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826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826A
KR20110109826A KR1020110012133A KR20110012133A KR20110109826A KR 20110109826 A KR20110109826 A KR 20110109826A KR 1020110012133 A KR1020110012133 A KR 1020110012133A KR 20110012133 A KR20110012133 A KR 20110012133A KR 20110109826 A KR20110109826 A KR 2011010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plate
air conditioner
panel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šœ지 후지모리
구니히또 가와무라
고오따로오 마쯔시따
겐이찌 야하기
게이지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01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69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749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24828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동 패널의 개폐에 수반하여 회전축의 근방에 발생하는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동 패널(41)을 구비한 흡입부(40)와, 가동 루버(62)를 구비한 분출부(60)를 하우징면(16)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한 실내기(1)이며, 가동 패널(41)은 패널 개폐 기구부(43)를 통해, 흡입부(40)의 하단부에 설치한 패널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동 루버(62)는 루버 구동 기구부를 통해, 패널 회전축(42)의 하방에 설치되는 루버 회전축(64)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패널 개폐 기구부(43)는 운전 상태에서는 흡입부(40)를 개방하도록 가동 패널(41)을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흡입부(40)를 은폐하도록 동작시키고,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와 하우징면(16)의 상단부는,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Q)을 운전 상태에서 은폐하도록 형성되고, 루버 구동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분출부(60)를 개방하도록 가동 루버(62)를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분출부(60)와 하우징면(16)을 은폐하도록 하우징면(16)의 전방에 가동 루버(62)를 위치시킨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옥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하는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시에는 개방하고, 정지시에는 폐쇄하는 가동 패널을 실내기의 전방면에 설치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풍향 제어용 풍향판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를 구비하여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송풍 유닛을 구비하여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한 세퍼레이트형인 것이 주류이다. 이 실내기는, 그 하우징의 내부에 환류 팬과, 이 환류 팬을 둘러싸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종래예의 실내기는, 환류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상방에 설치한 흡입부로부터 흡입한 실내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온풍 또는 냉풍으로 열교환하고, 이 실내 공기를 하우징 하부에 설치한 분출부로부터 분출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래예의 가동 패널(41)의 개폐 구조를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에 있어서, 종래의 가동 패널(41)은,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부를 통해, 이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42)을 중심으로, 그 상부를 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도 15의 (b)에 도시하는 운전 상태에서는, 이 가동 패널(41)을 개방하여 흡입부(40)의 면적을 확장하고, 도 15의 (a)에 도시하는 정지시 상태에서는, 이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정면의 흡입부(40)를 편평한 평활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종래예는, 분출부에 장식 패널을 겸용하는 분출 루버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운전 정지시에는 이 분출부와 흡입부를 분출 루버와 가동 패널로 덮을 수 있으므로, 운전시의 운전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운전 정지시에는 실내의 인테리어에 융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실내기의 설치 공간에의 조화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투명 또는 투명한 풍향판의 표면에 투과성을 갖는 금속 증착박을 장식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방과 하방으로 크게 개방된 분출부에, 2매의 풍향판을 전후로 설치함으로써, 냉난방의 운전시에는 상하 방향의 풍향 제어를 향상시키고, 정지시에는 분출부를 2매의 풍향판으로 봉쇄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킨 것이 있다. 특히,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분출부의 상방을 흡입부 근방까지 확대한 상방 확대부를 형성하고, 이 상방 확대부를 통해, 전방의 상방으로부터 미약한 바람을 부드럽게 확산시키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행하거나, 혹은 이 상방 확대부를 통해 숏 서킷 운전시킴으로써 열교환기의 건조 운전이나 내부의 탈취 운전 등을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7984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5414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78085호 공보
상기 종래예에 따르면, 운전 상태에 따라서 가동 패널(41)을 개폐하므로, 운전시에는 개구율이 큰 운전이 가능하고, 또한 정지시에는 실내기를 편평한 평활면으로 덮은 실내 인테리어에 융합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구조에서는, 회전축(42)을 고정축으로 하고 있으므로, 도 15의의 (a)에 도시하는 정지 상태에서는, 흡입부(40)의 주위의 하우징면(16)과, 가동 패널(41)의 전방면을 연속시킨 편평면으로 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도 15의 (b)에 도시하는 운전 상태에서는, 회전축(42)의 주위에 간극(Q)(요철)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 과제는, 운전 상태에서 하우징면(16)과 가동 패널(41)을 편평하게 연속시키면, 반대로 정지 상태에서 회전축(42)의 주위에 간극(Q)(요철)이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이 과제는, 가동 패널(41)을 채용하는 이상, 발생하는 것이지만, 인테리어성을 보다 추구한 의장성을 중시하는 실내기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큰 과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 따르면, 전방과 하방으로 연속해서 크게 개방된 분출부를 한 쌍의 풍향판으로 덮음으로써, 기능성과 의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에 크게 개방된 전방부 풍향판이, 하우징에 조화되는 형태로 되는 운전 정지 상태로부터, 크게 개방되어 다양한 운전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동작시에 이용자에게 압박감을 부여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전방부 풍향판이 수납되는 하우징의 전방면 하부는, 운전 상태 표시부나 각종 센서의 배치면으로서 유효한 위치이므로, 이 전방부 풍향판과 운전 상태 표시부나 각종 센서의 배치 관계를 궁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패널의 개폐에 수반하여 회전축의 근방에 발생하는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 및 전방부 풍향판의 가동시의 압박감을 경감하면서, 양호한 풍향 제어와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동 패널을 구비한 흡입부와, 가동 루버를 구비한 분출부를 하우징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한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패널은, 패널 개폐 기구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하단부에 설치한 패널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동 루버는, 루버 구동 기구부를 통해, 상기 패널 회전축의 하방에 설치되는 루버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널 개폐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개방하도록 가동 패널을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은폐하도록 동작시키고, 상기 가동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면의 상단부는, 상기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을 상기 운전 상태에서 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루버 구동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를 개방하도록 가동 루버를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와 상기 하우징면을 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면의 전방에 가동 루버를 위치시키도록 동작시킨다.
또한,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정면 전방부에 연속해서 크게 개방되는 분출부에, 전후로 배치되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통해 분출부를 봉쇄하고, 운전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을, 투명 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전방부 풍향판의 회전하는 선단부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전방부 풍향판을, 회전 지지부를 갖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투명 패널부를 포함한 2중 구조로 한다. 2중 구조에서는, 투명 패널부는, 전방부 풍향판의 회전하는 선단부측을 베이스부의 선단부보다 돌출시켜 형성되고, 베이스부와 접촉하는 투명 패널부의 이면에는 인쇄 또는 도장을 실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패널의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패널 회전축 근방의 간극을, 하우징면이 노출되는 운전 상태에서는 폐색하여 운전시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정지시에는 가동 패널의 폐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패널 회전축 근방의 간극을 가동 루버로 은폐할 수 있으므로, 가동 패널의 개폐에 수반하여 회전축의 근방에 발생하는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풍향판을, 투명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 전방부 풍향판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가동 루버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외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부품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외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부품 전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전방부 풍향판의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
도 15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관한 실내기의 가동 루버의 동작 설명도.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가 제1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를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8이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를 도시하고, 도 9 내지 도 14가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를 갖고 나타내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개략 설명도로, 도 1의 (a)가 운전 동작시의 외관 사시도, 도 1의 (b)는 운전 정지시의 주요부 종측면도, 도 1의 (c)가 운전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로, 도 2의 (a)가 정면도, 도 2의 (b)가 운전 정지시의 우측면도, 도 2의 (c)가 프론트 패널을 개방한 상태의 우측면도, 도 2의 (d)가 운전 정지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외관도로, 도 3의 (a)가 정면도, 도 3의 (b)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 4의 (a)가 운전 정지시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4의 (b)가 운전시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를 구비하여 옥외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와, 송풍 팬을 구비하여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실내기(1)를 도시하지 않은 냉매 배관을 통해 접속함으로써, 실내기(1)에 의한 냉난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실내기(1)는, 깊이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횡폭 치수가 큰 가로로 긴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흡입부(20)와, 하우징(10)의 전방면 상부에 형성되는 전방부 흡입부(40)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하우징(10)의 하면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분출부(60)로부터 분출하는 공기 유로(13)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기 유로(1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 방향을 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관류 팬(11)과, 이 관류 팬(11)의 전방과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12)가 내장되어 있다.
즉,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관류 팬(11)의 전후에는, 전방부 드레인 팬(14)과, 후방부 드레인 팬(15)이 설치되고, 이 전방부 드레인 팬(14)과 후방부 드레인 팬(15)에 걸쳐서 관류 팬(11)의 상부를 덮도록 열교환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실내 공기의 도입구는, 항상 개방되어 설치되는 상부 흡입부(20)와, 가동 패널(41)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부 흡입부(40)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부 흡입부(20)는 대략 수평한 상면에 설치되고, 전방부 흡입부(40)는 대략 수직한 하우징 전방면의 상부 3/5 정도의 크기를 갖고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전방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방부 흡입부(40)를, 가동 패널(41)을 통해, 개폐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동 패널(41)은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패널 회전축(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부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패널 구동 기구부(43)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패널 구동 기구부(43)를 동작시킴으로써, 가동 패널(41)을, 패널 회전축(42)을 중심으로, 그 상부를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흡입부(40)를 폐쇄한 상태와,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흡입부(40)를 개방시킨 상태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부(60)는 관류 팬(1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관류 팬(11)과 전방부 드레인 팬(14)의 하방을 크게 개방하도록,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분출부(60)에는, 전방부 풍향판(62)과 후방부 풍향판(63)으로 이루어지는 풍향판(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판(61)은, 도시하지 않은 풍향판 구동 기구부를 통해,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부(60)를 폐쇄한 상태와,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부(60)를 개방하여 공기류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류 팬(11)이나 패널 구동 기구부(43) 및 풍향판 구동 기구부 등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통괄 제어되고, 또한 이 제어부는 도시하지 않은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조작 지시를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관한 제어부는,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41)과 풍향판(61)을 폐쇄하여, 전방부 흡입부(40)와 분출부(60)를 은폐하도록 제어하고, 운전 상태에서는, 도 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41)과 풍향판(61)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운전 상태에서는, 관류 팬(11)을 동작시킴으로써, 상부 흡입부(20)와 크게 개방된 전방부 흡입부(40)로부터 실내 공기를 도입하고, 열교환기(12)를 통해 온풍 또는 냉풍 혹은 제습을 행하여, 이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운전 모드에 대응하여 소정 각도로 개방한 풍향판(61)에 따라서 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분출부(60)에 설치되는 전방부 풍향판(62)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가동 패널(41)을 구비한 전방부 흡입부(40)와, 전방부 풍향판(62)을 구비한 분출부(60)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면(16)을 은폐하도록, 전방부 풍향판(62)을 하우징면(16)의 전방에 수납한 점에 있다.
즉, 종래의 분출부(60)에 설치되는 풍향판(61)은, 전방부 풍향판(62)과 후방부 풍향판(63)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한 쌍의 풍향판(61)은 폐쇄된 상태로 분출부(60)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폐쇄된 상태의 풍향판(61)은 분출부(60)의 주위의 하우징면과 요철 없이 연속되도록 동일 높이의 면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다른 종래예에는, 분출부(60)를 전방부 흡입부(40)의 하단부까지 연장하고, 이 오목 형상의 분출부(60)의 내부 벽면에 인체 센서를 설치하여, 풍향판(61)이 폐쇄되었을 때에, 이 인체 센서를 구비한 내부 벽면을 풍향판(61)으로 덮는 구조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체 센서를 구비한 내부 벽면은 개방된 오목 형상의 분출부(60)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이며, 종래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이다. 또한, 인체 센서를 구비한 내부 벽면을 폐쇄한 상태로 은폐하는 풍향판(61)은, 분출부(60)의 주위의 하우징면과 요철 없이 연속되도록 동일 높이의 면으로 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풍향판(61)은 깊이 방향으로 크게 하면, 분출부(6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를 멀리 송풍할 수 있지만, 풍향판(61)을 크게 하면, 운전 정지시의 수납 장소에 과제가 남는다. 또한 한편, 하단부를 패널 회전축(42)으로 하는 풍향판(61)은, 그 구조상, 이 풍향판(61)의 요동에 수반되는 패널 회전축(42) 근방의 간극이 발생해 버리므로, 의장적인 과제가 남는다. 즉, 패널 회전축(42) 근방의 간극은, 폐쇄된 상태와 개방 상태 중 어느 한쪽을 없애도록 하면 다른 쪽에 간극이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동 패널(41)을 구비한 전방부 흡입부(40)와, 전방부 풍향판(62)을 구비한 분출부(60)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면(16)의 전방부를, 이 하우징면(16)을 덮는 크기를 구비한 전방부 풍향판(62)의 수납 공간으로 하는 것을 착상하였다.
하우징면(16)은 전방부 드레인 팬(14)의 전방부에 위치하므로, 흡입부로 하기에는 부적합한 공간이며, 이 기능상 데드 스페이스로 되는 하우징면(16)의 전방부에, 큰 전방부 풍향판(62)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간을 덮는 큰 전방부 풍향판(62)을 겹쳐지도록 수납하면, 이 하우징면(16)에 인접하는 패널 회전축(42)의 근방에 간극(Q)이 존재해도, 전방부 풍향판(62)의 존재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가동 패널(41)을 개방한 상태에서,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와 하우징면(16)의 상단부 사이를 연속된 형상으로 설정하고, 가동 패널(41)을 폐쇄한 상태에서, 이 가동 패널(41)의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이 발생하도록 설정한 점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가동 패널(41)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패널 회전축(42) 근방이 눈에 띄지 않게 되므로, 이 눈에 띄지 않는 가동 패널(41)이 폐쇄된 상태에서,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되는 간극을 발생시킴으로써, 패널 회전축(42) 근방이 노출되는 가동 패널(41)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패널 회전축(42) 근방의 정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전방부 풍향판(62)에 장식 부재(66)를 설치한 점에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62)이 하우징(10)의 가장 눈에 띄는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종래의 풍향판(61)도 폐쇄된 상태에서는 분출부(60)를 덮는 구조이므로 의장성이 높은 표면 마무리나 조형면을 고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이, 종래의 풍향판(61)보다도 보다 눈에 띄는 존재이므로, 폐쇄된 상태에서 정면을 구성하는 전방부 풍향판(62)의 표면에 장식 부재(66)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정지 상태에 있어서, 풍향판(61)을, 하우징과 동화되는 표면을 구비한 후방부 풍향판(63)과, 장식 부재(66)를 표면에 설치한 전방부 풍향판(62)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전방부 풍향판(62)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장식 부재(66)로 한 점에 있다.
즉, 풍향판(61)은 깊이 방향으로 크게 하면, 분출부(6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를 멀리 송풍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방부 풍향판(62)을 크게 하면, 그 동작에 수반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량이 커지므로,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부여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적어도 전방부 풍향판(62)을 구성하는 장식 부재(66)를 투명 수지 재료나 투명 글래스 등의 투명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전방부 풍향판(62)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장식 부재(66)와, 이 장식 부재(66)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한 골격 베이스부(68)를 포함하여 구성한 점에 있다.
즉, 전방부 풍향판(62)을 투명 부재로 형성하면, 표면의 투명 부재를 통해 이면측에 형성되는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이나 도시하지 않은 보강 리브 등이 보이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이나 보강 리브 등의 기능적인 구조를 담당하는 골격 베이스부(68)와, 이 골격 베이스부(68)에 장착되는 투명한 장식 부재(66)를 포함하여 전방부 풍향판(62)을 구성함으로써,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이나 보강 리브 등이 골격 베이스부(68)에 의해 은폐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덧붙여, 장식 부재(66)를 골격 베이스부(68)보다 크게 함으로써, 골격 베이스부(68)의 주위에 돌출된 투명한 장식 부재(66)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와 접촉하는 장식 부재(66)의 이면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 접촉 부분을 인쇄에 의해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촉 부분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장식 부재(66)를 골격 베이스부(68)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내기(1)의 상세 구조를 더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하우징(10)은, 이 하우징(10)의 배면측을 구성하는 백 커버(100)와, 이 백 커버(100)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커버(110)와, 전방부 흡입부(40)를 구성하는 흡입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관 형상은, 도 2의 (a)의 정면도로부터 보아 대략 가로로 긴 사각형이고, 또한 도 2의 (b)의 측면도로부터 보아도 대략 사각형인 가로로 긴 상자 형상을 기조(基調)로 하고 있다.
백 커버(100)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관류 팬(11)이나 열교환기(12) 등의 기본 부품이 장착되고, 이 백 커버(100)의 전방부를 프론트 커버(110)로 덮음으로써 실내기(1)의 골격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프론트 커버(110)의 상면에는, 상부 흡입부(20)가 형성되고, 프론트 커버(110)의 하부에는 분출부(60)가 형성된다.
한편, 흡입 커버(120)는 전방부 흡입부(40)를 구성하는 것이며, 도 1의 (c)에 도시하는 회전축(121)을 통해, 그 상단부가 프론트 커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 프레임(122)과, 이 흡입 프레임(122)의 하단부에 패널 회전축(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 패널(41)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프레임(122)의 양측과 상부는, 전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124)이 형성됨으로써, 가동 패널(41)의 주위가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는 조형 처리로 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0)의 박형감을 창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흡입 커버(120)는,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프레임(122)의 양측의 하부의 경사면(124)에 설치한 로크 스위치(123)를 조작함으로써, 상부의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그 하부를 요동하여 개폐할 수 있다. 이 개폐 기구에 의해, 전방부 흡입부(40)와 상부 흡입부(20)를 덮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 필터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로크 스위치(123)는 경사면(124)의 오목 형상의 경사를 이용하여, 양측으로 크게 돌출되는 일 없이, 내리누르는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오조작을 경감하면서 경사면(124)과 동화시켜 의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우징(10)의 정면의 상하부는, 후방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전체의 볼륨을 경감하여, 콤팩트한 외관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 패널(41)의 상단부를 요동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41)을 개방한 상태에서, 가동 패널(41)의 상단부의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의 구조와 형상이 큰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 전방부 풍향판(62)의 외관 형상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약간 만곡되어 형성되는 전방부 풍향판(62)을, 불투명한 골격 베이스부(68)와, 투명한 장식 부재(66)로 구성하고 있다. 종래 구조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을 수지의 일체 성형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와 장식 부재(66)를 접합한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물방울 등을 방지하는 식모(植毛)나 강도 부재인 리브 등을 골격 베이스부(68)에 설치해도 투명한 장식 부재(66)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골격 베이스부(68)와 별도의 부재인 장식 부재(66)를 조합함으로써, 재질감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이면 인쇄나 이면 요철 모양 등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조형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장식 부재(66)의 주위를 골격 베이스부(68)의 주위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풍향 기능의 면적을 확보하면서, 그 크기를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운전시의 압박감을 경감하고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과 후방부 풍향판(63)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풍향판(61)을 분출부(60)에 설치하고 있다. 전방부 풍향판(62)은 분출부(6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부 풍향판(63)은 분출부(6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 풍향판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부 풍향판(62)의 깊이 치수 d1은 후방부 풍향판(63)의 깊이 치수 d2보다 작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 풍향판(63)의 깊이 치수 d2는, 후방부 풍향판(63)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전방부 풍향판(62)의 후단부]까지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전방부 풍향판(62)의 깊이 치수 d1은, 전방부 풍향판(62)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방부 흡입부(40)와 분출부(60)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면(16)을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부 풍향판(62)의 횡폭 w1은, 후방부 풍향판(63)의 횡폭 w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후방부 풍향판(63)은, 분출부(6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가이드 기능과, 폐쇄되었을 때에 분출부(60)를 은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후방부 풍향판(63)의 횡폭 w1은, 분출부(60)의 전방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은, 분출부(6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가이드 기능과, 가동 패널(41)의 패널 회전축(42) 근방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장식 부재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가동 패널(41)은, 정면을 상하로 분할하도록 정면의 상부 전체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패널 회전축(42) 근방의 간극(Q)은 하우징(10)의 횡폭 전체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의 횡폭 w1을, 가동 패널(41)의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우징면(16)을 덮는 크기, 즉, 하우징(10)의 횡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면(110)의 편측에, 도시하지 않은 원격 조작기와의 사이에서 조작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방부 풍향판(62)의 편측에는, 폐쇄되었을 때에, 이 신호 송수신창(17)을 노출시키는 개구부(67)(또는 투명한 창)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하우징(10)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각종 장치가 통괄 제어된다.
우선 제어부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패널 구동 기구부(43)와 도시하지 않은 풍향판 구동 기구부를 동작시켜,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41)과 풍향판(61)을 폐쇄한 상태로 한다.
즉, 가동 패널(41)은, 패널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전방부 흡입부(40)를 봉쇄하도록 하우징(10)의 전방부에 절첩되어 수납되어 있다. 이때,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와, 하우징면(16)의 상단부 사이에는, 가동 패널(41)의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Q1)이 발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전방부 풍향판(62)은,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을 중심으로 하우징면(16)을 은폐하도록, 하우징면(16)의 전방부에 절첩되어 수납된다. 여기서, 실내기(1)는 벽면의 상방에 설치되므로, 이용자의 시선은 도 4의 (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기(1)를 올려다 보게 된다. 따라서, 패널 회전축(42) 근방에 발생하는 간극(Q1)은, 하우징면(16)의 전방에 수납되는 풍향판(61)의 후방의 위치로 되므로, 풍향판(61)의 존재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의 주위에 투명한 장식 부재(66)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투명한 장식 부재(66)를 통해 간극(Q1)이 이용자에게 보여지므로, 간극(Q1)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오히려, 장식 부재(66)의 의장적 효과에 의해, 그 주위의 형태는 장식 부재(66)의 존재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도시하지 않은 원격 조작기로부터의 운정지시를 접수하면, 패널 구동 기구부(43)와 도시하지 않은 풍향판 구동 기구부를 동작시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패널(41)과 풍향판(61)을 개방 상태로 한다.
즉, 가동 패널(41)은, 패널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전방부 흡입부(40)를 개방하도록 그 상부를 전방으로 개방한다. 이때,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와, 하우징면(16)의 상단부 사이에 발생되어 있었던 간극(Q1)을 폐색하도록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개방시의 가동 패널(41)의 표면이 하우징면(16)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한편, 전방부 풍향판(62)은,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을 중심으로 타단부를 개방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모드에 대응한 각도까지 개방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운전 상태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에 수반되는 전방부 풍향판(62)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크게 노출되는 하우징면(16)을, 전방으로 개방된 가동 패널(41)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면 조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벽면을 주체로 하는 실내 공간에 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연속된 평면은, 가동 패널(41)의 상단부를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압박감이 경감된다. 또한, 전방부 풍향판(62)은, 그 큰 깊이 치수 d1에 의해, 전방으로의 풍향 제어와 양측으로의 풍향 제어가 양호해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가동 패널을 구비한 흡입부와, 풍향판을 구비한 분출부를 하우징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한 실내기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가동 패널은, 패널 개폐 기구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하단부에 설치한 패널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풍향판은, 풍향판 구동기구부를 통해, 상기 패널 회전축의 하방에 설치되는 풍향판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널 개폐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개방하도록 가동 패널을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은폐하도록 동작시키고, 상기 가동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면의 상단부는, 상기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을 상기 운전 상태에서 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풍향판 구동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를 개방하도록 풍향판을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와 상기 하우징면을 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면의 전방에 풍향판을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풍향판은 운전 정지 상태에서 전방면으로 되는 표면에 투명한 장식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풍향판은 하우징의 횡폭과 일치하는 횡폭을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 패널의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패널 회전축 근방의 간극을, 하우징면이 노출되는 운전 상태에서는 폐색하여 운전시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정지시에는 가동 패널을 폐쇄하는 것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패널 회전축 근방의 간극을 풍향판으로 은폐할 수 있으므로, 가동 패널의 개폐에 수반하여 회전축의 근방에 발생하는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외관도로, 도 5의 (a)가 부분 정면도, 도 5의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풍향판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로, 도 8의 (a)가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의 (b)가 풍향판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서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a)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장식 부재(66a)와, 이 장식 부재(66a)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한 골격 베이스부(68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전방부 풍향판(62a)의 선단부측에 장식 부재(66a)를 크게 돌출시켜 형성한 점에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골격 베이스부(68a)는, 깊이 치수 d3을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 본체(69)의 양측과 중앙에, 깊이 방향의 한쪽 단부측으로 경사지면서 신장되는 아암부(70)를 형성하고, 그 아암부(70)의 단부에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아암부(70) 사이에는 베이스 본체(69)와 나란히 배치되는 보조 루버(7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69)의 양단부에는, 다른 단부측으로 돌출 치수 d4만큼 돌출된 돌출부(7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식 부재(66a)는 깊이 치수 d1을 구비한 투명한 얇은 부재이다. 이 장식 부재(66a)는, 아암부(70)측의 단부를 거의 일치시켜, 다른 단부측으로 깊이 치수 d5만큼 골격 베이스부(68a)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 부재(66a)는, 골격 베이스부(68a)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도 5의 (a)에 물결 모양으로 표현한 접촉면(72)]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장식 부재(66a)는, 이면측을 깊이 방향에 대해 2분할하여, 회전축측으로 되는 아암부(70)측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에 대해 선단측으로 되는 타단부측을 투명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의장적으로 불필요한 골격 베이스부(68a)를 보이지 않게 하는 한편, 전방부 풍향판(62a)의 선단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방부 풍향판(62a)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의 불투명 처리부가, 풍향판을 지지하는 축부 등을 보이지 않도록 덮을 수 있고, 또한 인체 검지 센서, 마이크 등의 부가 기능부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a)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도 5의 (a)에 물결 모양으로 표현한 접촉면(72)]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지만, 한 쌍의 돌출부(71) 사이의 부분에도 이면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명 부분을 동일 폭의 띠 형상으로 하여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a)의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 부재(66a)의 깊이 방향의 일단부측을 예각으로 형성하여, 이 예각부(73)를 골격 베이스부(68a)의 일단부측에 형성한 끼워 맞춤 홈(74)에 삽입하여, 양면 테이프(75)를 통해 장식 부재(66a)와 골격 베이스부(68a)를 접착한다. 골격 베이스부(68a)의 접촉면(72)에는, 양면 테이프(75)의 두께를 흡수하는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장식 부재(66a)와 골격 베이스부(68a)를 간극 없이 접착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골격 베이스부(68a)의 존재를 장식 부재(66a)에 의해 가려 양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장식 부재(66a)를 수지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장착부 등을 장식 부재(66a)의 이면에 형성하면 수축이나 웰드 등이 발생하여 의장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면 인쇄를 하기 어려운 구조로 된다. 또한, 골격 베이스부(68a)에 장착부 등을 형성하면, 이 취출부가 장착 부재(66a)의 주위로 튀어 나와, 의장성을 저해하는 요인도 된다.
이 실시예의 구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착 구조에 따르면, 장식 부재(66a)를 심플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글래스 재료로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양면 테이프(75)의 접착에 의해 양 부재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일층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해, 장식 부재(66a)를 관통하는 고정 핀(76)을 돌출부(71)에 장착하고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장식 부재(66a)를 투명이나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있지만, 고정 핀(76)을 설치함으로써, 장식 부재(66a)를 글래스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의장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벽면이나 글래스 재료로 형성되는 실내 환경에 조화되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a)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1a)의 특징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부 흡입부(40)의 전방부를 덮는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전방부 풍향판(62a)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방부 풍향판(62a)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a)의 선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투명부를 통해, 간극(Q1)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우징면(16)을 이용자에게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 상태라도, 운전 정지 상태라도 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기 하우징면(16)에 운전 상태 표시부(77)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운전 정지시라도 운전 상태 표시부(77)가 투명 부재로 덮여 있으므로, 타이머 예약 등의 필요한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심플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이 특징점을 도 8에서 더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62a)의 선단부에 장식 부재(66a)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하우징면(16)에 띠 형상의 기기 배치면(78)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방부 풍향판(62a)의 동작에 좌우되는 일 없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기기 배치면(78)에 표시나 각종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기 배치면(78)에 운전 상태 표시부(77)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시에 동작시키는 인체 센서(80)와 마이크(81)와 복사 센서(82)는, 전방부 풍향판(62a)에 의해 은폐되는 하우징면(16)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간극(Q1)을 장식 부재(66a)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에 의해, 그 간극(Q1)은 눈에 띄지 않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부 풍향판(62a)을 투명 수지 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전방부 풍향판의 회전하는 선단부를 투명 수지 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전방부 풍향판을, 투명 패널부와, 이 투명 패널부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한 회전 지지부를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부 풍향판이 투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방부 풍향판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전방부 풍향판의 외관도로, 도 9의 (a)가 부분 정면도, 도 9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전방부 풍향판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전방부 풍향판의 상세도로, 도 11의 (a)는 장식 부재의 사시도, 도 11의 (b)와 (c)는 전방부 풍향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로, 도 13의 (a)가 풍향판을 폐쇄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의 (b)가 풍향판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외관도로, 도 14의 (a)가 운전 정지시의 우측면도, 도 14의 (b)가 운전 동작시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제1,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서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이 실시예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양면 테이프(75)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제2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a)과 동일한 구조의 전방부 풍향판(62b)을 구비한 점에 있다.
즉,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b)은, 장식 부재(66b)의 회전축측으로 되는 후단부에, 골격 베이스부(68b)의 일부를 구성하는 띠 형상의 돌출부(83)를 노출시키고, 이 돌출부(83)에 의해 형성되는 끼워 맞춤 홈(74)에 장식 부재(66b)의 후단부를 끼워 맞추어 장착하고, 타단부측으로 되는 장식 부재(66b)의 선단부의 양측을 고정 핀(76)에 의해 골격 베이스부(68b)에 고정함으로써, 양면 테이프(75)를 사용하는 일 없이, 골격 베이스부(68b)에 장식 부재(66b)를 변형없이 장착하여, 의장적으로도, 구조적으로도 양호한 전방부 풍향판(62b)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징적인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아암부(70)를 구비한 골격 베이스부(68b)와, 이 골격 베이스부(68b)의 선단측[아암부(70)와 대향하는 측]에 크게 돌출되어 설치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장식 부재(66b)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골격 베이스부(68b)는, 깊이 치수 d3을 구비한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 본체(69)의 이면측의 양측과 중앙에, 깊이 방향의 한쪽 단부측으로 경사지면서 신장되는 아암부(70)를 형성하고, 그 아암부(70)의 단부에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69)의 정면의 아암부(70)측의 단부로 되는 변부에는, 깊이 치수 d7을 구비한 가느다란 띠 형상의 돌출부(83)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에 끼워 맞춤 홈(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본체(69)의 정면의 아암부(70)와 대향하는 측의 단부의 양측에는, 돌출 치수 d4만큼 돌출된 돌출부(7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식 부재(66b)는 전방부 풍향판(62b)의 깊이 치수 d1과 거의 동일한 깊이 치수를 구비한 투명한 얇은 부재로 구성한다. 이 장식 부재(66b)는, 깊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83)에 의해 형성되는 끼워 맞춤 홈(74)에 장착되고, 다른 단부측으로 깊이 치수 d5만큼 골격 베이스부(68b)의 단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 부재(66b)는, 선단부에 띠 형상의 투명 영역(84)을 남기고, 다른 골격 베이스부(68b)와 접촉하는 이면의 범위를 포함하는 부분[도 9의 (a)에 물결 모양으로 표현한 부분]에 이면 인쇄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b)은 운전 정지 상태에서 노출되는 면을 불투명한 돌출부(83)와, 장식 부재(66b)에 의해 동일 높이의 면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b)은, 운전 정지 상태에서 노출되는 면이, 전후로 3분할되고, 그 중앙에 이면 인쇄가 실시된 투명 부분이 배치되고, 이것을 선단부의 띠 형상의 투명 영역(84)과, 불투명한 돌출부(83) 사이에 끼운 구조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의장적으로 불필요한 골격 베이스부(68a)를 은폐하는 한편, 전방부 풍향판(62a)의 선단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키면서, 전방부 풍향판(62a)의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은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b)의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 부재(66b)의 깊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두께를 얇게 형성한 끼워 맞춤부(85)를 형성하고, 이 끼워 맞춤부(85)를 골격 베이스부(68b)의 일단부측에 형성한 끼워 맞춤 홈(74)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타단부측의 양측을 고정 핀(76)을 통해 돌출부(71)에 장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a)와 장식 부재(66a)의 주된 접합을, 끼워 맞춤 홈(74)과 예각부(73)의 끼워 맞춤과, 양면 테이프(75)의 접착에 의해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양면 테이프(75)에 의한 넓은 접착면이 필요해지므로, 양 부재의 넓은 접촉면(72)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골격 베이스부(68)가 대형화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춤부(85)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홈(74)을 깊게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춤부(85)와 끼워 맞춤 홈(74)의 접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서 유지시키고, 끼워 맞춤부(85)와 대향하는 단부측의 양측을 고정 핀(76)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양 부재의 주된 접합을 끼워 맞춤부(85)와 끼워 맞춤 홈(74)에 의해 행하고, 전방부 풍향판(62b)의 양단부를 고정 핀(76)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베이스 본체(69)의 깊이 치수 d3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골격 베이스부(68b)를 소형화하여, 그 선단에 돌출되는 장식 부재(66b)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방부 풍향판(62b)의 회전 동작에 수반되는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장식 부재(66b)의 전개 범위를 다양하게 도모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부(83)를 양측에 빈 영역(86)을 남기고 중앙 부근에 형성하고, 고정 핀(76)을, 이 빈 영역(86)의 범위 내에 설치한 3점 지지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83)의 양단부가 장식 부재(66b)에 의해 가려지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3점 지지 구조에 따르면, 전방부 풍향판(62b)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로 되는 가느다란 부분(깊이 치수 d3)을 2개의 부재의 끼워 맞춤에 의해 변형을 경감하여 유지하고, 또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깊이 치수가 취할 수 있는 위치[돌출부(71)]를 고정 핀(76)으로 유지함으로써, 길이 방향에 대한 휨이나 비틀림을 경감하여, 2개의 부재의 접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돌출부(83)의 횡폭을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부(60)[후방부 풍향판(63)]의 횡폭에 맞춤으로써, 장식 부재(66b) 중에 노출되는 돌출부(83)의 존재를 위화감 없게 하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도 장식 부재(66b)를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골격 베이스부(68)의 은폐성을 보다 높여,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방부 풍향판(62b)은,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64)측에 가느다란 띠 형상의 불투명한 돌출부(83)가 형성되지만, 다른 전방부 풍향판(62b)의 대부분은 투명 부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중 구조의 전방부 풍향판(62b)의 조립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가일층 고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 고안점을 도 11에서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b)은, 횡폭 방향으로 긴 2개의 부재를 조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의 위치 정렬에 과제가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고정 핀(76)으로 고정하므로, 위치 정렬이 잘 되지 않으면 고정 핀(76)을 장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 홈(74)에 삽입됨으로써 은폐되는 장식 부재(66b)의 삽입 영역(87)에 복수의 절결부(88)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 홈(74)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절결부(88)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리브(89)를 형성하여, 이 절결부(88)를 리브(89)에 삽입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위치 정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88)는 그 개방부가 부채 형상으로 개방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절결부(88)와 리브(89)의 접합이라도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춤 홈(74)을 복수의 리브(89)로 구획함으로써, 장식 부재(66b)를 수용하는 깊은 끼워 맞춤 홈(74)의 벌어짐을 경감하여, 2개의 부재의 끼워 맞춤 강도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 영역(87)의 선단부의 길이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끼워 맞춤 갈고리(90)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 홈(74)에는, 이 끼워 맞춤 갈고리(90)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91)을 형성함으로써, 골격 베이스부(68b)로부터 장식 부재(66b)가 간단하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리브(89) 사이에 끼워 맞춤 구멍(91)을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춤 갈고리(90)를 구비한 삽입 영역(87)이라도 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삽입하기 쉽고, 반대로 수지의 탄성에 의해 2개의 끼워 맞춤이 빠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전방부 풍향판(62b)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1b)의 특징적인 구조를 더 설명한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제1 실시예나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부 흡입부(40)의 전방부를 덮는 가동 패널(41)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전방부 풍향판(62b)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방부 풍향판(62b)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부 풍향판(62b)의 선단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투명 영역(84)을 통해, 간극(Q1)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우징면(16)을 이용자에게 육안으로 확인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 상태라도, 정지 상태라도 이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기 하우징면(16)에 운전 상태 표시부(76)를 설치할 수 있다.
이 특징점을 도 13에서 더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운전 정지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62b)의 선단부에 장식 부재(66b)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하우징면(16)에 띠 형상의 기기 배치면(77)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도,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방부 풍향판(62b)의 동작에 좌우되는 일 없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기기 배치면(77)에 표시나 각종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기기 배치면(77)의 배치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도 14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간극(Q1)을 장식 부재(66b)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에 의해, 그 간극(Q1)은 눈에 띄지 않게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 패널(41)의 개방 동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해,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간극(Q1)이 크게 형성되고,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운전 상태에서는, 이 큰 간극(Q1)에 가동 패널(41)의 하단부가 들어가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가동 패널(41)이 개방되는 각도는, 하우징면(16)의 경사 각도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진 각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지만, 도 14의 (b)에 도시하는 운전 상태에서는, 하우징면(16)과 가동 패널(41) 사이에 단차가 발생해 버린다. 그러나 이 운전 상태에서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이용자로부터의 시선으로는, 간극(Q1)이 하우징면(16)과 가동 패널(41)을 분단하는 1개의 분할선으로서 인식되므로, 의장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장식 부재(66b)의 선단부에 모따기부(9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결과, 모따기부(92)의 프리즘 효과에 의해, 가동 패널(41)의 회전에 의한 간극(Q1)을 가릴 수 있어, 하측으로부터 약 30도의 시선으로 올려다 본 상태에서, 간극(Q1) 주변의 능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장식 부재(66b)의 선단부의 형상을 직선 이외의 형상으로 모따기부(92)를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선단에 근접함에 따라 R 형상을 작게 함으로써, 투명재의 개관의 변화를 적게 하면서 간극(Q1) 주변의 능선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골격 베이스부(68b)의 폭 전역 또는 중앙 부분에 투명한 장식 부재(66b)를 고정하는 끼워 맞춤 홈(74)을 형성하고, 이 끼워 맞춤 홈(74)의 범위 내에서 장식 부재(66b)를 고정하는 갈고리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골격 베이스부(68b)와 장식 부재(66b)의 좌우의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골격 베이스부(68b)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삽입 영역(87)]에 골격 베이스부(68b)측으로부터의 리브(89)와 장식 부재(66b)측의 절결부(88)를 형성하여, 장식 부재(66b)를 골격 베이스부(68b)의 좌우 위치 결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골격 베이스부(68b)의 끼워 맞춤 홈(74)의 일부에 리브(89)를 설치함으로써, 장식 부재(66b)를 수용하는 끼워 맞춤 홈(74)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격 베이스부(68b)와 장식 부재(66b)가 겹쳐져 있는 면에서 공통인 형상의 구멍을 관통시키고, 관통부에 고정 핀(76) 등의 고정 부품으로 위치 결정,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본체 장착 구조를 가진 골격 베이스부(68b)에, 요철 형상이 없는 이면에 도장·인쇄를 실시하고, 고정 핀(76) 등에 의해 좌우에 고정부를 설치한 장식 부재(66b)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외관을 손상시키는 요인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정 방법으로, 의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투명 재료에 도장이나 인쇄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이 처리면에 단차가 있으면, 도장이나 인쇄가 깨끗하게 되지 않고, 또한 장식 부재(66b)의 표면으로부터 보이게 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지만, 이 실시예의 장식 부재(66b)는, 골격 베이스부(68b)에 장착하는 범위[삽입 영역(87)] 이외의 이면에 대해서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장식 부재(66b)의 판 두께가 부분적으로 급격히 변하는 형상을 피하고 있으므로, 수지 성형품의 이미지를 줄여, 글래스와 같은 재질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양면 테이프(75)를 채용하지 않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물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면 테이프(75)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고한 구조로 할 수 있다.
1 : 실내기
10 : 하우징
11 : 관류 팬
12 : 열교환기
13 : 공기 유로
14 : 전방부 드레인 팬
15 : 후방부 드레인 팬
16 : 하우징면
17 : 신호 송수신창
20 : 상부 흡입부
40 : 전방부 흡입부
41 : 가동 패널
42 : 패널 회전축
43 : 패널 구동 기구부
60 : 분출부
61 : 풍향판
62 : 전방부 풍향판
62a : 전방부 풍향판
62b : 전방부 풍향판
63 : 후방부 풍향판
64 : 전방부 풍향판 회전축
65 : 후방부 풍향판 회전축
66 : 장식 부재
66a : 장식 부재
66b : 장식 부재
67 : 개구부
68 : 골격 베이스부
68a : 골격 베이스부
68b : 골격 베이스부
69 : 베이스 본체
70 : 아암부
71 : 돌출부
72 : 접촉면
73 : 예각부
74 : 끼워 맞춤 홈
75 : 양면 테이프
76 : 고정 핀
77 : 운전 상태 표시부
78 : 기기 배치면
79 : 보조 루버
80 : 인체 센서
81 : 마이크
82 : 복사 센서
83 : 돌출부
84 : 투명 영역
85 : 끼워 맞춤부
86 : 빈 영역
87 : 삽입 영역
88 : 절결부
89 : 리브
90 : 끼워 맞춤 갈고리
91 : 끼워 맞춤 구멍
92 : 모따기부
100 : 백 커버
110 : 프론트 커버
120 : 흡입 커버
121 : 회전축
122 : 흡입 프레임
123 : 로크 스위치
124 : 경사면
Q1 : 간극

Claims (14)

  1. 가동 패널을 구비한 흡입부와, 가동 루버를 구비한 분출부를 하우징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한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패널은, 패널 개폐 기구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의 하단부에 설치한 패널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동 루버는, 루버 구동 기구부를 통해, 상기 패널 회전축의 하방에 설치되는 루버 회전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널 개폐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개방하도록 가동 패널을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부를 은폐하도록 동작시키고,
    상기 가동 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하우징면의 상단부는, 상기 요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간극을 상기 운전 상태에서 은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루버 구동 기구부는,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를 개방하도록 가동 루버를 동작시키고, 또한 운전 정지 상태에서는 상기 분출부와 상기 하우징면을 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면의 전방에 가동 루버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루버는, 운전 정지 상태에서 전방면으로 되는 표면에 투명한 장식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루버는 하우징의 횡폭과 일치하는 횡폭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하우징의 하부에 개방되는 분출부에, 전후 혹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풍향판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통해 분출부를 차폐하고, 운전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을 투명 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하우징의 하부에 개방되는 분출부에, 전후 혹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풍향판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통해 분출부를 폐쇄하고, 운전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단부를 투명 재료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하우징의 하부에 개방되는 분출부에, 전후 혹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풍향판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운전 정지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통해 분출부를 봉쇄하고, 운전시에는 전방부 풍향판과 후방부 풍향판을 소정의 각도로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방부 풍향판을, 회전 지지부를 갖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가 폐쇄된 상태의 표면에 장착되는 투명 패널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투명 패널부는, 전방부 풍향판의 회전하는 선단부측을 베이스부의 선단부보다 돌출시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겹쳐지는 상기 투명 부재의 이면에 불투명 처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명 부재의 투영 면적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축측의 단부에, 이 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 홈을 갖고,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결합 홈에 일단부가 보유 지지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에는, 이 결합 홈을 분단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투명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리브와 결합되는 오목부 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6항에 있어서, 투명 부재의 투명부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운전 표시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6항에 있어서, 투명한 장식 부재의 이면의 불투명 처리부가, 풍향판을 지지하는 축부 등을 보이지 않도록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4항에 있어서, 투명한 장식 부재의 단부에 모따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투명한 장식 부재의 선단부가 직선 이외의 모따기부 형상을 갖고, 이 모따기의 범위에 국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 선단의 곡면부의 반경(R)이 선단으로 될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12133A 2010-03-31 2011-02-11 공기 조화기 KR20110109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0127A JP5486985B2 (ja) 2010-03-31 2010-03-31 空気調和機
JPJP-P-2010-080127 2010-03-31
JPJP-P-2010-174982 2010-08-04
JP2010174982A JP5624828B2 (ja) 2010-08-04 2010-08-04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26A true KR20110109826A (ko) 2011-10-06

Family

ID=4469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133A KR20110109826A (ko) 2010-03-31 2011-02-1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09826A (ko)
CN (1) CN1022073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8013B2 (ja) * 2011-08-18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の室内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408227B2 (ja) * 2011-10-31 2014-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686124B2 (ja) * 2012-09-28 2015-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CN112240639B (zh) * 2019-07-18 2024-04-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机的端盖装配方法、结构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477A (ja) * 1998-09-01 2000-03-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MY136350A (en) * 2001-06-19 2008-09-3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2006194563A (ja) * 2005-01-17 2006-07-27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CN101173785A (zh) * 2006-10-30 2008-05-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JP2008241054A (ja) * 2007-03-26 2008-10-09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4448876B2 (ja) * 2007-09-27 2010-04-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70541B1 (ko) * 2008-01-30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7327A (zh)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828B2 (ja) 空気調和機
WO200509831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6545984B (zh) 空调面板组件和立式空调
JP380688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110109826A (ko) 공기 조화기
US7703294B2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JP5486985B2 (ja) 空気調和機
JP3207737B2 (ja) 空気調和機
JP6164013B2 (ja) 空気調和機
US6085538A (en) Control box door/fairing for front grille of an air conditioner
KR100814026B1 (ko) 공기조화기
EP4086532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686426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S2615355T3 (es) Unidad interior de acondicionador de aire
WO2006035747A1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KR1014046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2619183U (zh) 一种空气调节用的壳体连接结构及其热泵空调器
CN215597434U (zh) 立式空调内机及空调
CN210179850U (zh) 一种双进风口风幕机
KR1007374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1837002B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1381140B1 (ko) 공기조화기
JP388279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JP318806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