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879A - 수직형 녹즙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녹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79A
KR20120020879A KR1020100084787A KR20100084787A KR20120020879A KR 20120020879 A KR20120020879 A KR 20120020879A KR 1020100084787 A KR1020100084787 A KR 1020100084787A KR 20100084787 A KR20100084787 A KR 20100084787A KR 20120020879 A KR20120020879 A KR 2012002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crew
container
discharge pipe
jui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용
Original Assignee
(주)현대가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가전업 filed Critical (주)현대가전업
Priority to KR102010008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879A/ko
Publication of KR201200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직형 녹즙기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수직형 녹즙기에 있어서,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되 모터축이 위로 향해 구비되는 모터와,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고 모터축이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되며 그리고 착즙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부 개방부를 갖는 용기와, 용기의 상부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리드와, 용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여과망과, 그리고 여과망에 삽입됨과 함께 여과망의 하부 개방부를 통과하여 모터축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이 위로 향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여과망의 내측면에 착즙 돌기가 구비되고, 착즙 돌기에 대응되도록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에 착즙홈이 형성되고, 여과망의 하부 내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수직형 녹즙기{VETICAL TYPE OF JUICER}
본 발명은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직형 녹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 등을 착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녹즙기는 스크류가 수평으로 놓이는 수평형 녹즙기와 스크류가 수직으로 놓이는 수직형 녹즙기로 구분된다.
수평형 녹즙기는 수평으로 배열된 스크류의 일단에 모터축이 결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크류의 타단에는 중력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처짐 현상에 의해 모터가 회전되는 동안 스크류의 타단에서 진동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직형 녹즙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직형 녹즙기는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져 그 하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스크류의 하중이 모터축에 집중되어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녹즙기는 수평형 녹즙기에 비해 보다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수직형 녹즙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모터축이 위로 향해 구비되는 모터;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모터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부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 개방부를 개폐시키는 리드; 상기 용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여과망; 및 상기 여과망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여과망의 하부 개방부를 통과하여 상기 모터축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이 위로 향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여과망의 내측면에 착즙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착즙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에 착즙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여과망의 하부 내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회전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나사산과 상기 여과망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상기 착즙홈이 상기 착즙 돌기를 지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이차 착즙되며, 그리고 상기 나사산과 상기 요철부 사이에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절단 및 삼차 착즙된다.
일예로, 상기 여과망은 지지 부재에 의해 그 외형이 지지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여과망은 금속 재질로 상기 지지 부재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여과망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여과망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여과망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착즙 돌기는 상기 여과망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취 및 절곡된 절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즙 돌기는 삼각 형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착즙홈은 상기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망은 상기 용기에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여과망의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 리브; 및 상기 고정 리브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류의 평면에 제1 및 제2 투입구를 갖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상기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나사산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이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하부에는 액 배출관과 슬러지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러지 배출관은 상기 취출 돌기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액 배출관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상기 취출 돌기는 상기 여과망의 상기 고정 리브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 중 상기 슬러지 배출관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 돌기 및 상기 고정 리브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슬러지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구 및 상기 슬러지 배출관은 상기 고정 리브의 외주면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배출관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에 인/입출되는 관 형상의 노즐 몸체; 상기 노즐 몸체의 일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의 인입을 정지시키거나 인출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 상기 노즐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조절홈부; 및 상기 노즐 몸체의 손잡이에서부터 중심까지 상측이 움푹 들어간 청소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용기에 걸림 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여과망의 하단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 및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는 결착 유닛에 의해 상기 용기에 결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착 유닛은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착 가이드; 상기 결착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어 결착되도록 상기 리드에 형성되는 결착 레일; 및 상기 결착 레일이 상기 결착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리드가 상기 용기에 점점 더 밀착되도록 상기 결착 레일 또는 상기 결착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1 접점 스위치;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결착되면 상기 제1 접점 스위치가 눌려 닫히도록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제1 안전 돌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제2 접점 스위치; 및 상기 리드가 상기 용기에 결착되면 상기 제2 접점 스위치가 눌려 닫히도록 상기 리드에 구비되는 제2 안전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성을 가짐과 함께, 착즙 돌기, 착즙홈 및 요철부가 형성됨에 따라,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 등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접점 스위치와 제1 및 제2 안전 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리드가 열린 채 스크류가 회전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으므로 동작 안정성과 함께 기기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여과망의 내주면 형상을 보이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여과망에 스크류가 삽입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스크류를 그대로 두고 여과망만을 도 3의 IV-IV 선으로 잘라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1 실시예의 여과망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2 실시예의 여과망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착즙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4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고정 유닛을 보이기 위해 여과망이 용기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스크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스크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용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용기의 슬러지 배출관에 조절 노즐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절 노즐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노즐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된 여과망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리드가 결착 유닛에 의해 용기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XIV-XIV 단면도이다.
도 15는 리드가 결착 유닛에 의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XV-XV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및 제2 안전 돌기 및 제1 및 제2 접점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안전 돌기에 의해 제1 접점 스위치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안전 돌기에 의해 제2 접점 스위치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여과망의 내주면 형상을 보이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여과망에 스크류가 삽입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스크류를 그대로 두고 여과망만을 도 3의 IV-IV 선으로 잘라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1 실시예의 여과망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착즙 돌기가 형성된 제2 실시예의 여과망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착즙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4의 VII-VII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모터(200)와, 용기(300)와, 리드(400)(lid)와, 여과망(500)과, 그리고 스크류(6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기기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버튼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 등 전기 부품들이 이에 내장된다.
모터(200)는 본체(100)에 내장되고, 그 모터축(210)은 위를 향해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모터(200)는 모터축(210)에 결합된 스크류(600)를 회전시켜 스크류(600)와 여과망(500) 사이의 착즙 대상물에 실질적인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용기(300)는 기기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상단에 안착된다. 또한, 용기(300)의 저면에는 모터축(210)이 통과되는 통과공(301)(도 12의 "301" 참조)이 형성되고, 용기(300)의 평면에는 상부 개방부(302)(도 8의 "302" 참조)를 갖는다. 따라서, 모터축(210)은 용기(300)의 저면에 형성된 통과공(301)을 통해 용기(3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여과망(500) 및 스크류(600)는 상부 개방부(302)를 통해 용기(3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리드(400)(Lid)는 용기(300)의 상부 개방부(302)를 개폐시킨다. 여기서, 리드(400)를 이용하여 용기(300)의 상부 개방부(302)를 여는 이유는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과망(500)과 스크류(600)를 용기(300)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도 8 참조). 즉, 사용자는 리드(400)를 열어 상부 개방부(302)로 여과망(500)과 스크류(600)를 용기(300) 내측으로 삽입하고, 리드(400)를 닫는다. 나아가, 사용자가 리드(400)를 열어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게 되면 착즙 대상물이 스크류(600)의 회전에 의해 사방으로 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이 스크류(600)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착즙 대상물이 용기(300) 외부로 튀거나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리드(400)의 평면에는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 내측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투입관(410)은 사용자의 손이 용기(300) 내측에 있는 스크류(60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 길이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 투입관(410)에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의 내측으로 밀기 위한 투입봉(420)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여과망(500)은 그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중심부가 역(逆) 원뿔대통 형상을 하며 그 하부가 용기(3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여과망(500)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착즙 액만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착즙 대상물의 착즙 액은 그 외측으로 통과시키고 착즙 슬러지는 그 내측에 있도록 한다. 나아가, 여과망(500)은 스크류(600)와 함께 착즙 대상물을 1차 착즙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기를 가동시킨 후 사용자가 투입관(410)을 통해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면 착즙 대상물은 스크류(600)의 나사산(610) 및 여과망(500)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착즙 대상물은 이동하는 동안 스크류(600)의 외주면과 여과망(500)의 내주면 사이에서 눌리면서 착즙된다.
스크류(600)는 그 중심부가 상술한 역 원뿔대통 형상의 여과망(500)에 대응되도록 역(逆) 원뿔대 형상을 하고,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10)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류(600)는 여과망(500)에 삽입됨과 함께 여과망(500)의 하부 개방부(501)를 통과하여 모터축(210)에 그 하단이 결합되고 그 상단이 위로 향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스크류(600)는 상술한 모터(200) 및 여과망(500)과 함께 실질적으로 착즙 대상물에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스크류(600)는 여과망(500)과 함께 착즙 대상물을 1차 착즙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기를 가동시킨 후 사용자가 투입관(410)을 통해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면 착즙 대상물은 스크류(600)의 나사산(610) 및 여과망(500)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착즙 대상물은 이동하는 동안 스크류(600)의 외주면과 여과망(500)의 내주면 사이에서 눌리면서 1차 착즙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착즙 대상물을 2차 착즙하기 위한 이차 착즙 유닛(710)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차 착즙 유닛(710)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차 착즙 유닛(710)은 여과망(5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착즙 돌기(711)와, 그리고 착즙 돌기(711)에 대응되도록 스크류(60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10)에 형성되는 착즙홈(712)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00)의 착즙홈(712)이 용기(300)에 고정된 여과망(500)의 착즙 돌기(711)를 거치는 동안 그 사이에서 눌리면서 착즙 대상물은 2차 착즙된다. 이 때, 1차 착즙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2차"는 편의상 "1차"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뿐, "2차"라는 의미는 반드시 "1차" 이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1차가 진행되는 동안에 함께 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돌기(711)는 삼각 형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착즙홈(712)은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도 7 참조)을 할 수 있다. 특히, 착즙 돌기(711)가 삼각 형상을 갖게 되면, 착즙 돌기(711) 중 여과망(500)에 고정되는 부위가 착즙 돌기(711) 중 완전히 돌출된 부위에 비해 그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동일한 단면적으로 돌출된 것에 비해 착즙홈(712) 및 착즙 대상물을 거치는 동안 착즙 돌기(711)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착즙 돌기(711)는 두 가지의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500)이 지지 부재(510)에 의해 그 외형이 지지되고, 여과망(500)이 금속 재질이고, 그리고 지지 부재(510)가 수지 재질일 경우, 착즙 돌기(711)는 지지 부재(510)로부터 돌출되되 여과망(500)에 형성된 관통공(502)을 통해 상기 여과망(50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는 금형 내에 금속 재질의 여과망(500)을 넣고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통한 착즙 돌기(711)는 스크류(600)와 같은 수직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간의 마모를 최소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별도의 지지 부재(510) 없이 여과망(1500)만으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이 금속 재질일 경우, 착즙 돌기(1711)는 여과망(1500)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취 및 절곡된 절편일 수 있다. 제2 실시예를 통한 착즙 돌기(1711)는 그대로 프레스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간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대상물을 3차 착즙 및 절단하기 위해 여과망(5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톱니 모양의 요철부(72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스크류(600)의 회전에 의해 나사산(610)이 요철부(720)를 지나는 동안 그 사이에서 눌리고 잘리면서 착즙 대상물은 3차 착즙 및 절단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착즙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모터(200)에 의해 스크류(600)가 회전되면, 착즙 대상물이 나사산(610)을 따라 하강하면서 나사산(610)과 여과망(500)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일차 착즙이 진행 중 착즙홈(712)이 착즙 돌기(711)를 거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착즙 대상물이 이차 착즙되며, 그리고 나사산(610)을 따라 여과망(500)의 하부까지 내려온 착즙 대상물은 나사산(610)과 요철부(720) 사이에서 절단 및 삼차 착즙된다.
또한, 여과망(500)은 고정 유닛(730)에 의해 용기(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고정 유닛(73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고정 유닛(730)을 보이기 위해 여과망(500)이 용기(300)에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고정 유닛(730)은 여과망(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 리브(731)와, 그리고 고정 리브(731)가 삽입 고정되도록 용기(3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7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과망(500)을 용기(300)에 삽입시켜 고정 리브(731)를 고정홈(732)에 삽입시키게 되면 여과망(500)은 용기에 고정된다. 특히, 상술한 스크류(600)는 회전되지만 여과망(500)은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착즙 대상물은 고정체인 여과망(500)과 회전체인 스크류(600) 사이에서 밀리고 눌리면서 상술한 1차, 2차 및 3차 착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스크류(6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스크류(60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스크류(600)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스크류(60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10)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600)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611)(6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산(611)이 시작되는 부위에는 제1 투입구(810)가 형성되고, 제2 나사산(612)이 시작되는 부위에는 제2 투입구(820)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나사산을 가질 때 보다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6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300)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1차, 2차 및 3차 착즙 과정을 거치면서 착즙 대상물에서 착즙된 액은 여과망(500)을 통해 그 밖으로 나가게 되고, 여과망(500)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는 스크류(600)의 하단부, 즉 여과망(500)의 하단부까지 나사산(610)을 따라 내려온다. 이렇게 내려온 슬러지는 회전되는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에 의해 용기(300) 밖으로 밀리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에 각각 연결되되 나사산(610)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630)이 상기 스크류(600)의 외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나사산(611)(612)을 따라 내려온 슬러지는 이와 함께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630)으로 분배된 후, 보조 나사산(630) 및 제1, 제2 나사산(611)(612)에 각각 대응되는 취출 돌기(620)로 정확하게 안내되므로 슬러지가 중간에 정체되는 현상 및 완전히 착즙되지 않고 바로 내려와 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하, 도 8,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9를 참조하여, 용기(300) 및 여과망(5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에서 용기(30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용기(300)의 슬러지 배출관(320)에 조절 노즐(910)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절 노즐(910)의 걸림홈(922)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노즐(9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돌기(921)가 형성된 여과망(500)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0)의 하부에는 액 배출관(310)과 슬러지 배출관(320)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슬러지 배출관(320)은 취출 돌기(620)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 배출관(310)은 슬러지 배출관(3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돌기(620)에 의해 밀린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관(32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되고, 착즙된 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된 액 배출관(31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슬러지 배출관(320)은 슬러지에 의해 꽉 찬 상태가 되므로 착즙된 액이 슬러지 배출관(320)으로 배출되는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즉, 착즙된 액이 슬러지 배출관(320)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된 액 배출관(31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스크류(600)의 취출 돌기(620)는 여과망(500)의 고정 리브(731)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고정 리브(731) 중 슬러지 배출관(32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슬러지 배출구(73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돌기(620)에 의해 밀린 슬러지는 여과망(500)의 고정 리브(731)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다가 고정 리브(731)에 형성된 슬러지 배출구(731a)를 통해 슬러지 배출관(320)으로 안내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배출구(731a) 및 슬러지 배출관(320)은 고정 리브(731) 및 고정홈(732)의 외주면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돌기(620) 및 고정 리브(731)에 의해 안내된 슬러지는 원을 그리며 안내되다가 그 접선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러지 배출구(731a) 및 슬러지 배출관(32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슬러지 배출관(320)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러지 배출관(320)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노즐(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질이 풍부한 착즙 대상물에 비해 비교적 슬러지 상태가 묽은 과일, 신선초 또는 케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착즙할 경우, 조절 노즐(910)로 슬러지 배출관(320)의 크기를 축소시키게 되면, 묽은 상태의 슬러지가 용기(300) 밖으로 빠지는 것이 방해를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된 액 배출관(310)을 통해 용기 밖으로 빠지게 되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착즙 액이 슬러지와 함께 버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묽은 상태의 슬러지가 조절 노즐(910)에 의해 용기(300)에 잠시 머무는 동안 슬러지는 착즙 액보다 비중이 크므로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착즙액과 분리되므로, 착즙액이 슬러지와 함께 버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리고 액 배출관(310)으로 슬러지가 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조절 노즐(9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조절 노즐(910)은 슬러지 배출관(320)에 인/입출되는 관 형상의 노즐 몸체(911)와, 노즐 몸체(911)의 일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슬러지 배출관(320)의 인입을 정지시키거나 인출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912)와, 노즐 몸체(911)의 타단에 구비되며 실질적으로 관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조절홈부(913)와, 그리고 노즐 몸체(911)의 손잡이(912)에서부터 중심까지 상측이 움푹 들어간 청소용 홈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912)를 통해 슬러지 배출관(320)에 대해 인입출이 용이할 수 있고, 조절홈부(913)를 통해 슬러지 배출관(32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리고 청소용 홈부(914)를 통해 노즐 몸체(911)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조절 노즐(910)은 걸림 유닛(920)에 의해 용기(3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 유닛(92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921)와, 그리고 걸림 돌기(921)에 대응되도록 노즐 몸체(911)에 형성되는 걸림홈(9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 조절 노즐(910)을 슬러지 배출관(320)에 인입시키고, 그리고 도 13의 여과망(500)을 용기(300)에 삽입할 때, 여과망(500)의 걸림 돌기(921)를 노즐 몸체(911)의 걸림홈(922)에 맞도록 삽입하면, 걸림 돌기(921)에 의해 조절 노즐(910)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동안 조절 노즐(910)은 슬러지와 함께 슬러지 배출관(320)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정확히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리드(400)와 용기(300)간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리드(400)가 결착 유닛(930)에 의해 용기(300)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XIV-XIV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5는 리드(400)가 결착 유닛(930)에 의해 용기(3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XV-XV 단면도이다.
상술한 리드(400)는 결착 유닛(930)에 의해 용기(300)에 결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착 유닛(93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착 가이드(731)와, 결착 가이드(731)를 따라 이동되어 결착되도록 리드(400)에 형성되는 결착 레일(932)과, 그리고 결착 레일(932)이 결착 가이드(731)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리드(400)가 용기(300)에 점점 더 밀착되도록 결착 레일(932)에 형성되는 경사부(9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부(933)가 결착 가이드(731)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착 레일(932)을 용기(300)의 결착 가이드(731)에 끼워 리드(400)를 회전시키면, 결착 레일(932)이 결착 가이드(731)를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부(933)에 의해 점점 리드(400)와 용기(300)가 밀착되게 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모터축(210) 및 스크류(600) 회전으로부터의 사용자의 상해를 미연에 막기 위한 안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1 및 제2 안전 돌기(942)(944) 및 제1 및 제2 접점 스위치(941)(943)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제1 안전 돌기(942)에 의해 제1 접점 스위치(941)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8은 제2 안전 돌기(944)에 의해 제2 접점 스위치(943)가 접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1 접점 스위치(941)와, 용기(300)가 본체(100)에 결착되면 제1 접점 스위치(941)가 눌려 닫히도록(즉, 연결되도록 또는 온(ON)되도록) 용기(300)에 구비되는 제1 안전 돌기(942)와, 용기(300)에 구비되는 제2 접점 스위치(943)와, 그리고 리드(400)가 용기(300)에 결착되면 제2 접점 스위치(943)가 눌려 닫히도록(즉, 연결되도록 또는 온(ON)되도록) 리드(400)에 구비되는 제2 안전 돌기(9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300)가 본체(1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접점 스위치(941) 및 제1 안전 돌기(942)로 인해 본체(100)에 구비된 모터(20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잘못해서 구동 버튼을 누르더라도 모터축(210)으로부터의 상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 용기(300)가 결합되더라도 리드(400)가 용기(3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접점 스위치(943) 및 제2 안전 돌기(944)로 인해 모터(20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잘못해서 구동 버튼을 누르더라도 스크류(600)로부터의 상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특히, 뭐든지 누르려고 하는 영/유아들에게 이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클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60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성을 가짐과 함께, 착즙 돌기(711), 착즙홈(712) 및 요철부(720)가 형성됨에 따라,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 등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접점 스위치(941)(943)와 제1 및 제2 안전 돌기(942)(944)가 구비됨에 따라, 리드(400)가 열린 채 스크류(600)가 회전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으므로 동작 안정성과 함께 기기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본체 200: 모터
210: 모터축 300: 용기
301: 통과공 302: 상부 개방부
400: 리드 500: 여과망
501: 하부 개방부 600: 스크류
610: 나사산 711: 착즙 돌기
712: 착즙홈 720: 요철부

Claims (15)

  1.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수직형 녹즙기에 있어서,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되 모터축(210)이 위로 향해 구비되는 모터(200);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모터축(210)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301)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개방부(302)를 갖는 용기(300);
    상기 용기(300)의 상부 개방부(302)를 개폐시키는 리드(400);
    상기 용기(3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여과망(500); 및
    상기 여과망(500)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여과망(500)의 하부 개방부(501)를 통과하여 상기 모터축(21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이 위로 향하는 스크류(600)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500)의 내측면에 착즙 돌기(711)가 구비되고,
    상기 착즙 돌기(7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크류(6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10)에 착즙홈(712)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망(500)의 하부 내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부(720)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스크류(600) 회전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610)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나사산(610)과 상기 여과망(500)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상기 착즙홈(712)이 상기 착즙 돌기(711)를 지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이차 착즙되며, 그리고 상기 나사산(610)과 상기 요철부(720) 사이에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절단 및 삼차 착즙되는 수직형 녹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500)은 지지 부재(510)에 의해 그 외형이 지지되고,
    상기 여과망(5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51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착즙 돌기(711)는 상기 지지 부재(510)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여과망(500)에 형성된 관통공(502)을 통해 상기 여과망(500)의 내부로 돌출되는 수직형 녹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15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착즙 돌기(1711)는 상기 여과망(1500)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취 및 절곡된 절편인 수직형 녹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돌기(711)는 삼각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착즙홈(712)은 상기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을 하는 수직형 녹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류(600)의 평면에 제1 및 제2 투입구(810)(820)를 갖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10)은 상기 스크류(600)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611)(612)을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500)은 상기 용기(300)에 고정 유닛(730)에 의해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유닛(730)은
    상기 여과망(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 리브(731); 및
    상기 고정 리브(731)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용기(3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정홈(732)을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6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상기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가 더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620)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나사산(610)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630)이 상기 스크류(600)의 외측면에 더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00)의 하부에는 액 배출관(310)과 슬러지 배출관(320)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은 상기 취출 돌기(630)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액 배출관(31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600)의 상기 취출 돌기(630)는 상기 여과망(500)의 상기 고정 리브(731)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731) 중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슬러지 배출구(731a)가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돌기(620) 및 상기 고정 리브(731)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슬러지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구(731a) 및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은 상기 고정 리브(731)의 외주면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노즐(910)을 더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즐(910)은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에 인/입출되는 관 형상의 노즐 몸체(911);
    상기 노즐 몸체(911)의 일단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320)의 인입을 정지시키거나 인출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912);
    상기 노즐 몸체(9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조절홈부(913); 및
    상기 노즐 몸체(911)의 손잡이(912)에서부터 중심까지 상측이 움푹 들어간 청소용 홈부(914)를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즐(910)은 상기 용기(300)에 걸림 유닛(920)에 의해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걸림 유닛(920)은
    상기 여과망(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921); 및
    상기 걸림 돌기(921)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911)에 형성되는 걸림홈(922)을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400)는 결착 유닛(930)에 의해 상기 용기(300)에 결착되고, 그리고
    상기 결착 유닛(930)은
    상기 용기(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착 가이드(931);
    상기 결착 가이드(931)를 따라 이동되어 결착되도록 상기 리드(400)에 형성되는 결착 레일(932); 및
    상기 결착 레일(932)이 상기 결착 가이드(931)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리드(400)가 상기 용기(300)에 점점 더 밀착되도록 상기 결착 레일(932) 또는 상기 결착 가이드(93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경사부(933)를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
KR1020100084787A 2010-08-31 2010-08-31 수직형 녹즙기 KR20120020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87A KR20120020879A (ko) 2010-08-31 2010-08-31 수직형 녹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787A KR20120020879A (ko) 2010-08-31 2010-08-31 수직형 녹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79A true KR20120020879A (ko) 2012-03-08

Family

ID=4612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787A KR20120020879A (ko) 2010-08-31 2010-08-31 수직형 녹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879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126A (zh) * 2013-03-20 2013-06-12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103181714A (zh) * 2013-03-20 2013-07-03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用于榨汁机的网孔筒
CN103181716A (zh) * 2013-03-20 2013-07-03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机专用螺杆
KR101362356B1 (ko) * 2012-03-26 2014-02-1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용 반죽용기
WO2014029359A1 (zh) * 2012-08-24 2014-02-27 Xu Xiaohong 滤网机构及其使用该滤网机构的果蔬榨磨机
KR101408891B1 (ko) * 2013-12-16 2014-06-17 진기용 착즙기
KR101408892B1 (ko) * 2013-12-16 2014-06-17 진기용 착즙기용 거름망
WO2014107935A1 (zh) * 2013-01-09 2014-07-17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榨汁机
CN104305851A (zh) * 2014-09-12 2015-01-28 佛山市顺德区客浦电器有限公司 一种家用榨汁机螺杆及其制作方法
JP2015519994A (ja) * 2012-06-29 2015-07-16 ヨンギ キム 果汁搾り装置
CN108113443A (zh) * 2017-07-14 2018-06-05 永春铭奇礼盒有限公司 一种实用的果汁杯
AU2014201612B2 (en) * 2013-03-15 2018-11-01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56B1 (ko) * 2012-03-26 2014-02-13 (주)현대가전업 착즙기용 반죽용기
JP2015519994A (ja) * 2012-06-29 2015-07-16 ヨンギ キム 果汁搾り装置
US10306910B2 (en) 2012-06-29 2019-06-04 Young Ki Kim Juicer
WO2014029359A1 (zh) * 2012-08-24 2014-02-27 Xu Xiaohong 滤网机构及其使用该滤网机构的果蔬榨磨机
WO2014107935A1 (zh) * 2013-01-09 2014-07-17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榨汁机
AU2014201612B2 (en) * 2013-03-15 2018-11-01 Whirlpoo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CN103181716A (zh) * 2013-03-20 2013-07-03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机专用螺杆
CN103181714A (zh) * 2013-03-20 2013-07-03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用于榨汁机的网孔筒
CN103142126A (zh) * 2013-03-20 2013-06-12 佛山市家乐仕电器有限公司 一种榨汁机
KR101408891B1 (ko) * 2013-12-16 2014-06-17 진기용 착즙기
KR101408892B1 (ko) * 2013-12-16 2014-06-17 진기용 착즙기용 거름망
CN104305851A (zh) * 2014-09-12 2015-01-28 佛山市顺德区客浦电器有限公司 一种家用榨汁机螺杆及其制作方法
CN108113443A (zh) * 2017-07-14 2018-06-05 永春铭奇礼盒有限公司 一种实用的果汁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879A (ko) 수직형 녹즙기
KR101226441B1 (ko) 주스 착즙기
US10045663B2 (en) Double-screen grinding mechanism and double-screen grinding juicer
EP3005911B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20200103103A (ko) 푸드 프로세서
KR200489601Y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US9456712B2 (en) Kitchen appliance
US10470485B2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hollow juice extraction screw
US10646063B2 (en) Horizontal juice extractor
KR200454079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2271559B (zh) 离心式榨汁机
KR101214203B1 (ko)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KR101455080B1 (ko) 착즙기
WO2009077933A2 (en) Cleaning device and assembly
KR200475273Y1 (ko) 착즙기
CN206403600U (zh) 一种原汁机
KR20190002091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CN206423954U (zh) 榨汁杯组件和原汁机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10039480A (ko) 착즙기 및 그 나선 압출 착즙 스크류
CN206403601U (zh) 一种原汁机
CN111214093B (zh) 一种出汁快速的立式螺杆挤压榨汁机
CN106108589B (zh) 螺杆榨汁机
KR200495526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