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272A - 안전봉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전봉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272A
KR20110107272A KR1020110015869A KR20110015869A KR20110107272A KR 20110107272 A KR20110107272 A KR 20110107272A KR 1020110015869 A KR1020110015869 A KR 1020110015869A KR 20110015869 A KR20110015869 A KR 20110015869A KR 20110107272 A KR20110107272 A KR 20110107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od
supporter
window
safe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575B1 (ko
Inventor
방길수
Original Assignee
동명건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건업(주) filed Critical 동명건업(주)
Priority to KR102011001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57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안전봉; 상기 안전봉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1서포터에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창을 통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비상시 안전봉이 벽체의 창으로부터 탈거 가능하여 상기 창에 탈출공간형성이 가능하므로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봉 어셈블리{Safety Bar Assembly}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봉을 설치하기 위한 안전봉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 즉 벽체의 개구부를 통해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동시에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창을 통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안전봉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조명 및/또는 환기를 위해 창과 같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에는 창호가 설치되는데 상기 창호는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상기 창호의 일반적인 구조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개구부인 창에 창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틀에는 상기 창을 개폐하도록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종래 창호는 벽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틀(1)과, 상기 창틀(1)에 설치되는 창문(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2)은 상기 벽체에 형성된 창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미서기 창, 미붙이 창, 여닫이 창, 중연창, 중중연창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2)의 설치를 위한 창틀(1)은 주로 상기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한 쌍의 나란한 수평 프레임(1a)과 상기 한 쌍의 수평 프레임(1a)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나란한 수직 프레임(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2)은 주로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1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창을 개폐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창호의 경우, 상기 창문(2)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창의 개구부를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는 상기 창문(2)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통해 사람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창을 차단해주는 시설물이 없어 위험에 대한 지각능력이 발달하지 못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개구부를 통해 건축물 외부로 낙하하여 낙상사고 발생하고 심할 경우 사망사고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성인의 경우에도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주로 상기 창문(2)의 실외측에 창 안전봉이 설치되고 있으나, 종래의 안전봉은 개방이 어렵거나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고정식으로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탈출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창호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용이하여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이 용이한 구조의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안전봉; 상기 안전봉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1서포터에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이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1서포터는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안전봉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터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안전봉 회전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에는 결합단자가 돌출구비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안전봉의 회전시 상기 결합단자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록킹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에는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의 회전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에는 상기 잠금부에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의 회전시 상기 안전봉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속시키는 장착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구의 구속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구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을 위하여 탈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안전봉; 그리고 상기 안전봉이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과 상기 창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안전봉; 그리고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서포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2서포터 또는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속홈과, 상기 구속홈과 대응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속홈에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2서포터에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구속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은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2몸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전봉이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 몸체에 대한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며, 상기 안전봉 몸체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안전봉 몸체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창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 일측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를 갖는 제1장착부재와,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 타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장착부재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제2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착부재에 상기 제2장착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제1장착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재를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안전봉이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과 상기 창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 개방시 개구된 부위를 통해 낙상사고 등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을 설치한 후 선택에 따라 상기 창에 출입을 위한 공간 형성이 가능하여 비상시에 상기 창을 통한 탈출이 가능하므로 안전성과 비상시의 대피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창을 통한 출입공간 형성작업이 단순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 신속하게 대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 어셈블리를 창호와 모듈화하므로 필요에 따라 안전봉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봉의 지지부위를 은폐 가능하여 창호의 외적 심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6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8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9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 즉 벽체의 창을 차단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창을 개방하여 탈출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전봉 어셈블리는 안전봉이 벽체에 장착되어 벽체에 의해 직접 지지됨으로써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안전봉의 지지를 위해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에 직접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서포터를 매개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이 상기 창을 개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안전봉의 단부가 상기 창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봉의 단부가 상기 창에서 손쉽게 탈거, 즉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안전봉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10)는,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상기 창의 개방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100)과,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110)와,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서포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봉(100)은 그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서포터(110)에 일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1서포터(110)에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안전봉 회전시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120)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서포터(110)는 상기 안전봉(100)이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포터(110)는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된 것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서포터(110)는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11)에 구비되는 고정몸체(111)와, 상기 고정몸체(111)에 구비되고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몸체(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몸체(112)는 상기 안전봉(100)이 그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몸체(111)에 상기 안전봉(100)의 자체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회전몸체(112)는 상기 안전봉(100)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제1힌지축(111a)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11)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112)는 상기 제1힌지축(111a)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전봉(100)이 그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는 상기 제1힌지축(111a)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제2힌지축(111b)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112)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전봉(100)은 상기 제2힌지축(111b)을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112)와 직접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112)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별도의 제1고정부재(113)를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제2서포터(120) 역시 상기 제1서포터(110)와 동일하게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된 것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서포터(120)는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12)에 구비되는 고정부(121)와, 상기 고정부(121)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1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는 상기 잠금부(122)에 직접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안전봉(1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잠금부(1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자(123a)를 갖는 제2고정부재(123)를 매개로 상기 잠금부(1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1)는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플랜지(121a)와, 상기 잠금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단자(123a)가 수용되기 위한 삽입홀을 갖는 중공몸체(1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공몸체(121b)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봉(100)이 상기 제2힌지축(111b)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단자(123a)가 상기 잠금부(122)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단자(123a)의 인입출을 위한 개구부(12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122)는 상기 결합단자(123a)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100)이 상기 제1힌지축(111a)에 의하여 자체 회전시 상기 결합단자(123a)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록킹시키는 탄성체(12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2a)는 상기 결합단자(123a)를 탄력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홈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제2힌지축(111b)을 기준으로하는 상기 안전봉(100)의 회전 및 상기 제2서포터(120)에 대한 상기 안전봉(100)의 타단부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110)의 회전몸체(112)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유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안전봉(10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몸체(112)와 제2힌지축(111b)을 통해 힌지결합되는 제1고정부재(113)에, 상기 제2힌지축(111b)이 관통되고 상기 제2힌지축(111b)과 유격을 갖는 유동홀(113a)을 더 형성한 것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100)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2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서포터(220)의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안전봉(2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의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제1서포터(210)는 상기 안전봉(2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제2서포터(22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안전봉(200)은 상기 제1서포터(210) 및 상기 제2서포터(220)로부터 완전 탈거가 가능하도록 양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제1서포터(2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2서포터와 방향만 반대일 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200)의 양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210) 및 상기 제2서포터(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200)의 자체 회전에 의해 벽체의 창 즉,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 창을 통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프레임 즉, 상기 제1서포터(210) 및 제2서포터(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창에 탈출을 위한 출입공간의 형성이 용이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200)이 상기 제1서포터(210) 및 상기 제2서포터(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2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2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실방지부재(23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서포터(210)와 상기 안전봉(2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200)이 상기 제1서포터(2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서포터(2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3실시예(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3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310)의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안전봉(3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서포터의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제2서포터(320)는 창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32)에 구비되는 고정부(321)와, 상기 고정부(321)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3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300)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봉(300)의 타단부는 상기 잠금부(322)에 직접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300)의 타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상기 안전봉(3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잠금부(3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323a)를 갖는 제1결합부재(323)를 매개로 상기 잠금부(3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322)는 상기 제1결합부재(323)의 제1결합부(323a)와 대응되는 제2결합부(322a)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323a)와 상기 제2결합부(322a)는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3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3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킨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323a)와 상기 제2결합부(322a)는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3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300)의 축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형태이면 어떠한 치합 구조를 갖는 형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제1결합부(323a)와 상기 제2결합부(322a)가 상호 치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30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3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축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유동가능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전봉(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고정부재(313)에 제2힌지축(311b)과 유격을 갖는 유동홀(313a)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300)이 축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서포터(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서포터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4실시예(40)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4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서포터(420)의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안전봉(4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의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제1서포터(410)는 상기 안전봉(4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411a)을 갖는 중공몸체(411)와, 상기 중공몸체(41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서포터(410)를 창의 벽체에 직접 또는 상기 창에 설치된 프레임(41)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몸체(411) 및 삽입홀(411a)의 사이즈는 상기 안전봉(4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안전봉(400)이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안전봉(400)의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4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또한 상기 안전봉(400)은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420)에 간섭되지 않고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410)의 삽입홀(411a)에 삽입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안전봉(400)은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410)의 삽입홀(411a)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포터(420)측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420)에 탈착가능하게 록킹시 상기 제1서포터(410)의 삽입홀(411a)로부터 상기 안전봉(400)의 일단부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봉(400)은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410)의 삽입홀(411a)에 삽입시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420)에 간섭이 방지되어야 하고, 상기 안전봉(40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410)의 삽입홀(411a)의 안쪽까지 완전히 삽입될 경우 상기 안전봉(400)의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420)로부터 탈거가능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서포터(4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제2서포터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400)의 양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410) 및 상기 제2서포터(4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400)의 자체 회전에 의해 벽체의 창 즉,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 창을 통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프레임 즉, 상기 제1서포터(410) 및 제2서포터(4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창에 탈출을 위한 출입공간의 형성이 용이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400)이 상기 제1서포터(410) 및 상기 제2서포터(4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4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4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실방지부재(43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서포터(410)와 상기 안전봉(4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400)이 상기 제1서포터(4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서포터(4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5실시예(5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5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510)의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서포터의 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제2서포터(520)는 창의 벽체에 설치되는 프레임(52)에 구비되는 고정부(521)와, 상기 고정부(521)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5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에는 상기 잠금부(522)에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5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500)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를 상기 잠금부(522)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속시키는 장착구(5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구(530)의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531)와 상기 잠금부(522)에 걸림지지되는 머리부(532)를 포함하는 볼트형태의 장착구가 개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522)는 상기 고정부(52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구(530)의 머리부(532)가 수용되는 개구홈(5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구(530)는 상기 머리부(532)가 상기 개구홈(522a)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아야 상기 안전봉(500)의 자체 회전시 상기 안전봉(500)의 타단부로부터 길이가 가변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홈(522a)은 상기 머리부(53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구(530)의 머리부(532)를 타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개구홈(522a)도 상기 머리부(532)와 대응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개시한다.
한편, 상기 개구홈(522a)은 일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상기 장착구(530)의 머리부(532)가 상기 개구홈(522a)으로부터 빠질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부(522)에 상기 장착구(530)의 머리부(532)를 구속하거나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속부재(5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속부재(540)의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홈(522a)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잠금부(522)에 구비되는 안전핀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잠금부(522)와 상기 장착구(530)를 수용하는 커버부재(550)가 상기 제2서포터(5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서포터(520)에 상기 커버부재(5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522)와 상기 장착구(530)의 보호 및 은폐가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포터(5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서포터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6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6실시예(60)는, 전술한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안전봉(6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서포터(620)의 구조는 동일하나 상기 안전봉(60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의 구조 및 상기 안전봉(600)의 일단부의 지지구조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예의 제1서포터(610) 및 상기 안전봉(600)의 일단부의 지지구조는 상기 제2서포터(620) 및 상기 안전봉(600)의 타단부의 지지구조와 방향만 반대로 구성될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안전봉(600)은 상기 제1서포터(610) 및 상기 제2서포터(620)로부터 완전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서포터(610) 및 상기 안전봉(600)의 일단부의 지지구조는 전술한 제5실시예의 제2서포터 및 상기 안전봉(600)의 타단부의 지지구조와 방향만 반대일 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600)의 양단부에 길이 가변가능하게 구비된 볼트형태의 각 장착구(630a, 630b)가 상기 제1서포터(610) 및 상기 제2서포터(6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600)의 자체 회전에 의해 벽체의 창 즉,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속되어 평상시 창을 통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프레임 즉, 상기 제1서포터(610) 및 제2서포터(6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창에 탈출을 위한 출입공간의 형성이 용이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600)이 상기 제1서포터(610) 및 상기 제2서포터(6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6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6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실방지부재(64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서포터(610)와 상기 안전봉(6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600)이 상기 제1서포터(6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서포터(6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7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7실시예(70)는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상기 창의 개방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700)과,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700)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7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봉(700)의 양단부는 직접 상기 창의 벽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70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710)와 상기 안전봉(70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서포터(720)를 매개로 구비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서포터(710)는 상기 안전봉(7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711a)을 갖는 제1중공몸체(711)와, 상기 제1중공몸체(71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서포터(710)를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또는 상기 창에 설치된 프레임(71)에 장착하기 위한 제1플랜지(7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서포터(720)는 상기 안전봉(7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721a)을 갖는 제2중공몸체(721)와, 상기 제2중공몸체(72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서포터(720)를 상기 창의 벽체에 직접 또는 상기 창에 설치된 프레임(72)에 장착하기 위한 제2플랜지(7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잠금유닛(730)은 상기 안전봉(70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710)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7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킨다.
상기 잠금유닛(73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700)을 축방향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잠금유닛(730)이 상기 안전봉(700)의 수축을 제한하도록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전봉(700)은 제1몸체(701)와 상기 제1몸체(70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전봉(700)의 축방향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몸체(7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유닛(730)은, 상기 제2몸체(70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안전봉(700)이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봉(700)에 대한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며, 상기 안전봉(700)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안전봉(7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창 즉, 상기 제1서포터(710) 또는 상기 제2서포터(7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유닛(730)은 신축자재로 구성되는 상기 안전봉(700)이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제1몸체(701)와 상기 제2몸체(702)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몸체(701)에 제1고정홀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702)에 제2고정홀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731)가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면, 상기 안전봉(700)에 축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안전봉(700)의 수축이 방지되어 상기 안전봉(700)의 양단부는 상기 제1서포터(710) 및 제2서포터(720)에 삽입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31)는 상기 제2몸체(702)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3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732)는 일단이 상기 제2몸체(70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재(731)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재(7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731)가 상기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부재(732)가 상기 고정부재(731)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잠금유닛(730)의 구조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700)이 상기 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700)의 수축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으며, 상기 안전봉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안전봉에 대한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제1몸체(701)와 제2몸체(702)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길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701)와 상기 제2몸체(702)의 길이와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안전봉의 수축에 의해 상기 안전봉에 의해 차단된 부분의 절반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700)이 상기 제1서포터(710) 및 상기 제2서포터(7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7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7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7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실방지부재(74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서포터(710)와 상기 안전봉(7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700)이 상기 제1서포터(7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서포터(7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8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8실시예(80)는,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상기 창의 개방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800)과,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800)의 일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잠금유닛(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봉(800)의 양단부는 직접 상기 창의 벽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80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810)와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서포터(820)를 매개로 구비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서포터(810) 및 상기 제2서포터(820)는 전술한 제7실시예의 제1서포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유닛(830)은 상기 제2서포터(820) 또는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속홈(821a)과, 상기 구속홈(821a)과 대응되는 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속홈에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제2서포터(820)에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구속돌기(8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가 상기 창 즉, 상기 제2서포터(820)에 구속되거나 구속을 해제시켜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831)는 상기 안전봉(8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83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32)는 일단이 상기 안전봉(8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구속돌기(831)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돌기(8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봉(800)의 타단부가 상기 제2서포터(820)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돌기(831)가 상기 구속홈(821a)에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부재(832)가 상기 구속돌기(821)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잠금유닛(830)의 구조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800)이 상기 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봉(800)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으며, 상기 안전봉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안전봉에 대한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830)은 상기 안전봉(80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서포터(810)에 구속 및 구속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 역시 상기 안전봉(800)이 상기 제1서포터(810) 및 상기 제2서포터(8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8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8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8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실방지부재(840)의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서포터(810)와 상기 안전봉(8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전봉(800)이 상기 제1서포터(8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서포터(8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이면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9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2서포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의 제9실시예(90)는, 벽체에 형성된 창에 구비되어 상기 창의 개방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봉(900)과,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9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창의 벽체에 상기 안전봉(900)의 나머지 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잠금유닛(9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봉(900)의 양단부는 직접 상기 창의 벽체에 구비되거나 상기 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봉(90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서포터(910)와 상기 안전봉(90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서포터(920)를 매개로 구비되는 구조를 개시하며, 상기 안전봉(900)의 탈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전봉(900)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서포터(910) 및 상기 제2서포터(920)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되는 구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서포터(910)와 상기 제2서포터(920)에는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잠금유닛(912)이 각각 구비되며, 이에 따라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제1서포터(910)에 구비된 잠금유닛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잠금유닛(912)은 상기 제1서포터(910)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안전봉(910)의 일단부 일측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를 갖는 제1장착부재(912a)와, 상기 안전봉(910)의 일단부 타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장착부재(912a)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안전봉(910)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록킹시키는 제2장착부재(9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장착부재(912a) 및 상기 제2장착부재(912b)는 상기 안전봉(910)의 일단부를 둘러싸서 구속하거나, 상기 안전봉(910)의 일단부를 둘러싼 일측부를 개방하여 구속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장착부재(912a)는 상기 제1서포터(91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장착부재(912b)는 상기 제1장착부재(912a)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안전봉(900)이 상기 제1장착부재(912a)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장착부재(912b)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장착부재(912a)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전봉(900)의 일단부를 구속할 수 있으며, 비상시 상기 제2장착부재(912b)를 반대로 회전되어 상기 제1장착부재(912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안전봉(900)의 일단부가 탈거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봉(900)의 일단부를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2장착부재(912b)가 상기 제1장착부재(912a)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1장착부재(912a)에 상기 제2장착부재(912b)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결속부재(912c)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잠금유닛(912)은 상기 안전봉(900)의 타단부에만 구성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봉(900)의 양단부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잠금유닛(912)이 상기 안전봉(9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잠금유닛에 의한 상기 안전봉(900)의 구속해제시 상기 안전봉(900)의 나머지 단부가 탈거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 역시 비상시 상기 안전봉(900)이 상기 벽체의 창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분실될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전봉(900)이 창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봉(900)과 상기 창 즉,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실방지부재(9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봉 어셈블리는 상기 잠금유닛(912)이 구비된 부위에 커버부재(9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유닛(912)의 보호 및 은폐가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안전봉 어셈블리 110: 제1서포터
111: 고정몸체 112: 회전몸체
113: 제1고정부재 120: 제2서포터
121: 고정부 122: 잠금부
123: 제2고정부재

Claims (1)

  1. 벽체에 형성된 창에 안전을 위하여 구비되는 안전봉;
    상기 안전봉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서포터; 그리고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안전봉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봉 어셈블리.
KR1020110015869A 2011-02-23 2011-02-23 안전봉 어셈블리 KR10161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69A KR101611575B1 (ko) 2011-02-23 2011-02-23 안전봉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869A KR101611575B1 (ko) 2011-02-23 2011-02-23 안전봉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024 Division 2010-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72A true KR20110107272A (ko) 2011-09-30
KR101611575B1 KR101611575B1 (ko) 2016-04-14

Family

ID=4495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869A KR101611575B1 (ko) 2011-02-23 2011-02-23 안전봉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5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33A (ko) 2015-03-09 2016-09-21 홍영택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2120741B1 (ko) * 2020-01-22 2020-06-10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교체가 편리한 공동주택용 안전 난간
US20220235558A1 (en) * 2021-01-28 2022-07-28 ARME Solutions, LLC Locking mechanism for spind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96B1 (ko) 2008-10-10 2009-04-10 이은옥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033A (ko) 2015-03-09 2016-09-21 홍영택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2120741B1 (ko) * 2020-01-22 2020-06-10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교체가 편리한 공동주택용 안전 난간
US20220235558A1 (en) * 2021-01-28 2022-07-28 ARME Solutions, LLC Locking mechanism for spindle
US11525267B2 (en) * 2021-01-28 2022-12-13 ARME Solutions, LLC Locking mechanism for spi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575B1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08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1233000B1 (ko) 유리문용 잠금장치
KR20180033891A (ko) 부품의 간소화로 조립과 생산성을 향상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110107272A (ko) 안전봉 어셈블리
CN106536847B (zh) 用于翼,门,大门,上翻门,窗,气窗的防坠落安全***
US20140150343A1 (en) Telescoping security wndow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1271204B1 (ko) 안전봉 어셈블리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CN210858520U (zh) 改进的门窗可折叠格栅***
KR101119980B1 (ko) 추락방지 방범 안전창호 구조물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0277199B1 (ko) 방범창
KR101733551B1 (ko)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WO2017155461A1 (en) Screen system
KR101661459B1 (ko) 미서기창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101024310B1 (ko) 창 안전봉 및 이를 포함하는 창 안전시설
KR102559197B1 (ko) 잠금장치를 갖는 길이 가변형 방범창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EP1152115A2 (en) Hinge with locking means particularly for folding shutters
KR200495175Y1 (ko) 미닫이 창문용 열림방지장치
KR102081268B1 (ko)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