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557A -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557A
KR20110125557A KR1020100045149A KR20100045149A KR20110125557A KR 20110125557 A KR20110125557 A KR 20110125557A KR 1020100045149 A KR1020100045149 A KR 1020100045149A KR 20100045149 A KR20100045149 A KR 20100045149A KR 20110125557 A KR20110125557 A KR 20110125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ignal
wearer
emergency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064B1 (ko
Inventor
이상민
고민수
노진용
임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urg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로 인한 응급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보정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한다.

Description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청기 착용자의 건강 이상에 따라 알람을 온/오프하여 응급 상황을 처리하는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청인은 일상 생활에서 대화를 듣고 나누는데 이해가 곤란할 정도로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 즉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하며, 난청 정도에 따라 27 dB ~ 40 dB의 청력 손실은 경도 난청, 41 dB ~ 55 dB의 청력 손실은 중등도 난청, 56 dB ~ 70 dB의 청력 손실은 중고등 난청 및 70 dB ~ 90 dB의 청력 손실은 고도 난청으로 분류되며, 91 dB 이상의 청력 손실은 농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청각에 장애가 있는 난청인은 일상 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는 바, 난청 정도를 충분히 보상해 줄 수 있는 장치인 보청기가 필요하며, 보청기는 난청 정도에 따라 화자음 또는 주변음을 증폭하여 난청인이 말소리를 보다 똑똑히 들을 수 있게 해 주며, 보다 자연음에 가깝게 들리도록 보조해 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화자음 및 주변음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송화기, 송화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정류 및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난청인의 귀로 전달하는 수화기 및 송화기, 상기 수화기 및 증폭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상자형, 귀속형, 귀 걸이형, 및 안경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귀속형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귀속 깊숙이 넣을 수 있는 고막형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이, 난청인에게 있어서 보청기는 항상 귀에 착용하고 다니는 기기로서 난청인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귀속형 보청기의 경우 각종 센서들이 귀속형 보청기에 장착이 되어 귀속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체온 변화 측정, 맥박 측정, 착용자의 넘어짐 혹은 진동, 충격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귀걸이형 보청기의 경우, 각종 센서들이 귀속에 위치되는 이어몰드(ear-mold)에 장착되어, 귀속형 보청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로 인한 응급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보정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은 (i)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iv)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황이 발생하여 체온, 맥박수, 충격량 정도 등의 신호가 일정하게 정해 놓은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어부에 의해 보청기 내부에 구비된 알람기를 작동시켜 알람을 발생하게 하여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음, 음악 등의 소리를 발생하거나 진동을 발생한다. 착용자로부터 측정된 체온, 맥박, 충격 신호는 보청기 내에 위치한 알람을 가동시키거나 보청기에 장착된(내부 장착 혹은 외부 장착)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보청기 리모콘에 알리게 되거나, 보청기에서 직접 혹은 보청기 리모콘을 통하여 휴대 전화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응급 알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응급 신호는 응급 상황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 응급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온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맥박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격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100), 무선 통신 단말기(200), 및 리모콘(미 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보청기(10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 제어부(120), 알람기(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110)는 체온 감지부(112), 맥박 감지부(114), 및 충격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체온 감지부(112)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체온 감지부(112)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체온 감지부(112)는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체온 감지부(112)는 보청기 표면에 온도 센서(도시안됨)를 부착하여 체온을 측정, 체온의 변화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일정 기준치 이상의 변화량을 보이거나 혹은 체온 측정치가 기준치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람 신호 발생. 정상상태에서 귓속 온도는 여타 신체 부위보다 변화량이 안정적이기에 급격한 변화량은 신체의 이상여부라 판별이 용이하며, 체온의 변화량이 지속될 경우 1차 알람 신호인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며, 변화가 지속되어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2차 알람 신호인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현재 상황 알림과 더불어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 수행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맥박 감지부(114)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맥박 감지부(114)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 맥박 감지부(114)는 보청기 표면에 압력 센서(미 도시) 또는 광 송수신 센서(미 도시)를 부착하여 혈액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귀속 외이도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맥박을 검출하거나, 광을 발생시키는 송신기, 광을 검출하는 수신기를 보청기에 장착하여 검출된 광의 세기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맥박의 유무를 검출함, 맥박의 변화량이 지속될 경우 1차 알람 신호인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며, 변화가 지속하여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2차 알람 신호인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현재 상황 알림과 더불어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격 감지부(116)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충격 감지부(116)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값인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한다. 충격 감지부(116)는 가속도 센서(미 도시)를 보청기(100)에 장착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시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고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센서값이 일정 기준치를 사용하여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충격상황이나, 움직임 정지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모니터링한다. 충격 감지부(116)에 대한 임계치는 세 단계로 구성되며, 첫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충격 기준치로서 충격의 여부를 판별하는 임계값이다. 두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일상 생활 기준치로서 충격이 없는 일상 생활시 발생하는 충격 센서값의 허용치이다. 세 번째 기준치는 정해진 일정의 움직임 정지 기준치로서 충격이 감지되지 않고, 움직임이 정지됨을 판별하는 임계치이다
제어부(120)는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112), 상기 맥박 감지부(114), 및 상기 충격 감지부(116)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100)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에 따라 보청기를 세 가지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는 보청기 리모콘(300) 또는 보청기(100)에 장착된 모드 변경 버튼(미 도시)에 의해 동작 모드의 수동 전환이 가능하다. 보청기(100)의 세가지 동작 모드는 다음과 같다. (1) 보청기(100)의 초기 상태는 감시 모드로서 통상의 보청기의 기능인 난청인을 위한 음성 증폭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20)부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의 이상 신호 수신을 감시한다. (2) 제어부(120)는 하나의 감지부로부터 변화량 이상 감지에 의한 경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를 경고 모드로 설정한다. 경고 모드 상태에서 보청기(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입력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리시버(미 도시) 및 알람기(130)를 통해 보청기 착용자에게 경고 신호 혹은 진동 발생시키고, 보청기 리모콘(300)에 경고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로 송신하고, 마이크(미 도시)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3)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감지기(110)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거나 2개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설정한다. 긴급 모드 상태에서 보청기(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경고 모드 상태와 동일한 동작, 즉 통신 모듈(140)을 통해 기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에 긴급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로 송신한다. 다시 말해, 경고 모드에 저장된 생체 정보 감지 데이터 및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응급 상황 처리부(210)로 송신한다.
알람기(130)는 위급 상황에 대한 알람뿐 아니라 미리 약속된 시간에 대해서도 알람이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보청기(100)는 내부에 시계 혹은 타이머와 같이 시간을 카운팅하는 기능이 있다. 통신 모듈(140)은 상기 알람기(130)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미 도시)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저장부(미 도시)는 보청기의 동작 모드가 경고 또는 긴급 모드시 보청기의 마이크 입력으로부터 수신된 사고시의 음성 신호를 저장한다. 이는 긴급 모드시 실시간으로 무선 단말기로 송신되어 보청기 착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린다. 또한 PC 또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추출 가능하기에 보청기 착용자 이외의 보호자 흑은 응급 구조 요원이 사고시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응급 대처가 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200)는 응급 상황 처리부(210) 및 단말기 센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응급 상황 처리부(210)는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의해 수신된 응급 신호는 알림 상황 저장 DB(214)에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응급 상황 알림부(214)에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단말기 센서부(220)는 GPS 센서(222) 및 카메라(224)를 포함한다. GPS 센서(222)가 장착된 무선 통신 단말기(220)의 경우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황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보내는 기능이 있다.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가 경고 모드 또는 긴급 모드로 변경되면 보청기 리모콘(미 도시)은 상기 보청기(100)로부터 전달된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예를 들면, 큰소리가 나거나, 불빛을 내거나, 진동을 하거나, 보청기 착용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 응급 상황을 전달을 수행하고, 보청기 착용자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200)의 응급 상황 처리부(210)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번호로 전화를 수행한다. 또한 보청기(100)로부터 알람 발생 전후 일정 시간 간격의 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리모콘 자체 메모리(310)에 저장하여 추후 사고 당시 상황 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청기 리모콘은 보청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서 기존의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 명령을 발생하거나, 보청기(100)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외에 기존의 보청기 리모콘에는 없었던 보청기(100)로부터의 온도 또는 혈압과 같은 생체 신호의 수신기능, 보청기(100)로부터의 충격 센서 신호 수신기능, 알람 상황 수신 기능, 알람 상황시 보청기(100)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 수신기능, 생체 신호와 충격 센서 신호에 대한 임계치 셋팅 기능, 알람 시간 셋팅 기능, 알람 작동 상황 수신 기능과 상황 발생시 보청기 리모콘(300) 자체가 반응하게 하는 기능 (불빛 및 진동 발생)과 외부로 알리는 기능 (무선 통신 단말기 등에 자동으로 전화를 하게 하는 기능)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있다.
상기 보청기(100), 무선 통신 단말기(200), 및 보청기 리모콘에 저장된 알람 신호와 음성 신호는 알람 발생 시간과 GPS 센서(222)에 의해 제공된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알람 발생시마다 시간별로 저장되기에 추후 사고 당시 상황 판단이 가능하며, 응급 상황을 전송받은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센터에서 핸드폰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저장된 정보를 추가 수신할 수 있어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태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502). 단계 S502의 판단 결과,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보청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한다(S504).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S506).
단계 S502의 판단 결과, 상기 경고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지를 판단한다(S508).
단계 S508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S510). 그에 따라 알람기(130)는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통신 모듈(14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단계 S502의 판단에서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가 아닌 경우 경고 신호로 판단하거나 단계 S508에서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한 경우, 제어부(512)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발생된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통신 모듈(140)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한다.
100: 보청기 110: 생체 정보 감지기
112: 체온 변화량 감지부 114: 충격 감지부
116: 맥박 감지부 120: 알람 처리부
130: 알림기 140: 통신 모듈
150: 저장부 200: 무선 통신 단말기
210: 응급 상황 처리부 212: 알람 상황 저장 DB
214: 응급 상황 알림부 220: 단말기 센서부
222: GPS 수신부 224: 카메라

Claims (7)

  1.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보청기.
  2. 보청기 착용자의 생체 감지에 따라 보청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의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체온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체온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체온 감지부,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맥박 경고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맥박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맥박 감지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충격 기준치를 초과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움직임 정지 상황 경고 신호 또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발생하여 충격 감지부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감지기;
    상기 생체 정보 감지기로부터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감지부, 상기 맥박 감지부, 또는 상기 충격 감지부 중의 하나로부터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설정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 신호가 2개 이상의 감지부로 입력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및
    상기 알람기에 의해 발생된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또는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상기 알람 신호와 알람 발생시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내의 음성 신호를 알림 상황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응급 상황 알림부에 프로그램된 처리 순서에 따라 보호자나 지인 혹은 응급 구조 센터에 응급 상황을 전송하는 기능이 있는 응급 상황 처리부;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응급 상황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보내는 단말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 (i) 감지부 알람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감지부 신호가 경고 신호 또는 긴급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체온 경고 신호, 맥박 경고 신호, 및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청기를 경고 모드로 변경하고 경고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된 경고 신호가 상기 체온 경고 신호, 상기 맥박 경고 신호, 및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 중 2개 이상 포함하거나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보청기를 긴급 모드로 변경하고 긴급 모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iv) 상기 발생된 경고 모드 제어 신호 및 긴급 모드 제어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경고 모드 알람 신호 및 긴급 모드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무선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보청기 리모콘으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상기 맥박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지만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발생하며,
    상기 충격 상황 경고 신호는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일상 생활 기준치 내지 충격 기준치인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긴급 신호는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변화량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측정된 보청기 착용자의 체온 측정치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체온 긴급 신호,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동시에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맥박수가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맥박 긴급 신호, 및 상기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청기 착용자의 충격량이 상기 충격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충격 상황 긴급 신호를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단계 (i)의 판단 결과 상기 감지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보청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의 동작 방법.
KR1020100045149A 2010-05-13 2010-05-13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KR10113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ko) 2010-05-13 2010-05-13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ko) 2010-05-13 2010-05-13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57A true KR20110125557A (ko) 2011-11-21
KR101135064B1 KR101135064B1 (ko) 2012-04-13

Family

ID=4539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49A KR101135064B1 (ko) 2010-05-13 2010-05-13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6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29B1 (ko)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진동패턴 알림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KR101250934B1 (ko)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양귀 삽입형 보청기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KR101250951B1 (ko)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위험요소 감지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CN103456132A (zh) * 2013-08-28 2013-12-18 史会同 安防用应急报警器
WO2015133672A1 (ko) *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101625905B1 (ko) * 2016-03-21 2016-06-13 주식회사 더열림 맥박측정 및 촬영이 가능한 보청기, 이를 이용한 위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4143690A (zh) * 2020-09-03 2022-03-04 孙立民 多功能居家检测助听装置及其方法
KR102478182B1 (ko) * 2021-07-22 2022-12-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헬스케어 이어폰,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23837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20230023838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945A (ko) * 2012-12-20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기의 상태를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398Y1 (ko) 2003-06-25 2003-10-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건강 자가진단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KR100617576B1 (ko) 2005-04-22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로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80088217A (ko) * 2007-03-29 2008-10-02 한범욱 알람기능을 갖는 맥박감지 이어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951B1 (ko)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위험요소 감지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KR101250929B1 (ko)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진동패턴 알림 기능을 가지는 양귀 삽입형 보청기
KR101250934B1 (ko) * 2012-08-27 2013-04-09 정윤석 양귀 삽입형 보청기를 이용한 위험요소 감지 시스템
CN103456132A (zh) * 2013-08-28 2013-12-18 史会同 安防用应急报警器
WO2015133672A1 (ko) *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101625905B1 (ko) * 2016-03-21 2016-06-13 주식회사 더열림 맥박측정 및 촬영이 가능한 보청기, 이를 이용한 위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4143690A (zh) * 2020-09-03 2022-03-04 孙立民 多功能居家检测助听装置及其方法
KR102478182B1 (ko) * 2021-07-22 2022-12-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헬스케어 이어폰,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23837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20230023838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102648744B1 (ko)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응급 상황에 따른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064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64B1 (ko)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DK2472907T3 (en)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arm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CN101690256B (zh) 包括噪声剂量计的耳机***
US11277697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with enhanced fall detection features
US8363868B2 (en) Hearing aid, hearing-aid apparatus, hearing-aid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thereof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KR102001320B1 (ko) 워칭 시스템, 워칭 검지 장치 및 워칭 통보 장치
KR20090089741A (ko) 낙상 자동 감지 경보 시스템
JPH1011674A (ja) 異常通報システム
KR101260465B1 (ko) 손목동맥 맥파를 감지하여 혈압을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126988A (ko) 위험 상황 알림용 영상 촬영 및 전송 장치
KR20080088217A (ko) 알람기능을 갖는 맥박감지 이어폰
JP2020113017A (ja) 通報用移動端末、通報システム及び通報方法
KR101260464B1 (ko) 긴급구조요청 무선통신단말기의 전원보호방법
JP6285836B2 (ja) 携帯端末
WO2011101623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KR20180050964A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KR20140081945A (ko) 청각기의 상태를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507322B1 (ko)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20150097064A (ko) 지능형 호출 알림 서비스 시스템
KR20160111751A (ko)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
US201703581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function by means of bluetooth earphones
JP2009213025A (ja) 補聴器ケース
KR20160101454A (ko) 수면 무호흡 자가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0085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음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소음경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