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309A -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 Google Patents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309A
KR20120006309A KR1020100066969A KR20100066969A KR20120006309A KR 20120006309 A KR20120006309 A KR 20120006309A KR 1020100066969 A KR1020100066969 A KR 1020100066969A KR 20100066969 A KR20100066969 A KR 20100066969A KR 20120006309 A KR20120006309 A KR 2012000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verter
busbar
bracket
output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동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309A/en
Publication of KR2012000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for vehicles is provided to maintain insulation between output bus-bars and to increase stiffness because a bus-bar and a bus-bracket are manufactured by insert molded even if the gap between output bus-bars is narrow. CONSTITUTION: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100) for vehicles comprises an output bus-bar assembly(110), a plurality of current sensors(120), and a sensor fixing bracket(130). The output bus-bar asssembly comprises a plurality of output bus-bars and bus-bar brackets. A plurality of the output bus-bars deliver output power outputted from an inverter to a driving coil of a driving motor. The bus-bar bracket is insert-molded with the output bus-bars for insulation between the output bus-bars. A plurality of the current sensors are fixed in one side of each output bus-bar. A plurality of the current sensors detect the current of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The current sensor delivers the detected current to the inverter. The sensor fixing bracket fixes the output bus-bar assembly and the current sensor.

Description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for vehicle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버스바 및 전류센서를 일체형으로 모듈로 설계하여 버스바 및 전류 센서를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어, 사공간에 의한 공간 소비를 제거하여 소형화 및 콤팩트화할 수 있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busbar and the current sensor are integrally designed as a module to manufacture a fixed fixture for separately fixing the busbar and the current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which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miniaturized and compacted by eliminating space consumption due to dead space.

일반적으로 차량용 인버터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로 공급한다. In general, a vehicle inverter converts DC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into AC power and supplies the same to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이때,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구동 모터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출력단(10)에 연결부가 구비 되어야 하는데,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도 있으나, 차량용 인버터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버스바(11)를 사용한다.In this case, in order to supply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inverter to the drive motor, a connection part should be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10, but it may be connected by a cable, but the vehicle inverter uses a structurally stable bus bar 11.

그리고 인버터에서 각 구동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출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각 인버터의 출력단(10)에는 전류 센싱을 위한 별도의 전류 센서(1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of the power applied from the inverter to each driving motor is normal, the output terminal 10 of each invert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urrent sensor 12 for current sensing.

또한 인버터에 출력단에는 버스바 및 전류 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및 지지 구조(13)를 별도로 구비해야한다. 이와 같은 전류 센서(12) 및 버스 바(11) 및 지지 구조(13)는 도 1과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ion and support structure 13 for supporting the busbar and the current sensor. The current sensor 12, the bus bar 11, and the support structure 13 are horizont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1.

즉, 이와 같이 인버터의 출력단(10)에는 구동 모터의 U, V, W상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12)를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해야 하며, 이러한 전류 센서(12)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및 구조물이 필요할 수 있으며, 또한 출력 버스단의 단자대(13)와 같은 구조물은 버스바(11)를 지지하기 위한 공간 역시 필요하다.That is,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inverter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pace to install the current sensor 12 for measuring the output current of the U, V, W phase of the drive motor, such a current sensor 12 A separate support and structure may be needed to support it, and structures such as the terminal block 13 of the output bus stage also need space for supporting the bus bar 11.

즉, 이러한 출력단(10)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전류 센서(12) 및 버스바(11) 및 이의 지지 구조물로 인해서, 별도의 다른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사공간으로 만들게 되어, 배치 효율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That is, the output terminal 10 is due to the current sensor 12 and the bus bar 11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king a space in which the other separate components can be placed into a dead space, the placement efficiency Problems that cause the fall.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 및 전류센서를 일체형으로 모듈로 설계하여 버스바 및 전류 센서를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어, 사공간에 의한 공간 소비를 제거하여 소형화 및 콤팩트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 bus bar and a current sensor as a module integrally to manufacture a fixed fixture for fixing the bus bar and the current sensor as an integral and vertical and It is to provide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that can be comb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can be miniaturized and compact by eliminating the space consumption caused by dead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 간극이 좁은 버스바와 버스바 브라켓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버스바 각각의 절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busbar and busbar bracket having a narrow insulating gap through the injection molding, the inverter output bus of the vehicle that can maintain the insulation of each busbar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performance against vibration and shock To provide a bar modu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은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원을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로 전달하는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과,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 사이의 절연을 위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과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된 버스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출력 버스바 어세이와,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의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인버터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 및 상기 출력 버스바 어세이와 상기 전류 센서를 고정하는 센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busbars for transmitting output power output from an inverter to each driving coil of a drive motor,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An output busbar assay comprising an output busbar bracket and an insert-inserted and fixed busbar bracket for insulation,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to sense current of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The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rrent sensors for transmitting to the inverter, and a sensor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output busbar assay and the current sensor.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은 중앙부가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일면에 인서트 사출로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측이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타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일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may have a central portion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insert injection to one surface of the busbar bracket, and one side may protrud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usbar bracket, and the other side may protrude to one surface of the busbar bracket. .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전류 센서가 고정된 버스바의 일측의 하부에, 상기 버스바 브라켓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sensor fixing bracket may be fixed at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bus bar to which the current sensor is fix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us bar bracket.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은 상기 버스바 브라켓에 장착된 후에, 보스부에 보스 인서트를 삽입하여 인버터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nsor fixing bracket may be fixed to the inverter by inserting a boss insert into the boss part after the sensor fixing bracket is mounted on the bus bar bracke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은 버스바 및 전류센서를 일체형으로 모듈로 설계하여 버스바 및 전류 센서를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어, 사공간에 의한 공간 소비를 제거하여 소형화 및 콤팩트화시킬 수 있게 된다.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the busbar and the current sensor as an integral module to manufacture a fixed fixture for fixing the busbar and the current sensor separately and are combin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It can be miniaturized and compacted by eliminating space consumption by dead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은 절연 간극이 좁은 버스바와 버스바 브라켓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버스바 각각의 절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inserting the busbar and busbar bracket having a narrow insulation gap by insert injection, thereby maintaining the insulation of each busbar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against vibration and shock. do.

도 1은 일반적인 인버터의 출력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의 출력 버스바 어세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2a의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도시한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terminal of a general inverter.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perspective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utput busbar assay of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the vehicle of FIG. 2A.
4 shows a top view of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the vehicle of FIG. 2A.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ere, parts having simila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의 출력 버스바 어세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2A and 2B,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3A and 3B,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put busbar assay of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is shown.

우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100)은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교류 출력 전원을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로 전달하는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의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120) 및 버스바 어세이(110)와 전류센서(120)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 브라켓(130)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100 of the vehicle outputs an output bus bar assay 110 for transmitting AC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and each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t includes a current sensor 120 for sensing the current of the coil, and a sensor fixing bracket 130 for fixing the bus bar assay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우선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는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원을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로 전달하는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들과,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들 사이의 절연을 위해서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들과 고정된 버스바 브라켓(112)을 포함한다.First, the output busbar assay 110 may provide ins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and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that deliver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In order to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and the fixed busbar bracket 112.

그리고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들은 중앙부(111a)가 버스바 브라켓(112)의 일면(112a)에 인서트 사출로 수평방향(a)으로 고정되어, 일측(111b)이 버스바 브라켓(112)의 일면(112a)의 반대면인 타면(112b)으로 돌출되고, 타측(111c)이 버스바 브라켓(112)의 일면(112a)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때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는 일측(111b)이 버스바 브라켓(112)의 일면(112a)과 타면(112b)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112c)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중앙부(111a)가 브스바 브라켓(112)의 일면(112a)에 인서트 사출로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have a central portion 111a fixed to one side 112a of the busbar bracket 1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y insert injection, and one side 111b of the busbar bracket 112.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112b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one surface 112a of the other side 111c protrudes to one surface 112a of the bus bar bracket 112.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output bus bars 111 are mount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hole 112c formed at one side 111b of the bus bar bracket 112 to penetrate one surface 112a and the other surface 112b. ) Is fixed to the one side 112a of the busbar bracket 112 by insert injection.

이와 같은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와 버스바 브라켓(112)은 인서트 사출로 결합하여, 각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의 절연성을 높임과 동시에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100)을 소형화하기 위해서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111) 사이의 간극이 좁아도,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현할 경우에는 각 출력 버스바들(111) 사이의 절연을 유지하고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and busbar brackets 112 may be combined by insert inj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insulation and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100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is narrow, when implemented through insert injection, the insu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 busbars 111 is maintained. It can increase the stiffness.

즉, 이와 같은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의 지지대인 버스바 브라켓(112)이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와 인서트 사출을 통해 결합되어, 출력 버스바(111)의 지지대 설치로 인한 공간 사용을 제거할 수 있다. That is, the bus bar bracket 112, which is a support of the plurality of output bus bars 111,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bus bars 111 through insert injection, resulting in a space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of the output bus bars 111. You can eliminate the use.

이러한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들은 두 개의 구동 모터의 3 상의 코일(U, V, W)로 인버터 출력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서, 6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111)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are illustrated as six in order to transfer inverter output power to three-phase coils U, V, and W of two driving motors,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1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그리고 전류 센서(120)는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110)의 일측(111b)에 고정되어,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의 전류를 센싱하여, 인버터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류 센서(120)는 각 출력 버스바들(110)의 전류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홀(12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류 센서(120)의 센싱홀(121)이 출력 버스바들(110)의 일측(111b)에 의해서 관통되어,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에 전류 센서(120)가 고정된다. 즉, 전류 센서(120)는 센싱홀(121)을 통해 수평 방향(a)으로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의 출력 버스바들(110)의 일측(111b)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current sensor 120 is fixed to one side 111b of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110, senses a current of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and transmits the current to the inverter. The current sensor 120 includes a sensing hole 121 for sensing the current of each output bus bar 110. In addition, the sensing hole 121 of the current sensor 120 is penetrated by the one side 111b of the output busbars 110 to fix the current sensor 120 to the output busbar assay 110. That is, the current sensor 120 is fixed to one side 111b of the output busbars 110 of the output busbar assay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through the sensing hole 121.

이러한 전류 센서(120)는 두 개의 구동 모터의 3 상의 코일(U, V, W)의 각 상의 전류를 센싱하기 위해서 각 출력 버스바들(110)에 모두 장착되거나, 2상의 코일의 전류를 통해 나머지 상의 전류를 산출하기 위해서 두 개의 구동 모터의 3상 코일 중에서 2상의 코일의 전류를 센싱하기 위해서 각 출력 버스바들(110)에 장착된다. 즉, 전류 센서(120)는 전류 센싱 및 산출을 위해서, 6개의 각 출력 버스바들(110)에 모두 장착되거나, 구동 모터의 2상의 코일과 연결되는 4개의 출력 버스바들(110)에 장착되어, 전류 센서(120)가 장착되지 않은 하나의 코일의 전류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전류 센서(12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urrent sensor 120 is mounted on each of the output busbars 110 to sense the current of each phase of the three-phase coils U, V, and W of the two driving motors, or the rest of the current through the current of the two-phase coils. The output busbars 110 are mounted to sense currents of two-phase coils among three-phase coils of two driving motors to calculate phase currents. That is, the current sensor 120 is mounted on all six output bus bars 110 for current sensing and calculation, or mounted on four output bus bars 110 connected to two-phase coils of a driving motor. Since the current of one coil that is not mounted with the current sensor 120 may be calcul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the current sensors 120.

그리고 이러한 전류 센서(120)는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에 수직 방향(b)으로 고정 및 장착된 센서 고정 브라켓(130)의 센서 고정부(131)에 안착된다. The current sensor 120 is mounted on the sensor fixing part 131 of the sensor fixing bracket 130 fixed and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 to the output busbar assay 110.

즉, 센서 고정 브라켓(130)은 수평 방향(a)으로 결합된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와 전류 센서(120)에,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와 전류 센서(120)의 결합방향과 수직이 되는 수직 방향(b)으로 결합되어,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와 전류 센서(120)를 고정시킨다. That is, the sensor fixing bracket 130 is coupled to the output bus bar assay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and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output bus bar assay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It is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b)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and fixes the output busbar assay 110 and the current sensor 120.

그리고 도 4에는 센서 고정 브라켓(13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 고정 브라켓(130)에는 보스부(132)가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스부(132)는 출력 버스바 어세이(110), 전류 센서(120) 및 센서 고정 브라켓(130)이 결합된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100)을 인버터에 장착할 때, 보스부(132)에 보스 인서트를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볼트 조립시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면서 장착할 수 있다. 4 shows a top view of the sensor fixing bracket 130. A plurality of bosses 132 are formed in the sensor fixing bracket 130. And the boss 132 is a boss when mounting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100, the output busbar assay 110, the current sensor 120 and the sensor fixing bracket 130 to the inverter, the boss ( By inserting the boss insert into 132, it can be mounted while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during bolt assembly.

이러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100)은 인버터 내부에 별도로 각각 장착되는 버스바 및 전류센서를 일체형으로 모듈로 설계하여, 버스바 및 전류 센서를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물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어, 사공간에 의한 공간 소비를 제거하여 소형화 및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100)은 절연 간극이 좁은 버스바와 버스바 브라켓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버스바 각각의 절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100 of such a vehicle is designed as an integral module of the bus bar and the current sensor mounted separately inside the inverter, to manufacture a fixed fixture for fixing the bus bar and the current sensor as an integral and vertical And it is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nd compact by eliminating space consumption by dead space. In addition, the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100 of the vehicle may be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of a busbar and a busbar bracket having a narrow insulation gap, thereby maintaining the insulation of each busbar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against vibration and shock.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n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110; 출력 버스바 어세이 111; 복수의 출력 버스바
112; 버스바 브라켓 120; 전류센서
130; 센서 고정 브라켓
100;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in vehicle
110; Output busbar assay 111; Multiple output busbars
112; Busbar bracket 120; Current sensor
130; Sensor fixing bracket

Claims (4)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원을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로 전달하는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과,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 사이의 절연을 위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과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된 버스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출력 버스바 어세이;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각 구동 코일의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인버터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 및
상기 출력 버스바 어세이와 상기 전류 센서를 고정하는 센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A plurality of output busbars for transmitting the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inverter to each drive coil of the drive motor, and a busbar bracket that is inserted and injected into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for ins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An output busbar assay;
A plurality of current sensors which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output bus bars, sense current of each driving coil of the driving motor, and transmit the current to the inverter; And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of the vehicle comprising a sensor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output busbar assay and the current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버스바들은 중앙부가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일면에 인서트 사출로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측이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타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버스바 브라켓의 일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output busbars are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insert injection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busbar bracket, one side protrude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usbar bracket, the other side protrudes to one surface of the busbar bracket Inverter output busbar module for veh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전류 센서가 고정된 버스바의 일측의 하부에, 상기 버스바 브라켓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fixing bracket is an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bus bar bracke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bus bar to which the current sensor is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은 상기 버스바 브라켓에 장착된 후에, 보스부에 보스 인서트를 삽입하여 인버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버터 출력 버스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nsor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inverter by inserting a boss insert into the boss part after the sensor fixing bracket is mounted on the bus bar bracket.
KR1020100066969A 2010-07-12 2010-07-12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KR201200063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69A KR20120006309A (en) 2010-07-12 2010-07-12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69A KR20120006309A (en) 2010-07-12 2010-07-12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09A true KR20120006309A (en) 2012-01-18

Family

ID=4561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969A KR20120006309A (en) 2010-07-12 2010-07-12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30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8009A1 (en) * 2013-07-02 2015-01-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Sensor Mounting Adaptor
WO2016131764A1 (en) * 2015-02-18 2016-08-25 Audi Ag Electrical bus bar comprising a sensor unit
KR20170140334A (en) * 2015-05-26 2017-12-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Mechanically integrated rotating electric machine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8009A1 (en) * 2013-07-02 2015-01-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Sensor Mounting Adaptor
US9425601B2 (en) * 2013-07-02 2016-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urrent sensor mounting adaptor
WO2016131764A1 (en) * 2015-02-18 2016-08-25 Audi Ag Electrical bus bar comprising a sensor unit
KR20170120132A (en) * 2015-02-18 2017-10-30 아우디 아게 An electric bus bar comprising a sensor unit
US10340494B2 (en) 2015-02-18 2019-07-02 Audi Ag Electrical bus bar comprising a sensor unit
KR20170140334A (en) * 2015-05-26 2017-12-2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Mechanically integrated rotating electric machine device
US10361608B2 (en) 2015-05-26 2019-07-23 Nissan Motor Co., Ltd. Mechanically-electrically integrated electrical rotating apparatus with high cooling perform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656B2 (en) connector
EP3100345B1 (en) Power control unit
JP2011233506A (en) Fuse unit
JP2012164598A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KR20110048661A (en) Vehicle fan-motor with controller and stator using busbar
JP2018050417A (en) Bus bar unit and bus bar unit manufacturing method
CN103517606A (en) Electronic device
KR20120006309A (en) Inverter output bus bar module of vehicle
US20190115801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drive system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6728279B2 (en) Busbar unit
JP422400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ground structure
JP2019106770A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7326496A (en) Power source circuit structure provided with current sensor and its assembling method
JPH03107356A (en) Rectifier of three-phase a.c. generator in vehicle
EP3343736B1 (en) Terminal block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KR100955376B1 (en) Input and output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inverter
JP2000013962A (en) Electric junction box
JP5696613B2 (en) Power converter
JP5345030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N103078281B (en) The inverter output busbar assembly of vehicle
JP2000261936A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ng unit for ev
KR20160016192A (en) Fixing method and insulation structure for moter terminal of hybrid vehicle
JP6728280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KR101153392B1 (en) Assembling fixed terminal connecting device
JP2017059300A (en) Terminal b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