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931A -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931A
KR20120010931A KR1020100072617A KR20100072617A KR20120010931A KR 20120010931 A KR20120010931 A KR 20120010931A KR 1020100072617 A KR1020100072617 A KR 1020100072617A KR 20100072617 A KR20100072617 A KR 20100072617A KR 20120010931 A KR20120010931 A KR 2012001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nlet
roller
paper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171B1 (ko
Inventor
김학현
Original Assignee
로얄 소브린 인터네셔널 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 소브린 인터네셔널 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로얄 소브린 인터네셔널 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7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1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는 제1 길이를 갖는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를 갖는 제2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사이에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지지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롤러;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2 롤러;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커터; 및 상기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 및 상기 제2 종이 지지부는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Description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A PAPER SHREDDER AND A METHOD FOR SHREDDING A PAPER}
본 발명은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 세단기는 불필요한 문서 또는 비밀을 요하는 문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세단하여 없애기 위한 장치이다.
종이 세단기는 종이를 수동으로 투입하여 세단하거나 자동 급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종이를 자동으로 투입하여 세단할 수 있다. 특히, 자동 급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종이를 자동으로 투입하여 세단하는 경우 종이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종이 걸림(jam), 종이 과다 투입, 급지 중단 등과 같이 종이 세단기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 세단기에 투입되는 종이는 복사기와 같은 장치에 투입되는 종이와 달리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훼손이 많아 자동 급지 시스템이 원활히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 걸림, 종이 과다 투입, 급지 중단과 같은 자동 급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게 종이를 세단할 수 있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는 제1 길이를 갖는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를 갖는 제2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사이에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지지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롤러;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커터; 및 상기 제1 롤러 및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 및 상기 제2 종이 지지부는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는 제1 종이 지지부와, 제2 종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지지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들;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커터; 및 상기 롤러들 및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 방법은 종이 투입구를 사이에 두고 제1 종이 지지부 및 제2 종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의해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는 커터에 의해 파쇄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제2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파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이 걸림, 종이 과다 투입, 급지 중단과 같은 자동 급지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게 종이를 세단할 수 있는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종이 세단부의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종이 지지부의 길이 및 각도를 설명하는 도면.
도 6과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작동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종이 세단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수동 방식으로 종이를 파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종이 축적 감지 센서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종이 세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커버를 개방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종이 지지부의 길이 및 각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300)는 종이 세단부(100)와, 상기 종이 세단부(100)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 세단부(100)를 지지하는 종이 박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 세단부(100)는 종이가 투입됨에 따라 종이를 세단하는 부분이고, 상기 종이 박스(200)는 상기 종이 세단부(100)에서 세단된 종이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도 1과 도 2에서는 상기 종이 세단부(100)와 상기 종이 박스(200)가 결합되어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종이 박스(200)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종이 세단부(100) 만으로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300)의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종이 박스(200)는 상기 종이 세단부(100)에서 세단된 종이를 저장하고 상기 종이 세단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종이 세단부(100)를 임의의 장치에 고정한 후, 상기 종이 세단부(100) 아래에 1회용 쓰레기 봉투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종이 박스(200) 내에 모터, 제어장치,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종이 세단부(100)와 종이 박스(200)가 함께 구비되어야 동작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종이 세단부(100)는 커버(10)와 종이 지지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0)와 종이 지지부(20) 사이의 공간에는 세단하고자 하는 종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이 지지부(20)는 제1 종이 지지부(21)와 제2 종이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 제2 종이 지지부(22)는 종이 투입구(23)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종이 지지부(20)에는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에는 롤러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에 롤러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가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제1 유효 거리(A)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제2 유효 거리(B)의 합은 종이 규격인 A4 사이즈 또는 레터 사이즈의 종이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의 두배는 상기 제2 롤러(3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제2 유효 거리(B)의 끝단까지의 거리(D)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20% 이하의 편차를 갖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다 효과적인 종이의 이송 및 세단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제1 유효 거리(A)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의 두배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상기 제2 롤러(32)까지의 거리(B-D)를 더하면 종이 규격인 A4 사이즈 또는 레터 사이즈의 종이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20% 이하의 편차를 갖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는 회전축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는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구조에서 상기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종이를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 제2 종이 지지부(22) 상에 배치되는 종이는 상기 종이 투입구(23) 상에 배치되는 부분이 접히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된다.
상기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는 종이와 접하는 면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종이와 접하는 면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거나 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종이 투입구(23) 아래에는 커터(41)가 배치된다. 상기 커터(41)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를 통해 투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종이 투입구(23)와 상기 커터(41) 사이에는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를 통해 종이가 투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종이 투입구(23)에 종이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커터(4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는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양측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종이 지지부(20) 아래에는 모터(61)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61)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커터(41), 제1 롤러(31), 제2 롤러(32)를 구동한다. 상기 모터(61)와 상기 커터(41), 제1 롤러(31), 및 제2 롤러(32)는 각각 기어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61)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회전력의 전달 방법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에는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축적된 종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축적된 종이가 없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커터(41) 및/또는 상기 제1,2 롤러(31,32)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은 종이 축적 감지 센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는 센서 브라켓(521)과, 상기 센서 브라켓(521)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회전 레버(522) 및 센서부(523)를 포함한다. 다만, 도 12 및 도 13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센서 브라켓(521)으로부터 상기 회전 레버(522) 및 센서부(523)를 분리시켜 도시하였다.
상기 회전 레버(522)는 접촉부(522a), 차폐부(522b), 무게추(522c), 및 회전축(522d)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522a)는 일부분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종이가 배치되는 경우 종이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축(522d)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22d)은 상기 센서 브라켓(5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522d)에는 상기 차폐부(522b)가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522a)와 상기 차폐부(522b)는 상기 회전축(522d)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차폐부(522b)는 상기 센서부(523)의 발광부(523a)와 수광부(523b)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523a)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수광부(523b)로 입사되는 것을 차폐한다. 상기 차폐부(522b)가 상기 발광부(523a)와 수광부(523b)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차폐부(522b)가 상기 발광부(523a)와 수광부(523b)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523)에서 감지하는 신호에 차이가 발생되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종이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22d)의 양 끝단에는 상기 무게추(522c)가 결합된다. 상기 무게추(522c)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종이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중력에 의해 상기 무게추(522c)가 가장 낮은 위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차폐부(522b)가 상기 발광부(523a)와 수광부(523b)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522c)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종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522a)가 눌리면서 상기 회전축(522d)을 중심으로 상기 무게추(522c)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차폐부(522b)가 상기 발광부(523a)와 수광부(523b) 사이에 배치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는 종이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회전 레버(522)가 동작하고, 그에 따라 센서부(523)에서 감지하는 광 신호가 감지되면서 종이의 배치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또는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또는 제2 종이 지지부(22)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지분과 같은 이물질이 쌓여 센서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배치된 종이가 한 장일 경우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이 종이를 쉽게 투과하여 광 센서가 오작동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는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와 마찬가지로 회전 레버와 센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 및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에서 감지한 신호는 컨트롤러(70)로 전달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 및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커터(41) 및/또는 상기 제1,2 롤러(31,32)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커버(10)는 상기 종이 지지부(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종이 지지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에는 누름 돌기(16a)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 돌기(16a)와 대응하는 상기 종이 세단부(100)의 일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6b)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 돌기(16a)는 상기 커버(10)를 닫음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b)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가 열린 상태인지 또는 닫힌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6b)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70)가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종이 세단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이 세단부(100)는 상기 커버(10)가 닫힌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0)는 제1 프레스 유닛(12)과 제2 프레스 유닛(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2)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스 유닛(14)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2) 및 제2 프레스 유닛(14)은 상기 종이 지지부(20) 상에 배치되는 종이를 가압함으로써 종이가 상기 제1,2 롤러(31,32)가 회전됨에 따라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원활하게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2) 및 제2 프레스 유닛(14)은 상기 제1,2 롤러(31,32) 및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에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한 형상의 제1 피난 홈(12a) 및 제2 피난 홈(14a,14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피난 홈(12a) 및 제2 피난 홈(14a,14b)은 상기 제1,2 롤러(31,32) 및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와 종이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2 롤러(31,32) 상에 배치되는 종이가 상기 제1,2 롤러(31,32)의 형태를 따라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 롤러(31,32)에 의해 종이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피난 홈(12a)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종이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의 접촉부(522a)가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2)에 의해 눌려 상기 종이 세단부(100)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커버(10)에는 수동 종이 투입구(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종이 투입구(11)는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어 소량의 종이를 사용자가 직접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제1 유효 거리(A)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상기 제1 유효 거리(A)보다 큰 제2 유효 거리(B)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를 중심으로 비대칭적인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는 수평면에 대하여 제1 기울기(θ1)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는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울기(θ1)보다 작은 제2 기울기(θ2)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는 서로 상이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종이 투입구(23)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급격히 감소되나,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종이 투입구(23)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완만하게 감소된다. 또한, 상기 제1 기울기(θ1)는 상기 제2 기울기(θ2)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종이 지지부(20)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를 중심으로 양측의 각도 및/또는 길이가 상이하며, 대략적으로 비대칭적인 V자 형태 또는 Y자 형태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팩스 등은 급지된 종이가 인쇄나 복사 등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급지 후 다음 과정으로 이송될 때 반드시 한쪽 끝단부터 반대 끝단까지 구김없이 공급되어야 하나, 종이 세단기는 종이의 파쇄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종이가 구겨지거나 접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히, 파쇄를 목적으로 하는 종이는 대부분 장기간 습기에 노출되어 휨이 발생되거나 구겨짐 또는 찢김 등이 발생되어 훼손된 상태이므로 종이의 끝단의 위치를 제어하여 종이의 끝단부터 상기 종이 투입구(23)에 투입되도록 하여 파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300)는 공급된 종이가 비대칭적으로 접힌 상태로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될 수 있도록 종이 지지부(20)의 형태를 비대칭적으로 형성한다.
도 6과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작동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다른 종이 세단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를 회전시켜 상기 종이 지지부(20)가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10)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종이 지지부(20) 상에 다량의 종이들(P)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를 닫으면 상기 누름 돌기(16a)가 마이크로 스위치(16b)를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52)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종이 세단기(300)가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 롤러(31,32)가 회전되면, 상기 다량의 종이(P) 중 상기 제1,2 롤러(31,32)에 인접한, 즉 하부에 배치된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제1,2 롤러(31,32)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된다. 상기 제1 군의 종이는 상기 다량의 종이(P) 중 맨 아래에 배치된 1장의 종이가 될 수도 있고, 2~4장의 종이가 될 수도 있다. 즉, 동시에 이동되는 종이의 매수는 상기 제1,2 롤러(31,32)의 특성이나 종이들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제1,2 롤러(31,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량의 종이(P)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데,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차단벽(21a)에 의해 상기 다량의 종이(P)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종이 투입구(23)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된 종이(P)가 접히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종이 투입구(23)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 제2 종이 지지부(22)에 비해 낮기 때문에, 종이들(P)은 상기 종이 투입구(23)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접히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상기 커터(41)에 의해 파쇄된다.
이때, 1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1 군의 종이는 비대칭적으로 접히게 되는데, 처음에는 상기 제1,2 롤러(31,32)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되다가,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접혀 들어감에 따라 상기 제1 롤러(31)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된다. 물론, 상기 종이의 일부가 상기 커터(41)에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2 롤러(31,32)로부터 인가되는 힘 외에 상기 커터(41)가 종이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 롤러(31,32)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에 배치되는 종이(P)는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접혀 들어가지 않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종이(P)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접혀 들어간다. 즉,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종이(P)가 상기 종이 투입구(23)에서 접혀 상기 커터(41)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종이 투입구(23)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의 두배 만큼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종이(P)의 길이가 줄어든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종이(P)가 두겹으로 접히면서 상기 커터(41)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커터(41)에 의해 세단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에 배치되는 종이의 끝단은 상기 제2 롤러(32)를 지나 상기 종이 투입구(23)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2 롤러(32)는 계속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롤러(31)가 1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1 군의 종이에 힘을 가하는 동안 상기 제2 롤러(32)는 2차적으로 투입되는 제2 군의 종이에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롤러(31)가 1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1 군의 종이를 밀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롤러(32)는 상기 1차적으로 투입되는 종이의 위에 배치되는 2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2 군의 종이를 밀어낸다.
아울러, 2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2 군의 종이는 1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1 군의 종이의 이동에 따라 함께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제2 롤러(32)에 의해서만 직접적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되는 동안 2차적으로 투입되는 상기 제2 군의 종이가 동시에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되기 때문에, 다량의 종이를 신속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의 종이 세단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종이 세단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 롤러(31,32)에 의해 종이가 동시에 여러 장이 이동되지 않고 한장씩만 이동되는 것으로 예시하도록 한다. 다만, 실제 종이 세단기에서는 종이들간의 마찰력에 따라 1장 내지 4장의 종이가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는 종이 규격인 A4 사이즈의 종이 길이의 1/5 내지 1/3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4 사이즈의 종이는 297m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는 59.4mm 내지 99mm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가 상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59.4mm의 길이보다 작을 수도 있고, 99mm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는 종이 규격인 레터 사이즈의 종이 길이의 1/5 내지 1/3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터 사이즈의 종이는 279.4m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는 55.9mm 내지 93.2mm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길이가 상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55.9mm의 길이보다 작을 수도 있고, 93.2mm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가 99mm로 설정된 경우에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면서 세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300)는 다수의 종이가 상기 종이 지지부(20)에 배치되는 경우, 세단 초기, 정격 세단기, 세단 후기에 따라 동시에 세단되는 종이의 겹수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세단 초기에는 1번째 장의 종이(P1)가 접히면서 동시에 2겹의 종이가 세단되고 그 이후 4겹, 3겹으로 세단되다가 정격 세단기에 접어들면서 5겹, 4겹, 3겹으로 일정한 사이클을 이루면서 세단되며, 세단 후기로 접어들면서 2겹, 1겹으로 세단된다.
상기 종이 지지부(20) 상에 다수의 종이가 배치된 상태에서 종이 세단기(300)가 동작되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상에 배치되는 1번째 장의 종이(P1)가 상기 제1,2 롤러(31,32)에 의해 힘을 받아 비대칭적인 V자 형태로 접히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세단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는 2겹으로 파쇄된다.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가 상기 커터(41)에 의해 파쇄되는 시점에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방향에 배치되는 1번째 장의 종이(P1)의 길이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와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를 더한 값과 같고,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방향에 배치되는 1번째 장의 종이(P1)의 길이는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유효 거리(B)에서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를 뺀 값과 같다.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가 상기 커터(41)에 의해 파쇄되기 시작하면 상기 커터(41)가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배치되는 1번째 장의 종이(P1)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된다.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가 상기 종이 지지부(20) 상에서 상기 종이 투입구(2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롤러(32)는 2번째 장의 종이(P2)와 접하게 되고,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는 상기 제2 롤러(32)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세단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 및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와,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 및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가 동시에 세단되며 4겹의 종이가 파쇄된다.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및 제2 종이 지지부(22)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와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를 더한 값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의 유효 거리(B)에서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를 뺀 값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는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상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보다 먼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파쇄된다.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가 모두 파쇄됨에 따라 상기 제1,2 롤러(31,3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서는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만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세단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상에 배치되는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상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 및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가 동시에 세단되면서 3겹의 종이가 파쇄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가 상기 종이 지지부(20) 상에서 상기 종이 투입구(2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롤러(32)는 3번째 장의 종이(P3)와 접하게 되고, 상기 3번째 장의 종이(P3)는 상기 제2 롤러(32)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어 세단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2번째 장의 종이(P2) 및 상기 3번째 장의 종이(P3)와,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종이 지지부(22) 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1번째 장의 종이(P1), 2번째 장의 종이(P2), 및 3번째 장의 종이(P3)가 동시에 세단되며 5겹의 종이가 파쇄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2 롤러(31,32)가 종이들과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종이를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도록 하고, 종이들의 겹침 정도에 따라 상기 커터(41)에서는 1겹 내지 5겹 정도로 종이를 파쇄한다. 물론, 실시예에서는 종이와 상기 제1,2 롤러(31,32)가 접촉할 때 1장의 종이만 이동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2~3장의 종이가 동시에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커터(41)에서 동시에 세단되는 종이의 겹수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길이(A)가 74.3mm로 설정된 경우에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면서 세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길이(A)가 59.4mm로 설정된 경우에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유입되면서 세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종이 지지부(21)의 유효 거리(A)와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커터(41)까지의 거리(C)를 더한 값이 짧아질수록 상기 종이들이 더 빨리 상기 종이 투입구(23)로 투입되고 동시에 세단되는 종이의 겹수도 증가하게 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종이 세단기에서 수동 방식으로 종이를 파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커버(10)에는 상기 종이 투입구(23)의 상측 방향에 상기 커버(10)를 관통하는 상기 수동 종이 투입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수동 종이 투입구(11)는 상기 제1 프레스 유닛(12)과 상기 제2 프레스 유닛(14)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 종이 투입구(11)를 통해 종이를 투입하면, 상기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23)를 지나 상기 커터(41)에 의해 파쇄된다. 이때, 상기 종이 투입 감지 센서(51)가 종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70)가 상기 커터(41)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커버, 11: 수동 종이 투입구, 12: 제1 프레스 유닛, 12a: 제1 피난 홈, 13: 스프링, 14: 제2 프레스 유닛, 14a,14b: 제2 피난 홈, 16a: 누름 돌기, 16b: 마이크로 스위치, 20: 종이 지지부, 21: 제1 종이 지지부, 22: 제2 종이 지지부, 23: 종이 투입구, 31: 제1 롤러, 32: 제2 롤러, 41: 커터, 51: 종이 투입 감지 센서, 52: 종이 축적 감지 센서, 61: 모터, 70: 컨트롤러, 100: 종이 세단부, 200: 종이 박스, 521: 센서 브라켓, 522: 회전 레버, 522a: 접촉부, 522b: 차폐부, 522c: 무게추, 522d: 회전축, 523: 센서부, 523a: 발광부, 523b: 수광부

Claims (14)

  1. 제1 유효 거리를 갖는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유효 거리보다 큰 제2 유효 거리를 갖는 제2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사이에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지지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1 롤러;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커터; 및
    상기 제1 롤러 및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 및 상기 제2 종이 지지부는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종이 세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된 제2 롤러를 더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3. 제1 종이 지지부와, 제2 종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지지부;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롤러들;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종이를 파쇄하는 커터; 및
    상기 롤러들 및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들은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종이 세단기.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지지부에는 종이의 축적 여부를 판단하는 종이 축적 감지 센서가 배치되는 종이 세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축적 감지 센서는 일부분이 상기 종이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종이 지지부 상에 노출되어 종이가 축적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레버와,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종이의 축적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1 종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프레스 유닛 및 상기 제2 종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2 프레스 유닛을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수동 종이 투입구를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에 형성된 피난 홈을 포함하는 종이 세단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는 제1 유효 거리를 갖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는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유효 거리를 갖는 종이 세단기.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이 지지부 및 상기 제2 종이 지지부는 상기 종이 투입구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종이 세단기.
  14. 종이 투입구를 사이에 두고 제1 종이 지지부 및 제2 종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종이 지지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의해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면서 상기 종이 투입구 아래에 배치되는 커터에 의해 파쇄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제2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상기 제1 군의 종이가 상기 종이 투입구로 이동되어 상기 커터에 의해 파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 세단 방법.
KR1020100072617A 2010-07-27 2010-07-27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KR10117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17A KR101172171B1 (ko) 2010-07-27 2010-07-27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17A KR101172171B1 (ko) 2010-07-27 2010-07-27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31A true KR20120010931A (ko) 2012-02-06
KR101172171B1 KR101172171B1 (ko) 2012-08-07

Family

ID=4583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17A KR101172171B1 (ko) 2010-07-27 2010-07-27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6A1 (ko) * 2012-10-18 2014-04-24 청도황관전자유한공사 종이 세단기
KR102498750B1 (ko) 2022-04-20 2023-02-13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자동 문서 세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8342B2 (en) * 2004-06-14 2010-02-09 Michilin Prosperity Co., Ltd. Auto-feed buit-in a paper shredder
JP2008173595A (ja) * 2007-01-19 2008-07-31 Eco Kk ドキュメントシュレッダ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6A1 (ko) * 2012-10-18 2014-04-24 청도황관전자유한공사 종이 세단기
US9757732B2 (en) 2012-10-18 2017-09-12 Royal Sovereign Qingdao Inc. Paper shredder
KR102498750B1 (ko) 2022-04-20 2023-02-13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자동 문서 세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171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246B2 (en) Shredder and method of shredding paper
KR101221011B1 (ko) 문서세단기의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문서세단기
US8074912B2 (en) Auto-feed built-in a paper shredder
GB2437594A (en) Shredding machine with actuating element
US20230067204A1 (en) One Hundred Sheet Dual Throat Auto-feed Paper Shredder
US20110012301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20130045870A (ko)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CN102849481A (zh) 供纸装置以及供纸方法
KR101389871B1 (ko) 시트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 및 시트 급송 장치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KR101172171B1 (ko) 종이 세단기 및 종이 세단 방법
US9757732B2 (en) Paper shredder
JP2008230759A (ja) シート材供給装置
JP7016228B2 (ja) シート穿孔装置
US20230071659A1 (en) Autofeed paper shredder with input drawer
JP4058391B2 (ja) 用紙束排出装置,用紙束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07280A (ja) シート給送装置、該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23847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088521B1 (ko) 종이 세단기
JP2003232671A (ja) 穿孔装置用パンチ屑量検知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穿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6048B2 (ja) シュレッダの給紙装置
EP3714980B1 (en) Energy-saving auto feed shredder
JP4823962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22102530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20111460A (ja) 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KR20070023190A (ko) 용지 급지부를 가진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