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909A - Earphone and headset - Google Patents

Earphone and hea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909A
KR20110112909A KR1020100032123A KR20100032123A KR20110112909A KR 20110112909 A KR20110112909 A KR 20110112909A KR 1020100032123 A KR1020100032123 A KR 1020100032123A KR 20100032123 A KR20100032123 A KR 20100032123A KR 20110112909 A KR20110112909 A KR 2011011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ng portion
microphone
cord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김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철 filed Critical 김진철
Priority to KR102010003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909A/en
Publication of KR2011011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9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를 가지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코드가 하나의 코드 형태로 구성되는 이어폰과 스피커를 가지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마이크가 하나의 코드 형태로 연결되는 헤드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분기부가 없어 이어폰의 무게를 줄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기부의 구성을 없앰으로써 분기부의 주변에서 흔히 발생되는 이어폰의 단선 및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기기의 수명 연장에 도움을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분기부가 필요하지 않아 보다 단순한 구성과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a headse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having the speakers and the earphones and the speaker are configured in one cord form. Provided is a headse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the microphone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branch for connecting to each hous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arphone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by disconnec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nch, disconnection and contact of the earphone commonly generated around the branch. It is effective to extend the life of the device because no defect occur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branch required to be connected to each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impler configuration and design.

Description

이어폰 및 헤드셋{EARPHONE AND HEADSET}Earphones and Headsets {EARPHONE AND HEADSET}

본 발명은 이어폰 및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and a headset.

최근에 MP3플레이어, 휴대전화, 개인 휴대 단말기(PDA) 및 노트북과 같은 전자제품은 보다 가볍고 세련된 디자인과 소형화로 사용자로 하여금 항상 휴대 가능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Recently,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P3 players,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notebooks have been made lighter, more sleek and compact, allowing users to carry them all the time, enabling them to be used anywhere, anytime.

따라서 이러한 전자제품에서 제공되는 음향정보를 주변의 방해를 받거나 다른 사람을 방해하는 일 없이 이용하기 위해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을 사용한다.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acoustic information provided by such electronic products without disturbing the surroundings or disturbing others, headphones or earphones are used.

이 중 이어폰(Earphone)은 사용자의 귀 안쪽에 끼워 이용하는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의 좌측 및 우측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도록 Y자 형태로 분기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Among them, earphone (Earphone) is used to fit inside the user's ear, as shown in Figure 1, it has a form that is branched in the Y-shape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housing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ar.

이때, 분기된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코드의 길이가 같도록 구성된 도1의 (a)와 같은 Balance 타입과 분기된 코드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분기된 코드의 길이가 긴 쪽의 하우징을 사용자의 머리 뒤로 넘겨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1의 (b)와 같은 Un-Balance 타입 등이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branched cord is formed by differently configuring the balance type and the length of the branched cord as shown in FIG. 1 (a)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of the cord connected to each housing from the branched point. There is an Un-Balance type as shown in FIG.

이러한 Balance 타입 및 Un-Balance 타입의 경우에는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기 위해 분기되는 분기부가 필요한데, 분기부에서는 각각의 하우징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필요한 납땜이 이루어지거나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코드가 일정 정도 이상으로 분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In the case of the Balance type and the Un-Balance type, a branching part is required to be connected to each housing. In the branching part, a soldering wire necessary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each housing is made or a cord connected to each housing is fixed.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ranching beyond the degree.

이때, 분기부는 그 무게감으로 사용자의 착용감을 거북하게 만들 수 있으며, 분기부의 주변은 이어폰의 단선 및 접촉 불량 등이 많이 발생하여 이어폰의 수명을 줄이게 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branch portion may make the user's wearing feeling uncomfortable with the weight,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ranch portion has a problem of reducing the life of the earphone due to a lot of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of the earphone.

한편, 핸즈프리 형태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가 장착된 헤드셋의 경우에도 도2의 (a) 및 (b)와 같이 분기부가 존재하며, 이는 이어폰과 마찬가지의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headset equipped with a microphone to allow a call in a hands-free form, there are branching portions as shown in FIGS. 2A and 2B, which face the same problem as earphon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부로 인해 발생하는 무게로 인한 불편함과 분기부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운 단선 및 접촉 불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어폰 및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n earphone and a headset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caused by the weight caused by the branch and the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which is likely to occur near the branch. hav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어폰(Earphone)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phone includes: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f the speakers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an external device. It includes, The co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Include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connecto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어폰(Earphone)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rphone) is a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sound input; A first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speaker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nector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sound; And a second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speaker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housing side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헤드셋(Headset)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상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상기 마이크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마이크 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드의 제3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지나고,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achieve this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set includes: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he external device. It includes, The cor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와 제3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nd a third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게다가 상기 마이크는 상기 코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연결되는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아울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헤드셋(Headset)은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상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마이크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드의 제3연결부는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지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achieve this object,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set includes: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he external device. It includes, The cor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an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2연결부가, 타측에는 제3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hous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hir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분기부가 없어 이어폰의 무게를 줄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no separate branch to be connected to each hous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arphone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둘째, 분기부의 구성을 없앰으로써 분기부의 주변에서 흔히 발생되는 이어폰의 단선 및 접촉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기기의 수명 연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elimin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nch, there is an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device because the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of the earphone that is often generated around the branch.

셋째,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분기부가 필요하지 않아 보다 단순한 구성과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branch required to be connected to each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impler configuration and design.

넷째, 헤드셋의 경우에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잘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ourth, in the case of a headset, the microphone can be located close to the user's mouth, it is possible to deliver a better voice of the user.

다섯째, Balance 타입과 비교시 사용자의 정면에 코드가 위치하지 않아 사용하면서 걸림이 덜한 효과가 있다.Fifth, compared to the Balance type, the code is not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so there is less jamming effect.

여섯째, 각각의 하우징이 하나의 코드로 구성되기 때문에 코드 선의 정리가 용이하다.
Sixth, since each housing is composed of one cord, it is easy to arrange the cord lines.

도1은 종래의 이어폰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2는 종래의 헤드셋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이어폰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헤드셋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모습을 도시한다.
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earphone.
2 shows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headset.
Figure 3 shows a state of the earphone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tate where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5 shows the appearance of a headset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tate in which a heads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7 shows the appearance of a heads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이어폰(Earphone)(100)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 제2하우징(120), 커넥터(130) 및 코드(L1, L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first housing 110, the second housing 120, the connector 130 and the cord (L1, L2) ) And the like.

제1 및 제2하우징(110, 120)은 각각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ha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ccommodates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hear the sound output by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worn on the user's ear and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커넥터(130)는 외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1 및 제2하우징(110, 120) 내부에 있는 스피커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or 13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peake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코드(L1, L2)는 외부기기로부터 커넥터(130)를 통해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제1 및 제2하우징(110, 120) 측으로 전달하며, 이를 제1연결부(L1) 및 제2연결부(L2)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cords L1 and L2 transmit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130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L1 and L2. To explain).

여기서, 제1연결부(L1)는 제1하우징(11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의 일부분을, 제2연결부(L2)는 제2하우징(12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의 일부분을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연결부(L2)는 제1하우징(110)의 내부를 거쳐 나와 제2하우징(120)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is a part of the cord (L1, L2)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10 sid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connected to the cord (L1, L2) side of the housing (120) It will be referred to a part of. Her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120 side.

이때, 제1하우징(110)까지 연결되는 코드(L1, L2)는 제1연결부(L1) 및 제2연결부(L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연결부(L1)는 제1하우징(110)의 스피커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2연결부(L2)는 제1하우징(110)을 거쳐 나와 제2하우징(120) 측으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cords L1 and L2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L1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may include the first housing 110.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to the speaker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L2) is passed through the first housing 11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120 side.

즉, 제1 및 제2하우징(110, 120)은 분기되는 부분이 없이 하나의 코드(L1, L2) 형태로 구성되며, 이는 사용자의 정면에 코드(L1, L2)가 위치하도록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목 뒤쪽으로 코드(L1, L2)를 돌려서 이용하는 방법 등을 혼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10 and 120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code (L1, L2) without a branching portion, which is used so that the code (L1, L2) i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or the user It is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the methods such as turning the cords L1 and L2 behind the neck.

다시 말해, 기존의 Y자 형태로 분기되는 이어폰의 형태 중 분기된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같은 Balance 타입과 분기된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다르며, 목 뒤쪽으로 넘겨 이용할 수 있는 Un-Balance 타입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om the branched point to the respective housings is different from the branched point in the shape of the existing Y-shaped earphone, and the length from the branched point to the respective housings is different.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user's needs in the form of Un-Balance typ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0)에서 코드(L1, L2)는 4심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4심이 제1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2심의 와이어 외피가 탈피되어 제1하우징(110)의 스피커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2심은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나와서 제2하우징(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하우징(120) 내부의 스피커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s L1 and L2 may be composed of four core wires, and four cor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wire sheath of the two cores is inserted. It is configured to be peeled off and connected to the speaker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remaining two cores come out of the first housing 11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120 to be inserted into the speaker of the second housing 120.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이처럼 4심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납땜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납땜과 같이 인위적으로 끊어진 와이어를 접착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꼭 4심의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구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심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four-core wir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older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a defect rate caused by bonding artificially broken wires such as soldering, and even if the four-core wire is not necessarily used,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use multiple shims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one embodiment.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L1)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L2)가 연결되는 부분을 각각 다르게 배치하여 줌으로써 코드선으로 인한 무게를 분산시켜 사용자의 착용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연결부(L1, L2)가 다르게 배치됨으로 인해 단선 및 접촉 불량 등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weights due to the cord lines are arranged by differently disposing portions whe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It is possible to configure so as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by dispersing, an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isconnection and poor contact due to the different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L1, L2) Would be preferred.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이어폰(100)을 설명할 수도 있는데, 제1하우징(110)을 기준으로 커넥터(13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L1) 및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제2하우징(120)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L2)를 각각의 독립된 구성으로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ear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from another viewpoin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and the second from the first housing 110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0 based on the first housing (11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L2 connected to the housing 120 in each independent configuration.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0)에서 제2하우징(120)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부(L2)는 직접적으로 커넥터(130)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받지 않고 제1하우징(110)에 내장되는 별도의 구성 등을 이용하여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커넥터(13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2하우징(120)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도록 그 구성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connected from the first housing 110 to the second housing 120 is separately embedded in the first housing 110 without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directly through the connector 130.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housing 110 through the connector 130 may be converted into a sound through a speaker of the second housing 120 using a configuration, and the lik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헤드셋(Headset)(200)은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커넥터(230), 마이크(240) 및 코드(L1, L2, L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ads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5 to 6, the first housing 210, the second housing 220, the connector 230, the microphone 240 and The code L1, L2, L3, etc. are comprised.

제1 및 제2하우징(210, 220)은 각각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에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0 and 220 has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ccommodates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in the receiving space. 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hear the sound output by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worn on the user's ear and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커넥터(230)는 외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1 및 제2하우징(210, 220) 내부에 있는 스피커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마이크(2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기기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or 23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peaker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0 and 220 and to transmit a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0 to the external device. It is composed.

마이크(2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microphone 240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it to the external device.

코드(L1, L2, L3)는 외부기기로부터 커넥터(230)를 통해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를 제1 및 제2하우징(210, 220) 측으로 전달하며, 마이크(24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해를 돕고자 이를 제1, 제2 및 제3연결부(L1, L2, L3)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cords L1, L2, and L3 transmit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230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0 and 220, and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40 is electric. It converts the signal into an extern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external device. Therefore, to help underst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arts (L1, L2, L3) and the like.

먼저, 제1연결부(L1)는 제1하우징(21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 L3)의 일부분을, 제2연결부(L2)는 마이크(24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 L3)의 일부분을 지칭하며, 제3연결부(L3)는 제2하우징(220)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Firs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is a part of the cord (L1, L2, L3)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210 sid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40) cord (L1, L2, Refers to a part of L3),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L3 refers to a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220 side.

여기서, 제2연결부(L2)는 제1하우징(210)의 내부를 거쳐 나와 마이크(240) 측으로 연결되며, 제3연결부(L3)는 제1하우징(210)의 내부를 거쳐 나온 다음 다시 마이크(240)의 내부를 거쳐 제2하우징(220)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210 and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40 sid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L3) exit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210 and then again the microphone (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220 sid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240.

이때, 제1하우징(210)까지 연결되는 코드(L1, L2, L3)는 제1, 제2 및 제3연결부(L1, L2, L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연결부(L1)는 제1하우징(210)의 스피커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연결부(L2)는 제1하우징(210)을 거쳐 나와 마이크(240) 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3연결부(L3)는 제1하우징(210)과 마이크(240)를 모두 거쳐 제2하우징(220) 측으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cords L1, L2, and L3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210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ors L1, L2, and L3, and the first connector L1 may include a first cord.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peaker of the first housing 210 is made,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L2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40 through the first housing 210. The third connector L3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220 through both the first housing 210 and the microphone 240.

즉, 제1, 제2하우징(210, 220)은 분기되는 부분이 없이 하나의 코드 형태로 구성되며, 이는 사용자의 입 근처에 마이크(240)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성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이 아닌 이어폰으로 사용할 시에는 사용자의 목 뒤쪽으로 코드(L1, L2, L3)를 돌려서 착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10 and 220 are configured in a single code form without a branching portion, which can facilitate the voice transmission of the user by allowing the microphone 240 to be positioned near the user's mouth. have. In addition, when using as an earphone instead of a headset, it is possible to use it more conveniently by rotating the cords L1, L2, and L3 behind the user's neck.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에서 코드(L1, L2, L3)는 5심의 와이어로 구성할 수 있는데, 5심의 와이어가 제1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어 이 중 2심의 와이어가 제1하우징(210) 내부의 스피커와 연결되고, 나머지 3심은 제1하우징(210)의 외부로 나와서 마이크(24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eads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s L1, L2, and L3 may be composed of five core wires, the five core wires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10, A wire of two cores is connected to a speaker inside the first housing 210, and the remaining three cores are configured to come out of the first housing 210 and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240.

따라서 3심 중 1심은 마이크(240)와 연결되고, 나머지 2심은 마이크(240)를 통과하여 제2하우징(220) 측의 스피커와 연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헤드셋(200)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one of the three cores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40, and the other two cores are connected to the speaker of the second housing 220 side through the microphone 240 to implement the headset 200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이 역시 제1실시예의 4심 와이어로 구성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납땜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5심이 아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구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심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Similarly to the case of the four-core wire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fective rat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oldering process, and use a plurality of shims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five cores.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L1)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L2) 및 제3연결부(L3)가 연결되는 부분을 각각 다르게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210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L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L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그리고 마이크(24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연결하는 선의 중심에 장착함으로써 코드선에 가해지는 무게의 분담을 균등하게 할 수 있으며, 입과 가깝게 마이크(240)를 위치하게 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240 may be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ine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210 and the second housing 220 to equalize the weight sharing applied to the cord line, and close the microphone 240 close to the mouth. It can be located, it is possible to use more easily.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헤드셋(Headset)(3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10), 제2하우징(320), 커넥터(330), 마이크(340) 및 코드(L1, L2, L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일 경우에 이를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the headset 300,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310, a second housing 320, a connector 330, a microphone 340, and a cord L1. , L2, L3), and the like, and the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in the case of overlapping contents with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코드(L1, L2, L3)는 외부기기로부터 커넥터(330)를 통해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는 제1 및 제2하우징(310, 320) 측으로 전달하며, 마이크(340)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향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ds L1, L2, and L3 transmit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330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10 and 320, and the microphone ( The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340 is configured to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이때,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및 제3연결부(L1, L2, L3)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가능한데, 제3실시예에서의 제1연결부(L1)는 마이크(34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 L3)의 일부분을, 제2연결부(L2)는 제1하우징(310) 측으로 연결되는 코드(L1, L2, L3)의 일부분을 일컬으며, 제3연결부(L3)는 제2하우징(320)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In this case, 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arts (L1, L2, L3, etc.) can be divided and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art L1 is directed to the microphone 340 side. A part of the cord (L1, L2, L3) to be connected, the second connector (L2) refers to a part of the cord (L1, L2, L3)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310 side, the third connector (L3) Refers to a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20 side.

이는 제1연결부(L1)가 마이크(340)로 연결되는 것이 다르며, 제2연결부(L2)가 마이크(340)를 거쳐 나온 다음 제1하우징(310) 측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제3연결부(L3)는 마이크(340)와 제1하우징(310)을 거쳐 나와 제2하우징(320)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is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L1)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34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ha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310 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microphone 340. In addition, the third connector L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20 through the microphone 340 and the first housing 310.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헤드셋(300)은 제2하우징(320)을 사용자의 목 뒤로 넘겨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자의 전면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headse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use both the case of using the second housing 320 over the back of the user's neck and the case used in fro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310)의 일측에는 제2연결부(L2)가, 타측에는 제3연결부(L3)가 연결되는 부분을 각각 다르게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L2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L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 이어폰
200, 300 : 헤드셋
110, 210, 310 : 제1하우징
120, 220, 320 : 제2하우징
130, 230, 330 : 커넥터
240, 340 : 마이크
L1 : 제1연결부
L2 : 제2연결부
L3 : 제3연결부
100: earphone
200, 300: Headset
110, 210, 310: First housing
120, 220, 320: 2nd housing
130, 230, 330: Connector
240, 340: microphone
L1: first connection part
L2: second connector
L3: 3rd connector

Claims (8)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Earphone).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f the speaker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code is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Earph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earphone.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음향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Earphone).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or sound;
A first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speaker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nector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sound; And
A second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speaker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housing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n acoustic;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Earphones.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상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상기 마이크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마이크 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드의 제3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지나고,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Headset).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s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he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code is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Heads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타측에는 제2연결부와 제3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heads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코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연결되는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icrophone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housing
headset.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및 제2하우징;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 측으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내부의 스피커 각각을 상기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드(cord); 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마이크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의 제2연결부는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1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드의 제3연결부는 상기 마이크의 내부를 지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거쳐 상기 제2하우징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Headset).
First and second housings accommodating a speak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r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s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he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code is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sid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of the cord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sid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Heads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제2연결부가, 타측에는 제3연결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headset.
KR1020100032123A 2010-04-08 2010-04-08 Earphone and headset KR201101129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23A KR20110112909A (en) 2010-04-08 2010-04-08 Earphone and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23A KR20110112909A (en) 2010-04-08 2010-04-08 Earphone and hea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909A true KR20110112909A (en) 2011-10-14

Family

ID=4502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123A KR20110112909A (en) 2010-04-08 2010-04-08 Earphone and hea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90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03A1 (en) * 2012-04-19 2013-10-24 Han Yong Sung Connectable and expandable ear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703A1 (en) * 2012-04-19 2013-10-24 Han Yong Sung Connectable and expandable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583B1 (en) Earphone gender with usb connector
TWM550006U (en) Wireless earphone set
US20060262949A1 (en) Cable-connectable stereo headset
GB2426138A (en) Glasses incorporating signal generating module
US20200029149A1 (en) In ear stereo headphones with integrated charging means
TW200826725A (en) Headset capable of switching signal transmission
JP6631530B2 (en) Sound output device
ES2687383T3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n active noise cancellation headset
EP2242287B1 (en) Reversible personal audio device cable coupling
CN109547891A (en) Novel combined earphone
US8553922B2 (en) Earphone microphone
WO2016023132A1 (en) Headphone with a connector for detaching a headband from a transducer
US20170111724A1 (en) Dual Purpose Power and Headset Interface System
US20090185707A1 (en) Audio headset assembly with built-in jack
JP2009141675A (en) Headphone and cable for the same
CN204948300U (en) The double mode earplug of a kind of Wireless-wire
TW201804813A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device having three connecting components that are freely connected to one another based on the consumers&#39; demands
KR20110112909A (en) Earphone and headset
KR200341662Y1 (en) A wireless headset for both stereo and mono sound
US20170070804A1 (en) Multifunction Wireless Adapter
CN111835386A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3576424A1 (en) Audio output device
KR20160005225A (en) Gender changer and earset for detachable stethoscope
KR102077155B1 (en) Balanced audio cable for potable auido apparatus
KR101939921B1 (en) Bluetooth ear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