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818U - 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818U
KR20120001818U KR2020110000667U KR20110000667U KR20120001818U KR 20120001818 U KR20120001818 U KR 20120001818U KR 2020110000667 U KR2020110000667 U KR 2020110000667U KR 20110000667 U KR20110000667 U KR 20110000667U KR 20120001818 U KR20120001818 U KR 201200018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flow path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5617Y1 (en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일 filed Critical 최영일
Publication of KR20120001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ke device used for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water, beverages, soy sauce, vinegar, edible oil, more specifically,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along the flow path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cok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formed in the outlet to smoothly discharg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ealed container to the outside.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ke device used for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such as water, beverages, soy sauce, vinegar, edible oil, more specifically,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along the flow path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cok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formed in the outlet to smoothly discharg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ealed container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대량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를 수용하는 전용 액체 용기에 수용하여 보관하며, 이러한 전용 액체 용기는 대표적으로 약수통,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 등이 있다.In general,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s such as water, beverages, soy sauce, vinegar, and edible oil are stored in a special liquid container for storing such liquids, these special liquid containers are typically soy sauce containers and soy sauces used in businesses. And a pail for accommodating seasoning liquids, edible oils, cleaning lacquers, and the like.

도 1 은 일반적인 액체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액체를 유입시키는 입구(2)와 그 입구(2)를 개폐하는 뚜껑(3)을 가진 액체 용기(1)이다.1 shows a general liquid container, which is a liquid container 1 having an inlet 2 for introducing liquid and a lid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2.

상기 용기(1)는 수용된 액체를 용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코크 마개(9)에 의하여 용기(1)에 탈부착되는 코크(cock)(4)를 구비한다.The container 1 has a cock 4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1 by means of a cock stopper 9 at its lower end for discharging the contained liqui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

도면 우측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4)는 용기(1)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5)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5)의 상부에는 코크를 개폐시키는 핸들(6)이 부착되며, 배출관(5)의 관로상에는 용기(1)의 액체를 유입시키는 배출공(5a)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use state diagram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he coke 4 has a discharge pipe 5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container 1 to the outside, and the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ck on the top of the discharge pipe (5) ( 6) is attached, the discharge hole (5a) for introducing the liquid in the container (1) is formed on the pipeline of the discharge pipe (5).

이때, 상기 배출관(5)은 연결체(7)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체(7)에는 용기(1)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연결공(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과 배출관(5)의 배출공(5a)이 서로 치합되는 경우에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이들 연결공(8)과 배출공(5a)을 통하여 배출관(5)으로 배출되지만(개방 상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을 배출관(5)의 관로의 일부가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액체가 배출관(5)의 관로에 막혀서 더 이상 코크(4)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된다(폐쇄 상태).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5) is interpolated into the connecting body (7), the connecting body (7) is formed with a connecting hole (8) into which the liquid flows from the container (1).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hole 8 of the connection body 7 and the discharge hole 5a of the discharge pipe 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6,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is connected to these connection holes ( 8)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 through the discharge hole (5a) (open state), b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andle 6, the connection hole (8) of the connector (7) is part of the pipe of the discharge pipe (5) When the gas is closed, the liquid is blocked in the conduit of the discharge pipe 5 so that it is no longer discharged through the coke 4 (closed st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체 용기는 입구(2)에 취부된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입구(2)를 통하여 용기(1)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용기(1) 내부에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시켜 주어야만 용기(1) 내의 액체가 코크(4)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id 3 attached to the inlet 2 is slightly opened to introduce air into the container 1 through the inlet 2, and the container 1 The liquid in the container 1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coke 4 only by maintaining a constant air pressure inside.

만일, 용기(1)의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지 않는다면 코크(4)의 개방시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If the lid 3 of the container 1 is not opened slightly, the liquid may not be smoothly discharged when the coke 4 is opened, causing inconvenience to use.

그런데,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는다 하더라도 용기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용기(1) 내부에 있는 액체가 코크(4)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when the lid 3 is slightly opened, when the container is in the inclined sideways or falls, the liquid inside the container 1 obstructs the flow of air toward the coke 4 so that the liquid is smooth.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ischarged.

또한,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에 있어서, 이러한 말통을 직접 들어서 액체를 배출시키는 경우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한꺼번에 흘러넘치면서 바닥을 지저분하게 할 우려가 많아 업소의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a barrel containing seasoning liquid such as soy sauce, edible oil, cleaning lacquer, etc., when liquid is discharged by lifting the barrel direct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quid overflows through the inlet and makes the floor dirty. There was a difficulty in creating the environment.

또한, 액체를 배출시킬 때마다 무거운 말통을 직접 들었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주방 작업의 비효율이 초래되었다.In addition, the cumbersome labor of having to lift and place a heavy horse barrel every time the liquid was discharged was accompanied, resulting in inefficiency in kitchen work.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코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a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that can smoothly discharg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rough the coke even when the container is completely seale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nstruction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along the flow path divided in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formed in the outlet By discharging to the outlet of the c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ealed contain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는 상부실과 하부실로 유입된 액체가 수전부의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완전하게 밀폐된 상태의 용기에 수용된 액체도 본 고안 코크 장치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iquid container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by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faucet portion,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unlike the conventional state is completely sealed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of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coke device.

또한,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을 직접 들었다가 놓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작업상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액체가 한꺼번에 흘러넘칠 우려도 일소하여 위생적인 업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hassle of directly picking up and dropping the canister containing seasoning liquid such as soy sauce, cooking oil, and cleaning lacques used in the shop, which not only increases work efficiency, but also eliminates the risk of spilling liquid at once. It is a very useful design that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business environment.

도 1 은 종래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수전부의 단면도로서,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coke devic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receiving unit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coke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owever, the disclosed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aspects.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tion, it has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도 2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10)가 취부될 수 있는 용기(1)로서는 간장, 식초 등의 각종 조미용 액체, 식용유 등의 각종 기름, 락스 등의 각종 액체 화학품을 수용하는 말통이 대표적이다.The cok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a container 1 containing a liquid. As the container 1 to which the cok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various seasoning liquids such as soy sauce and vinegar, and edible oil are used. The barrel which accommodates various liquid chemicals, such as various oils, such as lacs, is typical.

이러한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전부(水栓部)(100)와,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전부(100)로 흘러가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200)로 대분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k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receiving part 100 f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flows to the power receiving part 100. Divid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00 to be form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도 3 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 수전부(100)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recei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배출구(1a)에 취부시 본 고안 코크 장치(10)와 용기(1)와의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300)이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배출구(1a) 사이에 설치된다.First, referring to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the present invention coke device 10 is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container outlet 1a of the container 1, and when the device is installed at the container outlet 1a, the coke device ( A rubber packing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00 and the container outlet 1a so as to better seal the 10 and the container 1.

상기 패킹(30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의 원통형 부재로서, 원형의 플렌지(310)(flange)상에 상기 연결부(200)의 삽입관(230)이 내삽될 수 있는 형상과 높이를 가진 테두리(320)가 형성되고, 테두리(32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의 개구(321)를 가진다.The packing 300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n open bottom portion and an empty inside, and has a shape and height in which the insertion tube 230 of the connection portion 200 can be interpolated on a circular flange 310. An edge 320 having a shape is forme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edge 320 has an opening 321 in an open state.

상기 패킹(300)에 의하여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된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삽입된다.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10 of the connection portion 200 mounted to the container discharge port 1a of the container 1 by the packing 300.

이때,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마개부(40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마개부(400)는 링 형상의 오링(410)과 오링(410)의 일측에 연결된 띠 형상의 밴드(420)와 상기 밴드(420)의 말단에 형성된 마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a stopper 400 formed to block a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13 of the discharge pipe 110 may be further installed. The stopper 400 may have a ring-shaped O-ring 410 and an O-ring 410. It includes a band-shaped band 420 connected to the stopper 430 formed at the end of the band 420.

상기 마개부(400)는 수전부(110)의 배출관(110)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마개부(400)의 오링(410)이 배출관(110)의 하단 말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관(210)의 상측에 거치되어 설치된다. The stopper 400 is when 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10 of the connection portion 200, the O-ring 410 of the plug 400 of the discharge pipe 110 Inserted from the lower e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pipe 210 is installed.

이러한 상기 마개부(400)는 본 고안 코크 장치(10)를 장기간 미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오링(410)의 밴드(420)와 연결된 마개(430)를 이용하여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아둠으로써,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The stopper 400 is the discharge port 113 of the discharge pipe 110 by using a stopper 430 connected to the band 420 of the O-ring 410 when the invented coke device 1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By blocking the part, unnecessary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한편, 상기 수전부(100)의 헤드(130)의 상면은 후술할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이며, 이러한 개방된 상태의 개구를 통하여 불필요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유입공(151)이 천공된 뚜껑(150)이 헤드(130)의 개구를 막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130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is in an open state for the introduction of air to be described later, the inlet hole in the center to prevent unnecessary foreign matters are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open state ( A lid 150 perforated 151 blocks the opening of the head 130.

상기 패킹(300), 마개부(400) 및 뚜껑(150)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기능 및 위생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속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반드시 이들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packing 300, the stopper 400 and the lid 150 are appendages used to make the function and hygiene of the present invention's coke device better. You do not need to include it.

다음으로, 도 4a 와 4b 를 참조하여 본 고안 수전부(100)를 설명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power receiv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로서 각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수전부(100)는 하측에 배출구(113)를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 상측에 부착되며 일측에 핸들(140)이 부착되고 상면은 개구된 원통 형상의 헤드(130)와,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의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를 분리시키는 원형 평판 형상의 격막(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and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has a cylindrical discharge pipe 110 having a discharge port 113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the discharge pipe ( 110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and the handle 140 is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top surfac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cylindrical head 130, the discharge pipe 110 and the head 130 is the discharge pipe 110 ), And a diaphragm 120 having a circular plate shape separating the head 130.

그리고, 상기 격막(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은 하부실(111)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130)의 내부 공간은 상부실(13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격막(120)은 상기 상부실(131)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동시에 상기 하부실(111)의 천정면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an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110 forms a lower chamber 111 and an inner space of the head 130 forms an upper chamber 131 around the diaphragm 120. Accordingly, the diaphragm 12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131 and simultaneously forms the ceiling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111.

또한,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하부공(1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헤드(130)의 외주면상에 상기 하부공(112)이 형성된 지점의 상측으로 상기 하부공(112)과 나란하게 상부공(132)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hole 112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110, and parallel to the lower hole 112 to the upper side of the point where the lower hole 1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130. Top hole 132 is formed to pass through.

상기 하부공(112)은 상기 격막(120)을 기준으로 격막(120) 하단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132)는 상기 격막(120)을 기준으로 격막(120) 상단에 근접하게 형성된다.The lower hole 112 is formed close to the lower end of the diaphragm 120 based on the diaphragm 120, and the upper hole 132 is formed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diaphragm 120 based on the diaphragm 120. .

이때,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막(120)은 도 7d 에서 후술할 용기(1)의 액체(W)를 상기 상부실(131)로부터 상기 하부실(111)로 배출시키기 위한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공(132)의 형성 지점으로부터 우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the diaphragm 120 serves to discharge the liquid W of the container 1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7D from the upper chamber 131 to the lower chamber 111. In order to facilitate, it is installed inclined upward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formation point of the upper hole 132.

상기 헤드(130)의 천정면은 상기 상부실(131)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서 헤드(130)의 천정면을 유입공(151)이 형성된 뚜껑(150)으로 막아둘 수 있다. 상기 유입공(151)도 외부로부터 공기를 상기 상부실(131)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eiling surface of the head 130 is in an open state so that air can flow into the upper chamber 131,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head 130 is formed into the lid 150 having the inlet hole 151 as necessary. You can stop it. The inlet hole 151 also serves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upper chamber 131.

한편, 본 고안의 수전부(100)의 헤드(130)의 내경(b)이 배출관(110)의 내경(a)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고안 작동에서 후술할 코크 개방시 헤드(130)의 상부실(131)로 충분한 양의 액체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b) of the head 130 of the power recei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a) of the discharge pipe 110, which is the head when opening the cock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allow a sufficient amount of liquid to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chamber 131 of the 13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전부(100)의 배출관(110) 부분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용기(1)에 수용된 액체는 연결부(200)를 통하여 수전부(100)로 유입된다. 이하, 상기 연결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210 of the connection part 200, and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00. Through the power receiver 100 is introduced through.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 는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of the coke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삽입관(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on part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connection tube 210 having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an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tube 210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ube 210. It includes a flow tube 220 is formed to extend, and a cylindrical insertion tube 2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low tube 220.

상기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전부(100)가 상기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되었을 경우, 상기 수전부(100)의 격막(120)이 위치되는 지점에서의 가상의 기준선(240)을 중심으로 기준선(240)의 상측은 상부 공간(211)을 형성하고, 기준선(240)의 하측은 하부 공간(212)를 형성한다.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or 210 is a virtual reference line at the point where the diaphragm 120 of the power receiver 100 is located when the power receiver 100 is interpolated into the connector 210. An upper side of the baseline 240 forms an upper space 211 around the 240, and a lower side of the baseline 240 forms a lower space 212.

상기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관(210)의 기준선(24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키는 분리벽(225)이 형성된다.The inner space of the flow tube 220 is formed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ine 240 of the connection pipe 210, the partition wall 225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flow tube 220 up and down is formed.

상기 유동관(220)은 상기 분리벽(225)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상기 분리벽(225)의 상부 공간은 상부 유동로(221)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25)의 하부 공간은 하부 유동로(222)가 형성된다. The flow pipe 220 is divided into an inner space by the dividing wall 225, the upper space of the dividing wall 225 is formed with an upper flow path 221, the lower space of the dividing wall 225 is lower Flow path 222 is formed.

또한,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과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 사이에 유동로 상부공(2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과 상기 유동관(220)의 하부 유동로(222) 사이에 유동로 하부공(224)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유동로상부공(223)과 상기 유동로하부공(224)은 상기 유동관(220)이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형성된다.In addition, a flow path upper hole 22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pace 211 of the connection pipe 210 and the upper flow path 221 of the flow pipe 220, and the lower space ( 212 and a flow path lower hole 224 is formed between the lower flow path 222 of the flow pipe 220, the upper flow path hole 223 and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is the flow pipe 220 ) Is formed on the wall on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pipe (210).

따라서, 상기 상부 유동로(221)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하부공(224)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upper flow path 221 may enter the upper space 211 of the connection pipe 210 through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and flows into the lower flow path 222. The liquid may enter the lower space 212 of the connection pipe 210 through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또한,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와 하부 유동로(222)는 상기 삽입관(230) 내부의 빈공간인 유로(231)와 연결된다. 따라서, 후술할 용기(1)의 액체(W)가 삽입관(230)의 유로(231)을 거쳐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를 통하여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공간(211) 및 하부공간(212)로 각각 유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lower flow path 222 of the flow pipe 22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231 which is an empty space inside the insertion pipe 230. Therefore, the liquid W of the container 1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lower flow path 222 through the flow path 231 of the insertion pipe 230, and the upper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210. 211 and the lower space 212 are respectively introduced.

그리고, 삽입관(230)의 말단의 바닥면은 개방된 상태로서, 후술할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30) 내부로 용기(1)의 용기배출구(1a)가 결합되어 용기(1)에 수용된 액체(W)가 유입될 수 있다.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230 is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ure 7a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ainer outlet (1a) of the container 1 into the insertion tube 23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 The liquid W accommodated in 1) may flow.

한편,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 일측에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 상태일 경우 수전부(100)의 상부실(131)에 남아있던 액체(W)를 하부실(111)로 유입시키는 누출공(2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누출공(213)은 평판 형상의 차폐부재(250)에 의하여 차폐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eakage hole for introducing the liquid (W) remaining in the upper chamber 13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to the lower chamber 111 when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210. 213 is formed through. The leak hole 213 is shielded by a shield member 250 of the flat plate shape.

도 6 은 본 발명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상술한 수전부(100)가 연결부(200)의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ower receiver 1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10 of the connection part 200.

수전부(100)의 배출관(110) 부분이 연결관(210)의 내부로 결합되면, 수전부(100)의 핸들(140)의 (도 6 에서는 미도시)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가 이루어지는데, 도 6 는 이러한 상태중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When the discharge pipe 110 portion of the power receiving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210, the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ke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not shown in Figure 6) of the handle 140 of the power receiving portion 100 Or a closed state, where FIG. 6 shows a closed state.

본 고안 코크 장치의 폐쇄 상태에서는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면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는 더 이상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In the closed state of the co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and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of the flow pipe 220 of the connection part 200 are closed by the wall of 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er 100. The liquid W flowing into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lower flow path 222 connected to the flow path 231 is no longer provided in the upper chamber 131 and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Cannot enter).

반면,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하부공(112)과 대향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각각 진입하면서 본 고안 코크 장치에 의하여 용기(1) 내의 액체(W)가 배출되게 되는데,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작동을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pen state of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and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is opposed to the upper hole 132 and the lower hole 112 of the power receiving portion 100, the flow path is opened, The liquid (W) introduced into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lower flow path 222 enters the upper chamber 131 and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respectively, and the container ( The liquid W in 1) is to be discharg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ventive cok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7a 내지 도 7c 는 핸들(140)의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이고, 도 7d 는 핸들(140)의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용기(1)에 장착된 상태이고, 용기(1)의 입구(2)는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을 상정하여 설명한다.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iquid container co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7C are cases in which the present device is op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140, and FIG. 7D is the handle 14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closed state,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ntainer (1), the inlet (2) of the container (1) by the lid (3) It is assumed that it is closed.

먼저,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일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state will be described.

상기 수전부(100)의 헤드(130)에 장착된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되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이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대향되면서 상부 유동로(221)와 상부실(131)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게되고, 마찬가지로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하부공(112)과 대향되면서 하부 유동로(222)와 하부실(111)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When the handle 140 mounted on the head 130 of the power receiver 100 is operated to open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receives the power receiver 100.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upper chamber 131 ar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upper chamber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faces the lower hole 112 of the power receiver 100. While the lower flow path 222 and the lower chamber 111 is in a mutually connected state.

그러면, 용기(1) 내부의 액체(W)가 유로(231)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유동관(220)의 상부유동로(221)를 경유하여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수전부(100)의 상부실(131)로 유입된다. 동시에, 유로(231)로 유입된 액체(W)는 유동관(220)의 하부유동로(222)를 경유하여 유동로 하부공(224)을 통하여 수전부(100)의 하부실(111)로 유입된다. Then, the liquid W inside the container 1 flows in through the flow path 231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flow path 221 of the flow pipe 220 through the upper flow path 223 of the flow receiving portion 100. It flows into the insolvent 131. At the same time, the liquid W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231 flows into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through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via the lower flow path 222 of the flow pipe 220. do.

이때, 상기 상부실(131)로 진입한 액체(W)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실(131)의 내부공간의 상단까지 상승하다가 일시적으로 진입이 정지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liquid W entering the upper chamber 131 rises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hamber 131 as shown in FIG. 7A, and then temporarily stops entering.

이러한 이유는 상기 상부실(131)로 진입한 액체(W)의 중력에 의한 낙하하려는 힘이 상승하려는 힘보다 본질적으로 더 크게 작용될 뿐만 아니라, 하부실(111)로 진입한 액체(W)가 배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입구(2)가 폐쇄된 용기(1)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하여 용기(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이 같아져 내외부의 공기압의 압력차가 없어질때까지 용기(1)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용기(1)의 내부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려고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force to drop by gravity of the liquid W entering the upper chamber 131 is essentially larger than the force to rise, and the liquid W entering the lower chamber 111 is W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3,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1) in which the inlet (2) is closed decreases so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container (1) is the same, until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ir pressure disappears. This is because air is going to flow in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1 from the outer direction of (1).

따라서,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30)의 상부실(131)에 부착된 뚜껑(150)의 유입공(151)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부실(131)에 진입한 액체(W)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B,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151 of the lid 150 attached to the upper chamber 131 of the head 130 to enter the upper chamber 131 ( The water level of W) gradually decreases.

그러면,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W)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서 수전부(100)의 상부공(132)를 통하여 상부실(131)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상부유동로(211)와 유로(231)를 거쳐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공기는 용기(1) 내부에 수용된 액체(W) 중으로 진입되어 액체(W)중에 공기 방울(기포)(V)을 형성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7C, as the water level of the liquid W is lowered,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hamber 131 through the upper hole 132 of the power receiver 100 is upper through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The air flows out through the flow path 211 and the flow path 231, and the escaped air enters into the liquid W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to form an air bubble (bubble) V in the liquid W. do.

이러한 상태는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지속되면서, 결과적으로 유동로 하부공(224)으로 진입한 액체(W)는 수전부(100)의 하부실(111)을 통하여 배출구(113)로 계속하여 배출되어, 본 고안의 코크 장치를 통하여 용기(1)의 액체(W)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This state continues while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 open state, and as a result, the liquid W entering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 The liquid W of the container 1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7d 와 같이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상태가 되면,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면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는 더 이상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진입할 수 없게 되고, 그럼으로써 수전부(100)의 상부실(131) 및 하부실(111)로의 액체(W)의 유입이 차단되면서 액체(W)의 배출이 중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14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7d and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losed state, the flow path upper hole 223 and the flow path lower hole 224 of the flow pipe 220 of the connection part 200 receive the power receiver. The liquid (W)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231 and the upper flow path 221 and the lower flow path 222 connected to the flow path 231 and the flow path 231 while being closed by the wall of the discharge pipe 110 of 100 is no longer able to be water. It is impossible to enter the upper chamber 131 and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whole (100), so that the inflow of liquid W into the upper chamber 131 and the lower chamber 111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The discharge of the liquid W is stopped while being blocked.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폐쇄 상태시,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하부공(112)이 연결관(210)의 누출공(213)과 대향하게 되는데, 이 누출공(213)의 상면에 부착된 차폐부재(250)와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 사이에 협소한 폭을 가진 오리피스가 형성되면서, 상부실(131)에 남아있던 잔여 분량의 액체(W)가 경사진 격막(120)을 타고 흘러 내려가 누출공(213) 부분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하부실(111)로 유입되어 배출구(113)를 통하여 모두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co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losed state, the upper hole 132 and the lower hole 112 of the faucet portion 100 is opposed to the leak hole 213 of the connection pipe 210, this An orifice having a narrow width is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25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ak hole 213 and the wall of 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er 100, and the remaining amount remaining in the upper chamber 131 is maintained. The liquid (W) flows down the inclined diaphragm 120 and flows into the lower chamber 111 through an orifice formed in the leak hole 213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3.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1a; 용기배출구
2; 입구 3; 뚜껑
4; 코크 5; 배출관
5a; 배출공 6; 핸들
7; 연결체 8; 연결공
9; 코크 마개
10;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
100; 수전부
110; 배출관
111; 하부실 112; 하부공
113; 배출구
120; 격막
130; 헤드
131; 상부실 132; 상부공
140; 핸들
150; 뚜껑 151; 유입공
200; 연결부
210; 연결관
211; 상부 공간 212; 하부 공간
213; 누출공
220; 유동관
221; 상부 유동로 222; 하부 유동로
223; 유동로 상부공 224; 유동로 하부공
225; 분리벽
230; 삽입관 231; 유로
240; 기준선
250; 차폐부재
300; 패킹
310; 플렌지 320; 테두리
321; 개구
400; 마개부
410; 오링 420; 밴드
430; 마개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One; Container 1a; Container outlet
2; Inlet 3; Lid
4; Coke 5; discharge pipe
5a; Outlet 6; handle
7; Connector 8; Connector
9; Cock stopper
10; Coke device for the liq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Faucet
110; discharge pipe
111; Lower chamber 112; Underhole
113; outlet
120; Diaphragm
130; head
131; Upper chamber 132; Super ball
140; handle
150; Lid 151; Inflow hole
200; Connection
210; Connector
211; Upper space 212; Subspace
213; Leak hole
220; Flow tube
221; Upper flow path 222; Bottom flow path
223; Flow channel top hole 224; Flow hole lower hole
225; Partition wall
230; Insertion tube 231; Euro
240; base line
250; Shielding member
300; packing
310; Flange 320; edge
321; Opening
400; Stopper
410; O-ring 420; band
430; stopper

Claims (6)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코크 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배출구(113)를 가지며 그 내부 공간은 하부실(111)을 형성한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 상측에 부착되며 일측에 핸들(140)이 부착되고 상면은 개구되어 그 내부 공간은 상부실(131)을 형성한 헤드(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를 분리시키는 격막(1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하부공(1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헤드(130)의 외주면상에 상부공(132)이 관통 형성된 수전부(100);
상기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되 분리벽(225)에 의하여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구획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되되 용기(1)와 결합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로(231)를 형성하는 삽입관(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관(220)과 상기 연결관(210)의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유동로상부공(223)과 유동로하부공(224)를 형성한 연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In the coke device f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
It has a discharge port 113 in the lower side and the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110, the lower chamber 111 is formed, the discharge pipe 110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and the handle 140 is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the inside The space is composed of a head 130 formed with an upper chamber 131, the diaphragm 12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110 and the head 130 to separate the discharge pipe 110 and the head 130. The receiving unit 100 is formed, the lower hole 112 is form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discharge pipe 110, the upper hole 132 is penet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130;
The discharge pipe 110 of the power receiving unit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ipe 210 and the connection pipe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flow path by the separation wall 225 221 and the flow pipe 220 partitioned into the lower flow path 222, and the insertion pipe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flow pipe 220, combined with the container (1) to form a flow path 231 through which the liquid flows ( A connection portion 200 formed of a flow path upper hole 223 and a flow path lower hole 224 in a wall on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low pipe 220 and the connection pipe 210;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120)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phragm 120 is a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up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 일측에 수전부(100)의 상부실(131)에 남은 액체를 하부실(111)로 유입시키는 누출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누출공(213)은 평판 형상의 차폐부재(250)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leaking hole 213 through which a liquid remaining in the upper chamber 131 of the power receiver 100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chamber 1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210, and the leaking hole 213 is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shielded by a flat shield member 2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에 취부시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1)의 용기배출구(1a) 사이에 패킹(30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acking liquid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ing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00 and the container outlet (1a) of the container 1 so that the sealing state can be better when attached to the container (1) Cok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0)의 배출구(113)를 막는 마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stopper (400) for blocking the discharge port 113 of the discharge pipe (1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30)의 상면에 유입공(151)이 천공된 뚜껑(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체 용기용 코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ke device for a liqui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150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head 130 is perforated.
KR2020110000667U 2010-09-01 2011-01-24 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KR200465617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04 2010-09-01
KR20100009204 2010-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18U true KR20120001818U (en) 2012-03-09
KR200465617Y1 KR200465617Y1 (en) 2013-02-28

Family

ID=4660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67U KR200465617Y1 (en) 2010-09-01 2011-01-24 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1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06U (en)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제이엠티 Sealing apparatus for Storing box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027B2 (en) * 1995-04-12 2004-04-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Liquid spout
JP4291337B2 (en) * 2006-05-01 2009-07-08 プラテック工業株式会社 Plug member and liqui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plug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06U (en)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제이엠티 Sealing apparatus for Storing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617Y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8875B2 (en) Closeable self-venting spout
RU2009107011A (en) CARTRIDGE FOR DISPERSED MATERIALS
RU2007129250A (en) SEALED GLASS FOR FEEDING, INCLUDING INSERT AND BOTTOM AIR INLET VALVE
KR20080015392A (en) Dosing head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DE602006009830D1 (en) SPILL-SAFE CLOSURE
PL198160B1 (en) Valve assembly for use in dispensing beverage
CA2455150A1 (en) Self-venting spout
KR101796531B1 (en) Sewage water separation filtration tank
RU2014147698A (en) BULK STORAGE CONTAINER AND LOADING AND UNLOADING UNIT
KR200465617Y1 (en) 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JP6462314B2 (en) Air valve with cap
KR20140033147A (en) Container cleaner
WO2015010050A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JP4699801B2 (en) Gas-liquid separator
US20190127130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KR200467891Y1 (en) Apparatus of cock used for a liquid container having a dual tube structure
CN112638820A (en) Valved connector for closed loop liquid dispensing system
JPH0796756A (en) Tank sealing lid
KR200419676Y1 (en) The receptacle cover for liquid food
US7011754B2 (en) Filtering device having filter bag seal
KR200467892Y1 (en) Press type cock apparatus use for a liquid container
KR200471869Y1 (en) Spout for liquid container
WO2019227833A1 (en) Humidifier
RU2442745C1 (en) Charging head - tank dosing unit
JP4674719B2 (en) Dispens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