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633A -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633A
KR20120042633A KR1020110083247A KR20110083247A KR20120042633A KR 20120042633 A KR20120042633 A KR 20120042633A KR 1020110083247 A KR1020110083247 A KR 1020110083247A KR 20110083247 A KR20110083247 A KR 20110083247A KR 20120042633 A KR20120042633 A KR 2012004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unsubstituted
compound
mmo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님
이수용
안희춘
김영길
서미란
조영준
권혁주
이경주
김봉옥
Original Assignee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filed Critical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Priority to JP201352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537556A/ja
Priority to PCT/KR2011/006314 priority patent/WO2012026780A1/en
Priority to CN2011800519605A priority patent/CN103189469A/zh
Priority to TW100130844A priority patent/TW201213504A/zh
Publication of KR2012004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6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7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ther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09K2211/1051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with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을 정공수송재료 또는 정공주입재료로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는 기존 재료에 비해 발광 효율이 좋고 재료의 수명특성이 뛰어나 소자의 구동수명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력효율의 상승을 유도하여 소비전력이 개선된 OLED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공수송재료 또는 정공주입재료로서 사용되는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는 비발광형 표시소자로 소비전력이 적고 가볍긴 하지만, 소자 구동 시스템이 복잡하고 응답시간, 콘트라스트 등의 특성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로 주목받고 있는 유기전기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시 소자 중, 전기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device)는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사에서는 발광층 형성용 재료로서 저분자인 방향족 디아민과 알루미늄 착물을 이용하고 있는 유기 EL 소자를 처음으로 개발하였다[Appl. Phys. Lett. 51, 913, 1987].
유기 EL 소자의 발광 매커니즘은 전자 주입 전극(음극) 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막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방출한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이나 무기 EL 디스플레이에 비해 낮은 전압에서 (10V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 유기재료는 크게 발광재료와 전하수송재료로 나눌수 있다. 발광재료는 발광색 및 발광효율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데, 요구되는 몇 가지 특성으로는 고체상태에서 형광 양자 수율이 커야하고,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가 높아야 하며, 진공 증착시 쉽게 분해되지 않아야 하고, 균일한 박막을 형성, 안정해야한다.
한편, 정공 주입 및 수송 재료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NPB, TPD, MTDATA(4, 4', 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등이 있다. 이러한 물질을 정공 주입 및 수송층에 포함시킨 소자는 효율 및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유기 EL 소자를 높은 전류에서 구동하게 되면, 양극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서 열 스트레스(Thermal stress)가 발생하고, 이러한 열 스트레스에 의해 소자의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공 주입층에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정공의 운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정공과 전자의 전하 밸런스(hole-electron charge balance)가 깨지고 이로 인해 양자 효율(cd/A)이 낮아지게 된다.
유기 EL소자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박막 안정성이 양호한 화합물과 비결정성이 높은 화합물일수록 박막 안정성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때 비결정성의 지표로서 유리전이점(Tg)이 사용된다. 기존의 MTDATA의 유리전이온도는 76℃로서 비결정성이 높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재료들은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면에서, 또한 정공주입, 수송의 특성에 기인하는 발광효율에서도 만족스러운 특성을 얻지 못하였다.
Appl. Phys. Lett. 51, 913, 198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정공주입 또는 정공전달 재료보다 발광 효율 및 소자 수명이 좋은 우수한 골격의 유기 발광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을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전달층에 채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전달층에 포함되어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추면서 발광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고리 및 C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2
이며;
B고리는
Figure pat00003
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O-, -S-, -C(R11R12)-, -Si(R13R14)- 또는 -N(R15)-이고, 단 Y1 및 Y2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실릴, 시아노, 나이트로 또는 하이드록실이고, R1 또는 R2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렌이고, 단 L이 복수인 경우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Figure pat00004
이며;
Y3 및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O-, -S-, -C(R16R17)-, -Si(R18R19)- 또는 -N(R20)-이고, 단 Y3 및 Y4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11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m 및 n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각각의 R1 및 L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p가 2인 경우 각각의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알킬’ 및 그 외 ‘알킬’ 부분을 포함하는 치환체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하고, ‘시클로알킬’은 단일 고리계 뿐만 아니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다만틸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30)바이시클로알킬과 같은 여러 고리계 탄화수소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페닐, 나프틸, 비페닐, 터페닐, 안트릴, 인데닐(indenyl), 플루오레닐, 페난트릴, 트리페닐레닐, 피렌일, 페릴렌일, 크라이세닐, 나프타세닐, 플루오란텐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나프틸은 1-나프틸 및 2-나프틸을 포함하며, 안트릴은 1-안트릴, 2-안트릴 및 9-안트릴을 포함하며, 페난트릴은 1-페난트릴, 2-페난트릴, 3-페난트릴, 4-페난트릴, 9-페난트릴을 포함하며, 나프타세닐은 1-나프타세닐, 2-나프타세닐, 9-나프타세닐을 포함하며, 피렌일은 1-피렌일, 2-피렌일, 4-피렌일을 포함하며, 비페닐은 2-비페닐, 3-비페닐, 4-비페닐을 포함하며, 터페닐은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을 포함하며, 플루오레닐은 1-플루오레닐, 2-플루오레닐, 3-플루오레닐, 4-플루오레닐 및 9-플루오레닐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로서 B, N, O, S, P, P(=O), Si 및 Se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가 탄소인 아릴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5 내지 6원 단환 헤테로아릴, 및 하나 이상의 벤젠 환과 축합된 다환식 헤테로아릴이며, 부분적으로 포화될 수도 있다.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고리내 헤테로원자가 산화되거나 사원화되어, 예를 들어 N-옥사이드 또는 4차 염을 형성하는 2가 아릴 그룹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퓨릴, 티오펜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진일, 테트라진일, 트리아졸릴, 퓨라잔일, 피리딜, 피라진일, 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 등의 단환 헤테로아릴, 벤조퓨란일, 벤조티오펜일, 다이벤조퓨란일, 다이벤조티오페닐, 이소벤조퓨란일,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이소티아졸릴, 벤조이속사졸릴, 벤조옥사졸릴, 이소인돌릴, 인돌릴, 인다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카바졸릴, 페난트리딘일, 벤조디옥솔릴, 아크리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싸이아지닐, 페녹사지닐 등의 다환식 헤테로아릴 및 이들의 상응하는 N-옥사이드(예를 들어, 피리딜 N-옥사이드, 퀴놀릴 N-옥사이드), 이들의 4차 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롤릴은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을 포함하며, 피리딜은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을 포함하며, 인돌릴은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4-인돌릴, 5-인돌릴, 6-인돌릴, 7-인돌릴을 포함하며, 이소인돌릴은 1-이소인돌릴, 2-이소인돌릴, 3-이소인돌릴, 4-이소인돌릴, 5-이소인돌릴, 6-이소인돌릴, 7-이소인돌릴을 포함하며, 퓨릴은 2-퓨릴, 3-퓨릴을 포함하며, 벤조퓨란일은 2-벤조퓨란일, 3-벤조퓨란일, 4-벤조퓨란일, 5-벤조퓨란일, 6-벤조퓨란일, 7-벤조퓨란일을 포함하며, 이소벤조퓨란일은 1-이소벤조퓨란일, 3-이소벤조퓨란일, 4-이소벤조퓨란일, 5-이소벤조퓨란일, 6-이소벤조퓨란일, 7-이소벤조퓨란일을 포함하며, 퀴놀릴은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6-퀴놀릴, 7-퀴놀릴, 8-퀴놀릴을 포함하며, 이소퀴놀릴은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6-이소퀴놀릴, 7-이소퀴놀릴, 8-이소퀴놀릴기을 포함하며, 퀴녹살리닐은 2-퀴녹살리닐, 5-퀴녹살리닐, 6-퀴녹살리닐을 포함하며, 카바졸릴은 1-카바졸릴, 2-카바졸릴, 3-카바졸릴, 4-카바졸릴, 9-카바졸릴을 포함하며, 페난트리딘일은 1-페난트리딘일, 2-페난트리딘일, 3-페난트리딘일, 4-페난트리딘일, 6-페난트리딘일, 7-페난트리딘일, 8-페난트리딘일, 9-페난트리딘일, 10-페난트리딘일을 포함하며, 아크리디닐은 1-아크리디닐, 2-아크리디닐, 3-아크리디닐, 4-아크리디닐, 9-아크리디닐을 포함하며, 페난트롤리닐은 1,7-페난트롤린-2-일기, 1,7-페난트롤린-3-일기, 1,7-페난트롤린-4-일기, 1,7-페난트롤린-5-일기, 1,7-페난트롤린-6-일기, 1,7-페난트롤린-8-일기, 1,7-페난트롤린-9-일기, 1,7-페난트롤린-10-일기, 1,8-페난트롤린-2-일기, 1,8-페난트롤린-3-일기, 1,8-페난트롤린-4-일기, 1,8-페난트롤린-5-일기, 1,8-페난트롤린-6-일기, 1,8-페난트롤린-7-일기, 1,8-페난트롤린-9-일기, 1,8-페난트롤린-10-일기, 1,9-페난트롤린-2-일기, 1,9-페난트롤린-3-일기, 1,9-페난트롤린-4-일기, 1,9-페난트롤린-5-일기, 1,9-페난트롤린-6-일기, 1,9-페난트롤린-7-일기, 1,9-페난트롤린-8-일기, 1,9-페난트롤린-10-일기, 1,10-페난트롤린-2-일기, 1,10-페난트롤린-3-일기, 1,10-페난트롤린-4-일기, 1,10-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1-일기, 2,9-페난트롤린-3-일기, 2,9-페난트롤린-4-일기, 2,9-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6-일기, 2,9-페난트롤린-7-일기, 2,9-페난트롤린-8-일기, 2,9-페난트롤린-10-일기, 2,8-페난트롤린-1-일기, 2,8-페난트롤린-3-일기, 2,8-페난트롤린-4-일기, 2,8-페난트롤린-5-일기, 2,8-페난트롤린-6-일기, 2,8-페난트롤린-7-일기, 2,8-페난트롤린-9-일기, 2,8-페난트롤린-10-일기, 2,7-페난트롤린-1-일기, 2,7-페난트롤린-3-일기, 2,7-페난트롤린-4-일기, 2,7-페난트롤린-5-일기, 2,7-페난트롤린-6-일기, 2,7-페난트롤린-8-일기, 2,7-페난트롤린-9-일기, 2,7-페난트롤린-10-일기을 포함하며, 페나지닐은 1-페나지닐, 2-페나지닐을 포함하며, 페노싸이아지닐은 1-페노싸이아지닐, 2-페노싸이아지닐, 3-페노싸이아지닐, 4-페노싸이아지닐, 10-페노싸이아지닐을 포함하며, 페녹사지닐은 1-페녹사지닐, 2-페녹사지닐, 3-페녹사지닐, 4-페녹사지닐, 10-페녹사지닐을 포함하며, 옥사졸릴은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을 포함하며, 옥사디아졸은 2-옥사디아졸릴, 5-옥사디아졸릴을 포함하며, 퓨라잔일은 3-퓨라잔일을 포함하며, 다이벤조퓨란일은 1-다이벤조퓨란일, 2-다이벤조퓨란일, 3-다이벤조퓨란일, 4-다이벤조퓨란일을 포함하며, 다이벤조싸이오페닐은 1-다이벤조싸이오페닐, 2-다이벤조싸이오페닐, 3-다이오벤조싸이오페닐, 4-다이오벤조싸이오페닐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C1-C30)알킬 또는 (C6-C30)아르(C1-C30)알킬‘기의 알킬은 (C1-C20)알킬 또는 (C1-C10)알킬을 포함하고, ‘(C6-C30)아릴 및 (C6-C30)아르(C1-C30)알킬‘기의 아릴은 (C6-C20)아릴 또는 (C6-C12)아릴을 포함한다. ’(C2-C30)헤테로아릴‘기는 (C2-C20)헤테로아릴 또는 (C2-C12)헤테로아릴을 포함하고, ’(C3-C30)시클로알킬‘기는 (C3-C20)시클로알킬 또는 (C3-C7)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3-C30)알킬렌 또는 알케닐렌‘기는 (C3-C20)알킬렌 또는 알케닐렌, (C3-C10)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이라는 기재에서 ‘치환’은 비치환된 치환기에 더 치환되는 경우를 뜻하며, 상기 R1, R2, R3, L, Ar1, Ar2 및 R11 내지 R20에 더 치환되는 치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중수소, 할로겐, 할로겐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C3-C30)시클로알킬, 방향족고리가 하나 이상 융합된 (C6-C30)시클로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Figure pat00005
, 시아노, 카바졸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OR21, -SR22, -NR23R24, -PR25R26, -SiR27R28R29, 나이트로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Y11 및 Y1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C(R31R32)-, -O-, -S- 또는 -N(R33)-이고, 단 Y11 및 Y12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21 내지 R3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알킬, (C6-C30)아릴,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3-C30)시클로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고리는
Figure pat00006
으로, 인돌린 고리에 융합되어 있고 6원의 방향족고리 또는 6원의 질소 함유 헤테로방향족고리이고, B고리는
Figure pat00007
으로, A고리에 융합되어 있고 5원 또는 6원의 고리이고, C고리는
Figure pat00008
으로, B고리에 융합되어 있고 6원의 방향족고리 또는 6원의 질소 함유 헤테로방향족고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Figure pat00009
은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상기 구조에서, R2, R11 내지 R15 및 p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L은 (C6-C30)아릴렌이고;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6-C30)아릴, (C2-C30)헤테로아릴,
Figure pat00016
또는
Figure pat00017
이고; Y3 및 Y4는 서로 독립적으로 -O-, -S-, -C(R16R17)- 또는 -N(R20)-이고; R16, R17 및 R20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알킬, (C6-C30)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R16과 R17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는 수소, (C6-C30)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또는
Figure pat00020
으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L의 아릴렌, Ar1 및 Ar2의 아릴, 헤테로아릴, R16 , R17 및 R20의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R1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각각 중수소, 할로겐, 할로겐이 치환 또는(C6-C30)아릴, 비치환된 (C1-C30)알킬, (C6-C30)아릴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Figure pat00021
, 카바졸릴, -NR23R2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Y11 및 Y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31R32)-, -O-, -S- 또는 -N(R30)-이고; R23, R24, R31, R32 및 R3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알킬, (C6-C30)아릴 또는 (C2-C30)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화합물로서 예시될 수 있으나, 하기 화합물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으나, 하기 반응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58
[상기 반응식 1에서 A, B, C, R1, L, Ar1, Ar2, m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은 정공주입재료 또는 정공수송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을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에 사용하는 경우 전력효율의 상승을 유도하여 소비전력이 개선된 OLED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1층 이상의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이 포함된 층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이 포함된 층 이외에 발광층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층은 하나 이상의 도판트 또는 호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적용되는 도판트 또는 호스트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기 화학식 2 내지 6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M 1 L 101 L 102 L 103
상기 화학식 2에서,
여기서 M1은 Ir, Pt, Pd 및 O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리간드 L101, L102 및 L103 는 서로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로부터 선택되어진다.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R201 내지 R20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30)알킬, (C1-C30)알킬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30)아릴 또는 할로겐이고;
R204 내지 R2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3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C1-C30)알킬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C6-C30)아릴아미노, SF5,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C1-C30)알킬실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디(C1-C30)알킬(C6-C30)아릴실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C6-C30)아릴실릴, 시아노 또는 할로겐이고;
R220 내지 R22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30)알킬 또는 (C1-C30)알킬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30)아릴이고;
R224 및 R22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또는 할로겐이거나, R224와 R225는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3-C12)알킬렌 또는 (C3-C12)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며;
R22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30)헤테로아릴 또는 할로겐이고;
R227 내지 R229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또는 할로겐이고;
Q는
Figure pat00063
,
Figure pat00064
또는
Figure pat00065
이며, R231 내지 R24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30)알킬, (C1-C30)알콕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 또는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R207 또는 R208과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포화 또는 불포화의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66
[상기 화학식 3에서,
Z는 -O-, -S-, -C(R41R42)-, -Si(R43R44)- 또는 -N(R45)-이고;
D고리 및 F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67
이며;
E고리는
Figure pat00068
이고;
Y21 내지 Y22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Y23 내지 Y24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O-, -S-, -C(R41R42)-, -Si(R43R44)- 또는 -N(R45)-이며; 단 Y23 및 Y24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고;
R31 및 R32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르(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아릴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C6-C30)아릴실릴기, 시아노, 나이트로, 하이드록시이고, 인접한 치환체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알킬렌 또는 (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41 내지 R4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이거나 인접한 치환기들이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r 또는 q는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각각의 R31 및 R3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인접한 치환기들이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화학식 4]
( Cz - L 2 ) a -M
[화학식 5]
( Cz ) b - L 2 -M
[상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에서,
Cz는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고,
Figure pat00069
G고리는 (C6-C30)지방족 고리, (C6-C30)방향족 고리 또는 (C2-C30)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R51 내지 R5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이 하나 이상 융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르(C1-C30)알킬, 시아노, 나이트로, 하이드록시, -BR61R62, -PR63R64, -P(=O)R65R66, R67R68R69Si-, -NR70R71, -YR72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형성된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의 탄소 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될 수 있고; 각각의 R52 또는 R53 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Y는 O 또는 S이고;
R61 내지 R7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이 하나 이상 융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C6-C30)아르(C1-C30)알킬, 시아노, 나이트로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L2은 화학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고;
M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고;
a 내지 d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화학식 6]
Figure pat00070
[상기 화학식 6에서,
A1 내지 A19는 각각 독립적으로 CR81 또는 N이고;
X는 -C(R82R83)-, -N(R84)-, -S-, -O-, -Si(R85)(R86)-, -P(R87)-, -P(=O)(R88)- 또는 -B(R89)-이며;
A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40)아릴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40)헤테로아릴렌이고, 단, e가 0이면서 A15 내지 A19가 동시에 CR81인 경우는 제외하며;
R81 내지 R8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이 하나이상 융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C3-C30)시클로알킬, 시아노, 트리플루오르메틸, -NR91R92, -BR93R94, -PR95R96, -P(=O)R97R98, R99R100R101Si-, R102Y21-, R103C(=O)-, R104C(=O)O-,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알키닐, 카르복실, 나이트로, 하이드록시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3-C30)알킬렌 또는 (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 방향족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91 내지 R98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고;
R99 내지 R101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이며;
Y21는 S 또는 O이고;
R10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이며;
R103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옥시이고;
R10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옥시이며;
e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6에 기재되어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이라는 기재에서 ‘치환’은 비치환된 치환기에 더 치환되는 경우를 뜻하는 것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와 동일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 내지 6은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을 포함하고, 동시에 아릴아민계 화합물 또는 스티릴아릴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릴아민계 화합물 또는 스티릴아릴아민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특허출원 제10-2008-0060393호의 식별번호<212> 내지 <224>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유기물층에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 이외에 1족, 2족, 4주기, 5주기 전이금속, 란탄계열금속 및 d-전이원소의 유기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착체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 및 전하생성층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서브픽셀로 하고, Ir, Pt, Pd, Rh, Re, Os, Tl, Pb, Bi, In, Sn, Sb, Te, Au 및 A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서브픽셀 하나 이상을 동시에 병렬로 패터닝한 독립발광방식의 픽셀구조를 가진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물층에 상기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이외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발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층 하나 이상을 동시에 포함하여 백색 발광을 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녹색 또는 적색 발광을 하는 화합물은 출원번호 제10-2008-0123276호, 제10-2008-0107606호 또는 제10-2008-0118428호에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내측표면에, 칼코제나이드(chalcogenide)층, 할로겐화 금속층 및 금속 산화물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일층(이하, 이들을 "표면층"이라고 지칭함) 이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매체층 측의 양극 표면에 규소 및 알루미늄의 금속의 칼코제나이드(산화물을 포함한다)층을, 또한 발광매체층 측의 음극 표면에 할로겐화 금속층 또는 금속 산화물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구동의 안정화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칼코제나이드로서는 예컨대 SiOx(1≤X≤2), AlOX(1≤X≤1.5), SiON, SiAlON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할로겐화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LiF, MgF2, CaF2, 불화 희토류 금속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Cs2O, Li2O, MgO, SrO, BaO, CaO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이렇게 제작된 한 쌍의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전자 전달 화합물과 환원성 도판트의 혼합 영역 또는 정공 전달 화합물과 산화성 도판트의 혼합 영역을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전달 화합물이 음이온으로 환원되므로 혼합 영역으로부터 발광 매체에 전자를 주입 및 전달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정공 전달 화합물은 산화되어 양이온으로 되므로 혼합 영역으로부터 발광 매체에 정공을 주입 및 전달하기 용이해진다. 바람직한 산화성 도판트로서는 각종 루이스산 및 억셉터(acceptor)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환원성 도판트로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류 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원성 도판트층을 전하생성층으로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가진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화합물을 정공수송재료 또는 정공주입재료로서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효율이 좋고 재료의 수명특성이 뛰어나 소자의 구동수명이 매우 우수하며, 전력효율의 상승을 유도하여 소비전력이 개선된 OLED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대표 화합물을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소자의 발광특성을 설명하나, 이는 단지 그 실시 양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화합물 1의 제조
Figure pat00103
화합물 1-1 의 제조
2-아이오도벤젠 30g(120.4mmol), 4-브로모페닐보로닉산 26g(132.5mmol), Pd(PPh3)4 6.9g(6.02mmol), 2M Na2CO3 150mL, 톨루엔 500mL에 넣고 100℃에서 가열하였다. 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증류수로 씻어 주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1 28g(100.68mmol, 83,33%) 을 얻었다.
화합물 1-2 의 제조
화합물 1-1 28g(100.68mmol) 을 트리에틸포스파이트 300mL 에 섞고 15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뒤 감압 증류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2 11g(44.69mmol, 44.38%) 을 얻었다.
화합물 1-3 의 제조
화합물 1-2 30g(101.29mmol), 아이오도벤젠 41.3g(202.59mmol), CuI 9.6g(50.64mmol), Cs2CO3 82.5g(253.2mmol), 톨루엔 600mL 을 섞고 50℃에서 가열한 뒤, 에틸렌다이아민 6.8mL(101.29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3 32g(85.96mmol, 84.86%) 을 얻었다.
화합물 1-4 의 제조
화합물 1-3 32g(85.96mmol) 을 THF 300mL 에 녹이고 -78℃에서 n-부틸리튬 37.8mL(94.55mmol, 2.5M in hexane)을 천천히 넣었다. 1시간 후 트리메틸보레이트 12.4mL(111.7mmol)을 넣었다.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4 20g(59.31mmol, 69.00%) 을 얻었다.
화합물 1-5 의 제조
화합물 1-4 20g(59.31mmol), 1-브로모-2-니트로벤젠 14.3g(71.17mmol), Pd(PPh3)4 2.7g(2.37mmol), 2M Na2CO3 75mL , 톨루엔 300mL, 에탄올 70mL 를 섞고 환류 교반하였다. 5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5 20g(48.25mmol, 81.36%)을 얻었다.
화합물 1-6 의 제조
화합물 1-5 20g(48.25mmol)에 트리에틸포스파이트 200mL을 150℃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 뒤, 상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증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6 7g(18.30mmol, 37.93%)을 얻었다.
화합물 1 의 제조
화합물 1-6 7g(18.30mmol), 4-브로모-N,N-디페닐아닐린 11.9g(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 8g(17.44mmol, 95.33%) 을 얻었다.
MS/FAB found 576, calculated 575.70
[제조예 2]화합물 15의 제조
Figure pat00104
화합물 2-1 의 제조
1L 2-구 RBF에 1-브로모-2-니트로벤젠 15g (0.074mol)을 넣고 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보로닉산 23g(0.096mol), Pd(PPh3)4 4.2g(0.003mol), Na2CO3(2M) 111mL, 에탄올 111mL을 넣고, 톨루엔 200mL를 첨가한 후 12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1 22g (95%)를 얻었다.
화합물 2-2 의 제조
1L 2-구 RBF 에 화합물 2-1 24g (0.076mol)을 넣고, 트리에틸포스파이트 200mL, 1,2-디클로로벤젠 200mL를 첨가한 후 14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용매를 증류한 뒤,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2 7g (33%)를 얻었다.
화합물 15 의 제조
화합물 2-2 7g(18.30mmol), N-(4-브로모페닐)-N-페닐나프탈렌-2-아민(N-(4-bromophenyl)-N-phenylnaphthalen-2-amine) 13.7g(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15 8g(17.44mmol, 95.33%) 을 얻었다.
MS/FAB found 577, calculated 576.73
[제조예 3]화합물 22의 제조
Figure pat00105
화합물 3-1 의 제조
화합물 2-브로모-9H-카바졸 7g(18.30mmol), N-(4-(9H-카바졸-9-일)페닐)-4-브로모-N-페닐아닐린 (N-(4-(9H-carbazol-9-yl)phenyl)-4-bromo-N-phenylaniline) 13.7g(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3-1 8g(17.44mmol, 95.33%) 을 얻었다.
화합물 3-2 의 제조
화합물 3-1 12g(37.42mmol), 2-(메틸티오)페닐보로닉산 (2-(methylthio)phenylboronic acid) 7.5g(44.69mmol), Pd(PPh3)4 2.15g(1.6mmol), 2M Na2CO3 수용액 45mL , THF 200mL를 섞고 환류 교반하였다. 5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3-2 10g(27.36mmol, 73.47%) 을 얻었다.
화합물 3-3 의 제조
화합물 3-2 10g(27.36mmol)을 아세트산 100mL에 넣고 H2O2 2.65mL(30.09mmol, 35%) 을 천천히 넣었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아세트산을 감압 증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NaHCO3 수용액으로 중성화하였다.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3-3 10g(26.21mmol, 95.79%) 을 얻었다.
화합물 22 의 제조
화합물 3-3 10g (26.21mmol)을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닉산(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70mL와 섞고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하고 이것을 혼합물 100mL(피리딘 : 증류수 = 1:5)에 넣었다. 1 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뒤, 상온으로 냉각하고 생성된 고체를 감압 여과하였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22 6g(17.16mmol, 65.47%) 을 얻었다.
MS/FAB found 682, calculated 681.84
[제조예 4]화합물 32의 제조
Figure pat00106
화합물 4-1 의 제조
디벤조[b,d]티오펜-4-일보로닉산(dibenzo[b,d]thiophen-4-ylboronic acid) 10g(43.84mmol), 브로모니트로벤젠 8.85g(43.84mmol), 2M Na2CO3 수용액 70mL, 톨루엔 200mL, 에탄올 70mL를 섞고 환류 교반하였다. 5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4-1 10g(32.74mmol, 74.68%)을 얻었다.
화합물 4-2 의 제조
화합물 4-1 10g(32.74mmol)을 트리에틸포스파이트(triethylphosphite) 100mL 에 섞고 150℃에서 7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감압 증류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4-2 7g(25.60mmol, 78.19%)을 얻었다.
화합물 32 의 제조
화합물 4-2 7g(25.60mmol), N-(4-브로모페닐)-N,9-디페닐-9H-카바졸-3-아민 (N-(4-bromophenyl)-N,9-diphenyl-9H-carbazol-3-amine) 10.44g(51.21mmol), CuI 2.5g(12.80mmol), K3PO4 16.30g(76.82mmol), 톨루엔 200mL 을 넣고 50℃로 가열 후 에틸렌다이아민 1.72mL(25.60mmol)을 넣었다.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NaHCO3 수용액으로 씻어 주었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32 8g(22.89mmol, 89.41%)을 얻었다.
MS/FAB found 682, calculated 681.84
[제조예 5]화합물 41의 제조
Figure pat00107
화합물 5-1 의 제조
2-(페닐아미노)벤조산 (2-(phenylamino)benzoic acid) 50 g(0.23 mol)을 MeOH 1 L에 녹이고, 얼음이 담긴 용기(ice bath)에 넣어 0 ℃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0 ℃에서 SOCl2 60 mL(0.58 mol)를 천천히 첨가한 후 90 ℃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세척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1 47 g(92%)를 얻었다.
화합물 5-2 의 제조
화합물 5-1 90 g(0.3 mol)를 THF 1.5 L에 넣고, MeMgBr(3.0M) 462 mL(1.38 mol)를 천천히 첨가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2 80 g(90%)를 얻었다.
화합물 5-3 의 제조
화합물 5-2 80 g(0.35 mol)를 H3PO4 1.7 L에 넣은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생성된 고체를 물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였다. 고체를 다이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녹여서 추출하고, NaOH로 중화시켰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5-3 64 g(87%)를 얻었다.
화합물 5-4 의 제조
화합물 5-3 64 g(0.30 mol), 브로모벤젠(Bromobenzene) 52.8 g(0.33 mol), Pd(OAc)2 1.37 g(6.11 mmol), P(t-Bu)3 50% 7.3 mL(15.28 mmol) 및 NaOt-Bu 58 g(0.61 mol)를 톨루엔 1.2 L에 녹이고,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 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4 71 g(81%)를 얻었다.
화합물 5-5 의 제조
화합물 5-4 20 g(0.07 mol)을 DMF 800 mL에 녹이고 0 ℃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NBS 12.5 g(0.07 mol)를 DMF 350 mL에 녹인 용액을 천천히 첨가한 후, 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5 21 g(84%)를 얻었다.
화합물 5-6 의 제조
화합물 5-5 20 g(0.054 mol), 2-클로로아닐린(chloroaniline) 8.4 g(0.065 mol), Pd(OAc)2 370 mg(1.64 mmol), P(t-Bu)3 50% 3.6 mL(5.49 mmol) 및 Cs2CO3 35.7 g(0.109 mol)를 톨루엔 300 mL에 녹이고, 12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6 13.6 g(60%)를 얻었다.
화합물 5-7 의 제조
화합물 5-6 12.6 g(0.03 mol), Pd(OAc)2 1.37 mg(6.13 mmol), 디-터트-부틸(메틸)포스포늄테트라플루오로포레이트(Di-tert-butyl(methyl)phosponium tetrafluoroborate) 3 g(12.26 mmol) 및 Cs2CO3 50 g(0.15 mol)를 DMA 240 mL에 녹이고, 19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 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7 7 g(70%)를 얻었다.
화합물 41 의 제조
화합물 5-7 7g(25.60mmol), N-(바이페닐-4-일)-N-(4-브로모페닐)-9,9-디메틸-9H-플루오렌-2-아민 (N-(biphenyl-4-yl)-N-(4-bromophenyl)-9,9-dimethyl-9H-fluoren-2-amine) 10.44g(51.21mmol), CuI 2.5g(12.80mmol), K3PO4 16.30g(76.82mmol), 톨루엔 200mL 을 넣고 50℃로 가열 후 에틸렌다이아민 1.72mL(25.60mmol)을 넣었다.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NaHCO3 수용액으로 씻어 주었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41 8g(22.89mmol, 89.41%)을 얻었다.
MS/FAB found 811, calculated 810.04
[제조예 6]화합물 51의 제조
Figure pat00108
화합물 6-1 의 제조
1L 2-구 RBF에 화합물 2-2 8.1g(0.028mol)를 넣고, DMF 300mL를 넣고 0℃ 에서 10분간 환류 교반하였다. NBS 5.08g(0.028mol)를 DMF 300mL에 넣고 녹인 후 반응물에 천천히 첨가한 뒤, 0℃에서 6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증류수로 중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전개 용매로 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1 9g(87%)를 얻었다.
화합물 6-2 의 제조
화합물 6-1 7g(18.30mmol), N-(4-브로모페닐)-N-페닐나프탈렌-2-아민 (N-(4-bromophenyl)-N-phenylnaphthalen-2-amine) 13.7g (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6-2 8g(17.44mmol, 95.33%)을 얻었다.
화합물 51 의 제조
화합물 6-2 7g(18.30mmol), 9H-카바졸 13.7g 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51 8g(17.44mmol, 95.33%) 을 얻었다.
MS/FAB found 742, calculated 741.92
[제조예 7]화합물 53의 제조
Figure pat00109
화합물 7-1 의 제조
2-브로모디벤조[b,d]티오펜(2-bromodibenzo[b,d]thiophene) 74g(216.3mmol) 을 THF 1.5L에 녹이고 -78℃에서 n-부틸리튬 86.5mL(216.3mmol, 2.5M in hexane)을 천천히 넣었다. 1 시간 후 트리메틸보레이트 28.9ml(259.6mmol)을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후 감압 증류한 뒤,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7-1 40g(136.8mmol, 62.96%)을 얻었다.
화합물 7-2 의 제조
화합물 7-1 40g(136.8mmol), 아이오도니트로벤젠 37.4g(150.5mmol), Pd(PPh3)4 6.32g(5.47mmol), 2M Na2CO3 170mL, 톨루엔 700mL을 넣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증류수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7-2 28g(72.86mmol, 52.94%)을 얻었다.
화합물 7-3 의 제조
화합물 7-2 28g(72.86mmol)을 트리에틸포스파이트 300mL 에 섞고 15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시켜 감압 증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 주었다.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7-3 11g(31.22mmol, 43.05%)을 얻었다.
화합물 53 의 제조
화합물 7-3 7g(18.30mmol), 4-브로모-N-(4-(디벤조[b,d]티오펜-4-일)페닐)-N-페닐아닐린 (4-bromo-N-(4-(dibenzo[b,d]thiophen-4-yl)phenyl)-N-phenylaniline) 13.7g 36.60mmol), CuI 1.7g(9.15mmol), K3PO4 11.6g(54.90mmol), 톨루엔 100mL을 섞고 50℃에서 가열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 1.2ml(18.30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53 8g(17.44mmol, 95.33%) 을 얻었다.
MS/FAB found 699, calculated 698.90
[제조예 8]화합물 54의 제조
Figure pat00110
화합물 8-1 의 제조
화합물 2,5-다이브로모니트로벤젠 50g(177.99mol), 1-나프탈렌보로닉산 36.7g(213.59mmol), Pd(PPh3)4 10.28g(8.89mmol), 2M Na2CO3 533.97mmol) 톨루엔 700mL, 에탄올 200mL을 섞고 100℃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은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하였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1 50g(152.36mmol, 85.60%)을 얻었다.
화합물 8-2 의 제조
화합물 8-1 50g(152.36mmol), 트리에틸포스파이트 500mL를 넣고 15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증류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후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2 30g(101.29mmol, 66.64%)을 얻었다.
화합물 8-3 의 제조
화합물 8-2 30g(101.29mmol), N-(4-(9H-카바졸-9-일)페닐)-4-브로모-N-(4-터트-부틸페닐)아닐린 (N-(4-(9H-carbazol-9-yl)phenyl)-4-bromo-N-(4-tert-butyl-
phenyl)aniline) 41.3g(202.59mmol), CuI 9.6g(50.64mmol), Cs2CO3 82.5g(253.2mmol), 톨루엔 600mL 을 섞고 50℃에서 가열한 뒤, 에틸렌다이아민 6.8mL(101.29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3 32g(85.96mmol, 84.86%) 을 얻었다.
화합물 8-4 의 제조
화합물 8-3 32g(85.96mmol) 을 THF 300mL 에 녹이고 -78℃에서 n-부틸리튬 37.8mL(94.55mmol, 2.5M in hexane)을 천천히 넣었다. 1시간 후 트리메틸보레이트 12.4mL(111.7mmol)을 넣었다.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4 20g(59.31mmol, 69.00%) 을 얻었다.
화합물 8-5 의 제조
화합물 8-4 20g(59.31mmol), 1-브로모-2-니트로벤젠 14.3g(71.17mmol), Pd(PPh3)4 2.7g(2.37mmol), 2M Na2CO3 75ml , 톨루엔 300mL, 에탄올 70mL 를 섞고 환류 교반하였다. 5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5 20g(48.25mmol, 81.36%)을 얻었다.
화합물 8-6 의 제조
화합물 8-5 20g(48.25mmol)을 트리에틸포스파이트 200mL와 섞고 150℃에서 6시간동안 교반한 뒤, 상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증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류수로 씻어주었다. MgSO4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8-6 7g(18.30mmol, 37.93%)을 얻었다.
화합물 54 의 제조
화합물 8-6 30g(101.29mmol), 아이오도벤젠 41.3g(202.59mmol), CuI 9.6g(50.64mmol), Cs2CO3 82.5g(253.2mmol), 톨루엔 600mL 을 섞고 50℃에서 가열한 뒤, 에틸렌다이아민 6.8ml(101.29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54 32g(85.96mmol, 84.86%) 을 얻었다.
MS/FAB found 848, calculated 847.06
[제조예 9]화합물 58의 제조
Figure pat00111
화합물 9-1 의 제조
1-나프탈렌보로닉산 10.2 g(59.4 mmol), 1-브로모-2-나이트로벤젠 10.0 g(49.5 mmol), Pd(PPh3)4 1.7 g(1.4 mmol), 2M K2CO3 수용액 70 mL, 톨루엔 200 mL 및 에탄올 100 mL를 넣고 12시간동안 환류 교반시켰다. 증류수로 씻어준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무수 MgSO4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시켜 얻어진 잔사를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9-1 9.0 g(73.7 %)을 얻었다.
화합물 9-2 의 제조
화합물 9-1 9.0 g(36.1 mmol)과 N-브로모쑥시니이미드(n-bromosuccinimide) 7.6 g(43.3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0 mL에 녹이고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켰다. 감압 증류하고 얻어진 고체를 증류수, 메탄올 및 헥산으로 차례로 세척한 후 화합물 9-2 9.6 g(81.3 %)을 얻었다.
화합물 9-3 의 제조
화합물 9-2 9.6 g(29.3 mmol), Fe[C2O4]?2H2O(iron oxalate dihydrate) 72.2 g(175.5 mmol) 을 섞고 205℃에서 30분 동안 가열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9-3 5.2 g(60.5 %) 을 얻었다.
화합물 9-4 의 제조
화합물 9-3 30g(101.29mmol), 4-브로모-N-페닐-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아닐린) (4-bromo-N-phenyl-N-(4-(9-phenyl-9H-carbazol-3-yl)phenyl)aniline) 41.3g(202.59mmol), CuI 9.6g(50.64mmol), Cs2CO3 82.5g(253.2mmol), 톨루엔 600mL 을 섞고 50℃에서 가열한 뒤, 에틸렌다이아민 6.8mL(101.29mmol)을 넣고 환류 교반하였다. 14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9-4 32g(85.96mmol, 84.86%) 을 얻었다.
화합물 9-5 의 제조
화합물 9-4 23.1g(62.07mmol)을 THF에 500mL에 녹이고 -78℃에서 n-부틸리튬 29.79mL(74.48mmol, 2.5M in Hexane)을 천천히 넣었다. 1 시간 후 트리메틸보레이트(trimethylborate) 10.38ml(93.10mmol)을 넣었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후 증류수를 넣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하였다. 감압 증류하고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9-5 14g(67%) 을 얻었다.
화합물 9-6 의 제조
화합물 9-5 14g(41.79mmol), 메틸-2-브로모벤조에이트(methyl-2-bromobenzoate) 13.51g(45.97mmol), Pd(PPh3)4 1.9g(1.67mmol), 2M Na2CO3 60mL, 톨루엔 200mL 를 섞고 환류 교반하였다. 12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를 넣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하고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9-6 8.8g(42%)을 얻었다.
화합물 9-7 의 제조
화합물 9-6 8.8g(17.53mmol)을 THF 200mL에 녹이고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methylmagnesium bromide) 14.60mL(43.82mmol, 3.0M in diethyl ether)을 넣었다. 60℃로 가열하고 6시간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증류수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MgSO4로 건조하여 감압 증류한 뒤,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9-7 6.6g(74%)을 얻었다.
화합물 58 의 제조
화합물 9-7 6.6g(13.14mmol), 아세트산 50mL, 인산(phosphoric acid) 50mL 를 섞고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하고 NaOH수용액으로 중성을 만들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한 뒤, 감압 증류 후 컬럼 분리하여 화합물 58 5.1g(80%)을 얻었다.
MS/FAB found 819, calculated 818.01
[제조예 10]화합물 122의 제조
화합물 10-1 의 제조
2-브로모-9,9-다이메틸-9H-플루오렌 60g(0.219mol), 2-클로로아닐린 56g(0.439mol), Pd(OAc)2 1.5g(0.006mol), P(t-Bu)3 14mL(0.021mol)과 CsCO3 143g(0.439mol)을 혼합하고 톨루엔 600mL를 첨가한 후 1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정제하여 화합물 10-1 65g(92%)를 얻었다.
화합물 10-2 의 제조
화합물 10-1 65g(0.20mol), Pd(OAc)2 2.3g(0.01mol), 다이-터트-부틸(메틸)포스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5.9g(0.02mol)와 Na2CO3 64g(0.60mol)의 혼합물에 DMA 1000mL를 첨가한 후 1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정제하여 화합물 10-2 31g(54%)를 얻었다.
화합물 10-3 의 제조
화합물 10-2 17g(0.061mol), CuI 2.3g(0.012mol), 에틸렌다이아민 3.3mL(0.049mol)과 K3PO3 16g(0.074mol)의 혼합물에 톨루엔 130mL를 첨가한 후 1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정제하여 화합물 10-3 7.8g(72%)를 얻었다.
화합물 122 의 제조
화합물 10-3 4g(0.009mol), 4-(다이페닐아미노)페닐보론산 3.1g(0.010mol), Pd(PPh3)4 527mg(0.4mmol), K2CO3(2M) 14mL, EtOH 14mL 및 톨루엔 28mL의 혼합물을 12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로 정제하여 화합물 122 2.6g(47%)를 얻었다.
MS/FAB found 603. calculated 602.76
[제조예 11]화합물 132의 제조
Figure pat00113
화합물 11-1 의 제조
화합물 4-2 10g(36.6mmol), 아이오도-4-브로모벤젠 20g(73.2mmol), CuI 3.5g(18.3mmol), 에틸렌다이아민 4.5mL(73.2mmol), K3PO4 19.4g(91.5mmol) 및 톨루엔 200mL의 혼합물을 120℃ 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1 7.7g(49%)를 얻었다.
화합물 132 의 제조
화합물 11-1 7g(16.3mmol), 4-(다이페닐아미노)페닐보론산 5.6g(19.6mmol), Pd(PPh3)4 0.95g(0.82mmol), K2CO3 6g(40.8mmol), 톨루엔 60mL, EtOH 20mL 및 H2O 20mL의 혼합물을 10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증류수로 씻어주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로 정제하여 화합물 132 5.4g(56%)를 얻었다.
MS/FAB found 593, calculated 592.75
상기 제조예 1 내지 11의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의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본 발명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구조의 OLED 소자를 제작하였다. 우선, OLED용 글래스(삼성-코닝사 제조)로부터 얻어진 투명전극 ITO 박막(15 Ω/□)을,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 후, 이소프로판올에 넣어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진공 증착 장비의 기판 폴더에 ITO 기판을 설치하고, 진공 증착 장비 내의 셀에 2-TNATA [4,4',4"-tris(N,N-(2-naphthyl)-phenylamino)triphenylamine]을 넣고,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 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2-TNATA를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60 nm 두께의 정공주입층을 증착하였다. 이어서,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셀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을 넣고,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화합물 1을 증발시켜 정공주입층 위에 20 nm 두께의 정공수송층을 증착하였다.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발광층을 다음과 같이 증착시켰다. 진공 증착 장비 내의 한쪽 셀에 호스트로서 CBP [4,4'-N,N'-dicarbazole-biphenyl]을 넣고, 또 다른 셀에는 도판트로서 (piq)2Ir(acac) [bis-(1-phenylisoquinolyl)iridium(III)acetylacetonate]를 각각 넣은 후, 두 물질을 다른 속도로 증발시켜 4중량%으로 도핑 함으로서 상기 정공수송층 위에 30 nm 두께의 발광층을 증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발광층 위에 정공차단층으로 비스(2-메틸-8-퀴놀리네이토)(p-페닐페놀레이토)알루미늄(III) (BAlq)을 10nm의 두께로 증착시키고, 이어서 전자수송층으로써 Alq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III)]를 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전자주입층으로 Liq [lithium quinolate]를 1nm 두께로 증착한 후, 다른 진공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Al 음극을 150 nm의 두께로 증착하여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재료 별로 각 화합물은 10-6 torr 하에서 진공 승화 정제하여 OLED 발광재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6.9 V의 전압에서 13.8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2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9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7 V의 전압에서 14.3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6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31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7 V의 전압에서 13.9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44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69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8 V의 전압에서 14.2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15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을 이용하고, 발광층에서 발광 도판트로서 유기 이리듐 착물 Ir(ppy)3[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15중량%로 도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6 V의 전압에서 3.8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65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20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6 V의 전압에서 3.9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7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31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7 V의 전압에서 3.7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85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42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6 V의 전압에서 3.5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55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43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6 V의 전압에서 3.6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8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주입 재료로서 2-TNATA[4,4',4"-tris(N,N-(2-naphthyl)-phenylamino)
triphenylamine] 대신 본 발명의 화합물 14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결과, 6.6 V의 전압에서 3.7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5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주입재료로서 N1,N1'-([1,1'-바이페닐]-4,4'-다이일)비스(N1-(나프탈렌-1-일)-N4,N4-다이페닐벤젠-1,4-다이아민) (N1,N1'-([1,1'-biphenyl]-4,4'-diyl)bis(N1-(naphthalen-1-yl)-N4,N4- diphenylbenzene-1,4-diamine))을 넣고,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 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60 nm 두께의 정공주입층을 증착하였다. 이어서,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셀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22을 넣고,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화합물 122을 증발시켜 정공주입층 위에 20 nm 두께의 정공수송층을 증착하였다.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발광층을 다음과 같이 증착시켰다. 진공 증착 장비 내의 한쪽 셀에 호스트로서 H-31을 넣고, 또 다른 셀에는 도판트로서 D-58를 각각 넣은 후, 두 물질을 다른 속도로 증발시켜 15중량%으로 도핑 함으로서 상기 정공수송층 위에 30 nm 두께의 발광층을 증착하였다. 이어서 전자수송층으로써 한쪽 셀에 2-(4-(9,10-다이(나프탈렌-2-일)안트라센-2-일)페닐)-1-페닐-1H-벤조[d]이미다졸 (2-(4-(9,10-di(naphthalen-2-yl)anthracen-2-yl)phenyl)-1-phenyl-1H-benzo[d]imidazole)을 넣고, 또 다른 셀에는 Liq (Lithium quinolate)를 각각 넣은 후, 두 물질을 같은 속도로 증발시켜 50중량%으로 도핑 함으로서 30nm의 전자수송층을 증착하였다. 전자주입층으로 Liq (lithium quinolate)를 1 nm 두께로 증착한 후, 다른 진공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Al 음극을 150 nm의 두께로 증착하여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재료 별로 각 화합물은 10-6 torr 하에서 진공 승화 정제하여 OLED 발광재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5.4 V의 전압에서 11.5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620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32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1, 도판트로 D-7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4.0V의 전압에서 6.32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330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38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34 도판트로 D-3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3.6 V의 전압에서 2.8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50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4]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9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39 도판트로 D-31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3.1 V의 전압에서 1.59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500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09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45, 도판트로 D-6을 4 중량%로 도핑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4.0 V의 전압에서 7.5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65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1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49, 도판트로 D-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5.2 V의 전압에서 17.0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221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7]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2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52, 도판트로 D-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5.6 V의 전압에서 32.1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370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8]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
정공수송 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9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53, 도판트로 D-9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0 V의 전압에서 12.9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71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1] 종래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OLED 소자의 발광 특성
진공 증착 장비 내의 한쪽 셀에 정공수송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대신 NPB [N,N'-bis(α-naphthyl)-N,N'-diphenyl-4,4'-diam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8.2 V의 전압에서 20.0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0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2] 종래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OLED 소자의 발광 특성
진공 증착 장비 내의 한쪽 셀에 정공수송재료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대신 NPB [N,N'-bis(α-naphthyl)-N,N'-diphenyl-4,4'-diam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6.0V 전압에서 5.0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183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3] 종래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OLED 소자의 발광 특성
정공수송 재료로서 NPB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1, 도판트로 D-30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3.0 V의 전압에서 4.62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00 cd/m2의 녹색발광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4] 종래의 발광 재료를 이용한 OLED 소자의 발광 특성
정공수송 재료로서 NPB을 이용하고, 호스트로 H-46, 도판트로 D-9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과 동일한 방법으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4.6 V의 전압에서 13.2 mA/cm2의 전류가 흘렀으며, 1000 cd/m2의 적색발광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유기 발광 화합물들은 발광 특성이 종래의 재료 대비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 화합물은 삼중항(triplet)을 크게 하여 발광층에 존재하는 삼중항 여기자들을 발광층에 잘 머물도록 효과적으로 블로킹(blocking)를 크게 함으로써 특히 인광에서의 발광효율이 뛰어나 매우 우수한 OLED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117

    [상기 화학식 1에서,
    A고리 및 C고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pat00118
    이며;
    B고리는
    Figure pat00119
    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3 또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O-, -S-, -C(R11R12)-, -Si(R13R14)- 또는 -N(R15)-이고, 단 Y1 및 Y2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르(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실릴, 시아노, 나이트로 또는 하이드록실이고, R1 또는 R2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R1 및 R2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L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렌이고, 단 L이 복수인 경우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Figure pat00120
    이며;
    Y3 및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O-, -S-, -C(R16R17)-, -Si(R18R19)- 또는 -N(R20)-이고, 단 Y3 및 Y4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11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아릴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이거나, 인접한 치환체와 융합고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킬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30)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지환족 고리 및 단일환 또는 다환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m 및 n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각각의 R1 및 L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p가 2인 경우 각각의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 R2 , R3 , L, Ar1, Ar2 및 R11 내지 R20에 더 치환되는 치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중수소, 할로겐, 할로겐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알킬, (C6-C30)아릴, (C6-C30)아릴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헤테로아릴,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방향족고리가 하나이상 융합된 5원 내지 7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C3-C30)시클로알킬, 방향족고리가 하나 이상 융합된 (C6-C30)시클로알킬, (C2-C30)알케닐, (C2-C30)알키닐,
    Figure pat00121
    , 시아노, 카바졸릴, (C6-C30)아르(C1-C30)알킬, (C1-C30)알킬(C6-C30)아릴, -OR21, -SR22, -NR23R24, -PR25R26, -SiR27R28R29, 나이트로 및 하이드록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Y11 및 Y1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화학결합, -C(R31R32)-, -O-, -S- 또는 -N(R33)-이고, 단 Y11 및 Y12가 동시에 화학결합인 경우는 제외하며; R21 내지 R3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30)알킬, (C6-C30)아릴, (C2-C30)헤테로아릴 또는 (C3-C30)시클로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Figure pat00122
    은 하기 구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화합물.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상기 구조에서, R2, R11 내지 R15 및 p는 청구항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4.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화합물.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Figure pat00137

    Figure pat00138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3

    Figure pat00144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Figure pat00152

    Figure pat00153

    Figure pat00154

    Figure pat00155

    Figure pat00156

    Figure pat00157

    Figure pat00158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Figure pat00161

    Figure pat00162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화합물은 정공주입 또는 정공수송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1층 이상의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발광 화합물이 포함된 층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에 1족, 2족, 4주기, 5주기 전이금속, 란탄계열금속 및 d-전이원소의 유기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착체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 및 전하생성층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에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발광을 하는 유기발광층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백색 발광을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110083247A 2010-08-27 2011-08-22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42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25835A JP2013537556A (ja) 2010-08-27 2011-08-26 新規有機電界発光化合物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PCT/KR2011/006314 WO2012026780A1 (en) 2010-08-27 2011-08-26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CN2011800519605A CN103189469A (zh) 2010-08-27 2011-08-26 新有机电致发光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TW100130844A TW201213504A (en) 2010-08-27 2011-08-29 Novel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18 2010-08-27
KR20100083318 2010-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633A true KR20120042633A (ko) 2012-05-03

Family

ID=4626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247A KR20120042633A (ko) 2010-08-27 2011-08-22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537556A (ko)
KR (1) KR20120042633A (ko)
CN (1) CN103189469A (ko)
TW (1) TW201213504A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160A (ko) * 2012-04-10 2013-10-21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이형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40024734A (ko) * 2012-08-21 2014-03-0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40087883A (ko) * 2012-12-31 2014-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43618A (ko) * 2013-06-07 2014-12-17 덕산하이메탈(주) 광효율 개선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07476A (ko) * 2013-07-11 2015-01-21 덕산하이메탈(주)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07965A (ko) * 2014-07-10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07966A (ko) * 2014-07-10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WO2016027938A1 (ko) * 2014-08-19 2016-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장치
KR20170016703A (ko) *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두산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9666811B2 (en) 2013-10-02 2017-05-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66441A (ko) * 2014-10-20 2017-06-1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청색 발광 화합물
WO2017116044A1 (ko) * 2015-12-28 2017-07-06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US9722185B2 (en) 2013-08-12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55157B2 (en) 2013-08-05 2017-09-05 Cheil Industries, Inc.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optoelectric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8012780A1 (ko) * 2016-07-14 2018-01-18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US9882142B2 (en) 2012-07-23 2018-01-30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KR101863942B1 (ko) * 2015-08-28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10032994B2 (en) 2015-06-30 2018-07-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158086B2 (en) 2013-06-14 2018-12-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N109643766A (zh) * 2016-09-13 2019-04-16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包含电子缓冲层和电子传输层的有机电致发光装置
US10326080B2 (en) 2014-02-14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10361372B2 (en) 2015-03-30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529929B2 (en) 2015-12-29 2020-01-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N110903235A (zh) * 2019-12-05 2020-03-24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00070183A (ko) * 2013-07-11 2020-06-17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CN111557122A (zh) * 2018-01-25 2020-08-18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US10840454B2 (en) 2013-06-14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10930853B2 (en) 2015-11-26 2021-02-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E112019003585T5 (de) 2018-07-13 2021-07-08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US11114625B2 (en) 2014-12-31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462693B2 (en) 2018-11-23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11696499B2 (en) 2016-05-10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910707B2 (en) 2015-12-23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6784A (ja) * 2010-11-30 2012-06-21 Idemitsu Kosan Co Ltd 縮合多環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756288B2 (ja) * 2010-12-28 2015-07-29 出光興産株式会社 縮合多環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880092B2 (ja) * 2012-02-01 2016-03-08 三菱化学株式会社 電荷輸送材料、電荷輸送膜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有機el照明
CN103788088B (zh) * 2013-12-10 2015-08-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含吲哚并吖啶类衍生物、制备方法及其应用、有机发光器件
CN105315194B (zh) * 2014-07-01 2018-12-25 赵晓宇 一种2-溴咔唑及其中间体的合成方法
KR102030377B1 (ko) * 2014-07-28 2019-10-10 에스에프씨주식회사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축합 플루오렌 유도체
CN105175313B (zh) * 2015-09-02 2018-04-13 上海道亦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空穴注入化合物及其有机电致发光器件
US11094891B2 (en) * 2016-03-16 2021-08-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CN105968045B (zh) * 2016-07-20 2018-12-25 长春海谱润斯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氮杂环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478259B2 (ja) 2016-10-18 2019-03-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有機発光素子
WO2018169260A1 (ko) * 2017-03-16 2018-09-20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CN107482125B (zh) * 2017-08-03 2020-03-17 长春海谱润斯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显示装置
CN110218175A (zh) * 2018-03-02 2019-09-10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通式化合物及其应用
CN110272421A (zh) * 2018-03-16 2019-09-24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通式化合物及其应用
CN110272422A (zh) * 2018-03-16 2019-09-24 北京鼎材科技有限公司 一种通式化合物及其应用
KR102169568B1 (ko) * 2018-12-21 2020-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86819B1 (ko) * 2019-10-25 2021-08-09 엘티소재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1072668A (zh) * 2019-10-31 2020-04-28 陕西莱特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含氮化合物、电子元件以及电子装置
CN113045577A (zh) * 2021-03-15 2021-06-29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电子传输材料及制备方法、有机电致发光器件和显示装置
CN115340546A (zh) * 2021-05-15 2022-11-15 石家庄诚志永华显示材料有限公司 氨基环状化合物、有机电致发光器件、有机电致发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3607A (en) * 1997-10-02 1998-12-01 Xerox Corporation Indolocarbazole photoconductors
US5952115A (en) * 1997-10-02 1999-09-14 Xero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DE19831427A1 (de) * 1998-07-07 2000-01-13 Syntec Ges Fuer Chemie Und Tec Neue Indolocarbazole
EP1805280B1 (en) * 2004-09-20 2011-02-09 LG Chem,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ame
JP2007045816A (ja) * 2005-07-14 2007-02-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カルバゾ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発光素子用材料、発光素子、電子機器
JP2008127290A (ja) * 2006-11-16 2008-06-05 Bando Chem Ind Ltd 新規なカルバゾール誘導体とその利用
KR20080047209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JP2009076817A (ja) * 2007-09-25 2009-04-09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5238025B2 (ja) * 2008-06-05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多環系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357150B2 (ja) * 2008-06-05 2013-12-04 出光興産株式会社 ハロゲン化合物、多環系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493309B2 (ja) * 2008-08-18 2014-05-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247626B1 (ko) * 2008-09-04 2013-03-29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5429673B2 (ja) * 2008-10-17 2014-02-26 三井化学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5061371B (zh) * 2008-11-25 2019-02-15 出光兴产株式会社 芳香族胺衍生物以及有机电致发光元件
JP5439807B2 (ja) * 2008-12-24 2014-03-12 東ソー株式会社 アミン誘導体及びその用途
KR101233369B1 (ko) * 2009-01-08 2013-02-15 제일모직주식회사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DE102009023155A1 (de) * 2009-05-29 2010-12-0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KR101212670B1 (ko) * 2009-11-03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광전소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160A (ko) * 2012-04-10 2013-10-21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이형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US10944058B2 (en) 2012-07-23 2021-03-09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9882142B2 (en) 2012-07-23 2018-01-30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11997922B2 (en) 2012-07-23 2024-05-28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11641775B2 (en) 2012-07-23 2023-05-02 Merck Patent Gmbh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s
KR20140024734A (ko) * 2012-08-21 2014-03-03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40087883A (ko) * 2012-12-31 2014-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43618A (ko) * 2013-06-07 2014-12-17 덕산하이메탈(주) 광효율 개선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40454B2 (en) 2013-06-14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10158086B2 (en) 2013-06-14 2018-12-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200070183A (ko) * 2013-07-11 2020-06-17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07476A (ko) * 2013-07-11 2015-01-21 덕산하이메탈(주)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US9755157B2 (en) 2013-08-05 2017-09-05 Cheil Industries, Inc.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optoelectric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722185B2 (en) 2013-08-12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66811B2 (en) 2013-10-02 2017-05-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26080B2 (en) 2014-02-14 2019-06-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10333077B2 (en) 2014-02-14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KR20160007965A (ko) * 2014-07-10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07966A (ko) * 2014-07-10 2016-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WO2016027938A1 (ko) * 2014-08-19 2016-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장치
KR20170066441A (ko) * 2014-10-20 2017-06-1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청색 발광 화합물
US11114625B2 (en) 2014-12-31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361372B2 (en) 2015-03-30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032994B2 (en) 2015-06-30 2018-07-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170016703A (ko) *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두산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863942B1 (ko) * 2015-08-28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10361373B2 (en) 2015-08-28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930853B2 (en) 2015-11-26 2021-02-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856842B2 (en) 2015-11-26 2023-12-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910707B2 (en) 2015-12-23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O2017116044A1 (ko) * 2015-12-28 2017-07-06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US10529929B2 (en) 2015-12-29 2020-01-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329231B2 (en) 2015-12-29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1696499B2 (en) 2016-05-10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O2018012780A1 (ko) * 2016-07-14 2018-01-18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US11271165B2 (en) 2016-07-14 2022-03-08 Duk San Neolux Co., Ltd. Compound for organic electric element, organic electric element us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organic electronic element
CN109643766B (zh) * 2016-09-13 2022-02-11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包含电子缓冲层和电子传输层的有机电致发光装置
CN109643766A (zh) * 2016-09-13 2019-04-16 罗门哈斯电子材料韩国有限公司 包含电子缓冲层和电子传输层的有机电致发光装置
CN111557122A (zh) * 2018-01-25 2020-08-18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DE112019003585T5 (de) 2018-07-13 2021-07-08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Korea Ltd. Mehrere wirtsmaterialien und diese umfassen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US11462693B2 (en) 2018-11-23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CN110903235A (zh) * 2019-12-05 2020-03-24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9469A (zh) 2013-07-03
TW201213504A (en) 2012-04-01
JP2013537556A (ja)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2416B2 (ja) 新規有機電界発光化合物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KR20120042633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9195074A (ja) 発光材料として電界発光化合物を使用する電界発光素子
KR20130025190A (ko) 신규한 유기 전자재료용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30941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21203A (ko) 신규한 유기 전자재료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30025087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발광 화합물
KR20120034140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00118690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116282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00108924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120122812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4364344A (zh) 用于oled发射区的双咔唑衍生物主体材料和红色发射体
JP2013526014A (ja) 新規有機電界発光化合物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KR20120021215A (ko) 신규한 유기 전자 재료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09984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008784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50557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31684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WO2014065391A1 (ja) ベンゾフルオレン化合物、該化合物を用いた発光層用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KR20130025268A (ko) 신규한 유기 전자재료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699581B2 (ja) 縮合ピロール多環化合物、発光層用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KR20110049012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22022130A (ja) 複数の発光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化合物及びそれを含む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バイス
KR102240988B1 (ko)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