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009A -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09A
KR20110115009A KR1020100034450A KR20100034450A KR20110115009A KR 20110115009 A KR20110115009 A KR 20110115009A KR 1020100034450 A KR1020100034450 A KR 1020100034450A KR 20100034450 A KR20100034450 A KR 20100034450A KR 20110115009 A KR20110115009 A KR 2011011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styrene
parts
foam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112B1 (ko
Inventor
엄기용
전준하
박상민
유종선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3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1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발포체의 연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유를 첨가함에 있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켜 가공유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를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폴리스틸렌계 소재의 넓은 비표면적에 의해 가공유의 흡착특성이 향상되어 가공유의 사용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체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으며, 발포체의 연질 특성이 향상되면서도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비중, 경도, 영구압추줄음율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열수축율 등의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Soft foam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체의 연질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유를 첨가함에 있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킴으로써, 가공유의 흡착특성을 향상시켜 가공유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공유가 함침된 폴리스티렌계 소재를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발포체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 되지 않으며, 발포체의 연질 특성이 향상되면서도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비중, 경도, 영구압추줄음율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열수축율 등의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체의 연질화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연질 특성의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방법과 연질화가 가능한 가공유 또는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질 특성의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방법에서, 연질 특성의 고분자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7943호 및 제10-2007-0084023에 제안된 PU(polyurethane)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9642호에 제안된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고분자 소재이다.
상기 PU 폼(foam)의 경우,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고분자 소재에 비해 우수한 연질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의류용 및 산업용 발포체로서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지만, PU 구조가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인 가수분해 특성과 변색 특성에 기인하여 그 사용 환경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공중합체 소재의 경우, 상기 PU가 가지는 문제점인 가수분해 특성과 변색 특성은 보완할 수 있으나,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공중합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근본적인 경도 특성의 한계에 기인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PU에 비해 나타낼 수 있는 연질 특성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공중합체 중,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의 함량이 높은 공중합체의 경우, 연질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기계적 물성 및 열적 특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발포체 역시 기계적 물성 및 열적 특성이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공중합체에 가공유나 가소제 등 연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PU가 가지는 문제점인 가수분해 특성과 변색 특성을 해결하면서도, 연질 특성은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상기 가공유나 가소제의 경우, 고분자 사슬 내의 자유 부피(free volume)를 부여할 수 있는 액상의 재료가 사용되어지는데, 상기와 같은 액상 재료의 경우, 에틸렌계나 스타이렌계 고분자 소재와의 상용 특성이 취약하여 사용량이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발포체 연질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사용량이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공유나 가소제를 다량 사용할 경우, 액상 재료의 윤활작용에 의해 공정이 매우 길어지고 이와 함께 제조되어진 컴파운드 혹은 성형품의 표면으로 가공유나 가소제가 마이그레이션 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마이그레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량의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발포체의 비중(specific gravity)이 증가하고 발포 특성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공유나 가소제의 사용량이 비교적 자유로우면서도 자체에 연질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무 발포체의 경우, 연질 특성의 발포체 제조는 가능하지만 열수축특성이 취약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성형공정이 수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제조되어진 발포체가 오픈 셀(open cell)구조를 취하고 있어 영구압축 변형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포체의 연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유를 첨가함에 있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킴으로써 가공유의 흡착특성을 향상시켜 가공유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발포체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으며, 발포체의 연질 특성이 향상되면서도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비중, 경도, 영구압추줄음율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열수축율 등의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에 있어서,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 및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을 과제 해결수단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 및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5~15 중량부와 산화아연 1~10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고,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dumping)한 후,
상기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 1~10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1~5 중량부, 가교조제 0.1~5 중량부를 90∼100℃의 롤밀에 투입,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프레스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공유는,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500 중량부가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SEBS(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PS(Poly-(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또는 SEEPS(Poly-(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styren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유는, 화이트 오일(White oil).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나프텐 오일(Naphthene oil) 또는 아로마틱 오일(Aromatic oi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α-올레핀 수지(ethylene-α-olefin copoly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첨 고분자, 고무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MI(Melt Index)가 200℃, 10kg의 하중의 조건에서 1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수퍼 믹서 또는 핸드 믹스방법을 사용하여,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체의 연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유를 첨가함에 있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킴으로써 가공유의 흡착특성을 향상시켜 가공유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발포체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으며, 발포체의 연질 특성이 향상되면서도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비중, 경도, 영구압추줄음율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열수축율 등의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어, 연질 특성이 요구되는 신발, 의류 등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키고, 이것을 일반적인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에 연질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고분자량 소재의 넓은 비표면적에 기인하여 연질화를 위해 도입되어지는 가공유의 흡착특성이 향상되어 가공유의 사용량을 높일 수 있고,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으며, 아울러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물리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공유 함침에 사용되는 폴리 스티렌계 고분자 소재는 SEBS(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PS(Poly-(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SEEPS(Poly-(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styrene))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 분자량에 해당되는 MI(Melt Index)가 200℃, 10kg의 하중의 조건에서 1이하인 것을 적용한다.
이때 MI가 1이상인 것을 적용하면 고분자의 비표면적이 적어서 함침가능한 가공유의 양이 제한되어 이를 발포체 소재로 적용하였을 경우 연질화 정도가 크지 않게 된다.
상기 경도 저하를 위해 사용되는 가공유는 통상적으로 고무 제품에 사용되는 화이트 오일(White oil).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나프텐 오일(Naphthene oil). 아로마틱 오일(Aromatic oil)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가공유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가소제의 경우는 환경적 문제에 기인하여 사용을 배제한다.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적용하는 가공유의 사용량은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500 중량부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때 가공유의 사용량이 100 중량부 미만 사용인 경우, 연질화 효과가 적고 500 중량부 이상인 경우는 발포체 성형 후 발포체 표면으로 가공유의 마이그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키는 방법으로는 수퍼 믹서를 이용하거나 지퍼백 등을 이용한 핸드 믹스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를 일반적인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와 함께 적용하여 발포체용 기재로 사용하는데 이때 적용되는 일반적인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소재로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α-올레핀 수지(ethylene-α-olefin copoly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첨 고분자,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혼합되어진 발포체용 기재 성분에 대해 통상의 발포체에 사용되는 첨가제인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탄산칼슘, 점착부여수지, 활제,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도 통상의 발포체에 사용되는 퍼옥사이드, 황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발포제도 통상의 발포체에 사용되는 아조계, OBSH계, DPT계, TSH계, 요소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체 컴파운드 제조공정 및 성형 공정은 통상의 플라스틱계 발포체 제조 공정을 도입하여 프레스 성형이나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표 1]의 구성으로 제조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함량이 40%인 EVA 70 중량%와 SEBS 100 중량부에 대해 가공유를 300 중량부 함침시킨 가공유 함침(oil-extended) SEBS 3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을 10 중량부와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고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dumping)하고, 90∼100℃의 롤밀(roll-mill)에서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를 2.9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1.0 중량부, 가교조제 0.4 중량부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상온상에서 방치후 25mm 두께의 프레스용 금형에 투입하여 155℃의 온도와 150kgf/cm2의 압력조건에서 40분간 가압가열한 후 금형을 열어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발포체의 물성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인 EVA 70 중량%와 SEEPS 100 중량부에 대해 가공유를 300 중량부 함침시킨 가공유 함침 SEEPS 3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을 10 중량부와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고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하고, 90∼100℃의 롤밀에서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를 3.1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1.0 중량부, 가교조제 0.4 중량부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상온상에서 방치후 25mm 두께의 프레스용 금형에 투입하여 155℃의 온도와 150kgf/cm2의 압력조건에서 40분간 가압가열한 후 금형을 열어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발포체의 물성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40%인 EVA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을 10 중량부와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여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하고, 90∼100℃의 롤밀에서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를 2.6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8 중량부, 가교조제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상온상에서 방치후 25mm 두께의 프레스용 금형에 투입하여 155℃의 온도와 150kgf/cm2의 압력조건에서 40분간 가압가열한 후 금형을 열어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발포체의 물성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28%인 EVA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을 10 중량부와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여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하고, 90∼100℃의 롤밀에서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를 2.8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8 중량부, 가교조제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상온상에서 방치후 25mm 두께의 프레스용 금형에 투입하여 155℃의 온도와 150kgf/cm2의 압력조건에서 40분간 가압가열한 후 금형을 열어 발포체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발포체의 물성은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EVA 1 (VA 40%) 1) 70 - 100 -
EVA 2 (VA 28%) 2) - 70 - 100
300% 가공유 함침 SEBS 3) 30 - -
300% 가공유 함침 SEEPS 4) 30
산화아연 5) 5 5 5 5
스테아린산 6) 1 1 1 1
경질탄산칼슘 7) 10 10 10 10
퍼옥사이드 8) 1.0 1.0 0.8 0.8
가교조제 9) 0.4 0.4 0.2 0.2
발포제 10) 2.9 3.2 2.6 2.8
주)
1) Dupont 2) 한화석유화학 3) Ashhi-Kasei Chemicals, 미창 석유
4) Kuraray, 미창석유 5) 피제이컴텍 6) 평화유지
7) 유진실업 8) Akzo Novel 9)Akzo Novel
10) (주)금양
실시예와 비교예는 동일한 EVA를 사용하였을 때,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가 적용된 경우와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연질특성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발포체 조성물이다.
상기 실시예 1은 현재 발포체용 EVA 소재중에서 가장 연질 특성이 우수한 EVA와,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를 적용한 발포체 조성물이고, 상기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적용한 EVA만을 적용한 발포체 조성물이며,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적용되어진 EVA보다 경질 특성의 EVA를 적용하고 여기에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를 적용하여 비교예 1과 유사한 경도 특성이 나타나는 발포체 조성물이고, 비교예 2는 상기 실시예2에 적용되어진 EVA만을 적용한 발포체 조성물이다.
아울러,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 및 열적특성의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에 나타난 발포체는 유사한 비중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중 0.338 0.321 0.326 0.337
경도 (C type) 34 43 44 55
영구압축줄음율(%) 45 43 52 46
열수축율 (%) 1.8 1.5 3.2 2.3
1) 비중
발포체의 비중은 발포체의 표면부분에서 자동비중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2) 경도
발포체의 경도는 발포체의 표면부분에 에스커(Asker C)형 경도계로 ASTM D 224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영구압축줄음율
발포체를 두께가 10mm가 되도록 켜내어 지금이 30±0.05mm인 원기둥 형태로 제조한 시험편을 ASTM D 357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장의 평행금속판 사이에 시험편을 넣고, 시험편 두께의 50%에 해당하는 스페이서를 끼운 후 압축시켜 50±0.1℃로 유지되는 오픈에서 6시간 열처리한 후 압축상태를 해제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동일 시험에 사용된 시험편은 3개로 하였고 영구압축줄음율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t0 : 시험편의 초기 두께
tf : 열처리 후 냉각되었을 때 시험편의 두께
tx : 스페이서의 두께
4) 열수축율
발포체를 두께가 6mm가 되도록 켜내어 70±0.1℃로 유지되는 오픈에서 40분 방치하고 이를 꺼내어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발포체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동일 시험에 사용된 시험편은 2개로 하였고 열수축율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2

L0 : 열처리 전 발포체 길이
Lf : 열처리 후 발포체 길이
실시예1, 2와 비교예1, 2를 살펴 보면, 동일한 EVA를 사용하였을 때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가 적용됨에 따라 경도 특성이 10정도로 연질화되고 물리적 특성에 해당되는 영구압축줄음율과 열적 특성에 해당되는 열수축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현재 발포체용 EVA 소재 중에서 가장 연질 특성의 EVA를 적용한 경우로서 상기 비중 하에서 나타낼 수 있는 경도 특성이 40이하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실시예 1에 나타난 것처럼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를 적용할 경우 경도 수준이 40이하의 연질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적용되어진 EVA보다 경질 특성의 EVA를 적용하고 여기에 가공유가 함침되어진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소재를 적용하여 비교예 1과 유사한 경도 특성이 나타나는 발포체를 제조한 것으로 유사 연질 특성 하에서 물리적 특성에 해당되는 영구압축줄음율과 열적 특성에 해당되는 열수축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발포체의 연질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유를 첨가함에 있어, 넓은 비표면적을 지니는 고분자량의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켜 가공유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를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에 혼합하여 발포체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폴리스틸렌계 소재의 넓은 비표면적에 의해 가공유의 흡착특성이 향상되어 가공유의 사용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체 성형 후에도 가공유가 발포체 표면으로 마이그레이션이 되지 않으며, 폴리스티렌계 고분자의 높은 분자량에 의해 비중, 경도, 영구압추줄음율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열수축율 등의 열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에 있어서,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 및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는,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500 중량부가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는,
    화이트 오일(White oil).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나프텐 오일(Naphthene oil) 또는 아로마틱 오일(Aromatic oil)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SEBS(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PS(Poly-(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또는 SEEPS(Poly-(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styrene))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α-올레핀 수지(ethylene-α-olefin copoly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첨 고분자, 고무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MI(Melt Index)가 200℃, 10kg의 하중의 조건에서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
  7.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 및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탄산칼슘 5~15 중량부와 산화아연 1~10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를 밀페형 혼합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10~15분간 혼련하고, 100∼120℃의 조건에서 덤핑(dumping)한 후,
    상기 기재 100중량부에 대해,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발포제 1~10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0.1~5 중량부, 가교조제 0.1~5 중량부를 90∼100℃의 롤밀에 투입, 분산시켜 쉬트상으로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되어진 쉬트상의 컴파운드를 프레스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를 함침시킨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수퍼 믹서 또는 핸드 믹스방법을 사용하여,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에 가공유를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는,
    화이트 오일(White oil).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나프텐 오일(Naphthene oil) 또는 아로마틱 오일(Aromatic 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폴리스티렌계 소재는,
    SEBS(Poly-(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SEPS(Poly-(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또는 SEEPS(Poly-(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styr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계 발포체용 고분자 소재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α-올레핀 수지(ethylene-α-olefin copoly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첨 고분자, 고무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특성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34450A 2010-04-14 2010-04-14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7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50A KR101157112B1 (ko) 2010-04-14 2010-04-14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50A KR101157112B1 (ko) 2010-04-14 2010-04-14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09A true KR20110115009A (ko) 2011-10-20
KR101157112B1 KR101157112B1 (ko) 2012-06-22

Family

ID=4502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50A KR101157112B1 (ko) 2010-04-14 2010-04-14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41A (ko) * 2000-10-17 2001-01-05 최성곤 유소아용 건강보조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00743A (ko) * 2000-10-17 2001-01-05 최성곤 산모용 건강보조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9190A (ko) * 2002-04-02 2003-10-10 고을빛 생식마을 (주) 생식을 이용한 가임여성 및 임산부의 영양보충식이용건강보조식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01A (ja) * 1998-03-13 1999-09-21 Aron Kasei Co Ltd 履物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010105565A (ko) * 2000-05-16 2001-11-29 박종섭 캐패시터 형성용 노광 마스크
JP2002173574A (ja) * 2000-12-05 2002-06-21 Aron Kasei Co Ltd 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0652949B1 (ko) * 2006-01-23 2006-12-01 장기영 저온 유연성이 우수한 보호구용 비할로겐계 스폰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112B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185B1 (ko)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CN110527214B (zh) 一种抗寒保暖用二氧化硅气凝胶发泡材料
CN110724375A (zh) 一种tpu/eva超临界发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57112B1 (ko)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511819A (zh) 具有改善的性质的泡沫组合物及其应用
KR101346824B1 (ko)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0980028B1 (ko)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 산업용 발포체 조성물
KR20100120469A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CN105623062A (zh) 一种高温低压缩永久变形的eva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US11396591B2 (e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footwear having improved heat-resistance and lightweight footwea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875883B1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EP1795552A1 (en) A thermoplastic elastomer foaming material and its processing
JP6564548B2 (ja) 樹脂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靴底用部材
CN102975324B (zh) 一种废旧密封条胶粉/橡胶型氯化聚乙烯共混发泡材料的制备方法
KR101879316B1 (ko) 저비중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저비중 발포체
KR102133592B1 (ko) 저경도 및 고탄성을 가지는 발포체 조성물
KR100575604B1 (ko) 생분해성 신발중창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5401B1 (ko) 신발창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신발창 제조용 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신발창용 스펀지
KR101709691B1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03292B1 (ko) 초임계 발포 사출용 저비중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1642032B1 (ko) 반발탄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KR101985866B1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와 2차원 소재 필러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4425B1 (ko) 신발용 충격 흡수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493711B1 (ko) 신발 중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KR10263151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경량 신발 중창용 발포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