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627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627A
KR20120009627A KR1020100069695A KR20100069695A KR20120009627A KR 20120009627 A KR20120009627 A KR 20120009627A KR 1020100069695 A KR1020100069695 A KR 1020100069695A KR 20100069695 A KR20100069695 A KR 20100069695A KR 20120009627 A KR20120009627 A KR 20120009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ircuit board
mobile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항준
권우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627A/en
Publication of KR2012000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6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prevent the power shortage of a battery regardless of the deform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ue to a swelling of a battery. CONSTITUTION: A connection terminal is attached to a circuit board(143) in ord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127a). If the battery is accepted to an accommodating room(141),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essurized by a battery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transformed by the pressurization. A pressure member(150) is installed to the circuit boar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for power supply.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Mobile terminals a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portable and have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 output, and data storage.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하며, 이들 중 하나로 배터리와 단말기 본체의 전기적인 연결 메커니즘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a method of furthe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hardware or the like may be considered. Such improvements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and one of them can be consider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battery and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전원공급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body.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와 회로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for more robustly form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배터리와 적층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면 배터리 단자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탄성변형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ng chamber in which a battery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a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stacked with the batter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o be connected and pressurized by a battery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formed to elastically deform by the pressur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pressurizing member formed to pressurize the batter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터리의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수용실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일단이 고정단이고 상기 수용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인 외팔보를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terminal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and the pressing member extends from the circuit board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to press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ircuit board, and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Alternatively,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pressing member may form a cantilever beam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t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at a free en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수용실은 단말기 케이스의 일면상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전자소자를 차폐하며, 상기 수용실의 바닥을 이루는 쉴드 캔이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쉴드 캔을 벗어난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수용실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chamber is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the circuit board shields an electronic element, and a shield can forming a bottom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is mounted. It is disposed in a portion outside the shield can. An accommodating groove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ch that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 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the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base member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and a lock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base member and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단자가 탄성변형하는 방향으로 배터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통하여, 배터리의 팽창(swelling) 등에 의한 접속단자의 변형에도 배터리와의 단전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batter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elastical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with the battery even in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재가 회로기판에 장착됨에 따라, 케이스, 배터리 커버 등의 변형에도 배터리와의 접속 부분의 변형 및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ressing member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deformation and defects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attery can be reduced even when the case, the battery cover, and the like are de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가압부재의 변형예에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라인 Ⅶ-Ⅶ 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가압부재의 변형예에 따르는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분해도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of FIG. 2;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sing member of FIG.
6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sing member of FIG.
9A and 9B are exploded views according to further embodiments of a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 이하 '바디'라 함)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dy”)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10. Inclu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20.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mainly operates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mobi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body 113, the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 transparent OLED (TOLED) module,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113 may be formed to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when touched. This may be implemented by a haptic module linked to the display 113.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The haptic module may be variously dispos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he display 113.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은 디스플레이부(113)와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16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113.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10,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120.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and the interface 1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 123, 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16, 123,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by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joystick. Can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1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wired or wirelessl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refer to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129 and the mirror unit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22.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refer to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the rear case 112 side of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121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128 to 131 described as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configured to allow shooting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127a)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7a)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7 is configured at the rear case 122 to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include,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127a to supply power. The battery 127a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120)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120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본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22)에는 리세스된 형태의 수용실(141)이 형성된다. 수용실(141)은 리어 케이스(122)의 일면상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배터리(127a)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127a)의 외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rear case 122 is formed with a recessed receiving chamber 141. The storage chamber 141 is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127a so that the battery 127a can be seated.

리어 케이스(122)에는 수용실(141) 및 배터리(127a)를 덮도록 배터리 커버(142)가 결합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142 may be coupled to the rear case 122 to cover the accommodation chamber 141 and the battery 127a.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43)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43)은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도 10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43)은 리어 케이스(12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127a)와 적층되도록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다.The circuit board 143 is disposed inside the terminal body. The circuit board 143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190 (see FIG. 10) for controlling a function related to a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circuit board 143 is disposed inside the rear case 122 and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o be stacked with the battery 127a.

도시에 의하면 회로기판(143)에는 접속단자들(144)이 배치되고, 수용실(141)의 바닥에는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145)이 형성된다. 배터리(127a)의 배면에는 상기 접속단자들(144)에 대응하도록 배터리 단자(127b)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connection terminals 144 are disposed in the circuit board 143, and a through hole 145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141 is formed. The battery terminal 127b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127a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144.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 터미널(146)이 회로기판(143)에 장착되며, 접속단자들(144)은 배터리(12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 터미널(146)에 배치된다. 접속단자들(144)은 배터리(127a)가 수용실(141)에 수용되면 배터리 단자(127b)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terminal 146 is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143,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144 are dispos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146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27a. The connection terminals 144 are pressurized by the battery terminal 127b when the battery 127a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141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urization.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43)에는 가압부재(150)가 장착된다. 가압부재(150)는 접속단자(144)가 탄성변형하는 방향으로 배터리(127a)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50)는 배터리(127a)에서 배터리 단자(127b)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이하, 배터리의 전면이라 한다)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sing member 15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43. The pressing member 150 is formed to press the battery 127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44 elastically deforms.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member 150 is formed to press the opposite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of the battery 127a on the surface where the battery terminal 127b is disposed.

가압부재(150)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로기판(143)으로부터 상기 수용실(141)의 내부로 연장되어, 배터리(127a)의 전면을 가압한다.The pressing member 15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and extends from the circuit board 143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141 to press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127a.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재(150)의 일단은 회로기판(143)의 면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50)는 일단이 회로기판(143)에 표면실장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50)는 외팔보를 이루며, 상기 외팔보는 회로기판(143)에 장착되는 일단이 고정단이고 수용실(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이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용실(141)의 측면에는 가압부재(150)가 배치되도록 수용실(141)의 바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용홈(147)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150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43. For example,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150 may be surfac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43. That is, the pressing member 150 forms a cantilever beam, and the cantilever beam is fixed at one e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43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141 is a free end. 3 and 4, an accommodating groove 147 is formed at a sid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14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141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50 is disposed.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50)는 회로기판(143)으로부터 수용홈(14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홈(147)의 단부에서 수용실(141)을 향하여 절곡된다. 이를 통하여 가압부재(150)는 수용실(141)내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는 접속단자(144)를 향하여 만곡되어 배터리(127a)에 탄성력을 가하는 만곡부(151)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member 150 extends from the circuit board 1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47 and is bent toward the housing chamber 141 at th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47. As a result, the pressing member 150 protrudes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141, and a curved portion 151 is formed at the protruding portion to be bent toward the connection terminal 144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attery 127a.

이와 같이, 만곡부(151)가 배터리(127a)를 가압하므로, 배터리의 팽창(swelling)이나 배터리 커버의 변형 등이 있어도 배터리(127a)와 접속단자(144)의 단전이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ved portion 151 pressurizes the battery 127a, even if there is swelling of the battery or deformation of the battery cover, disconnection of the battery 127a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44 may be prevented.

도 5는 도 4의 가압부재의 변형예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pressing member of FIG. 4.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시에 의하면, 회로기판(243)에는 관통홀(248)이 형성되고, 가압부재(250)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248)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243)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50)는 일단은 관통홀(248)을 통하여 회로기판(243)의 배면(수용실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은 솔더링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압부재(250)의 보다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 a through hole 248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243, and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2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8 an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43.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25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43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receiving cha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248. Such mounting may be performed by soldering or the like, thereby enabling more firm mounting of the pressing member 250.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라인 Ⅶ-Ⅶ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압부재의 변형예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ure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sing member of Figure 7 .

도 6 및 도 7에 의하면, 회로기판(343)에는 접속단자들(344)이 배치되고, 수용실(341)의 측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관통홀(345)이 형성된다. 배터리(327a)의 측면(길이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접속단자들(344)에 대응하도록 배터리 단자(327b)가 형성된다. 6 and 7, connection terminals 344 are disposed in the circuit board 343, and corresponding through holes 345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341. The battery terminal 327b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ne e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ttery 327a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344.

수용실(341)의 반대측 측면에는 가압부재(350)가 배치된다. 즉, 가압부재(350)는 회로기판(343)의 면상에 접속단자들(344)과 이격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가압부재(350)는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배터리(327a)의 다른 측면(길이방향의 타단)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접속단자(344)가 탄성변형하는 방향으로 배터리(327a)를 가압하게 된다.The pressing member 350 is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341. That is, the pressing member 350 is moun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s 344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43. The pressing member 350 is configured to press the other side (the other e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ttery 327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thereby pressing the battery 327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344 elastically deforms. Done.

가압부재(350)는 회로기판(343)의 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바 형태를 이루고, 만곡부(351)는 가압부재(350)의 양단 사이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 pressing member 350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43 to form a bar, and the curved portion 351 is disposed to 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pressing member 350.

도 8을 참조하면, 회로기판(443)에는 관통홀(448)이 형성되고, 가압부재(450)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448)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443)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50)는 일단은 솔더링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가압부재(450)가 배터리(417a)에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부재(450)가 회로기판(443)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전단력이 많이 작용하게 되며, 가압부재(450)가 관통홀(448)을 가로지름에 따라 상기 전단력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through hole 448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443, and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4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48 and is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443.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450 may be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shearing force acts a lot o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member 45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43 due to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pressing member 450 to the battery 417a, and the pressing member 450 has a through hole 448. Reinforcement to the shear force can be made by traversing).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는 분해도들이다. 이하,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9A and 9B are exploded views according to still other embodiment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foregoing embodiments will be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9a를 참조하면, 수용실(541)은 바닥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로기판(543)에는 전자소자를 차폐하는 쉴드 캔(549)이 장착된다. 또한, 접속단자(544)는 쉴드 캔(549)을 벗어난 부분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9A, the storage chamber 541 has an open bottom, and a shield can 549 for shielding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543. 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544 is disposed at a portion outside the shield can 549.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쉴드 캔(549)은 수용실(541)의 바닥을 이루게 되며, 수용실(541)의 측면에 인접하게 접속단자(5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쉴드 캔(549), 수용실(541) 및 접속단자(544)의 배치관계에 의하여 보다 두께가 얇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hield can 549 forms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54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54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541. As such, the terminal having a thinner thickness may be realized by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hield can 549, the accommodation chamber 54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544.

도 9b를 참조하면, 접속 터미널(646)은 베이스부재(646a) 및 걸림부재(646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B, the connection terminal 646 includes a base member 646a and a locking member 646b.

베이스부재(646a)에는 접속단자(644)가 배치되며, 접속단자(644)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646a)가 회로기판(543)에 장착된다. 걸림부재(646b)는 베이스부재(646a)로부터 돌출되며, 배터리(627a)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진다.A connection terminal 644 is disposed on the base member 646a, and a base member 646a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644 is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543. The locking member 646b protrudes from the base member 646a and is configured to be lock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627a.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627a)에는 걸림부재(646b)가 걸림되도록 걸림홈(627c)이 형성되고, 걸림부재(646b)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홈(627c)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627a)가 접속 터미널(646)에 걸림되고, 접속 터미널(646)이 회로기판(643)에 장착되는 구조에 의하여, 케이스나 배터리 커버 등의 변형에도 배터리(627a)와 접속단자(644)의 접속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groove 627c is formed in the battery 627a so that the locking member 646b is locked, and the locking member 646b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627c. In this manner, the battery 627a is caught by the connection terminal 646, and the connection terminal 646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643. The connection of 644 can be kept tight.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6), 방송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0,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an operation unit 116, 123, 124, an image input unit 115, 128, an audio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13, and an audio output unit. It includes the 114, 131, the sensing unit 196, the interface 126,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the memory 194, the power supply unit 127, the controller 190.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190 addition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he transmitter 19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193).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the controller 19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4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se of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94.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19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re provided to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19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196)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96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cting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to output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9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27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9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9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The memory 194 also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is memory 194 includes generally known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19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9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4.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8)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배터리와 적층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면 배터리 단자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탄성변형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ng chamber in which a battery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A circuit board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stacked with the battery;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ressurized by a battery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formed to elastically deform by the pressing; And
And a pressing member mounted to the circuit board and configured to press the batter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elastically defor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일면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수용실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terminal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ttery,
The pressing memb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circuit boar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hamber to press the other surface of the batte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circuit board,
The press member is one en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through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member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일단이 고정단이고 상기 수용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인 외팔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pressing member,
And a cantilever beam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t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chamber having a fre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단말기 케이스의 일면상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전자소자를 차폐하며, 상기 수용실의 바닥을 이루는 쉴드 캔이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쉴드 캔을 벗어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chamber is formed to b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and the circuit board is shielded with an electronic element, and a shield can is formed to form a bottom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바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chamber dispo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so that the pressing member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터미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on terminal having the connection terminal,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base membe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the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thereon; And
A mobil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base member, comprising a locking member to be caught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KR1020100069695A 2010-07-19 2010-07-19 Mobile terminal KR201200096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95A KR20120009627A (en) 2010-07-19 2010-07-1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95A KR20120009627A (en) 2010-07-19 2010-07-19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627A true KR20120009627A (en) 2012-02-02

Family

ID=4583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95A KR20120009627A (en) 2010-07-19 2010-07-19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6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243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18765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1A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27633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30166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56440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20090080426A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02240A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65147B1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09627A (en) Mobile terminal
KR20100002902A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43798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110155A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09626A (en) Mobile terminal
KR10146381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47039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32335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0996A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39889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44023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