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14U - 래싱 브리지 - Google Patents

래싱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14U
KR20120008314U KR2020110004584U KR20110004584U KR20120008314U KR 20120008314 U KR20120008314 U KR 20120008314U KR 2020110004584 U KR2020110004584 U KR 2020110004584U KR 20110004584 U KR20110004584 U KR 20110004584U KR 20120008314 U KR20120008314 U KR 201200083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ire
cross
lash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영
손희진
윤종원
한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314U/ko
Publication of KR20120008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래싱 브리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래싱 브리지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컬럼과, 복수의 컬럼의 가로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가로지지대를 구비하며, 선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고박(lashing)하는 브리지 베이스; 및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에 의해 마련되되 브리지 베이스에 결합되어 항해 중 브리지 베이스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교차 주보강대를 포함하며, 교차 주보강대는 "X"자 형상을 가지며, 교차 주보강대의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의 교차 중심은 컬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본 고안은,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항해 중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고정시켜 컨테이너의 붕괴를 방지하는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출입 등을 위한 화물을 전용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철제 박스 형태로 제작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 선적되어 주로 해상 운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세계경제 발전에 따른 해상 화물의 물동량 증가에 따라 컨테이너 운반선의 대형화와 함께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도 점차 대형화, 중량화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 화물을 운송하는 20피트, 40피트 컨테이너를 5단 이상의 고층으로 적재할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컨테이너를 고층으로 적재한 선박의 항해 시에 기상상태의 악화나 해일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선박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인 롤링(Rolling)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롤링 현상은 일반적으로 선박이 앞뒤로 흔들리는 현상인 피칭(Pitching) 현상과 선체가 상하로 평행하게 동요하는 히빙(Heaving) 현상을 동시에 유발시킨다.
그 결과,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가 무너질 수도 있고, 롤링 현상이 극심한 경우에는 선박이 전복되어 침몰에 이를 수 있게 됨으로써 귀중한 승객과 선원의 생명은 물론 선박과 적재화물 등의 망실로 인하여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선박의 운동 중 롤링에 의하여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의 힘이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미치는 가로 방향의 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가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의 어퍼 데크(Upper Deck) 또는 해치 코밍 탑(Hatch Coaming Top)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항해 중 롤링, 피칭 등의 선박 운동에 의한 컨테이너 더미의 붕괴를 방지하고, 컨테이너의 적재가능 중량 및 단수의 증가를 위해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래싱 브리지는, 선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컬럼(column)과, 각 컬럼 사이를 통해 복수의 컬럼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작업자의 보행 통로가 되는 보도부 즉 가로지지대를 포함한다. 각 컬럼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구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된다.
한편 컬럼 사이에 선박의 항해 도중 래싱 브리지에 작용하는 선박의 가로 방향의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사선 버팀목이 경사지게 마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사선 버팀목 대신에 컬럼 사이의 공간 전체를 밀폐하는 형태의 플레이트판이 마련된 기술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는,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의 힘을 적절히 분산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 특정 컬럼이나 특정 가로지지대 또는 특정 사선 버팀목에 힘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새로운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래싱 브리지의 중간부는 선박의 롤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이 래싱 브리지의 양단부보다 약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래싱 브리지의 중간부에도 다소 무거운 사선 버팀목을 마련하고 있어 래싱 브리지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켜 추진 연료를 증가시키게 되어 상황에 따라서는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그렇다고 래싱 브리지의 중간부에 무거운 사선 버팀목을 생략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선박의 가로 방향의 힘을 적절히 분산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양립하기 어려운 요구조건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래싱 브리지의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항해 시 롤링에 의해 래싱 브리지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켜 래싱 브리지의 특정한 곳에 힘이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래싱 브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량을 절감시키면서도 적절히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의 래싱 브릿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컬럼과, 상기 복수의 컬럼의 가로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가로지지대를 구비하며, 선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고박(lashing)하는 브리지 베이스; 및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에 의해 마련되되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결합되어 항해 중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교차 주보강대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 주보강대는 "X"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교차 주보강대의 상기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차 주보강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브리지 베이스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항해 중 상기 브리지 베이스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중간지지대의 중심은 상기 컬럼의 중심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각선지지대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상기 교차 주보강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에 의해 마련되며, "X"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중간지지대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하는 교차 부보강대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상기 선체 또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선체 또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랜지; 및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하는 샤클(shack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와이어이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선박의 항해 시 롤링에 의해 래싱 브리지에 가해지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켜 래싱 브리지의 특정한 곳에 힘이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부보강대를 적용함으로써 중량을 절감시키면서도 적절히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1)는, 선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고박(lashing)하는 브리지 베이스(10)와, 브리지 베이스(10)에 마련되어 브리지 베이스(10)의 단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교차 주보강대(20)를 포함한다.
먼저 브리지 베이스(10)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컬럼(11, 13, 15)과, 복수의 컬럼(11, 13, 15)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17)를 포함한다.
복수의 컬럼(11, 13, 15) 중 양단부에 배치되는 컬럼(11)에는 하측에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지지로드(11a)가 마련된다. 양단부에 배치되는 컬럼(11) 사이의 컬럼들(13, 15)은 컨테이너의 적재 시 컨테이너를 가이드하거나 해치 코밍 탑(Hatch Coaming Top)에 설치 시 중량물인 해치 커버를 안전하게 설치 위치로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컬럼(11, 13, 15)은 본 실시 예에서 하중 지지력을 유지하면서 중량 감소가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인 로드(rod)를 사용하되, 그 형상은 원형 단면, 사각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가로지지대(17)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수리 시 작업자의 보행 통로 제공 및 복수의 컬럼(11, 13, 15)과 더불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컬럼(11, 13, 15) 사이에 3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가로지지대(17) 중 최하단의 가로지지대(17)를 제외한 가로지지대(17)는 구조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최하단의 가로지지대(17)는 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지만 작업자의 보행 통로로 주로 이용된다.
한편 교차 주보강대(20)는, 브리지 베이스(1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항해 중 선박의 롤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브리지 베이스(10)로 분산시킨다. 일반적으로, 롤링에 의해 브리지 베이스(10)에 가해지는 힘은 선박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교차 주보강대(20)는 브리지 베이스(10)의 양단부에 하나씩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교차 주보강대(20)는 브리지 베이스(10)의 어느 일단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고, 나아가 상황에 따라서는 브리지 베이스(10)의 중간부에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차 주보강대(20)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21)를 상호 교차시켜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X"자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21)의 교차 중심은 컬럼(11, 13, 1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교차 주보강대(20)를 이와 같이 "X"자 형상으로 구현한 것은, 만약 교차 주보강대(20)를 "∧" 형태로 한 경우 교차 주보강대(20)의 상부 꼭지점 부분이 최상층 가로지지대(17)에 결합하게 되는데, 최상층 가로지지대(17)에 마련되는 래싱 아이(미도시, lashing eye)에 래싱 포스(lashing force)가 작용하게 되면, 상부 꼭지점 부분에 힘이 집중되므로 힘의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 형태로 한 경우 선체에 고정되는 하단부가 선체 한 곳에 접촉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단부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선박의 롤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브리지 베이스(10)로 분산시키는 최적의 구조를 래싱 브리지(1)에 구현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교차 주보강대(20)의 교차되는 중심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15) 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21)는 컬럼(15)에 결합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21)의 각 하나의 대각선지지대(21)는 각각 상하로 분리되어 컬럼(15)에 용접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X"자 형상을 갖도록 교차 주보강대(20)가 마련되며, 또한 그 교차 중심이 컬럼(15)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교차 주보강대(20)는 교차되는 중심이 복수의 가로지지대(17) 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가로지지대(17)와 최하층에 위치하는 가로지지대(17)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교차 주보강대(20)의 교차 형상에 의해서 교차 주보강대(20)로 하중 분산 경로가 종래보다 더 생성된 것이 되므로, 롤링에 의해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수평 방향의 힘이 컬럼(15)과 교차 주보강대(20) 등으로 힘이 적절히 분산되어, 종래와 같이 특정한 곳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교차 주보강대(20)의 대각선지지대(21)는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복수의 컬럼(11, 13, 15)과 같이 하중 지지력 유지 및 중량 감소를 위해서 내부가 중공인 로드(rod)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래싱 브리지(1a)의 중간부에, 중간지지대(30)로서 브리지 베이스(10)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대각선지지대(30)가 더 구비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2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달리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롤링 힘을 분산시키는 중간지지대(30) 즉 본 실시예에서의 대각선지지대(30)를 더 포함한다.
선박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의 중간부는 가장자리에 비해서 롤링의 힘이 약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대각선지지대(30)는 교차 주보강대(20)와 같이 교차되는 형상이 아니고, 브리지 베이스(10)에 경사지게 단수(單數)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대각선지지대(30)는 그 중심이 본 실시 예에서 컬럼(15) 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지지대(30) 즉 본 실시예에서의 대각선지지대(30)의 중심은 컬럼(15)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30)가 교차 주보강대(20) 사이에 배치되는데,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30)는 대각선지지대(30)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호 근접되고 그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래싱 브리지(1b)의 중간부에, 중간지지대(40)로서 브리지 베이스(10)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대각선지지대(40)의 배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3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40)가 교차 주보강대(20) 사이에 배치되는데,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40)는 대각선지지대(40)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근접되고 그 상측으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래싱 브리지(1a)의 중간부에, 중간지지대(50)로서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30)에 의해 마련되는 교차 부보강대(50)가 더 구비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2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선박의 항해 중에는 항해 경로와 선박 내부의 화물의 적재위치나 선박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롤링 현상이 심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롤링 힘이 증가 되므로 선박의 가장 자리는 물론 중간부에도 집중되는 힘의 분산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중간지지대(50)로 교차 주보강대(20)와 같이 상호 교차 되도록 마련되는 교차 부보강대(50)가 적용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30)에 의해서 마련되는 교차 부보강대(50)가 교차 주보강대(20) 사이에 한 쌍 마련되되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교차 부보강대(50)는 "X"자 형상을 가지되 교차 중심은 컬럼(1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래싱 브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래싱 브리지(1a)의 중간부에, 중간지지대(60)로서, 와이어(61)와 와이어 고정부(63)를 포함하는 와이어 부보강대(60)가 더 구비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2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교차 주보강대(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60)가 와이어(61)를 포함하는 와이어 부보강대(60)이다.
선박의 롤링에 의해 브리지 베이스(10)의 중간부에는 예를 들어 한 쪽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면 다른 쪽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전술한 제2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와 같은 중간지지대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중량을 많이 나가 추진 연료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와이어(61)를 포함한 와이어 부보강대(60)를 적용하게 되면 인장력만이 작용하는 부분에 대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중량이 절감되면 선속이 빨라져 추진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연소가스의 배출 감소로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부보강대(60)는,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와이어(61)와, 한 쌍의 와이어(61)를 선체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6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와이어 고정부(63)는 와이어(61)를 선체에 고정시키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 고정부(63)는 와이어(61)를 브리지 베이스(10)에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쌍의 와이어(61)는 교차 주보강대(20)와 같이 교차 중심이 컬럼(15)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본 실시 예에서 "X"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와이어(61)를 선체에 용접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와이어(61)를 선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와이어 고정부(63)가 마련된다.
와이어 고정부(63)는, 선체에 고정되는 브래킷(69)과, 브래킷(69)에 고정되며 일측에 체결홀(65a)이 형성된 베이스 플랜지(65)와, 와이어(61)의 단부가 베이스 플랜지(65)의 체결홀(65a)에 고정되도록 하는 샤클(67, Shackle)을 포함한다.
브래킷(69)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선체에 고정된다. 브래킷(69)은 베이스 플렌지(65)와 일체로 성형 될 수도 있고, 브래킷(69)을 선체에 고정한 후 베이스 플렌지(65)를 후행 작업으로 브래킷(69)에 용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샤클(67)은, 와이어(61)의 단부를 지지하는 체결고리(67a)와, 베이스 플랜지(65)의 체결홀(65a)에 삽입되어 베이스 플랜지(65)와 체결고리(67a)를 연결하는 체결로드(67b)와, 체결로드(67b)에 연결된 체결고리(67a)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고리(67a)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체결핀(67c)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래싱 브리지 10 : 브리지 베이스
11, 13 , 15 : 컬럼 17 : 가로지지대
30, 40, 50, 60 : 중간지지대 61 : 와이어
63 : 와이어 고정부 65 : 베이스 플렌지
67 : 샤클(Shackle) 69 : 브래킷

Claims (7)

  1.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컬럼과, 상기 복수의 컬럼의 가로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가로지지대를 구비하며, 선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고박(lashing)하는 브리지 베이스; 및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에 의해 마련되되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결합되어 항해 중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교차 주보강대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 주보강대는 "X"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교차 주보강대의 상기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주보강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브리지 베이스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항해 중 상기 브리지 베이스의 중간부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중간지지대의 중심은 상기 컬럼의 중심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각선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상기 교차 주보강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대각선지지대에 의해 마련되며, "X"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중간지지대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하는 교차 부보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상기 선체 또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부보강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선체 또는 상기 브리지 베이스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랜지; 및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하는 샤클(shack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와이어이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의 교차 중심은 상기 컬럼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브리지.
KR2020110004584U 2011-05-26 2011-05-26 래싱 브리지 KR201200083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84U KR20120008314U (ko) 2011-05-26 2011-05-26 래싱 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84U KR20120008314U (ko) 2011-05-26 2011-05-26 래싱 브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14U true KR20120008314U (ko) 2012-12-05

Family

ID=4751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84U KR20120008314U (ko) 2011-05-26 2011-05-26 래싱 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31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7293A1 (en) 2013-06-27 2014-12-31 Cargotec Finland Oy Lashing bridge for a cargo ship
KR101520834B1 (ko) * 2013-10-10 2015-05-1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N113095011A (zh) * 2021-04-23 2021-07-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考虑参数横摇的集装箱船绑扎力预估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7293A1 (en) 2013-06-27 2014-12-31 Cargotec Finland Oy Lashing bridge for a cargo ship
CN105658516A (zh) * 2013-06-27 2016-06-08 麦奎格芬兰公司 用于货船的绑扎桥
EP3013677A4 (en) * 2013-06-27 2017-01-25 MacGregor Finland Oy Lashing bridge for a cargo ship
KR101520834B1 (ko) * 2013-10-10 2015-05-1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N113095011A (zh) * 2021-04-23 2021-07-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考虑参数横摇的集装箱船绑扎力预估方法
CN113095011B (zh) * 2021-04-23 2023-11-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考虑参数横摇的集装箱船绑扎力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KR102169409B1 (ko) 화물선용 래싱 브리지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US20050217554A1 (en) Semi-submersible offshore vessel and methods for positioning operation modules on said vessel
KR20120008314U (ko) 래싱 브리지
KR100588380B1 (ko) 래싱 브리지
KR102605869B1 (ko) 래싱 브리지
KR10253002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N110027671B (zh) 一种底纵桁集中布置的集装箱船底部结构
US9919772B2 (en) Hull support structure of liquefied gas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CN201224482Y (zh) 用于运输超宽集装箱的组合架
KR102605871B1 (ko) 래싱 브리지
KR20130090561A (ko) 적재량 증대형 컨테이너선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605872B1 (ko) 래싱 브리지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102605681B1 (ko) 래싱 브리지
KR102605867B1 (ko) 래싱 브리지
CN210526810U (zh) 一种大型海洋油气设备的坞墩布置结构
KR102605873B1 (ko) 래싱 브리지
KR20210029963A (ko)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적재 극대화를 위한 선미 구조
KR20240063408A (ko) 컨테이너 선박의 전용 벤치 구조
CN103459248A (zh) 用于在货轮内运输货物的方法和布置***
KR20190066177A (ko) Lng 저장탱크가 탑재되는 셀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lng 저장탱크 지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