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293A -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293A
KR20120019293A KR1020100082630A KR20100082630A KR20120019293A KR 20120019293 A KR20120019293 A KR 20120019293A KR 1020100082630 A KR1020100082630 A KR 1020100082630A KR 20100082630 A KR20100082630 A KR 20100082630A KR 20120019293 A KR20120019293 A KR 2012001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t woman
abdomen
support
unit
lif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테리
Original Assignee
이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테리 filed Critical 이테리
Priority to KR102010008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293A/ko
Publication of KR2012001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8Pr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산부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임산부의 척추를 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척추 교정 장치는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hole); 상기 복부와 지면 사이의 공간(space)에 위치하며, 상기 홀에 상기 복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지면의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상기 접촉부를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교정 장치는 임산부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척추 교정을 행하기 때문에, 임산부가 가져야 할 최적의 신체 자세를 유지시켜주는데 도움을 주어 임산부의 척추 관련 질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Apparatus for calibrating spine of pregnant woman}
본 발명은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산부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임산부의 척추를 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spine 또는 vertebra)는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신체 자세를 올바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핵심이다. 한편 인간의 경우 직립(erect) 생활을 하기 때문에 척추에 무리가 따라 척추에 직간접으로 관련되는 질환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척추 관련 질환의 치료 내지 예방을 위해 통상적으로 '척추 교정'이 수반되는데, 척추 교정에 관련된 수많은 방안들이 이미 국내외에서 공지되거나 의학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한편 임산부의 경우에는, 직립의 상태에서, 만삭의 복부 구조로 인해 몸의 무게 중심이 복부쪽으로 쏠려 일반인들에 비해 더 굽은 척추 구조를 가지므로 척추에 더 많은 무리가 따라 적절한 척추 교정 시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척추 교정 방안들을 임산부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겠으나, 임산부는 일반인들과는 달리 태아를 포태하고 있는 만삭의 신체 구조를 가진 관계로 평상시에도 척추의 모양이 일반인들과는 다소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임산부들에 대해서 기존의 척추 교정 방안을 그대로 적용하면 임산부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임산부에게 특화된 척추 교정 시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을 인식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임산부의 상기한 신체 구조를 고려한 척추 교정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척추 교정 장치는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hole); 상기 복부와 지면 사이의 공간(space)에 위치하며, 상기 홀에 상기 복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지면의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상기 접촉부를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척추 교정 장치는
침상에 엎드린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hole); 및 상기 침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대칭 배치되며, 상기 홀의 내경 방향으로 상기 복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교정 장치는 임산부의 신체 구조를 고려하여 척추 교정을 행하기 때문에, 임산부가 가져야 할 최적의 신체 자세를 유지시켜주는데 도움을 주어 임산부의 척추 관련 질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접촉부(1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임산부가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교정 장치를 착용한 일례를 간략히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구동부(13)의 바람직한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두 번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두 번째 일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한 척추 교정 장치의 실현예를 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를 우선 제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산부의 척추 구조는 임산부의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 일반인들에 비해 더 굽은 구조이며 이는 몸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른 '자연스러운' 구조이다. 기존의 척추 교정 방안들은 일반인의 척추 구조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임산부의 척추 교정을 행하면 상기 '자연스러움'에 오히려 역행하여 임산부의 척추 상태를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자연스러움'은 비임신시에 비해 척추에 보다 더 많은 무리가 갈 수밖에 없는 부작용을 수반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히나 임산부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척추 교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한 '자연스러움'을 유지하고 아울러 이러한 부작용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척추 교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1)는 전체적으로 침대 구조로 이루어지며, 침상(A)과 지면 사이에 공간(space)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에서 척추 교정 시술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후술할 두 번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통상적으로 임산부는 '누운(臥)' 자세를 갖는 것이 힘든데, 임산부가 눕게 되면 복부의 무게 때문에 비임신시 보다 더 많은 압력이 척추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존 대부분의 척주 교정 방안들은 누운 자세를 기본자세로 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임산부에게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문제이다. 이러한 사실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에서 교정 시술을 받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삽입 홀(hole, 11)은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복부의 크기는 임산부마다 다소 다를 수도 있으므로, 홀의 크기가 조정가능 하도록 침상(A)을 각편으로 분할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침상이 4개의 각편(A1, A2, A3, A4)으로 분할되어 각편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 것을 제시하고 있는데 슬라이딩의 이동 방향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모두 가능하다.
접촉부(12)는 상기한 공간(space)에 위치하며, 홀(11)에 임산부의 복부(B)가 삽입된 상태에서 임산부의 복부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구동부(13)는 지면의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접촉부(12)를 구동시켜 임산부의 척추 교정을 행하도록 한다.
도 3은 접촉부(12)의 사시도이다.
접촉부(12)는 상기한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리프팅(lifting)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리프팅 수단(121)을 그 측면에 구비하고 있으며, 복부와 직접 접촉되는 상면에는 하방으로 패인 반타원체 내지는 파라볼라 안테나 모양의 그릇처럼 생긴 곡선형 부재(122)를 구비하는데, 이는 임산부의 복부의 형태가 곡선형인 것을 감안하여 접촉부(12)와의 접촉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하고 접촉 면적을 가급적 최대로 하여 복부에 미치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하 리프팅 수단(121)은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를 이용한 방식, 유압식 등 상하 왕복 구동이 가능한 모든 리프팅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임산부의 척추 교정은 구동부(13)에 의해 접촉부(12)를 지면의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왕복 구동시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왕복 구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도 4 및 도 5 참조).
거리 측정부(131)는 왕복 구동 중인 상하 리프팅 수단(121)의 최상단과 지면 사이의 거리(h)를 실시간 측정한다. 거리 범위 이탈 판단부(132)는 실시간 측정되는 거리(h)의 변화폭이 기 설정된 거리 범위(d)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거리 범위는 리프팅 수단(121)의 최상단과 지면 사이의 거리(h)가 취해야 하는 거리 범위로 외부에서 입력(설정)할 수 있으며 임산부의 의학적/신체적 상태 및 척추의 상태에 따라 임상적으로 가장 최적인 범위가 설정된다. 즉, 임산부의 의학적/신체적 상태 및 척추의 상태에 따라 척추의 '허용 최대 굽힘 상태(척추가 (a)의 상태)'와 '허용 최대 핌 상태(척추가 (b)의 상태)' 간의 수직 간격(d)이 최적의 범위로 결정된다. '허용 최대 굽힘 상태'란 리프팅 수단(121)이 하방으로 최대한 구동이 허용되는 경우이며, '허용 최대 핌 상태'란 리프팅 수단(121)이 상방으로 최대한 구동이 허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속도 설정부(133)는 리프팅 수단(121)의 상하 왕복 구동의 속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설정 거리(d)가 동일하더라도 임산부의 척추 상태에 따라 리프팅 수단(121)의 왕복 구동의 속도를 달리 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구동 방향 변경부(134)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거리(h)의 변화폭이 기 설정된 거리 범위(d)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 시점에서의 리프팅 수단(121)의 구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대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곡선형 부재(122)의 내부는 신축성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리학에서 언급되는 관성력 때문인데, 물체는 외부에서 힘(force)이 가해지지 않는 한 현재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경된다. 운동 상태의 변경 순간에 물체는 순간적으로 변경 이전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며 변경 이전의 운동 방향으로 가상적인 힘을 받게 되는데, 이 가상적인 힘이 관성력이다. 관성력에 관한 쉬운 예를 들면, 정지해 있던 버스에 있던 사람이 버스가 전방으로 출발하는 순간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다.
이를 본 발명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리프팅 수단(121)의 구동이 상승에서 하강으로 변경되는 순간에는 관성력 때문에 곡선형 부재(122)의 내부 표면과 복부 사이에 순간적으로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며, 따라서 하강으로 변경된 직후 곡선형 부재(122)의 내부 표면과 복부의 재접촉에 의한 충격이 복부에 심하게 가해질 수 있다. 반대로 리프팅 수단(121)의 구동이 하강에서 상승으로 변경되는 순간에는 상기와 같은 간극은 형성되지 않으나 리프팅 수단(121)의 상승 기작에 의한 압력이 관성력 때문에 복부에 심하게 가해질 수 있다.
하강으로 변경되건 상승으로 변경되건 복부에 힘(force)이 작용하는 경우이므로, 척추에 힘에 의한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특히 복중 태아에 좋지 아니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부와 직접 접촉되는 곡선형 부재(122)의 내부 표면을 신축성 소재로 구현하여 관성력에 의한 상기 충격 내지는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내부 표면은 그 자체를 신축성 소재로 구현되거나 내부 표면에 신축성 소재를 덧씌워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 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삽입 홀(61)은 첫 번째 실시예의 홀(11)과 동일하다. 도 6에 제시된 척추 교정 장치는, 첫 번째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형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즉, 리프팅 수단(121)의 상하 왕복 구동을 통해서가 아니라 지지대(62)의 좌우 이동을 통해 지지대(62)에 복부를 지지(고정)시켜 척추 교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산부의 척추 구조에 기인하는 것인데, 임산부는 일반인에 비하여 척추가 보다 더 굽어 있고 이러한 굽은 상태로 오랜 시간을 지내는 것이 통례이므로 오랫동안 굽은 척추의 피로도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엎드린 자세에서 복부에 지지대(62)를 접촉시켜 척추가 펴진 상태를 어느 정도 시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대(62)는 침상(B)의 하부(배면)에 위치하고 아울러 홀(61)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대칭 배치된다. 각 지지대는 침상(B)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각 지지대간의 거리(w)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임산부마다 복부의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지지대(62)는 형상 기억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부와 직접 접촉이 되는 표면은 더욱 그러하다. 이는 지지대(62)와의 접촉에 따른 복부에의 압력을 없애기 위함인데, 지지대(62)를 경화 소재(딱딱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하면 이 압력으로 인한 부작용이 수반되기 때문이며 아울러 형상 기억 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지대(62)와 복부의 접촉으로 인한 압력의 느낌이 없도록(부자연스러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각 지지대는 침상(B)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각 지지대간의 거리(w, 폭)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좌우 구동부(63)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좌우 구동부(63)는 유압식, 끼움식, 슬라이딩 식 등 각 지지대를 좌우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던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 모두)에 의한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는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안면의 외곽을 지지하는 안면 외곽 지지부(64)를 더 포함한다. 이는 엎드린 자세를 최대한으로 편안하게 하기 위함인데, 도 4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팔을 괸 상태에서 엎드린 자세는 그 자체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팔을 굄으로 인한 다른 부위(예를 들어 고개 및 어깨 부위)에의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간결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팔을 괸 상태로 표시한 것임을 밝히며, 첫 번째 실시예도 안면 외곽 지지부(64)를 구비할 수 있음을 밝힌다. 따라서 도 1의 침상(A) 부분은 도 6의 침상(B) 부분으로 대체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안면 외곽 지지부(64)는 침상(B)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는 임산부마다 신장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한 척추 교정 장치의 실현예를 제시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산부를 전제로 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언급하였으나 임산부가 아닌 복부 비만자들도 임산부의 신체적 특성과 유사하므로 본 발명은 복부 비만자들의 척추 교정에도 변형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두 실시예를 하나로 결합하여 구현하는 것도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하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침상에 엎드린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hole);
    상기 복부와 지면 사이의 공간(space)에 위치하며, 상기 홀에 상기 복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지면의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상기 접촉부를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측면에는 상기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상기 접촉부를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상하 리프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와 직접 접촉되는 상면에는 상기 수직 하방으로 패인 곡선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왕복 구동 중인 상기 상하 리프팅 수단의 최상단과 상기 지면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측정되는 거리의 변화폭이 기 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거리 범위 이탈 판단부; 및
    상기 변화폭이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 시점에서의 상기 리프팅 수단의 구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하 리프팅 수단의 상하 왕복 구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부재의 내부는
    신축성 소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안면의 외곽을 지지하는 안면 외곽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 외곽 지지부는 상기 침상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7. 침상에 엎드린 임산부의 복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hole); 및
    상기 침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대칭 배치되며, 상기 홀의 내경 방향으로 상기 복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각 지지대를 상기 침상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좌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형상 기억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엎드린 자세의 임산부의 안면의 외곽을 지지하는 안면 외곽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 외곽 지지부는 상기 침상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 척추 교정 장치.
KR1020100082630A 2010-08-25 2010-08-25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KR20120019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30A KR20120019293A (ko) 2010-08-25 2010-08-25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30A KR20120019293A (ko) 2010-08-25 2010-08-25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93A true KR20120019293A (ko) 2012-03-06

Family

ID=4612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30A KR20120019293A (ko) 2010-08-25 2010-08-25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2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039B1 (ko) 2020-05-29 2021-11-22 김우성 임산부용 쿠션
KR20220010078A (ko) * 2020-07-17 2022-01-25 최희 임신부용 마사지 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039B1 (ko) 2020-05-29 2021-11-22 김우성 임산부용 쿠션
KR20220010078A (ko) * 2020-07-17 2022-01-25 최희 임신부용 마사지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3126A (zh) 脊椎矫正和牵引装置
KR102074518B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CN103505341A (zh) 颈腰椎牵引床
US20160089292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patient to allow performance of a breast exam
CN110433022A (zh)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CN108742970B (zh) 一种医疗用脊椎矫正椅
CN208081355U (zh) 一种骨科脊柱全方位矫正装置
CN103239312B (zh) 一种用于非手术脊柱治疗设备的床体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CN203539505U (zh) 颈腰椎牵引床
EP2842535A1 (en) Gravity scoliosis correction device
KR20120019293A (ko) 임산부의 척추 교정 장치
CN206548662U (zh) 一种颈部及腰部一体化牵引器
CN102319164B (zh) 一种颈椎病的治疗和康复仪
JP2021511189A (ja) 脊椎牽引機
JP3178059U (ja) 整復器
CN103356359A (zh) 一种两用按摩沙发椅
CN204233258U (zh) 用于非手术脊柱治疗设备的床体的手持遥控装置
CN109512565B (zh) 躯干康复治疗机
CN203122706U (zh) 一种新型颈腰牵引器
CN107625613A (zh) 多方位可调节组合式俯卧位***垫
JP6345365B1 (ja) 運動具
KR101487615B1 (ko) 척추교정대
CN201542883U (zh) 人体工学波浪型脊椎摇摆理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