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452A -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 Google Patents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452A
KR20120026452A KR1020110090957A KR20110090957A KR20120026452A KR 20120026452 A KR20120026452 A KR 20120026452A KR 1020110090957 A KR1020110090957 A KR 1020110090957A KR 20110090957 A KR20110090957 A KR 20110090957A KR 20120026452 A KR20120026452 A KR 2012002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blower
temperature
furnac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9286B1 (en
Inventor
고오지 요시이
다쯔야 야마구찌
웬링 왕
다까노리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41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3280B2/en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25E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semiconductor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PURPOSE: A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is provided to improve the amount of process since the temperature of a treatment basin to a high precision target temperature. CONSTITUTION: A heater(18a) is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main body(5). A treatment basin(3) receives a plurality of processed articles(W) therein. A blower supplies cooling medium to a space between the heater and the treatment basin. A temperature sensor(50)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treatment basin. A controller(51) makes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sin approached to a certain target.

Description

종형 열처리 장치{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Vertical heat treatment device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종형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heat treatment apparatus.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에 있어서는, 피처리체,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에 산화, 확산, CVD, 어닐 등의 열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각종 열처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서, 한번에 다수매의 열처리가 가능한 종형 열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형 열처리 장치는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석영제의 처리 용기와, 상기 처리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 상에 설치되어, 복수매의 피처리체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구와, 상기 처리 용기의 주위에 설치되어, 처리 용기 내로 반입된 상기 피처리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노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various heat treatment apparatuses are used to heat-treat an object, for example, a semiconductor wafer, such as oxidation, diffusion, CVD, annealing, or the like. As one of them, a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heat treatments at one time is known. This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quartz processing container having an opening at a lower portion,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the processing container, and is provided on the lid to hold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urnace main body including a holding tool, and a heater provided around the processing container and heating the object to be loaded into the processing container.

또한, 종형 열처리 장치로서는, 히터를 포함하는 노 본체 내에 공기를 송풍하여 처리 용기를 강제적으로 공냉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5189호 공보 참조). 상기 송풍기는 열처리 종료 후에 웨이퍼 및 처리 용기를 신속하게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다.Moreover, as a vertical type heat processing apparatus, the thing provided with the blower for forcibly air-cooling a processing container by blowing air in the furnace main body containing a heater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2-305189). ). The blower was used to rapidly cool the wafer and the processing vessel after the end of the heat treatment.

그런데, 열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웨이퍼에 저유전율의 막을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저온 영역, 예를 들어 100 내지 500℃에서의 열처리가 있다. 이 저온 영역에서의 열처리의 경우, 어떻게 신속하게 소정의 열처리 온도에 승온ㆍ수렴시킬지가 과제로 된다. 저온용 열처리 장치로서는, 열응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석영제의 처리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제의 처리실을 갖는 열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열처리 시에 반응 생성물이나 부생성물 등의 부착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클리닝이나 교환이 용이한 석영제의 처리 용기가 장치 구성상 필요하다. 또한, 높은 단열 성능을 가진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지만, 그것에 의해 노 내 온도의 제어성이 악화된다. 이 경우에도, 어떻게 신속하게 소정의 열처리 온도에 승온ㆍ수렴시킬지가 과제로 되고, 이는 저온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 과제이다.By the way, as heat processing, there exists heat processing in a low temperature area | region, for example, 100-500 degreeC like the case where a low dielectric constant film is formed in a waf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eat treatment in this low temperature region, a problem is how to quickly raise and converge the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temperature. As a low-temperature heat processing apparatus,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has a metal processing chamber without using a quartz processing container in order to make thermal responsiveness favorable is proposed. On the other hand, when deposits such as reaction products and by-products are generated during the heat treatment, a treatment chamber made of quartz that is easy to clean or replace is necessary in the device configuration. In addition, by using a heater having high heat insulation performance, energy saving of the apparatus can be realized, but the controllability of the furnace internal temperature is thereby deteriorated. Also in this case, the problem is how to rapidly raise and converge at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temperature, which is a problem not limited to the low temperature region.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0518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305189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8886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188869

그러나, 석영제의 처리 용기를 갖는 종형 열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처리 용기의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저온 영역에서의 승온 리커버리에 있어서의 수렴 시간이 길게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너지 절약화 등을 위해 고단열의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발생하는 문제이다. 승온 리커버리에 있어서의 수렴 시간이 길게 걸리면, 처리량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수렴 시간이 길게 걸리는 문제는 승온 과정뿐만 아니라, 강온 과정 혹은 온도 안정 시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문제이다.However, in the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quartz processing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rgence time in the temperature recovery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is long because the heat capacity of the processing container is large. In addition, when using a high insulation heater for energy saving, etc., it is a problem that is not limited to the low temperature region. If the convergence time in the temperature recovery takes a long time, the improvement in throughput is affected. Such a problem that the convergence time is long is a problem that occurs not only during the temperature increase process but also during the temperature decrease process or the temperature stabilit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온 영역에서의 혹은 높은 단열 성능을 갖는 히터를 사용했을 때의 승온 과정, 강온 과정 혹은 온도 안정 시에 있어서의 수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고정밀도로 목표 온도에 수렴시킬 수 있는 열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can shorten the convergence time in a temperature raising process, a temperature lowering process, or a temperature stability when a heater having a low temperature region or a high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s used, and thus, a processing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verg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a target temperature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은 노 본체와, 노 본체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노 본체에 설치된 배기관과, 처리 용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히터와, 블로어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과, 이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rnace body, a heater provided on the furnace bod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nd cooling the furnace body. A blower connected through a medium supply line to supply a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a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and a heater;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lower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converge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numerical model relating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blow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A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obtaining a heater output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overheat furnac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urnace from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It has a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which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emperature, It is a hea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은, 수치 모델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을 갖고, 히터 출력 연산부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numerical model has a numerical value model for a heater output and a numerical model for a blower output,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part calculates a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for a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which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blower outputs,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제어 장치는 또한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블로어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section that converts the blower output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on section into a cooling medium flow rate.

본 발명은,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블로어의 회전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section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본 발명은 배기관에 배기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 장치는 배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추종하는 설정 온도를 갖고 추가 블로어 출력을 결정하는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와,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블로어 출력과,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추가 블로어 출력을 합산하는 블로어 출력 합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haust temperature sensor in an exhaust pipe, and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n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determining an additional blower output having a set temperature following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a blower output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And a blower output summing unit for summing up additional blower outputs from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본 발명은 복수의 존으로 구획된 노 본체와, 노 본체의 각 존의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의 각 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노 본체의 각 존에 설치된 배기관과, 노 본체의 각 존에 대응하는 처리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각 존에 대응하는 히터와 블로어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각 존마다의 수치 모델과,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rnace bod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 heater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nd a furnace body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 blower connected to each of the zones of the furnace body through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nd the furnace bod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which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corresponding to each zone of the control chamber, the heater and the blower corresponding to each zone is controlled, and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is adjusted to set a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verges to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numerical model for each zone related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a blower output, a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a furnace. A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heat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igure sensor, and a blower for calculating the blow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It is a hea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utput calculating part.

본 발명은 노 본체와, 노 본체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 기구와, 노 본체에 설치된 배기관과, 처리 용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히터와, 밸브 기구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냉각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과, 이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출력을 구하는 냉각 출력 연산부와, 냉각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냉각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갖고,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밸브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rnace body, a heater provided on the furnace bod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nd cooling the furnace body. A blower connected through a medium supply line to supply a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a valv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supplied from the blower,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and a processing vessel inside Or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n external temperature, a heater, a valve mechanism, and adjusting a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converge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Obtain a heater output based on a numerical model relating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cooling output and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from this numerical model and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Has a heat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a cooling output calculating section for obtaining a cooling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a flow rat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for converting the cooling output from the cooling output calculating section into a cooling medium flow rate,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unit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mechanism is controlled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본 발명은, 수치 모델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냉각 출력용 수치 모델을 갖고, 히터 출력 연산부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냉각 출력 연산부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출력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numerical model has a numerical value model for a heater output, and a numerical model for cooling output,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part calculates a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for a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cooling output calculating part Is a heat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by obtaining a cooling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복수의 존으로 구획된 노 본체와, 노 본체의 각 존의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의 각 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 기구와, 노 본체의 각 존에 설치된 배기관과, 노 본체의 각 존에 대응하는 처리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각 존에 대응하는 히터와 밸브 기구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냉각 출력에 관한 각 존마다의 수치 모델과,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냉각 출력을 구하는 냉각 출력 연산부와, 냉각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냉각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갖고,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밸브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rnace body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 heater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nd a furnace body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vessel supplied from the blower, the blower for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connected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via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Controlling the mechanism, the exhaust pipe installed in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corresponding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nd the heater and valve mechanism corresponding to each zone, And a control device that adjusts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converge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the control device relates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cooling output. A heater output calculation unit for obtaining heat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each zone, the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corresponding to the zone. It has a cooling output calculating part which calculates the cooling output of the said zone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flow control calculating part which converts the cooling output from a cooling output calculating part into cooling medium flow volume, and a flow volume control calculating part is based on cooling medium flow volume. On the basis of this, the valve mechanism is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영역에서의 승온 과정, 강온 과정 혹은 온도 안정 시에 있어서의 수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고정밀도로 목표 온도에 수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처리량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혹은, 높은 단열 성능의 히터를 사용한 경우에, 처리량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vergence time during the temperature rising process, the temperature lowering process or the temperature stability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and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can be converged to the target temperature with high accuracy, thereby improving the throughput. Can be planned. Or when using the heater of high heat insulation performanc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ithout affecting the throughpu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열처리 장치의 냉각 매체 공급 라인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열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열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열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열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열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열처리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devic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device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종형 열처리 장치의 냉각 매체 공급 라인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열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열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of a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FIG. 3 shows a control method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도 1에 있어서, 종형의 열처리 장치(1)는 피처리체,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w)를 한번에 다수매 수용하여 산화, 확산, 감압 CVD 등의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종형의 열처리로(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열처리로(2)는 내주면에 발열 저항체(히터)(18A)가 설치된 노 본체(5)와, 노 본체(5)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5)와의 사이에 공간(33)을 형성하는 동시에, 웨이퍼(w)를 수용하여 열처리하기 위한 처리 용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히터(18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 엘리먼트(18)로 이루어져 있다.In Fig. 1, the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vertical heat treatment furnace 2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for example, semiconductor wafers w, at one time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such as oxidation, diffusion, and reduced pressure CVD. ). The heat treatment furnace 2 is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5 and the furnace body 5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resistor (heater) 18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orms a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body 5. At the same time, the processing container 3 for accommodating and heat-processing the wafer w is provided. Among them, the heater 18A includes a plurality of heater elements 18 as described later.

또한, 노 본체(5)는 베이스 플레이트(6)에 의해 지지되고, 이 베이스 플레이트(6)에는 처리 용기(3)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6)의 개구부(7)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도시하지 않은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urnace body 5 is supported by the base plate 6, and the base plate 6 is formed with an opening 7 for inserting the processing container 3 from below to above. Moreov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provided in the opening part 7 of the base plate 6 so that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base plate 6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may be covered.

처리 용기(3)는 석영제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폐색되고, 하단부가 노구(3a)로서 개방된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을 갖는다. 처리 용기(3)의 하단부에는 외향의 플랜지(3b)가 형성되고, 플랜지(3b)는 도시하지 않은 플랜지 압박 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처리 용기(3)에는 하측부에 처리 가스나 불활성 가스 등을 처리 용기(3) 내에 도입하는 도입 포트(도입구)(8) 및 처리 용기(3) 내의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배기 포트(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 포트(8)에는 가스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고, 배기 포트에는, 예를 들어 133×600㎩ 내지 133×10-2㎩ 정도로 감압 제어가 가능한 진공 펌프를 구비한 배기계(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made of quartz and has a vertically long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closed and the lower end is opened as the furnace port 3a. An outward flange 3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 and the flange 3b is supported by the base plate 6 via a flange pressing member (not shown). In addition,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the introduction port (inlet) 8 which introduces a processing gas, an inert gas, etc. into the processing container 3 in the lower part, and the gas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which are not shown in figure are not shown in figure. An exhaust port (exhaust vent) is formed. A gas supply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8, and an exhaust system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vacuum pump capable of controlling the pressure reduction to about 133 × 600 kPa to 133 × 10 −2 kPa, for example. ) Is connected.

처리 용기(3)의 하방에는 처리 용기(3)의 노구(3a)를 폐색하는 덮개(10)가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10)의 상부에는 노구의 보온 수단인 보온통(11)이 적재되고, 상기 보온통(11)의 상부에는 직경이 300㎜인 웨이퍼(w)를 다수매, 예를 들어 100 내지 150매 정도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탑재하는 보유 지지구인 석영제의 보트(12)가 적재되어 있다. 덮개(10)에는 보트(12)를 그 축심 주위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보트(12)는 덮개(10)의 하강 이동에 의해 처리 용기(3) 내로부터 하방의 로딩 에어리어(15) 내로 반출(언로드)되어, 웨이퍼(w)의 이체 후, 덮개(10)의 상승 이동에 의해 처리 용기(3) 내로 반입(로드)된다.Below the processing container 3, the lid 10 which closes the furnace port 3a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provided so that the lifting / lowering movement is possible by the lifting mechanism not shown. An upper portion of the lid 10 is loaded with a thermal insulation tube 11, which is a thermal insulation means of a furnace, and a plurality of wafers w having a diameter of 300 mm, for example, about 100 to 150 sheets, ar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ermal insulation cylinder 11. A boat 12 made of quartz, which is a holding tool to be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tacked. The cover 1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mechanism 13 for rotating the boat 12 around its axis. The boat 12 is unloaded (unloaded) from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 into the lower loading area 15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id 10, and after the transfer of the wafer w,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d 10 is performed. It is carried in (loaded) into the processing container 3 by this.

상기 노 본체(5)는 원통 형상의 단열재(16)와, 상기 단열재(16)의 내주면에 축방향(도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홈 형상의 선반부(17)를 갖고, 각 선반부(17)를 따라서 히터 엘리먼트(히터선, 발열 저항체)(18)가 배치되어 있다. 단열재(16)는,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혹은 규산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무기질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단열재(16)는 세로로 2분할되어 있고, 이로 인해 히터 엘리먼트의 조립 부착 및 히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furnace body 5 has a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aterial 16 and a groove-shaped shelf portion 17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e axi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each shelf A heater element (heater wire, heat generating resistor) 18 is disposed along the portion 17.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consists of inorganic fiber containing silica, alumina, or alumina silicate, for exampl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is divided | segmented into two longitudinally, and this makes it easy to assemble and attach a heater element, and to assemble a heater easily.

상기 단열재(16)에는 상기 히터 엘리먼트(18)를 적절한 간격으로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선반부(17)로부터 탈락 내지 탈출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하는 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 형상의 단열재(16)의 내주면에는 이것과 동심의 환형상의 홈부(21)가 축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상부의 홈부(21)와 하부의 홈부(21)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환형상의 상기 선반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1)에 있어서의 히터 엘리먼트(18)의 상부와 하부 및 홈부(21)의 안쪽벽과 히터 엘리먼트(18) 사이에는 히터 엘리먼트(18)의 열팽창 수축 및 직경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 간극에 의해 강제 냉각 시의 냉각 매체가 히터 엘리먼트(18)의 배면으로 돌아 들어가, 히터 엘리먼트(18)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냉각 매체로서는, 공기, 질소 가스 혹은 물이 생각된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16 is arranged with a fin member (not shown) for moving the heater element 18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for holding the heater element 18 so as not to fall off or escape from the shelf 17.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aterial 16, this and concentric annular groove portions 21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a predetermined pitch in the axial direction, and between the adjacent upper groove portions 21 and the lower groove portions 21. The annular shelf part 17 which continu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The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eater element 18 and the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allow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er element 18 and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portion 21 and the heater element 18 in the groove portion 21. A sufficient gap is formed, and the gap allows the cooling medium at the time of forced cooling to return to the back surface of the heater element 18 so as to effectively cool the heater element 18. In addition, as such a cooling medium, air, nitrogen gas, or water is considered.

각 히터 엘리먼트(18) 사이는 접속판에 의해 접합되고, 단부측에 위치하는 히터 엘리먼트(18)는 단열재(16)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단자판(22a, 22b)을 통해 외부의 히터 구동부(18B)에 접속되어 있다.Each heater element 18 is joined by a connecting plate, and the heater element 18 located at the end sid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eater driving unit through terminal plates 22a and 22b provided to penetrat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in the radial direction. 18B).

노 본체(5)의 단열재(16)의 형상을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단열재(16)를 보강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16)의 외주면은 금속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제의 외피(아우터 쉘)(28)로 덮여 있다. 또한, 노 본체(5)의 외부로의 열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외피(28)의 외주면은 수냉 재킷(30)으로 덮여 있다. 단열재(16)의 정상부에는 이것을 덮는 상부 단열재(31)가 설치되고, 이 상부 단열재(31)의 상부에는 외피(28)의 정상부(상단부)를 덮는 스테인리스제의 천장판(32)이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retain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of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o reinfor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as shown in FIG.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is made of metal, for example, a stainless steel outer shell ( Outer shell) 28. Moreover, in order to suppress the heat influence to the exterior of the furnace main body 5,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28 is covered with the water cooling jacket 30. As shown in FIG. The top heat insulating material 31 which covers this is provided in the top part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and the stainless steel ceiling plate 32 which covers the top part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28 is provided in the top part of this top heat insulating material 31. As shown in FIG.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처리 후에 웨이퍼를 급속 강온시켜 처리의 신속화 내지 처리량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노 본체(5)에는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의 분위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열계(35)와, 상기 공간(33) 내에 상온(20 내지 30℃)의 냉각 매체를 도입하여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강제 냉각 매체 수단(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열계(35)는, 예를 들어 노 본체(5)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37)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구(37)에는 공간(33) 내의 냉각 매체를 배기하는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이 접속되어 있다.1 and 2, the furnace body 5 is provided between the furnace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in order to rapidly lower the wafer after the heat treatment to speed up the treatment or to improve the throughput. The array system 35 which discharges the atmosphere in the space 33 to the outside, and the forced cooling medium means 36 which introduce the cooling medium of normal temperature (20-30 degreeC) in the space 33 and forcibly cool it are It is installed. The array system 35 includes, for example, an exhaust port 37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urnace body 5, and the exhaust port 37 has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for exhausting a cooling medium in the space 33. ) Is connected.

또한, 강제 냉각 매체 수단(36)은 상기 노 본체(5)의 단열재(16)와 외피(28)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환형상 유로(38)와, 각 환형상 유로(38)로부터 단열재(16)의 중심 경사 방향으로 냉각 매체를 분출하여 상기 공간(33)의 둘레 방향으로 선회류를 발생시키도록 단열재(16)에 형성된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을 갖고 있다. 상기 환형상 유로(38)는 단열재(16)의 외주면에 띠형상 또는 환형상의 단열재(41)를 부착하거나, 혹은 단열재(16)의 외주면을 환형상으로 깎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은 단열재(16)에 있어서의 상하에 인접하는 히터 엘리먼트(18) 사이인 선반부(17)에 이것을 직경 방향의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을 선반부(17)에 형성함으로써, 히터 엘리먼트(18)에 방해되는 일 없이 냉각 매체를 상기 공간(33)으로 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ced cooling medium means 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nular flow passages 38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and the shell 28 of the furnace body 5, and from each annular flow passage 38. The cooling medium ejection hole 40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so that a cooling medium may be ejected in the center diagonal direction of (16), and a swirl flow will be gener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space 33. As shown in FIG. The annular flow passage 38 is formed by attaching a band-shaped or annular heat insulating material 41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or by shav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in an annular shape. The cooling medium blowing hole 40 is formed in the shelf portion 17 between the heater elements 18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so as to penetrate it into and out of the radial direction. By forming the cooling medium blowing holes 40 in the shelf portion 17 in this manner, the cooling medium can be ejected into the space 33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heater element 18.

그런데, 히터 엘리먼트(18)로서 띠형상의 발열 저항체를 사용하여, 선반부(17) 내에 수납한 예를 나타냈지만, 히터 엘리먼트(18)로서는 이와 같은 구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구조의 히트 엘리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으로부터의 냉각 매체에 의해 공간(33) 내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예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으로부터의 냉각 매체에 의해 반드시 선회류를 발생시킬 필요는 없다.By the way, although the example which accommodated in the shelf part 17 using the strip | belt-shaped heat generating resistor as the heater element 18 wa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e thing of such a structure as the heater element 18, but the heat of other various structures is shown. You can use elements. 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duces the swirl flow in the space 33 by the cooling medium from the cooling medium ejection hole 40 is shown, the swirl flow will necessarily generate | occur | produce by the cooling medium from the cooling medium ejection hole 40. FIG. There is no need.

상기 외피(28)의 외주면에는 각 환형상 유로(38)에 냉각 매체를 분배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1개의 공급 덕트(49)가 높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외피(28)에는 공급 덕트(49) 내와 각 환형상 유로(38)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 덕트(49)에는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이 접속되어 있다.One common supply duct 49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cooling medium to each annular flow passage 38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28, and the supply duct 49 is provided on the outer shell 28. The communication por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each annular flow path 38 is formed. The cooling duct supply line 52 which supplies a cooling medium is connected to the supply duct 49.

또한, 처리 용기(3) 내에는 당해 처리 용기(3) 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노 내 온도 센서)(50)가 설치되고, 이 온도 센서(50)로부터의 검지 신호는 신호 라인(50a)을 통해 제어 장치(51)로 보내진다. 또한, 온도 센서(50)를 반드시 처리 용기(3) 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온도 센서(50)를 설치하거나, 또는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도 1의 2점 쇄선).In addition,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a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50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provided, and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is a signal line 50a. )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51.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5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stall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is provided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or on both sides. You may provide it (two dashed-dotted line of FIG. 1).

또한, 배기구(37) 내에도 온도 센서(배기 온도 센서)(80)가 설치되고, 이 온도 센서(80)로부터의 검지 신호는 신호 라인(80a)을 통해 제어 장치(51)로 보내진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is also provided in the exhaust port 37, and the detection signal from this temperature sensor 80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51 via the signal line 80a.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과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은 각각 독립하여 오픈계 냉각 매체 공급/배기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이 중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에는 유량 센서(52a) 및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가 설치되고, 이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는 인버터 구동부(53a)를 갖고 있다.1 and 2,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each independently constitute an open system cooling medium supply / exhaust line. Among these,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is provided with the flow sensor 52a and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is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has an inverter drive part 53a.

또한,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의 입구측에는 댐퍼(56)가 설치되고,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의 출구측에는 구멍 밸브(54) 및 나비 밸브(5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의 입구측의 댐퍼(56) 및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의 출구측의 구멍 밸브(54) 및 나비 밸브(55)는 모두 개폐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댐퍼(56), 구멍 밸브(54) 및 나비 밸브(55)는 냉각 매체 공급 라인측 밸브 기구(54A)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a damper 56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a hole valve 54 and a butterfly valve 55 ar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The damper 56 on the in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hole valve 54 and the butterfly valve 55 on the out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re both openable and adjustable. 56, the aperture valve 54 and the butterfly valve 55 constitute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side valve mechanism 54A.

또한,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에는 유량 센서(62a)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가 설치되고, 이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는 인버터 구동부(63a)를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flow rate sensor 62a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re provided in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has an inverter driver 63a.

또한,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입구측에는 나비 밸브(66) 및 구멍 밸브(67)가 설치되고,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출구측에는 구멍 밸브(64), 나비 밸브(6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입구측의 나비 밸브(66) 및 구멍 밸브(67)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출구측의 구멍 밸브(64) 및 나비 밸브(65)는 모두 개폐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입구측의 나비 밸브(66) 및 구멍 밸브(67)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의 출구측의 구멍 밸브(64) 및 나비 밸브(65)는 냉각 매체 배기 라인측 밸브 기구(64A)를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a butterfly valve 66 and a hole valve 67 are provided at the in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nd a hole valve 64 and a butterfly valve 65 are arrang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It is. The butterfly valve 66 and the hole valve 67 on the inlet side of thes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s 63 and the hole valve 64 and the butterfly valve 65 on the out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re both open and closed. The butterfly valve 66 and the hole valve 67 on the in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nd the hole valve 64 and the butterfly valve 65 on the outlet sid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re enabled. ) Constitutes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side valve mechanism 64A.

그리고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냉각 매체 공급 라인측 밸브 기구(54A),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측 밸브 기구(64A)에 의해, RCU 시스템(Rapid Cooling Unit)(1A)이 구성되어 있다.And a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side valve mechanism 54A, a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and a cooling medium exhaust line side valve. The mechanism 64A constitutes an RCU system (Rapid Cooling Unit) 1A.

다음에, 온도 센서(50)에 접속된 제어 장치(51)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Next, the control device 51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온도 센서(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용기(3) 내에 설치되어 처리 용기(3)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온도 센서(50)를 설치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처리 용기(3) 내의 온도를 검출해도 좋다.Although the temperature sensor 50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and detects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as mentioned above, the temperature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temperature. By providing the sensor 50, you may indirectly detect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온도 센서(50)로 검출된 검지 신호는 신호 라인(50a)을 통해 제어 장치(51)로 보내진다. 이 제어 장치(51)는, 예를 들어 100℃ 내지 500℃의 저온 영역에서의 승온 과정, 강온 과정 혹은 온도 안정 시에 있어서, 소정의 목표 온도에 대한 수렴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고정밀도로 목표 온도에 근접시키는 것이다(도 4).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0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51 via the signal line 50a. This control device 51 shortens the convergence tim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rising process, the temperature decreasing process, or temperature stability in the low temperature range of 100 degreeC-500 degreeC, for example, and also target temperature with high precision. To (Fig. 4).

즉, 제어 장치(51)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71)과, 이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51a)와,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를 갖고 있다.That is, the control apparatus 51 calculates the numerical model 71 regarding the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blower output, and the heater output which calculates a heater output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is numerical model 71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The calculating part 51a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which calculate | require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numerical model 71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are provided.

이 중, 수치 모델(71)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을 갖고 있고,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Among these, the numerical model 71 has a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71b for blower output, and the heater output calculation part 51a has the numerical value from the heater output numerical model 71a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The heater output is obtained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on unit 51b obtains the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b for the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여기서 수치 모델(71) 중,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numerical model 71 for heater output is demonstrated in the numerical model 71. FIG.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은 온도 센서(50) 및 히터 구동부(18B)로부터, 미리 반도체 웨이퍼(w)의 온도를 추측하고, 또한 추측한 온도를 전체적으로 목적 온도에 근접시키기 위해, 히터(18)에 공급하는 전력을 특정 가능한 수학 모델이고, 임의의 모델(다변수, 다차원, 다출력 함수)을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17,594호 공보에 개시된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The heater output numerical model 71a estimates the temperatur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n advanc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and the heater driving unit 18B, and further heats the estimated temperature to the target temperature. It is a mathematical model capable of specifying the power to be supplied to, and any model (multivariate, multidimensional, multi-output function) is available. As such a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s, the model disclosed by US Pat. No. 5,517,594 can be used, for example.

이하, 미국 특허 제5,517,594호 공보에 개시된 모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열처리 장치에, 중심과 주연부로부터, 예를 들어 6㎜ 이격된 위치에 열전대를 내장한 5매의 테스트용 반도체 웨이퍼를 준비한다. 다음에, 이들 5매의 테스트용 반도체 웨이퍼가, 5개의 존에 1개씩 위치하도록, 테스트용 웨이퍼와 통상의 웨이퍼를 보트에 적재한다. 다음에, 이 보트를 처리 용기에 로드한다. 다음에, 히터에 고주파 대역의 신호 및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인가하고, 온도 센서의 출력, 테스트용 웨이퍼 상의 열전대의 출력(웨이퍼 온도),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 등의 데이터를, 예를 들어 1 내지 5초의 샘플링 주기로 취득한다.Hereinafter, a model disclosed in US Patent No. 5,517,59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irst, in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five test semiconductor wafers in which thermocouples are built in a position separated, for example, by 6 mm from the center and the peripheral portion are prepared. Next, the test wafer and the normal wafer are loaded into the boat so that these five test semiconductor wafers are located one by one in five zones. Next, this boat is loaded into a processing container. Next,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and a signal of a low frequency band are applied to the heater, and data such as the out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output of the thermocouple on the test wafer (wafer temperatur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eater, and the like are 1 to 1, for example. Acquire at a sampling cycle of 5 seconds.

다음에, 일정한 온도 범위, 예를 들어 400℃ 내지 1100℃의 범위에서, 100℃ 간격으로 온도 대역을 설정한다(넓은 온도 대역을 1개의 모델로 커버하면 온도의 추정 등이 부정확해져 버리기 때문에).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각 온도 대역에 대해, 수학식 1에 나타내는 ARX(자동 회귀) 모델을 설정한다.Next, in a constant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400 ° C to 1100 ° C, temperature bands are set at intervals of 100 ° C (because the estimation of temperature or the like becomes inaccurate when the wide temperature band is covered by one model). From the acquired data, the ARX (automatic regression) model shown in Formula (1) is set for each temperature ban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yt:시점 t에서의 이하의 내용을 성분으로 하는 p행 1열의 벡터y t : vector of p rows and 1 columns whose components are as follows at time t

내용:온도 센서의 출력의 변동량(이 예에서는 5개의 온도 센서 전대가 존재하므로, 5성분), 상기와는 별도의 장소에 놓인 온도 센서의 출력의 변동량(이 예에서는 5개의 온도 센서가 존재하므로, 5성분), 웨이퍼의 중심부에 세트한 열전대의 출력의 변동량(이 예에서는 5개), 웨이퍼의 주연부에 세트한 열전대의 출력 변동량(이 예에서는 5개). 따라서, 이 예에서는, y1은 20행 1열의 벡터로 된다.Contents: The amount of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5 components in this example because there are five temperature sensor poles), and the amount of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located in a separate place from the above (in this example, there are five temperature sensors , Five components), the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thermocouple set at the center of the wafer (five in this example), and the variation in the output of the thermocouple set at the periphery of the wafer (five in this example). Therefore, in this example, y 1 is a vector of 20 rows and 1 column.

ut:시점 t에서의 히터 전력의 변동량을 성분으로 하는 m행 1열의 벡터(이 예에서는, 히터가 5대이므로, 5행 1열).u t : A vector of m rows and 1 column which has the fluctuation amount of heater electric power at the time t (in this example, since there are 5 heaters, 5 rows and 1 column).

et:화이트 노이즈를 성분으로 하는 m행 1열의 벡터.e t : m-row vector containing white noise as a component.

n:지연(예를 들어, 8).n: delay (for example, 8).

AA1 내지 AAn:p행 p열의 행렬(이 예에서는 20행 20열).A matrix from AA 1 to AA n : p rows p columns (20 rows 20 columns in this example).

BB1 내지 BBn:p행 m열의 행렬(이 예에서는 20행 50열).BB 1 to BB n : p matrix of m rows (20 rows and 50 columns in this example).

여기서, 각 계수 AA1 내지 AAn과 BB1 내지 BBn을, 최소 제곱법 등을 사용하여 결정한다.Here, the coefficients AA 1 to AA n and BB 1 to BB n are determined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or the like.

이 ARX 모델 관계를 상태 공간법에 적용하면, 그 기본 방정식은 수학식 2로 나타내게 된다.Applying this ARX model relationship to the state space method, the basic equation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x는 상태 변수, K는 칼만 필터의 피드백계, A, B, C는 행렬이다.Where x is a state variable, K is a Kalman filter feedback system, and A, B, and C are matrices.

실제의 성막 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차수를 10차 정도까지 저차원화하고, 수학식 2로부터 온도 대역마다 수식 모델을 작성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during the actual film formation, the order is reduced to about tenth order, and a mathematical model is created for each temperature band from the equation (2).

이와 같이 하여, 온도 대역마다, 입력[온도 센서 및 히터 전력(P)]으로부터 웨이퍼의 온도를 유도하는 수학식 3을 유도한다.In this way, the equation (3) which derives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from the input (temperature sensor and heater power P) is derived for each temperature ban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다음에, 다시 테스트용 웨이퍼를 처리하여,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추정된 웨이퍼 온도(Tmodel)와 실측값(Twafer)을 비교하여, 모델을 튜닝한다. 이 튜닝 동작을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반복한다.Next, the test wafer is processed again, and the model is tuned by comparing the estimated wafer temperature Tmodel and measured value Twafer based on Equation (3). This tuning operation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as necessary.

이와 같이 하여, 웨이퍼의 처리 매수 및 그 배치에 따라서, 웨이퍼의 온도 추정 및 웨이퍼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기 위한 출력을 정의하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이 얻어진다. 또한, 추측한 웨이퍼 온도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관측 온도 그 자체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모델로 해도 좋다.In this way, a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is obtained, which defines the wafer temperature estimation and the output for setting the wafer temperature as the target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wafers processed and their arrange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assumed the estimated wafer temperature as a control object was shown, it is good also as a model which makes observation temperature itself into a control object.

한편,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은 상술한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을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히터(18A)를 동작시키면서,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실제로 동작시켜, 반도체 웨이퍼(w)의 온도를 실측함으로써,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함께 취득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lower output numerical model 71b actually operates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while operating the heater 18A, similarly to the method for obtaining the heater output numerical model 71a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emiconductor wafer w, it can acquire with the numerical-model 71a for heater output.

또한, 수치 모델(71)이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의 양쪽을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단일의 수치 모델(71) 내에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 및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을 포함시켜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numerical model 71 has shown the example which has both the numerical model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71b for blower output, the numerical model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for blower output are shown in the single numerical model 71. You may include it.

또한, 히터 출력 연산부(51a)에 의해 구해진 히터 출력은 히터 구동부(18B)로 보내져, 이 히터 구동부(18B)에 의해, 히터 출력 연산부(51)에 의해 구해진 히터 출력에 기초하여 히터(18A)의 히터 엘리먼트(18)가 구동 제어된다.In addition, the heater output calculated by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51a is sent to the heater driving unit 18B, and the heater driving unit 18B of the heater 18A is based on the heater output determined by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51. The heater element 18 is drive controlled.

한편,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에 의해 구해진 블로어 출력은 인버터 구동부(53a, 63a)로 보내져, 이들 인버터 구동부(53a, 63a)에 의해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가 구동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ower output obtained by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51b is sent to the inverter driving units 53a and 63a, and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re supplied by these inverter driving units 53a and 63a. Drive controlled.

이와 같이 하여,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와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에 의해,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냉각 매체가 공급된다.In this way, the cooling medium is supplied into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by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또한,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와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설치함으로써,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또는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 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여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냉각 매체를 공급해도 좋다. 또한, 그 경우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과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이 모두 블로어에 접속하고, 클로즈계 냉각 매체 공급/배기 라인을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만을 설치하는 경우,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에 의해 구해진 블로어 출력에 기초하여,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의 인버터 구동부(53a)가 구동 제어된다.Moreover, although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were provided, the example which supplies the cooling medium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was shown, It is not limited, You may provide either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or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and may supply a cooling medium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 In this case, both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may be connected to the blower to form a closed system cooling medium supply / exhaust line. For example, when only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is provided, the inverter drive part 53a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is drive-controlled based on the blower output calculated | required by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열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effect | action of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sists of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우선, 보트(12) 내에 웨이퍼(w)가 탑재되고, 웨이퍼(w)가 탑재된 보트(12)가 덮개(10)의 보온통(11) 상에 적재된다. 그 후 덮개(10)의 상승 이동에 의해 보트(12)가 처리 용기(3) 내로 반입된다.First, the wafer w is mounted in the boat 12, and the boat 12 on which the wafer w is mounted is mounted on the heat insulating container 11 of the lid 10. The boat 12 is then carried into the processing vessel 3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d 10.

다음에, 제어 장치(51)는 히터 구동부(18A)를 제어하여 히터 엘리먼트(18)를 작동시켜,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을 가열하고, 처리 용기(3) 내의 보트(12)에 탑재된 웨이퍼(w)에 대해 필요한 열처리를 실시한다.Next, the control apparatus 51 controls the heater drive part 18A to operate the heater element 18, heats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container ( 3) Necessary heat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wafer w mounted on the boat 12 in the vessel.

그동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를 강제적으로 냉각한다.In the meantim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forcibly cool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heat treatment operation as necessary.

이 경우, 우선 제어 장치(51)에 의해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54)가 작동한다. 이때 냉각 매체(20 내지 30℃)가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내에 도입되고, 다음에 냉각 매체는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로부터 공급 덕트(49)로 보내진다.In this case, first,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54 are operated by the control device 51. At this time, the cooling medium 20 to 30 ° C. is introduced into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n the cooling medium is sent from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to the supply duct 49.

그 후 공급 덕트(49) 내의 냉각 매체는 노 본체(5)의 단열재(16) 외측에 형성된 각 환형상 유로(38) 내에 진입하고, 다음에 환형상 유로(38) 내의 냉각 매체는 단열재(16)를 관통하여 형성된 냉각 매체 분출 구멍(40)으로부터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분출되어, 이 공간(33) 내를 강제적으로 냉각한다.Thereafter, the cooling medium in the supply duct 49 enters into each annular flow passage 38 form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of the furnace body 5, and then the cooling medium in the annular flow passage 38 i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 Is blown into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from the cooling medium jetting hole 40 formed through the cooling medium blowing hole 40 to forcibly cool the space 33.

공간(33) 내의 냉각 매체는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을 거쳐서 열교환기(69)에 의해 냉각된 후,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에 의해 외부로 배기된다.The cooling medium in the space 33 is cooled by the heat exchanger 69 via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이 경우,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결정하고, 이 히터 출력에 기초하여 히터 구동부(18B)가 히터(18A)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결정하고, 이 히터 출력에 기초하여 인버터 구동부(53a, 63a)가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54)를 회전수 제어함으로써 구동 제어한다.In this case,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51a determine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a for the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and the heater driving unit 18B determine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heater output. Drive control 18A. In addition,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51b determines the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b for the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and based on the heater output, the inverter drive units 53a and 63a The drive control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54.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저온 영역에서의 승온 과정, 강온 과정 혹은 온도 안정 시에 있어서 처리 용기(3) 내에 있어서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단시간에, 또한 고정밀도로 수렴시킬 수 있다.Thereby, for example,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 can be converged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in a short time and with high precision in the temperature rising process, the temperature decreasing process, or temperature stability in a low temperature range.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다음에, 도 5 및 도 6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제어 장치(51)의 구성이 다를 뿐이고,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5 and 6 differ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apparatus 51, and the other struct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2nd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1-4,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71)과, 이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51a)와,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heater output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71 relating to the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the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numerical model 71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part 51a which is calculated | required,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which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numerical model 71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are included.

이 중, 수치 모델(71)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을 갖고 있고,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Among these, the numerical model 71 has a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71b for blower output, and the heater output calculation part 51a has the numerical value from the heater output numerical model 71a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The heater output is obtained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on unit 51b obtains the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b for the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1)는 배기 온도 센서(80)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추종하는 설정 온도(블로어용 설정 온도)를 갖고 추가 블로어 출력을 결정하는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를 갖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device 51 has an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not shown) that has a set temperature (the set temperature for the blower) that follows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 51c).

그리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로부터의 블로어 출력과,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로부터의 추가 블로어 출력이 블로어 출력 합산부(51d)에 있어서 합산되고, 이와 같이 합산된 블로어 출력에 기초하여 인버터 구동부(53a, 63a)에 의해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와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각각 회전수 제어함으로써 구동 제어한다.And the blower output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and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from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c are summed in the blower output adding part 51d, and the inverter drive part based on the blower output thus summed up. The drive control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by 53a and 63a, respectively.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5 and 6,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51a obtain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a for the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51b outputs the blower. The blower output is obta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from the numerical model 71b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또한,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는 배기 온도 센서(80)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추종하는 설정 온도를 갖고, 추가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c has a set temperature following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to obtain an additional blower output.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18) 및 RCU 시스템(1A)을 작동시키고, 예를 들어 노 내 온도를 승온시키고, 일정한 목표 온도까지 승온시키면, 그 목표 온도로 유지하여 노 내 온도를 안정화시켜 두는 것을 생각한다.In this case, when the heater 18 and the RCU system 1A are operated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the furnace temperature is raised, and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constant target temperature, the furnac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the target temperature. Think about stabilizing.

도 6에 있어서,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에 의해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것에 추가하여,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에 의해 배기 온도 센서(80)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추종하도록 설정 온도를 정하고, 이 설정 온도와 배기 온도 센서(80)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기초하여 추가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In FIG. 6, in addition to obtaining a blower output on the basis of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numerical model 71b for blower output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by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b,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c is provided. The set temperature is determined so as to follow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and an additional blower output is obtain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에 있어서 설정되는 설정 온도는 항상 마이너스의 추가 블로어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배기 온도 센서(80)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대해 적절한 오프셋을 갖도록 요구된다. 이와 같이,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51c)에 있어서, 항상 마이너스의 추가 블로어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특히 노 내 온도를 안정시킬 때(온도 안정 시), 블로어 출력 합산부(51d)에 있어서 합산되는 블로어 출력을 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노 내 온도의 온도 안정 시에 있어서, 히터(18)만으로 노 내 온도를 조정할 수 있어, RCU 시스템(1A)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set temperature set in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c is required to have an appropriate offset with respect to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80 so as to always generate a negative additional blower output. In this manner,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51c always generates a negative additional blower output, so that the blower output summed in the blower output adding unit 51d is particularly used when the furnace temperature is stabilized (temperature stable). Can be approached to zero. For this reason, in the case of temperature stability of the furnace temperature, the furnac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only by the heater 18, and the use of the RCU system 1A can be minimized.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 7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는 제어 장치(51)의 구성이 다를 뿐이고,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51 differs only in the 3rd Embodiment shown in FIG. 7, and the other struct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도 7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3rd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1-4,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51)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냉각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71)과, 이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51a)와, 수치 모델(71)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냉각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냉각 출력 연산부)(51b)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device 51 includes a numerical model 71 relating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a blower output (cooling output), and a furnace within the numerical model 71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Heat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a for obtaining heater output based on temperature, and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cooling output calculating section) for obtaining blower output (cooling output)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numerical model 71 and temperature sensor 50. 51b).

이 중, 수치 모델(71)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냉각 출력용 수치 모델)(71b)을 갖고 있고,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Among these, the numerical model 71 has a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for cooling output (a numerical model for cooling output) 71b, and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part 51a has the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emperature. Heater output is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sensor 50, and a blower output calculation part 51b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b for blower outputs,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FIG.

또한, 제어 장치(51)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로부터의 블로어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51e)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유량 제어 연산부(51e)는 블로어 출력을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공급되는 적절한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한다.Moreover, the control apparatus 51 has the flow volume control calculating part 51e which converts the blower output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into cooling medium flow volume. In this case,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unit 51e converts the blower output into an appropriate cooling medium flow rate supplied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도 7에 있어서,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In Fig. 7,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51a obtain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71a for the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51b calculates the numerical value for the blower output ( The blower output is obta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from 71b)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또한, 유량 제어 연산부(51e)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에서 구한 블로어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고, 또한 이 냉각 매체 유량과 유량 센서(52a, 62a)로 검출된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의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인버터 구동용 신호를 출력한다. 그 후, 인버터 구동부(53a, 63a)는 유량 제어 연산부(51e)에서 구한 인버터 구동용 신호에 기초하여,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회전수 제어함으로써 구동 제어하여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의 냉각 매체 유량을 제어한다.Further,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51e converts the blower output obtained by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51b into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and further,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detected by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and the flow rate sensors 52a and 62a. And an inverter driving signal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Thereafter, the inverter driving units 53a and 63a drive control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based on the inverter driving signal obtained by the flow rate control operation unit 51e.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is controlled.

이와 같이,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에서 구한 블로어 출력을 유량 제어 연산부(51e)에 있어서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공급되는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고, 유량 센서(52a, 62a)로 검출한 냉각 매체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이 긴 배관을 갖는 경우, 혹은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이 짧은 배관을 갖는 경우 등, 열처리 장치(1)의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의 배치, 형상이 상이해도, 노 본체(5)와 처리 용기(3) 사이의 공간(33) 내에 원하는 양의 냉각 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Thus, the blower output calculated by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is converted into the cooling medium flow volume supplied in the space 33 between the furnace main body 5 and the processing container 3 in the flow volume control calculating part 51e, and flow volume By adjusting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detected by the sensors 52a and 62a, for example, when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have long piping, or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Even if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1 are different, such as when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has a short pipe, the furnace body 5 and the furnace body 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desired amount of cooling medium can be supplied into the space 33 between the processing vessels 3.

이에 의해 열처리 장치(1)의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 및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의 배치, 형상에 의하지 않고, 항상 노 내 온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urnace temperature can always be controlled with high accuracy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of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1.

또한, 유량 제어 연산부(51e)에 의해 구한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냉각 매체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회전수 제어함으로써 구동 제어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량 제어 연산부(51e)에 의해 구한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냉각 매체 공급 라인측 밸브 기구(54A)를 구동 제어해도 좋고, 유량 제어 연산부(51e)에 의해 구한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냉각 매체 배기측 밸브 기구(64A)를 구동 제어해도 좋다. 또한, 유량 제어 연산부(51e)는 블로어 출력을 변환하여 냉각 매체 유량을 구하고, 유량 센서(52a, 62a)로부터의 냉각 매체 유량을 조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유량 센서(52a, 62a) 중 한쪽으로부터의 냉각 매체 유량을 사용하여 조정해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drive-controlled by rotation speed control of the cooling medium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was shown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volum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low volume control calculating part 51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side valve mechanism 54A may be drive controlled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determined by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unit 51e, or the cooling medium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determined by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unit 51e. 64 A of exhaust side valve mechanisms may be drive-controlled. In addition, although the flow control calculation part 51e converted the blower output, calculated | required the cooling medium flow volume, and showed the example which adjusted the cooling medium flow volume from the flow sensor 52a, 62a, from one of the flow sensor 52a, 62a, You may adjust using the cooling medium flow volume of.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에, 도 8에 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 본체(5)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5개의 존(5a, 5b, 5c, 5d, 5e)으로 구획되고, 각 존(5a, 5b, 5c, 5d, 5e)마다 히터(18)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furnace body 5 is partitioned into five zones 5a, 5b, 5c, 5d, 5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each zone 5a, 5b, 5c, The heater 18 is provided for every 5d and 5e.

또한, 노 본체(5)의 각 존(5a, 5b, 5c, 5d, 5e)마다, 각각 냉각 매체 공급 라인(52)과 냉각 매체 배기 라인(62)을 갖는 RCU 시스템(1A)이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CU system 1A having the cooling medium supply line 52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zones 5a, 5b, 5c, 5d, and 5e of the furnace main body 5, respectively. .

또한, 노 본체(5)의 각 존(5a, 5b, 5c, 5d, 5e)에 대응하여, 처리 용기(3)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50)가 설치되고, 이들 각 노 내 온도 센서(50)로부터의 검지 신호는 제어 장치(51)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Moreover, in correspondence with each zone 5a, 5b, 5c, 5d, 5e of the furnace main body 5,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50 which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 is provided, The detection signal from each of these furnace temperature sensors 50 is sent to the control apparatus 51.

그리고, 제어 장치(51)는 노 본체(5)의 각 존(5a, 5b, 5c, 5d, 5e)에 대응하는 히터(18A),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제어하여 처리 용기(3) 내의 온도를 조정한다.And the control apparatus 51 is the heater 18A corresponding to each zone 5a, 5b, 5c, 5d, 5e of the furnace main body 5,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vessel 3.

도 8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In 4th Embodiment shown in FIG. 8, another structu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도 8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4th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1-4,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8에 있어서, 제어 장치(51)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각 존(5a, 5b, 5c, 5d, 5e)마다의 수치 모델(71)과, 당해 수치 모델(71)과 존(5a, 5b, 5c, 5d, 5e)마다 설치된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존(5a, 5b, 5c, 5d, 5e)의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51a)와, 수치 모델(71)과 존(5a, 5b, 5c, 5d, 5e)마다 설치된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존(5a, 5b, 5c, 5d, 5e)마다의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를 갖고 있다.In FIG. 8, the control apparatus 51 is a numerical model 71 for each zone 5a, 5b, 5c, 5d, 5e regarding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a blower output, the numerical model 71, and a zone. A heater output calculation unit 51a for obtaining heater output of the zones 5a, 5b, 5c, 5d, and 5e based on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0 provided for each of (5a, 5b, 5c, 5d, 5e); And blower output for each zone 5a, 5b, 5c, 5d, 5e based on the temperature in the furnace from the temperature model 50 installed for each of the numerical model 71 and the zones 5a, 5b, 5c, 5d, 5e. It has a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which calculates | requires.

이 중 수치 모델(71)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을 갖고 있고, 히터 출력 연산부(51a)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71a)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존(5a, 5b, 5c, 5d, 5e)마다의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51b)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71b)과 온도 센서(50)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존(5a, 5b, 5c, 5d, 5e)마다의 블로어 출력을 구한다.Among these, the numerical model 71 has the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numerical model 71b for blower output, and the heater output calculation part 51a has the furnace output from the numerical value 71a for heater output,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The heater output for each zone 5a, 5b, 5c, 5d, 5e is calculated | required based on internal temperature, and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51b makes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blower output numerical model 71b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 Based on this, the blower output for each zone 5a, 5b, 5c, 5d, 5e is obtained.

그리고, 제어 장치(51)는 이와 같이 하여 존(5a, 5b, 5c, 5d, 5e)마다 구한 히터 출력에 기초하여, 히터 구동부(18B)에 의해 존(5a, 5b, 5c, 5d, 5e)마다 설치된 히터(18A)를 구동 제어한다. 동시에 존(5a, 5b, 5c, 5d, 5e)마다 구한 블로어 출력에 기초하여, 존(5a, 5b, 5c, 5d, 5e)마다 설치된 RCU 시스템(1A) 내에 있어서 인버터 구동부(53a, 63a)에 의해 공기 공급 블로어(53) 및 공기 배기 블로어(63)를 회전수 제어함으로써 구동 제어한다.And the control apparatus 51 performs the zone 5a, 5b, 5c, 5d, 5e by the heater drive part 18B based on the heater output calculated | required for every zone 5a, 5b, 5c, 5d, 5e in this way. Drive control of the heater 18A provided every time i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blower output obtained for each of the zones 5a, 5b, 5c, 5d, and 5e, the inverter drive units 53a and 63a are provided in the RCU system 1A provided for each of the zones 5a, 5b, 5c, 5d, and 5e. The drive control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supply blower 53 and the air exhaust blower 63 by this.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노 본체(5) 내를 복수의 존(5a, 5b, 5c, 5d, 5e)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제어 장치(51)에 의해 각 존(5a, 5b, 5c, 5d, 5e)마다 설치된 히터(18A) 및 RCU 시스템(1A)의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53) 및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63)를 구동 제어하므로, 노 본체(5) 내에 설치된 처리 용기(3) 내의 온도를 존(5a, 5b, 5c, 5d, 5e)마다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furnace main body 5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5a, 5b, 5c, 5d, and 5e, and the zones 5a, 5b, and 5c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1. The process chamber 3 installed in the furnace main body 5 because the drive control of the heater 18A and the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 and the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 of the RCU system 1A provided for each of the 5d and 5e is performed. The internal temperature can be finely controlled for each of the zones 5a, 5b, 5c, 5d and 5e.

w : 반도체 웨이퍼(피처리체)
1 : 열처리 장치
1A : RCU 시스템
2 : 열처리로
3 : 처리 용기
3a : 노구
5 : 노 본체
5a, 5b, 5c, 5d, 5e : 존
16 : 단열재
18 : 히터 엘리먼트(발열 저항체)
18A : 히터
18B : 히터 구동부
33 : 공간
40 : 냉각 매체 분출 구멍
49 : 공급 덕트
50 : 노 내 온도 센서
51 : 제어 장치
51a : 히터 출력 연산부
51b : 블로어 출력 연산부
51c :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
51d : 블로어 출력 합산부
51e : 유량 제어 연산부
52 : 냉각 매체 공급 라인
53 : 냉각 매체 공급 블로어
53a : 인버터 구동부
62 : 냉각 매체 배기 라인
63 : 냉각 매체 배기 블로어
63a : 인버터 구동부
71 : 수치 모델
71a :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
71b :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
80 : 배기 온도 센서
w: semiconductor wafer (object to be processed)
1: heat treatment device
1A: RCU system
2: heat treatment furnace
3: processing container
3a: furnace
5: furnace body
5a, 5b, 5c, 5d, 5e: zone
16: heat insulation
18: heater element (heat generating resistor)
18A: Heater
18B: heater driving unit
33: space
40: cooling medium jet hole
49: supply duct
50: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51: control unit
51a: heater output calculation unit
51b: blower output calculator
51c: additional blower output operation unit
51d: blower output adder
51e: flow control calculator
52: cooling medium supply line
53: cooling medium supply blower
53a: inverter drive unit
62: cooling medium exhaust line
63: cooling medium exhaust blower
63a: inverter drive unit
71: numerical model
71a: Numerical model for heater output
71b: Numerical model for blower output
80: exhaust temperature sensor

Claims (9)

노 본체와,
노 본체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노 본체에 설치된 배기관과,
처리 용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히터와, 블로어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과,
이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With the furnace body,
The heater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inner peripheral surface,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 blower connected to the furnace body via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A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a heater and a blower, adjust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ing container, and converge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ing container to predetermined | prescribed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numerical model relating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a blower output,
It has a heater output calculation part which calculates a heater output based on this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a furnace temperature sensor, and a blower output calculation part which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a furnace temperature sensor. Heat treatmen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수치 모델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을 갖고,
히터 출력 연산부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블로어 출력 연산부는 블로어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The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erical model has a numerical model for heater output and a numerical model for blower output,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the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part calculates a blow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a blow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또한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블로어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further has a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section that converts the blower output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on section into a cooling medium flow rate. 제3항에 있어서,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블로어의 회전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The heat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on uni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blower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제1항에 있어서, 배기관에 배기 온도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 장치는 배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배기 온도에 추종하는 설정 온도를 갖고 추가 블로어 출력을 결정하는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와,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블로어 출력과, 추가 블로어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추가 블로어 출력을 합산하는 블로어 출력 합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The exhaust pi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xhaust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exhaust pipe,
The control apparatus includes an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having a set temperature following the exhaust temperature from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and determining an additional blower output;
And a blower output summing unit for summing the blower outputs from the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and the additional blower outputs from the additional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복수의 존으로 구획된 노 본체와,
노 본체의 각 존의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의 각 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노 본체의 각 존에 설치된 배기관과,
노 본체의 각 존에 대응하는 처리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각 존에 대응하는 히터와 블로어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블로어 출력에 관한 각 존마다의 수치 모델과,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블로어 출력을 구하는 블로어 출력 연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The furnace body divided into plural zones,
Heater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 blower connected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via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Exhaust pipe installed in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 furnac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corresponding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heater and blower corresponding to each zone, adjust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and converge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device is a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obtaining a heat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each zone related to the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the blower output, the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And a blow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blow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노 본체와,
노 본체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 기구와,
노 본체에 설치된 배기관과,
처리 용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히터와, 밸브 기구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냉각 출력에 관한 수치 모델과, 이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출력을 구하는 냉각 출력 연산부와, 냉각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냉각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갖고,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밸브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With the furnace body,
The heater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inner peripheral surface,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 blower connected to the furnace body via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A valv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supplied from the blower,
An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furnace body,
A temperature sensor in the furnace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a heater and a valve mechanism, adjust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and converge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 prescribed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numerical model relating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a cooling output, a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for obtaining a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It has a cooling output calculation part which calculates a cooling output based on a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a furnac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low control calculation part which converts the cooling output from a cooling output calculation part into cooling medium flow volume, and a flow control calculation part is a cooling medium. The heat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mechanism is controlled based on the flow rate.
제7항에 있어서, 수치 모델은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냉각 출력용 수치 모델을 갖고,
히터 출력 연산부는 히터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 출력을 구하고,
냉각 출력 연산부는 냉각 출력용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 출력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The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numerical model has a numerical model for heater output and a numerical model for cooling output,
The heater output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heater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the heater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cooling output calculation part calculates a cooling output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for cooling output,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The hea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복수의 존으로 구획된 노 본체와,
노 본체의 각 존의 내주면에 설치된 히터와,
노 본체 내에 배치되어, 노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복수의 피처리체를 수납하는 처리 용기와,
노 본체의 각 존에 냉각 매체 공급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노 본체와 처리 용기 사이의 공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는 블로어와,
블로어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매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 기구와,
노 본체의 각 존에 설치된 배기관과,
노 본체의 각 존에 대응하는 처리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노 내 온도 센서와,
각 존에 대응하는 히터와 밸브 기구를 제어하고,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조정하여 처리 용기 내의 온도를 소정의 목표 온도에 수렴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히터 출력과 냉각 출력에 관한 각 존마다의 수치 모델과,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히터 출력을 구하는 히터 출력 연산부와, 당해 존에 대응하는 수치 모델과 노 내 온도 센서로부터의 노 내 온도에 기초하여 당해 존의 냉각 출력을 구하는 냉각 출력 연산부와, 냉각 출력 연산부로부터의 냉각 출력을 냉각 매체 유량으로 변환하는 유량 제어 연산부를 갖고, 유량 제어 연산부는 냉각 매체 유량에 기초하여, 밸브 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The furnace body divided into plural zones,
Heater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 processing container disposed in the furnace body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rocessed therein;
A blower connected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via a cooling medium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cooling medium to the space between the furnace body and the processing vessel,
A valv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medium supplied from the blower,
Exhaust pipe installed in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A furnace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ing vessel corresponding to each zone of the furnace body;
It is provided with the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heater and valve mechanism corresponding to each zone, adjust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and converges the temperature in a process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numerical model for each zone related to a predetermined heater output and cooling output,
A heater output calculating section for obtaining a heater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numeric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zone and the furnace temperature from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urnace model from the numerical model and the furnace temperatur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zone. A cooling output calculating section that calculates a cooling output of the zone based on the above, and a flow rat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that converts the cooling output from the cooling output calculating section into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and the flow rate control calculating section controls the valve mechanism based on the cooling medium flow rate. A heat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KR20110090957A 2010-09-09 2011-09-08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KR1015092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1821 2010-09-09
JP2010201821 2010-09-09
JP2011164133A JP5893280B2 (en) 2010-09-09 2011-07-27 Vertical heat treatment equipment
JPJP-P-2011-164133 2011-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52A true KR20120026452A (en) 2012-03-19
KR101509286B1 KR101509286B1 (en) 2015-04-06

Family

ID=4598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90957A KR101509286B1 (en) 2010-09-09 2011-09-08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9286B1 (en)
CN (1) CN102437070B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226A (en) * 2016-04-28 2017-11-07 고요 써모 시스템 가부시끼 가이샤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180086139A (en) * 2017-01-20 2018-07-3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of substrate
KR20190029467A (en) * 2017-09-12 2019-03-20 가부시키가이샤 코쿠사이 엘렉트릭 Cooling unit, heat insulating structur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00143901A (en)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유진테크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US11043402B2 (en) 2017-09-12 2021-06-22 Kokusai Electric Corporation Cooling unit,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O2024053832A1 (en)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유진테크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192B2 (en) * 2000-09-13 2010-06-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Batch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280384A1 (en) * 2001-09-05 2005-12-22 Sulfstede Louis E Air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4642349B2 (en) * 2003-12-26 2011-03-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low temperature region temperature convergence method
US8501599B2 (en) * 2006-03-07 2013-08-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226A (en) * 2016-04-28 2017-11-07 고요 써모 시스템 가부시끼 가이샤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180086139A (en) * 2017-01-20 2018-07-3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oling method of substrate
KR20190029467A (en) * 2017-09-12 2019-03-20 가부시키가이샤 코쿠사이 엘렉트릭 Cooling unit, heat insulating structur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200051546A (en) * 2017-09-12 2020-05-13 가부시키가이샤 코쿠사이 엘렉트릭 Cooling unit, heat insulating structur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11043402B2 (en) 2017-09-12 2021-06-22 Kokusai Electric Corporation Cooling unit,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200143901A (en)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유진테크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WO2024053832A1 (en)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유진테크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37070B (en) 2016-03-30
KR101509286B1 (en) 2015-04-06
CN102437070A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3280B2 (en) Vertical heat treatment equipment
KR101585287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60069B1 (en)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the apparatus
KR101509286B1 (en) Vertical thermal treatment equipment
US9587884B2 (en) In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287466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program
JP2012080080A (en)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29009A (en) Thermal treatment apparatus, temperature control system, thermal treatment metho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mbodied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thermal treatment method or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KR101368206B1 (en) Vertical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assembly of pressure detection system and temperature sensor
KR102466150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method
TWI781096B (en) Heat treatment device
KR101482039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heat treatment method
JP2012209517A (en) Heat processing control system and heat processing control method
KR101503570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thereof
KR101512874B1 (en) Vertical hea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20039261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 substrate
JP2018113275A (en) Method for cleaning substrate processing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20230082802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257883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220119951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220165193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KR20230009302A (en) Film forming method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JPH07335581A (en) Cooling apparatus of vertical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