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23A - 배전선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23A
KR20110099923A KR1020100018943A KR20100018943A KR20110099923A KR 20110099923 A KR20110099923 A KR 20110099923A KR 1020100018943 A KR1020100018943 A KR 1020100018943A KR 20100018943 A KR20100018943 A KR 20100018943A KR 20110099923 A KR20110099923 A KR 2011009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voltage
current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015B1 (ko
Inventor
이종범
이상훈
Original Assignee
태영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테크(주) filed Critical 태영테크(주)
Priority to KR102010001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0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배전선로 점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점검장치는 유 부하시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로의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무 부하상태에서도 소정 레벨의 안전전압을 배전선로에 공급하여 배전선로의 상태(전압, 전류, 단서, 누전 등)을 다른 복잡한 장비없이 간단히 점검할 수 있다. 안전전압은 인체 감전 사고의 위험이 없는 정도의 전압 레벨을 가짐으로써, 배전선로의 감시 중에 인체 사고를 유발하지 아니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점검장치{Distribution Line Maint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전압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상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누전 및 단선을 검출하는 배전선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교류 전원을 위한 배전선로는 그 환경적인 영향 등에 의한 열화나 사고로 누전, 단선(Open) 또는 단락(Short) 등의 사고가 항시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배전에서는 배전선로가 단선이 되거나 부하에 문제가 발생해서 과전류가 발생해도 중앙 통제소에서 실시간으로 이를 인지할 수 없었고, 특히 3 선 방식의 경우 누전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우회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가 제때 동작하지 않아서 감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전압을 이용하여 배전선로 상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누전 및 단선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관리자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배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선로 점검에 안전전압을 이용함으로써 점검과 보수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불구하고 배전선로 장비나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제거한 배전선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선로 점검장치는, 분전반의 상용 교류전원을 부하측으로 배전하는 배전선로 상의 전기적 노드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배전선로의 종단에 상기 부하와 병렬로 마련된 종단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류센서 및 전압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노드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검출부와, 상기 배전선로로 안전전압을 출력하는 안전전압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을 기초로 상기 상용 교류전원이 상기 배전선로에 공급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안전전압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안전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검출부에서 계측한 전압, 전류, 누설전류 값으로 상기 배전선로의 단선 및 누전상태를 판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점검장치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종단저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전선로에 상기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종단저항을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분리하는 종단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장치는 자체 동작전원을 상기 차단기 전단의 배전선로로부터 공급받거나, 내장 또는 외장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점검장치는 배전선로에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중에 배전선로의 상태(전압, 전류, 단선, 누전 등)를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에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있는 '무 부하'상태에서도 안전전압과 종단저항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상태를 간단히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배전 설비에 많은 추가 장비가 없더라도, 점검장치만으로 간단히 배전선로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안전전압은 인체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전압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점검 중에 안전전압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 점검장치가 설치되는 배전선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 점검장치의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점검장치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전선로 점검장치(이하 간단히 '점검장치'라 함)는 상호 병렬로 연결된 부하측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배전선로(10)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로(10) 상의 누전이나 단선을 검출하고 설치된 지점(전기적 노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점검장치는 계측을 위해 배전선로(10) 상의 일 지점에 장착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계측을 위해 배전선로(10)의 종단에 설치되는 종단장치(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10)가 설치되는 배전선로(10) 상의 일 지점은 전기적 노드(Node)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계측노드(11)'라 한다. 계측노드(11)는 특별한 조건에 만족하도록 지정된 전기적 노드가 아니며, 단지 본체(110)가 설치된 전기적 노드이면 충분하다.
다만, 도 1과 같이 일정한 범위의 지역에 설치된 부하(31, 33)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분전반(5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체(110)는 분전반(51) 근처에 장착되어 분전반(51)으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전반(51) 등은 배전선로(10)에 누전이나 단선 등이 발생하면, 차단기(53)를 이용하여 배전선로(10)로의 교류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 경우, 계측노드(11)는 분전반(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도 이러한 상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전류센서(101, 103), 전압센서(105), 검출부(107), 안전전압공급부(109), 표시부(111), 입력부(113), 통신인터페이스부(115) 및 제어부(117)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10)는 분전반(51) 또는 배전선로(10)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내부 직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직류전원장치(미도시)를 당연히 포함한다.
종단장치(130)는 종단 릴레이(131)와 종단저항(133)을 포함한다. 종단 릴레이(131)는 상용 교류전원(예컨대, 220V AC)이 배전선로(10)에 공급될 때에는 개방(Open) 되었다가,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전압이 배전선로(10)에 공급될 때는 종단저항(133)을 부하(31, 33)와 병렬로 배전선로(10)에 연결하여 폐회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체(110)는 종단저항(133)이 종단에 연결된 배전선로(10) 상에 안전전압을 흐르게 한 다음, 전압/전류의 측정이나 단선/누전 상태 검출 등을 수행하게 된다. 종단저항(133)은 배전선로(10)에 상시 연결되어 있어도 전기적으로 무방하므로, 종단 릴레이(131)가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은 아니다.
검출부(107)는 전류센서(101, 103)나 전압센서(105)를 이용하여, 계측노드(11)의 전압, 전류, 저항성 누설전류(Igr) 등을 검출한다. 전류센서(101, 103)는 전류를 센싱하는 영상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101)나 교류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103) 등이 해당하며, 전압센서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위 변류기(PT: Potential Transformer)(105) 등이 해당한다. 검출부(107)는 측정한 결과를 제어부(117)에 제공한다.
검출부(107)는 제어부(117)의 제어에 따라, 크기 비교의 기준이 되는 내부 기준 값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전류나 전압의 크기에 검출하기 위한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안전전압공급부(109)는 계측노드(11)를 통하여 소정 크기의 테스트 전원을 공급한다. 테스트 전원은 배전선로(10)를 점검할 수 있는 정도의 전압을 가지되, 인체 감전 사고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크기에 해당해야 한다. 예컨대, 안전전압은 대략 30V 이하 대지전압이나, 50V 미만의 교류 또는 120V 미만인 직류 접촉전압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11)는 제어부(117)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엘이디(LED) 또는 엘시디(LCD) 등의 표시장치나, 부저(Buzzer) 또는 스피커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입력부(113)는 점검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설정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117)에 제공한다. 입력부(113)는 키보드(Keyboard), 터치패드(Touch Pad) 기타 알려진 다양한 입력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1)에 표시된 각종 정보, 기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고, 점검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입력부(11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인터페이스부(115)는 관리자 장치(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17)가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를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고 관리자 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7)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무선 통신이나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선 통신의 경우, 통신인터페이스부(115)는 배전선로(10), 특히 분전반(51)의 차단기(53) 전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관리자 장치는 관제용 서버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단말기(PDA), 휴대전화 등과 같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제어부(117)는 본 발명의 점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별히, 제어부(117)는 배전선로(10)상의 계측노드(11)에서의 전압/전류 측정 또는 누전/단선 검출 등을 수행하도록 제반 구성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17)의 동작을 중심으로 점검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교류전원의 공급 여부 판단: S301 ~ S307 단계>
제어부(117)에 의한 전압/전류 측정 및 누전/단선 등의 감지는, 분전반(51)에서 부하(31, 33)로 전원이 공급되는 '유부하 상태'와, 분전반(51)에서 부하(31, 33)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로 나누어진다.
제어부(117)는 전압센서(105)에서 추출한 계측노드(11)의 전압을 기초로, 전압이 상용 교류전압 범위이면 유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전압이 검출되지 아니하면 무부하 상태로 판단한다. 유 부하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17)는 분전반(51)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전압/전류 측정 및 배전선로(10)의 누전/단선 등을 감지한다(S301, S303).
만약, 무 부하 상태인 경우, 제어부(117)는 안전전압공급부(109)로 하여금 안전전압을 배전선로(1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검출부(107)의 감도를 안전전압 범위에 맞추도록 제어한다. 배전선로(10)에 안전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종단 릴레이(131)는 종단저항(133)을 배전선로(10)에 연결하여 종단처리한다(S305, S307).
<전압 체크: S309 단계>
전압 체크는, 검출부(107)가 전위 변류기(105)를 이용하여 계측노드(11)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부(117)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유 부하 상태에서는 분전반(51)에서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검출부(107)는 상용 교류전압 범위를 계측하는 감도로 계측노드(11)의 전압을 검출하게 된다. 무 부하 상태에서는 분전반(51)의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안전전압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검출부(107)는 안전전압 범위를 계측하는 감도로 계측노드(11)의 전압을 검출하게 된다.
<전류 체크: S311 단계>
전류 체크는, 검출부(107)가 교류 변류기(103)를 이용하여 배전선로(10)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117)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유 부하 상태에서는 분전반(51)에서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검출부(107)는 상용 교류전류 범위를 계측하는 감도로 배전선로(10)의 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무 부하 상태에서는 분전반(51)의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안전전압이 배전선로(10)에 공급되며, 종단 릴레이(131)가 종단저항(133)을 배전선로(10)에 연결함으로써 부하(31, 33)를 대신하여 폐로를 형성한 상태이다. 따라서 검출부(107)는 테스트 전류 범위를 계측하는 감도로 종단저항(133)에 의해 종단처리된 배전선로(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유 부하 상태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검출은 S309와 S311 단계에서 별도로 진행될 필요없이
<단선 감지: S313 단계>
단선 감지는 배전선로(10)을 부하측 또는 종단저항측으로 바라 본 등가저항을 검출하는 것에 해당하며, 부하(31, 33)나 종단저항(133)에 의한 저항 범위를 훨씬 넘는 값(예컨대, 무한대)으로 나오면 배전선로(10)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검출부(107)는 앞서의 전위 변류기(105)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압 값과 교류 변류기(103)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류 값을 기초로, 상용 교류전압 또는 안전전압이 확인된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선으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유 부하 상태와 무 부하 상태에서의 검출부(107)의 감도는 제어부(117)에 의해 다르게 제어된다.
<누전 감지: S315 단계>
누전감시는 단선 상태가 아닌 경우에 배전선로(10)에 발생한 저항성 누설전류 값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검출부(107)는 영상변류기(101)를 이용하여 계측한 배전선로(10) 상의 저항성 누설전류(Igr) 값을 제어부(117)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교류 변류기(103)를 이용하여 계측한 전류 값을 단선 감시를 위해 제어부(117)에게 함께 제공한다. 제어부(117)는 저항성 누설전류(Igr) 값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되, 배전선로(10)에 전류가 흐르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단선 상태와 구분한다.
마찬가지로, 유 부하 상태와 무 부하 상태에서의 검출부(107)의 감도가 다르게 제어된다. 또한, 무 부하 상태이면, 종단저항(133)이 부하(31, 33)를 대신하여 배전선로(10)를 종단처리하고 폐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검출부(107)는 계측노드(11)의 전압이 영 전압(0V)인 시점을 검출하여, 영 전압 시점에서의 영상변류기(101) 출력 값을 계측하는 방법으로, 저항성 누설전류 값을 계측한다.
누설전류(Ig)는 저항성 누설전류(Igr)와, 용량성 누설전류(Igc)와, 유도성 누설전류(Igl)의 벡터 합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전기 누설에 의한 화재나 인체 감전을 일으키는 요소는 저항성 누설전류(Igr)이다. 따라서 실제로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여 관리자가 수리를 해야 하는 상황은 저항성 누설전류(Igr)가 검출되는 때이다. 유도성 누설전류(Igl)은 매우 미약하므로 무시할 만하다.
용량성 누설전류(Igc)가 포함되지 아니한 저항성 누설전류(Igr) 값을 측정하기 위해, 검출부(107)는 부하(31, 33)에 제공되는 교류전압 또는 안전전압의 순시치(Instantaneous Value)가 0 V인 시점의 누설전류 값을 저항성 누설전류 값으로 측정한다. 그것은, 부하에 인가된 전압의 순시치가 0V 지점에서 측정한 전류에는 용량성 전류가 제거된 저항성 전류만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117)는 S303 단계에서 유 부하로 판단되거나 무 부하로 판단되어 S307 단계까지 수행한 경우, 검출부(107)와 함께 전압/전류 계측 및 누전/단선 감시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계측이나 감시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1회의 전압, 전류 측정으로 전압/전류 측정 뿐만 아니라 누전/단선 감시까지 모두 이루어진다. 예컨대, 유 부하시의 전류 값 측정이나, 안전전압을 공급한 이후의 전류 값 측정(S311)은 그 자체가 단선 감시(S313)에 해당한다.
또한, 무 부하시의 점검장치(200)의 감시는 인체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안전전압을 사용함으로써 인명사고의 발생원인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장비 없이 간단히 배전선로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위 S309 내지 S315 단계의 계측 또는 감시 결과를 통신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관리자 장치에게 통지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즉각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 예>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점검장치는 내장 또는 외장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반드시 분전반(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검장치의 계측노드(11)도 부하 1(31)과 부하 2(33)의 사이 등과 같이 분전반(51) 근처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3)

  1. 분전반의 상용 교류전원을 부하측으로 배전하는 배전선로 상의 전기적 노드에 장착된 본체; 및
    상기 배전선로의 종단에 상기 부하와 병렬로 마련된 종단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류센서 및 전압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노드의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검출부;
    상기 배전선로로 안전전압을 출력하는 안전전압공급부; 및
    상기 검출부가 측정한 전압을 기초로 상기 상용 교류전원이 상기 배전선로에 공급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안전전압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안전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검출부에서 계측한 전압, 전류, 누설전류 값으로 상기 배전선로의 단선 및 누전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점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종단저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전선로에 상기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종단저항을 상기 배전선로로부터 분리하는 종단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점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내의 차단기가 동작하여 상기 무 부하상태에 도달한 경우, 자체 동작전원을 상기 차단기 전단의 배전선로로부터 공급받거나, 내장 또는 외장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점검장치.


KR1020100018943A 2010-03-03 2010-03-03 배전선로 점검장치 KR10110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43A KR101108015B1 (ko) 2010-03-03 2010-03-03 배전선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43A KR101108015B1 (ko) 2010-03-03 2010-03-03 배전선로 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23A true KR20110099923A (ko) 2011-09-09
KR101108015B1 KR101108015B1 (ko) 2012-01-25

Family

ID=4495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943A KR101108015B1 (ko) 2010-03-03 2010-03-03 배전선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01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10B1 (ko) * 2013-07-04 2015-03-02 소병수 직류전원계통 운전상태 원격감시시스템
KR101868390B1 (ko) * 2016-12-16 2018-07-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전력량계, 전력량계 관리 장치 및 전력량 측정 방법
KR101896548B1 (ko) * 2018-01-03 2018-09-07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활선 상태의 배선 확인 시스템
KR101964893B1 (ko) * 2019-03-04 2019-04-05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KR102180517B1 (ko) * 2019-11-22 2020-11-18 (주)인터코엑스 종단 모드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과 네트워크 통신 장치
KR102211443B1 (ko) * 2019-11-25 2021-02-04 (주)인터코엑스 네트워크상의 케이블을 검사하기 위한 전압 및 전류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23109B1 (ko) * 2019-12-17 2021-03-04 이일묵 바이패스 모드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과 파워오버이더넷 장치
KR20220067426A (ko) * 2020-11-17 2022-05-24 정경모 전원연결 키트에 연결된 히팅케이블의 엔드 키트 확인 장치
KR102640868B1 (ko) 2023-01-09 2024-02-27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 시스템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736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이너스텍 선로의 합선/단선 주간감시시스템
KR20090103856A (ko) * 2009-08-27 2009-10-01 김보경 절연감시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10B1 (ko) * 2013-07-04 2015-03-02 소병수 직류전원계통 운전상태 원격감시시스템
KR101868390B1 (ko) * 2016-12-16 2018-07-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전력량계, 전력량계 관리 장치 및 전력량 측정 방법
KR101896548B1 (ko) * 2018-01-03 2018-09-07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활선 상태의 배선 확인 시스템
KR101964893B1 (ko) * 2019-03-04 2019-04-05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KR102180517B1 (ko) * 2019-11-22 2020-11-18 (주)인터코엑스 종단 모드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과 네트워크 통신 장치
KR102211443B1 (ko) * 2019-11-25 2021-02-04 (주)인터코엑스 네트워크상의 케이블을 검사하기 위한 전압 및 전류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23109B1 (ko) * 2019-12-17 2021-03-04 이일묵 바이패스 모드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과 파워오버이더넷 장치
KR20220067426A (ko) * 2020-11-17 2022-05-24 정경모 전원연결 키트에 연결된 히팅케이블의 엔드 키트 확인 장치
KR102640868B1 (ko) 2023-01-09 2024-02-27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 시스템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015B1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015B1 (ko) 배전선로 점검장치
CN102707113B (zh) 用于检测电功率的盗用和状态的***、方法及设备
US9823289B2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KR100876651B1 (ko) 위상각 산출에 의한 누설전류 측정 및 누전차단 방법
US20160103157A1 (en) Ratio metric current measurement
JP5580389B2 (ja) 検査方法
CN107064723B (zh) 用于检测保护导体连接的断开的方法和装置
EP3611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voltage
CN105896465A (zh) 三极漏电保护器及其工作方法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JP2017106881A (ja) 配電器と障害検出方法
KR102109414B1 (ko) 활선상태에서 2차 전류 변동량으로 변류기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수배전반
JP2008232737A (ja) 漏電検出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デジタルテスタ
RU2657867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импеданс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вязи с землей, способ оцен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CN106291081B (zh) 远场区验电***和方法
CN105445627A (zh) 直流***绝缘验收仪
CN210376518U (zh) 可连续测量高精度接触电阻测试仪
KR102211581B1 (ko) 유도전류를 이용한 변류기 내부고장 검출장치
KR200492253Y1 (ko) 통신용 서지보호기의 점검장치
KR101191164B1 (ko) 전기 멀티미터
KR101298469B1 (ko) 가정용 포터블 디지털 누전 탐지기
CN112611951B (zh) Rcd在线测试***及其测试方法
WO2018053723A1 (zh) 电源适配器、移动终端及充电***
CN108680817A (zh) 一种悬挂式电源控制器
AU2019101017A4 (en) Voltag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