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061A -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61A
KR20120041061A KR1020100102644A KR20100102644A KR20120041061A KR 20120041061 A KR20120041061 A KR 20120041061A KR 1020100102644 A KR1020100102644 A KR 1020100102644A KR 20100102644 A KR20100102644 A KR 20100102644A KR 20120041061 A KR20120041061 A KR 2012004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eating element
element layer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렬
김대정
Original Assignee
김덕렬
(주) 사람과나눔
김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렬, (주) 사람과나눔, 김대정 filed Critical 김덕렬
Priority to KR102010010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1061A/ko
Publication of KR2012004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being self-suppor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Electrically powered illum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성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스크린과, 상기 면상 발열체층과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CURTAIN APPARATUS OF GENERATING HEAT AND CURTAIN SYSTEM OF GENERATING HEA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창문에 대해서는 커튼이나 블라인드, 버티컬 등이 설치된다. 이들은 실외에서 실내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실내에서 실외로 유출되는 열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커튼 등은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일 부분 제한하지만, 커튼 등이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빛을 차단하면서도 외부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적극적으로 실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발열 기능을 달성하면서도 발열과 상관없이 자외선 차단 기능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는,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발열형 커튼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성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스크린; 및 상기 면상 발열체층과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이 상기 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롤로부터 풀려지도록, 상기 스크린의 일 단부가 상기 롤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광 투과성의 판재인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 면에 도포되며, 광 투과성인,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의 반대 편에 배치되는, 광 투과성을 가지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탄소나노튜브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의 발열 시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원적외선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성을 가지는 발열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롤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소자, 또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형 커튼 장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면상 발열체층 또는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크린의 일 면에 설치되는 박막형 태양전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은 제1 롤과 제2 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롤에 연결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롤에 연결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광 투과성의 판재인 베이스와, 광 투과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일 면에 도포되는,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은, 박막형 태양전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시스템은, 위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들의 전원공급부들이 연결되는, 발전 유닛; 및 상기 발전 유닛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기 전원공급부들에 각각에 배전하는, 배전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 유닛은, 태양광, 태양열, 및 풍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 각각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킹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발열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의 향상을 달성하면서도, 계절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발열과 상관없이 자외선 차단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게 한다.
나아가, 스크린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스크린이 전개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통해서 외부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발열 기능, 자외선 차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상태의 전환이, 음성인식이나 리모컨에 의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의 자동 상태 전환을 위한 전력을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로부터 얻을 수도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크린(200)의 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발열형 커튼 장치의 제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발열형 커튼 장치의 제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열형 커튼 장치는, 하우징(100)과, 스크린(200)과, 전원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창문과 인접한 벽의 일 부분에 고정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나 강철 등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부(110)를 포함한다. 길이부(110)의 양단부에는 돌출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길이부(110)의 연장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양 돌출부(120)들은 각각 롤(130)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130)의 일 단부에는 기어(140)가 배치되고, 구슬이 끈에 달린 승강 조절기(150)를 잡아당겨 기어(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140)의 회전에 의해 롤(130)은 회전하게 된다.
스크린(200)의 상단은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와 같이, 스크린(200)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일부를 이루는 롤(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조절기(150)에 대한 조작을 통해서, 스크린(200)은 롤(130)에 감겨지거나 롤(130)에서 풀려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스크린(200)이 롤(130)에서 풀려져 전개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스크린(200) 내부에는 면상 발열체층(220, 도 2)에 대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225)이 배열될 수 있다. 전극(225)은 스크린(20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차례로 배열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225)은 광 투과성, 다시 말해서 투명한 것으로 형성되어, 스크린(200)을 통한 사물에 대한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전극(225)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원공급부(300)에 연결된 전선이 롤(130)의 내부에 결합되고 또한 스크린(200)의 일 부분을 통해 전극(225)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300)는 스크린(200), 구체적으로는 면상 발열체층(220, 도 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부(300)로서 사용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의 일 단부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자인 전원공급부(300)는 하우징(100)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또한, 온도센서(410)와 수신부(42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10)는 스크린(200)에서 발열이 이루어질 때, 또는 이루어지지 않을 때의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신부(420)는 스크린(200)의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또는 명령)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수신부(420)로는,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센서, 리모컨 신호 수신 소자 등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스크린(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200)의 층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200)은 베이스(210)와, 면상 발열체층(220)과, 커버(230)과, 원적외선층(240)과, 태양전지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스크린(20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지는 판재이다. 베이스(210)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필요에 따라 광 투과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투과성은 빛을 투과시키는 성질로서, 투명성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투명성은 완전 투명한 경우 뿐만아니라, 반투명한 경우까지 칭하는 말도 이해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층(220)은 베이스(210)의 일 면에 도포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층(220)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소재는, 자외선 차단의 물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와 같이, 광 투과성을 가지는 소재가 면상 발열체층(22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서는,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 Tube)가 이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의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진다.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로 보통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굵기이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나아가, 자외선을 80~90% 가량 차단해주기도 한다. 또한, 80% 이상의 광 투과도를 가져서,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시인성이 실질적으로 제약되지 않는다. 탄소타노튜브는, 나아가, 가열됨에 따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기도 한다.
커버(230)는 면상 발열체층(220)을 기준으로 베이스(210)에 반대되는 측에 위치한다. 커버(230)는 베이스(210)와 함께, 면상 발열체층(2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면상 발열체층(220)을 보호하게 된다. 커버(230) 역시 베이스(210)와 유사하게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광 투과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원적외선층(240)은 면상 발열체층(220)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적외선층(240)이 면상 발열체층(220)과 커버(2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원적외선층(240)은 면상 발열체층(22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원적외선층(240)은 옥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옥 분말은 옥을 미세 분말화한 것으로, 옥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생체활성화, 탈취작용,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작용을 돕니다.
원적외선층(240)으로서 옥 분말을 포함하는 층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면상 발열체층(220) 자체가 원적외선 방사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층(220)으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될 것이다.
태양전지층(310)은 커버(2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디. 태양전지층(310)에 사용되는 태양전지는, 연료감응형 태양전지일 수 있다. 연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필름[커버(230)]에 솔-젤(Sol-Gel) 소재를 얇게 인쇄하여, 이 소재가 햇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감음형 태양전지는 햇빛을 차단하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발열형 커튼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발열형 커튼 장치의 제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2]을 참조하면, 스크린(200)은 사용자가 승강조절기(150)를 조작함에 따라 롤(130)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져서 전개된 상태로 전환된다.
스크린(200)이 전개된 상태에서, 면상 발열체층(220)이 발열하지 않는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면상 발열체층(220)은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자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운영 모드는, 햇빛을 굳이 차단할 필요가 없는 봄이나 가을에 알맞을 것이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햇빛에 노출되면서도 자외선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베이스(210)와, 면상 발열체층(220), 커버(230) 등이 모두 광 투과성을 가진다면, 실내의 사용자는 스크린(200)을 통해서도 외부의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겨울이라면, 면상 발열체층(220)이 발열하여 실내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면상 발열체층(220)에 대한 전원 공급은 제어부(400)가 결정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온도센서(410)를 통해 입력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면상 발열체층(2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400)는 수신부(4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명령)에 근거하여, 면상 발열체층(2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크린(200)은 발열을 통해 적극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이는 동시에,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의해서도 소극적으로 실내 온도 유지에 도움을 준다.
여름이라면, 제어부(400)는 태양전지층(310)을 활성화시켜서 전력을 생산하면서, 실내로 입사되는 햇빛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여름에는, 비가 오는 등의 예외적인 경우에, 제어부(400)가 면상 발열체층(220)이 발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는, 앞서 실시예와 달리, 모터(500)에 의해 스크린(200)의 승강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0')의 돌출부(120')에는 모터(500)의 출력축이 고정되는 고정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500)의 몸체는 롤(130')의 일 단부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모터(500)의 몸체는 롤(130')과 함께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롤(130')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00')의 다른 돌출부(120')에 형성되는 지지부(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돌출부(120')에는, 수신부(420)를 이루는, 리모컨 신호 수신 소자(421)와 음성인식 센서(42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00)의 태양전지층(310)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320) 또한 돌출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320)는, 앞서 설명한 전원공급부(300)의 일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발열형 커튼 장치의 제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부(300)는, 앞서 설명한 태양전지층(310)이나 상용전원 외에,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무선전력수신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전력수신장치는 수신 코일을 가져서, 무선전력전송장치(S)의 송신 코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신 코일에 유기되는 자계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류에 의한 전력은 배터리(32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전송은 자기 공명에 의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부(420)와 송신부(43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수신부(420)와 송신부(430)에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유선 데이터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수신부(420)와 송신부(430)는 홈네트워킹(H)과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네트워킹(H)은 생활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실내 공간(집, 사무실, 학교 등) 안팎에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차세대 가전제품인 냉장고, 전자레인지, 에어컨 등의 제어용 가전제품과 PC, 전화기, TV, 오디오, 휴대단말기 등 정보용 가전제품, 실내 난방, 실내 냉방 등의 실내 냉난방 시스템 등에 대해 네트워크와 홈서버(home server)를 매개로 해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한다. 홈네트워킹(H)은 각종 전자기기와 연계해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 홈 시어터, 가전기기 원격제어, 방문객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고속 인터넷 등 디지털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소비자들은 세탁, 쇼핑, 친지와의 연락, 건강 등을 더욱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온도센서(410)를 통해 획득한 실내의 온도 정보를 송신부(430)를 통해 홈네트워킹(H)에 전송할 수 있다. 홈네트워킹(H)은, 계절이나 시간, 사용자의 취향 등을 고려하여, 면상 발열체층(220)을 발열시키라는 신호를 수신부(42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420)를 통해 위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400)는, 전원공급부(300)를 제어하여 면상 발열체층(220)에 전력이 공급되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홈네트워킹(H)은, 보일러 등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실내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이라도, 면상 발열체층(220)이 발열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온도센서(410)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면상 발열체층(220)을 발열시키도록 프로그램밍된 온도 수준이라도, 면상 발열체층(2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2개의 스크린(200,200')이 독립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0') 내에는 제1 및 제2 롤이 각각 구비된다. 제1 롤에는 제1 스크린(200)이 연결되고, 제2 롤에는 제2 스크린(200')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롤은 도 4에서 롤(130')에 관한 구성을, 하나 더 설치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도 4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인바, 구체적으로 예시는 생략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스크린(200)은 앞서 설명한, 광 투과성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층(220)과, 광 투과성을 가지는 베이스(210)와 커버(230)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크린(200) 만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실내로 입사되는 햇빛이 차단되지 않는다.
제2 스크린(200')은, 앞서 설명한 태양전지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층(310)이 작동하는 경우에, 실내로 입사되는 햇빛은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름과 같이 햇빛이 강렬한 시기에는, 제1 스크린(200) 뿐만 아니라 제2 스크린(200')이 함께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발열형 커튼 장치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100")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스크린(200")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200")들은 조절기(150')에 의해 스위블(swivel)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린(200")은, 앞서 설명한 스크린(2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크린(200")의 스위블과, 면상 발열체층(220, 도 2 참조)의 발열에 대한 제어 역시, 앞서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발열형 커튼 장치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100a)에 대해 역시 수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스크린(200a)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200a)들은 조절기(150a)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린(200a)은, 앞서 설명한 스크린(2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크린(200a)의 회전과, 면상 발열체층(220, 도 2 참조)의 발열에 대한 제어 역시, 앞서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커튼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학교나 사무실, 또는 가정과 같은 건물(B)에는 복수의 창문(W)이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창문(W)들에는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도면에서는 스크린(200)으로만 지칭]가 설치되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각 스크린(200)에 태양전지층(310)을 형성하는 대신에, 옥상(R)에 발전 유닛(600,700)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발전 유닛(600,700)은 태양열,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모듈(600), 또는 풍력을 이용해 발전하는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 유닛(600,700)으로 인해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는, 배전기(800)를 통해 각 전원공급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나아가, 발전 유닛(600,700)에 의해 생산된 전기는 축전지에 저장된 후에 배전기(800)를 통해 배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린(200)을 전개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는, 발열형 커튼 장치뿐만 아니라, 건물(B)의 다른 기기에 사용되는 전력으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각 발열형 커튼 장치들은, 홈네트워킹(H, 도 5)에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항목으로는, 각 스크린(200)의 전개와, 면상 발열체층(220)의 발열에 대한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항은, 별다른 반대되는 설명이 없다면, 다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0,100',100",100a: 하우징 200,200',200",200a: 스크린
201: 베이스 220: 면상 발열체층
230: 커버 240: 원적외선층
300: 전원공급부 310: 태양전지층
320: 배터리 400: 제어부
410: 온도센서 420: 수신부
430: 송신부 500: 모터
600: 태양열/태양광 발전 모듈 700: 풍력 발전 모듈
800: 배전기

Claims (1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성을 가지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스크린; 및
    상기 면상 발열체층과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의 발열을 위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이 상기 롤에 권취되거나 상기 롤로부터 풀려지도록, 상기 스크린의 일 단부가 상기 롤에 연결되는, 발열형 커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광 투과성의 판재인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 면에 도포되며, 광 투과성인,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의 반대 편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을 가지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탄소나노튜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발열형 커튼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의 발열 시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원적외선층을 더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성을 가지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롤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 대한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소자, 또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형 커튼 장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면상 발열체층 또는 상기 모터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스크린의 일 면에 설치되는 박막형 태양전지층을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은 제1 롤과 제2 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롤에 연결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롤에 연결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광 투과성의 판재인 베이스와, 광 투과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일 면에 도포되는,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린은, 박막형 태양전지층을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장치.
  15. 제1항에 따르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들의 전원공급부들이 연결되는, 발전 유닛; 및
    상기 발전 유닛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상기 전원공급부들에 각각에 배전하는, 배전 유닛을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유닛은,
    태양광, 태양열, 및 풍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형성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발열형 커튼 장치 각각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킹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KR1020100102644A 2010-10-20 2010-10-20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KR20120041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44A KR20120041061A (ko) 2010-10-20 2010-10-20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44A KR20120041061A (ko) 2010-10-20 2010-10-20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61A true KR20120041061A (ko) 2012-04-30

Family

ID=4614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44A KR20120041061A (ko) 2010-10-20 2010-10-20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10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27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이상기술 롤링 스토브
CN104490234A (zh) * 2014-12-19 2015-04-08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太阳能窗帘控制器
JP2017082526A (ja) * 2015-10-29 2017-05-18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制御方法
KR20210089833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나들 스마트 발열 커텐
KR20220088543A (ko) * 2020-12-18 2022-06-28 주식회사 솔라라이트 태양전지를 이용한 투명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27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이상기술 롤링 스토브
CN104490234A (zh) * 2014-12-19 2015-04-08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太阳能窗帘控制器
JP2017082526A (ja) * 2015-10-29 2017-05-18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制御方法
KR20210089833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나들 스마트 발열 커텐
KR20220088543A (ko) * 2020-12-18 2022-06-28 주식회사 솔라라이트 태양전지를 이용한 투명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0020B2 (en) Motorized window treatment
AU2015353569B2 (en) Self-contained EC IGU
KR20120041061A (ko)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CN103620150B (zh) 电动窗帘处理装置
US11293224B2 (en) Intelligent automat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with increased energy efficiency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202224A1 (en) Battery operated roller shade
US9991710B2 (en) Load control system providing manual override of an energy savings mode
US9013059B2 (en) Load control system having an energy savings mode
US8946924B2 (en) Load control system that operates in an energy-savings mode whe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harging a vehicle
CA2719932C (en) Building optimization system and lighting switch with adaptive blind, window and air quality controls
CN107580802B (zh) 具有响应于外部传感器受控的照亮部分的控制装置
US20150204561A1 (en) Control System With Mobile Sensors
JP2008531879A (ja) 電動式日よけシステム
US20090271042A1 (en) Building optimization system and lighting switch with adaptive blind, window and air quality controls
US20110029136A1 (en) Load Control System Having An Energy Savings Mode
CN108650760A (zh) 具有对广播控制器响应的独立受控单元的负载控制***
WO2017173287A1 (en) Wireless power supply for electrical devices
US20090059574A1 (en) Solar lighting light up blinds
CN106600946A (zh) 一种双向通讯智能开关及其***
KR101065073B1 (ko) 복층유리 내장용 결로 방지장치
CN105781386A (zh) 一种百叶窗
ES2694134T3 (es) Gestión de controles de un equipo eléctrico apto para ser controlado por señales de control infrarrojas
KR20120130457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025769B (zh) 一种智能家居窗帘
KR20130110700A (ko) 열차단 필름을 적용한 블라인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