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67A -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67A
KR20120007267A KR20100067939A KR20100067939A KR20120007267A KR 20120007267 A KR20120007267 A KR 20120007267A KR 20100067939 A KR20100067939 A KR 20100067939A KR 20100067939 A KR20100067939 A KR 20100067939A KR 20120007267 A KR20120007267 A KR 2012000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ation
time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792B1 (ko
Inventor
박명은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92B1/ko
Priority to PCT/KR2010/005360 priority patent/WO2012008647A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61J7/04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automat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a schedule deviation by the pati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약지도 및 복약확인을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약지도 및 복약확인을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약은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해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도 일년에 수 차례 약을 복용하게 마련이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일생 동안 주기적으로 복약을 해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마다 인체 내에서 흡수 및 분해되는 작용과정이 달라 대부분 복약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올바른 투약효과를 위해서는 약의 성분과 목적 및 약효의 지속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약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하는 의사나 약사는 투약시간에 대해 기상 후, 식전, 식후 및 취침 전 등과 같이 가능한 일반인들의 생활패턴에 맞춰 복용약제, 복약시간 및 복용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사들의 구두에 따라 설명되며 이후 복약과정에서 복용자의 기억과 주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복용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복약스케줄에 따른 효과적인 복용을 기대하기 힘들다. 특히 분초를 다투는 현대인의 경우 바쁜 일상생활로 인하여 외출 시에 항상 약을 소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올바로 복용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해 주의력이 약할 수 있어 별도의 복약관리가 없다면 실제로 정확한 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복약여부를 기억하지 못해 약을 오·남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약관리를 보조하는 별도의 기록지를 이용하여 왔다. 별도의 기록지란 복용약제 및 복약시기가 제공되어 복용자가 이에 따라 복약한 뒤 복약 사실을 하나하나 기록하는 노트나 메모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지를 이용한 복약관리는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이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복용자가 매번 복약 시마다 기록지에 복약사실을 수기로 기록하는 것은 누락이나 오기의 우려가 크며, 양로원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간호인에게 기록하도록 하는 경우라도 모든 복약여부를 빠짐없이 기록하기란 현실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정해진 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을 분류하여 수납해 놓는 약상자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상자는 기록지에 복약기록을 하는 것에 비해서는 복약순응도면에서 유리하지만 크기나 무게상 휴대하기 곤란하고 복약시기별로 약을 분류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류 시 실수로 약이 잘못 수납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복용자에게 복약시간을 알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명종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사회가 발전하여 점차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인은 물론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도 올바른 복약을 위해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높은 복약순응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복약지도 및 복약관리를 위한 약상자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용자가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하여 종합적인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용자가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용자의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키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도록 하는 복약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약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종류의 약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에 관한 제1정보 및 복수의 약보관함 중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에 관한 제2정보를 획득하고, 제1정보에 따른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복수의 출력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 정보 및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 복약시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출력장치, 약보관함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복약시기가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제1표시를 출력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표시를 출력하고,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제3표시를 출력하고,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제4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은, 복약시기를 획득하는 단계,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복약시기가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자가 복약관리에 따라 복약하도록 함으로써,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약확인을 통해 복용자가 약물을 오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소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가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복약관리를 통해 약 복용의 효과가 향상되므로, 복용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펑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마련된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장착되는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장착되는 약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복약관리시스템이란, 처방받은 약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복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복약관리는 효과적인 복약을 위한 복약지도 및 복약시기에 복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하도록 하는 복약지시 및 약을 오용 또는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지도를 하거나 복약확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러한 정보교환 및 유무선통신을 통해, 복용자와 복용자의 건강관리자(health manager)를 보다 가깝게 이어주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자란, 환자 또는 복용자의 건강에 관한 지도 및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자는 의사, 약사, 간호사 및 간병인 등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기(20) 및 약상자(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강관리서버(1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는 병원이나, 약국 및 건강관리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각종 단말 또는 그 외의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병원측 단말기(11),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12), 약국측 서버,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13), 건강관리센터측 서버, 복용자측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20), 약상자(100) 및 그 외의 건강관리관련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와 각 기기들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통해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복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 등을 통해 건강관리서버(10)로부터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인증된 외부기기로만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약국측 단말기(12)가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약사면허번호를 입력받아 허가된 약사면허번호인지 판단하여 유효한 약사면허인 경우에만 약국측 단말기(12)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는 환자나 복용자 개개인의 신상에 관한 것이므로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은 인증절차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복용자정보는 약을 복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는 복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체중, 혈압, 혈당, 병력 및 그 외의 복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나 복용자로부터 복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복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 접근하여 복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복용자정보를 참고하여 약을 처방하거나 진료를 할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복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처방된 개인에 관한 정보 및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정보는 피처방자정보, 처방자정보, 처방시간, 처방약품의 명칭, 처방약품의 분류, 조제방법, 복약방법 및 복약 시의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방법은 복약시기나 복약스케줄, 약품의 복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약 시의 주의사항은 복약 시 병용금기약품이나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러한 처방전정보를 처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처방전정보는 제공할 수 있다. 복용자나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의사측 단말기를 거쳐 처방자로부터 처방전정보를 얻어 저장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약사측 단말기를 통해 약사에게 저장된 처방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약사는 별도의 처방전, 예를 들어 종이 처방전 등이 없이도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함으로써 약 제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관리서버(10)를 통한 처방전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약사나 피처방자는 보다 편리하게 약을 제조하고 또 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의사 등의 처방자는 약 처방 시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피처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약의 경우 그 화학적 성분에 따라 병용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에게 복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처방자가 약 처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일정일 수 있다. 이러한 일정은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각 복약시기마다 복용하도록 정해진 복용약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일 단위나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일정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나 건강관리자로부터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근거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용자의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복약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자에게 복약시기에 약을 복용하도록 복약지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복약시기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약함으로써 복약순응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는 처방전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확인정보는 복용자가 복약했는지 여부 및 약의 복용이 복약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용자나 약상자(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의사나 약사 등의 건강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해 복용자의 복약여부 및 복약순응도 등을 알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복용자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관리에 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관리서버(10)나 약상자(100)와의 통신을 통해 복약스케줄이나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하여 복약지시를 하거나 또는 복용자나 약상자(10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건강관리서버(10)로 송출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서 복용자의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에 낙상감지센서가 있는 경우에는, 복용자가 낙상한 경우 이를 건강관리서버(10)나 복용자의 가족측 단말기(21), 응급구조대측 단말기(22) 및 건강관리자측 단말기(23)와 통신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끝으로, 약상자(10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를 하고,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복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확인한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확인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하우징(110), 약보관함(120), 뚜껑(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다른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은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뚜껑(125)은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0), 약보관함(120) 및 뚜껑(125)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상술한 대로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 또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가 휴대용인 경우에는, 하우징(110)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휴대가 간편하므로, 복용자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약상자(100)를 휴대함으로써, 외출하는 때에도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이 수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된 다른 구성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120)이 하우징(110)에 수납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된 약제가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빛이 투과되지 아니하는 재질 또는 온도나 습도가 전달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110)은 내부의 약재가 변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일측에 구멍이 있어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들은 하우징(110)에 장착 및 탈착 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이런 구성들이 탈·부착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하우징(110)과 연결되고, 탈착됨으로써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약보관함(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약보관함(120)에 관하여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마련된 약보관함(120)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약보관함(120)의 사시도이다.
약보관함(120)은 내부에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보관함(120)은 약이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빛을 차단하거나 온도나 습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아니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약보관함(120)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의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약보관함(120)은 복수일 수 있다. 즉,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에 일정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의 수가 많을수록 다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약보관함(120)의 수가 많으면 적은 경우에 비해 보관할 수 있는 분량이 많아지므로 자주 약을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보관할 수 있는 약의 분량이 늘어나므로 복용자가 약이 없어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하지 못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약보관함(120)의 수를 무한정으로 늘릴 수는 없다. 약상자(100)가 거취용 또는 휴대용일 수 있는데, 특히 휴대용인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성을 위하여 무게나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상자(100)의 약보관함(120) 내의 약보관함(120)의 수는 약상자(100)의 용도, 휴대성, 공간적인 제약, 무게의 제한, 투약편리성 및 복약관리에 용이성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1회 복용분량의 약제가 수용되거나 또는 각각의 약보관함(120)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우선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1회 복용분량의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n개인 경우에는, 약상자(100)는 n회 복용분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8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8회 복용분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는 이러한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약보관함(120)은 배치되는 순서대로 복약스케줄에 따른 약이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약보관함(12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예를 들어, 가로 7열 및 세로 3열로써, 총 21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일 3회씩 복약하는 경우에는, 세로열은 각각 요일, 가로열은 각각 아침, 점심, 저녁으로써, 복약스케줄에 따라 1주일 복용분량의 약이 보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서로 다른 한 종류의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이 n개인 경우에는, 약상자(100)는 n 종류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약보관함(120)마다 한 종류의 약이 수용됨으로써, 총 3종류의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장착됨으로써 그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 내부의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되는 때에는, 하우징(110) 내에 복수의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공간은 격벽으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약상자(100)가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약보관함(120) 하나하나마다 별도로 장·탈착되거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약상자(100)가 연결되어 장·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보관함(120)은 각각 별개로 장·탈착될 수 있다. 이로써, 1회 복용분량의 약을 별도로 소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약보관함(120)이 연결되어 하나로써 장·탈착될 수 있다.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열이 하루치 복용분량을 의미하는 경우라면 1일 복용분량의 약을 별도로 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약보관함(120)은 복용자가 약상자(100)와 분리하여 별도로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약상자(100) 자체를 휴대할 수 없는 거취용 약상자(100)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복용자아게 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뚜껑(125)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뚜껑(125)에 대하여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25)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1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데 따른 약보관함(120)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보관함(120)의 내부는 뚜껑(125)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거나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25)이 닫히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약이 보관될 수 있고, 뚜껑(125)이 열리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용자는 약보관함(120)이 개방되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25)은 다양한 방식으로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5)은 슬라이드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25)은 제어부(150)에 의해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기에 열리고 복약시기가 아닌 때에는 잠금상태가 되어 열리지 아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125)에 의해 약보관함(120)이 개방되면 복용자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은 약상자(100)에 마련된 별도의 배출장치(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배출장치(미도시) 없이 약상자(100)가 외부의 힘 등에 의해 기울어짐에 따라 약이 약보관함(1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가 기울어짐에 따라 약보관함(120)이 중력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이에 따라 약이 중력에 따라 약상자(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일면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약보관함(120)이 마련된 약상자(100)는 경사가 없는 약보관함(120)에 비해 보다 약이 배출되기 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울기가 없는 약보관함(120)의 경우에는 도립상태나 수직상태 등에서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면이 경사진 약보관함(120)의 경우에는 이보다 적은 각도 예를 들어, 20~30도의 기울기에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면이 경사진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약이 배출되기 유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60),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170),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75),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5), 약상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0) 및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부(160), 저장부(155), 입력부(170), 출력부(175), 전원부(190) 및 제어부(15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다.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RS-232 또는 USB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10) 등일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기기로부터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통신부(160)는 외부기기로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약상자(100)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 및 그 외의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마우스, 광마우스, 약상자(100)의 동작을 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170)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 복약확인정보, 외출시간, 알람시간 등일 수 있다.
출력부(175)는 외부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75)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5)는 복용자에게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55)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55)는 통신부(160), 입력부(170) 또는 제어부(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5)는, 통신부(160), 출력장치(130)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5)는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쉬메모리, RAM, ROM, 하드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5)는 약상자(100)에 내장된 형태 또는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약상자(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90)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약상자(100)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예를 들어, 건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건전지일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0)는 무선방식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0)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약상자(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90)는 태양전지(solar cell)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약상자(100)가 복약관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약관리는 예를 들어, 복약지시, 오남용방지 또는 복약확인일 수 있다. 제어부(150)의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130), 복수의 약보관함(120)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40), 응급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응급상황감지부(145) 및 약상자(100)로부터 약보관함(120)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동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출력장치(130), 센서(140), 응급상황감지부(145), 구동부(18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출력장치(130)에 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130)의 평면도이다.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는 복수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복수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n개의 출력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130)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이로써, 출력장치(130)는 약상자(100)의 사용자 또는 복용자에게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장치(130)는 각각 약보관함(12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에는 약보관함(120)마다 그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의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약보관함(120)에 대한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출력장치(130)는 각각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문자로 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로 된 메시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복용자에게 일단의 동작을 지시하는 문장이거나 또는 복용해야 되는 약의 복용량이나 알약의 복용개수를 지시하는 숫자일 수 있다. 또는 출력장치(130)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도록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색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청색으로,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녹색으로,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색상에 따라 복약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130)는 복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복약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140)에 관하여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0)의 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보관함(120)에 약수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0)의 단면도이다.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복수의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140)는 각각 복수의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약보관함(120) 내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뚜껑(125)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란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 또는 개방되었는지 아니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뚜껑(125) 등에 의해 외부와 단절 또는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140), 가시광센서, 자외선센서(140)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는 수광부 및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고,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수광부는 빛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 내부에 수광부를 마련하여, 수광부가 약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수광하고, 개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빛을 수용하지 아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40)는 수광부의 빛 수용여부에 따라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된 경우에는 빛이 들어오지 아니하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없을 수 있다. 한편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광부는 외부로부터 빛을 수용하여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그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0) 마련되되, 발광부는 조사된 빛이 약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반사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개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조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광부는 반사되는 빛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에서의 빛의 수용여부에 따라 약보관함(120)의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는 무게센서(140)나 광센서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약보관함(120)에 약이 있는 경우 그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약보관함(120)의 약수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40)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된 광센서로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140)는 뚜껑(125)의 동작을 검출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25)이 열리는 때에 연결되고 뚜껑(125)이 닫히는 때 차단되는 스위치로써, 약보관함(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응급상황감지부(14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상황이란 복용자 또는 약상자(100)의 사용자의 건강이 위험해지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외부기기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직접 센싱을 통해 응급상황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사용자의 신체나 건강에 관한 신호를 받거나 또는 스스로 사용자의 신체나 건강에 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나 건강에 관한 신호는 혈당, 혈압, 체온 또는 맥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는 장기간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급작스러운 움직임, 예를 들어 낙상 등을 감지함에 따라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응급상황감지부(145)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의 모션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부(180)에 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80)의 단면도이다.
구동부(180)는 약상자(100)로부터 약보관함(120)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에 장착되어 수납되거나 또는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8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에 장착된 약보관함(120)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1,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약상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복약관리는, 약상자(100)가 복용자에게 복약을 지시하는 복약지시, 복용자가 약의 오·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 및 복약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복약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2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각각 약이 수용되는 단계(S101),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2),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하는 단계(S103),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4),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5),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6),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7),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동안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108)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약상자(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에 각각 약이 수용될 수 있다(S101). 이때,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약보관함(120)이 마련된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제1약보관함(120a)에는 제1약이, 제2약보관함(120b)에는 제2약이, 제3보관함(120c)에는 제3약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약은 수면제, 제2약은 소화제, 제3약은 영양제일 수 있다.
약상자(100)는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2). 이러한 정보는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일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은 처방된 약의 화학적 성분 및 복용자의 특성에 따라 복용하는 시점이 정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시점 또는 이러한 시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시간간격이 복약시기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등의 외부기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복약스케줄을 획득하여 이로부터 복약시기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처방전정보 및 복용자정보 등에 기초하여 복약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복용약에 관한 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복용약에 관한 복용약정보는,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 및 이러한 약이 어느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것인지에 관한 정보 또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복용약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등의 외부기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처방전정보, 복용자정보 및 복약스케줄 등에 따라 복용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할 수 있다(S103). 이때, 복약시기는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 시점이다. 이러한 복약시기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후 30분 등일 수 있다. 또는 복약시기는 응급상황 등이 발생하여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상황감지부(145)가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시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상황은 약상자(100)가 복용자의 낙상을 감지하거나 급격한 혈압증가를 감지한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어부(150)는 상기의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약보관함(120)은 해당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되어있는 약보관함(120)일 수 있다. 제어부(150)가 이러한 선택을 하는 것은, 복약시기에 따라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의 경우, 제1약보관함(120a)는 혈당약이, 제2약보관함(120b)에는 혈압약, 제3약보관함(120c)에는 심장병약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혈당치의 이상에 따라 응급상황이 발생한 때에는 제어부(150)는 상기 복용약정보에 따라 응급상황에 따른 복약시기에 혈당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것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제1약보관함(120a)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심장에 이상이 생긴 응급상황이 발생한 때에는 제2약보관함(120b) 및 제3약보관함(120c)을 선택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120)에 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4).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응되는 출력장치(130)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장치(130)는, 복용자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확인하고 이러한 표시를 출력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복약시기 또는 복약스케줄 등에 따른 약의 복용이 수행되어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출력장치(130)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는 처방된 약을 복용하도록 정해진 복약시점 또는 그 시점을 포함한 시간간격일 수 있다. 여기서, 복약시기가 시간간격인 때에는 출력장치(130)는 정확한 복약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이전인 시점에 복약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출력장치(130)의 설명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약을 지시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색상을 출력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은 청색 또는 녹색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색상은 복약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복약시기의 시작시점에는 파란색으로, 정확한 복약시점에는 보라색으로, 복약시기의 종료시점에는 붉은색으로 바꾸어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력장치(130)는 해당 약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의 복용량을 표시함으로써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약상자(100)에서, 제1약보관함(120a)에 수용된 약은 1개, 제2약보관함(120b)에 수용된 약은 2개 복용하도록 지시하는 때에는, 제1출력장치(130a)는 숫자 1을 반영하는 표식을, 제2출력장치(130b)는 숫자 2를 반영하는 표식을 출력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약보관함(120)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05). 복수의 센서(140)는 각각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의 개방여부, 약수용여부, 뚜껑(125)의 개폐여부 또는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이 개방되거나 또는 그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그 약보관함(120)에 대응하는 뚜껑(125)이 열린 때에는 해당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센서(140)부는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배출여부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감지한 결과에 따라 그 결과를 반영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1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6).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복약을 지시한 표시가 출력된 출력장치(130)에 대응하는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복용자가 복약시기에 복약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했다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일 수 있다.
반대로 센서(14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선택된 약보관함(120)에서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에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108). 미복용상태란 복약시기에 따라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하지 아니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용자가 복약시기에 복약하도록 정해진 약을 복용하지 아니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130)는 복용상태 및 미복용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용상태 및 미복용상태의 표시는 상술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표시는 복용/미복용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정해진 색상에 의한 표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용상태는 녹색이나 청색, 미복용상태는 적색이나 흑색 등의 색상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복용상태의 경우에는 복용한 시간대를 문자로 출력하거나 미복용상태의 경우에는 복용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출력장치(130)가 복약시점이 경과한 시점에 미복용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약시점이 경과한 뒤 일정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고(S107), 그 경과여부에 따라 미복용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약시기는 복약시점을 포함한 시간간격일 수 있는데, 이때, 출력장치(130)는 이러한 시간간격이 경과하는 동안에 약의 배출이 감지되지 아니한 때에 미복용상태임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복용상태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자신의 복약여부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용자는 이러한 복약여부에 근거하여 자신의 복약순응도를 판단하고 나아가 더욱 효과적으로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2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되는 단계(S201),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2), 시간범위를 획득하는 단계(S203), 복약시기가 획득한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4), 상기 표시가 출력된 약보관함(120)이 약상자(100)에서 분리되는 단계(S205),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6),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207),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8),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209)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약상자(100)의 약보관함(120)에 약이 수용될 수 있다(S201). 여기서 약상자(100)는 복수의 약보관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약보관함(120)에는 각각 1회 복용분량의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보관함(120)의 설명에서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열은 하루 중의 복약시기에 따라, 세로열은 요일에 따라 배치되는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총 21회 분량의 약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각의 약보관함(120)에는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약보관함(120)에는 수면제 2정과 소화제 1정, 다른 약보관함(120)에는 수면제 1정과 소화제 1정이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약상자(100)는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2). 이러한 정보는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처방된 약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복약스케줄일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약시기 및 복용약에 관한 정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시간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S203). 약상자(100)는 통신부(16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 등의 외부기기 또는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간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점 및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는 사용자가 약상자(100)로부터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시간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간범위는 복용자가 외출 또는 여행하는 시간범위일 수 있다.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획득한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4). 제어부(150)는 획득한 복약시기 및 시간범위에 기초하여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는 9시부터 9시 15분의 제1시기, 12시부터 12시 30분의 제2시기 및 5시 30분부터 6시인 제3시기이고, 외출시간이 11시부터 7시인 때, 제2시기 및 제3시기의 복약시기는 외출하는 시간범위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1약보관함(120a), 제2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2약보관함(120b), 제3시기에 복용할 약은 제3약보관함(120c)에 수용된 때, 제2약보관함(120b)과 제3약보관함(120c)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는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하는지 그리고 어느 약보관함(120)이 그 복약시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간범위에 속하는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S205). 이러한 약보관함(120)은 약상자(100)의 사용자 또는 구동부(180)에 의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약보관함(120)은 하나하나가 별도로 분리되거나 또는 일정한 개수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복약시기의 약보관함(120)이 하나하나 분리되거나 또는 하루에 3회 복용하는 경우 1일치의 약보관함(120), 즉 3개의 약보관함(120)이 서로 연결되어 함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보관함(120)이 약상자(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제어부(150)가 복약시기가 외출시간에 속하는 것을 판단하고 그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이 탈착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약상자(100)는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6).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복약시기가 도래하면,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보관함(120)을 선택하고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응하는 출력장치(130)를 제어하여 해당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선택된 약보관함(120)에 대하여 약배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07). 구체적으로 선택된 약보관함(120) 각각에 대응하는 센서(140)가 약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감지한 결과에 따라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S208), 배출되지 아니한 때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S209). 여기서 제어부(150)는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채 복약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뒤 미복용상태를 출력하도록 출력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배출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라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장치(130)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 상기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 및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표시는 각각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미리 정해진 색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청색,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는 황색, 복용상태는 녹색, 미복용상태는 적색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상에 의해 각각의 표시가 출력되는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직관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 그 효과가 더 클 수 있다. 이로써,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나 시간범위에 복약시기가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표시에 따라 복용자는 복약시기에 올바른 복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용/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에 따라 복용자는 자기의 복약순응도를 확인하여 이에 기초하여 향후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건강관리서버 11: 병원측 단말기
12: 약국측 단말기 13: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
20: 이동통신단말기 21: 가족측 단말기
22: 응급구조대측 단말기 23: 건강관리자측 단말기
100: 약상자 110: 하우징
120: 약보관함
120a: 제1약보관함 120b: 제2약보관함 120c: 제3약보관함
125: 뚜껑
125a: 제1뚜껑 125b: 제2뚜껑 125c: 제3뚜껑
130: 출력장치
130a: 제1출력장치 130b: 제2출력장치 130c: 제3출력장치
140: 센서 145: 응급상황감지부 150: 제어부
155: 저장부 160: 통신부 170: 입력부
175: 출력부 180: 구동부 190: 전원부

Claims (28)

  1. 복수의 약보관함;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및
    복약시기 및 상기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복용약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은,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종류의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인
    약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 및 상기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인
    약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시기는,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점 또는 상기 복약시점을 포함하는 시간간격인
    약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시기는, 응급상황이 발생한 시점 또는 상기 응급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간격인
    약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응급상황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급상황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응급상황의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복약시기의 도래여부를 판단하는
    약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약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광센서인
    약상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복수의 뚜껑에 따른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개폐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약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인
    약상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개방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 중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 중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인
    약상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개방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개방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개방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약상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광센서 및 무게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약상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약보관함에 대응하는 출력장치가 복용여부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18. 각각 서로 다른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약보관함;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출력장치;
    복약시기에 관한 제1정보 및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이 수용된 약보관함에 관한 제2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정보에 따른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제2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출력장치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19. 복수의 약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있어서,
    복약시기 정보 및 상기 복약시기에 따른 복용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복용약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 중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에 대하여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각각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 중 약이 배출된 약보관함에 대하여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고,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약보관함에 대하여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보관함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이 수용되고,
    상기 복용약 정보는, 상기 복약시기에 복용하도록 정해진 약의 종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약보관함에 각각에 수용된 약의 종류에 따른 복용량을 지시하는 표시인
    복약관리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인
    복약관리방법.
  22.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
    복약시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입력부;
    출력장치;
    상기 약보관함의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제1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제2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제3표시를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제4표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범위는, 외출시간이고,
    상기 제1표시는,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외출시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2표시는,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3표시는,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이고,
    상기 제4표시는,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인
    약상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는, 제1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2표시는, 제2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3표시는, 제3미리 정해진 색상이고,
    상기 제4표시는, 제4미리 정해진 색상인
    약상자.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약보관함은, 상기 약상자로부터 장착 및 탈착되는
    약상자.
  26.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있어서,
    복약시기를 획득하는 단계;
    제1시점 및 제2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제1시점 및 상기 제2시점에 따른 시간범위에 속하는 때,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복약을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약배출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때, 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때, 미복용상태를 지시하는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범위는, 외출시간인
    복약관리방법.
  28. 상기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는, 약이 수용되는 약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복약시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속함을 지시하는 표시가 출력된 때, 상기 약보관함이 상기 약상자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방법.
KR20100067939A 2010-07-14 2010-07-14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16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PCT/KR2010/005360 WO2012008647A1 (ko) 2010-07-14 2010-08-13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7A true KR20120007267A (ko) 2012-01-20
KR101164792B1 KR101164792B1 (ko) 2012-07-11

Family

ID=4546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7939A KR101164792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792B1 (ko)
WO (1) WO2012008647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800A1 (de) 2012-07-04 2014-01-09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isiertes Handschaltgetriebe eines Fahrzeuges
KR20170139928A (ko) * 2016-06-10 2017-12-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복합 기능성 혈압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압 관리 시스템
KR101909869B1 (ko) * 2018-04-27 2018-10-18 최정윤 국소지방 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스마트 조성 시스템
KR102083347B1 (ko) * 2018-11-14 2020-03-02 서수찬 복약시간 자동 알림 장치
KR20200002690U (ko) * 2019-06-03 2020-12-11 박재희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달력
KR20210126832A (ko) * 2020-04-10 2021-10-21 주식회사 이엠비 의약품 관리시스템
KR102384614B1 (ko) * 2020-11-30 2022-04-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한된 통신 환경에서 브로커 서버를 이용한 스마트 약상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069B1 (ko) * 2021-11-11 2022-05-0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잠금수단이 구비된 약 보관박스
KR20220064453A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휴로 혈당 체크 기능을 가진 약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40242A (ko) *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91B1 (ko) * 2013-10-14 2021-02-09 (주)제이브이엠 약제 분배포장 장치
JP6051244B2 (ja) * 2015-02-10 2016-12-27 株式会社オー・イー・エム技研 自立支援型自動服薬機
KR101784974B1 (ko) 2015-09-04 2017-10-12 (주)매직에코 스마트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복용관리 시스템
CN105711981A (zh) * 2016-03-15 2016-06-29 王丽 具有远程控制功能的智能药箱
IT201600079665A1 (it) * 2016-07-28 2018-01-28 Corrado Saugo Sistema per l’erogazione assistita di farmaci e medicinali in genere
KR101952495B1 (ko) * 2017-02-17 2019-02-2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스마트 약상자
CN108670824A (zh) * 2018-06-11 2018-10-19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老年人药盒
KR101953750B1 (ko) 2018-08-14 2019-03-04 이선준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CN109018725A (zh) * 2018-09-25 2018-12-18 南京英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药箱
KR102009039B1 (ko) * 2018-10-12 2019-08-09 박기준 복약 보조 장치
FR3088192B1 (fr) * 2018-11-12 2023-06-09 Bernard Voute Dispositif de gestion de prise de specialites
KR102263509B1 (ko) 2018-11-28 2021-06-10 안소현 약보관부를 이용한 투약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약 정보 제공 방법
CN110787056A (zh) * 2019-01-07 2020-02-14 吉林农业大学 一种基于NB-IoT信息传输的多功能智能药盒
CN110368308A (zh) * 2019-06-26 2019-10-25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用药提醒的方法及平台
CN111202679A (zh) * 2020-03-13 2020-05-29 苏州橡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智能led灯指示药盒***及其使用方法
CN111756854A (zh) * 2020-06-30 2020-10-09 张美月 一种服药智能监控方法及***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2-04-25 정성욱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84A (ja) * 2002-02-06 2003-08-12 Self Security:Kk 服薬管理支援装置
JP2007325125A (ja) * 2006-06-02 2007-12-13 Adaputogen Seiyaku Kk 通報システム及び薬箱
KR200426335Y1 (ko) * 2006-06-30 2006-09-19 정원이 디지털투약용 카렌더
KR200440603Y1 (ko) * 2006-12-13 2008-06-23 황도균 약 보관함
JP2008156982A (ja) * 2006-12-26 2008-07-10 Self Security:Kk 利用確認支援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800A1 (de) 2012-07-04 2014-01-09 Hyundai Motor Company Automatisiertes Handschaltgetriebe eines Fahrzeuges
KR20170139928A (ko) * 2016-06-10 2017-12-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복합 기능성 혈압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압 관리 시스템
KR101909869B1 (ko) * 2018-04-27 2018-10-18 최정윤 국소지방 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스마트 조성 시스템
KR102083347B1 (ko) * 2018-11-14 2020-03-02 서수찬 복약시간 자동 알림 장치
KR20200002690U (ko) * 2019-06-03 2020-12-11 박재희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달력
KR20210126832A (ko) * 2020-04-10 2021-10-21 주식회사 이엠비 의약품 관리시스템
KR20220064453A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휴로 혈당 체크 기능을 가진 약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KR102384614B1 (ko) * 2020-11-30 2022-04-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한된 통신 환경에서 브로커 서버를 이용한 스마트 약상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069B1 (ko) * 2021-11-11 2022-05-03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잠금수단이 구비된 약 보관박스
KR20230140242A (ko) *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792B1 (ko) 2012-07-11
WO2012008647A1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792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233799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KR101164793B1 (ko) 약상자
JP3214893U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US10494165B2 (en) Medic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KR102569136B1 (ko) 처방 준수 모니터링을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과 소모품 디스펜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CA2921239C (en) Electronic pill box and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orporating same
CN101512514B (zh) 药物分配器
EP2289480A2 (en) Locking element for dispenser
KR101953750B1 (ko)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CA2921228A1 (en) Method of using a medication reminder and compliance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pill box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WO2012013723A1 (en) Pharmaceutical product dispenser
KR101164013B1 (ko) 약품 보관함
TWI536984B (zh) Intelligent kit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edication and its operation
US20190133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
WO2016138047A1 (en) Pill management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EP2502852A1 (en) Dispensing device
KR20130000090A (ko) 투약 관리 장치
Sather Evolution of smart pillbox: History and reasons for a need to design a smart pillbox
WO2023119141A1 (en) An intelligent digital medicine storage and reminder device
WO2023239795A1 (en) Medication environmental interactive device (e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