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227A -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227A
KR20120042227A KR1020100103811A KR20100103811A KR20120042227A KR 20120042227 A KR20120042227 A KR 20120042227A KR 1020100103811 A KR1020100103811 A KR 1020100103811A KR 20100103811 A KR20100103811 A KR 20100103811A KR 20120042227 A KR20120042227 A KR 2012004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ection
section steel
ceiling
bracke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인섭
Original Assignee
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섭 filed Critical 신인섭
Priority to KR102010010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227A/en
Publication of KR2012004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PURPOSE: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structure is provided to reduce damage to ceiling material by securely coupling unit panels to each other through bolts. CONSTITUTION: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structure comprises multiple upper fixing section steels(20), lower fixing section steels(30), unit panels(40), and cross-shaped brackets(50). The upper fixing section steels are fixed to the bottom of a ceiling through hangers(10). The lower fixing section ste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fixing section steel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unit pane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ixing section steels. The brackets fix the unit panels to the lower fixing section steels.

Description

건축 시설용 천정재{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철, 학교 등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천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의 하방에 행거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고정 형강과, 상기 상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 형강과,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니트 패널과, 상기 유니트 패널을 상기 하부고정 형강에 고정하기 위한 십자형 브라켓 등으로 구성되는 천정재를 간편하게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한 부분이 보이지 않는 미려한 천정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material installed in the ceiling, such as subway, school, etc.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upper fixed section steel fixed by a hanger below the ceiling and a plurality of orthogonally installed below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While there is no need to easily and easily assemble a ceiling material consisting of a lower fixed section steel, a plurality of unit panels installed below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cross bracket for fixing the unit panel to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that can provide a beautiful invisible ceiling shape.

일반적으로 지하철, 학교 등의 천정 면에 천정판을 설치할 때에는 천정 콘크리트 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다수개의 횡간을 고정시킨 후, 상기 횡간의 걸림턱에 천정판의 좌우 양측 절곡부가 안착되도록 연속 결합하므로서 천정판을 시공하게 된다.Generally, when installing a ceiling plate on a ceiling surface of a subway, a school, or the like, the ceiling is fixed with a plurality of transverses formed with a hooking jaw on the concrete surface, and the ceiling is continuously coupled to allow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iling to be seated on the hooking jaw between the transverses. The board will be constructed.

통상 상기 2 개의 천정판이 삽설되는 간격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 또는 천정판의 어느 한 쪽 절곡부가 이어져서 생기는 연장부에는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색을 도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공간의 여건상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In general, a separate color is often painted to increase aesthetic effect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spaces between the two ceiling plates or an extension portion formed by one of the bent portions of the ceiling plate. It requires a difficult and cumbersome work process.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천정판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별도 도색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정판을 제작 할 때 일측 연장부에 컬러판이 일체로 포함되도록 미리 삽설하므로서 천정 부분의 미장효과와 설치 시공의 간편함을 도모한다. A ceiling plate of the prior art for solving this difficulty is disclosed in FIG. Figure 1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effect of the ceiling part by inserting in advance so that the color plate is integrally included in one extension when manufacturing the ceiling plat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ainting separately.

도 1을 참조하면서 보다 자세히 보면,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천정면(100)에 다수개의 걸림턱(210, 211)이 형성된 횡간(200)을 다수 개 설치한 후 천정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횡간(200)의 걸림턱(210, 211)에 삽설되도록 일측단부에 곡설부(31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곡설부(311)와 연장부(312)를 설치하되, 일측 삽입홈(313)에 컬러판(320)을 삽입 안착하고 일 측단을 절첩, 고정하여서 된 천정판(301)을 삽설하여서 된 구조이다.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1, in the prior art to install a plurality of transverse rails (200)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10, 211)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100 in the ceiling plate, the transverse ( The curved portion 310 is formed at one side en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s 210 and 211 of the 200, and the curved portion 311 and the extension portion 312 ar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and the color plate (1) is inserted into the one side insertion groove 313. 320 is inserted and seated, and one side end is folded and fixed to the ceiling plate 301 by inserting the structure.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곡설부(311)와 연장부(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삽입홈(313)에 별도의 색을 갖는 컬러판(320)을 일측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부(312)에 안착시킨 다음 일측 끝단부를 절첩시켜 컬러판(320)을 완전 고정되도록 하여 컬러판(320)을 일체로 한 천정판(301)을 제작한다. That is, in the prior art, the color plate 320 having a separate color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311 and the insertion groove 313 formed at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312 and the extension part as shown in FIG. 1. After seating on 312, one end portion is folded to completely fix the color plate 320, thereby manufacturing a ceiling plate 301 integrating the color plate 3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횡간과 천정판의 구조가 복잡하여 천정판을 포함한 관련 부품의 제조 공정이 대단히 복잡하고, 설치 시공 또한 복잡하여 시공 시간이 길어지고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transverse and the ceiling plate is complicated,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lated parts including the ceiling plate is very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re also complicated, resulting in long construction time and high labor costs.

또 다른 종래기술의 천정재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의 천정재는 천정(502)의 하방에 바탕재(506)가 행거(504)에 의하여 고정되고, 바탕재(506)의 하면에 다수개의 금속재 패널(510)이 직교되게 설치되고, 금속제 패널(510)의 일측은 설치부(510k), 삽입구(510e)를 갖도록 절곡되고, 타측은 상기 삽입구(510e)에 삽입되는 경사부(510i)를 갖도록 절곡된 길이 방향으로 긴 주평판부(510a)로 이루어진 구조이다.Another prior art ceiling material is disclosed in FIG. 2. In the ceiling material of FIG. 2, the base material 50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eiling 502 by a hanger 504, and a plurality of metal panels 510 are orthogon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506. One side of the 510 is bent to have an installation portion 510k and an insertion hole 510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plate portion 510a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nt to have an inclined portion 510i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10e. It consists of a struc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바탕재(506)에 행거(504)가 용접, 고정되므로서 역시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며, 패널(510)이 일측에서만 나사로 고정되고 타측이 거기에 삽입 결합되므로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외부의 충격에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 2의 종래기술 역시 천정재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관련 부품의 제조 공정이 대단히 복잡하고, 설치 시공 또한 복잡하여 천정재의 제조 및 설치 시공 시간이 길어지고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cumbersome and complicated work process because the hanger 504 is welded and fixed to the base material 506, and the panel 510 is screwed on only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is not strong and easily detached from the external impact. As such, the prior art of FIG. 2 also has a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ceiling material,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lated part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re also complicat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time of the ceiling material may be lengthened and labor costs may not be fre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보다 천정재의 제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편리하고 간단하면서도 지하철의 운행이나 태풍 등의 충격에 불구하고 보다 견고하면서 또한 보다 미려한 형상을 지닌 지하철, 학교 등 건축 시설물의 천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manufacture of the ceiling material is simpler, the construction is more convenient and simple, and the shape is more robust and beautiful in spite of the impact of the operation of the subway or typhoon. It aims to provide ceiling materials for building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schoo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건축 시설용 천정재는, 천정의 하방에 행거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고정 형강과; 상기 상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 형강과;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니트 패널과; 상기 유니트 패널을 상기 하부고정 형강에 고정하기 위한 십자형 브라켓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building material ceiling, a plurality of upper fixed section steel fixed by a hanger under the ceiling; A plurality of lower fixed section steels orthogon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s; A plurality of unit panel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cross bracket for fixing the unit panel to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에 상기 유니트 패널을 고정하는 십자형 브라켓을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유니트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인필러가 상기 십자형 브라켓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고정 형강과 상기 행거는 행거 브라켓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고정 형강은 형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부고정 형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haped bracket for fixing the unit panel to the lower fixed steel not visible, an infiller for supporting the unit panel is installed on the cross bracket, the upper fixed steel and the hanger The hanger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coupled,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by the section steel bracke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형강 브라켓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 형강의 상면을 감싸도록 상, 하부로 형성되되, 상부는 상기 상부고정 형강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은 절곡되며 상부고정 형강을 고정하도록 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니트 패널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주변부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에는 볼트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십자형 브라켓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과 나란히 배치되는 세로편과, 그와 직교되는 가로편으로 된 십자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볼트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세로편에 볼트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bracke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formed in the upper, lower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the upper portion is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The upper surface is bent and fixed to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the unit panel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The wing portion is formed, the w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fixing hole is formed, and the cross-shaped bracket is a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longitudinal piec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transverse piece orthogonal thereto A bol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 bol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piece.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십자형 브라켓의 세로편과 가로편의 양측면은 돌출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인필러는 상기 십자형 브라켓의 돌출 탄성편에 삽입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인필러는 상기 하부고정 형강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축 인필러와, 이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단축 인필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iece and the horizontal piece of the cross-shaped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lastic piece is formed, and the infi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lastic piece of the cross-shaped bracket, the infill The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ong axis infiller is installed orthogonal to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single axis infiller is installed to cro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철, 학교 등의 천정면을 시공 함에 있어서, 관련된 부분품 들을 조립식으로 미리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거나, 또는 상당부분을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형장에 반입하여 마무리 조립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간편하며, 인건비 등 시공 비용을 현저히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onstruct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subway, school, etc., the related parts are prefabricated in advance and assembled in the field, or a substantial part is brought into the mold in the pre-assembled state, the final assembly is possible. Therefore, the construction is very convenient and simple, there is an effec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such as labor costs.

또한 미려한 형태를 지닌 유니트 패널을 연결 설치하여 천정부의 미관을 미리 고려한 시공을 시작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상 더 필요한 부분에는 인필러를 삽입하여 마무리 함으로써 아름다운 패턴의 천정재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unit panel having a beautiful shape can be connected to start the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aesthetics of the ceiling in advance, and the beautiful pattern of the ceiling material can be constructed by inserting and finishing the infiller in the necessary parts.

세부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서는 유니트 패널의 겹쳐지는 부위가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유니트 패널 각각이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커다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상의 편리함이 크다.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unit panel is not seen,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each unit panel is firmly coupled with a bolt, etc., so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even by a large impact, and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th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is large.

또한 행거브라켓을 이용하여 행거와 상부고정 형강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상부고정 형강과 하부고정 형강을 용이하고 튼튼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인필러의 내부 공간으로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배선할 수 있어 천정부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nger bracket can be used to easily install the hanger and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and the upper fixed section and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can be easily and firmly combined, and wires or cables can be wir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ller. It is effective to maintain the beautiful appearance of the ceiling.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정재가 설치된 천정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천정재가 설치된 천정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정재가 설치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 본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니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십자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인필러의 단면을 확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ceiling on which a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a ceiling on which a ceiling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is installed.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a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to illustrate a shap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6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fi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천정재가 설치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 본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a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to illustrate a shap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본 발명의 천정재는 지하철 역사, 학교 등 주로 건축 시설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것이므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의 천정재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천정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고정되는 행거(10)가 설치된다. 행거(10) 하방 끝부분에는 행거 브라켓(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행거 브라켓(11)에 의하여 상기 행거(10)와 본 발명의 상부고정 형강(20)이 결합된다. Since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he ceiling of a building facility such as subway station, school, etc., as shown in FIG. 3, first, in order to install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ger 10 fixed downward from the ceiling is provided. Is installed. The hanger bracket 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ger 10, and the hanger bracket 11 is coupled to the hanger 10 and the upper fixed stee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행거(10)를 설치하는 간격은 천정의 면적과 소요 하중을 고려하여 다수 개 설치되며, 상부고정 형강(20) 또한 천정의 전체 면적을 고려하여 필요한 길이로 필요한 개수만큼 다수 개 설치된다. 도 3에서의 행거 브라켓(11)의 형상은 고리 형태로서 상부고정 형강 (20)과 측면에서 나사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 이외에도 공지된 모든 결합 수단의 원용이 가능하다. A plurality of intervals for installing the hanger 10 ar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the ceiling and the required load, and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is also installed in the required number in the required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area of the ceiling. The shape of the hanger bracket 11 in FIG. 3 is a ring shape, which shows the form of screwing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from the side, but all other known coupling means are possible.

상기 상부고정 형강(20)의 하부에는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고정 형강(30)이 다수 개 설치된다. 하부고정 형강(30)의 설치 간격은 후술하는 유니트 패널(40)의 규격에 맞추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부 고정형강(20)에 하부고정 형강(30)을 고정하기 위하여는 형강 브라켓(21)을 사용한다.A plurality of lower fixed section steels 30 ar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unit panel 4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fix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to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is used a bracket bracket (21).

상기 형강 브라켓(21)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 형강(20)의 상면을 감싸도록 상, 하부가 일체화되어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정재가 조립 설치된 천정의 일부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천정 밑에서 직 상방을 향하여 보는 경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정면도에서 형강 브라켓(21)은 천정 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The steel bracket 2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ial shape of the ceiling where the cei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in the case of looking upwards directly under the ceiling. In this front view, the section steel bracket 21 is not visible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eiling.

그러나 도 5의 좌측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형강 브라켓(21)이 상부고정 형강 (20)과 하부고정 형강(30)을 고정하고 있는 형상을 볼 수 있다. 형강 브라켓(21)의 상부는 상기 상부고정 형강(20)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체결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절곡되어 상부고정 형강(20)을 고정하도록 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출편(23)이 형성되어 있다.However, referring to the left side view of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fixing bracke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and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 fastening hole 22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bracket 21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fixed steel 20. The upper surface is bent to fix the upper fixed steel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eel bracket 21 is fixed. Protruding pieces 23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haped steel 30.

즉, 상기 형강 브라켓(21)은 하부고정 형강(30)에 형성되어 있는 천정 측 걸림턱(33) 내측으로 안착되고 상부고정 형강(20)과 밀착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고정 형강(20)의 천정 쪽을 향한 면을 감싸 돌아, 하부고정 형강(30)과 상부고정 형강(20)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형강 브라켓(2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22)을 통해 형강 브라켓(21)과 상부고정 형강(20)을 나사 결합하면 하부고정 형강(30)은 상부고정 형강(20)과 완전 밀착되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That is, the beam bracket 21 is seated inside the ceiling-side locking jaw 33 formed in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nd closely coupled with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and at the same time the ceiling side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To wrap the surface facing toward,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nd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will be combined. In this case, when the screw bracket 21 and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20 are screwed togeth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22 formed in the section bracket 21, the lower fixed section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ixed section 20. It is firmly fixed.

상기와 같이 기본 프레임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은 유니트 패널(40)을 설치한다. 유니트 패널(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주변부로 날개부(45)가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45)에는 볼트 고정용 구멍(46)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의 상면에도 미리 유니트 패널(40)의 규격에 합당하고 상기 볼트고정용 구멍(46)과 교합되는 패널결합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asic fram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unit panel 4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7, the unit panel 40 has a wing portion 45 formed at its periphery to be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nd a bolt fixing hole 46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45. ) Is formed in advance. Correspon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is also provided with a panel engaging hole 44 that meets the standard of the unit panel 40 in advance and interlocks with the bolt fixing hole 46.

상기 유니트 패널(40)을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에 연속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하여는 십자형 브라켓(50)을 사용한다. 상기 십자형 브라켓(50)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30)과 나란히 배치되는 세로편(51)과, 그와 직교되는 가로편(52)으로 된 십자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볼트 삽입구멍(53)이 형성되고, 세로편(51)에 또한 볼트 삽입구멍(54, 55)가 형성되어 있다. The cross bracket 50 is used to continuously couple the unit panel 40 to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The cruciform bracket 50 has a cross-section of a vertical piece 51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and a horizontal piece 52 orthogonal to the cross-shaped bracket, and a bolt insertion hole 53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bolt insertion holes 54 and 55 are formed in the vertical piece 51.

상기 십자형 브라켓(50)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멍(54, 55)은 상술한 유니트 패널의 날개부에 형성된 볼트 고정용 구멍(46) 및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상면에 형성된 패널결합 구멍(44)과 3자 연통되는 구멍으로서 최종 조립 시에는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십자형 브라켓(50), 유니트 패널(40) 및 하부고정 형강(30) 3가지를 모두 한꺼번에 결합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진다.The bolt insertion holes 54 and 55 formed in the cross bracket 50 are formed of bolt fixing holes 46 formed in the wing of the unit panel and panel joining holes 4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s a ho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final assembly has a structure for coupling and fixing all three of the cross bracket 50, the unit panel 40, and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with bolts or screws.

유니트 패널(4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 전 부품 상태에서는 네 방향 모두에 날개를 달고 있는 형태를 가지나 이를 하부고정 형강(30)에 연속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불필요한 부분을 떼어내고 사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e unit panel 40 has wings in all four directions in a pre-assembly state, but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assembling the lower panel 30, the unnecessary part is removed and used.

상기와 같이 하부고정 형강(30)의 하부에 유니트 패널(40)이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연속 조립되면, 유니트 패널(40)과 그 옆의 유니트 패널(40) 사이에는 가로 방 향 및 세로 방향 모두 길다란 도랑이 형성되고 그 속에는 십자형 브라켓(50)의 볼트삽입 구멍(53, 54, 55)에 해당하는 위치에 조립된 볼트의 머리 부분이 보이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nit panel 40 is continuously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3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formed between the unit panel 40 and the unit panel 40 next to the unit panel 40. A long groove is formed therein and the head of the bolt assembl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insertion holes 53, 54, 55 of the cross bracket 50 is visible.

본 발명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30)에 상기 유니트 패널(40)을 고정하는 십자형 브라켓(50)을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십자형 브라켓(50)을 고정한 볼트의 머리부분이나 또는 유니트 패널(50)의 날개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랑 부분에 인필러(infiller)를 장입하게 된다. 인필러(60)는 길이가 긴 장축 인필러(61)와 길이가 짧은 단축 인필러(62)로 구분된다. 도 9에서는 하부고정 형강(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는 장축 인필러(61)을 삽입하였고, 평행되는 방향으로는 단축 인필러(62)를 삽입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not to show the cross bracket 50 for fixing the unit panel 40 to the lower fixed steel 30, in particular the head of the bolt or the unit panel 50 to fix the cross bracket (50) In order to make the wing portion of the invisible filler (infill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The infiller 60 is divided into a long length insulator 61 having a long length and a short length insulator 62 having a short length. In FIG. 9, the long axis infiller 61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stationary steel 30, and the single axis injector 62 is inserted in the parallel direction.

상기 인필러(60)는 상기 십자형 브라켓(50)의 세로편(51)과 가로편(52)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 탄성편(56)에 삽입 지지되며, 이를 위하여 인필러(60)의 하단부에는 상기 십자형 브리켓(50)의 돌출 탄성편(56)과의 단단한 결합을 위하여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긴 돌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인필러가 설치되는 경우 인필러의 내부 공간으로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배선할 수 있어 천정부의 미려한 외관을 전선 등으로 인하여 훼손하지 아니하고 원형 그대로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infiller 60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lastic pieces 5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iece 51 and the transverse piece 52 of the cross bracket 50, and for this purpose, the lower part of the infiller 60 Long protrusions 63 are formed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ight coupling with the protruding elastic pieces 56 of the cross briquette 50. When the infiller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wires or cables can be wir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filler, so that the beautiful appearance of the ceiling can be beautifully maintained without being damaged by the wires.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천정재가 모두 조립되면 도 4의 정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정의 밑에서 보면 시공사의 중간 부분들이 전혀 보이지 않는 미려한 형태의 천정을 완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부분은 나사 및 볼트 결합 등으로 단단히 고정되므로 지하철의 운행 또는 태풍 등의 강한 충격에도 흔들림이 없는 견고한 천정의 구성이 간편한 시공으로 가능하게 된다.When all the ceiling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front view of Figure 4 can be seen from the bottom of the ceiling to complete the beautiful shape of the ceiling that is not visible at all, the necessary parts are screws and bolts Since it is firmly fixed by a combination, etc.,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olid ceiling without shaking even in the strong impact such as the operation of a subway or a typhoon.

10 : 행거 11 : 행거 브라켓 20 : 상부고정 형강
21 : 형강 브라켓 30 : 하부고정 형강 40 : 유니트 패널
50 : 십자형 브라켓 60 : 인필러
10: hanger 11: hanger bracket 20: upper fixed section steel
21: section steel bracket 30: lower fixed section steel 40: unit panel
50: cross bracket 60: infiller

Claims (10)

천정의 하방에 행거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고정 형강과;
상기 상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고정 형강과;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니트 패널과;
상기 유니트 패널을 상기 하부고정 형강에 고정하기 위한 십자형 브라켓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A plurality of upper fixed section steels fixed by a hanger below the ceiling;
A plurality of lower fixed section steels orthogon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s;
A plurality of unit panel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Ceiling material for build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haped bracket for fixing the unit panel to the lower fixed st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 형강에 상기 유니트 패널을 고정하는 십자형 브라켓을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유니트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인필러가 상기 십자형 브라켓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ceiling bracket for building facili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bracket for fixing the unit panel to the lower fixed steel is not visible, and an infiller for supporting the unit panel is installed on the cross brack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 형강과 상기 행거는 행거 브라켓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and the hanger is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a hanger brack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 형강은 형강 브라켓에 의해 상기 상부고정 형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is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by a section steel bra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 브라켓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 형강의 상면을 감싸도록 상, 하부로 형성되되, 상부는 상기 상부고정 형강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은 절곡되며 상부고정 형강을 고정하도록 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el bracke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formed upper and lower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in the center to be fixed to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the upper surface is bent And fixing the upper fixed section steel, and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piec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패널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주변부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에는 볼트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unit panel has a wing portion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the ceiling portion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hole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브라켓은 상기 하부고정 형강과 나란히 배치되는 세로편과, 그와 직교되는 가로편으로 된 십자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볼트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세로편에 볼트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ross bracket has a vertical cross-section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cross-shaped cross orthogonal to the cross-shaped bol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bol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piece Ceil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브라켓의 세로편과 가로편의 양측면은 돌출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iece and the horizontal piece of the cross-shaped bracket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lastic piece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필러는 상기 십자형 브라켓의 돌출 탄성편에 삽입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infiller is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lastic piece of the cross bra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필러는 상기 하부고정 형강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축 인필러와, 이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단축 인필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시설용 천정재
The method of claim 9
The infiller is a ceiling material for a build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long axis infiller is installed orthogonal to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and a shortened infiller installed to intersect with the lower fixed section steel
KR1020100103811A 2010-10-25 2010-10-25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KR201200422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11A KR20120042227A (en) 2010-10-25 2010-10-25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11A KR20120042227A (en) 2010-10-25 2010-10-25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227A true KR20120042227A (en) 2012-05-03

Family

ID=4626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811A KR20120042227A (en) 2010-10-25 2010-10-25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2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0521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933528B1 (en) Prefabricated structure using profile
KR20130045711A (en) Indoor decorative curtain wall construction unit
KR20140100729A (en) Prefabricated structures
KR101174115B1 (en) Sectional partition
KR101045941B1 (en) Fixing structure of ceiling panel
KR20100007098U (en) Pannel installation unit using horizontal bar
KR101077118B1 (en) A prefabbing shielding wall
KR20120042227A (en) Ceiling material for subway or building structure
KR20090126609A (en) The pillar assembler for partition
KR101712851B1 (en)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CN211447260U (en) Adopt shaped steel and fastener for slat to carry out assembled building who connects
JP6099391B2 (en) Horizontal beam mounting structure
KR20190015913A (en) Construction for exterior material of building
US10030384B2 (en) Modular wrap around wall
KR20190004509A (en) Prefabricated dome house
KR20010074564A (en) A Structure for Installing Curtain Wall in a Building having High Height of Story
KR20120099309A (en) Upholder assembley for access floor
KR100933040B1 (en) Buildings using combination structure of assembling
JP2006200164A (en) Light metal handrail
CN217325840U (en) Height-adjustable base structure with bottom connection
CN216475865U (en) Top keel connecting piece
KR20200045266A (en) Roof structure of unit modular house
JP2020084492A (en) Simple building
CN203856158U (en) Ceiling corner enclosure device for dry-hanging stone vene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