scheduling principles for downlink may also be applied to uplink.

다양한 스케줄링 방식이 있지만, 스케줄링 알고리즘 또는 스케줄링 전략 자체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구현(implementation)의 문제이므로, 3GPP를 비롯해서 다른 규격에서도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표준화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거의 모든 서비스 제공자는 기지국 구축과 무선 통신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사용자 간에 적절한 QoS(Quality of Service)를 유지하면서 셀 내의 무선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모든 단말들에 대한 동일한 평균 사용자 스루풋(throughput) 혹은 적어도 모든 단말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최소 사용자 스루풋(throughput)을 보장하면서 단말들 사이의 채널 변화를 이용하여 비교적 유리한 채널 조건을 갖는 단말에게 스케줄링하는 것이 대부분 스케줄러들의 전반적인 목표가 된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scheduling schemes, the scheduling algorithm or the scheduling strategy itself is generally a matter of (base station) implementation, so other standards, including 3GPP, do not specifically standardize it. However, almost all service providers attempt to effectively use radio resources in a cell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quality of service (QoS) between users in base station constru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on. Therefore, a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advantageous channel condition by using a channel change between terminals while guaranteeing the same average user throughput for all terminals or a certain minimum user throughput for at least all terminals. Scheduling is the overall goal of most schedulers.

이처럼, 채널의 상태가 스케줄링에 고려된다면 시스템 용량에서 상당한 이득을 볼 수 있다. 채널에 따른 스케줄링은 HSPA/HSUPA나 LTE 등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LTE의 경우에는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변화뿐만 아니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변화까지 고려할 수 있다. As such, there may be a significant gain in system capacity if the state of the channel is taken into account for scheduling. Scheduling according to channels is used in HSPA / HSUPA or LTE. In case of LTE, not only the channel change in the time domain but also the channel change in the frequency domain can be considered.

한편, 동일한 공간 내에 이종(異種)의 셀들이 존재하는 이종 네트워크(Neterogeneous Network)에서는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과 함께 이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셀들 간의 조정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in a heterogeneous network in which heterogeneous cells exist in the same space, coordination between different cells constituting the heterogeneous network needs to be considered along with scheduling of the terminal.

이하,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heterogeneous network will be described.

매크로(macro) 셀과 마이크로(micro) 셀의 단순한 셀 분할로는 증가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코 셀, 펨토 셀 그리고 무선 릴레이 등을 이용하여, 실내외 소규모 영역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소형 셀들의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피코 셀은 매크로 셀만으로는 커버되지 않는 통신 음영 지역이나, 데이터 서비스 요구가 많은 영역, 소위 핫존(hotzone)에 이용될 수 있다. 펨토 셀은 일반적으로 실내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릴레이는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coverage)를 보완할 수 있다. Simple cell division of macro and micro cells is difficult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data services. Accordingly, data services for indoor and outdoor small areas can be operated using pico cells, femto cells, and wireless relays. Although the use of small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pico cells can generally be used in communication shadow areas that are not covered by macro cells alone, or in areas with high data service requirements, so-called hot zones. Femtocells can generally be used in indoor offices or at home. In addition, the wireless relay can supplement the coverage of the macro cell.

이종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의 음영 지역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 전송 속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매크로 셀, 펨토 셀 그리고 피코 셀로 구성된 이종 네트워크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크로 셀, 펨토 셀 그리고 피코 셀로 구성된 이종 네트워크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종 네트워크는 릴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By configuring a heterogeneous network, not only the shadow area of the data service can be eliminated, but also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an be increase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a heterogeneous network including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pico cell. Although FIG. 5 illustrates a heterogeneous network composed of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pico cel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heterogeneous network may include a relay or another type of cell.

도 5를 참조하면, 이종 네트워크에는 매크로 셀(510)과 펨토 셀(520) 그리고 피코 셀(530)이 함께 운용되고 있다. 매크로 셀(510)과 펨토 셀(520) 그리고 피코 셀(530)은 각각 자신의 셀 커버리지(510, 520, 530)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5, in a heterogeneous network, a macro cell 510, a femto cell 520, and a pico cell 530 are operated together. The macro cell 510, the femto cell 520, and the pico cell 530 each have their own cell coverages 510, 520, and 530.

펨토 셀은 저전력 무선 접속 포인트로서,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다. 펨토 셀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DSL 도는 케이블 브로드밴드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A femto cell is a low power wireless access point, which is a small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used indoors such as a home or an office. A femto cell can connect to a mobile communication core network using a DSL or cable broadband in a home or office.

도 6은 펨토 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emto cell.

도 6을 참조하면, 가정(610) 또는 사무실 내의 펨토 셀 기지국(620)은 초고속 인터넷(630)을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640)와 연결된다. 펨토 셀 내의 단말(650)은 펨토 셀 기지국(620)을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femtocell base station 620 in a home 610 or office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640 via a high speed internet 630. The terminal 650 in the femto cell may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high speed internet through the femto cell base station 620.

한편, 펨토 셀들에는 자기 조직(Self-Organization) 기능이 지원될 수 있다. 요구된다. 자기 조직 기능은 자기 구성(Self-Configuration) 기능, 자기 최적화(Self-Optimization) 기능,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 기능 등으로 분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emto cells may be supported with a self-organization (Self-Organization) function. Required. Self-organization functions are classified into a self-configuration function, a self-optimization function, and a self-monitoring function.

자기 구성(Self-Configuration) 기능은 셀 플래닝(Cell Planning) 단계를 거치지 않고, 초기 설치 프로파일에 근거해서 자체적으로 무선 기지국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Self-configuration is a feature that allows a wireless base station to be installed on its own based on an initial installation profile without going through a cell planning step.

자기 최적화(Self-Optimization) 기능은 인접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정보를 취득해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최적화하고, 가입자 및 트래픽 변화에 따라서 커버리지와 통신 용량을 최적화하는 기능이다. Self-Optimization is a function that identifies neighboring base stations, obtains information, optimizes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list, and optimizes coverage and communication capacity according to subscriber and traffic changes.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 기능은 수집한 정보를 통해서 서비스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이다.Self-Monitoring is a function to control service performance not to be degraded through collected information.

펨토 셀에서는 특히 자기 구성 기능이 지원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 Play) 기능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IP 주소 획들, RF/Radio 파라미터 및/또는 네트워크 파라미터 설정, 소프트웨어 설치, 기지국 인식 및/또는 인증 등이 포함되며, 인증/승인 등의 보안 절차도 운영자의 도움없이 수행될 수 있다. In femtocells, self-configuration needs to be supported, and therefore Plug and Play functionality is required. This includes IP address strokes, RF / Radio parameters and / or network parameter settings, software installation, base station recognition and / 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procedures such as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can also be performed without operator assistance.

사용자 편의를 위해,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에는 음성/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펨토 셀은 등록된 사용자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를 구분하여,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용하는 셀을 폐쇄형(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라고 함)라고 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도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개방형(Open Access)이라고 한다. 또한, 이 두 방식을 혼용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For user convenience, continuity for voice / data services may be ensured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In addition, the femtocell may distinguish registered users from unregistered users and allow access only to registered users. Cells that allow access only to registered users are called Closed Subscriber Grou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SGs"), and access to normal users is also referred to as open access. It is also possible to mix these two methods.

CSG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3GPP에서는 HNB(Home NodeB) 또는 HeNB(Home eNodeB)라고 부른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는 HNB와 HeNB 둘을 총칭하여 HNB라고 일컫는다. HNB는 기본적으로 CSG에 속하는 멤버에게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 HNB의 동작 모드 설정에 따라 CSG 외에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A base station providing a CSG service is called a home node b (HNB) or a home enode b (henb) in 3GPP.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oth HNB and HeN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NB. The HNB basically aims to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only to members belonging to the CSG. However, the service may be provided to other users besides the CS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tting of the HNB.

도 7는 HNB 게이트웨이(GateWay: GW)를 이용하여 HNB를 운용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7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network structure for operating an HNB using an HNB gateway (GW).

HNB들은 HNB GW를 통해 EPC에 연결되거나 직접 EPC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HNB GW는 MME에게는 일반적인 기지국처럼 보인다. 또한, 상기 HNB GW는 상기 HNB에게는 상기 MME처럼 보인다. 따라서, HNB와 HNB GW 사이에는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상기 HNB GW와 상기 EPC 역시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또한, HNB와 EPC가 직접 연결될 경우에도 S1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HNB의 기능은 일반적인 기지국의 기능과 대부분 같다.The HNBs are connected to the EPC or directly to the EPC via the HNB GW. Here, the HNB GW looks like a normal base station to the MME. The HNB GW also looks like the MME to the HNB. Therefore, the HNB and the HNB GW are connected to the S1 interface, and the HNB GW and the EPC are also connected to the S1 interface. In addition, when the HNB and the EPC are directly connected, they are connected to the S1 interface. The function of the HNB is mostly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HNB는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소유한 BS와 비교하여 무선 전송 출력이 낮다. 따라서 HNB가 제공하는 커버리지(coverage)는 BS가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에 비하여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서비스 영역 관점에서 HNB가 제공하는 셀은 BS가 제공하는 매크로(macro) 셀과 대비하여 펨토(femto) 셀로 분류되기도 한다. In general, the HNB has a lower wireless transmission power than the BS owned by the mobile network operator. Therefore, the coverage provided by the HNB is generally smaller than the service area provided by the BS. Due to this characteristic, a cell provided by an HNB may be classified as a femto cell in comparison with a macro cell provided by a BS from a service area perspective.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점에서, HNB가 CSG 그룹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이 HNB가 제공하는 셀은 CSG 셀이라고 일컫는다.In terms of providing a service, when the HNB provides a service only to the CSG group, a cell provided by the HNB is referred to as a CSG cell.

각 CSG는 각기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식별자를 CSG ID(CSG identity)라고 부른다. 단말은 자신이 멤버로 속한 CSG의 목록을 가질 수 있고, 이 CSG 목록은 단말의 요청 또는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3GPP의 현재 사양에 의하면, 하나의 HNB는 한 개의 CSG를 지원할 수 있다.Each CSG has its own unique identifier, which is called a CSG identity (CSG identity). The terminal may have a list of CSGs belonging to the member, and the CSG list may be changed by a request of the terminal or a command of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current specification of 3GPP, one HNB can support one CSG.

단말은 자신이 멤버로 등록되어 있는 CSG의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CSG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라 한다.The terminal has a list of CSG registered as a member, which is called a CSG white list.

HNB는 자신이 지원하는 CSG의 CSG ID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달하여, 해당 CSG의 멤버 단말만이 접속하도록 한다. 단말은 CSG 셀을 발견하였을 때, 이 CSG 셀이 어떤 CSG를 지원하는지를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CSG ID를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CSG ID를 읽은 단말은 자신이 해당 CSG 셀의 멤버일 경우에만, 즉 CSG ID에 해당되는 CSG가 자신의 CSG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해당 셀을 접속할 수 있는 셀로 간주한다.The HNB delivers the CSG ID of the CSG supported by the HNB through the system information so that only the member terminals of the corresponding CSG are connected. When the UE finds a CSG cell, it can check which CSG the CSG cell supports by reading the CSG ID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The terminal reading the CSG ID is regarded as a cell that can access the cell only when the UE is a member of the CSG cell, that is, when the CSG corresponding to the CSG ID is included in its CSG whitelist.

HNB라고 해서 항상 CSG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HNB의 구성 설정에 따라 CSG 멤버가 아닌 단말의 접속도 허용할 수가 있다. 어떤 단말에게 접속을 허용할지는 HNB의 구성 설정에 따라 바뀌는데, 여기서 구성 설정은 HNB의 동작 모드의 설정을 의미한다. HNB의 동작 모드는 어떤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따라 아래의 3가지로 구분된다.HNB does not always need to allow access to the CSG terminal.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HNB, it is possible to allow the connection of the terminal other than the CSG member. Which UE is allowed to access depends on the configuration setting of the HNB, where the configuration setting refers to the setting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HNB. The operation mode of the HNB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which UE provides a service.

1) 닫힌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특정 CSG 멤버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HNB는 CSG 셀을 제공한다.1) Closed access mode: A mode in which services are provided only to specific CSG members. The HNB provides a CSG cell.

2) 오픈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 일반 BS처럼 특정 CSG 멤버라는 제약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HNB은 CSG 셀이 아닌 일반적 셀을 제공한다. 2) Open access mode: A mode in which a service is provided without a specific CSG member such as a general BS. The HNB provides a generic cell that is not a CSG cell.

3)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 특정 CSG 멤버에게는 CS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비 CSG 멤버에게도 일반 셀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 CSG 멤버 UE에게는 CSG 셀로 인식이 되고, 비 CSG 멤버 UE에게는 일반 셀처럼 인식이 된다. 이러한 셀을 하이브리드 셀(Hybrid cell)이라고 부른다.3) Hybrid access mode: A mode in which a CSG service can be provided to a specific CSG member and a service is provided to a non-CSG member like a normal cell. CSG member UEs are recognized as CSG cells, and non-CSG member UEs are recognized as normal cells. Such a cell is called a hybrid cell.

펨토 셀이 매크로 셀과 함께 운용되고 있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펨토 셀이 오픈 접속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는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중에서 원하는 셀로 접속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femto cell is in an open access mode in a heterogeneous network in which the femto cell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macro cell, the user can access a desired cell among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to use the data service.

펨토 셀이 예컨대, 닫힌 모드인 경우에, 매크로 셀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는 매크로 셀이 강한 세기의 신호를 전송하는 펨토 셀로부터 간섭을 받고 있더라도 펨토 셀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If the femto cell is in, for example, a closed mode, the end user using the macro cell will not be able to use the femto cell even if the macro cell is interfering with the femto cell transmitting a strong signal.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셀의 기지국(BS)들은 X2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 간의 심리스(seamless) 및 로스리스(lossless) 핸드오버를 지원할 뿐 아니라, 네트워크 부하의 균형을 유지하고 무선 자원의 운용(management)을 지원한다. 따라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들 사이의 간섭 조정(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에 X2 인터페이스가 큰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base stations BS of the macro ce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X2 interface. The X2 interface not only supports seamless and lossless handovers between base stations, but also balances network load and supports management of radio resources. Therefore, the X2 interface plays a large role in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CIC) between base stations of a macro cell.

이에 반해,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펨토 셀의 기지국 사이에는 X2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없다. 따라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펨토 셀의 기지국 사이에서는, 매크로 셀의 BS들 사이에서와 같이 동적인 시그널링(Dynamic Signaling)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contrast, there is no X2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Accordingly,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dynamic signaling is not performed as between the BSs of the macro cell.

펨토 셀의 경우와는 달리, 피코 셀에서는 의 기지국과 매크로 셀의 기지국 사이에는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따라서, 피코 셀의 기지국과 매크로 셀의 기지국들 사이에는 동적인 시그널링이 이루어지며, 피코 셀에 SON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도 피코 셀은 인접 매크로 셀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Unlike the femto cell, in the pico cell, there is an X2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ation of and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ccordingly, dynamic signaling is per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even if the SON function is not supported in the pico cell, the pico cell can detect information of an adjacent macro cell.

또한, 피코 셀은, 펨토 셀의 경우와 달리 폐쇄형(CSG: Closed Subscriber Group)으로 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코 셀은 개방형(Open Access)으로 운용되며 사용자가 피코 셀의 셀 범위(range)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한없이 피코 셀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o cell does not operate in a closed subscriber group (CSG) unlike a femto cell. Accordingly, the pico cell is operated in open access and the user can access the pico cell without limitation 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cell range of the pico cell.

도 8은 하향링크에서 매크로 셀, 펨토 셀 그리고 피코 셀 간의 간섭에 의해 이용자의 단말이 영향을 받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 user terminal is affected by interference between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pico cell in downlink.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850)은 펨토 셀(830)에 접속하여 펨토 셀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펨토 셀(830)이 CSG 모드이고, HNB 근처에 있는 사용자 단말(860)이 CSG의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아니라면, 사용자 단말(860)은 신호 세기가 강한 펨토 셀에 접속할 수 없고, 펨토 셀의 신호 세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신호 세기가 약한 매크로 셀에 접속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860)은 상기 펨토 셀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850 may access the femto cell 830 and use the femto cell. However, if the femto cell 830 is in CSG mode and the user terminal 860 near the HNB is not a registered user terminal of the CSG, the user terminal 860 cannot access the femto cell with strong signal strength, and the femto cell Compared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only way to access the macro cell is weak signal strength.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860 may receive an interference signal from the femto cell.

또한, 사용자 단말(840)은 피코 셀(820)에 접속하여 피코 셀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사용자 단말(840)은 매크로 셀(810)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840 may access the pico cell 820 and use the pico cell. However,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840 may be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by the macro cell 810.

도 9는 펨토 셀이 매크로 셀로부터 간섭을 받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910)은 피코 셀의 기지국(930)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의 기지국(920)은 피코 셀의 기지국(940)과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피코 셀(93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은 매크로 셀(920)로부터 원하지 않는 간섭을 받을 수가 있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emto cell receives interference from a macro cell. The base station 910 of the macro cell may dynamically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930 of the pico cell via the X2 interface.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920 of the macro cell may dynamically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940 of the pico cell through the X2 interfac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ico cell 930 may receive unwanted interference from the macro cell 920.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매크로 셀과 펨토 셀 간의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에 대하여, 간섭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거나 간섭으로부터 더 보호해야 하는 빅팀(victim) 셀은 매크로 셀이다. 이에 반해, 간섭에 의해 빅팀 셀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섭의 영향을 덜 받는 어그레서(aggressor) 셀은 펨토 셀이다. 일반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펨토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강한 세기의 신호보다, 매크로 셀의 약한 신호가 받는 간섭의 영향이 더 크며, 펨토 셀의 사용자보다 매크로 셀의 사용자가 훨씬 많기 때문이다.For Inter-Cell Interference between a macro cell and a femto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a macro cell that is more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or needs to be further protected from the interference is a macro cell. On the other hand, an aggressor cell that affects or is less affected by the Victim cell by the interference is a femto cell. In general, the interference of the weak signal of the macro cell is greater than the strong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nearby femto cell, because there are much more users of the macro cell than the user of the femto cell.

이종 네트워크에서 매크로 셀과 피코 셀 간의 간섭에 대하여, 빅팀 셀은 피코 셀이며, 어그레서 셀은 매크로 셀이다. 피코 셀의 경우에는 음영 지역을 커버하기 때문에 간섭으로부터 더 많이 보호되어야 하며, 핫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보호되어야 한다.For interference between macro cells and pico cells in a heterogeneous network, the Victim cell is a pico cell and the aggressor cell is a macro cell. In the case of picocells, they must be protected from interference because they cover the shadow area, and even if they are located in the hot zone, they must be protected.

셀 간 간섭을 줄이는 방법으로 셀 간 간섭 조정(Inter-Cell Interfernce Coordination: ICIC)이 있다. Inter-Cell Interfernce Coordination (ICIC) is a method of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일반적으로 셀 간 간섭 조정은, 빅팀 셀에 속한 사용자가 어그레서 셀 근처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통신을 지원해주기 위한 방법이다. 셀 간의 간섭을 조정하기 위해서, 예컨대, 어떤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의 사용에 대하여 스케줄러에 제약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에 얼마나 큰 전력을 사용할 지에 대한 제약을 스케줄러에 부과할 수도 있다.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을 조정하기 위해, 셀들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할 수도 있다.In general,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s a method for supporting a reliable communication to a user when a user belonging to a Victim cell is near an aggregator cell. In order to coordinate inter-cell interference, for example, a scheduler may be imposed on the use of certain time and / or frequency resources. It may also impose a constraint on the scheduler how much power to use for a particular time and / or frequency resource. In order to coordinate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cells,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cells may be configured.

이하,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ubframe pattern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펨토 셀의 기지국 사이에 X2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정적(static) 또는 반정적(Semi-Static)인 것이 좋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X2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is either static or semi-static. good.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피코 셀의 기지국 사이에는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만, 매크로 셀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과 피코 셀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 사이에서 원하지 않는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Although there is an X2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unwanted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base stat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pico cell base station.

도 9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기지국(910)과 피코 셀의 기지국(930) 또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920)과 피코 셀의 기지국(940)은 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동적인 시그널링에 의해 서브프레임 패턴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셀 간 간섭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 때에도, 매크로 셀 기지국(920)이 피코 셀(930)에 미치는 간섭은 조정되기 어렵다. 각 사용자 단말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하여 이를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전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피코 셀(93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은 피코 셀의 커버리지 중 일부 영역에서는 매크로 셀(920)의 간섭을 받지만, 일부 영역에서는 매크로 셀(920)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난다. 매크로 셀(920)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하향링크 전송의 신뢰도를 측정해서 이를 피코 셀의 기지국(930)에 보고하면, 피코 셀(930)의 기지국은 해당 피코 셀의 실제 평균 신뢰도보다 높은 신뢰도를 기반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피코 셀(93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은 매크로 셀(920)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LTE에서 하향링크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40ms(millisecond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진다. 40ms의 서브프레임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로 반드시 전해야 하는 서브프레임이 있다. 예컨대, 상향링크 HARQ, PBCH, PSS/SSS, MIB, 페이징 메시지, SIB-1 등은 기지국이 하향링크로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9, a base station 910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930 of a pico cell or a base station 920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940 of a pico cell may dynamically signal information about a user terminal belonging to a cell.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may be performed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subframe pattern. However, even at this time, the interference of the macro cell base station 920 on the pico cell 930 is difficult to adjust. Each user terminal receives a downlink signal, measures reliability thereof, and transmits the reliability to the base st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Referring to FIG. 9,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ico cell 930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cover coverage of the pico cell. In the region, the macro cell 920 is interfered with, but in some regions, the macro cell 920 is separated from the interference. When the user terminal in the region deviating from the interference of the macro cell 920 measures the reliability of downlink transmission and reports it to the base station 930 of the pico cell,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930 determines the actual average reliability of the pico cell. The downlink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higher reliability. Therefore,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pico cell 930 may be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by the macro cell 920. Downlink in LTE has a subframe pattern of 40 ms (milliseconds)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In the 40 ms subframe, there is a subframe that the base station must transmit in downlink. For example, an uplink HARQ, a PBCH, a PSS / SSS, a MIB, a paging message, and an SIB-1 should be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as accurately as possible with downlink.

도 10은 상향링크 HARQ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cept of uplink HARQ.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은 사용자 단말(UE)에 PDCCH상으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전송한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전송 자원의 분배를 위한 메시지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PUSCH상으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 후 여덟 서브프레임 뒤에, 즉 8ms 경과한 후에 데이터 정상 수신 여부를 알리는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NACK 신호는 ACK신호가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면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NACK 신호는 NACK 신호가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NACK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여기서, 데이터 재전송 방식은 CC(Chase Combining) 방식 혹은 IR(Incremental Redundancy) 방식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디코딩에 계속해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설정된 최대 재전송 횟수까지 NACK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데이터를 재전송 받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HARQ ACK/NACK 신호 전송은 8ms 단위로 이루어지며, 단말의 재전송 역시 8ms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40ms 단위의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최대 4번의 HARQ ACK/NACK 신호 전송과 그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재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base station (BS) transmits an UL grant to the user equipment (UE) on the PDCCH. The uplink grant is a message for distribution of uplink transmission resources.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uplink grant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the base station on the PUSCH after the fourth subframe based on the subframe in which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uplink grant.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grant, the base station transmits ACK (ACKnowledgement) / NACK (Not-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data is normally received after eight subframes, that is, after 8 ms.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on the PHICH. When the base station successfully decodes the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he ACK / NACK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becomes an ACK signal. In addition,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successfully decode the data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he ACK / NACK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becomes a NACK signal. When the NACK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retransmits data. Here, the data retransmission method may be a CC (Chase Combining) method or an IR (Incremental Redundancy) method. Even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succeed in decod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NACK signal to the user terminal up to a maximum number of retransmissions set through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to receive data again. As shown in FIG. 10, the HARQ ACK / NACK signal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is performed in 8 ms units, and the retransmission of the terminal is also performed in 8 ms units. Therefore, up to four HARQ ACK / NACK signals may be transmitted in a 40 ms subframe configuration and retransmission of uplink data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 운용을 위해 상향링크 HARQ, PBCH, PSS/SSS, MIB, 페이징 메시지, SIB-1 등을 하향링크로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must deliver uplink HARQ, PBCH, PSS / SSS, MIB, paging message, SIB-1, etc. as accurately as possible downlink for system operation.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다른 채널들이 셀 내에서 구성되고 동작하도록 하는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 채널이다. PBCH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다.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 PBCH가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신이 가능한 커버리지(coverage)가 중요하다. 또한, PBCH는 시스템 대역에 대해 미리 알고 있지 않더라도 수신이 가능해야 하며, 낮은 시스템 오버 헤드를 가지고, 셀 경계에서도 수신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is a physical channel that carries basic system information that allows other channels to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a cell. PBCH is transmitted in a broadcast manner. In order for the system to operate successfully, coverage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 channels over which the PBCH is transmitted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PBCH should be able to receive even if the system band is not known in advance, have a low system overhead, and have a high reception reliability at the cell boundary.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셀 탐색을 도와주기 위해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이다. PSS를 검출하면 물리 계층 셀 ID와 슬롯 동기(Synchronization)를 획득할 수 있다. SSS를 검출하면, 사이클릭 프레픽스(Cyclic Prefix: CP)의 길이와 물리 계층 셀 그룹 ID 및 프레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프레임 동기와 물리 계층 셀 ID를 획득하면, 해당하는 셀 특정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가 무엇인지 알게 되며, 채널 추정을 시작할 수 있다.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are signals transmitted in downlink to help cell search. When the PSS is detected, the physical layer cell ID and slot synchroniza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SSS is detected, the length of the cyclic prefix (CP), the physical layer cell group ID, and frame synchroniza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user terminal acquires the frame synchronization and the physical layer cell ID, the user terminal may know what a corresponding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is and start channel estimation.

SIB(System Information Block)는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며, 각각은 기능적으로 관련된(functionally-related) 파라미터들의 집합을 담고 있다. SIB 중에서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PBCH 상으로 전달되며, 셀에 초기 접속하기 위해 필수적인, 제한된 수의 가장 빈번하게 전송되는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MIB는 하향링크 셀 대역폭에 대한 정보, 셀의 PHICH 설정에 대한 정보, 시스템의 프레임 수(System Frame Number: SFN) 등을 포함하고 있다. SIB 중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은 주로 사용자 단말이 해당 셀에 자리를 잡을지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SIB-1은 나머지 SIB들의 시간 영역 상의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System Information Block (SIB) constitutes system information, each containing a set of functionally-related parameters. Among the SIBs, the MIB (Master Information Block) is delivered on the PBCH and consists of a limited number of the most frequently transmitted parameters necessary for initial access to the cell. The MIB includes information on downlink cell bandwidth, information on PHICH configuration of a cell, and a system frame number (SFN) of a system.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1 of the SIB mainly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n the cell. In addition, SIB-1 has information on scheduling on the time domain of the remaining SIBs.

페이징(paging) 메시지는 네트워크 초기화 연결 설정에 이용된다. 아이들(idle) 상태에서 단말은 호출(incoming call)을 검출하고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아이들(idle)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은 정상 페이징 기회(normal paging occassion)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것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수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통지하는 페이징 메시지는 셀 내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모든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논리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의 변경 기간 동안에 반복해서 전송된다. The paging message is used to establish a network initiated connection. In the idle state, the terminal monitors the paging channel to detect an incoming call and obtain system information. In the idle state, the user terminal is only required to receive a paging message at a normal paging occass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ception, the paging message for notifying the change of the system information is a change of the 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which is a logical channel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to all user terminals in the cell. It is sent repeatedly during the period.

상향링크 HARQ 그리고 PBCH, PSS/SSS, MIB, SIB-1, 페이징 메시지 등과 같은 제어 정보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전송된다. Uplink HARQ and control information such as PBCH, PSS / SSS, MIB, SIB-1, paging message, etc. are transmitted according to a certain rule.

상향링크 HARQ(Hybrid ARQ) ACK/NACK 신호는 8ms 간격, 즉 8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고, 8ms 뒤에 PHICH 상으로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0ms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설정(configuration)에서는 4번의 HARQ ACK/NACK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at 8 ms intervals, that is, at 8 subframe intervals.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grant and transmits an ACK / NACK signal on the PHICH after 8 ms. As described above, four HARQ ACK / NACK signals can be transmitted in a 40ms downlink subframe configuration.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0번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로 전송되며,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는 0번과 5번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자원 블록(RB)들로 전송된다.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in the middle resource block (RB) of subframe 0,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and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is the center resource of subframe 0 and 5 Transmitted in blocks (RBs).

또한, SIB 중에서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0번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자원 블록(RB)들로 전송되며,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은 짝수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of the SIB is transmitted to the resource blocks (RBs) of the subframe 0, and the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1 is transmitted to the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있어서는, 40ms 서브프레임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 즉,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패턴에 따라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가 9번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유형 1과, 페이징 메시지가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유형 2 그리고 페이징 메시지가 1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유형 3이 있다.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은 셀 특정한 주기를 가지며, 각 셀은 32 프레임, 64 프레임, 128 프레임, 256 프레임의 주기 중 어느 한 주기로, 유형 1 내지 3 중 어느 한 유형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컨대, 32 프레임의 주기를 가지며 유형 1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은, 32 프레임 동안에는 매 프레임마다 9 번 서브프레임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paging message transmission, the paging message may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per 40ms subframe, that is, the transmission pattern of the paging message. Type 1 with paging message sent to subframe 9, Type 2 with paging message sent with subframes 4 and 9, and Type 3 with paging message sent with subframes 1, 4, 5 and 9. There is this. The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has a cell specific period, and each cell transmits the paging message according to any one of types 1 to 3 in any one of 32 frames, 64 frames, 128 frames, and 256 frames. For example, a cell having a period of 32 frames and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according to type 1 transmits a paging message in 9 subframes every frame during 32 frames.

예컨대 매크로 셀과 피코 셀 또는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이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셀들의 하향링크 전송을 완전히 동기화하면 시스템 운용을 위해 중요한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이 간섭에 의해 서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셀들이 하향링크로 전송을 할 때, 시스템 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 예컨대 상술한 상향링크 HARQ와 PBCH, PSS/SSS, MIB, SIB-1, 페이징 메시지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들이 간섭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셀들, 예컨대 매크로 셀과 피코 셀 또는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일정한 오프셋을 둘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cro cell and the pico cell or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use the same resource, if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cells is completely synchronized, the subframes transmitt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system operation are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 Therefore, when different types of cells transmit downlink, sub-transmission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system operation,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such as uplink HARQ and PBCH, PSS / SSS, MIB, SIB-1, paging message, etc. In order to best exclude frames affected by interference, there may be a constant offset between different types of cells, such as macro and pico cells or subframe patterns of macro and femto cells.

이와 함께,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HARQ ACK/NACK 신호와 PBCH, PSS/SSS, MIB, SIB-1, 페이징 메시지 등과 같이 시스템 운용에 중요한 정보들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제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펨토 셀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강한 세기의 신호보다, 매크로 셀의 약한 신호가 받는 간섭의 영향이 더 크며, 펨토 셀의 사용자보다 매크로 셀의 사용자가 훨씬 많기 때문에 펨토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설정을 조정하여, 매크로 셀이 받는 간섭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mong the subframes transmitted in the downlink of the macro cell for a subframe in which important information for system operation such as HARQ ACK / NACK signal, PBCH, PSS / SSS, MIB, SIB-1, paging message, etc. is transmitted, It may be considered to limit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to a subfram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effect of the interference of weak signals of the macro cell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trong strength signal output from the nearby femto cell base station, and the femto cell has more users than the users of the femto cell.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interference received by the macro cell as much as possible by adjusting the subframe setting transmitted in the downlink of the cell.

또한, 피코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시스템 운용에 중요한 정보들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제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피코 셀을 간섭의 영향으로부터 더 많이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설정을 조정하여, 피코 셀이 받는 간섭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a subframe in which information important for system operation is transmitted among the subframes transmitted in downlink of the pico cell, it may be considered to limit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macro cell to a subfram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sinc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ico cell more from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ubframe setting transmitted in the downlink of the macro cell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received by the pico cell as much as possible. .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서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과 ABS(Almost Blank Subframe)를 이용할 수 있다. ABS는 노말 서브프레임(normal subframe)과 그 구성은 같으나, 보내지 않을 수 있는 데이터를 최대한 비워서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다. ABS는 CRS와 PBCH, PSS/SSS, SIB-1와 Paging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BS는 데이터 영역에서도 CRS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이다. As a subfram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a corresponding subframe, a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and an almost blank subframe (ABS) may be used. ABS is a subframe tha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normal subframe but transmits data that can not be sent as much as possible. ABS can transmit CRS, PBCH, PSS / SSS, SIB-1 and Paging messages. ABS is a subframe that transmits CRS in the data area.

MBSFN 서브프레임은 DL-SCH의 전송 없이, 제어 영역에서만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노말 서브프레임과는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예컨대, 상향링크 HARQ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은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PBCH, PSS/SSS, MIB, SIB-1, 페이징 메시지 등과 같이 꼭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들을 전송하는 0번, 4번, 5번, 9번 서브프레임은 노말 서브프레임 또는 노말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ABS으로 구성해야 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MBSFN subframe may transmit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only in the control region without transmitting the DL-SCH. Since MBSFN subframes are different from normal subframes, there are subframes that cannot be used as MBSFN subframes. For example, the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uplink HARQ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normal subframe, and 0, 4, and 4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at must be transmitted, such as PBCH, PSS / SSS, MIB, SIB-1, paging message, and the like. Subframes 5 and 9 should be configured with AB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ormal subframe or the normal subframe. Since the MBSFN subframe may not use the data region,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따라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MBSFN과 ABS를 모두 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MBSFN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간섭이 일어날 확률을 더 줄일 수도 있다.Therefore, when both the MBSFN and the ABS can be configured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 the probability of interference may be further reduced by configuring the corresponding subframe with the MBSFN.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와 시스템 운용을 위한 PBCH, PSS/SSS, SIB-1, MIB, Paging 메시지는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것이 좋다. 다만, 제어 정보들 중에서, PBCH와 PSS/SSS 그리고 MIB는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자원 블록들로 전송되므로, 강건(robostic)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PBCH와 PSS/SSS 그리고 MIB는 ABS로 전송될 수도 있다. 반면에, HARQ ACK/NACK 신호와 SIB-1, Paging 메시지는 노말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and the PBCH, PSS / SSS, SIB-1, MIB, Paging message for system operation is preferably transmitted in the normal subframe. However, among the control information, since the PBCH, PSS / SSS and MIB is transmitted to the resource blocks in the middle of the subframe, it is robustly protected (robostic). Therefore, the PBCH, PSS / SSS and MIB may be transmitted to the ABS. On the other hand, HARQ ACK / NACK signal, SIB-1,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the normal subframe.

HARQ ACK/NACK 신호와 SIB-1, Paging 메시지가 전송되는 노말 서브프레임은 매크로 셀과 펨토 셀에서 같은 시간에 전송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The normal subframe in which the HARQ ACK / NACK signal, the SIB-1, and the paging message are transmitted needs to be minimized by avoiding transmission at the same time i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이처럼,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과 펨토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일정한 오프셋을 주고,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정보가 전송되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을 ABS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중에서 보호해야 할 정보를 전달하는 서브프레임을 펨토 셀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As such, a femto cell corresponding to a subframe of a macro cell in which a predetermined offset is provided between subframes transmitted in downlink of the macro cell and subframes transmitted in the downlink of the femtocell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system operation is transmitted. The subframe of may be configured as an ABS or MBSFN subfra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subframe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protected among the subframes transmitted in the downlink of the macro cell from interference by the femto cell.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피코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중에서 보호해야 할 정보를 전달하는 서프프레임을 매크로 셀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과 피코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사이에 일정한 오프셋을 주고,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정보가 전송되는 피코 셀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을 ABS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cro cell and the pico cell,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protect a subfram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be protected among subframes transmitted in downlink of the pico cell from interference by the macro cell. That is, a macro cell corresponding to a subframe of a pico cell in which a constant offset is provided between subframes transmitted in downlink of the macro cell and subframes transmitted in downlink of the pico cell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system operation is transmitted. The subframe of may be configured as an ABS or MBSFN subframe.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의 형성 역시 빅팀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역시,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응하여 제한되며 정적 또는 반정적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빅팀 셀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간섭이 적게 일어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와 시스템 운용을 위한 PBCH, PSS/SSS, SIB-1, MIB, Paging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Formation of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is also limi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and is statically or semi-statically operat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aggregator cell, the big team cell uses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and the PBCH, PSS / SSS, and SIB for system operation in a subframe in which interference may be less generated in the downlink subframe. Send a -1, MIB, paging message, etc.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종 네트워크가 피코 셀과 매크로 셀로 구성되거나, 펨토 셀과 매크로 셀로 구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펨토 셀, 피코 셀 그리고 매크로 셀로 구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피코 셀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하여,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펨토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heterogeneous network is composed of a pico cell and a macro cell, a femto cell and a macro cell, as well as a femto cell, a pico cell, and a macro cell. In this case,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is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pico cell.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that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may be configured.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에서는 매크로 셀이 간섭에 대한 빅팀 셀이고, 간섭에 대한 어그레서 셀이 펨토 셀이다. 또한, 매크로 셀과 피코 셀 사이에서는 간섭에 대한 빅팀 셀이 피코 셀이고, 간섭에 대한 어그레서 셀이 매크로 셀이다.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the macro cell is a Victim cell for interference, and the aggregator cell for interference is a femto cell. In addition,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pico cell, the Victim cell for interference is a pico cell, and the aggregator cell for interference is a macro cell.

이하, 어그레서 셀이 펨토 셀이고 빅팀 셀이 매크로 셀인 경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aggregator cell is a femto cell and the big cell is a macro cell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브프레임 패턴의 유형><Type of subframe pattern>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상술한 정보들 중에, HARQ ACK/NACK 신호는 노말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며, 8ms 간격으로 전송된다.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e downlink, the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normal subframe, and is transmitted in 8ms intervals.

PBCH, PSS/SSS, MIB, SIB-1 역시 하나의 전송 방식에 따라서 전송된다. 또한, PBCH, PSS/SSS, MIB는 서브프레임의 가운데 전송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되므로, 강건하게 보호된다. 따라서, PBCH, PSS/SSS, MIB는 노말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어도 되고, ABS에서 전송되어도 된다.PBCH, PSS / SSS, MIB, and SIB-1 are also transmitted according to one transmission scheme. In addition, since PBCH, PSS / SSS, and MIB are transmitted using the transmission resource in the middle of the subframe, it is robustly protected. Therefore, the PBCH, PSS / SSS, and MIB may be transmitted in a normal subframe or may be transmitted in ABS.

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펨토 셀의 경우는, 페이징 메시지를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펨토 셀의 경우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이 가깝기 때문에 자주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적다. 펨토 셀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횟수를 줄임으로써,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과 간섭을 일으킬 부분을 줄일 수 있다. In the paging message transmission, in the case of a femto cell, the paging message is set to transmit in subframe # 9. In the case of a femto cell, since a user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re close to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transmit a paging message. By reducing the number of paging message transmissions of the femto cel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매크로 셀의 경우는 페이징 메시지가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유형 1과, 페이징 메시지가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유형 2 그리고 페이징 메시지가 1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유형 3이 있다.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은 셀 특정한 주기를 가지며, 각 셀은 32 프레임, 64 프레임, 128 프레임, 256 프레임의 주기 중 어느 한 주기로, 유형 1 내지 3 중 어느 한 유형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컨대, 32 프레임의 주기를 가지며 유형 1에 따라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은, 32 프레임 동안에는 매 프레임마다 9 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For macro cells, type 1 with paging message transmitted in subframe 9, type 2 with paging message transmitted in subframes 4 and 9, and subframes 1, 4, 5 and 9 in paging message. There is type 3 transmitted in a frame. The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has a cell specific period, and each cell transmits the paging message according to any one of types 1 to 3 in any one of 32 frames, 64 frames, 128 frames, and 256 frames. For example, a cell having a period of 32 frames and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according to type 1 transmits a paging message in subframe 9 times every frame for 32 frames.

따라서, 이종 네트워크에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펨토 셀의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패턴의 유형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유형에 따라서, 유형 1 내지 3으로 나눌 수 있다. Accordingly, the type of subframe pattern may be divided into types 1 to 3 according to the type of paging message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오프셋과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의 적용>Offset and application of low interference subframes

저간섭 서브프레임의 적용Application of Low Interference Subframe

하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노말 서브프레임 또는 ABS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들, 예컨대 HARQ ACK/NACK 신호, PBCH, PSS/SSS, MIB, SIB-1와 같은 정보의 전송을 위해 0번, 4번, 5번 그리고 9번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0번, 4번, 5번 그리고 9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정보들이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펨토 셀은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저간섭 서브프레임, 즉 ABS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downlink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number 0 fo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uch as HARQ ACK / NACK signal, PBCH, PSS / SSS, MIB, SIB-1, which should be transmitted in a normal subframe or ABS , 4, 5, and 9 subframes cannot be configured as MBSFN subframes. Accordingly, the femto cell may select a corresponding subframe so that information transmitted in subframes 0, 4, 5, and 9 in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interference caused by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cell. It can be configured as a low interference subframe, that is, ABS or MBSFN subframe.

단일 오프셋의 경우For single offset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과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일정한 오프셋을 줄 수 있다.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and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a constant offs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도 11 내지 14는 단일 오프셋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1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attern of a downlink subframe in which an offset of 3 subframes is provided betwee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 macro cell and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as an embodiment of applying a single offset. will be.

도 11은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1회인 경우, 즉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1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1 illustrates a 40 ms subframe pattern for Type 1 in which a paging message of a macro cell is once, that is,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 # 9.

도 11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11,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3 subframes.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펨토 셀은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의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므로, 매크로 셀의 첫 번째 프레임에서 매 9번 서브프레임에서는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면서 HARQ ACK/NACK 신호 전송 주기와 겹치는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와 HARQ ACK/NACK 함께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ubframe # 9 that transmits a paging messag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the femtocell may configure a corresponding subframe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Since the HARQ ACK / NACK signal of the base station can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every 9 subframes in the first frame of the macro cell and overlaps the HARQ ACK / NACK signal transmission period, HARQ ACK / NACK can be transmitted together.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팸토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이나 ABS로 구성될 수 있다. 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of the macro cell, the corresponding subframe of the femto cell may consist of an MBSFN subframe or an ABS.

도 12는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2회인 경우, 즉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2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2 illustrates a 40 ms subframe pattern for Type 2 when a paging number of a macro cell is twice, that is,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s 4 and 9. FIG.

도 12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12,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3 subframes.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BSFN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and preferably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펨토 셀은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므로, 매크로 셀의 첫 번째 프레임의 9번 서브프레임이나 세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 등에서는 HARQ ACK/NACK 신호와 함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ubframes 4 and 9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the femtocell may configure a corresponding subframe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Since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HARQ ACK / NACK signal in subframe 9 of the first frame or subframe 5 of the third frame of the macro cell. Can be.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팸토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이나 ABS로 구성될 수 있다. 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of the macro cell, the corresponding subframe of the femto cell may consist of an MBSFN subframe or an ABS.

도 13은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4회인 경우, 즉 0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3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3 shows a subframe pattern of 40 ms for a type 3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s 0, 4, 5 and 9 when the macro cell has 4 paging counts.

도 13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13,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3 subframes.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0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펨토 셀은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ABS로 구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므로, 매크로 셀의 첫 번째 프레임의 9번 서브프레임이나 세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 등에서는 HARQ ACK/NACK 신호와 함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ubframes 0, 4, 5, and 9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a macro cell, the femtocell may configure a corresponding subframe as an MBSFN subframe or an ABS. Since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HARQ ACK / NACK signal in subframe 9 of the first frame or subframe 5 of the third frame of the macro cell. Can be.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팸토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이나 ABS로 구성될 수 있다.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of the macro cell, the corresponding subframe of the femto cell may consist of an MBSFN subframe or an ABS.

여기서는 오프셋이 3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프셋이 2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offset is 3 has been described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offset is 2.

한편,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단일 오프셋을 주는 경우에는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ingle offset is provided between the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a problem may occur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도 14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단일 오프셋, 예컨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주어졌을 때, 유형 3에 대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과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펨토 셀에 제한을 가했을 때, 유형 3의 경우에는 펨토 셀이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FIG. 14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for type 3 when a single offset, such as an offset of 3 subframes, is given between the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Referring to FIG. 14, when a femto cell is restricted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a macro cell, in case of type 3, a femto cell may not configure a subframe to transmit an HARQ ACK / NACK signal.

여기서는 단일 오프셋으로 3 서브프레임이 적용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단일 오프셋으로 2 서브프레임이 적용된 경우에도 이와 유사하게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한다.Herein, the case in which 3 subframes are applied with a single offset is described. However, even when 2 subframes are applied with a single offset, it is difficult to form a subframe pattern in downlink transmission of a femto cell.

복수 오프셋 적용 Apply multiple offsets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과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 사이에서,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복수의 오프셋을 줄 수 있다.Betwee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and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a plurality of offset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도 15 내지 17은 복수의 오프셋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로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유형 1 및 2에 대해서는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주고, 유형 3에 대해서는 2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5 to 17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offsets are applied, and an offset of 3 subframes is given for types 1 and 2 betwee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a macro cell and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and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attern of a downlink subframe with an offset of 2 subframes.

도 15 내지 17에서는 하기와 같은 조건에 의해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여야 한다.15 to 17, a subframe pattern should be config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1. 펨토 셀의 0, 4, 5, 9번 서브프레임에서는 MBSFN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없다.1. MBSFN subframes cannot be configured in subframes 0, 4, 5, and 9 of the femtocell.

2. UL HARQ 주기는 8ms 주기이다.2. The UL HARQ period is an 8 ms period.

3. 짝수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는 SIB-1 전송이 이루어져야 한다.3. In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SIB-1 transmission should be performed.

4. 펨토 셀의 9번 서브프레임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된다.4. The paging signal is transmitted in subframe 9 of the femto cell.

도 15는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1회인 경우, 즉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1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5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40 ms when the paging number of the macro cell is one time, that is, Type 1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 # 9.

도 15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또는 후술하는 MBSFN 선호 서브프레임(MBSFN preferable subframe)이나 ABS 선호 서브프레임(ABS preferable sub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3 subframes.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an MBSFN subframe, an ABS, or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described later. It may be configured as. In addition, for subframe 9 for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a macro cell, a subframe of a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매크로 셀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전송 주기가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경우에,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transmission period of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n a macro cell overlaps a subframe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of a macro cel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 paging message.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 frame of the macro cell,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도 15에서는 일례로 홀수번의 서브프레임에서 제어신호 및 UL HARQ 관련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만약, 1번 서브프레임에서 UL HARQ 관련 신호가 전송된 후 매크로 셀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1번 서브프레임 이후의 홀수번 서브프레임은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UL HARQ 관련 신호는 UL 그랜트 및 ACK/NACK 신호가 될 수 있다.In FIG. 15,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and a UL HARQ related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odd subframes. If the macro cell base station receives the ACK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fter the UL HARQ related signal is transmitted in subframe 1, the odd numbered subframes after the subframe 1 may be configured as normal subframes. The UL HARQ related signal may be a UL grant and an ACK / NACK signal.

도 16은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2회인 경우, 즉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2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6 illustrates a 40 ms subframe pattern for Type 2 when a paging number of a macro cell is twice, that is,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s 4 and 9.

도 16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4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3 subframes.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In addition, for subframes 4 and 9 transmitting a paging messag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the subframes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MBSFN subframes, ABS, MBSFN preferred subframes, or ABS preferred subframes. Can be.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매크로 셀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전송 주기가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경우에,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transmission period of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n a macro cell overlaps a subframe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of a macro cel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 paging message.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대응하는 팸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 numbered frame of the macro cell,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도 17은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매크로 셀의 페이징 회수가 4회인 경우, 즉 0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유형 3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7 illustrates a 40 ms subframe pattern for Type 3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in subframes 0, 4, 5, and 9 when the macro cell has 4 paging counts.

도 17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은 2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17,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macro cell and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have an offset of 2 subframes.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hat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not affected by the interference,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또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0번, 4번, 5번 및 9번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대응하는 펨토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ubframes 0, 4, 5, and 9 transmitting paging messages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subframes of the corresponding femtocell are MBSFN subframes, ABS, MBSFN preferred subframes, or ABS preferred. It may consist of subframes.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제어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매크로 셀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전송 주기가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경우에,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transmission period of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n a macro cell overlaps a subframe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of a macro cel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 paging message.

매크로 셀의 짝수 번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SIB-1에 대해서, 대응하는 팸토 셀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ABS, MBSFN 선호 서브프레임 또는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SIB-1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 numbered frame of the macro cell, the subframe of the corresponding femto cell may be configured as an MBSFN subframe, an ABS, an MBSFN preferred subframe, or an ABS preferred subframe.

단일 오프셋을 적용하는 경우의 유형 3에 대하여 펨토 셀이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도 14와 달리, 복수의 오프셋이 적용된 도 17을 참조하면, 펨토 셀이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Unlike FIG. 14, in which a femto cell cannot configure a subframe to transmit a HARQ ACK / NACK signal for Type 3 when a single offset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7 to which a plurality of offsets are applied, the femto cell is HARQ.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of a subframe pattern capable of transmitting the ACK / NACK signal.

<펨토 셀의 상향링크 HARQ 횟수 제한><Limit number of uplink HARQ of femtocell>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8ms 간격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는 4회 전송될 수 있다.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s repeated at 8 ms intervals. Accordingly,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may be transmitted four times in a 40 ms subframe pattern.

하지만, 매크로 셀에서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페이징 메시지 등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면서 펨토 셀이 상향링크 HARQ를 위한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것은 어렵다. 즉, 하향링크 전송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매크로 셀과 팸토 셀이 모두 노말 서브프레임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femto cell to configure a subframe pattern for uplink HARQ while avoiding interference for a subframe in which a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in a macro cell and a subframe in which a paging message is broadcast. . That is, for at least one or more corresponding subframes in downlink transmission, both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need to configure normal subframes.

도 18은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주어졌을 때, 유형 1에 대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과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펨토 셀에 제한을 가했을 때, 펨토 셀의 기지국이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야 하는 네 번째 프레임의 6번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FIG. 18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for type 1 when an offset of 3 subframes is given between a subframe pattern of a macro cell and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femto cell is restricted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macro cell as described above, subframe 6 of the fourth frame in which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should be able to transmit an HARQ ACK / NACK signal It can be seen that this MBSFN subframe is configured.

도 19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과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사이에 3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주어졌을 때, 유형 2에 대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매크로 셀과의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펨토 셀에 제한을 가했을 때, 도 18에서 본 바와 같이, 펨토 셀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8ms 주기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19 illustrates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for type 2 when an offset of 3 subframes is given between a subframe pattern of a macro cell and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When the femto cell is limited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macro cell, as shown in FIG. 18, it can be seen that the femto cell cannot transmit the HARQ ACK / NACK signal every 8 ms.

이때, 기지국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을 통해 펨토 셀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횟수, 즉 최대 재전송 요청 횟수를 줄임으로써, 매크로 셀에서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페이징 메시지 등이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간섭을 피하면서 펨토 셀에서 상향링크 HARQ를 위한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bframe in which the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macro cell by reducing the maximum number of times that the HARQ ACK / NACK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femto cell through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of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maximum number of retransmission requests. A subframe pattern for uplink HARQ can be configured in a femto cell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a subframe in which a paging message and the like are broadcast.

펨토 셀은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펨토 셀의 채널 환경은 매크로 셀에 비하여 상당히 좋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펨토 셀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최대 전송 횟수, 즉 최대 재전송 요청 횟수를 줄이더라도 시스템 운용에 큰 문제가 없다.Since a femto cell generally has a close distanc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terminal, the femto cell's channel environment is considerably better than that of a macro cell. Therefore, even if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that is, the maximum number of retransmission requests in the femto cell,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in system operation.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한 5번의 상향링크 HARQ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이 반복되는 동안에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계속 이어질 수 있으므로, 언제 펨토 셀의 기지국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에 내려주든, 이를 기준으로 8ms 간격의 상향링크 HARQ가 계속해서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including the uplink grant is performed 5 times for the 40 ms subframe pattern,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may continue while the 40 ms subframe pattern is repeated. Whether the grant is given to the terminal, uplink HARQ of 8 ms interval may continue.

하지만, 펨토 셀에서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최대 전송 횟수를 줄이는 경우에는,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이 반복되는 동안 상향링크 HARQ 전송이 계속 이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향링크 HARQ의 최대 전송 횟수가 경과하면, 펨토 셀의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한다. However, when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s reduced in the femto cell, the uplink HARQ transmission does not continue while the 40 ms subframe pattern is repeated. Therefore, when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uplink HARQ elapses,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cell should transmit the uplink grant again.

펨토 셀 기지국의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의 패턴은, 매크로 셀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ttern of the subframe transmitting the uplink grant of the femto cell base station is preferably fixed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macro cell.

도 16 및 도 17에서 유형 2 및 유형 3에 대하여 펨토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의 최대 전송 횟수가 3회로 제한된 경우를 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도시된 펨토 셀의 기지국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In FIG. 16 and FIG. 17,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of the femto cell is limited to three for Type 2 and Type 3. 16 and 17 illustrate subframes in which a base station of a femto cell shown in a subframe pattern of a femto cell can transmit an uplink grant.

<간섭의 유도>Induction of Interference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하향링크로 한 프레임 당 4번의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형 3의 경우에, 매크로 셀의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들을 저간섭 서브프레임, 즉 MBSFN 서브프레임과 ABS로 구성하면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필요한 상향링크 HARQ가 전송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어렵다. In the case of type 3 in which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transmits 4 paging messages per frame in downlink,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corresponds to a subfram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of the macro cell is transmitted and a subframe in which an uplink HARQ ACK / NACK signal is transmitted. While configuring the subframes of the femtocell as low-interference subframes, that is, the MBSFN subframe and the ABS,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subframe in which an uplink HARQ necessary for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cell is transmitted.

유형 3에서, 매크로 셀의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0번, 4번, 5번, 9번 서브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펨토 셀의 상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은 펨토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노말 서브프레임(normal subframe)으로 구성된다. In type 3, an uplink transmission subframe of a femtocel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subframes 0, 4, 5, and 9 in which a paging message of a macro cell is transmitted is an uplink HARQ ACK of a femtocell. It consists of a normal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 NACK signal.

이 경우에,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0번, 4번, 5번, 9번 서브프레임 중에서 시스템 운용에 가장 영향력이 적은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을 펨토 셀의 상향링크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매크로 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subframe of a femtocell corresponding to a subframe having the least impact on system operation among subframes 0, 4, 5, and 9 transmitted in downlink of a macro cell is an uplink HARQ of the femtocell. By configuring a normal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ACK / NACK sign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macro cell even if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occurs.

예컨대,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SIB-1이 짝수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서 홀수 번째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을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매크로 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IB-1 is transmitted in subframe 5 of the even-numbered fram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the femtocell corresponding to subframe 5 of the odd-numbered frame in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is determined. By configuring the subframe as a normal subframe for transmitting the HARQ ACK / NACK signal, even if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occurs, the effect on the macro cell can be reduced.

<저간섭 서브프레임의 조정><Adjust low interference sub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의 기지국과 펨토 셀의 기지국 사이에는 X2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적인 시그널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매크로 셀과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패턴은 정적(static)인 것이 좋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interface such as X2 betwee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dynamic signaling is not performed. Therefore, the pattern of the subframe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is preferably static.

하지만,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의한 간섭이 매크로 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경우에, 펨토 셀에서 MBSFN 서브프레임과 ABS와 같은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 외에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이 너무 적을 수가 있다. However, when the downlink transmission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 cell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on the macro cell, the low interference such as MBSFN subframe and ABS is low in the femto cell. interference) In addition to the subframe, there may be too few subframes that can be configured as normal subframes.

이 경우에 정적인 서브프레임 패턴 외에 반정적(semi-static)인 서브프레임 패턴을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static subframe pattern, a semi-static subframe pattern may be considered for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반정적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을 볼 수 있다.Subframes configured semi-statically 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emtocell shown in FIGS. 15 to 17 can be seen.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중에서 ABS 선호 서브프레임은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구성되는 노말 서브프레임이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 ABS가 아닌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15 to 17, the ABS preferred subframes among the subframe patterns of the femtocell are configured as normal subframes other than ABS when the normal subframes configured in the femtocell subframe pattern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Represents a subframe that can be.

또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 중에서 MBSFN 선호 서브프레임은 펨토 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구성되는 노말 서브프레임이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 MBSFN 서브프레임이 아닌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15 to 17, the MBSFN preferred subframes among the subframe patterns of the femtocell are normal instead of the MBSFN subframes when the number of normal subframes configured in the femtocell subframe patter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Represents a subframe that can be configured as a subframe.

한편, ABS는 데이터 영역에서도 CRS를 전송하는데 반해, MBSFN 서브프레임은 제어 영역에서만 CRS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MBSFN과 ABS를 모두 구성할 수 있다면, MBSFN으로 해당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간섭이 일어날 확률을 더 줄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S transmits the CRS in the data domain, while the MBSFN subframe can transmit the CRS only in the control region. Therefore, if both MBSFN and ABS can be configured in the corresponding subframe, the probability of interference may be further reduced by configuring the corresponding subframe with MBSFN.

<전력 제어><Power control>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내의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에 있어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에 제한을 가하여 매크로 셀이 받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의 이용자가 많다는 것 외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까이에 있는 펨토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되는 강한 신호가 매크로 셀의 신호보다 강하기 때문이다. In inter-cell interferen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the reason for limiting the interference of a macro cell by limiting a subframe pattern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of a femto cell is generally reduced. This is because the strong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which is close to the user terminal, is stronger than the macro cell signal, in addition to the large number of users of the macro cell.

따라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펨토 셀 기지국의 하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by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femto cell, a method of adjust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femto cell base station may be considered.

펨토 셀의 SON(Self-Organization Network) 기능에 의해, 펨토 셀은 자기 최적화 기능이 지원된다. 예컨대, 펨토 셀은 주변 기지국을 인식하기 위해 주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펨토 셀의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 예를 들어 매크로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기준치 이하의 값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전송하는 신호의 전력을 감소하는 방식으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도 있다.By the femtocell's self-organization network (SON) function, the femtocell is supported with a self-optimization function. For example, a femto cell can detect a signal from a neighbor base station to recognize the neighbor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is to reduce the power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ighbor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on downlink transmission may be reduced.

마찬가지로, 매크로 셀 역시 단말로부터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전송의 신뢰도 보고에 기초해서, 신뢰도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력을 증가시켜서 펨토 셀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줄일 수도 있다.
Similarly, the macro cell also increases the power for downlink transmission when the reliability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reliability report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ically / a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UE, thereby reducing the effect of interference by the femtocell. It can also be reduc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의 간섭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하지 않고, 매크로 셀과 피코 셀 사이의 간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피코 셀의 기지국(eNB)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eNB)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의 간섭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한 펨토 셀 기지국이 수행하는 <서브프레임 패턴의 유형>, <오프셋과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의 적용>, <펨토 셀의 상향링크 HARQ 횟수 제한>, <간섭의 유도>, <전력 제어>에 관한 내용은 피코 셀과 매크로 셀 사이의 간섭에 있어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과 펨토 셀 사이의 간섭에 대하여 매크로 셀의 기지국에 대하여 설명한 사항은 매크로 셀과 피코 셀 사이의 간섭에 있어서 피코 셀의 기지국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has been describe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pico cell. The base station eNB of the pico cell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 station eNB of the macro cell. Therefore, for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the <type of subframe pattern>, <application of offset and low interference subframe> performed by the femto cell base station described above, and <uplink of the femto cell HARQ frequency limit>, <induction of interference>, and <power control>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i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ico cell and the macro cell. In addition, the matters described regarding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with respect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femto cell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i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cro cell and the pico cell.

도 20은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어그레서 셀의 하향링크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로서 펨토 셀의 하향링크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2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of a femto cell as an example of a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of an aggregator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우선 펨토 셀은 SON 기능의 지원을 받으면서 설치된다(S2010). 자기 구성(self-configuration)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이 지원된다. 따라서, 펨토 셀의 사용자는 펨토 셀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First, the femto cell is install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ON function (S2010). It has a self-configuration function, and therefore plug and play function is supported. Therefore, the user of the femto cell can easily install the femto cell.

펨토 셀의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을 인식한다(S2020). 자기 최적화(Self-Optimization) 기능에 의해 펨토 셀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정보를 취득해서 인접 기지국 리스트를 최적화하고, 가입자 및 트래픽 변화에 따라서 커버리지와 통신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recognizes the neighbor base station (S2020). Self-Optimization enables femtocell base stations to identify neighbor base stations and obtain information to optimize neighbor base station lists and to optimize coverage and communication capacity according to subscriber and traffic changes.

펨토 셀의 기지국은 펨토 셀의 네트워크 운용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2030). 예를 들어, 펨토 셀 기지국은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서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sets a parameter required for the network operation of the femto cell (S2030). For example, the femto cell base station may configure a subframe pattern that detects the subframe pattern of the downlink transmiss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accordingly minimizes the interference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the macro cell. .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패턴이 상술한 32 프레임, 64 프레임, 128 프레임, 256 프레임 중 어떤 주기를 가지며,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에 대하여 어떤 유형을 가지는지는 펨토 셀의 자기 최적화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인접하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나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펨토 셀은 미리 설정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의 주기와 유형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The subframe pattern used for downlink transmission of a macro cell has any of the above-described 32 frames, 64 frames, 128 frames, and 256 frames, and the type of transmission of a paging message is determined by self-optimization of the femtocell. It may be determined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base station or higher layer signal of an adjacent macro cell. Also, the femto cell may have a period and a type of a preset downlink subframe pattern.

펨토 셀의 기지국은 설정된 서브프레임 패턴으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2040).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in the set subframe pattern (S2040).

도 21은 어그레서 셀 기지국(2110)과 사용자 단말(21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어그레서 셀 기지국(2010)은 프로세서(processor, 2130), 메모리(memory, 214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2120)를 포함한다. 2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ggregator cell base station 2110 and the user terminal 2150. The aggregator cell base station 2010 includes a processor 2130, a memory 2140, and an RF unit 2120.

프로세서(213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40)는 프로세서(213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3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120)는 프로세서(213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Processor 213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2130. The memory 214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3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2130. The RF unit 2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3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radio signal.

사용자 단말(2150)은 프로세서(2170), 메모리(2180) 및 RF부(21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7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1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80)는 프로세서(217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7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160)는 프로세서(217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2150 includes a processor 2170, a memory 2180, and an RF unit 2160. Processor 217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Layers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2170. The memory 218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7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2170. The RF unit 216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7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radio signal.

프로세서(2130, 217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40,218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2120,2160)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s 2130 and 2170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nd /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he memories 2140 and 2180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memory cards,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The RF unit 2120 and 2160 may include a baseband circuit for processing a radio signal.

실시예에서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팸토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패턴을 제한하여,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전송에 간섭이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매크로 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패턴을 제한하여 피코 셀과의 사이에서 간섭의 영향을 줄이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In the embodiment, a method of reducing an influence of interference on downlink transmission of a macro cell by restricting a pattern of a downlink subframe of a femto cell in a heterogeneous network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limiting the pattern of the downlink subframe of the macro cell to reduc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with the pico cell.

본 발명에서 설명한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들은 별도의 물리 제어 채널로도 전송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 혹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규칙 또는 지시에 따라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pper lay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ansmitted in a separate physical control channel, and may be upd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t the request of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r indication. .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xemplary system described above, the methods are described based on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steps, and certain steps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or concurrently with other steps than those described above. Can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s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s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aspects. While it is not possible to describe every possible combination for expressing various aspect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combin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include all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2)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제2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주어지는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한 오프셋을 설정하고; 및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2셀의 서브프레임을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A method of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pattern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Setting an offset for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given to the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a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first cell; And
Setting a subframe of the second cell corresponding to the subframes through which uplink HARQ related signals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as a low interference subframe; How to configure downlink subfram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은,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의 최대 전송 횟수를 감축하고; 및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기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의 최대 전송 횟수 감축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configuration method of the second cell comprises:
Reducing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of uplink HARQ-related signals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And
And setting a subframe in which an uplink grant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duction in the maximum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uplink HARQ-related signal 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상향링크 HARQ 최대 전송 횟수를 1회 감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ximum number of uplink HARQ transmissions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is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는 상향링크 그랜트 신호 혹은 상향링크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한 ACK/NACK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link HARQ-related signal is an ACK / NACK signal for an uplink grant signal or a signal received through up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간섭 서브프레임은,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및 ABS(Almost Blank Subfram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 interference subfram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downlink subframe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 least one of a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and an Almost Blank Subframe (AB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BS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ABS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버프레임 패턴에서 노말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ABS 선호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subframe of the ABS is configured as an ABS preferred subframe,
And if the number of normal subframes in the downlink server 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setting the ABS preferred subframe as a normal sub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MBSFN 선호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버프레임 패턴에서 노말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MBSFN 선호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BSFN subframes is configured as a MBSFN preferred subframe,
And if the number of normal subframes in the downlink server 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the MBSFN preferred subframe is set as a normal sub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과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이 40ms의 서브프레임 패턴인 경우에,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가 4회일 때,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5번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셀의 서브프레임을 노말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and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are subframe patterns of 40 ms.
When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the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is 4, the subframe of the second cell corresponding to subframe 5 of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is normal subframe.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configur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config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이 펨토 셀인 경우에, 상기 펨토 셀의 기지국에서 검출한 상기 제1셀의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펨토 셀의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하는 전송 전력을 감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cell is a femto cell, when the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first cell detect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reducing a transmission power us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femto cell for downlink transmis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이 피코 셀인 경우에, 상기 피코 셀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단말로부터의 전송 신뢰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피코 셀의 기지국이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하는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 구성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ell is a pico cell, when the transmission reliability from the termi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transmission power us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pico cell for downlink transmission Downlink subframe pattern configur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increasing the.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구성하고,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인접하는 제2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상기 제1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주어지는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한 오프셋; 및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셀의 서브프레임에 설정되는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셀의 기지국.
RF (Radio Frequency)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It includes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RF unit,
The processor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is,
An offset for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given to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a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of an adjacent second cell ; And
And a low interference subframe set in a subframe of the first cell corresponding to subframes in which an uplink HARQ related signal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first cell.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셀의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은,
인접하는 제2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당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횟수에 따라서 상기 제1셀의 서브프레임 패턴에 주어지는 상기 제2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 대한 오프셋; 및
상기 제1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상향링크 HARQ 관련 신호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셀의 서브프레임에 설정되는 저간섭(low interference)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셀의 사용자 단말.
RF (Radio Frequency)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It includes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RF unit,
The processor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first cell, and is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ubframe pattern configur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first cell,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is,
An offset of the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second cell given to the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of a paging message per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of an adjacent second cell ; And
And a low interference subframe set in a subframe of the first cell corresponding to subframes in which uplink HARQ related signals and contro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a downlink subframe pattern of the fir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of the first cell.
KR1020100110076A 2010-11-05 2010-11-05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2004844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076A KR20120048446A (en) 2010-11-05 2010-11-05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11/008323 WO2012060638A2 (en) 2010-11-05 2011-11-03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apply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076A KR20120048446A (en) 2010-11-05 2010-11-05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446A true KR20120048446A (en) 2012-05-15

Family

ID=4626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076A KR20120048446A (en) 2010-11-05 2010-11-05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44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9A1 (en) * 2012-07-19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319A1 (en) * 2012-07-19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16601B2 (en) 2012-07-19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2734B2 (en) 2012-07-19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49358B2 (en) 2012-07-19 2019-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777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ase stations and mobile terminals
JP74059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US20230422224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014298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EP2659704B1 (en) Relay-to-relay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548266B1 (en) Ind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resource occupancy mode
US9843416B2 (e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y device
EP2786630B1 (en) Efficient spectrum utilization with almost blank subframes
EP2709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1831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8755325B2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6007790B2 (en) Base station equipment
US20130303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request
US20120071190A1 (en) Base stations and radio devices
WO2011162182A1 (en) Interference reduction method and wireless base station
WO2012059131A1 (en) Handover control for networks with several types of backhaul connections
JP6305481B2 (en) Wireless terminal, processor and base station
JP5444275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20070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patter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48446A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 cell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ardona et al. Enabling technologies for 3GPP LTE-advanced networks
KR20120077474A (en) Method for transmitting, passing and using information of downlink subframe pattern
Wong et al. Inter‐Cell Interference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