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082A -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082A
KR20110112082A KR1020100031490A KR20100031490A KR20110112082A KR 20110112082 A KR20110112082 A KR 20110112082A KR 1020100031490 A KR1020100031490 A KR 1020100031490A KR 20100031490 A KR20100031490 A KR 20100031490A KR 20110112082 A KR20110112082 A KR 2011011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plate
electrode terminal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820B1 (ko
Inventor
최규완
장태영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3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820B1/ko
Priority to PCT/KR2011/001456 priority patent/WO2011126216A2/ko
Priority to US13/638,907 priority patent/US20130189563A1/en
Priority to CN201180016790.7A priority patent/CN102823025B/zh
Publication of KR2011011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복수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의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배터리모듈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전류를 생성하고 복수개 적층되는 전지카트리지와,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가 수용되는 버스바 수용홈이 형성된 버스바 플레이트와,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버스바를 가리는 플레이트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A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의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경유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대기오염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차량의 동력원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사용하는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전지는 주로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리튬 이온전지 등의 사용도 시도되고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므로,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구조의 중대형 배터리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배터리모듈의 구성요소인 단위전지로는 높은 밀집도로 충적됨으로써 사공간(dead space)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각형 전지 또는 파우치형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위전지들의 기계적 체결과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전지들을 장착할 수 있는 전지카트리지가 사용되고 있다. 즉, 단위전지들을 장착하고 있는 다수의 전지카트리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의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전류를 생성하고 복수개 적층되는 전지카트리지와,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가 수용되는 버스바 수용홈이 형성된 버스바 플레이트와,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버스바를 가리는 플레이트 커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버스바가, 버스바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스바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커버와 함께 연결모듈을 형성한 후, 상기 연결모듈로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가 절연체인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시에 작업자의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지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단위전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가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가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복수개 적층되는 전지카트리지(100)와,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300)와, 버스바(300)가 수용되는 버스바 수용홈(210)이 형성된 버스바 플레이트(200)와, 버스바 플레이트(200)와 결합되어 버스바 수용홈(210)에 수용된 버스바(300)를 가리는 플레이트 커버(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지카트리지(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100)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 하측 카트리지 인너(131-2), 카트리지 센터(121), 상측 커버(141-1) 및 하측 커버(141-2)를 포함한다.
단위전지(110)는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 또는 리튬 이온(Li-ion) 전지로서 전류를 생성한다. 복수개의 단위전지(110)는 카트리지 센터(121)에 구비된다.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은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가 가장자리에 밀착되며 상측 커버(141-1)가 가운데 부분에 밀착된다.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하면은 하측 카트리지 인너(131-2)가 가장자리에 밀착되며 하측 커버(141-2)가 가운데 부분에 밀착된다.
상측 커버(141-1)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과 접촉되어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열을 방출한다. 상측 커버(141-1)는 방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커버(141-1)와 복수개의 단위전지(110) 사이에는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가 구비된다.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접촉된다.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 가장자리가 상측 커버(141-1)와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절연을 한다.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상측 커버(141-1) 사이를 지지하여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보호한다.
하측 커버(141-2) 및 하측 카트리지 인너(131-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측 커버(141-1) 및 하측 커버(141-2)에는 볼록부(141a)와 오목부(141b)가 형성된다. 볼록부(141a)와 오목부(141b)는 전지카트리지들을 적층할 때 서로 결합되어 위치를 잡는다. 볼록부(141a)와 오목부(141b)는 상측 커버(141-1)의 상면 네 귀퉁이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전지카트리지를 같은 방향으로 적층하는 정방향 적층 뿐만 아니라, 뒤집어 적층하는 역방향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카트리지 센터(121)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센터(121)의 상측에는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를 사이에 두고 상측 커버(141-1)가 결합된다. 카트리지 센터(121)의 하측에는 하측 카트리지 인너(131-2)를 사이에 두고 하측 커버(141-2)가 결합된다. 각각의 결합은 본딩, 볼트 결합 및 용접 등 다양한 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센터(121)에는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와 상측 커버(141-1) 및 하측 카트리지 인너(131-2)와 하측 커버(141-2)를 지지하고 전지카트리지들을 적층하여 결합할 때 롱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124)가 구비된다.
카트리지 센터(121)에 형성된 측면홀(121b)에는 카트리지 서포트(125)가 삽입된다. 카트리지 서포트(125)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가장자리 사이를 지지하여 보호한다.
카트리지 센터(121)의 전면에는 커버 프론트(123)가 결합되고, 후면에는 커버 리어(122)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단자들을 보호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단위전지(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개의 단위전지(110)는 제 1 단위전지(110-1) 내지 제 4 단위전지(110-4)를 포함하는 4개의 단위전지(11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단위전지(1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제 1 단위전지(110-1)와 제 2 단위전지(110-2)가 밀착되어 결합되고 제 3 단위전지(110-3)와 제 4 단위전지(110-4)가 밀착되어 결합된다. 제 2 단위전지(110-2)와 제 3 단위전지(110-3)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제 2 단위전지(110-2)와 제 3 단위전지(110-3) 사이의 갭은 카트리지 센터(121)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2 단위전지(110-2)와 제 3 단위전지(110-3) 사이에 갭이 존재하여 단위전지의 충·방전시 부풀림에 대비한다. 제 2 단위전지(110-2)와 제 3 단위전지(110-3) 사이의 갭에는 열센서가 삽입될 수 있다.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는 제 1 단위전지(110-1)의 가장자리를 실링하는 부분으로서 ??어지거나 깨지는 경우 누액으로 통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의 절연과 보호를 위하여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는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와 밀착된다.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와 제 2 단위전지 실링부(110-2a)와의 사이에는 카트리지 서포트(125)가 삽입되어 각각의 실링부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절연한다. 특히 카트리지 서포트(125)는 전지카트리지를 수직으로 세울 때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와 제 2 단위전지 실링부(110-2a)가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하여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와 맞닿아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깨지지는 등의 파손으로 인한 누액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단위전지(110-1)와 제 2 단위전지(110-2)는 병렬로 연결되고, 제 3 단위전지(110-3)와 제 4 단위전지(110-4)는 병렬로 연결되어 두 세트가 다시 직렬로 연결된다. 복수개의 단위전지(110)는 2병렬-2직렬 구조로 연결된다. 다만, 필요한 전압과 용량에 따라 연결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에는 각각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는데, 제 1 단위전지(110-1)의 양극(+) 및 제 2 단위전지(110-2)의 양극(+)을 제 1 병렬연결부재(111)를 통해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단위전지(110-1)의 음극(-) 및 제 2 단위전지(110-2)의 음극(-)을 제 2 병렬연결부재(112)를 통해 병렬로 연결한다.
또한, 제 3 단위전지(110-3)의 양극(+) 및 제 4 단위전지(110-4)의 양극(+)을 제 3 병렬연결부재(113)을 통해 병렬로 연결하고, 제 3 단위전지(110-3)의 음극(-) 및 제 4 단위전지(110-4)의 음극(-)을 제 4 병렬연결부재(114)를 통해 병렬로 연결한다.
이후, 제 2 병렬연결부재(112)와 제 3 병렬연결부재(113)를 직렬연결부재(115)를 통해 직렬로 연결하여, 제 1 병렬연결부재(111)에 양전극단자(117)를 연결하고, 제 4 병렬연결부재(114)에 음전극단자(119)를 연결함으로서, 복수개의 단위전지(110)는 2병렬-2직렬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다.
양전극단자(117)는 제 1 단위전지(110-1)와 제 2 단위전지(110-2)를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양극을 형성한다. 양전극단자(117)는 복수개의 단위전지(110) 일측에 배치된다. 음전극단자(119)는 제 3 단위전지(110-3)와 제 4 단위전지(110-4)를 병렬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단위전지(110)의 음극을 형성한다. 음전극단자(119)은 복수개의 단위전지(110) 일측에 양전극단자(117)와 나란히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측 커버(141-1)의 상면에는 송풍돌기(141c)가 형성된다. 전지카트리지(100)가 적층되어 공랭식으로 냉각되는 경우 송풍돌기(141c) 사이로 공기가 지나가게 되어 상측 커버(141-1)는 방열된다. 송풍돌기(141c)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측 커버(141-1)의 상면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돌기(141c)는 전지카트리지(100)의 적층시 단위전지(110)들의 충·방전시 부풀림에 대비해 전지카트리지(100)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하측 커버(141-2)에도 송풍돌기(141c)가 형성된다.
상측 카트리지 인너(131-1)는 제 1 단위전지 실링부(110-1a)와 밀착되는 밀착면(131-1a)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트리지 센터(121)는 제 2 단위전지(110-2) 및 제 3 단위전지(110-3) 사이에 결합되어 갭을 형성하는 센터갭(121a)이 형성된다. 카트리지 센터(121)의 전면에는 양전극단자(117)가 안착되는 양전극부(121c)와 음전극단자(119)가 안착되는 음전극부(121d)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가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는 열 당 6개가 적층되어 2열로 배열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1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좌측열에 배열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음전극단자들(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은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우측열에 배열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같은 방향으로 적층되어 음전극단자들(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은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버스바 플레이트(200)에는, 복수개의 버스바(300)가 각각의 열에 일렬로 배치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홈(210)이 비스듬히 형성된다. 여기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은 복수개의 버스바(300)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직렬과 병렬을 혼합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는 고출력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도록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바 플레이트(200)는 각각의 버스바 수용홈(210)에 버스바(300)가 하나씩 수용된 후, 플레이트 커버(400)와 결합되어 연결모듈(500)을 형성한다. 즉, 복수개의 버스바(300)와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가 먼저 결합되어 연결모듈(500)을 형성한 후,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삽입하여서 복수개의 버스바(300)가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 커버(400)는 버스바 플레이트(200)의 버스바 수용홈(210)에 수용된 버스바(300)를 가릴 수 있도록, 버스바 플레이트(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버스바 플레이트(200)에는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자삽입홀(215)이 버스바 수용홈(210)의 양 끝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이 단자삽입홀(215)을 통해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삽입되면, 버스바 수용홈(210)에 미리 수용된 버스바(30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는 버스바 수용홈(210) 및 단자삽입홀(215)이 모두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 중 어느 하나에 버스바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단자삽입홀(2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버스바 수용홈(210)이 형성되고, 단자삽입홀(215)은 플레이트 커버(400)에 형성되어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에 구비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이 플레이트 커버(400)에 형성된 단자삽입홀(215)로 삽입되어서, 버스바 플레이트(200)의 버스바 수용홈(210)에 된 버스바(300)와 연결됨으로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버스바 수용홈(210) 및 단자삽입홀(215)이 모두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100)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모듈(500)을 먼저 완성한 후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삽입하면,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은 복수개의 버스바(300)로 자동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음전극단자(119a)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2 양전극단자(117b)와 제 1 버스바(300a)로 연결되고, 제 2 음전극단자(119b)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3 양전극단자(117c)와 제 2 버스바(300b)로 연결된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3 음전극단자(119c)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4 양전극단자(117d)와 제 3 버스바(300c)로 연결되고, 제 4 음전극단자(119d)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5 양전극단자(117e)와 제 4 버스바(300d)로 연결되며, 제 5 음전극단자(119e)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6 양전극단자(117f)와 제 5 버스바(300e)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열에 6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음전극단자들(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양전극단자(117a')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2 음전극단자(119b')와 제 1 버스바(300a')로 연결되고, 제 2 양전극단자(117b')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3 음전극단자(119c')와 제 2 버스바(300b')로 연결된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3 양전극단자(117c')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4 음전극단자(119d')와 제 3 버스바(300c')로 연결되고, 제 4 양전극단자(117d')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5 음전극단자(119e')와 제 4 버스바(300d')로 연결되며, 제 5 양전극단자(117e')는 대각선에 위치한 제 6 음전극단자(119f')와 제 5 버스바(300e')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복수열로 배열된 전지카트리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점프바(3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버스바 플레이트(200)에는 점프바(330)가 수용되는 점프바 수용홈(2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지카트리지(100)는 각각의 열에 6개씩 동일한 높이로 적층되므로, 점프바 수용홈(230)은 수평으로 형성된다.
점프바(330)는 점프바 수용홈(230)에 수용되어 서로 이웃하는 열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점프바 수용홈(230)의 양끝에는 제 1 양전극단자(117a)와 제 1 양전극단자(117a)의 이웃하는 열에 배치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제 1 음전극단자(119a')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2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2열로 배열되기 때문에, 버스바 플레이트(200)에는 점프바 수용홈(230)이 하나가 형성되고 점프바(330)도 하나가 구비되어, 점프바(330)가 제 1 양전극단자(117a)와 제 1 양전극단자(117a)의 이웃하는 열에 배치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음전극단자(119a')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총 12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직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12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직렬로 연결되어 완성된 배터리모듈은 하나가 구비되어, 제 6 음전극단자(119f)와 제 6 음전극단자(119f)의 이웃하는 열에 배치된 제 6 양전극단자(117f')를 통해 전류를 출력할 수도 있고, 제 6 음전극단자(119f)와 제 6 음전극단자(119f)의 이웃하는 열에 배치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제 6 양전극단자(117f')를 통해 복수개의 배터리모듈을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서 보다 고출력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이 복수개의 버스바(30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 후에, 연결모듈(500)과 복수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100)를 본딩, 볼트 결합 및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연결모듈(500)을 완성한 후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삽입하면,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은 복수개의 버스바(300)로 자동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는, 버스바(300)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전기적 쇼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지카트리지가 적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모듈은, 전지카트리지(100)들의 배열과,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버스바 수용홈(210)의 배열이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되어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은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버스바 플레이트(200)에는, 복수개의 버스바(300)가 엇갈리게 배치된 음전극단자들(119a~119f,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117a'~117f')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홈(21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 1 음전극단자(119a)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2 양전극단자(117b)와 제 1 버스바(300a)로 연결되고, 제 2 음전극단자(119b)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3 양전극단자(117c)와 제 2 버스바(300b)로 연결된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3 음전극단자(119c)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4 양전극단자(117d)와 제 3 버스바(300c)로 연결되고, 제 4 음전극단자(119d)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5 양전극단자(117e)와 제 4 버스바(300d)로 연결되며, 제 5 음전극단자(119e)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6 양전극단자(117f)와 제 5 버스바(300e)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열에 6개 적층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음전극단자들(119a'~119f') 및 양전극단자들(117a'~117f')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양전극단자(117a')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2 음전극단자(119b')와 제 1 버스바(300a')로 연결되고, 제 2 양전극단자(117b')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3 음전극단자(119c')와 제 2 버스바(300b')로 연결된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 3 양전극단자(117c')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4 음전극단자(119d')와 제 3 버스바(300c')로 연결되고, 제 4 양전극단자(117d')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5 음전극단자(119e')와 제 4 버스바(300d')로 연결되며, 제 5 양전극단자(117e')는 수직으로 위치한 제 6 음전극단자(119f')와 제 5 버스바(300e')로 연결된다.
또한, 점프바(330)가 제 1 양전극단자(117a)와 제 1 양전극단자(117a)의 이웃하는 열에 배치된 전지카트리지(100)의 음전극단자(119a')와 수평으로 연결됨으로서, 총 12개의 전지카트리지(100)가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모듈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버스바(300)가, 버스바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버스바 수용홈(210)에 수용되어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와 함께 연결모듈(500)을 형성한 후, 연결모듈(500)로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버스바(300)가 절연체인 버스바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커버(40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시에 작업자의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지카트리지 110: 단위전지
200: 버스바 플레이트 210: 버스바 수용홈
230: 점프바 수용홈 300: 버스바
330: 점프바 400: 플레이트 커버

Claims (6)

  1. 전류를 생성하고, 복수개 적층되는 전지카트리지;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가 수용되는 버스바 수용홈이 형성된 버스바 플레이트; 및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버스바를 가리는 플레이트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커버가 먼저 결합된 후,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의 양전극단자 및 음전극단자가,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서, 상기 버스바가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커버는 절연체인 배터리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에는 상기 버스바 수용홈이 비스듬히 형성되는 배터리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에는 상기 버스바 수용홈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배터리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지카트리지는 복수열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열의 전지카트리지 중 서로 이웃하는 열의 전지카트리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에는 상기 점프바가 수용되는 점프바 수용홈이 더 형성된 배터리모듈.
KR1020100031490A 2010-04-06 2010-04-06 배터리모듈 KR10176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90A KR101769820B1 (ko) 2010-04-06 2010-04-06 배터리모듈
PCT/KR2011/001456 WO2011126216A2 (ko) 2010-04-06 2011-03-03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조립방법
US13/638,907 US20130189563A1 (en) 2010-04-06 2011-03-03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s
CN201180016790.7A CN102823025B (zh) 2010-04-06 2011-03-03 电池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90A KR101769820B1 (ko) 2010-04-06 2010-04-06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082A true KR20110112082A (ko) 2011-10-12
KR101769820B1 KR101769820B1 (ko) 2017-08-21

Family

ID=4476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90A KR101769820B1 (ko) 2010-04-06 2010-04-06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89563A1 (ko)
KR (1) KR101769820B1 (ko)
CN (1) CN102823025B (ko)
WO (1) WO2011126216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430A (ko) * 2011-10-18 2013-04-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KR101329251B1 (ko) *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101357593B1 (ko) * 2012-04-13 2014-02-05 주식회사 프로파워 배터리 팩
KR101478704B1 (ko) * 2012-03-30 2015-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9553340B2 (en) 2013-05-30 2017-01-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CN107112453A (zh) * 2014-09-30 2017-08-29 江森自控科技公司 汇流条组件载体
US10243193B2 (en) 2014-06-05 2019-03-26 Lg Chem, Ltd. Battery pack
KR20190112467A (ko) *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내장 카트리지
KR20200094037A (ko) * 2019-01-29 2020-08-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조립모듈
CN112335108A (zh) * 2018-10-10 2021-02-05 株式会社Lg化学 汇流条框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633A (ko) 2012-11-12 2014-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9741984B2 (en) 2013-04-15 2017-08-22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WO2015031900A1 (en) * 2013-08-30 2015-03-05 King Products, LLC Battery holder and isolation assembly
CN104638205B (zh) * 2013-11-14 2017-03-01 乔信电子股份有限公司 叠置式串并联锂电池芯固定盒
KR101735875B1 (ko) 2013-11-20 2017-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9437859B2 (en) * 2014-04-07 2016-09-06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US10797285B2 (en) 2016-04-03 2020-10-06 Cummins Battery Systems North America Llc Battery pack including plural electrochemical cells encapsulated by encapsulan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6129291A (zh) * 2016-08-01 2016-11-16 杜桂菊 方形动力电池外壳
DE102016121265A1 (de) * 2016-11-07 2018-05-09 Elringklinger Ag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CN110062967B (zh) * 2016-12-09 2022-04-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组
KR102169631B1 (ko) * 2017-03-21 2020-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02722B1 (ko) 2018-03-26 2023-02-22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절연성능 강화 구조
KR102597528B1 (ko) 2018-07-03 2023-11-0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 셀
CA3092216A1 (en) * 2019-09-10 2021-03-10 Proterra Inc. Battery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277B2 (ja) * 1999-11-30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4629403B2 (ja) * 2004-10-22 2011-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用樹脂カバーの電線配索構造
KR100868255B1 (ko) * 2005-04-19 2008-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연결장치
JP5070697B2 (ja) * 2005-12-19 2012-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178154B2 (ja) * 2007-11-12 2013-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ユニットと複数の組電池ユニットを備える電池電源システム
JP5213426B2 (ja) * 2007-12-11 2013-06-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EP2324521A4 (en) * 2008-09-09 2013-10-23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WASHER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BATTERY MODUL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430A (ko) * 2011-10-18 2013-04-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배터리 모듈
KR101478704B1 (ko) * 2012-03-30 2015-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57593B1 (ko) * 2012-04-13 2014-02-05 주식회사 프로파워 배터리 팩
KR101329251B1 (ko) *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US9553340B2 (en) 2013-05-30 2017-01-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10243193B2 (en) 2014-06-05 2019-03-26 Lg Chem, Ltd. Battery pack
CN107112453A (zh) * 2014-09-30 2017-08-29 江森自控科技公司 汇流条组件载体
CN107112453B (zh) * 2014-09-30 2020-09-04 Cps科技控股有限公司 汇流条组件载体
KR20190112467A (ko) * 2018-03-26 2019-10-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내장 카트리지
CN112335108A (zh) * 2018-10-10 2021-02-05 株式会社Lg化学 汇流条框架安装方法
US11962039B2 (en) 2018-10-10 2024-04-16 Lg Energy Solution, Ltd. Mounting method of bus-bar frame
KR20200094037A (ko) * 2019-01-29 2020-08-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조립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820B1 (ko) 2017-08-21
WO2011126216A2 (ko) 2011-10-13
CN102823025A (zh) 2012-12-12
US20130189563A1 (en) 2013-07-25
CN102823025B (zh) 2015-06-10
WO2011126216A3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082A (ko) 배터리모듈
US10026942B2 (en) Bus bar assembly including integrated bus bar support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10062879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217564B1 (ko) 전압 검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025319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196882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JP5456254B2 (ja) 交互配向の構成を有する二次電池パック
JP7072662B2 (ja) バッテリーセル組立体、該バッテリーセル組立体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KR101305224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14008722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25020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023184B1 (ko) 배터리 모듈의 용접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5728A (ko) 서브 팩 모듈
WO2011065674A2 (ko) 전지 카트리지
US20150056495A1 (en) Battery pack
KR20110116529A (ko) 전지 카트리지
KR20130068971A (ko)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KR101672191B1 (ko) 전지 카트리지
KR20110059356A (ko) 전지 카트리지
KR102436424B1 (ko) 이차 전지
CN102782901A (zh) 电池盒
KR101608658B1 (ko) 전지 카트리지
KR20130002749A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KR20160050691A (ko) 냉각구조를 구비하는 전지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