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448A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448A
KR20110122448A KR1020100041974A KR20100041974A KR20110122448A KR 20110122448 A KR20110122448 A KR 20110122448A KR 1020100041974 A KR1020100041974 A KR 1020100041974A KR 20100041974 A KR20100041974 A KR 20100041974A KR 20110122448 A KR20110122448 A KR 2011012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effect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시준
유영경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0004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448A/en
Publication of KR2011012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44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PURPOS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ilipendula formosa extract is provided to suppress MMP-1 generation and melanogenesis and to ensure collagen synthesis and antioxidation. CONSTITUTIO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r antioxidation contains Filipendula formo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and anti-winkling contains the Filipendula formo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skin moisturization contains the Filipendula formos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Filipendula formosa extract is contained in 0.00001-30.0%(w/w) based on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Filipendula formosa extract is isolated using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 alcohol of 1-4 carbon atoms,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diethyl ether, hexane, or mixture there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used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oil, spray, or mixture thereof.

Description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노화 (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 상태, 환경 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Human skin undergoes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during the aging process. The causes are largely divided into intrinsic aging and photo-aging, and research on th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UV rays, stress, disease conditions, environmental factors, wounds, and free radicals may be caused by aging, which intensifies the body's ability to destroy antioxidant defenses and damage cells and tissues. And aging.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lipids, proteins, polysaccharides, nucleic acids, and the like, which are major constituents of skin, are oxidized to destroy skin cells and tissues, resulting in skin aging.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 (collagen),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엘라스틴 (elastin),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 반응에 의해 매개되어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 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oxidation of proteins is caused by severe cuts in the connective tissues of the skin, such as collagen, hyaluronic acid, elastin, proteoglycan, and fibronectin, resulting in severe over-inflammatory reactions and skin elasticity. If this becomes worse, mutations in the DNA can lead to mutations, cancer, and reduced immune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ell membrane by eliminating free radicals generated by metabolic processes of the body, ultraviolet rays, and inflammatory reactions.Also, damaged cells must be regenerated by active metabolism to proliferate the cells. The skin can recover quickly and maintain healthy skin.

노화에는 이러한 자유라디칼 뿐만 아니라 콜라겐 분해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라는 효소도 관여한다. 즉,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 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Aging involves not only these free radicals but also an enzyme call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 collagen degrading enzyme. In other words, the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such as collagen in vivo is properly controlled, but collagen synthesis decreases as aging progresses, an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n enzyme that degrades collagen, promotes the skin. Elasticity is reduced and wrinkles are formed. In addition, such degradation enzymes may be activa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세포내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그 발현이 유도되는 MMP 발현량 및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substance capable of regulating or inhibiting MMP expression in which activation is induced in cells. Until now, most of the raw materials used as materials for cosmetics simply inhibited enzyme activity. Therefore, we tried to regulate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 expression induced by intracellular natural aging and photoaging.

한편, 색소 침착에 의한 피부 변화가 생긴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인자에는 기본적으로 인종과 지역, 성별, 나이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면 기미, 주근깨와 자외선 노출로 인한 태닝과 같은, 부분 또는 전체적인 색소 침착, 그 외에 여드름 및 흉터, 각질의 분포 상태와 혈액 순환, 스트레스, 건강 상태 등이 있다. 이상의 인자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색소 침착이다. On the other hand, skin changes occur due to pigmentation. Factors that determine skin color include basic or partial pigmentation, such as tanning due to blemishes, freckles, and sun exposure, other than acne, scars, and the distribution of acne and skin, except for differences in race, region, sex, and age. Blood circulation, stress, and health. Among the above facto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pigmentation.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노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으로서, 이 멜라닌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정도이다. Pigments that affect skin color include melanin, melanoids, carotene, and hemoglobin, the most important of which is melanin,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biosynthesis of melanin is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and hormones in the body.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데, 특별한 최대 흡수 파장이 없고 전 영역의 빛을 흡수한다. 또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나, 때로는 멜라닌 자체가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멜라닌 구조 내의 카테콜이나 퀴논에 의하여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거나 산화시키고, 멜라닌 자체가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Melanin plays a major role in preventing or damaging the skin from ultraviolet rays by absorbing or scattering ultraviolet rays. There is no special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and it absorbs light in all areas. In addition, the function of removing active oxygen species is excellent, but sometimes melanin itself generates free radicals, and other substances are reduced or oxidized by catechol or quinone in melanin structure, and melanin itself shows the properties of free radicals. Pray.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 (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 과정을 거쳐 갈색 (pheomelanin), 흑색 (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The biosynthesis of melanin occurs through a series of oxidation processes, beginning with the conversion of tyrosine, an amino acid, from the melanocytes of melanin-forming cells into tyrocinase and into dihydroxy phenylalanine. It is formed from a polymer of eumelanin.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 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각질 세포의 식세포 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각질 세포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This biosynthesis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pecial type of brown cells in organelles called melanosomes. Melanosomes, including melanin granules, move from the periphery of the nucleus to the dendritic end of the dendritic projections and into the cytoplasm by the action of keratinocytes. Accumulate around the nucleus.

멜라닌의 합성과 멜라노좀의 수, 주위의 각질 세포로의 이동은 부분적으로 호르몬과 자외선 등에 영향을 받고 일차적으로는 유전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 밖에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및 멜라닌의 합성, 전송에 관여하는 세포내 조절인자인 싸이토카인(cytokine),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 이온 및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synthesis of melanin, the number of melanosomes, and the migration to the surrounding keratinocytes are partially affected by hormones and ultraviolet rays, and primarily by genetic influences. In addition, cytokines (cytokine), which ar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he synthesis and transfer of melanin, and metal ions such as copper, zinc and iron, and interferon, prostaglandin and histamine are known to be involved.

이미 아스코르빈산 (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 (일본특개평-192062), 코직산 (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 (일본특개평 4-93150)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화장품 제형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으므로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한 물질들은 그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생체 레벨과 유사한 흑색종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효과 평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scorbic acid (JP-A 4-9320), hydroquinone (JP-A-192062), kojic acid (JP-A-56-7710), arbutin (JP-A 4-93150), and some extracts of tyrosina Although it is used as a whitening cosmetic because of its anti-ageing activity, its use is limited due to its low stability in cosmetic formulations, which is degraded and colored, causing off-flavor, efficacy at the biological level, unclear effect, and safety problems. to be. The above substance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tyrosinase, but the effect is low in experiments similar to the actual biolevel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inhibitory effect by melanoma cell culture similar to the biological level is required.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화장품에서는 그 사용이 금지 또는 제한되고 있다. 코직산과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성분들을 소량 함유한 화장료는 실온에서 수 주일동안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In addition, hydroquinone is defined as a carcinogenic substance and its use is prohibited or restricted in cosmetics. Kojic acid and ascorbic acid are very unstable substances. Cosmetic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the above components may cause browning when stored for several weeks at room temperature.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함과 동시에 내측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 The skin protects the body from various external stimuli and at the same time has a barrier function to prevent moisture inside. To this end, the epidermal layer of the skin develops into a thin stratum corneum while containing moisture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Structurally, the cells of the stratum corneum act like bricks, and the intercellular lipids of the keratinocytes act as a mortar, forming the skin barrier.

그러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실내난방 및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해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피부 보습제로 다가 알코올, 당류가 일반적인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피부에 끈적임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효과를 주지 못하며, 또한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와 피부가 끈적이고, 겨울에는 외부 대기의 습도가 낮아 오히려 피부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오히려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However, as age increases, dry skin tends to increase, and the need for skin moisturizers increases due to indoor heating and air pollution. To this end, polyhydric alcohols and sugars as skin moisturizers have been used in cosmetics as general moisturizers. However,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stickiness occurs on the skin,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give sufficient moisturizing effect to the skin, and also does not give a continuous moisturizing effect. In addition, in the summer when the humidity is very high, rather than draw moisture from the outside, the skin is sticky, in the winter, the humidity of the outside atmosphere is low, rather draw the moisture from the skin, rather the problem of drying the skin occurs.

사람의 피부는 상대 습도에 아주 민감하며 통상적으로 상대 습도가 40 ~ 70%일 때 쾌적한 느낌을 갖는다. 상대 습도는 공기 1m3 속에 들어있는 수증기량과 같은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량의 비를 %로 나타낸 값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아주 습하며,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대기가 매우 건조하다. 사람의 피부 또한 계절의 변화 및 습도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고온 다습하여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불쾌감이 증가하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입술이나 피부 또한 건조해져 갈라지거나 때로는 호흡의 곤란을 느끼기도 한다. 이는 상대 습도가 높을 때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 끈적이게 되고, 반대로 상대 습도가 낮으면 피부의 수분이 증발해 건조해 지는 것이다. 특히, 상대 습도가 낮을 때 피부의 건조함은 당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Human skin is very sensitive to relative humidity and typically feels comfortable when relative humidity is between 40 and 70%. Relative humidity, and during the summer when the country as a value showing a ratio of the saturated water vapor content in% at the same temperature and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is very 1m 3 s due to high humidity in winter, it is very dry, the relative humidity is lower atmosphere. Human skin is also affected by seasonal changes and changes in humidity. In the summer months,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and high, the discomfort increases in the summer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high. I feel it.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high, the moisture in the air is absorbed and becomes sticky. On the contrary,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low, the moisture of the skin evaporates to dry. In particular,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low, the dryness of the skin is often accompanied by pulling and itching.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고자 오일, 당,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한 여러 가지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어왔다. 예컨대, 피부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서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을 강화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어렵고,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불쾌감을 주어 상대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In order to improve dryness of the skin, various cosmetic compositions using various moisturizing agents such as oils, sugars and polyol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by using the skin components such as ceramide, cholesterol, fatty acids, etc.,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strengthened to suppress moisture evaporating from the skin, or sugar, polyol, etc., which has a strong ability to bind with water on the surface of the skin, thereby improving skin moisture retention ability. To enhance the moisturizing effect of the ski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 effect for a long time in winter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low, and in the summer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high, rather uncomfortable, there is a difficulty in preparing a suitabl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relative humidity.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의 해결 및 여러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various problems and reduce skin irritation by various chemicals, cosmetics using natural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Natural ingredients have less side effects on the skin, and as the consumer's response to cosmetics using natural ingredients has recently increased, the development value of cosmetics as a cosmetic ingredient is increasing.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지리산에 자생하는 여러 식물들 중 지리터리풀로부터 얻은 성분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 세포 재생 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피부탄력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applicability of cosmetics to a variety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not been known so far, using antioxidants, cell regeneration effects, MMP- 1 Inhibition of production, MMP-1 production inhibition by UV induction,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were measured. It has been found that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as.

본 발명의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항산화용, 피부 세포 재생용,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antioxidant, skin cell regeneration,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skin whitening or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gelatinous extract extra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피부 화장료에 적용시, 항산화 효과, 세포 재생 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피부탄력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얻는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extract of the gelatin grass to the skin cosmetics,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by UV induction,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melanin produ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method for obtaining an inhibitory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or antioxidant containing gelatin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ell regeneration containing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skin elasticity, which contains a gelatin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the skin containing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30.0%(w/w)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gelatin pool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0.00001 to 30.0% (w / 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지리터리풀을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또는 포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latin pool extract is preferably gelatin pool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diethy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btained by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a fermentation method or a foaming metho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mixtures thereof.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and thes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ixture 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세포재생 효과, MMP-1 생성 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합성 증진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탄력 개선 효과, 미백효과 또는 보습 효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above cosmetic composition to the human skin,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melanin biosynthesis enhancement effect, wrinkle improvement effect, elasticity improvement It is achieved by the makeup method characterized by obtaining any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selected from the effect, the whitening effect, or the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에 따른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실험예 1, 실험예 2), 세포재생 효과(실험예 3),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4),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5),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실험예 6),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7), 피부주름 개선 효과(실험예 8), 피부탄력 개선 효과(실험예 9) 및 보습 효과(실험예 10)를 갖는다.The gelatinous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oxida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 Experimental Example 2), cell regeneration effect (Experimental Example 3),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4), MMP-1 production by UV in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5),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6),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7),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8),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9) and moisturizing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0 is obtained.

본 발명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피부주름 개선용,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for improving skin wrinkles,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for skin whitening, and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a gelatin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리터리풀(Filipendula formosa)은 장미목 장미과의 식물로서 개화 시기는 7~8월이다. 낙엽수가 많고 영양공급이 좋은 음지에서 자란다. 지리터리풀의 지리는 지리산을 가리키는 것이며 터리풀은 이 식물이 터리풀의 일종임을 나타낸 것으로 지리산 특산의 터리풀이라는 뜻이다. 지리산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었고 세계적으로 지리산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지리산의 깊은 숲속 계곡 주변이나 습윤지의 양지에서 자생한다. 여러해살이풀로 그 아름다움에 비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떠한 곳에 있어도 눈에 띄는 첫번째 이유는 키가 크기 때문인데 다 자라 꽃이 피면 1m까지 큰다. Filipendula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osa ) is a rosacea rose family that blooms from July to August. It grows in shades of deciduous trees and has good nutrition. The geography of the geography grass refers to Jirisan, which means that this plant is a kind of grass grass, meaning that it is a special grass of the Jirisan. It is the first plant found in Jirisan and grows only in Jirisan. It grows wild around valleys in Jirisan or in the wetlands. The perennial herb is not widely known for its beauty because it is not a common flower. The first reason that stands out anywhere is because of its height. When it grows up, it grows up to 1m.

지리터리풀의 터리풀은 털이풀, 혹은 털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꽃차례가 먼지털이와 비슷해서 그렇게 불리웠다고 한다. 키가 커서 마치 키작은 나무로 착각할 정도의 대형이며, 뿌리줄기가 발달해있고 줄기는 높이 1m이다. The ge grass is called hairy, or hairy, but it is called because the inflorescence is similar to dusty. It is tall enough to be mistaken for a small tree, with its root stems developed, and its trunk is 1m high.

지리터리풀은 노루오줌이나 터리풀과는 꽃의 색깔이 차이가 난다. 터리풀은 꽃의 색깔이 연분홍인 반면 지리터리풀의 꽃은 선분홍 빛으로 북부 지방과 만주에 분포하는 붉은터리풀과 꽃색이 비슷하지만, 열매에 털이 없고 열매자루가 없으며 잎줄기에 작은 잎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 특징으로 구분된다.Giriripul is different from the flower color of roe deer urine and turmeric. Lilies are light pink in color, while the flowers of the geli grass are vivid pink, similar in color to the red grasses distributed in northern and Manchuria, but have no hairs, no fruit stalks and small leaves on the stems. It is distinguished by a rarely developed feature.

민간에서는 터리풀류의 식물체 전체나 뿌리를 약초로 쓰는데, 특히 화상이나 동상에 쓴다고 한다.
Folks use all of the grass plants and roots as herbs, especially for burns and frostbite.

본 발명에 있어서, “지리터리풀”은 지리터리풀의 다양한 기관(예: 잎, 꽃, 열매, 줄기, 가지, 뿌리)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지리터리풀의 전초를 이용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geographical grass" mean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from various organs (eg, leaves, flowers, fruits, stems, branches, roots) of geological grasses, preferably geological grass outposts. It is used.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under the conditions of a conventional temperature and pressure,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solvent extraction metho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r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under reduce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with carbon dioxid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한 추출법 중에서도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lvent extraction metho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among the above extraction methods.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In addition,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nventional temperature and pressure, preferably (a)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Using Solvent Extraction is performed using (b) supercritical extraction by reduced pressure with carbon dioxide and high temperature or (c) ultrasonic extrac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한 추출법 중에서도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lvent extraction metho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among the above extraction methods.

본 발명에서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latin grass extract may be used in various extraction solvents, for example,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propylene glycol, 1,3-butyl It can be obtaine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n glycol, glycerin, aceto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ethanol, 70% ( v / v) obtained using ethanol or water, most preferably 70% (v / v) using ethanol.

한편,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extrac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리터리풀의 전초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입자의 크기가 300메시 이하가 되도록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1,3 부틸렌 글리콜 등을 가한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에서 1~15일간 추출하고 회전 감압 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때 1,3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에는 회전 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어려우므로 직접 위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건조 감량이 1%(w/w)되도록 30℃~60℃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에 이용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for preparing gelati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the outpost of the gelatin pool is washed with purified water, dried and crushed into small pieces so that the particles have a size of 300 mesh or less, followed by water of 1 to 10 times the dry weight, anhydrous or water of 1 to 4 carbon atoms. Lower alcohol,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or 1,3 butylene glycol and the like are added. After the cooling condenser is installed to prevent evapo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a state that is extracted by heating for 3 to 20 hours at 40 ~ 100 ℃, or extracted for 1 to 15 days at 4 ~ 40 ℃ and completely dried by a rotary vacuum evaporator . In this case, 1,3 butylene glycol is difficult to dry by using a rotary vacuum evaporator, so it is directly extracted in the above conditions and then dried in a hot air dryer at 30 ℃ ~ 60 ℃ so that the drying loss 1% (w / w) We use for cosmetics.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decompression by carbon dioxide, extraction by supercritical extraction by high temperature, extraction by ultrasonic extraction,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s,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The active frac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such as separation by sex), is also included 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또는 추가로 액상물을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obtained by cooling the extract at room temperature, heat filtration or additionally obtained by concentrating or freeze drying the liquid.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The decompression by carbon dioxide and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by high temperature mean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Generally, the supercritical fluid is a liquid having a gas when the gas reaches a critical point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t is gaseous, chemically similar in polarity to nonpolar solvents, and because of its properties, supercritical fluids are used for extraction of fat-soluble substances (J. Chromatogr. A. 1998; 479: 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Carbon dioxide becomes a supercritical fluid with both liquid and gaseous properties a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reach a critical point through the operation of a supercritical fluid device, resulting in increased solubility in fat-soluble solutes. Whe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asses through an extraction vessel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sample, the fat-soluble substance contained in the sample is extracted from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After extracting the fat-soluble substance,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osolvent is passed through the sample remaining in the extraction container to extract components that were not extracted with pur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lone.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The supercritical fluid used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by using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r a mixed fluid in which a co-solvent is added to carbon dioxide.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Such cosolvent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300메시 이하의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를 초임계 추출용기에 놓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적당한 온도 및 압력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시험관에 받는다. Most of the extracted samples contain carbon dioxide. Since carbon dioxide is volatilized into air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may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cosolvent may be removed by a reduced pressure evaporator. 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eparing gelatin pool extract by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the gelatin pool extract is washed with purified water, dried and broken into small pieces of 300 mesh or less, and then the sample is placed in a supercritical extraction container and subjected to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pump, the gelatinous extract is received in a test tube while flowing pure carbon dioxide into a supercritical state at a suitable temperature and pressure.

초임계 추출 시에 이산화탄소는 3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온도에서, 100 내지 500 기압,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기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기압의 압력 하에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In supercritical extraction, carbon dioxide is at a temperature of 35 to 100 ° C., preferably 50 to 70 ° C., more preferably about 60 ° C., 100 to 500 atmospheres, preferably 200 to 400 atmospheres, more preferably about 300 Supercritical is recommended under pressure.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is an extraction method us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the ultrasonic wave can destroy the insoluble solvent contained in the sample in the water-soluble solvent, the reactants located around due to the high local temperature generated Since the kinetic energy of the particles is increased, sufficient energy necessary for the reaction is obtained, and the impact efficiency of the ultrasonic energy induces high pressure to increase the mixing effect of the material and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sample, thereby increasing the extraction efficiency.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The extraction solvent that can be used i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The extracted sample may be vacuum filtered to recover the filtrate and then removed by a vacuum evaporator, and the extract may be obtained through a conventional extract preparation method of lyophilization.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의 초음파 추출법은 지리터리풀 또는 파쇄된 지리터리풀을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 추출기(슈퍼노닉,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25KHz의 강도로 30℃에서 약 1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며, 상기 초음파 추출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of the gelatin 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latin pool or crushed gelatin pool is placed in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and then the ultrasonic extractor. (Supernonic, United States) is to extract for about 1 to 6 hours at 30 ℃ with an intensity of 25KHz, the ultrasonic extraction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sample to be extracted.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미생물을 이용한 통상적인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균으로 20 내지 40 ℃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간 발효시킨다.In addition, the gelatin gras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xtract through a conventional fermentation process using a microorganism. At this time, the microorganisms available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and mixtures thereof, and fermented for 1 to 7 days while maintaining pH 5 to 7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 to 40 ℃.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을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효모는, 진핵미생물(핵과 세포질이 핵막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는 생물)에 속하며, 세포벽, 세포막, 핵, 사립체, 과립 등 세포 소기관을 갖추고 있다. 성의 구별이 없는 이들은 주로 budding(출아법)으로 번식하는데, 분리된 많은 효모들 중에는 발효능이 없는 것, budding 대신 fission(분열) 혹은 bud-fission 방법으로 증식하는 것, 자낭포자(ascospore)가 아닌 사출포자(ballistospore)를 형성하거나 포자(spore)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 등 다양한 그룹의 효모도 존재한다. 크기는 보통 5~10㎛로 세균의 5-10배 크기이며, 적정 pH는 4.5-5.5이나 1-10에서도 생존한다. pH 1에서 12시간 생존하는 효모는 박테리아보다 산에 강하므로 배지의 조건을 pH 3.5 내지 pH 3.8 정도로 맞추면 박테리아의 오염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The yeast used to ferment the gelatinous pool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eukaryotic microorganisms (organisms in which the nucleus and the cytoplasm are divided by the nuclear membrane) and have cell organelles such as cell walls, cell membranes, nuclei, private bodies, and granules. Those without sex distinction breed mainly by budding, among which many of the isolated yeasts have no fermentation capacity, multiply by fission or bud-fission instead of budding, and not ascospore. There are also various groups of yeasts, such as forming spores or not forming spores. The size is usually 5-10 ㎛, 5-10 times the size of bacteria, and the optimal pH survives at 4.5-5.5 but 1-10. Yeasts that survive 12 hours at pH 1 are more resistant to acids than bacteria, so adjusting the conditions of the medium to pH 3.5 to pH 3.8 can suppress bacterial contamination to some extent.

효모는 균종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0~25℃에서 잘 자란다. 보통은 50℃이상에서는 사멸한다고 하지만 그 온도 이상에서 합성이 되지 않는 성장요소를 배지에 직접 첨가해 줌으로써 어느 정도는 극복이 가능하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경우 40℃ 이상에서 사멸하지만 배지에 올레산(oleic acid)과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을 첨가해 줌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효모 균체 자체는 단세포 식물로서 단백질과 미량 광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을 발효시키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이다.Yeast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es, but most grow well at 20 ~ 25 ℃. Usually, it is killed above 50 ℃, but it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by adding the growth factor which is not synthesized above the temperature directly to the medium. Saccharomyces cerevisiae dies at over 40 ° C but can be prevented by adding oleic acid and ergosterol to the medium. Yeast cells themselves are single-celled plants that contain large amounts of protein and trace minerals. Thus, a preferred yeast for use in fermenting the gelatinous gra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ccharomyces cerevisiae.

또한 본 발명에서 지리터리풀을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산균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유산(젖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미생물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이 당으로부터 유산을 만드는 것을 발효라 하며, 이러한 발효과정을 거쳐서 발효식품이 만들어 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커스, 비피도 박테리움, 류코노스톡, 페디오 코커스, 락토 코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이다. 락토바실러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녹두를 발효시키는데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다.In addition, the lactic acid bacteria used to ferment the gelatinous gras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microorganisms that are ver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o decompos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or lactose to produce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lactic acid) or acetic acid. Generally, lactic acid bacteria make lactic acid from sugar is called fermentation, and fermented food is made through this fermentation process. Lactic acid bacteria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 Lactobacillus, Streptococcus, Bifido bacterium, Leukonostock, Pediococcus, Lactococcus and mixtures thereof, most preferably Lactobacillus . Among the Lactobacillus, the most preferred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in fermenting the green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plantarum .

또한 본 발명에서 지리터리풀을 발효시키는데 사용된 발효균으로 바실러스(Bacillus)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실러스는 포자 형성균으로, 토양이나 물속에 서식하며 대부분 유기물 분해와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실러스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푸밀리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커스,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서 이 균은 고초균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포도당과 같은 다양한 당류, 전분 등을 혐기적으로 대사하여, 메주나 청국장과 같은 발효 식품 제조에 이용되기도 하는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다. In addition, Bacillus bacteria can be used as the fermentation bacteria used to ferment the gelatinous grass in the present invention. Bacillus is spore-forming bacteria, which inhabits soil or water and is mostly associated with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Bacillus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pumilis, Bacillus rikenimomis, Bacillus megaterium, Bacillus polyfermentus, Bacillus mesentericus and mixtures thereof, Most preferably, Bacillus subtilis, which is also known as Bacillus subtilis, is an organic substance that is used to produce fermented foods such as meju and Cheonggukjang by anaerobic metabolism of various sugars such as glucose and starch. Decomposed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발효액은 다음의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The gelatin pool fermentation brot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steps:

a) 지리터리풀 전초를 분말로 만드는 단계;a) powdering gelatinous outpost;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지리터리풀 전초 분말을 정제수에 희석한 후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균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b) diluting the gelatinous grass starch powder prepared in step a) in purified water and then fermenting using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or mixtures thereof;

c) 상기 단계 b)의 발효에 의해 얻은 발효액을 여과하여 저온 숙성하고, 다시 여과하여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c) filtering the fermentation broth obtained by the fermentation of step b) to low temperature aging and again filtering to prepare a gelatinous fermentation broth.

상기 지리터리풀 발효액의 제조 단계에서, 상기 단계 a)의 지리터리풀 전초의 분말화는 100 내지 500 메쉬 크기 이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gelatin pool fermentation broth, the powdering of the gelatin pool outpost of step a) may be manufactured to a size of 100 to 500 mesh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단계 b)의 발효는 지리터리풀 분말과 정제수를 1:10으로 혼합한 후 121℃에서 멸균시킨 후 유산균(Lactobacillus sp), 효모균(Sacharomyces sp) 및/또는 바실러스균(Bacillus sp)을 접종하여 배양함으로써 달성된다. 발효 단계에서 사용된 지리터리풀 분말은 총 배양액 1L를 기준으로, 1 내지 50g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ermentation of step b) is mixed with gelatinous powder and purified water at 1:10 and then sterilized at 121 ° C. and then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sp, yeast bacteria (Sacharomyces sp) and / or Bacillus sp. By culturing. The gelatinous powder used in the fermentation step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0 g based on 1 L of the total culture solution.

또한, 발효단계에 사용된 효모 또는 유산균 및 바실러스 균은 총 배양액 1L 기준으로, 1 X 104 내지 1 X 105 세포수의 양으로 접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균주의 성상에 따라 통상적인 조건 및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에서 배양될 수 있다. 또한, 발효균의 배양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탄소원 및/또는 pH 조절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이때 적합한 배양조건은 30~37℃, pH 5~7의 호기 또는 통상혐기적인 조건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일간 배양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간 배양된다. In addition, the yeast or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bacteria used in the fermentation step is preferably inoculated in the amount of 1 X 10 4 to 1 X 10 5 cells, based on 1L of the total culture solu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ain and It may be cultured in aerobic or usually anaerobic conditions. In addition, additional carbon sources and / or pH adjusters may be added to further activate the culture of the fermentor. At this time, suitable culture conditions are preferably incubated for about 1 to 15 days in aerobic or normal anaerobic conditions of 30 ~ 37 ℃, pH 5-7, more preferably 1 to 7 days.

상기 단계 c)는 단계 b)에서 얻은 발효액을 1차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저온숙성하는 단계로서, 이때 여과는 0.25 내지 0.45μm 크기의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분의 지리터리풀 분말 알갱이 및 발효균을 제거할 수 있다. 1차 여과막으로 분리된 여과액은 저온 숙성하여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1차 여과막에 비해 더 세밀한 여과막으로 2차 여과한 후 농축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 농축물을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여과-숙성-여과-농축의 과정은 보다 유효한 효과가 있는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얻기 위한 공정단계로서, 저온 숙성과정은 0-4 ℃의 온도 범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여 균의 확실한 제거를 위하여 2차 여과막의 크기는 0.2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c) is a step of primary filtration of the fermentation broth obtained in step b) and low temperature aging of the filtrate, wherein the filtration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membrane of 0.25 to 0.45 μm size, and the excess gelatinous powder granules and fermentation bacteria Can be removed. The filtrate separated by the primary filtration membrane can be stabilized by aging at low temperature, and can be stored after concentration of the secondary filtration with a finer filtration membrane than the primary filtration membrane, and the concentrate is diluted appropriately. At this time, the filtration-aging-filtration-concentration process is a process step for obtaining a gelatin pool fermentation broth having a more effective effect, and the low temperature aging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for 5 to 10 days in a temperature range of 0-4 ° C. In order to reliably remove residual bacteria, the size of the secondary filtration membrane is preferably 0.25 μm or less.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지리터리풀 분말을 300 메쉬 크기 이하로 분말화한 뒤 배양액에 10 g/L 첨가하고,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균 또는 이의 혼합물을 50,000 cfu/L로 첨가하여 각각 효모는 30℃, 유산균은 37℃, 바실러스균은 37℃, 혼합균의 경우 경우에 따라 30℃ 및 37℃에서 선택하여, pH 5-7, 바람직하게는 약 pH 5.5로 호기적 또는 통성 혐기적인 조건으로 발효조에서 약 1일 내지 7일간 배양하여 발효시킨다. 배양 후 상기 발효액은 0.45μm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다음 이 여과액에 10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 0.25μm 막으로 2차 여과하여 농축한 뒤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제조한다. 사용하기 전에 최종 고형분의 농도를 10g/L가 되게 유지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gelatin grass powder is powdered to 300 mesh or less, and then 10 g / L i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nd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or a mixture thereof is added at 50,000 cfu / L. 30 ° C, lactic acid bacteria 37 ° C, Bacillus bacteria 37 ° C, in the case of mixed bacteria selected at 30 ° C and 37 ° C as the case, in aerobic or breathable anaerobic conditions to pH 5-7, preferably about pH 5.5 The fermenter is incubated for about 1 to 7 days. After incubation, the fermentation broth was first filtered using a 0.45 μm filtration membrane, and then aged at low temperature for 10 days in the filtrate, followed by secondary filtration with a 0.25 μm membrane to prepare the fermented liqu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solids concentration is kept to 10 g / L before use.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포제법을 이용하여 얻어낸 추출물도 포함한다. 포제란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 처리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 기술이다. 주로 찌거나, 삶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의 방법을 말한다. 처리 조건은 삶는 경우 온도 60 내지 100℃, 30분 내지 6시간이고, 찌는 경우 120 내지 180℃, 10분 내지 2시간이고, 굽는 경우 80 내지 100℃, 10분 내지 2시간에서 용이하게 선정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찌는 과정을 수행하며, 9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음건한다.In addition, the gelatin grass extract of this invention also contains the extract obtained using the foaming method. Foaming agent is a pharmaceutical technology that changes the original properties of the medicine by processing the medicine based on the herbal theory. Mainly refers to the process of steaming, boiling, roasting, roasting or roasting or a process in which these are mixed. The treatment conditions are 60 to 100 ° C. for 30 minutes to 6 hours when boiled, 120 to 180 ° C. for 10 minutes to 2 hours for steaming, and 80 to 100 ° C. for 10 minutes to 2 hours for baking. Most preferably, the steaming process is performed, followed by drying at 90 ° C. for 1 hour.

본 발명에서는 지리터리풀을 쪄서 건조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제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추가로 70%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또한 포제법을 이용한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was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the gelatin pool, and most preferably, the extract obtained by the foaming method is further extracted using 70% ethanol. In addition, the extract using the foaming method, as well as the solvent extraction, extraction by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r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by a reduce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with carbon dioxide can be extracted or fermented us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세포재생 효과가 있으며, MMP-1의 생성 및 자외선에 의해 과다생성된 MMP-1의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하고,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주름 및 탄력을 개선하고, 피부에 보습을 부여할 수 있는 유효량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oxidant effect and a cell regeneration effect, inhibits the production of MMP-1 and the production of MMP-1 overproduced by ultraviolet light, promotes biosynthesis of collagen, and inhibits melanin production of melanocytes. To improve wrinkles and elasticity, and to moisturize the sk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ffective amount of gelatin grass ex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01~3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latin pool extract is contained 0.00001 ~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ore preferably, the gelatin pool extract contains 0.01 ~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When the content of the extract is less than 0.00001% by weight, no skin improvement effect is observ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xtract is more than 30.0% by weight,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skin improvement effect against the increase of the content is insignifica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nd economy. It is not an enemy.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실험예 1, 실험예 2), 세포재생효과(실험예 3),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4),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5),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실험예 6),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7), 피부주름 개선 효과(실험예 8), 피부탄력 개선 효과(실험예 9) 및 보습 효과(실험예 10)가 뛰어나다.The gelatinous extract extracts antioxidant effects (Experimental Example 1, Experimental Example 2), cell regeneration effect (Experimental Example 3),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4), UV-induced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 Experimental Example 5), collagen synthesis enhancing effect (Experimental Example 6),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7),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8),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9) and moisturizing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0) is excellent.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노화 방지효과, 인간 섬유아세포 활성 효과, 피부 미백 효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완화 효과 및 피부주름 개선, 피부탄력 개선 효과 및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 gelatinous extract having such various functions has an excellent skin aging prevention effect, human fibroblast activity, skin whitening effect, skin damage relieving effect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t has an improvement effect and a skin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Adjuvants, and carriers.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Can be.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an emulsion, a solvent, a dissolv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 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fatty acid esters.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s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and microcrystals are used as carrier component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pray, a mixture of chlorofluorohydrocarbons, propane / Prop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세포 재생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피부 미백 효과), 피부 손상 억제효과,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탄력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human skin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by UV induction, collagen It provides a cosmetic method characterized by having a synthetic enhancement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skin whitening effect), skin damage inhibitory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The cosme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cosmetic methods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ll the methods known in the art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belong to the makeup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한번 또는 여러번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once or several times,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may vary depending on the skin condition or taste of the user.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or a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wiped off, peeled off or washed with water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As a specific example,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ed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 and cleansing pack,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우수한 항산화 효과, 세포재생 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피부주름 개선, 탄력개선 효과 등의 피부노화 방지 효과, 피부 미백효과 및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Performing a cosmetic method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by UV induction,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The anti-aging effect, such as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skin whitening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can be obtain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70%에탄올 추출물 제조 Manufacture 70% Ethanol Extract

지리터리풀의 전초를 건조한 뒤 분쇄한 분말 200 g을 300 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에 물과 에탄올의 비율을 3:7로 조정한 70% 에탄올 1000 ㎖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침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건조 추출물을 1%(w/v) 농도가 되도록 50% 1,3-부틸렌 글리콜 용액으로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After drying the gelatinous grass, 200 g of the ground powder was finely made using 300 mesh sieve. To this, 1000 ml of 70% ethanol having a ratio of water and ethanol adjusted to 3: 7 was added and leached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It was filtered and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in vacuo to give a dry extract. The dry extract was dissolved in 50% 1,3-butylene glycol solution to a concentration of 1% (w / v) and filtered and then subjected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  2 to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6.  16.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용매 추출물,  Solvent extracts, 초임계Supercritical 추출물 및 초음파 추출물 제조  Extract and Ultrasonic Extract Manufacturer

제조예 2 ~ 14는 하기 표 1의 추출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제조예 15~16은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법(약 60℃의 온도에서 약 300 기압의 압력 하에 초임계 상태에서 공용매로서 올리브오일을 이용하여 추출함), 초음파(슈퍼노닉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25KHz의 강도로 30℃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 방법을 이용한 추출을 통해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얻었다. 단, 제조예 15의 경우에는 공용매로 올리브유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예 16에서는 공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Preparation Examples 2 to 14 were extracted by the same method as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extraction solvent of Table 1 was used to obtain a gelatinous extract. In addition, Production Examples 15 to 16 use a conventional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extracted using olive oil as a co-solvent in a supercritical state under a pressure of about 300 atm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ultrasonic waves (using a superonic ultrasonic device). The extract was obtained using the extraction method using a method of extracting at 30 ° C. for about 2 hours at an intensity of 25 KHz. However, in the case of Preparation Example 15, olive oil was used as the cosolvent, and in Preparation Example 16, purified water was used as the cosolvent.

추출 용매Extraction solvent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정제수Purified water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25% 에탄올25% ethanol 제조예 4Preparation Example 4 50% 에탄올50% ethanol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100% 에탄올100% ethanol 제조예 6Preparation Example 6 80% 메탄올80% methanol 제조예 7Preparation Example 7 100% 메탄올100% methanol 제조예 8Preparation Example 8 100% 아세톤100% acetone 제조예 9Preparation Example 9 100% 디에틸에테르100% diethyl ether 제조예 10Preparation Example 10 100% 헥산100% Hexane 제조예 11Preparation Example 11 100% 노말-프로판올100% normal-propanol 제조예 12Production Example 12 100% 이소프로판올100% isopropanol 제조예 13Preparation Example 13 100% 노말-부탄올100% normal-butanol 제조예 14Preparation Example 14 100% 에틸아세테이트100% ethyl acetate 제조예 15Preparation Example 15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Extraction 제조예 16Production Example 16 초음파 추출Ultrasonic extrac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7.  17.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효모 발효 추출물 제조  Yeast Fermented Extract Manufacturer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지리터리풀 전초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효모 배양액(Potato Dextrose Broth, 아큐메디아, 미합중국)에 첨가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효모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7일간, 30℃,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지리터리풀 효모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지리터리풀 효모 발효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 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gelatin grass outpost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ieve. This was added to the yeast culture (Potato Dextrose Broth, Accumedia, United States) to 10 g / L.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used as the yeast strain used for fermentation, and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The culture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7 days, maintained at 30 ℃, pH 5-7. After centrifugation of the cultured fermented liquor, the culture was firstly removed,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for about 10 days in a low temperature warehouse at 4 ° C., and then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an extract. The gelatinous yeast fermented extract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 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8.  18.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Extract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지리터리풀 전초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유산균 배양배지(Lactobacillus MRS Broth, 디프코, 미합중국)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1℃에서 멸균시킨 뒤 유산균을 접종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gelatin grass outpost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ieve. Add 10 g / L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Lactobacillus MRS Broth, Difco, USA) and mix After sterilization at 121 ℃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발효에 사용한 유산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일간, 37℃,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지리터리풀 유산균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지리터리풀 유산균 발효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Lactobacillus used for fermentation was used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3 days, maintained at 37 ℃, pH 5-7. After centrifugation of the cultured fermented liquor, the culture was firstly removed,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again in a cold warehouse at 4 ° C. for about 10 days, and then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an extract. The gelatinous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extract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9.  19.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바실러스Bacillus 발효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Fermented Extract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지리터리풀 전초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바실러스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gelatin grass outpost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ieve. This was added to the Bacillus culture medium at 10 g / L.

발효에 사용한 바실러스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고초균; Bacillus subtilis)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일간, 37℃,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지리터리풀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 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지리터리풀 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지리터리풀 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Bacillus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 were used Bacillus subtilis ( Bacillus subtilis ),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3 days, maintained at 37 ℃, pH 5-7. After centrifugation of the cultured fermented liquor, the culture was firstly removed,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again in a cold warehouse at 4 ° C. for about 10 days, and then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an extract. The gelatinous Bacillus fermented extract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0.  20. 지리터리풀의Geographic 포제법A preparation method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지리터리풀의 포제법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쪄서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즉,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지리터리풀을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든 후, 찌기는 온도 찌는 온도 90℃, 1시간 조건으로 실시한 후 음건하였다. 이렇게 하여 만든 지리터리풀의 포제법 추출물은 추가로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In order to obtain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poo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processed by the process of drying by steam. That is,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gelatin pool to make fine using 300 mesh sheave, steaming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temperature steaming temperature 90 ℃, 1 hour and then dried. The extract of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gelatin pool thus prepared was further extracted using 70% ethanol.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Extract NBTNBT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Measure antioxidant effect

본 실험예 1은 제조예 1,15 내지 20에서 수득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와 BHT(Butylated Hydroxytoluene)를 비교군으로 하여, NBT법으로 항산화 효과를(활성 산소 소거율) 측정하였다.Experimental Example 1 is a NBT method using a vitamin C and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in order to confirm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gelatinous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1, 15 to 20, The antioxidant effect (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was measured.

시료는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증류수에 0.001%(w/v) 농도로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때 항산화 효과의 비교를 위해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 BHT의 항산화 효과도 함께 측정하였다.Samples were dissolved in the gelatinous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in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0.001% (w / v) was used for the experiment. At this time, the antioxidant effects of vitamin C and BHT, also known as antioxidants, were also measured for comparison.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 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율(%)을 평가한다. 활성 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 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 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In order to measure the antioxidant effect, the active oxygen produced by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is measured by the NBT method, and the effect of removing the active oxygen by the test substance, that is, the percent of active oxygen scavenging, is evaluated. Free radicals are reacted with Nitro Blue Tetrazolium (NBT)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active oxygen scavenging (%) by measuring the resulting blue at wavelength 560 nm.

측정방법으로서As a measuring method

1. 0.05M Na2CO3 ------------------------------------ 2.4ml0.05M Na 2 CO 3 ------------------------------------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2.3mM xanthine solution ---------------------------------- 0.1ml

3. 3mM EDTA 용액------------------------------------ 0.1ml3.3mM EDTA Solution ------------------------------------ 0.1ml

4. BSA 용액----------------------------------------- 0.1ml4.BSA solution ---------------------------------------- 0.1ml

5. 0.72mM NBT 용액---------------------------------- 0.1ml5.0.72 mM NBT solution ----------------------------------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6.Xanthine Oxidase Solution ----------------------------- 0.1ml

7. 6mM CuCl2 용액----------------------------------- 0.1ml7.6 mM CuCl 2 solution ----------------------------------- 0.1ml

① 바이알병에 1,2,3,4,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 용액 0.1ml를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① Add 1,2,3,4,5 to the vial bottle and add 0.1ml of sample solution to it and leave at 25 ℃ for 10 minutes.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② Add 6 and stir quickly, and start incubation for 20 minutes at 25 ℃.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③ After that, add 7 to stop the reaction and measure the absorbance St at 560nm.

④ 시료 용액의 블랭크(Blank)는 상기 6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So를 측정한다.④ The blank of the sample solution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absorbance St, except that distilled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above 6 to measure the absorbance So.

⑤ 공시험은 상기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t를 측정한다.⑤ The absorbance tes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absorbance St, except that distilled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sample solution.

⑥ 공시험의 블랭크(Blank)는 상기 시료 용액 및 6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⑥ The blank of the blank test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absorbance St was measured except that the sample solution and 6 were used instead of distilled water, and the absorbance Bo was measured.

활성 산소 소거율(%)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St : 시료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t: absorbance at 560 nm after enzyme reaction of sample solution

Bt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t: absorbance at 560 nm after enzymatic reaction of blank test solution

So : 시료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reaction without enzyme in sample solution

Bo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reaction in the absence of enzyme in blank test solution

구분division 활성 산소 소거율(%)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제조예 1(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97.297.2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96.296.2 제조예 16(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95.895.8 제조예 17(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96.196.1 제조예 18(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96.596.5 제조예 19(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95.395.3 제조예 20(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Formulation Extract) 96.296.2 Vit CVit c 93.193.1 BHTBHT 90.29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0.001%(w/v)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방법의 종류에 상관없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 BHT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2,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extracts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at a concentration of 0.001% (w / v), excellent antioxidant effects were obtained regardless of the type of extraction method. I could confirm it. Among them,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a better antioxidant effect compared to vitamin C, BHT, which is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at the same concentra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Extract DPPH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Measure antioxidant effect

제조예 1 및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를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자유라디칼 소거율)를 측정하였다.Antioxidative effect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was measured using the DPPH method using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1 and 15 to 20 and Vitamin C,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as a positive control group.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이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다. 피검 물질(지리터리풀 추출물, 비타민 C)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The DPPH method measures the antioxidant effect by reducing power using a free group called DPPH (2,2-Di (4-tert-octylphenyl) -1-picrylhydrazyl) free radical. The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 i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60 nm by comparing the degree of DPPH reduction by the test substance (gelatinous extract, vitamin C) and the absorbance decrease with the absorbance of the blank test solution.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Aldrich Chem. Co., MW=618.76) 0.1 mM 용액으로서 DPPH 61.88 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0ml로 한다.As a reagent used, as a 0.1 mM solution of 2,2-Di (4-tert-octylphenyl) -1-picrylhydrazyl free radical (Aldrich Chem. Co., MW = 618.76), 61.88 mg of DPPH was dissolved in methanol to make 1000 ml.

시료는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증류수에 0.001%(w/v) 농도로 녹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 때 항산화 효과의 비교를 위해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 BHT의 항산화 효과도 함께 측정하였다.Samples were dissolved in the gelatinous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in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0.001% (w / v) was used for the experiment. At this time, the antioxidant effects of vitamin C and BHT, also known as antioxidants, were also measured to compare the antioxidant effects.

측정방법으로서As a measuring method

① 96-웰 플레이트에 0.1 mM DPPH 용액 0.15 ml에 시료용액을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① Add 0.15 ml of the sample solution to 0.15 ml of 0.1 mM DPPH solution in a 96-well plate, stir rapidly, and incubate for 10 minutes at 25 ° C.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2) Then measure the absorbance St at 560nm.

③ 시료 용액의 블랭크 (Blank)는 상기 0.1mM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So를 측정한다.③ The blank of the sample solution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absorbance St is measured except that methanol is used instead of the 0.1 mM DPPH solution to measure the absorbance So.

④ 공시험은 상기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t를 측정한다.④ The blank tes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absorbance St, except that distilled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sample solution to measure the absorbance Bt.

⑤ 공시험의 블랭크(Blank)는 상기 0.1mM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사용하고 상기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⑤ Blank in the blank test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absorbance St was measured except that methanol was used instead of the 0.1 mM DPPH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sample solution.

자유라디칼 소거율(%)의 결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The result of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 was calculated by Equation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t: absorbance at 560 nm after free radical scavenging of sample solution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t: absorbance at 560 nm after free radical scavenging of blank test solution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reaction without free radicals in sample solution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reaction without free radicals in blank test solution

구분division 활성 산소 소거율(%)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제조예 1(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98.998.9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98.298.2 제조예 16(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98.898.8 제조예 17(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99.199.1 제조예 18(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98.598.5 제조예 19(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99.399.3 제조예 20(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Formulation Extract) 99.299.2 Vit C (0.001%(w/v))Vit C (0.001% (w / v)) 92.592.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0.01%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방법의 종류에 상관없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3,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was measured at a concentration of 0.01%, regardless of the type of extrac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Among them,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a better antioxidant effect compared to vitamin C,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at the same concentra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3.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세포재생 효과 Cell Regeneration Effect of Extracts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제조예 20에서 수득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세포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TGF-β를 비교군으로하여 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cell regeneration effect of the gelatinous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GF-β, which is known to have a cell regeneration effect, as a comparison group.

먼저, 24웰 플레이트에 HaCaT 케라티노사이트(German Cancer Research Institute, Germany)를 2× 105 cells/well의 밀도로 10% FBS가 첨가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으로 접종하여 가습화된 37℃, 5% CO2 배양기에서 1일 배양하였다. 무혈청(Serum-free) DMEM으로 교환 후 지리터리풀 추출물들의 시료를 1.0%(w/v) 되게 처리하여 3일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생성 효과를 보기 위해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성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10ng/mL)을 적용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First, humidified by inoculating HaCaT keratinocytes (German Cancer Research Institute, Germany) into Dwell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with 10% FBS at a density of 2 × 10 5 cells / well in a 24-well plate. Incubation was carried out at 37 ° C. in a 5% CO 2 incubator for 1 day. After exchange with serum-free DMEM, the samples of gelatinous extracts were treated to 1.0% (w / v) and incubated for 3 days.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cell production after the culture was compared by using the MTT assay, the degree of cell production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세포 재생(Cell Proliferation) 효과Cell Proliferation Effect of Gelatin Extract 구분division 세포 증식율(%) Cell proliferation rate (%) 제조예 1 (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1.2911.291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1.2111.211 제조예 16 (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1.3251.325 제조예 17 (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1.3101.310 제조예 18 (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1.3211.321 제조예 19 (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1.3911.391 제조예 20 (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Derivative Extract) 1.3861.386 TGF-β(10ng/ml)TGF-β (10 ng / ml) 1.4231.423 대조군Control group 0.9210.92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일반적으로 피부 세포 재생은 세포 증식율로 측정하는데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은 시료에서 세포 재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10ng/ml)와의 농도 차이를 감안해도 세포재생 효과가 유사한 본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세포재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 general, skin cell regeneration is measured by the rate of cell proliferation.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cell regeneration effect in samples obtained through various extraction methods. In addition, even if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TGF-β (10ng / ml), a substance known to have a cell regeneration effect through th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similar to the cell regeneratio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cell regeneration effect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4.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Extract MMPMMP -1 생성 억제 효과-1 suppression effect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20에서 수득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10ng/ml, Roche, 미합중국)를 비교군으로 하여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gelatinous extract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s 1 and 15 to 20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degrading enzyme, MMP-1, it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MMP-1. TGF-β (10 ng / ml, Roche, United States), a known substance,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MMP-1.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당 1×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시료를 최종 농도 100 ㎍/㎖로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지리터리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Fibroblasts (Korean Cell Line Bank, South Korea), which are human normal skin cells, were seeded in 48-well microplates (Nunc, Denmark) at 1 × 10 6 cells per well, and treated with DMEM medium (Sigma, United States) and 37 ° C.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the samples of the gelatinous extracts were further incubated for 48 hours in serum-free DMEM medium added with a final concentration of 100 μg / ml and serum-free DMEM medium containing no gelatinous extract as a control. .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After incubation, the supernatants of each well were collected and the amount of ng / ml newly synthesized MMP-1 was measured using an MMP-1 assay kit (Amersham, US), and MMP-1 produc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Equation 4 below. The percent inhibition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시험 물질Test substance MMP-1 생성 억제율(%)% Inhibition of MMP-1 production 제조예 1 (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79.579.5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80.880.8 제조예 16 (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78.578.5 제조예 17 (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80.280.2 제조예 18 (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82.182.1 제조예 19 (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80.980.9 제조예 20 (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Derivative Extract) 72.972.9 TGF-β(10ng/ml)TGF-β (10 ng / ml) 70.170.1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20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100㎍/㎖ 농도로 MMP-1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우수한 MMP-1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 물질인 TGF-β의 농도(10ng/ml)와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실험 농도(100㎍/㎖) 차이를 감안해도, 여러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추출물 수준에서 상기와 같은 정도의 MMP-1 억제율을 나타낸 것은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5, the MIP-1 production inhibition rate of 100 g / ml concentration of the gelatinous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and excellent MMP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method -1 produced inhibitory effect. Ev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GF-β as a positive control substance (10 ng / ml) and the experimental concentration (100 ㎍ / ml) of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to which the various substances were mixed The inhibition rate of MMP-1 shows that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hibitory effect on MMP-1 produc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5.  5.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자외선 유도에 의한  By UV induction of extract MMPMMP -1 생성 억제 효과-1 suppression effect

일반적으로 MMP-1은 자외선에 의해 그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생성이 증가되는 MMP-1의 양을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 억제 효과 측정은 시료 처리에 앞서 UVB를 일정량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제조예 1 및 제조예 15 내지 20에서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general, MMP-1 is known to increase its amount by ultraviolet light.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amount of MMP-1, which is increased by ultraviolet rays. MMP-1 production inhibition effect measurement by UV indu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 4 except that a certain amount of UVB treatment prior to sample treatment. The gelatinous extrac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us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율(%)은 상기 수학식 5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10ng/ml, Roche, 미합중국)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고,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0.01%(w/v) 농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MMP-1 production inhibition rate (%) of the gelatin grass extrac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5,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At this time, TGF-β (10ng / ml, Roche, United States),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MMP-1,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and gelatin extract was tested at a concentration of 0.01% (w / v). It was.

시험 물질Test substance MMP-1 생성 억제율(%)% Inhibition of MMP-1 production 제조예 1 (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77.277.2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77.177.1 제조예 16 (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76.676.6 제조예 17 (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76.376.3 제조예 18 (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75.975.9 제조예 19 (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72.472.4 제조예 20 (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Derivative Extract) 72.172.1 TGF-β(10ng/ml)TGF-β (10 ng / ml) 65.265.2

배양된 섬유아세포에 UVB 조사 후 지리터리풀 추출물 및 TGF-β배양액을 각각 첨가한 배양액에 분비된 콜라겐 분해효소 MMP-1의 양을 측정한 결과를 상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100㎍/㎖ 농도에서 MMP-1 생성 억제율을 측정했을 때, 제조예의 MMP-1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의 농도(10ng/ml)와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농도(0.01%(w/v)) 차이를 감안해도, 여러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추출물 수준에서 상기와 같은 정도의 MMP-1 억제율을 나타낸 것은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mount of collagen degrading enzyme MMP-1 secreted in the culture medium added with gelatinous extract and TGF-β culture medium after UVB irradiation to the cultured fibroblasts.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entration (10 ng / ml) of TGF-β, which is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MMP-1 production, when measured at 100 µg / ml. In view of the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w / v)), it was shown that the same ratio of MMP-1 inhibition at the level of extracts mixed with various types of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shows that i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MMP-1 produc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6.  6.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Enhancement of Collagen Synthesis by Extracts

인간 정상 상피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최종농도 100 ㎍/㎖로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지리터리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PICP) 양을 측정하여 ng/㎖으로 환산하였으며, 이에 의해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Fibroblasts, human normal epithelial cells, were seeded in 48-well microplates at 1 × 10 6 cells per well and incubated in DMEM medium for 24 hours. The gelatin pool extract was further incubated for 48 hours in serum-free DMEM medium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0 ㎍ / ㎖ and serum-free DMEM medium containing no gelatin pool extract as a control. After incubation, the supernatant of each well was collected and measured in ng / ml by measuring the amount of procollagen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CP) using a collagen kit (Takara, Japan). Was measured.

본 실험의 비교군으로는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10ng/ml, Roche, 미합중국)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고,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0.01%(w/v) 농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In the comparative group, TGF-β (10 ng / ml, Roche, United States),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effect of enhancing collagen synthesis,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and the gelatin extract was 0.01% (w / v) in concentr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Collagen biosynthesis increase rate (%)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5),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시험 물질Test substance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Collagen Biosynthesis Growth Rate (%) 제조예 1 (70% 에탄올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90.2 90.2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81.981.9 제조예 16 (초음파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82.782.7 제조예 17 (효모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83.383.3 제조예 18 (유산균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89.589.5 제조예 19 (바실러스 발효액)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82.582.5 제조예 20 (포제법 추출물)Preparation Example 20 (Derivative Extract) 82.482.4 TGF-β(10ng/ml)TGF-β (10 ng / ml) 89.689.6

상기 표 7의 실험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지리터리풀 추출물 및 TGF-β를 각각 첨가한 배양액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70% 에탄올 용매 추출법에 따른 지리터리풀 추출물(제조예 1)은 0.01%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율을 측정했을 때, 90.2%의 생합성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의 농도(10ng/ml)와 본원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농도(0.01%(w/v)) 차이를 감안해도, 여러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추출물 수준에서 상기와 같은 정도의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을 나타낸 것은 본원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s can be see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able 7,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of the culture solution added with the gelatinous extract and TGF-β, respectively, using fibroblasts. It can be seen that the gelatinous extract (Preparation Example 1) according to the 70% ethanol solvent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biosynthesis rate of 90.2% when the collagen biosynthesis rate was measured at 0.01% concentration. Ev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GF-β (10 ng / m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0.01% (w / v)),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effect of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several kinds of substances are mixed. The increase of collagen biosynthesis at the level of the extracted extract shows that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lagen synthesis enhancing effe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7:  7: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B16F10 멜라닌형성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on Melanin Production on B16F10 Melanogenic Cells

본 실험예 7은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20에서 수득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본 실험예 5에 사용된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Experimental Example 7 is to determine the whitening effect by looking at the degree of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on B16F10 melanin forming cells in order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of the gelatinous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s 15 to 20. B16F10 melanin forming cells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5 are cell strains derived from mice, and cells that secrete a black pigment called melanin.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Samples were treated during the artificial culture of these cells to evaluate the degree of reduction of melanin black pigment. The B16F10 melanin forming cells used in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were u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The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B16F10 melanin forming cells was measured as follows.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제조예 1, 제조예 15 내지 20에 따른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이때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알부틴을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B16F10 melanin-forming cells were divided into 6-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2 X 10 6 per well, and the cells were adhered to each other, followed by treatment with a gelatinous extract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s 1 and 15 to 20 to a concentration that does not cause toxicity. Incubated for hours. After 72 hours of incubation, the cells were detached with trypsin-EDTA, and the cells were counted and centrifuged to recover the cells. Quantification of intracellular melanin was performed with a slight modification of the method of R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 The cell pellet was washed once with PBS, and then 1 ml of homogenization buffer solution (50 mM sodium phosphate,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was added to vortex for 5 minutes to disrupt the cells. Melt the extracted melanin by adding 1N NaOH (10% DMSO) to the cell filtrate obtained by centrifugation (3,000 rpm, 10 minutes), measure the absorbance of melanin at 405 nm with a microplate reader, and quantify the melanin.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 was measured.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 of B16F1 melanin forming cells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At this time, hydroquinone and arbutin, which are known to have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were used as a comparison group.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A: Melanin amount in wells without sample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B: Melanin amount in the wells to which the sample was added

시료명Sample Name 처리농도
(%, w/v)
Treatment concentration
(%, w / v)
멜라닌 생성 저해율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
제조예 1(70% 에탄올 추출물) Preparation Example 1 (70% Ethanol Extract) 0.10.1 0.060.06 제조예 15 (초임계 추출물) Preparation Example 15 (Supercritical Extract) 0.10.1 0.040.04 제조예 16(초음파 추출물) Preparation Example 16 (Ultrasonic Extract) 0.10.1 0.030.03 제조예 17(효모 발효액) Preparation Example 17 (Yeast Fermentation Broth) 0.10.1 0.040.04 제조예 18(유산균 발효액) Preparation Example 18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0.10.1 0.050.05 제조예 19(바실러스 발효액) Preparation Example 19 (Bacillus Fermentation Broth) 0.10.1 0.040.04 제조예 20(포제법 추출물) Preparation Example 20 (Formulation Extract) 0.10.1 0,030,03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0.10.1 0.080.08 알부틴 Arbutin 0.10.1 0.030.03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크게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0.1%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율 값이 0.06%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농도에서 기존의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알부틴 및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했을 때, 하이드로퀴논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알부틴보다는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8, it can be seen that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in forming cells. The gelatin grass extract showed a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value of 0.06% at 0.1% concentration, and a relatively lower melanin than hydroquinone when compared to arbutin and hydroquinone, substances known to have a whitening effect at the same concentration. Although it showed a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t showed an excellen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than arbuti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n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이하,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제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s, to present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gelatino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but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1. 유연화장수 1. Flexible Cosmetics

유연화장수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9와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flexible longevity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9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성분ingredient 제형예 1 Formulation Example 1 비교제형예 1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정제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동파라핀
트리에탄올아민
스쿠알란
마카다미아너트오일
폴리솔베이트60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프로필파라벤
카르복실비닐폴리머

방부제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Purified water
glycerin
Propylene glycol
Tocopheryl Acetate
Liquid paraffin
Triethanolamine
Squalane
Macadamia Nut Oil
Polysorbate 60
Sorbitan sesquirrolate
Propylparaben
Carboxyl Vinyl Polymer
incense
antiseptic
Purified water
3.0
-
5.1
4.2
3.0
4.6
1.0
3.1
2.5
1.6
1.6
0.6
1.5
미량
미량
잔량
3.0
-
5.1
4.2
3.0
4.6
1.0
3.1
2.5
1.6
1.6
0.6
1.5
a very small amount
a very small amount
Balance
-
3.0
5.1
4.2
3.0
4.6
1.0
3.1
2.5
1.6
1.6
0.6
1.5
미량
미량
잔량
-
3.0
5.1
4.2
3.0
4.6
1.0
3.1
2.5
1.6
1.6
0.6
1.5
a very small amount
a very small amount
Balance
system 100100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2. 수렴화장수 2. Converging Cosmetics

수렴화장수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0과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s of convergent longevity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0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성 분ingredient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솔베이트 20
위치하젤 추출물
구연산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glycerin
1.3-butylene glycol
Allantoin
DL-panthenol
E.T.A.-2NA
Benzophenone-9
Sodium hyaluronate
ethanol
Polysorbate 20
Witch hazel extract
Citric acid
Preservative, fragrance, coloring
Purified water
1.5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미량
미량
잔량
1.5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a very small amount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 계 Sum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3. 영양화장수 3. Nutritional Cosmetics

영양화장수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1과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s of nutrient lotion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1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성분ingredient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스테아릴 알콜
라놀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광물유
스쿠알란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초산토코페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트리 에탄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Stearyl alcohol
lanolin
Polysorbate 60
Sorbitan stearate
Cured Vegetable Oil
Mineral oil
Squalane
Trioctanoine
Dimethicone
Tocopherol Acetate
Carboxy Vinyl Polymer
glycerin
1.3-butylene glycol
Sodium hyaluronate
Tri ethanolamine
Preservative, fragrance, coloring
Purified water
1.5
1.5
1.5
1.3
0.5
1.0
5.0
3.0
2.0
0.8
0.5
0.12
5.0
3.0
5.0
0.12
미량
잔량
1.5
1.5
1.5
1.3
0.5
1.0
5.0
3.0
2.0
0.8
0.5
0.12
5.0
3.0
5.0
0.12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계Sum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4. 영양크림 4. Nutrition Cream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2와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of nutrition cream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2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성 분ingredient 제형예 4Formulation Example 4 비교제형예 2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비교제형예3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아데노신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Adenosine
Lipophilic monostearate
Cetearyl Alcohol
Stearic acid
Beeswax
Polysorbate 60
Sorbitan stearate
Cured Vegetable Oil
Squalane
Mineral oil
Trioctanoine
Dimethicone
Sodium magnesium silicate
glycerin
Betaine
Triethanolamine
Sodium hyaluronate
Preservative, fragrance, coloring
Purified water
3.0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3.0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a very small amount
Balance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a very small amount
Balance
-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5. 마사지 크림 5. Massage Cream

마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3과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massage cream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s shown in Table 13.

성분ingredient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
스쿠알란
광물유
디메치콘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글리세린
트리에타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Lipophilic monostearic acid glycerin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Polysorbate 60
Sorbitan stearate
Isostearyl Isosterate
Squalane
Mineral oil
Dimethicone
Hydroxyethyl Cellulose
glycerin
Triethanolamine
Preservative, fragrance, coloring
Purified water
3.0
1.5
1.5
1.0
1.5
0.6
5.0
5.0
5.0
0.5
0.12
6.0
0.7
미량
잔량
3.0
1.5
1.5
1.0
1.5
0.6
5.0
5.0
5.0
0.5
0.12
6.0
0.7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 계Sum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6. 에센스 6. Essence

에센스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4와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essenc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s shown in Table 14.

성분ingredient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glycerin
Betaine
Fiji 1500
Allantoin
DL-panthenol
E.T.A.-2Na
Benzophenone-9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hyaluronate
Carboxy Vinyl Polymer
Triethanolamine
Octyldodecanol
Octyldodeceth -16
ethanol
Preservative, fragrance, coloring
Purified water
5.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5.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계Sum 100100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7. 팩 7. Pack

팩의 제형예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 표 15와 같이 제조하였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pack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s shown in Table 15 below.

성 분ingredient 함량(단위:중량%)Content (unit: weight%) 지리터리풀 추출물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피이지1500
사이크로데스트린
DL -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니코틴아미드
에탄올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향, 색소, 방부제
정제수
Gelatin grass extract
Polyvinyl alcohol
Cellulose gum
glycerin
Fiji 1500
Cyclodextrin
DL-Panthenol
Allantoin
Monomethylammonium Glycyric Acid
Nicotinamide
ethanol
Fiji 40 Cured Castor Oil
Incense, pigment, preservative
Purified water
3.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잔량
3.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a very small amount
Balance
합계Sum 100100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8.  8.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Extracts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상기 표 12에 제시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제형예 4),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비교 제형예 2), 지리터리풀 추출물 대신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크림(비교 제형예 3)을 사용하였다. 6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 양쪽면을 사용하여 6주 후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주름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한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16에 나타내었다.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through a practical use test. Nourishing cream (Giv. 4) containing the gelatin grass extract shown in Table 12, cream replacing gelatin grass extract with purified water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known to have an anti-wrinkle effect instead of gelatin grass extract A cream containing the substance adenosine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was used. Sixty women were visually evaluated for the improvement of wrinkles after six weeks using both sides of the face, and the extent of wrinkle improvement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based on this evaluation are shown in Table 16 below.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Nutritional Cream Containing Gelatin Paste Extract (Visual Evaluation) 주름 개선 효과Wrinkle improvement 유효율(%)Effective rate (%) 우수Great 약간slightly 없음none 제형예 4 (지리터리풀 추출물) Formulation Example 4 (gelatinous extract) 1818 1One 1One 5252 비교 제형예 2 (정제수)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purified water) 00 1One 1919 33 비교 제형예 3 (아데노신)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Adenosine) 1515 44 1One 4545

상기 표 16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4의 영양크림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 제형예 2의 크림에 비하여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지리터리풀 추출물 대신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비교 제형예 3의 크림보다도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대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16, the nutrition cream of Formulation Example 4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higher anti-wrinkle effect compared to the cream of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not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 It showed a better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than the cream of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containing adenosine instead of gelatin extract. In addition, skin irritation could not be observed in most of the subjects coated with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gras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9.  9.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 Effect of Extract on Skin Elasticity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은 각 화장료의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A clin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kin elasticity improv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grass of the present invention. Clinical trials were evaluated through the actual use test of each cosmetic.

실험은 상기 표 12에 제시한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제형예 4),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비교 제형예 2), 지리터리풀 추출물 대신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크림(비교 제형예 3)을 사용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화장료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확인 및 비교 평가하였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nutrition cream containing the gelatin paste extract shown in Table 12 (Formulation Example 4), cream replacing the gelatin paste extract with purified water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instead of the gelatin paste extract has a wrinkle improvement effect A cream containing adenosine, a known substance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was us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use of cosmetics in humans.

실험자 (30세 ~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을 두 부류로 나누어, 한 군은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제형예 4를,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 제형예 2, 다른 한 군은 비교 제형예 3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8주간 도포하였다. Twenty test subjects (women between 30 and 45 years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for Formulation 4 on the right side of the face,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on the left side of the face, and the other. Example 3 was applied twice a day for 8 consecutive weeks.

실험 완료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의 피부 탄력을 각각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실험결과를 하기 표 17에 Cutometer SEM 575의 △R8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The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was measured by using a skin elasticity measuring instrument (cutometer SEM 575, C + K Electronic Co., Germany)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duct for 2 months,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17 below. It is represented by the ΔR8 value of SEM 575. This ΔR8 value indicates the nature of the viscoelasticity of the skin.

구분division 피부탄력효과(△R8)Skin elasticity effect (△ R8) 제형예 4 (지리터리풀 추출물) Formulation Example 4 (gelatinous extract) 0.250.25 비교제형예 2 (정제수)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Purified Water) 0.090.09 비교제형예 3 (아데노신)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Adenosine) 0.200.20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효성분으로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4의 크림은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 제형예 2의 크림에 비해 약 2.8배 이상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고,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비교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약 1.3배 정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7, the cream of Formulation Example 4 containing a gelatin past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about 2.8 times better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than the cream of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containing no gelatin paste extract It was shown that the skin elasticity improving effect was about 1.3 times compar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containing adenosine, indicating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kin elasticity. hav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0.  10. 지리터리풀Geographic pool 추출물을 함유하는  Containing extract 화장료의Cosmetic 피부  skin 보습력Moisturizing 개선효과Improvement effect

10-1. 기기평가10-1. Device evaluation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60명을 대상으로 1조 당 20명 씩 2개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 조성물을 상기 표 9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이를 제형예 1이라 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하여, 지리터리풀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비교제형예 1)를 함께 제조하고,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 po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arried out as follows. For 20 to 60 people without skin diseases divided into two sets of 20 people per trillion, each of the groups to prepare a flexibl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latin past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9 Formulation Example 1 At this time, for comparison, a cosmetic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containing purified water instead of gelatin paste extract was prepared together and applied to the face and forearm twice a day for 1 month.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Measure the skin conductivity using the 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4 ° C, 40% humidity) before starting the application. Skin conductivity was measured to assess the rate of increas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8 below.

피부 전도도 증가율(%)Skin conductivity increase rate (%) 구분division 1 주 후1 week later 2 주 후after 2 weeks 4 주 후4 weeks later 제형예 1 (지리터리풀 추출물)  Formulation Example 1 (gelatinous extract) 5858 6363 6060 비교제형예 1 (정제수)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Purified Water) 1111 1313 1212

상기 표 18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인 제형예 1의 경우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인 비교제형예 1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높아,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보습효과를 확인하였다.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18, in the case of Formulation Example 1, which i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conductivity increase rate is very high as compared to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which is a cosmetic composition does not contain an extract, The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 pool extract was confirmed.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정제수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general, since the skin conductivity is proportional to the skin moisture content, it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gelatino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kin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that of the cosmetic water containing purified wate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gra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power.

10-2. 임상평가10-2. Clinical evaluation

상기 처방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한 후 상박을 10개 사이트로 나눈 후 각 시료를 1일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9에 나타나 있다.Clinical moisturizing effect on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escription example was measured as follows. The questionnaire selected 20 healthy men and women who feel dry skin, divided the upper arm into 10 sites, and applied each sample twice a day for 4 weeks. The moisturizing effect was evaluated using Corneometer CM 820 (Corage + Kazaka, Germany) every two weeks from the start of the practical test and after the e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19 below.

지리터리풀 추출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기기평가)Improvement effect of skin moisturizing power of gelatin grass extract (equipment evaluation) 구분division TEWL(g/h/m2)TEWL (g / h / m 2 ) 초기값Initial value 사용 2주 후2 weeks after use 사용 4주 후4 weeks after use 제형예 1 (지리터리풀 추출물) Formulation Example 1 (gelatinous extract) 32.132.1 47.647.6 57.857.8 비교제형예 1(정제수)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Purified Water) 32.632.6 33.633.6 34.634.6

상기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표의 기기 측정에 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평가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제형예 1)는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비교제형예 1)에 비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사용하면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9,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power by measuring the equipment of the table,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ulation Example 1) does not contain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pool. Compared with the cosmetics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was very excellent.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oisturizing power after 2 weeks and 4 weeks of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gelatinous gras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Having described the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 specific technology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9)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Anti-aging or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elati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재생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ell regeneration containing gelati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improving skin elasticity containing the extract gelatin grass as an active ingredient.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gelatin gras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gelati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30.0%(w/w)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gelatinous extract contains 0.00001 to 30.0% (w / w)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터리풀 추출물은 지리터리풀을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또는 포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6. The gelatin pool extract of claim 1, wherein the gelatin pool extract comprises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fermentation or foaming metho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 acetate, chloroform,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mixtures thereof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oundation, a wax foundation, a spray and a mixture thereof.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세포재생 효과, MMP-1 생성 억제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합성 증진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탄력 개선 효과, 미백효과 또는 보습 효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applied to human skin, and has an antioxidant effect, cell regeneration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melanin biosynthesis effect, wrinkle improvement effect, elasticity A cosmetic method characterized by obtaining any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selected from the improvement effect, the whitening effect, or the moisturizing effect.
KR1020100041974A 2010-05-04 2010-05-04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KR201101224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74A KR20110122448A (en) 2010-05-04 2010-05-04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974A KR20110122448A (en) 2010-05-04 2010-05-04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448A true KR20110122448A (en) 2011-11-10

Family

ID=4539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974A KR20110122448A (en) 2010-05-04 2010-05-04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44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018A (en) * 2011-10-28 2014-07-08 닥터 빌마르 쉬바베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Use of extracts from Filipendula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hronic pain conditions
KR20210009679A (en) * 2019-07-17 2021-01-27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 Using an Extract of Filipendula palmata
KR102221265B1 (en) * 2019-10-10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improving atherosclerosi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018A (en) * 2011-10-28 2014-07-08 닥터 빌마르 쉬바베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Use of extracts from Filipendula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chronic pain conditions
KR20210009679A (en) * 2019-07-17 2021-01-27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 Using an Extract of Filipendula palmata
KR102221265B1 (en) * 2019-10-10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improving atherosclerosis
US11638737B2 (en) 2019-10-10 2023-05-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ameliorating atheroscler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iriodendron tulipifera as Active Ingredient
KR10108622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milax china as Active Ingredient
KR10190298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acao nibs irradiated with far-infrared ray and steamed
KR101375137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using 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for skin moisturizing
KR10117652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38639A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Fermentative Extract of Osmanthus fragrans
KR10164547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ve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with Increased Amount of Vitamin C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KR10185520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 of Panax ginseng
KR20110121775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alictrum rochebrunianum as active ingredient
KR102056263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offee silver skin and coffee grounds
KR101995557B1 (en)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fermented water lily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22448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filipendula formosa as active ingredient
KR10184397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geminated phaseolus radiatus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KR10177548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ve extract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as active ingredient
KR10108622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loydia triflora Bak as Active Ingredient
KR101207560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leye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KR10117652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er tegmentosum Maxim as Active Ingredient
KR20110105243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skin whitening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KR101719723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Ensete lasiocarpum as active ingredient
KR20130026678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astre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and cosmetic method therreof
KR20110120030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ajanthemum bifolium as active ingredient
KR20110122451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ycoctonum longecassidatum as active ingredient
KR10252512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unripe pl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34720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s active ingredient
KR102365027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natural extracts and hampseed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