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686U -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686U
KR20120000686U KR2020100007551U KR20100007551U KR20120000686U KR 20120000686 U KR20120000686 U KR 20120000686U KR 2020100007551 U KR2020100007551 U KR 2020100007551U KR 20100007551 U KR20100007551 U KR 20100007551U KR 20120000686 U KR20120000686 U KR 201200006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tance
lifting
alarm
r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석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시스
Priority to KR2020100007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686U/en
Publication of KR20120000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천장 등에 협착되어, 작업자가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협착 방지 장치는, 승강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차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초음파를 발진시켜 승차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와, 승강 작동부를 제어하며, 승차부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게 되면 승강 작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rrow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lifting a lif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a worker at a high place, and the like, and the narrowing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lifting operation part.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or and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riding unit on which the operator boards, and oscillates ultrasonic waves to measure a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above the riding unit, and controls the lifting operation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stance.

Description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Anti-stenosis device and lif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천장 등에 협착되어, 작업자가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osis prevention device and a lif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erein a lif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a worker at a high position is squeezed to a ceiling, and the like, and a stenosis prevention device and a lif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o prevent an operator from being injured.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거리의 가로수 작업, 전봇대 작업, 간판 작업, 네온 사인 작업 및 건설 작업과 같은 공사 현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비교적 높은 곳에서 원활한 작업을 하기 위해 승강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고소작업대라도 칭하기도 한다. 승강장치는 최초 공압을 이용한 자동 사다리 개념으로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그 이후, 유압 리프트로 발전하게 되어 최근까지 가장 보편적인 고소작업대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lifting device is used to smoothly work at a relatively high place in a construction site or an industrial site, such as street road work, power pole work, signage work, neon sign work, and construction work. Such lifting devices may be referred to as aerial platforms. The lifting device was first developed as an automatic ladder concept using pneumatics. Since then, it has been developed into a hydraulic lift and has been used as the most common aerial platform until recently.

승강장치는 전동 방식, 엔진 방식, 수동 방식 및 원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승강장치는 유압식 승강장치, 굴절식 승강장치, 직진식 승강장치 및 견인식 승강장치 등의 형태로 분류된다.Elevators are constantly evolving to work on high groun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electric, engine, manual and homing. In addition, the hoisting device is classified into a type of hydraulic hoisting device, articulated hoisting device, straight hoisting device and traction hoisting device.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승강장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승강장치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승강장치를 상승시키는 과정중에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승차부가 천장 구조물에 충돌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However,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a large and small safety accident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height operation using the lifting device. For example, during the process of elevating the lifting device, the riding unit on which the worker is riding collides with the ceiling structure, and thus, the worker is frequently injured.

특히, 승강장치의 하부에서 승차부를 상승시키는 경우, 승차부와 천장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상승 과정에서 각종 장애물에 접촉 가능성이 있으나, 승강장치의 조작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In particular, when raising the ride under the elevat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and the ceili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tact with various obstacles during the climb, but it was often difficult for the operator of the lift to recognize. .

이에 따라, 승강장치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안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승차부의 상단에 센서봉과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승차부와 천장 사이의 일정 거리만큼 가까워지면 경보가 울리는 방식 등이 있었다.Accordingly, several improvement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the narrowing of the lifting device. For example, a sensor rod and a pressure sensor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riding unit so that an alarm sound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and the ceiling approaches a certain distance.

그러나, 이와 같은 센서 구조물은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센서 구조물을 제거하고 작업하거나, 센서의 전원을 끄고 작업하여 또 다시 협착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such a sensor structure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operator's work efficiency, the operator removes the sensor structure and work, or turn off the sensor to work and the stenosis accident occurs again.

이에,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승차부를 원하는 높이만큼 안전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that can safely lift the ride portion to a desired height without degrad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승강장치가 천장 등에 협착되어, 작업자가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narrow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a lifting device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by a worker at a high place is caught on the ceiling.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는, 승강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차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초음파를 발진시켜 상기 승차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와, 상기 승강 작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승차부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게 되면 상기 승강 작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nosis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moved up and down by a lifting operation unit and is located at one end of a riding unit on which an operator rides, and oscillates an ultrasonic wave.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object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and the object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stance; d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기 협착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anti-stenosis device.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nti-stenosis device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f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협착 방지 장치가 작동 중에도 작업자는 작업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First, even when the anti-stenosis device is in operation, the worker can work without interruption.

둘째, 협착 방지 장치는 승강장장치를 단계적으로 자동 제어함으로써, 작동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승하강이 가능하다.Secondly, the stenosis prevention device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landing apparatus step by step,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of the operation and smooth lifting.

셋째, 경고음을 제거하고도 일정 높이만큼 상승 작동이 가능하여, 승강장치를 이용한 작업 범위를 높일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peration by a certain height without removing the warning sou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orking range using the lift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승차부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초음파 센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ding unit included in the lifting device of FIG. 1.
3A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ultrasonic sensor included in the lifting apparatus of FIG. 1.
3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4a to 4c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용 협착 방지 방치와 그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and 2, a lift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lifting device and a lif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승차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ding unit included in the lifting device of FI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는 승차부(30), 승강 작동부(20), 대차부(10), 초음파 센서(60), 제어부(40) 및 경보 발생부(43, 5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차부(3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는 공간으로서, 승강 작동부(20)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승차부(30)는 바스켓이라 칭하기도 한다.Lif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ifting unit 30,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the cart 10, the ultrasonic sensor 60, the control unit 40 and the alarm generating unit 43, 50). Specifically, each configuration, the ride unit 30 is a space for the worker to work on board, the portion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Such a ride 3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asket.

승차부(30)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승차부(30)는 승강장치의 용도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차부(30)는 승강 작동부(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The riding unit 3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kind of railing is installed to prevent a fall in a space in which an operator can board. The riding unit 30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size and type of the lifting device. Such a riding unit 30 is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승강 작동부(20)는 대차부(10)에 고정되어 승차부(3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로드가 가위형태로 결합된 시저형으로 구성되고, 유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Lifting operation unit 20 is fixed to the balance unit 10 serves to raise or lower the ride unit 30, as shown in Figure 1, a plurality of rods scissor type combined with scissors I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using a hydraulic device (not shown).

다만, 도 1에 도시된 시저형 승강 작동부(20)는 승강 작동부의 일례로서, 반드시 시저형 승강 작동부(20)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즉, 승강 작동부(20)는 승차부(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든지 가능하다. 또한, 승강 작동부(20)는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스듬하게 경사로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장치도 가능하다. However, the scissor type elevating operation unit 20 shown in FIG. 1 is an example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cissor type elevating operation unit 20. That is,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may be any device as long as the device capable of raising or lowering the riding unit 30. In addition,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moving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 lifting device that ascends or descends along the slope is also possible.

승강 작동부(20)는 승차부(30)에 설치된 조작부(70)에 의해 동작한다. 조작부(70)는 반드시, 승차부(2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대차부(10)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70 provided in the riding unit 30. The operation unit 7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installed on the riding unit 2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cart 10 as necessary.

대차부(10)는 승강 작동부(20)가 최대로 상승하고 승차부(30)에 작업자가 탑승하더라도 승강장치(1)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rolley 10 serves to safely support the elevating device 1 even when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20 rises to the maximum and an operator rides on the riding unit 30.

한편, 승강장치(1)는 승차부(30)의 상승시 천장 구조물 등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협착 방지 장치는 초음파 센서(60), 제어부(40) 및 경보 발생부(43, 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device 1 includes a stenosis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collision in the ceiling structure or the like when the lift unit 30 is raised. The anti-stenosis device includes an ultrasonic sensor 60, a control unit 40,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43, 50.

협착 방지 방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차부(30)의 일단부에는 초음파를 발진시켜 물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60)가 형성되어 있다.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stenosis prevention,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60 capable of oscillating ultrasonic waves to measure the distance of the objec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iding unit 30.

초음파 센서(60)는 승차부(30)의 각 모서리 부분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60)는 초음파를 발진시켜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다시 수파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초음파 센서(60)는 필요에 따라 초음파의 탐지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의 방사 각도가 넓으면, 탐지범위가 넓어져 승차부(30)에 접근하는 물체나 측부에 위치하는 물체까지 감지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너무 탐지 범위가 넓게 되면, 승차부(3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서도 작동할 수 있어, 초음파 센서(60)의 작동 범위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한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60)는 수직 방향으로 좁은 폭의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ltrasonic sensor 6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each corn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30. The ultrasonic sensor 60 oscillates the ultrasonic wave to receive the ultrasonic wave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again to measure the distance. As such, the ultrasonic sensor 60 may adjust the detection range of the ultrasonic waves as needed. For example, when the radiation angle of the ultrasonic wave is wide, the detection range is widened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ride unit 30 or an object located on the side. However, if the detection range is too wide, it can also be operated by an operator in the ride unit 30, so that the operating range of the ultrasonic sensor 60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refore, the ultrasonic sensor 60 preferably oscillates a narrow ultrasonic wa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a를 참조하여, 초음파 센서의 작동원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초음파 센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Referring to Figure 3a,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ultrasonic sens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A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ultrasonic sensor included in the lifting apparatus of FIG. 1.

초음파 센서(60)는 상시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 발진부(61)와, 발진된 초음파가 물체에 반사되어오는 반사파를 검출하는 수파부(62)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60)는 물체의 유무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물체까지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60)를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음파 발진부(61)에서 초음파를 발진시키면서 동시에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그 후, 발진하던 초음파가 천장물 구조에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60)의 수파부(62)로 되돌아온 것이 감지되면, 측정하고 있던 시간을 멈춘다. 그리고, 측정된 시간을 판독하여 초음파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총 시간을 계산한다. 만약, 측정한 시간이 n㎲라 하면, 소리의 속도는 340㎧이므로, 거리 S는 속도 × 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는 초음파 센서(60)와 물체 사이의 왕복거리이므로 거리 S = 속도 × 시간 = 340 × t/2가 된다.The ultrasonic sensor 60 includes an ultrasonic oscillation unit 61 for oscillating always ultrasonic waves, and a wave receiver 62 for detecting reflected waves from which the oscillated ultrasonic waves are reflected on an object. The ultrasonic sensor 60 may not onl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but als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In order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using the ultrasonic sensor 60, first, the ultrasonic oscillator 61 starts to measure time while oscillating the ultrasonic wave. Thereafter, when the detected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by the ceiling structure and returned to the water receiving part 62 of the ultrasonic sensor 60, the time being measured is stopped. The measured time is then read to calculate the total time for the ultrasound to return. If the measured time is n s, the speed of sound is 340 kHz, so the distance S can be found as speed x time. In addition, since the ultrasonic wave is a reciprocating distance between the ultrasonic sensor 60 and the object, the distance S = speed x time = 340 x t / 2.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계산에 의해 승강장치(1)의 승차부(30)와 물체(예를 들어, 천장 구조물)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고, 미리 세팅되어 있는 기준 거리와 비교한다. The control unit 40 can ob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30 of the lifting device 1 and the object (for example, the ceiling structure) by the calculation as described above, and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distance. .

제어부(40)는 측정 거리가 이미 세팅되어 있는 기준 거리 이내이면, 승강 작동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The controller 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hat is already set.

이때, 제어부(40)는 승강 작동부(20)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으나, 승차부(30)와 물체(OJ)와의 거리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매우 좁아 충돌 위험이 있거나, 작업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있는 경우, 승강 작동부(20)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승(수직 상승 또는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던 승강 작동부(20)가 즉시 정지하면, 승차부(30)에 탑승하고 있던 작업자는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승차부(30)가 기준 거리와 가까워지면 승강 작동부(20)의 속도를 줄여서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 may immediately stop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but may adjust the spe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30 and the object OJ.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is very narrow and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or a worker may be injured, the operation of the lift operation unit 20 is immediately stopped. However, if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which has risen (vertically rises or rises in the inclined direction) stops immediately, an operator who has boarded the ride unit 30 may lose its balance instantaneously and be in danger. Therefore, when the ride unit 30 approaches the reference distance, the speed of the lift operation unit 20 may be reduced to operat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0)는 승차부(30)가 하부에 있어, 물체(OJ)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승차부(30)를 상승시키고, 점차 기준 거리에 가까워질수록 속도를 줄여, 기준 거리에 도달하면 즉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40 raises the ride unit 30 at a relatively high speed when the ride unit 30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is far from the object OJ, and gradually approaches the reference distance. The higher the speed, the slower it can be controlled to stop immediately when the reference distance is reached.

한편, 승차부(30)가 상승하면서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경보 발생부는 경광 또는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iding unit 30 rises and falls below the reference distance, the alarm generation unit generates a warning light or an alarm sound.

이하,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여, 경보 발생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larm generat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B.

도 3b는 도 1의 승강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개략도이다.3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경보 발생부는 경광등(50)과 경음부(43)를 포함한다. 경광등(50)은 승강장치(1)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위험을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부(3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경광등(50)이 승차부(30)의 측부에 위치하면, 승차부(30)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와 승차부(30) 외부의 작업자가 모두 경광등(50)이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경광등(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승강 작동부(20) 또는 대차부(10)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alarm generating unit includes a warning lamp 50 and a warning unit 43. The warning lamp 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elevating device 1 can recognize a dang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it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ide portion (30). When the beacon 5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ide unit 30, the worker who rides on the ride unit 30 and the worker outside the ride unit 30 can see that the beacon 50 operates. However, the position of the beacon 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or the bogie 10 as necessary.

경음부(43)는 승차부(30)가 기준거리와 가까워지거나 이내로 들어왔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켜 위험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경음부(43)는 제어부(40)에 함께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경고음이 작업자에게 도달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가능하다.The sounding unit 43 functions to alert the user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the riding unit 30 approaches or fall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The sounding unit 43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control unit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unding unit 43 may be anywhere as long as the warning sound can reach the worker.

한편, 제어부(40)는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여 경보의 크기, 밝기 또는 경보 패턴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면, 경광 또는 경음의 발생 간격을 길게 유지하고,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면 경광 또는 경음의 발생 간격을 점차 줄이다가 승차부(30)가 위험한 위치에 도달하면 경광 또는 경음의 발생을 길게 유지하는 등 경보 패턴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40 may vary the size, brightness, or alert pattern of the alarm by comp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with a reference distance.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is relatively far apart, the interval between the occurrence of the beep or the beep is kept lo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is gradually closer. While gradual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ground beating or beating, when the riding unit 30 reaches a dangerous position, the warning pattern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keeping the occurrence of beating or beating long.

한편,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44)와 거리 조절 스위치(45)가 있어 기준 거리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치(41)와 바이패스 스위치(42)를 포함하여, 경보 발생부(43, 50) 및 승강장치(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has a display 44 and the distance control switch 45 to adjust the reference distance as needed, including a power switch 41 and the bypass switch 42, the alarm generator ( 43, 50) and the operation of the hoist 1 can be adjusted.

전원 스위치(41)는 협착 방지 장치의 전원을 ON/OFF 하는 것으로서, 협착 방지 장치의 전원을 끄게 되면, 승강장치(1)의 작동 자체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승강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협착 방지 장치를 동작시켜야 한다.The power switch 41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stenosis prevention devic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stenosis prevention device is turned off, the power switch 41 can be controll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pparatus 1 itself. That is, in order to operate the lifting device 1, the stenosis prevention device must always be operated.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기준 거리 이내에서 승차부(30)를 동작시켜야 할 경우도 있다. 이때, 바이패스 스위치(42)는 경보 발생을 유지한 채 승강 작동부(20)를 다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바이패스 스위치(42)의 동작에 의해서 경광등(50) 또는 경음부(43) 중 일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음부(43)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경광등(50) 만을 작동시켜, 작업자(M)가 수동으로 승차부(3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However, if necessary,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operate the riding unit 30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t this time, the bypass switch 42 allows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to be operated again while the alarm is generated.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beacon 50 or the beeping portion 43 may be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bypass switch 42.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horn 43 is stopped and only the beacon 50 is operated so that the worker M can manually operate the ride 30.

이하,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ures 4a to 5,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a to 4c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M)는 승강장치(1)의 승차부(30)에 탑승한다. 이때, 작업자(M)는 제어부(40)의 전원 스위치(41)를 조작하여 초음파 센서(60)를 동작시킨다(S100).First, referring to FIGS. 4A and 5, the worker M rides on the riding unit 30 of the elevating apparatus 1. At this time, the operator M operates the power switch 41 of the control unit 40 to operate the ultrasonic sensor 60 (S100).

초음파 센서(60)가 동작하면, 초음파 센서(60)가 승차부(30)의 상부에 있는 물체(OJ)를 감지한다(S110). 즉, 제어부(40)의 전원 스위치(41)를 동작시키면, 초음파 센서(60)는 상시적으로 동작하며, 물체(OJ)를 감지한다. 그러나, 물체(OJ)와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경광등(50)과 경음부(43)는 작동하지 않는다.When the ultrasonic sensor 60 operates, the ultrasonic sensor 60 detects the object OJ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30 (S110). That is, when the power switch 41 of the control unit 40 is operated, the ultrasonic sensor 60 operates constantly and detects the object OJ. However,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OJ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beacon 50 and the beeping portion 43 do not operate.

또한, 승강 작동부(20)는 작동하여 승차부(30)를 상승시킨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물체(OJ)와 승차부(30)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승강 작동부(20)의 작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operates to raise the riding unit 30.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speed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OJ and the riding unit 30.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승차부(30)가 상승하여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경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초음파 센서(60)는 계속 물체(OJ)의 거리를 확인한다(S120). 그리고, 실시간으로 물체(OJ)의 거리와 기준 거리를 비교한다(S130).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ride unit 30 ri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an alarm is generated. In detail, the ultrasonic sensor 60 checks the distance of the object OJ (S120). In operation S130,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OJ and the reference distance are compared in real time.

이때, 물체(OJ)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크게 되면, 승강 작동부(20)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물체(OJ)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게 되면, 경보가 발생하고(S140), 승차부(30)는 상승 동작이 정지된다(S150).At this time, when the distance of the object OJ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operates normally. However, when the distance of the object OJ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an alarm is generated (S140), and the riding unit 30 stops the ascending operation (S150).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아지게 되면, 승강 작동부(20)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M)의 안전이 보장되며 승차부(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lift operation unit 20 is no longer operated, the safety of the operator (M) is ensured and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이어서, 도 4c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서는 승차부(30)와 물체(OJ)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제어부(4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거리값을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바이패스 스위치(42)의 조작으로 승강 작동부(20)를 재작동 시키는 방법이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C, if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30 and the object OJ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distance. In this case, a method of adjusting the reference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controller 40 is also possible, and there is a method of reactivating the lifting operation unit 20 by the operation of the bypass switch 42 f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바이패스 스위치(42)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부(20)를 재동작 시키는 경우, 작업자(M)의 조작에 의해 승강 작동부(20)는 재작동하며, 경음부(43)는 경고음 발생을 멈추게 된다.When the lift operation unit 20 is operated again by using the bypass switch 42, the lift operation unit 20 is reactivated by the operator M, and the horn unit 43 generates a warning sound. Will stop.

이때에도 경광등(50)은 계속 동작하면서, 작업자(M)로 하여금 물체(OJ)에 충돌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warning lamp 50 continues to operate, the operator M is careful not to collide with the object OJ.

다만, 바이패스 스위치(42)를 작동시켜 승강 작동부(20)를 다시 작동시키는 경우, 경음부(43) 및 경광등(50)을 모두 동작시키거나, 동작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작업 환경에 맞추어 경보 발생부의 조작은 일부 조절 가능할 것이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lift operation unit 20 by operating the bypass switch 42 again, both the horn 43 and the beacon 50 may or may not be operat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alarm generating unit may be partially adjustable to the working environme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승강장치 10: 대차부
20: 승강 작동부 30: 승차부
40: 제어부 41: 전원 스위치
42: 바이패스 스위치 43: 경음부
44: 디스플레이 45: 거리 조절 스위치
50: 경광등 60: 초음파 센서
61: 초음파 발진부 62: 수파부
70: 조작부
1: lifting device 10: bogie
20: lifting operation unit 30: riding unit
40: control unit 41: power switch
42: bypass switch 43: horn
44: display 45: distance adjustment switch
50: warning light 60: ultrasonic sensor
61: ultrasonic wave generator 62: water receiver
70: control panel

Claims (8)

승강 작동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차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초음파를 발진시켜 상기 승차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 및
상기 승강 작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승차부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게 되면 상기 승강 작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a lifting operation unit and is positioned at one end of a riding unit on which an operator rides, and oscillates an ultrasonic wave to measure a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above the riding unit;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and the objec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부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가 되면 경광 및 경보음 중 적어도 하나의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alarm of beep and alarm sou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ide unit and the object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dist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승차부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경보의 크기, 밝기 또는 경보 패턴이 변하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larm generating unit is a narrowing prevention device of the lifting device in which the size, brightness or alarm pattern of the alarm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and the objec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승강 작동부가 정지시에 상기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alarm generating unit does not generate the alarm when the lifting operation unit is stopp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이패스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경보 발생부의 상기 경보 발생을 유지한 채 상기 승강 작동부를 다시 작동시키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fting device to operate the lifting operation unit again while maintaining the alarm generation of the alarm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ypass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부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승강 작동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narrowing prevention device of the lif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riding unit and the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승강 작동부의 작업 범위를 조절하는 승강장치의 협착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narrowing prevention device of the lif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working rang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by adjusting the reference distanc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협착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An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the stenosi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2020100007551U 2010-07-19 2010-07-19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KR2012000068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51U KR20120000686U (en) 2010-07-19 2010-07-19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51U KR20120000686U (en) 2010-07-19 2010-07-19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86U true KR20120000686U (en) 2012-02-02

Family

ID=4584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51U KR20120000686U (en) 2010-07-19 2010-07-19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686U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9302A (en) * 2015-06-28 2015-09-16 黄浩 Elevating loading equipment
CN105301596A (en) * 2015-11-13 2016-02-03 国网湖北省电力公司检修公司 Distance measuring and alarming method for potential approaching work of crane lifting car
CN105584963A (en) * 2015-12-16 2016-05-1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勤务学院 Safety control method for airport lifting, loading and unloading platform
KR102227115B1 (en) * 2019-11-05 2021-03-11 김헌성 A system to preventing collision and jam of worker in aerial work platforms by using motion detection
KR102462441B1 (en)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A workbench to prevent stenosi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9302A (en) * 2015-06-28 2015-09-16 黄浩 Elevating loading equipment
CN105301596A (en) * 2015-11-13 2016-02-03 国网湖北省电力公司检修公司 Distance measuring and alarming method for potential approaching work of crane lifting car
CN105584963A (en) * 2015-12-16 2016-05-1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勤务学院 Safety control method for airport lifting, loading and unloading platform
KR102227115B1 (en) * 2019-11-05 2021-03-11 김헌성 A system to preventing collision and jam of worker in aerial work platforms by using motion detection
KR102462441B1 (en)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A workbench to prevent sten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6660B2 (en) Overhead hazard warning systems
JP6274665B2 (en) Upper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for aerial work vehicle and collision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GB2553137B (en)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KR20120000686U (en) Apparatus of preventing impact and elevator having the same
JP6654995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KR20180001335U (en) Radar mast adjustable in height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080039329A (en) High place works car
JP2013052948A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for high lift work
KR101786724B1 (en) Highplace working device for safety improvement using sensor
CN106744549A (en) Prevent the workbench of persistently involuntary operation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101695723B1 (en) High place work device for prevention accident,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KR20090062780A (en) Apparatus to protect impact for work-bench elevated position
WO20210397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collision of aerial work platform with upward obstacle
KR20140000033U (en) A rail switch fitted on the platform of the lifting machine
KR101038523B1 (en) Working radius of crane vehicle control device
JP5897270B2 (en) Aerial work platform
KR101908698B1 (en) safety device for tower crane
KR102206921B1 (en) Under working reg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high place working apparatus
JP2022167718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high elevation working vehicle
KR20100104107A (en) Alarm device for crane-hook
KR20090062778A (en) Apparatus to protect impact for work-bench elevated position
KR102638014B1 (en) Movable worktable with hazard alarm function
KR1026729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igh place work apparatus
JP2024044525A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