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080U - Frozen Food Separator - Google Patents

Frozen Food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080U
KR20120000080U KR2020100006792U KR20100006792U KR20120000080U KR 20120000080 U KR20120000080 U KR 20120000080U KR 2020100006792 U KR2020100006792 U KR 2020100006792U KR 20100006792 U KR20100006792 U KR 20100006792U KR 20120000080 U KR20120000080 U KR 201200000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zen
vertical wall
food
frozen foo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빈성범
Original Assignee
인성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080U/en
Publication of KR20120000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8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되는 식품이 소량으로 구분되어 냉동됨으로써 냉동식품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키는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개시한다.
상자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수직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수직벽과 수직벽 사이에 냉기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 및 수직벽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식품을 수직벽에 의해 소정의 묶음 단위로 냉동시키므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충격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분리 시간이 단축되며, 판매자 및 소비자의 거래 시간을 줄여주게 되어 신속한 거래로 판매를 촉진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eparation plate for frozen food that is simply and conveniently separated from the frozen food is divided into a small amount frozen.
A bottom plate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and a vertical wall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cold air passes between the vertical wall and the vertical wall, The plate and vertical wall ar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flexible to move freely.
The present invention freezes the food in a predetermined bundle unit by the vertical wall, so that the separation is easy, and the separation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 separation is performed without using an impact or a tool, and the transaction time of the seller and the consumer.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it can reduce sales and promote sales with rapid trading.

Figure P2020100006792
Figure P2020100006792

Description

냉동식품용 분리판{Frozen Food Separator}Frozen food separator {Frozen Food Separator}

본 고안은 냉동식품용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된 식품을 간편하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zen food separation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ozen food separation plate that can be separated easily frozen food.

냉동식품은 식품을 냉동시켜 미생물의 번식과 효소작용이 정지되어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동식품은 식품을 장기간 보존한다는 것보다는 단기간 보존하면서 싱싱한 식품을 이용하고자 하는데 있다.Frozen food is to stop the growth and enzymatic action of microorganisms to freeze the food to prevent corruption and deterioration of food. Such frozen foods are intended to use fresh foods for short-term storage rather than long-term storage of foods.

적게는 가정에서 조리용으로 구입한 육류나 생선류를 며칠 동안 두고 사용할 때, 크게는 원양에서 잡은 생선을 며칠 걸려 목적지에 수송할 때 등에 이용하는 방법이다.It is a method used to keep meat or fish purchased for cooking for a few days at home, and to transport fish caught in ocean to a destination for several days.

냉동식품으로는 과실류 ·채소류 ·축산물 ·수산물 ·조리식품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특성이 있고 냉동할 때의 처리공정이 다르므로 해동할 때도 조심해야 한다. 육류나 생선은 원형 그대로 또는 부분으로 나누어 냉동시킨다.Frozen foods include fruits, vegetables, livestock products, aquatic products, and cooked foods.The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differ in the processing of frozen foods. Meat or fish is frozen as it is or divided into parts.

이들은 해동하기 위해서는 5∼10 ℃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는 자연해동이 바람직하다. 해동의 온도차가 커질수록 조직은 더욱 파괴되고 드립이 많이 흘러나온다. 그러나 온도차가 적은 것이 좋다고 하여도 0 ℃ 이하에서는 얼음결정이 커지고 오히려 조직이 파괴된다.It is preferred that they thaw naturally at some low temperatures of 5 to 10 ° C. to thaw.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awing, the more tissue is destroyed and the more drips are released. However, eve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small, ice crystals become larger at 0 ° C or lower, and structure is destroyed.

더욱이 날식품을 전자레인지로 해동하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 채소류를 날것으로 얼리면, 서리맞은 상태가 되어 조직이 파괴되고 섬유가 단단해져서 식용할 수 없다. 때문에 데치기(blanching)라고 하여 수증기로 가열한 후 얼린다.Moreover, it is not very good to thaw raw foods in the microwave. When frozen vegetables are raw, they are frosted and the tissues are destroyed and the fibers are hardened and inedible. Therefore, it is called blanching and it is heated with water vapor and frozen.

따라서 해동법도 얼린 채 급속히 가열하는 것이 좋다. 과실류는 날것대로 얼리는 일이 많고, 그 때는 반해동상태에서 식용하든지, 얼린 채 주스로 만든다. 조리식품은 어느 것이나 오븐 또는 전자 레인지로 해동하는 것이 좋다.Therefore, it is better to heat rapidly while thawing. Fruits are often frozen raw, then eaten in half-thaw or frozen and juiced. Any cooked food should be thawed in an oven or microwave.

냉동식품은 저온에서 보존되므로 비타민 등의 감소와 영양적인 손실은 적다. 그러나 냉동실은 건조하고 냉동식품 중의 얼음결정은 승화되므로 식품은 건조되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한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하든지, 생선은 글레이즈라고 하여 얼음층을 생선 표면에 덮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Frozen foods are preserved at low temperatures, so fewer vitamins and fewer nutritional losses. However, the freezer compartment is dry and the ice crystals in the frozen food are sublimated, so the food is easy to dry.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ackaged with a cold-resistant plastic film, or the fish is called glaze, and the method of covering an ice layer on the fish surface is taken.

또 건조에 따라 지방질의 산화가 일어나기 쉽고, 그 결과 냉동변색 등이 일어나는 결점이 있다. 냉동식품의 보존은 장기간일 때에는 -30 ℃ 이하, 단기간이라도 -15 ℃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저온일수록 식품의 변화가 적은 것과 15 ℃ 이상에서는 얼음 결정이 성장하여 급속냉동하더라도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매할 때는 -15 ℃ 이하로 보존하는 것이 관례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drawback that oxidation of fat easily occurs as drying, resulting in freezing discoloration. Frozen food should be stored at -30 ℃ or less for long periods of time, or -15 ℃ or less for short periods of tim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less change in the food and the higher the ice crystals grow at 15 ° C or above, and thus the effect is reduced even after rapid freezing. Therefore, when selling, it is customary to keep it at -15 ° C or lower.

특히 수산물 같은 경우에는 어선에서 직접 냉동시킨 상태로 포장을 하게 되며, 이때 냉동포장은 어획된 수산물을 상자 등에 가지런히 정렬시킨 상태에서 급속 냉동과정을 거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quatic products are packaged in a frozen state directly from the fishing vessel, the frozen packaging is subjected to a quick freezing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ed seafood is aligned neatly in a box.

이렇게 상자에서 냉동된 수산물은 매장으로 이송되어 진열대에서 판매되도록 진열대에 진열된다. 이때 판매자 등은 상자에서 냉동된 수산물을 낱개로 떼어내게 된다.The frozen seafood in the box is transferred to the store and displayed on the shelves for sale on the shelves. At this time, the seller will separate the frozen seafood from the box.

이와 같이 냉동된 수산물은 진열되기 전에 서로 떼어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냉동으로 붙어있는 수산물이 떨어지면서 수산물의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냉동된 수산물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여러 번 충격을 가해 주어야 하므로 육체적인 피로도가 높아지게 되며, 칼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냉동된 수산물을 떼어내게 되는 경우에는 칼 등에 의해 손을 베거나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us, the frozen seafoo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efore being displayed. The frozen seafood falls, so that it cannot maintain the original shape of the seafood. When the degree of fatigue is increased and the frozen seafood is removed using a sharp tool such as a knife, there is a problem such as cutting or hurting a hand by a knife or the like.

또 진열되는 수산물은 소량으로 진열되므로 냉동실이나 냉동고에서 상자 등을 꺼내었다가 다시 넣어 보관해야 되는 불편이 있으며, 냉동으로 인해 중량이 무거운 상자를 수시로 옮겨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displayed seafood is displayed in a small amount, so take out the box from the freezer or freezer and then put it back there is inconvenient to st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avy box must be moved from time to time due to freez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동되는 식품이 소량으로 구분되어 냉동됨으로써 냉동식품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키는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zen food separation plate for simple and easy separation of frozen food by being divided into a small amount of frozen food froze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냉동된 식품을 분리할 때 원형을 유지된 상태로 분리되게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plate for frozen food to be separated in a circular state when separating the frozen food.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은 상자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rozen food separato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ttom pl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a vertical wall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수직벽과 수직벽 사이에 냉기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 및 수직벽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cold air passes between the vertical wall and the vertical wall, the bottom plate and the vertical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move freely.

상기 구멍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long hole having the same length.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식품을 수직벽에 의해 소정의 묶음 단위로 냉동시키므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충격이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분리 시간이 단축되며, 판매자 및 소비자의 거래 시간을 줄여주게 되어 신속한 거래로 판매를 촉진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reezes the food in a predetermined bundle unit by the vertical wall, so that the separation is easy, and the separation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 separation is performed without using an impact or a tool, and the transaction time of the seller and the consumer.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it can reduce sales and promote sales with rapid trading.

또 본 고안은 분리판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냉동식품의 냉동시 분리판의 상면과 하면으로 유입된 냉기에 의해 냉동시키고자 하는 대상의 냉동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is formed in the separation plate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freezing time of the object to be frozen by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plate during the freezing of frozen food.

도 1은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이 상자에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or plate for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to the box.

도 1은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이 상자에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parator for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zen food separato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zen food separato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to the box.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은 상자 등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수직벽(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o 5, the separator plate for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wall 1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uch as a box and a vertical wall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110 ( 120).

이러한 바닥판(110)은 상자 등과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10)에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수직벽(120)이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in a size such as a box, and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with vertical walls 120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바닥판(110)과 수직벽(120)은 냉동시키고자 하는 식품의 형태에 따라 자유로이 변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vertical wall 120 should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d to be frozen, it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또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은 냉동하고자 하는 식품과 함께 상자(130)에 투입된 상태에서 냉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직벽(120)과 수직벽(120) 사이의 바닥판(110)에는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eezing plate for the frozen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frozen food is put into the box 130 together with the food to be frozen, the bottom plate 110 between the vertical wall 120 and the vertical wall 120 has a hole. 111 is formed.

상기 구멍(111)은 바닥판(110)의 형태적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냉동장치에서 발생된 냉기가 바닥면으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ole 111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morphological deformation of the bottom plate 110 as well as to allow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freezing device to flow from the bottom surface.

또 구멍(111)은 도 1 및 도 2에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나, 구멍(111)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하여 수직벽(120) 사이에 2개 내지 4개의 동일한 길이로 된 장공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hole 111 is formed as one in FIG. 1 and FIG. 2, the hole 111 may be shorter and may be formed of two to four equal lengths between the vertical walls 120. .

한편 수직벽(120)은 상자(1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높이로 이루어져 상자 내부에 안착되게 한다.
Meanwhile, the vertical wall 120 has a height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box 130 to be seated inside the box.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동식품용 분리판은 수직벽(120)과 수직벽(120) 사이에 냉동시키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고서 냉동장치 등에 의해 식품을 냉동시키게 된다.Frozen food separato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such a configuration is to place the food to be frozen between the vertical wall 120 and the vertical wall 120 to freeze the food by a freezing device or the like.

이때 바닥판(110)에는 수직벽(120) 사이에 냉동하고자 하는 식품이 안정되게 놓여져 있으며, 생선 종류인 경우 수직벽(120)과 수직벽(120) 사이의 공간에 생선의 머리 부위를 일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꼬리 부위를 타측으로 위치시키며, 다른 하나의 생선을 반대되게 위치시킨다.At this time, the food to be frozen is stably placed between the vertical wall 120 on the bottom plate 110, and in the case of the fish type, the head of the fish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wall 120 and the vertical wall 120 to one side Place the tail on the other side while placing it, and place the other fish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같이 각각의 수직벽(120) 사이에는 2마리의 생선이 놓여지며, 이들 생선은 머리 부위가 각각 반대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또 꽃게 등과 같은 갑각류는 크기에 따라 수직벽(120) 사이에 3~4 마리의 꽃게 등을 놓아두고서 냉동공정을 거치게 된다.Thus, two fish are placed between each vertical wall 120, and these fish are placed at positions where their heads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addition, crustaceans such as blue crabs are subjected to the freezing process by placing three to four blue crabs, etc., between the vertical walls 120 depending on the size.

이러한 냉동공정시 분리판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케이스에 넣은 상태에서 냉동시키고자 하는 생선과 함께 급속 냉동시설에 투입된다. 이렇게 투입된 분리판은 개방된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구멍(111)을 통해 냉기가 유입됨으로써 생선의 냉동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냉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freezing process, the separator is placed in a quick freezing facility together with the fish to be frozen in a metal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is way, the separator is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through the openings 11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parator to freeze the fish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또한 상자에는 하나의 분리판이 저장되고, 분리판에는 10여 마리 단위의 생선이 냉동 포장된다.In addition, one box is stored in a box, and about 10 fish are frozen in the separator.

한편 상자에는 여러 개의 분리판이 적층될 수도 있으며, 적층된 분리판을 떼어냄으로써 각각 적층된 냉동식품의 분리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eparator plates may be stacked in the box, and by separating the stacked separator plates, each of the stacked frozen foods is easily separated.

이렇게 냉동된 식품은 분리판과 함께 상자에 투입되어 판매처로 이송되며, 진열대에서 진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품의 진열은 상자 단위로 이루어지며, 판매자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1마리 또는 2~3마리 단위로 판매되는데, 판매자는 냉동된 식품을 분리시켜야 한다.The frozen food is put in a box together with a separator plate and transported to a retailer. The display of these commodities is done in boxes, and the seller is sold in units of one or two or thre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consumer, who must separate the frozen food.

이러한 냉동된 식품의 분리는 수직벽(120)에 의해 나누어져 있으므로, 냉동되어 있더라도 2마리 단위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소비자가 1마리를 요구하게 되더라도 2마리 단위로 냉동된 상태에서 1마리를 떼어내게 되므로 냉동된 생선 분리에 따른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eparation of the frozen food is divided by the vertical wall 120, even if frozen, it is easy to separate in two units, even if the customer requires one, in a frozen state in two units 1 Since the birds are removed, the time for separating frozen fish can be greatly reduced.

110: 바닥판
111: 구멍
120: 수직벽
110: bottom plate
111: hole
120: vertical wall

Claims (4)

상자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진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
Bottom pl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box,
Separating plate for frozen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wall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수직벽과 수직벽 사이에 냉기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
The method of claim 1,
Separating plate for frozen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cold air passes between the vertical wall and the vertical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및 수직벽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late and the vertical wall separator plate for frozen food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move fre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용 분리판.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e is a frozen foo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 hole having the same length.
KR2020100006792U 2010-06-28 2010-06-28 Frozen Food Separator KR2012000008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92U KR20120000080U (en) 2010-06-28 2010-06-28 Frozen Food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92U KR20120000080U (en) 2010-06-28 2010-06-28 Frozen Food Sepa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80U true KR20120000080U (en) 2012-01-04

Family

ID=4584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92U KR20120000080U (en) 2010-06-28 2010-06-28 Frozen Food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08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nerjee et al. Superchilling of muscle foods: Potential alternative for chilling and freezing
Wang et al. Rapid cooling of porous and moisture foods by using vacuum cooling technology
Desrosier Fundamentals of food freezing
US20020012724A1 (en) Process for the filleting, treating, packaging, freezing, and thawing of varying types of tuna and other pelagic species
Muthukumarappan et al. Food freezing technology
Jessen et al. Chilling and freezing of fish
Alsailawi et al. Effect of frozen storage on the quality of frozen foods—A review
Alexandre et al. Frozen food and technology
KR20120000080U (en) Frozen Food Separator
Magnussen et al. Freezing of fish
Gonçalves et al. Quality of frozen fish
CN103202330A (en) Living date, medlar and apricot fresh-keeping storage method in circulation of commodities
Ninan Handling, Chilling and Freezing of Fishery Products
Sharanagat et al. Fish freezing: principles, methods, and scope
Marella et al. Food freezing technology
Kendall et al. Food storage for safety and quality
Vaishali et al. Effect of freezing systems and storage temperatures on overall quality of perishable food commodities
Ninan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of fish products
Bantle et al. Superchilling of organic food
Stefanovskiy Processes and Technological Systems for Freezing of Foodstuff
Parvathy et al. Seafood handling and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Shotlou et al. Still cooling in air and surface top icing
Vettel et al. Home care of purchased frozen foods
Ninan Freezing and frozen storage of fish and shellfish products
Eek A convenience born of necessity: the growth of the modern food freezing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