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70A - 현악기 - Google Patents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70A
KR20120032470A KR1020117027563A KR20117027563A KR20120032470A KR 20120032470 A KR20120032470 A KR 20120032470A KR 1020117027563 A KR1020117027563 A KR 1020117027563A KR 20117027563 A KR20117027563 A KR 20117027563A KR 20120032470 A KR20120032470 A KR 2012003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low
nut
fret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692B1 (ko
Inventor
마모루 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모루 타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모루 타나베 filed Critical 마모루 타나베
Publication of KR2012003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렛 사용 현악기에 있어서, 본체의 크기를 바꾸는 일 없이 저음역 확장을 함과 아울러, 카포타스토에 의해 저음역을 확장하기 전의 음역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판 선단에 장착된 저음현 부분을 제거한 고음현용 너트와, 새들에서부터의 현 길이를 고음현용 너트의 위치로보다도 길게 잡은 위치에 장착된 저음현용 너트와,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부분에서부터 저음현용 너트까지의 사이에 설치한 새로운 지판과, 지판에 새로이 마련된 -1프렛 및 0프렛과, 0프렛에 저음현을 항상 누르기 위한 카포타스토를 장착하기 위한 대로서 고음현용 너트의 부근 헤드측에 설치된 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현악기{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프렛(fret) 사용 현악기의 저음역 확장에 관한 것이다.
4도 조율 현악기인 기타나 베이스의 최저음은 E(기타 E2, 베이스 E1)이다.
그 최저음보다 낮은 음정을 내기 위해, 기타에서는 저음현을 1개 추가하여 7현 기타로 하거나, 제6현의 조율 음정을 내려 조율함으로써 저음역을 확장하는 고안을 하고 있다.
또한, 4도 조율인 각 현간의 조율을 5도 조율로 해서 저음역을 확장하는 고안을 하기도 하고 있다.
그 외, 기타의 모든 현의 길이를 길게 하여 각 현을 4도 낮은 음정으로 조율함으로써 저음역을 확장하고 있는, 본체의 크기가 더 큰 베이스 기타(Bass Guitar)도 있다.
베이스에서는 종래의 4현 베이스를 5현 베이스나 6현 베이스로 해서 저음역을 확장하는 고안을 하고 있다.
여기서, 4도 조율 현악기와 5도 조율 현악기의 차이를 설명해둔다.
4도 조율 현악기란 저음현측에서부터 맨 처음의 현을 C(도)로 한 경우, 다음 현은 F(파), 그 다음 현은 B
Figure pct00001
(시), 그 다음 현은 E
Figure pct00003
(미
Figure pct00004
)....와 같이 4도 음정 간격으로 조율된 현악기를 말하며, 5도 조율 현악기란 저음현측에서부터 최초의 현을 C(도)로 한 경우, 다음 현은 G(솔), 그 다음 현은 D(레), 그 다음 현은 A(라)....와 같이 5도 음정 간격으로 조율된 현악기를 말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17690호 공보
이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해, 음악 속에서 저음역의 역할을 이해받기 위해, 화음을 낼 수 있는 프렛 사용 현악기인 기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 기타의 각 현의 조율음은 제6현 E2, 제5현 A2, 제4현 D3, 제3현 G3, 제2현 B3, 제1현 E4이다.
그리고, 최저음은 제6현의 E2이다.
기타의 저음역의 음정이 집중하고 있는 지판의 로우포지션(4프렛 이내)에서, 루트음(화음을 구성하는 토대의 음으로, 가장 낮은 음)을 최저음에서부터 반음 간격으로 12음계로 잡고자 하면, 제6현의 E2, F2, F#2, G2, A
Figure pct00005
2와 제5현의 A2, B
Figure pct00006
2, B2, C3, D
Figure pct00007
3, 그리고 제4현의 D3, E
Figure pct00008
3이 되며, 3개의 현에 걸쳐 잡게 된다.
또한, 제4현의 D3, E
Figure pct00009
3의 음정을 살펴보면, 루트음으로서는 결코 충분한 낮음이라고 할 수 없는 음정에 있다.
왜냐하면, 그 위에 오버랩하는 그 밖의 화음 구성음의 음정도 높아지게 되어 멜로디(주선율)음과 겹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을 주법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제4현으로 루트음을 칠 경우, 그 밖의 화음 구성음을 치는 데에는 제3현과 제2현과 제1현으로 치는 패턴 중 하나뿐이지만, 제6현 또는 제5현의 루트음으로 칠 경우, 그 밖의 화음 구성음을 치는 데에는 제3현과 제2현과 제1현, 또는 제4현과 제3현과 제2현으로 치는 2개의 패턴 중에서 골라서 연주할 수 있다.
따라서, 반주로 제4현의 루트음을 칠 경우에는 그 밖의 화음 구성음이 멜로디음과 겹치지 않도록, 좁은 음역 중에서 화음 구성음을 찾아야만 하게 된다.
때문에, 제6현을 E2에서 1음 내려 D2로 조율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하는 것이지만, 이 방법으론 멜로디와 화음구성음역의 문제는 해결되지만, 6현에서 다른 프렛 포지션으로도 1음 내려가 버리기 때문에, 이제까지 누르고 있었던 코드 폼(화음을 눌러 치는 손가락의 형태)에서는 6현의 음을 정확하게 잡을 수 없어, 코드 폼을 바꿔야만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저음현을 추가하여 저음역을 넓히는 방법에서는 코드를 누르는 현이 늘어남으로써 코드 폼이 복잡해져서, 이제까지보다도 어려운 연주기술이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5도 조율로 하는 방법은 멜로디를 치기에는 적합하지만, 화음을 치기에는 구성음의 음역이 너무 넓어지기 때문에 부적합한 조율이다. 베이스 기타에서는 전체 현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본체 사이즈가 크며, 연주형태도 다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렛 사용 현악기 구조가 가지고 있는 저음역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저음현의 조율을 바꾸는 일 없이, 저음현을 늘리는 일 없이, 또한 본체 사이즈도 바꾸는 일 없이, 기존의 저음현만으로 가볍게 확장하거나 원래의 음정으로 되돌리거나 할 수 있는 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판 선단에 장착된 저음현 부분을 제거한 고음현용 너트, 새들에서부터의 현 길이를 상기 고음현용 너트보다 길게 잡은 위치에 설치한 저음현용 너트, 및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부분에서부터 상기 저음현용 너트까지의 사이에 설치한 새로운 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새로운 지판 상의 소정 위치에 -1프렛을 설치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저음현은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위치에서, 너트에 의해 개방으로 내고 있던 음정의 음을 상기 새로운 지판 상에서, 현을 누름으로써 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 0프렛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0프렛에 상기 저음현을 항상 누를 수 있는 카포타스토를 장착하기 위한 대를 상기 고음현용 너트 근방의 헤드측에, 상기 대에 장착하는 카포타스토가 상기 저음현 이외의 현을 누르는 일이 없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렛 사용 현악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악기는 필요 최소한의 저음역 확장을 종래와 거의 변함이 없는 연주방법에 의해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타 솔로, 기타 듀엣, 기타를 치면서 노래부르기, 밴드에서의 일렉트릭 베이스 등의 다양한 형태에서 새로운 영역의 음악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제까지와 거의 다르지 않는 기타 본체의 사이즈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장비한 현악기를 보관하고 이동하기 위한 케이스도 종래 사이즈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판매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기타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포크 및 일렉트릭 기타의 헤드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포크 및 일렉트릭 기타의 헤드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포크 및 일렉트릭 기타의 헤드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클래식 기타의 헤드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렉트릭 베이스의 헤드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기타는 크게 3부분, 즉 음량의 증폭을 목적으로 한 바디(1)와, 음정의 컨트롤을 목적으로 한 지판을 갖는 네크(2)와, 본 발명의 저음역의 확장을 목적으로 한 부품 및 줄감개를 구비한 헤드(3)로 이루어져 있다.
6개의 현은 도 1의 바디의 브릿지(4)에 한쪽끝이 핀(6)으로 고정되며, 도 2의 제1현(18)~제5현(22)은 도 1의 새들(5)을 거쳐 도 2의 너트 a(7)에 지지되고, 도 2의 제6현(23)은 도 1의 새들(5)을 거쳐 도 2의 너트 b(8)에 지지되며, 각각이 도 1의 헤드(3)에 있는 도 2의 좌측에 2개(5, 6현용), 우측에 4개(4, 3, 2, 1현용)의 줄감개(16)에 의해 감겨 있다.
도 2에 있어서, 너트 a(7)는 종래의 너트의 제6현(23) 부분이 제거된 것으로, 제1현(18)에서 제5현(22)까지를 지지하고, 조율은 제1현(18)은 E4, 제2현(19)은 B3, 제3현(20)은 G3, 제4현(21)은 D3, 제5현(22)은 A2의 음정(종래 대로)이다.
너트 b(8)는 제6현(23)을 종래의 최저음(E2)보다 1음 낮은 음정(D2)으로 하기 위해, 현 길이를 1음정분 만큼 길게 한 헤드 상의 위치에 구비되는 너트로, 지판 a(9)와 동일한 수평방향 상으로 신장된 지판 b(10)의 선단에 구비한다.
그 위치를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너트 a(7)까지의 현 길이(=종래의 현 길이)가 650.00mm인 경우,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약 729.60mm의 위치가 된다.
T2=M×(2의 12승근)×(2의 12승근)
≒M×1.0594631×1.0594631
≒M×1.122462
650.00mm×1.122462≒729.60mm(이론값)
T2 :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너트 b(8)까지의 현 길이
M :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고음현용 너트 a(7)까지의 현 길이 = 종래의 현 길이
2의 12승근 : 1옥타브를 균등한 12의 반음으로 나눈 음률(12 평균률)
또한, 프렛 사용 현악기에는 지판 b(10) 위에 0프렛(11)과 -1프렛(12)이 구비된다.
-1프렛(12)의 위치는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너트 a(7)까지의 현 길이(=종래의 현 길이)가 650.00mm인 기타의 경우, 도 1의 새들에서부터 약 688.65mm의 위치가 된다.
T1 = M×(2의 12승근)
≒M×1.0594631
650.00mm×1.0594631≒688.65mm(이론값)
T1 : 도 1의 새들(5)에서부터 -1프렛(12) 위치까지의 현 길이
여기서, 0프렛(11)은 너트 a(7)와 지판 a(9)의 접촉면에는 위치하지 않음을 설명한다.
손가락으로 현을 누름으로써 음을 내는 프렛에서는 현에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이론값의 위치에서는 음정이 약간 높아진다.
그 때문에, 현을 누르지 않고서는 음을 낼 수 없는 0프렛(11)의 위치는 현을 누르지 않고도 음을 낼 수 있는 너트 a(7)의 위치보다 약간 너트 b(8) 방향에 가까운 위치가 된다
현을 누름으로 인한 장력의 계수를 1.005로 하면, 새들(5)에서부터 0프렛(11)까지의 현 길이는 653.25mm가 된다.
650.00mm×1.005=653.25mm
마찬가지로 현을 누르는 -1프렛(12)의 위치도 이론값보다 약간 너트 b(8) 방향에 가까운 위치가 된다.
현을 누름으로 인한 장력의 계수를 1.005로 하면, 새들(5)에서부터 -1프렛(12)까지의 현 길이는 692.09mm가 된다.
688.65mm×1.005≒692.09mm
또한, 이들 위치는 현의 굵기에 따라서도 장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새들을 깍거나 하여 각 현의 현 길이는 미세조정된다.
그런데, 이 0프렛의 위치에 대해, 문헌 1에서는 너트와 프렛을 구별하지 않고, 너트도 높이가 변할 뿐인 프렛으로서 받아들여, 본 발명의 도면에서 말하는 0프렛(11)의 위치는 너트 a(7)와 지판 a(9)의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프렛이란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새로운 장력을 가함으로써 음을 내는 부품으로, 처음부터 지지하여 아무것도 장력을 가하지 않고 음을 내는 부품의 너트와는 기능이 달라 구별되어야 할 부품이다.
따라서, 문헌 1의 0프렛의 위치에서는 상기 프렛의 기능으로 인해 음정이 높은 쪽으로 이탈하여 정확한 음정은 되지 않는다.
도 2의 제6현(23)의 줄감개(16)를 장착하기 위한 경사대(13)는 줄감개(16)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제6현(23)을 감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활차(14)는 지판 b(10)의 토대가 장벽이 되어 직접 줄감개(16)의 축에 감을 수 없는 5현(22)을 그 장벽을 피해 줄감개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카포타스트 장착대(15)는 제6현(23)의 개방 음정을 종래의 기타와 동일한 E2로 하기 위한 대로서, 제6현(23)만을 0프렛(11)으로 항상 눌러두기 위한 카포타스토를 장착하는 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품을 구비한 클래식 기타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최저음은 종래보다도 1음정 낮은 D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품을 구비한 일렉트릭 베이스의 헤드부의 사시도이다.
최저음은 종래보다도 1음정 낮은 D1이다.
종래의 일렉트릭 베이스의 조율은 제4현(21) E1, 제3현(20) A1, 제2현(19) D2, 제1현(18) G2이다.
(실시예)
여기에서, 실제의 연주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기타의 특징을 설명한다.
|C |GonB |Am |EmonG |F |Em |Dm7 |G7 |라는 식의 루트음이 서서히 하강해가는 코드 진행이 있다고 하자.
이를 종래의 기타를 사용하여 로우포지션으로 반주한 경우의 루트음은 |C |GonB |Am |의 곳은 제5현(22)을 치며, |EmonG |F |Em |의 곳은 제6현(23)을 쳐서, 여기까지는 서서히 하강해가는 루트음 잡기가 가능한데, |Dm7 |의 곳에서 1옥타브 높은 제4현(21)을 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그 때까지의 루트음의 자연스런 흐름이 붕괴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타를 사용하여 로우포지션으로 반주한 경우의 루트음에서는 |C |GonB |Am |의 곳은 제5현(22)을 치고, |EmonG |F |Em |에서부터 |Dm7 |의 곳까지 제6현(23)만으로 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서서히 하강해가는 자연스런 흐름의 루트음 잡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코드 진행으로 살펴보자.
|Am7 |D7 |B7onD# |Em |Am7 |Am7onD |G |라는 식의 5도 진행하고 있는 코드 진행이 있다고 하자.
이를 종래의 기타를 사용하여 로우포지션으로 반주한 경우의 루트음을 살펴보면, |Am7 |는 제5현(22)을 치며, |D7 |B7onD# |Em |은 제4현(21)을 치고, |Am7 |은 제5현(22)을 치며, |Am7onD |는 제4현(21)을 치고, |G |는 제6현(23)을 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기타를 사용하여 로우포지션으로 반주한 경우의 루트음을 살펴보면, 종래의 기타와 동일한 루트음 잡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그 외에, |Am7 |은 제5현(22)을 치며, |D7 |B7onD# |Em |은 제6현(23)을 치고, |Am7 |은 제5현(22)을 치며, |Am7onD |G |는 제6현(23)을 치는 등 낮은 쪽에서의 루트음 잡기도 가능하게 되어, 루트음으로서 보다 안정감이 있는 패턴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장비하지 않는 기타와 동일한 저음역에서 연주하고 싶은 경우에는 카포타스토 장착대(15)를 이용하고, 0프렛(11)을 카포타스토로 항상 눌러둠으로써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1 : 바디 2 : 네크
3 : 헤드 4 : 브릿지
5 : 새들 6 : 핀
7 : 너트 a 8 : 너트 b
9 : 지판 a 10 : 지판 b
11 : 0프렛 12 : -1프렛
13 : 6현용 줄감개 장착경사대 14 : 5현용 유도 활차
15 : 카포타스토 장착대 16 : 줄감개
17 : 1프렛 18 : 1현
19 : 2현 20 : 3현
21 : 4현 22 : 5현
23 : 6현

Claims (2)

  1. 지판 선단에 장착된 저음현 부분을 제외한 고음현용 너트와, 새들에서부터의 현 길이를 상기 고음현용 너트보다 길게 잡은 위치에 설치한 저음현용 너트와,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부분에서부터 상기 저음현용 너트까지의 사이에 설치한 새로운 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새로운 지판 상의 소정 위치에 -1프렛을 설치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저음현은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위치에서, 너트에 의해 개방으로 내고 있던 음정의 음을 상기 새로운 지판 위에서, 현을 누름으로써 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 0프렛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렛 사용 현악기.
  2. 지판 선단에 장착된 저음현 부분을 제외한 고음현용 너트와, 새들에서부터의 현 길이를 상기 고음현용 너트보다 길게 잡은 위치에 설치한 저음현용 너트와,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부분에서부터 상기 저음현용 너트까지의 사이에 설치한 새로운 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새로운 지판 상의 소정 위치에 -1프렛을 설치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저음현이, 상기 고음현용 너트의 저음현 부분이 제거된 위치에서, 너트에 의해 개방으로 내고 있던 음정의 음을 상기 새로운 지판 위에서, 현을 누름으로써 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 0프렛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0프렛에 상기 저음현을 항상 누를 수 있는 카포타스토를 장착하기 위한 대를, 상기 고음현용 너트 근방의 헤드측에, 상기 대에 장착하는 카포타스토가 상기 저음현 이외의 현을 누르는 일이 없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렛 사용 현악기.
KR1020117027563A 2009-06-17 2010-06-16 현악기 KR101657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4332 2009-06-17
JP2009144332A JP4450110B1 (ja) 2009-06-17 2009-06-17 弦楽器
PCT/JP2010/004020 WO2010146858A1 (ja) 2009-06-17 2010-06-16 弦楽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70A true KR20120032470A (ko) 2012-04-05
KR101657692B1 KR101657692B1 (ko) 2016-09-19

Family

ID=4221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563A KR101657692B1 (ko) 2009-06-17 2010-06-16 현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81831B2 (ko)
JP (1) JP4450110B1 (ko)
KR (1) KR101657692B1 (ko)
CN (1) CN102439658B (ko)
WO (1) WO2010146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0110B1 (ja) * 2009-06-17 2010-04-14 守 田辺 弦楽器
CN104681011A (zh) * 2013-11-29 2015-06-03 北京怡生飞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原声吉他
CA2959611A1 (en) * 2014-09-09 2016-03-17 Antonio CIRILLO Dynamic key
US10937396B2 (en) 2017-08-22 2021-03-02 Yunlai Fan Guitar
US10522118B1 (en) * 2018-03-08 2019-12-31 Stillwater Tool Werks, Llc Instrument string length measurement and mar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90A (ja) 1991-07-15 1993-01-26 Toshiba Silicone Co Ltd ダイヤフラム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H0517690U (ja) * 1991-08-21 1993-03-05 株式会社オフイスアトー 弦楽器の弦の音程可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502A (en) * 1926-06-12 1929-05-28 Tamboritza Mfg Company Banjo
US1732468A (en) * 1926-08-31 1929-10-22 Herman C J Hagberg Attachmen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3392618A (en) * 1966-03-18 1968-07-16 Walter J. Pelensky Multirange fretted guitar type instrument
US4078468A (en) * 1976-10-21 1978-03-14 Simon Civitello Apparatus for extending a lower range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S53164820U (ko) * 1977-05-31 1978-12-23
JPS5599580U (ko) * 1978-12-31 1980-07-10
JPS584136Y2 (ja) * 1979-08-07 1983-01-24 林 信秋 ギタ−用弦押え
JPS5626792A (en) * 1979-08-13 1981-03-14 Toyo Boseki Manufacture of organic fertilizer
JPS6041597Y2 (ja) * 1980-12-18 1985-12-18 至 小林 ギタ−等の調弦補助装置
JPS57105680A (en) * 1980-12-24 1982-07-01 Hitachi Ltd Structure of overflow pipe of steam generator
JPH023592Y2 (ko) * 1985-06-13 1990-01-26
JPH0353275Y2 (ko) * 1987-04-30 1991-11-20
US5097737A (en) * 1989-12-18 1992-03-24 Uhrig Ira J Tuner system for a stringed instrument
CN2081125U (zh) * 1991-01-09 1991-07-17 李春 一种吉他制式速换装置
JP3385518B2 (ja) * 1995-05-19 2003-03-10 二郎 吉川 多弦楽器
US6300549B1 (en) 1999-07-09 2001-10-09 Maestro Alex Gregory Five string electric guitar
CN2412273Y (zh) * 2000-02-21 2000-12-27 上海民族乐器一厂 扩音型古筝
JP2005189690A (ja) * 2003-12-26 2005-07-14 Mineo Harada フレット弦楽器用ナット及びフレット弦楽器用ナット補助具
CN201166962Y (zh) * 2007-12-14 2008-12-17 上海民族乐器一厂 一种具有组合演奏区的古筝
JP4450110B1 (ja) * 2009-06-17 2010-04-14 守 田辺 弦楽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90A (ja) 1991-07-15 1993-01-26 Toshiba Silicone Co Ltd ダイヤフラム用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JPH0517690U (ja) * 1991-08-21 1993-03-05 株式会社オフイスアトー 弦楽器の弦の音程可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02569A (ja) 2011-01-06
WO2010146858A1 (ja) 2010-12-23
US8481831B2 (en) 2013-07-09
JP4450110B1 (ja) 2010-04-14
US20120118125A1 (en) 2012-05-17
KR101657692B1 (ko) 2016-09-19
CN102439658B (zh) 2014-04-30
CN102439658A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1606A (en) Musical string instrument
KR20120032470A (ko) 현악기
WO2006031904A3 (en) Top pickup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US4646613A (en) Practical stick bass
US4142436A (en) Method of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WI282084B (en) Guitar
US7674962B2 (en) Harp with exposed soundboard and separate bridges and method of altering the pitch of the harp strings
US5847298A (en) Supplemental fret attachment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
US11417299B1 (en) String instrument for educational use
US6563032B2 (en) Multi-planar headsto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3174847U (ja) 弦楽器
CN212675898U (zh) 一种古典吉他音孔导音桶
CN217008627U (zh) 一种可调节琴弦位置的吉他
JP6682119B2 (ja) フレット位置決定方法及びフレット付き弦楽器のナット又はゼロフレット
KR100402404B1 (ko) 거문고
Long The creative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iques for double bass in improvisation and composition-Volume 2
KR102501956B1 (ko)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CN2929893Y (zh) 单指和弦琴
CN201435204Y (zh) 高八度bE调萨克斯管
US10643583B2 (en) Stringed instrument finger board
US4993300A (en) Method of playing a fretted string instrument
US20050011335A1 (en) Stringed instruments with no common string size placements
Klami karu
JP2020091501A (ja) フレット付き弦楽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ゼロフレット
US20050011334A1 (en) Two octave and a perfect fourth open string range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