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565A -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565A
KR20120047565A KR1020100109212A KR20100109212A KR20120047565A KR 20120047565 A KR20120047565 A KR 20120047565A KR 1020100109212 A KR1020100109212 A KR 1020100109212A KR 20100109212 A KR20100109212 A KR 20100109212A KR 20120047565 A KR20120047565 A KR 2012004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ignal
mobile device
scree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3274B1 (en
Inventor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74B1/en
Publication of KR2012004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5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smart TV control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transmit menu and new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 smart TV to a mobile device, thereby easily selecting a menu by using a touch pad or a cursor. CONSTITUTION: An input signal processing unit(110) processes a smart TV control signal of an input unit(111). A signal transceiving unit(120) transmits the smart TV control signal to a smart TV(200). A receiving signal processing unit(130) displays a received TV signal on a screen. A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210) processes the TV signal. A TV signal transceiving unit(220) receives the smart TV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TV signal. A TV signal processing unit(230) processes the smart TV control signal.

Description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비(Smart TV)를 컨트롤 하되 스마트 티비의 선택메뉴와 각종 선택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스마트 티비의 선택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쌍방향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a smart TV (Mobile TV) using a mobile device (Mobile Device), but the selection menu and various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continuous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way smart TV oper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so that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ly upgraded smart TV can be easily checked and manipulated through a mobile device.

최근 들어, 소정의 영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영상매체인 텔레비젼은 다양한 켄텐츠를 제공하며, 많은 사람들을 이의 사용자로 끌어들이고 있다.In recent years, television, which is an image medium for delivering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to a user, provides various contents and attracts many people to the user.

한편, 소정의 영상정보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이외에도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볼 수 있는 VCR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a method of receiving predetermined video information from a broadcasting station, many people use a VCR that stores video information on a magnetic tape and can view it when a user desires.

현재, 상기 텔레비젼과 VCR의 장점을 합친 디지털 텔레비젼이 보급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 신호를 담아 두는 VCR과 달리 하드디스크에 기억시키는 신개념의 디지털 레코더. 셋톱박스나 TV본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를 내장해 VCR 없이도 HDD용량에 따라 일정시간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차세대 녹화기기이다.Currently, digital television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television and the VCR is spreading. The digital television is a new concept of a digital recorder to be stored in a hard disk, unlike a VCR that stores a video signal on a magnetic tape. Built-in hard disk drive (HDD) in the set-top box or TV body is a next-generation recording device that can record a certain amount of broadcast programs according to the HDD capacity without a VCR.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하드디스크로 정보를 기록하고, PC와 같은 파일재생 방식으로 재생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내부에는 재생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운영체제(OS)와 재생소프트웨어 등을 담은 메모리칩(ROM),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를 포함한다.The digital television records information on a hard disk and reproduces the data by a file reproducing method such as a PC. The digital television includes a memory chip (ROM) containing an operating system (OS) and playback software, a large capacity hard disk, as well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for playback.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기본적인 기능에서는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했다가 본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테이프를 쓰지 않고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테이프 관리가 필요 없고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편집하는게 손쉽다.The digital televis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ideo cassette recorder (VCR) in that the basic function of storing and viewing the program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is. However, since the digital television uses a hard disk instead of a tape, it does not require tape management and it is easy to find or edit a desired part.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은 전화선과 연결돼 최신 방송스케줄을 수시로 전송받아 예약녹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예약녹화 절차는 화면상에서 방송목록을 선택하는 것이 전부일 만큼 간단하다.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할 수 있고 생방송을 보다가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거나 수초~수분 전 장면부터 반복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TV can be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to receive the latest broadcast schedule from time to time to use for reservation recording, the reservation recording process is as simple as selecting the broadcast list on the screen. You can record multiple programs at the same time, stop live broadcasts instantly, or repeat playback from seconds to minutes ago.

또한, 리플레이(replay) 기능을 기본으로 지원하며, 방송 서비스업체와 연계해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방송청취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supports the replay function by default, and it is possible to listen to interactive broadcasts in association with broadcast service compani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젼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제어동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복잡한 키조작이 많다.Therefore, such a digital television requires a variety of control operations for the user, and thus there are many complicated key operations.

도 1은 종래의 리모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모콘은 숫자버튼과 메뉴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디지털 텔레비젼의 다양한 제어동작에 상응하기 위해서, 상기 메뉴버튼을 여러 번 눌러 기능설정을 해야 한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number button and a menu button, and in order to correspond to various control operations of the digital television,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menu button several times to set a function.

특히, 디지털 텔레비젼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제어가 요구되기 때문에 복잡한 버튼누름은 사용자가 디지털 텔레비젼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한다.In particular, since digital television requires interactive control, complicated button presses cause inconvenience for a user to easily operate digital television functions.

즉, 최근의 디지털 텔레비젼(스마트 티비, Smart TV)은 텔레비젼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리모컨의 이용으로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리모컨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경우 정해진 정규 방송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정보가 제공되므로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의 선택도 용이하도록 리모컨이 구비되어야 한다.
That is, the recent digital TV (Smart TV) is limited to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 provided by the TV manufacturer,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separate remote control is provid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gital television, since th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graded instead of transmitting only a regular broadcast, a remote controller must be provided to facilitate selec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티비(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제공되는 메뉴(업그레이드 정보 포함)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터치패드 또는 커서의 이동방식(모바일 디바이스에 마우스 수단 구비)으로 간단하게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 및 조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llows a menu (including upgrade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mart TV (digital televis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TV oper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at allow a user to simply select a desired one by a mobile method (with a mouse means in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상기 스마트 티비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ng system including a smart TV and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the smart TV, comprising: an input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at an input unit; and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smart TV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to a smart TV, and to receive a TV signal from the smart TV; And a reception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nd display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on a screen.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를 구비하는 쌍방향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한다.A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TV signal including a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TV and a smart TV menu; and receiv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nd receiving a TV signal provided from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And a TV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mart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smart TV (smart TV), an input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and a smart TV receiv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mart TV and receiving a TV signal from the smart TV; And a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n a screen.

나아가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의해 컨트롤되는 스마트 티비(smart TV) 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controlled by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TV signal including a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TV and a smart TV menu; A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a TV signal provided from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a mobile device; And a TV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signal transceiver and controlling the smart TV accordingly.

여기서,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이다.Here, the TV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smart TV menu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부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pad screen as an input unit, so that the TV information signal and the smart TV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o operate the input unit in a touch pad manner. Formed,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티비에서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업그레이드해주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receives the upgraded TV signal from the smart TV and processes the upgrad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형성된다.The mobi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ual screen selector, and the TV information and the smart TV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ual screen selector may be displayed only on the mobile device or simultaneously with the mobile device and the smart TV. Is formed.

또한,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TV through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upgraded, and the TV signal transceiver transmits the upgraded TV informat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 한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인 스마트 티비 컨트롤 방법도 제공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on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smart TV, wherein the user selects a menu or a function of a mobile device to set a smart TV control mode. And generat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by a user operating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o the smart TV by the signal transceiving unit after processing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wherei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 signal and a smart TV menu are displayed, and a user also provides a smart TV control method, which is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by selecting a menu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y manipulating an input unit.

본 발명을 활용하면, 스마트 티비의 제어를 위한 메뉴 및 신규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어 터치패드 또는 커서의 이동방식으로 간단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복잡하고 개수가 많은 메뉴를 구비하는 스마트 티비의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By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and new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smart TV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simply select a menu by moving the touch pad or the curso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mart TV having a large number of complicated menus is possible. Can be simplified.

또한, 지속적으로 선택 메뉴 및 정보가 추가되는 스마트 티비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해주므로 메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메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TV that is continuously added to the selection menu and information is regularly upd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vide a menu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menu change.

도 1은 종래의 리모컨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사용을 위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메인화면에서 찾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화면에서 스트림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메인화면에서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메인화면에서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mart TV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smart TV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ain screen for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search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stream control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broadcast guide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replay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mmon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mart TV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이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100)와 스마트 티비(Smart TV, 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시 입력신호 처리부(110), 신호 송수신부(120), 수신신호 처리부(130)를 포함하고, 스마트 티비(200)는 티비정보 처리부(210), 티비신호 송수신부(220), 티비신호 처리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듀얼화면 선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ng system including a smart TV and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the same, and as a whole, a mobile device 100 and a smart TV.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n input signal processor 110, a signal transceiver 120, and a received signal processor 130, and the smart TV 200 includes a TV information processor. 210, a TV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0, a TV signal processing unit 230 is configured.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ual screen selector 1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노트북(NotePC), 스마트폰(smart phone), 일반 휴대폰, PMP, 인터넷 전화, TV 리모콘(TV remote controll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시되지 않은 것이더라도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송수신부를 구비한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용 TV 리모컨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가령, 스마트 폰의 경우는 별도의 티비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해당할 수 있으며, 일반 휴대폰, 인터넷 전화, PMP 등은 자체적으로 구비된 기능에 티비 컨트롤 메뉴를 구비하는 방식이다.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notebook (NotePC), a smart phone (smart phone), a general mobile phone, PMP, Internet phone, TV remote controller (TV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even if not illustrated infrared communication, Zigbee ( Any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such as Zigbee, Wi-Fi, or Bluetooth, can be used.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should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the user to select the own menu or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to set the smart TV control mode, except in the case of a dedicated TV remote contro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a separate TV control application may correspond, and a general mobile phone, an Internet phone, and a PMP may have a TV control menu in their own function.

또한, 스마트 티비(200)는 최근 각광받는 디지털 텔레비젼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내부 메뉴 등이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되어 텔레비젼에 구비된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면 활용이 가능하다. 물론, 아날로그 티비라도 별도로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셋탑 박스와 연결되어 셋탑 박스에서 아날로그 티비로 신호 변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셋탑 박스와 연동하여 활용하는 방식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 TV 200 generally refers to a digital TV that is in the spotlight, and the internal menu is stored digitally, and the infrared communication, Zigbee, Wi-Fi, Bluetooth, etc. provided in the TV are provided. If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an be utilized. Of course, even if the analog TV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of the digital method provided separately, if the signal can be converted from the set-top box to the analog TV includes a method of utilizing the mobile device 100 in conjunction with the set-top box.

이하에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스마트 티비(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상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smart TV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10)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스마트 티비(200)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11)는 터치패드스크린, 버튼 입력방식, 마우스 수단 등 다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방식이 혼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터치패드스크린 방식이나 마우스 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The input signal processor 110 processes a smart TV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1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V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11 may be various, such as a touch pad screen, a button input method, a mouse means, and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methods may be mixed. Preferably, a touch pad screen or a mouse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00 to move the cursor.

스마트 티비의 경우는 티비를 조작하는 메뉴가 매우 많아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리모컨을 이용한 버튼 방식의 조작으로는 메뉴의 선택이 복잡하고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복잡한 메뉴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간단한 표 형식(예시임)으로 정리하여 화면의 터치 또는 커서의 이동을 통해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1)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smart TVs, there are many menus for manipulating the TV. Since the selection of the menus can be complicated and difficult with the button-based operation using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This is an example to simplify the selection by touching the screen or moving the cursor. The mobile devic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pad screen as an input unit 111, and the TV information signal and the smart TV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200 to the mobile device 10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fter being display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unit is formed to be manipulated by a touch pad method.

상기 신호 송수신부(120)는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200)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서 인출되는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호 송수신부(120)는 무선통신수단에 해당하며, 이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스마트 티비(200)에는 여러 무선통신수단 중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것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도록 해야 한다.The signal transceiving unit 120 transmits a smart TV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110 to the smart TV 200, and serves to receive a TV signal from the smart TV 200. That is,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0 correspond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ich may correspond to infrared communication, Zigbee, Wi-Fi, Bluetooth, etc., smart TV 200, 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at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100.

상기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이다. 티비 신호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스마트 티비에 콘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프레임(Frame)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스마트 티비 메뉴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티비 정보신호(각종 광고, 홈쇼핑 정보, 최근 인기 영화 등 소비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티비 신호는 콘텐츠 제공 업체마다 상이한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를 포함하게 된다.The received signal processor 130 is a devic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The TV signal is composed of a TV information signal and a smart TV menu, which is a frame provided by a company that provides content to the smart TV. The frame is configured and transmitted. The TV signal includes a menu frame and a TV information signal that is different for each content provider si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signal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that induces a click of a consumer such as various advertisements, home shopping information, and recent popular movies).

그러므로, 수신신호 처리부(130)에는 각 콘텐츠 제공 업체별로 구비된 프레임의 형식을 본 발명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을 설정(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기능 선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함)한 후, 각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메뉴 프레임을 본 발명인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으로 변환처리하는 장치로 수신신호 처리부(130)를 구비한다. 물론,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미리 다양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와 관련한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특정 콘텐츠 업체의 전용 리모컨인 경우에는 해당 업체의 메뉴 프레임만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ception signal processor 130 should convert the format of the frame provided for each content provider into a menu frame to be utilized in the mobi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after setting a menu frame to be utilized in the mobile device 100 (which can be changed in a manner desired by a user in selecting a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the inventors select a menu frame provided by each content provider.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d processing a menu frame to be utilized by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reception signal processor 130. Of course, the reception signal processor 130 should include data related to menu frames and TV information signals of various content providers and menu frames to be utilized by the mobile device 100 in advance. Of course, in case of a dedicated remote control of a specific content company, only the menu frame of the corresponding company may be provided.

또한,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티비(200)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화면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V information signal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and received by the smart TV 200 is continuously upgraded, and the TV signal transceiver 220 continuously transmits the upgraded TV informat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100.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must continuously upgrade the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by processing and receiving the upgraded TV signal. Therefore,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continuously changed.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14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형성되도록 선택하는 수단이다. 즉, 스마트 티비(200)의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조작하게 되면 통상 티비의 화면에도 메뉴 프레임이 나타나고 특정 기능의 선택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특정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는 리모컨의 화면에만 메뉴 프레임이 나오는 것으로 충분히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dual screen selector 140 selects the TV information and the smart TV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o be displayed only on the mobile device or simultaneously with the mobile device and the smart TV. That is, when the mobile device 100 is operated while a specific program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V 200, a menu frame is gener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V and shows a process of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However, while a particular program is displayed, the menu frame only appears on the screen of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menu frame.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210)는 콘텐츠 업체에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로 구성된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수신된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기 좋은 형태로 처리하게 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신호 처리부(130)는 미리 다양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와 관련한 데이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메뉴 프레임과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티비정보 처리부(210)에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신호 처리부(130)에 구비된 콘텐츠 제공 업체의 메뉴 프레임 및 티비 정보신호에 상응하게 티비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처리 없이 단순히 신호화하여 전송하여 수신신호 처리부(130)에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is configured to process a TV signal consisting of a TV information signal and a smart TV menu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to the smart TV, it is good to transmit the received TV signal to the mobile device 100 Will be processed in the form. That is, since the reception signal processor 130 of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data related to menu frames and TV information signals of various content providers in advance and data related to menu frames to be utilized in the mobile device 100,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processes the TV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nu frame and the TV information signal of the content provider provided in the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30 of the mobile device 10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received signal processing unit 130 at once by simply signaling and transmitting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인출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210)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는 무선통신수단에 해당하며, 이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여러 무선통신수단 중 스마트 비티(200)에 구비된 것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도록 해야 한다.The TV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0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TV signal provided from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0 to the mobile device (100). That is, the TV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0 correspond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ich may correspond to infrared communication, Zigbee, Wi-Fi, Bluetooth, etc., the mobile device 100 Among th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at provided in the smart Beat 200.

상기 티비신호 처리부(230)는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20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스마트 티비(200)의 제어는 화면설정, 채널변경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적용 가능 기능에는 제한이 없다.
The TV signal processing unit 230 i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20 and controls the smart TV 200 accordingly. The control of the smart TV 200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such as screen setting and channel change,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applicable function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smart TV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활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사용을 위한 메인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메인화면에서 찾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화면에서 스트림제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메인화면에서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메인화면에서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to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tiliz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main screen for using the touch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earch on the main scree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menu is selecte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stream control menu is selected on a main scree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a broadcast guide menu is selected on a main scree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replay menu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이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ng method including a smart TV and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the same.

스마트 티비의 조작을 위해,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S10). 물론, 전용 티비 리모컨인 경우에는 본 과정은 불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도 상정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본 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20).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되고, 전송된 제어신호를 티비신호 송수신부가 수신한 후 티비신호 처리부에서 신호를 처리한 후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게 된다(S30).In order to operate the smart TV, the user first sets the smart TV control mode by selecting a menu or a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S10). Of course, in the case of a dedicated TV remote control, this process is not necessar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other mobile devices are also assumed, and thus generally go through this step. Next, the user generates a smart TV control signal by operating the in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S20). After the input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V by the signal transceiver. After receiving the transmitted signal from the TV signal transmitter, the TV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signal. It will be controlled (S30).

이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티비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TV information signal and the smart TV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manipulates an input unit to display the menu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elect to generate a smart TV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드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며 커서를 이동하여 조작이 가능한 마우스 수단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is preferably a touch pad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ouse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moving the cursor.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활용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도시된 메뉴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4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menu frame shown on a screen of a mobile device.

도 4에서 보듯이 메뉴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기본메뉴, 기본제어, 찾기, 스트림 제어, 방송 안내, VOD재생, 다시보기, 홈쇼핑, 도움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중간 부분에 커서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enu frame includes a basic menu, a basic control, a finder, a stream control, a broadcast guide, a VOD play, a replay, a home shopping, and a help, and the cursor is located in the middle.

도 5는 커서를 이동하여 찾기 메뉴을 선택한 것으로(선택은 터치패드스크린, 마우스 수단 등 다양한 방식 이용 가능), 찾기 항목(타이틀, 배우, 감독, 전체찾기)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으며, 항목에 검색을 원하는 키워드를 설정하면 콘텐츠 제공업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항목의 검색이 가능하다.FIG. 5 shows that a search menu is selected by moving a cursor (selection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ouch pad screen and a mouse means), and a search item (title, actor, director, global search)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you set the keyword you want to search, you can search the items stored in the content provider's hard disk.

도 6은 커서를 이동하여 스트림 제어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스트림 제어는 현재 디지털 티비에서 재생되는 영화 등의 화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플레이, 스탑, 앞으로 감기, 뒤로감기, 녹화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6 is a stream control menu selected by moving the cursor. The stream control enables screen manipulation of a movie currently being played on a digital TV, and utilizes various functions such as replay, stop, fast forward, rewind, and recording. It is possible.

도 7은 커서를 이동하여 방송안내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전송될 방송이 시간대별로 정리되어 화면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 방송을 선택하여 예약, 녹화 등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FIG. 7 shows that the broadcasts to be transmitted are arranged by time zon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by moving the cursor and selecting the broadcast guide menu. Here, you can select each broadcast to use the reservation, recording, and other functions.

도 8은 커서를 이동하여 다시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공중파와 케이블로 상위 항목이 분할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물론, 공중파,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하위 메뉴를 볼 수 있다.
8 is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cursor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replay menu, and it can be seen that upper items are divided and displayed by airwaves and cables. Of course, you can select either over-the-air or cable to view the submenu.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입력신호 처리부
111 : 입력부
120 : 신호 송수신부
130 : 수신신호 처리부
200 : 스마트 티비
210 : 티비정보 처리부
220 : 티비신호 송수신부
230 : 티비신호 처리부
100: mobile device
110: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111: input unit
120: signal transceiver
130: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200: smart TV
210: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30: TV signal processing unit

Claims (9)

스마트 티비(smart TV)와 상기 스마트 티비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를 구비하는 쌍방향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ng system including a smart TV and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the smart TV.
An inpu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at the input unit;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to a smart TV and receiving a TV signal from the smart TV; And
And a received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on a screen.
A TV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TV signal including a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TV and a smart TV menu;
A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a TV signal provided from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the mobile device; And
And a TV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mart TV accordingly.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티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s a mobile device (mobile device) that can operate the smart TV (smart TV),
An inpu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at the input unit;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signal processor to a smart TV and receiving a TV signal from the smart TV; And
And a received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on a screen.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의해 컨트롤되는 스마트 티비(smart TV) 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를 포함하는 티비 신호를 처리하는 티비정보 처리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로부터 제공받는 티비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티비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이에 따라 스마트 티비를 제어하는 티비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비.
Regarding a smart TV controlled by a mobile device,
A TV inform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TV signal including a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TV and a smart TV menu;
A TV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a TV signal provided from the TV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a mobile device; And
And a TV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 smart TV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signal transceiver and control the smart TV accordingly.
제2항에 있어서,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형식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TV information signal and the smart TV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re in a forma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부로 터치패드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후 터치패드 방식으로 입력부를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pad screen as an input unit,
A mobile device, wherein the TV inform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smart TV menu ar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touch unit is operable to operate the inpu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 티비에서 업그레이드된 티비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사항을 업그레이드해주는 방식인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device is a method for upgrad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by processing after receiving the upgraded TV signal from the smart TV.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듀얼화면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듀얼화면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티비 정보 및 스마트 티비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스마트 티비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형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dual screen selection unit,
The mobile information and the smart TV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ual screen selection unit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ly on the mobile device or simultaneously with the mobile device and the smart TV.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비정보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스마트 티비에 수신되는 티비 정보신호는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티비신호 송수신부는 업그레이드된 티비 정보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스마트 티비.
The method of claim 3,
The TV information signal received by the smart TV through the TV information processor is upgraded, and the TV signal transceiver transmits the upgraded TV information signal to the mobile device.
스마트 티비(smart TV)의 조작이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를 이용한 스마트 티비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체 메뉴 또는 기능을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컨트롤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가 발생시킨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입력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후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스마트 티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스마트 티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된 티비 정보신호와 스마트 티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스마트 티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인 스마트 티비 컨트롤 방법.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V operating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smart TV.
Setting a smart TV control mode by a user selecting a menu or a function of a mobile device;
Generating a smart TV control signal by a user operating an in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And
And transmitting the smart TV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to the smart TV by the signal transceiver after processing the input signal processor.
The TV information signal and the smart TV menu transmitted from the smart TV to the mobil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generates a smart TV control signal by selecting a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y operating an input unit. How to control smart TV.
KR1020100109212A 2010-11-04 2010-11-04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193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en) 2010-11-04 2010-11-04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en) 2010-11-04 2010-11-04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565A true KR20120047565A (en) 2012-05-14
KR101193274B1 KR101193274B1 (en) 2012-10-19

Family

ID=4626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12A KR101193274B1 (en) 2010-11-04 2010-11-04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7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274B1 (en)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837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US8429696B2 (en) Multimedia presentation resumption within an environment of multiple presentation systems
KR102023609B1 (en) Content share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0341711B2 (en) Remote controller device with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and video display
US11716497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CN113259741B (en) Demonstr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classical viewpoint of episode
US201000235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erforming content display control, control method, and video display system
US20100241967A1 (en) Setting and modifying method of user operating interface for use in digital audio/video playback system
CN10169021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20194741A1 (en) Display apparatus connected with at least one device via integrated wire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7497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020259A1 (en) Display device
KR20130081182A (en) Apparatus of processing a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JP2014082722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KR20120023420A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reof
KR101990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service
US8561111B2 (en) Video processor, television display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1193274B1 (en) Smart TV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90013355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4948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1968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436088Y1 (en) Settop box with customized multimedia data synchronization function
KR201000093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mmercial data in ip broadcasting receiver
KR102141046B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30073332A (en) Multi-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