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904A -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904A
KR20110132904A KR1020100052502A KR20100052502A KR20110132904A KR 20110132904 A KR20110132904 A KR 20110132904A KR 1020100052502 A KR1020100052502 A KR 1020100052502A KR 20100052502 A KR20100052502 A KR 20100052502A KR 20110132904 A KR20110132904 A KR 2011013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manufacturing
workpiece
exfoliating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354B1 (ko
Inventor
염수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논
Priority to KR1020100052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3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6Cuticl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은 신체의 발뒤꿈치 부분에 발생하는 각질(피부의 표피가 변화하여 굳어진 것)을 제거하는 연마용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적용한다. 먼저, 상기 연마용구의 몸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원재료를 발포성형하여 기초제조물을 제작한다. 상기 원재료는 폴리우레탄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작된 기초제조물을 표면세척한 다음 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기초제조물의 외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차 가공물을 제작한다. 상기 제1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연마석을 점착하여 제2차 가공물을 제작한다. 상기 연마석은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및/또는 실리콘카바이드(SiC)를 포함한다. 상기 제2차 가공물을 고온건조하여 제3차 가공물을 제작한다. 상기 제3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여 최종제조물을 제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최종제조물을 항균금속이온(Ag+, Zn2+, Cu2+ 등)이 포함된 무기금속 항균제로 항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ABRASIVE TOOL MANUFACTURE METHOD FOR REMOVING SOLE CORREUM}
개시된 기술은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또는 각질 제거기)는 신체의 발뒤꿈치 등에 발생되는 각질부위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는 신체의 특정부위를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신체에 대한 안정성, 사용의 편리성, 세균침투예방과 용도가 중요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은 원재료를 발포성형하여 기초제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기초제조물을 표면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기초제조물의 외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연마석을 점착하여 제2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2차 가공물을 고온건조하여 제3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여 최종제조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제조물은 상기 최종제조물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은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1 및 제2 반구들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반구들 각각의 높이와 직경은 다를 수 있음-; 상기 성형된 제1 및 제2 반구들을 열융착시켜서 중간생성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중간생성물을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중간생성물의 외부면에 제1 점착제를 도포하여 연마석을 점착시킨 다음 고온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온건조된 중간생성물을 제2 점착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연마용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연마용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한 다른 연마용구를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한 또 다른 연마용구를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부여된 부호는 개념적인 의미로 부여된 것으로, 외부형상이 다르다 하더라도 동일레벨의 개념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연마용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초제조물(120)은 원재료(110)인 발포수지를 발포성형하여 제작된다(단계 S110). 여기에서, 발포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수지는 신체의 각질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발포수지의 원재료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발포수지는 유사한 특성(예를 들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기초제조물(120)은 제1 반구(121) 및 제2 반구(1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구(121) 및 제2 반구(122)는 각각 제작될 수 있다. 만일 각각 제작된 경우, 기초제조물(120)은 제1 반구(121)와 제2 반구(122)를 열융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구(121) 및 제2 반구(122) 각각의 높이와 직경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높이가 직경의 약 2배라고 가정한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 기초제조물(120)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한 타원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타원형상에 상응하는 기초제조물(120)은 발바닥을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초제조물(120)은 표면세척한 뒤에 건조된다(단계 S120). 표면세척은 기초제작물(120)의 제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서, 표면세척은 세척노즐(2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수는 시너(Thinner)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는 발포수지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차 가공물(130)은 건조된 기초제조물(120)의 외부면에 점착제(311)를 도포하여 제작된다(단계 S130). 일 실시예에서, 점착제(311)는 점착노즐(310)에서 분사되어 기초제조물(120)의 외부면에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311)는 열경화성수지인 페놀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열경화성수지는 내수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갖는다.
제2차 가공물(140)은 점착제(311)가 도포된 제1차 가공물(130)의 외부면에 연마석(320)을 점착하여 제작된다(단계 S140). 일 실시예에서, 연마석(320)은 분말입자상태의 연마재이며, 연마용구의 사용목정에 상응하는 연마석(320)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검은색계열의 실리콘카바이드(SiC) 또는 흰색(투명)계열의 알류미늄옥사이드(Al2O3)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석(320)의 크기는 직경이 0.1㎜ 내지 0.4㎜에 상응할 수있고, 제1차 가공물(130)의 외부면에 점착되는 연마석(320)의 밀도는 1㎠의 면적에 50 내지 70개의 입자(알갱이)들이 점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마석(320)의 밀도는 약 60개의 입자들이 점착될 수 있다. 연마석(320)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각질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너무 큰 경우에는 각질제거부위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석(320)은 모스 경도(Mohs hardness)는 8 내지 9에 상응하는 커런덤(Corundum, 강옥), 알렉산드라이트(Alexandrite)를 포함하는 크리조베릴(Chrysoberyl), 알루미나이트[Al2SO4(OH)·7H2O], 첨정석(Spinel), 황옥(Topaz)일 수 있다. 이러한 연마석(320)은 강도가 각질을 제거하기에 충분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마석(320)과 더불어 다양한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차 가공물(130)의 외부면에 숯가루를 더 점착할 수 있다. 숫가루는 공기정화기능, 전자파차단효과, 원적외선방사효과, 습도조절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차 가공물(130)의 외부면에 반짝이(Dlitter)를 더 점착할 수 있다. 반짝이는 반사되는 빛이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여 연마용구의 외형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차 가공물(150)은 제2차 가공물(140)을 고온건조하여 제작된다(단계 S150). 건조온도는 점착제(311)의 종류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고온건조과정은 겔(Gel) 상태의 점착제(311)를 경화하여 연마석(320), 숯가루 및/또는 장식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최종제조물(160)은 제3차 가공물(150)의 외부면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작된다(단계 S160). 일 실시예에서, 보호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411)은 코팅노즐(410)에서 분사되어 제3차 가공물(150)의 외부면에 도포된다. 보호코팅층은 연마석(320), 숯가루 및/또는 장식부재가 최종제작물(1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마석(320)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액(411)은 점착제(311)를 이용하여 2중도포를 할 수 있다. 코팅액(411)과 점착제(311)의 종류가 다르다 하더라도 점착역활을 하는 코팅액(411)을 사용한 경우, 점착제(311)를 제1 점착제로 하고, 코팅액(411)을 제2 점착제로 정의한다.
최종제조물(160)을 항균금속이온(Ag+, Zn2+, Cu2+ 등)이 포함된 무기금속 항균제로 항균처리한다(단계 S170). 무기금속 항균제는 연마용구로 각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인체로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기금속 항균제는 다른 항균제보다 신체에 대한 안정성, 지속성, 열안정성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금속이온(Ag+, Zn2+, Cu2+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항균금속이온은 항균활성과 안전성이 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신체에서 발생하는 각질은 사람마다 다르고 발생부위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 발생하는 각질과 엄지발가락에 발생하는 각질, 팔꿈치에 발생하는 각질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를 갖는 다수의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를 다수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가 다수의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를 보관하고 사용하는 것을 불편하게 한다.
개시된 기술은 하나의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를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부분마다 서로 다른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연마용구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부호의 동일한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상부몸체의 제작(단계 S610)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하부몸체의 제작도 동일한 과정(단계 S620)으로 제작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초제조물(710)은 원재료(110)인 발포수지를 발포성형하여 상부몸체(741)를 제작한다(단계 S611). 도 7에서 상부몸체(741)는 도 2의 기초제조물(120)의 중앙부를 절단한 상부의 형상에 상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가 동일한 형상일 경우에는 하나의 기초제조물(710)을 제작하여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에서 중앙몸체(736)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기초제조물(120)은 표면세척하여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뒤에 건조된다(단계 S612).
도 8에서 제1차 가공물(720)은 기초제조물(120)의 외부면에 점착제(311)를 도포하여 제작된다(단계 S613).
제2차 가공물(730)은 제1차 가공물(720)의 외부면에 연마석(820)을 점착하여 제작된다(단계 S614).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차 가공물(730)은 크기, 밀도, 색상이 다른 연마석(820)을 점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상부몸체(741)에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연마석(821)을 점착할 수 있고, 하부몸체(743)에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연마석(823)을 점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에 점착되는 연마석(820)이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하나의 연마용구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몸체(741)는 실리콘카바이드(SiC)를 점착하고 하부몸체(743)에는 알류미늄옥사이드(Al2O3)를 점착하면, 상부는 검은색이고 하부는 흰색인 연마용구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은 연마석(821)의 크기는 직경이 0.1㎜ 내지 0.2㎜일 수 있고, 중간 연마석(822)의 크기는 0.2㎜ 내지 0.3㎜일 수 있으며, 큰 연마석(823)의 크기는 0.3㎜ 내지 0.4㎜일 수 있다.
제3차 가공물은 제2차 가공물(730)을 고온으로 건조하여 제작된다(단계 S615).
상부몸체(741)의 하부면인 부착부를 연삭하고 가공한다(단계 S616). 연삭하고 가공하는 과정은 부착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착부인 하부면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착면을 고르게 하여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를 기밀하게 융착할 수 있다.
도 6에서 "S621" 단계 내지 "S626" 단계에 의한 하부몸체(743)의 제작과정은 상부몸체(741)의 제작과정과 동일하다.
최종제조물(750)은 각각 제작된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를 열융착하여 제작된다(단계 S630).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점착된 연마석(820)의 종류, 크기, 밀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상부몸체(741)와 하부몸체(743)는 동일한 제3차 가공물(740)의 일 군(群)에 속하며, 제3차 가공물(740) 군에서 서로 다른 두 개를 선택하여 접착부를 열융착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은 최종제조물(750)을 제작할 수 있다.
최종제조물(750)은 코팅과정(단계 S640)과 항균처리과정(단계 S650)를 거쳐 완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완제품은 하나의 제품에 서로 다른 연마기능을 갖을 수 있다.
기초제조물(120)은 셋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도 11에서 제3차 가공물(740)은 상부몸체(745)와 중앙몸체(746) 및 하부몸체(7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745)와 중앙몸체(746) 및 하부몸체(747)를 각각 열융착하여 최종제조물(1100)을 제작할 수 있다.
기초제조물(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도 12에서 상부몸체(1210)와 하부몸체(1220)는 마름모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부몸체(1210)에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연마석(1211)을 점착할 수 있고, 하부몸체(1220)에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연마석(1221)을 점착할 수 있으며, 상부몸체(1210)와 하부몸체(1220)를 열융착하여 최종제조물(1200)을 제작할 수 있다. 평면형태의 최종제조물(1200)은 각질제거 이외에도 손톱을 손질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 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보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은 비용이 낮으면서도 강도가 높은 알류미늄옥사이드(Al2O3) 및/또는 실리콘카바이드(SiC)를 포함하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보다 낮은 가격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및/또는 유사한 제품과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은 하나의 제품에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조과정에서 하나의 제품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가공물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연마석을 점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제품마다 별도의 생산라인이 요구되어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가 한정되었으나, 개시된 기술은 최소한의 생산라인으로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a) 원재료를 발포성형하여 기초제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제작된 기초제조물을 표면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기초제조물의 외부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1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제1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연마석을 점착하여 제2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e) 상기 제2차 가공물을 고온건조하여 제3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3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보호코팅층을 형성하여 최종제조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제조물은
    상기 최종제조물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형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e-1)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형상으로 제작된 제2차 가공물들을 각각 고온건조하는 단계; 및
    e-2) 상기 각각의 제2차 가공물들을 열융착하여 제3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1) 단계 및 상기 e-2) 단계 사이에
    상기 각각의 제2차 가공물들의 부착부를 연삭 및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각각의 제1차 가공물에 제1 및 제2 연마석들을 점착하여 상기 제2차 가공물들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연마석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특성은 크기, 종류, 경도(굳기),인성(靭性),입형(粒形),입도(粒度) 및/또는 표면거칠기에 따라 구분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최종제조물을 항균금속이온(Ag+, Zn2+, Cu2+ 등)이 포함된 무기금속 항균제로 항균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알류미늄옥사이드(Al2O3) 및/또는 실리콘카바이드(SiC)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1㎠의 면적에 50 내지 70개의 입자(알갱이)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의 모스 경도(Mohs hardness)는 8 내지 9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숯가루를 더 점착하여 제2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제1차 가공물의 외부면에 장식부재(Dlitter)를 더 점착하여 제2차 가공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12. a)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1 및 제2 반구들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반구들 각각의 높이와 직경은 다를 수 있음-;
    b) 상기 성형된 제1 및 제2 반구들을 열융착시켜서 기초제작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생성된 중간생성물을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중간생성물의 외부면에 제1 점착제를 도포하여 연마석을 점착시킨 다음 고온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고온건조된 중간생성물을 제2 점착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알류미늄옥사이드(Al2O3)를 포함하는 커런덤(Corundum, 강옥), 알렉산드라이트(Alexandrite)를 포함하는 크리조베릴(Chrysoberyl), 알루미나이트[Al2SO4(OH)4·7H2O], 실리콘카바이드(SiC), 첨정석(Spinel) 및/또는 황옥(Topaz)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의 크기는
    직경이 0.1㎜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KR1020100052502A 2010-06-03 2010-06-03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KR10126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502A KR101262354B1 (ko) 2010-06-03 2010-06-03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502A KR101262354B1 (ko) 2010-06-03 2010-06-03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904A true KR20110132904A (ko) 2011-12-09
KR101262354B1 KR101262354B1 (ko) 2013-05-08

Family

ID=4550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502A KR101262354B1 (ko) 2010-06-03 2010-06-03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79B1 (ko) * 2015-03-05 2015-10-13 주식회사 제논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20B2 (ja) 1994-09-28 2000-05-15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変速機のニュートラル位置割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79B1 (ko) * 2015-03-05 2015-10-13 주식회사 제논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GB2537971A (en) * 2015-03-05 2016-11-02 Zenon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rasive tool and an abrasive tool for removing kerat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354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16B1 (ko) 탈부착형 네일 데코레이션 부재의 제조방법
KR20150120452A (ko) 도포기 팁 조립체를 갖는 도포기 장치 또는 분배기
US20070277841A1 (en) Artificial nail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f French-nail decoration
EP1649928A4 (en) WATER ABSORBING 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112964A4 (en) ZINKOXID PARTICLES WITH SUPPRESSED SURFACE ACTIVITY,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101200646B1 (ko)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2354B1 (ko)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US200800861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ry skin
KR101558279B1 (ko)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각질 제거용 연마용구
KR101318887B1 (ko) 각질 제거구 및 이를 이용한 각질 제거용 발안마기
KR200466338Y1 (ko) 각질 제거구
KR200466339Y1 (ko) 손톱 손질용구
KR101627230B1 (ko)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WO2002008143A3 (en) Fused al2o3-y2o3-zro2 eutectic abrasive particles, abrasive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3030368A (zh) 用于马桶的陶瓷产品及其制备方法
JP2003275967A (ja) 木彫仕上げ用工具
CN101524833A (zh) 锆刚玉超涂层砂布
KR101231585B1 (ko) 전통가구 제조방법
KR200431098Y1 (ko) 장식용 기능성 건강메탈피스
EP2106782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wder wafers for eye shadows, face powder, make-up articles, blusher, etc. with a mosaic effect achieved by compacting variously coloured pellets
KR200288442Y1 (ko) 손발톱 연마구
CN110315895B (zh) 一种石材装饰板和加工方法
KR101761754B1 (ko) 개선된 시공성 및 적용성을 갖는 이종재료복합마감재와 이에 대한 가공방법
KR20100078774A (ko) 피부 각질 제거기 및 제조방법
KR102357592B1 (ko) 건조 생화 장식 형태의 인조 문양 아트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