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08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083A
KR20110097083A KR1020100016723A KR20100016723A KR20110097083A KR 20110097083 A KR20110097083 A KR 20110097083A KR 1020100016723 A KR1020100016723 A KR 1020100016723A KR 20100016723 A KR20100016723 A KR 20100016723A KR 20110097083 A KR20110097083 A KR 20110097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activated
nfc tag
row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선
김태선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7083A/ko
Priority to US12/957,909 priority patent/US20110207401A1/en
Priority to JP2010279427A priority patent/JP2011175626A/ja
Publication of KR2011009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Length-Measuring Devices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인접한 NFC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방식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AND DETECTING OUTSIDE DE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 방식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도전 라인들,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도전 라인들에 연결되며,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들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들에 연결되며,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들을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가 적어도 두 개인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 중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선택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 중 소정의 센서의 감지 결과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 중 상기 소정의 센서에 대응하는 NFC 태그를 선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 사이에는 Peer to Peer 통신 기능, RFID 판돈 기능, 또는 카드 에물레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 사이에 연결된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 라인들은 행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도전 라인들 및 열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도전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라인들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은 상기 제 1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상기 제 도전 라인들에 연결된 제 1 센서들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들에 연결된 제 2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가 적어도 두 개인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선택된 NFC 태그를 결정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소정의 센서의 감기 결과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상기 소정의 센서에 대응하는 NFC 태그를 선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에 일대일로 연결된 도전 라인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서들은 상기 도전 라인들을 통하여 전달된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정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 사이에는 Peer to Peer 통신 기능, RFID 판돈 기능, 또는 카드 에물레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의 위치 인식 방법은 상기 외부 장치에 응답하여,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소정의 NFC 태그가 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도전 라인들 및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도전 라인을 통하여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을 통하여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활성화된 NFC 태그가 적어도 두 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들을 기준 값과 각각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들 중 소정의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소정의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은 복수의 도전 라인들에 일대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들 중 활성화된 도전 라인에 대응하는 NFC 태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NFC 태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NFC 태그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방식에 비하여 저비용으로 구현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로우 감지부(120), 컬럼 감지부(130), 판단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에 디스플레이 이미지(display image)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NFC 태그는 수동 태그로 동작 가능한 소정의 NFC 장치 또는 NFC 칩을 의미한다. NFC 태그들은 각각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신된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감지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RF IDentification) 기술의 하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등이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가까운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접근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와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NFC 태그 사이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즉, 휴대 단말기와 인접한 NFC 태그는 활성화될 것이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들 중 휴대 단말기와 인접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판단할 것이다.
한편, NFC 태그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정면 또는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는 이미지 태그, 전자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이하의 도 2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도전 라인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NFC 태그들에 연결될 것이다.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접근하는 경우,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감지한 전류에 대응하는 컬럼 감지 신호(CSS, Column Sensing Signal) 및 로우 감지 신호(RSS, Row Sensing Signal)를 판단부(140)에 각각 전달할 것이다.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이하의 도 2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에 연결된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로부터 컬럼 감지 신호(CSS, Column Sensing Signal) 및 로우 감지 신호(RSS, Row Sensing Signal)를 각각 전달받는다. 판단부(140)는 컬럼 감지 신호(CSS) 및 로우 감지 신호(RSS)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110)에 접근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NFC 태그는 활성화될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하나의 NFC 태그가 활성화된 경우, 판단부(140)는 전달받은 컬럼 감지 신호(CSS) 및 로우 감지 신호(RSS)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할 것이다. 이는 이하의 도 3 및 도 4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에 인접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NFC 태그가 활성화된 경우,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로부터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컬럼 감지 신호들(CSS) 및 로우 감지 신호들(RSS)을 전달받을 것이다. 이 경우, 판단부(140)는 전달받은 컬럼 감지 신호들(CSS) 및 로우 감지 신호들(RSS)을 각각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와 비교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선택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할 것이다. 이는 이하의 도 5 및 도 6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어부(150)는 판단부(140)로부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150)는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들 중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인식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유사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방식과 달리 근거리 비접촉 무선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예로,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와 활성화된 NFC 태그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NFC 태그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선택된 NFC 태그와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50)는 활성화된 NFC태그들 중 비선택된 NFC 태그와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것이다.
한편, 선택된 NFC 태그와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 사이에는 Peer to Peer 통신, RFID 판독 기능, 또는 카드 에물레이션(Card Emulation)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NFC 태그들 및 도전 라인들(RL1~RL4, CL1~CL4)을 포함한다. 도전 라인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NFC 태그들은 각각 도전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도전 라인들(RL1~RL4)은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전 라인들(CL1~CL4)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NFC 태그들은 도전 라인들(RL1~RL4) 및 도전 라인들(CL1~CL4)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한편, NFC 태그들은 각각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응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NFC 태그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접근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응하는 NFC 태그가 활성화될 것이다.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각각 복수의 로우 센서들(RS) 및 컬럼 센서들(R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로우 감지부(120)는 제 1 내지 제 4 로우 센서들(RS1~RS4)을 포함한다고 가정된다. 마찬가지로, 컬럼 감지부(130)는 제 1 내지 제 4 컬럼 센서들(CS1~CS4)을 포함한다고 가정된다.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도전 라인들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로우 센서들(RS) 및 컬럼 센서들(CS)은 각각 도전 라인들(RL1~RL4) 및 도전 라인들(CL1~CL4)을 통하여 NFC 태그들에 연결된다.
로우 센서들(RS) 및 컬럼 센서들(CS)은 각각 활성화된 NFC 태그에 의하여 생성된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로우 센서들(RS) 및 컬럼 센서들(CS)은 감지한 전류 등에 대응하는 컬럼 감지 신호(CSS) 및 로우 감지 신호(RSS)를 판단부(140, 도 1 참조)에 전달한다.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이 좀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NFC 태그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도전 라인들에 배치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FC 태그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하의 도 7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고 가정된다. 또한,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10)는 4X4 행렬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며,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생성된 유도 전류를 감지한다고 가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3,2)의 좌표를 갖는 NFC 태그(NT)에 접근된다고 가정된다. 여기서, (3,2)의 좌표는 NFC 태그(NT)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3 행의 도전 라인과 열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2 열의 도전 라인의 교차점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NFC 태그(NT)에 접근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의 NFC 장치와 디스플레이부(110)의 NFC 태그 사이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즉, NFC 태그(NT)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NFC 태그(NT) 및 NFC 태그에 연결된 도전 라인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된다. 유도 전류는 NFC 태그(NT)에 연결된 도전 라인을 따라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3 로우 전류(IR3)가 제 3 로우 센서(RS3)에 전달되고, 제 2 컬럼 전류(IC2)가 제 2 컬럼 센서(CS2)에 전달될 것이다. 여기서, 로우 전류(IR)는 도전 라인을 따라 로우 감지부(120)에 전달되는 유도 전류를 의미한다. 컬럼 전류(IC)는 도전 라인을 따라 컬럼 감지부(130)에 전달되는 유도 전류를 의미한다.
로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로우 전류(IR)를 전달받는다. 로우 감지부(120)는 전달받은 로우 전류(IR)에 대응하는 로우 감지 신호(RSS)를 판단부(140)에 제공한다. 이 경우, 로우 감지 신호(RSS)는 활성화된 NFC 태그(NT)의 행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3 로우 센서(RS3)는 제 3 로우 전류(IR3)를 전달받고, 이에 대응하는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를 판단부(140)에 제공할 것이다. 이 경우,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는 활성화된 NFC 태그(NT)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3 행의 도전 라인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행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컬럼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컬럼 전류(IC)를 전달받는다. 컬럼 감지부(130)는 전달받은 컬럼 전류(IC)에 대응하는 컬럼 감지 신호(CSS)를 판단부(14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컬럼 감지 신호(CSS)는 활성화된 NFC 태그(NT)의 열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컬럼 센서(CS2)는 제 2 컬럼 전류(IC2)를 전달받고, 이에 대응하는 제 2 컬럼 감지 신호(CSS32를 판단부(140)에 제공할 것이다. 이 경우, 제 2 컬럼 감지 신호(CSS2)는 활성화된 NFC 태그(NT)가 열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2 열의 도전 라인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열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로부터 각각 로우 감지 신호(RSS) 및 컬럼 감지 신호(CSS)를 전달받는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 신호(RSS) 및 컬럼 감지 신호(CSS)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NT)의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제 3 로우 센서(RS3) 및 제 2 컬럼 센서(CS2)로부터 각각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 및 제 2 컬럼 감지 신호(CSS2)를 전달받는다.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 및 제 2 컬럼 감지 신호(CSS2)가 각각 활성화된 NFC 태그(NT)의 행 정보 및 열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판단부(140)는 NFC 태그(NT)가 (3,2)의 좌표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NFC 장치들 중 활성화된 NFC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휴대 단말기(10)는 휴대폰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는 휴대폰, PCS 단말기, PMP 단말기, PDA 단말기, 노트북 등과 같은 NFC 장치가 탑재 가능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110 단계에서,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 즉, 사용자가 NFC 장치가 NFC 태그에 접근시키는 경우, NFC 장치에 인접한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NFC 장치는 휴대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NFC 장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NFC 장치에 인접한 NFC 태그에는 유도 전류(induced current)가 발생할 것이다.
S120 단계에서, 유도 전류(induced current)가 감지부(sensing unit)에서 감지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유도 전류 중 로우 전류(IR)가 로우 감지부(120)에서 감지될 것이다. 또한, 유도 전류 중 컬럼 전류(IC)가 컬럼 감지부(130)에서 감지될 것이다.
S130 단계에서, 전달받은 유도 전류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로우 감지부(120)는 전달받은 로우 전류(IR)에 대응하는 로우 감지 신호(RSS)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컬럼 감지부(130)는 전달받은 컬럼 전류(IC)에 대응하는 컬럼 감지 신호(CSS)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이 경우, 로우 감지 신호(RSS) 및 컬럼 감지 신호(CSS)는 각각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위치 정보 및 열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전달받은 로우 감지 신호(RSS) 및 컬럼 감지 신호(CSS)를 기초로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세 개의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고 가정된다. 또한,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10)는 4X4 행렬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며,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생성된 유도 전류를 감지한다고 가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2,3)의 좌표를 갖는 제 1 NFC 태그(NT1)에 접근한다고 가정된다. 즉, 사용자가 제 1 NFC 태그(NT1)를 선택한다고 가정된다.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제 1 NFC 태그(NT1)에 접근하는 경우, 제 1 NFC 태그(NT1)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제 1 NFC 태그(NT1) 및 제1 NFC 태그(NT1)에 연결된 도전 라인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 제 1 NFC 태그(NT1)뿐만 아니라, 제 1 NFC 태그(NT1)에 인접한 NFC 태그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태그들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뿐만 아니라, 선택된 NFC 태그에 인접한 NFC 태그들도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 1 NFC 태그(NT1)뿐만 아니라, 제 1 NFC 태그(NT1)에 인접한 제 2 및 제 3 NFC 태그들(NT2, NT3)도 활성화될 것이다. 이 경우, 제 2 NFC 태그(NT2) 및 제 2 NFC 태그(NT2)에 연결된 도전 라인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것이다. 또한, 제 3 NFC 태그(NT3) 및 제3 NFC 태그(NT3)에 연결된 도전 라인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제 1 NFC 태그(NT1)에 접근하는 경우, 제 1 내지 제 3 NFC 태그(NT1~NT3)들이 활성화될 것이다. 이 경우, 제 2 로우 전류(IR2) 및 제 3 로우 전류(IR3)가 로우 감지부(120)에 전달될 것이다. 또한, 제 2 컬럼 전류(IC2) 및 제 3 컬럼 전류(IC3)가 컬럼 감지부(130)에 전달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 1 NFC 태그(NT1)의 유도 기전력은 사용자에 의하여 비선택된 제 2 및 제 3 NFC 태그(NT2, NT3)의 유도 기전력보다 크다. 따라서, 제 1 NFC 태그(NT1)에 대응하는 제 2 로우 전류(IR2)의 크기는 제 3 로우 전류(IR3)의 크기보다 클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1 NFC 태그(NT1)에 대응하는 제 3 컬럼 전류(IC3)의 크기는 제 2 컬럼 전류(IC2)의 크기보다 클 것이다.
로우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로우 전류들(IR)을 전달받는다. 로우 감지부(120)는 전달받은 로우 전류들(IR)에 대응하는 로우 감지 신호들(RSS)을 판단부(140)에 제공한다. 이 경우, 로우 감지 신호들(RSS)은 활성화된 NFC 태그들(NT)의 행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로우 감지 신호들(RSS)은 전달받은 로우 전류들(IR)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로우 센서(RS2)는 제 2 로우 전류(IR2)를 전달받고, 제 2 로우 전류(IR2)에 대응하는 제 2 로우 감지 신호(RSS2)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이 경우, 제 2 로우 감지 신호(RSS2)는 활성화된 제 1 및 제 3 NFC 태그(NT1, NT3)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2 행의 도전 라인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행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제 2 로우 감지 신호(RSS2)는 전달받은 제 2 로우 전류(IR2)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3 로우 센서(RS3)는 제 3 로우 전류(IR3)를 전달받고, 제 3 로우 전류(IR3)에 대응하는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이 경우,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는 활성화된 제 2 NFC 태그(NT2)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3 행의 도전 라인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행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는 전달받은 제 3 로우 전류(IR3)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컬럼 감지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컬럼 전류들(IC)을 전달받는다. 컬럼 감지부(130)는 전달받은 컬럼 전류들(IC)에 대응하는 컬럼 감지 신호들(CSS)을 판단부(140)에 제공한다. 이 경우, 컬럼 감지 신호들(CSS)은 활성화된 NFC 태그들(NT)의 열 위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컬럼 감지 신호들(CSS)은 전달받은 컬럼 전류(IC)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및 제 3 컬럼 센서들(CS2, CS3)은 각각 제 2 및 제 3 컬럼 전류(IC2, IC3)를 각각 전달받고, 제 2 및 제 3 컬럼 감지 신호(CSS2, CSS3)를 판단부(140)에 각각 전달할 것이다. 이는 상술한 로우 센서(RS)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만, 제 2 및 제 3 컬럼 감지 신호들(CSS2, CSS3)은 활성화된 NFC 태그들의 컬럼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제 2 및 제 3 컬럼 전류들(IC2, IC3)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할 것이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로부터 각각 로우 감지 신호들(RSS) 및 컬럼 감지 신호들(CSS)을 전달받는다.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 신호들(RSS) 및 컬럼 감지 신호들(CSS)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위치를 판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부(120)로부터 복수의 로우 감지 신호들(RSS)을 인가받는다. 이 경우, 판단부(140)는 로우 감지 신호들(RSS)에 대응하는 로우 전류들(IR)의 크기와 기준 전류(reference current)의 크기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한다.
로우 전류(IR)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큰 경우, 판단부(140)는 해당 로우 전류(IR)에 대응하는 NFC 태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라고 판단한다. 반대로, 로우 전류(IR)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140)는 해당 로우 전류(IR)에 대응하는 NFC 태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NFC 태그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기준 전류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로우 전류보다 작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로우 전류보다 크록 적절하게 선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제 2 및 제 3 로우 센서들(RS2, RS3)로부터 각각 제 2 및 제 3 로우 감지 신호들(RSS2, RSS3)을 전달받을 것이다. 이 경우, 제 2 및 제 3 로우 감지 신호들(RSS2, RSS3)은 각각 제 2 및 제 3 로우 전류들(IR2, IR3)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제 2 및 제 3 로우 감지 신호들(RSS2, RSS3)을 기초로, 제 2 및 제 3 로우 전류들(IR2, IR3)의 크기를 기준 전류(reference current)의 크기와 비교할 것이다.
이 경우, 제 2 로우 전류(IR2)의 크기는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클 것이다. 이는 제 1 NFC 태그(NT1)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의 세기가 제 2 NFC 태그(NT2)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의 세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즉,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10)가 제 1 NFC 태그(NT1)에 가장 인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제 2 로우 감지 신호(RSS2)에 포함된 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라고 판단할 것이다. 즉,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2 행의 도전 라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한편, 제 3 로우 전류(IR3)의 크기는 기준 전류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3)에 포함된 행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NFC 태그의 행 정보라고 판단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컬럼 감지부(130)로부터 복수의 컬럼 감지 신호들(CSS)을 인가받는다. 이 경우, 판단부(140)는 컬럼 감지 신호들(CSS)에 대응하는 컬럼 전류들(IC)의 크기와 기준 전류(reference current)의 크기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제 2 및 제 3 컬럼 전류들(IC2, IC3)의 크기를 기준 전류의 크기와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3 컬럼 전류(IC3)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크고, 제 2 컬럼 전류(IC2)의 크기가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140)는 제 3 컬럼 감지 신호(CSS3)에 포함된 열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열 정보라고 판단할 것이다. 이는 상술한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14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판단부(140)는 로우 전류(IR)의 크기 및 컬럼 전류(IC)의 크기를 기준 전류의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 및 열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가 (2,3)의 좌표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 즉, 사용자가 NFC 장치가 NFC 태그에 접근시키는 경우, NFC 장치에 인접한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NFC 장치는 휴대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NFC 장치를 의미한다. NFC 장치가 NFC 태그에 접근하면, NFC 장치에 인접한 NFC 태그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제 1 NFC 태그(NT1)뿐만 아니라, 선택된 NFC 태그에 인접한 제 2 및 제 3 NFC 태그들(NT2, NT3)도 활성화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NFC 태그(NT1~NT3)에는 유도 전류(induced current)가 발생할 것이다.
S220 단계어서, 유도 전류(induced current)가 감지부(sensing current)에서 감지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유도 전류 중 제 2 및 제 3 로우 전류(IR2, IR3)가 로우 감지부(120)에서 감지될 것이다. 또한, 유도 전류 중 제 2 및 제 3 컬럼 전류(IC2, IC3)가 컬럼 감지부(130)에서 감지될 것이다.
이 경우, 로우 감지부(120)는 전달받은 제 2 및 제 3 로우 전류(IR2, IR3)에 대응하는 제 2 및 제 3 로우 감지 신호(RSS2, RSS3)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또한, 컬럼 감지부(130)는 전달받은 제 2 및 제 3 컬럼 전류(IC2, IC3)에 대응하는 제 2 및 제 3 컬럼 감지 신호(CSS2, CSS3)를 판단부(140)에 전달할 것이다. 이 경우, 로우 감지 신호(RSS) 및 컬럼 감지 신호(CSS)는 각각 대응하는 로우 전류(IR)의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컬럼 전류(IC)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S230 단계에서, 유도 전류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큰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제 2 로우 전류(IR2) 및 제 3 로우 전류(IR3)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판단부(140)는 제 2 컬럼 전류(IC2) 및 제 3 컬럼 전류(IC3)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큰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도 전류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큰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위치가 판단된다(S240 단계).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로우 전류(IR2)의 크기는 기준 전류보다 크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가 행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2 도전 라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 3 컬럼 전류(IC3)의 크기는 기준 전류보다 크다. 따라서,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가 열 방향의 도전 라인들 중 제 3 도전 라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결국, 판단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가 (2,3)의 좌표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유도 전류의 크기가 기준 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140)는 유도 전류에 대응하는 NFC 태그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NFC 태그로 판단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차이점이 중점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감지부(220), 판단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한다. NFC 태그들은 각각 디스플레이 이미지(Display image)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포함한다.
도 1의 디스플레이부(110)의 NFC 태그들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도전 라인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행렬 구조로 배치되며, NFC 태그들은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도 7의 디스플레이부(210)의 NFC 태그들은 랜덤하게 배치되며, 각각 하나의 도전 라인들에 연결된다.
한편,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210)의 NFC 태그에 접근하는 경우, NFC 태그 및 이에 연결된 도전 라인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것이다. 이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감지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감지부(220)는 제 1 내지 제 4 센서(S1~S4)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S)는 NFC 태그에 연결된다. 감지부(220)는 활성화된 NFC 태그에 생성된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것이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우 감지부(120) 및 컬럼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행의 위치 정보 및 열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NFC 태그들에 일대일로 연결된 센서들(S)을 포함하는 감지부(220)를 포함한다. 센서들(S)이 NFC 태그들에 일대일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210)의 NFC 태그에 접근하는 경우, 감지부(220)는 선택된 NFC 태그 및 이에 연결된 도전 라인을 통하여 유도 전류(induced current)를 전달받을 것이다. 또한, 감지부(220)는 전달받은 유도 전류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SS, Sensing Signal)를 판단부(230)에 전달할 것이다. 감지부(220)의 동작은 도 1의 로우 감지부(120) 또는 컬럼 감지부(13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판단부(230)는 감지부(22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감지부(220)로부터 감지 신호(SS)를 전달받을 것이다. 판단부(230)는 감지 신호(SS)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테그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것이다. 판단부(230)의 동작은 도 1의 판단부(14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것이다. 제어부(240)의 동작은 도 1의 제어부(15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위 NFC 장치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NFC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이미지들 중 소정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접근시키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NFC 태그들은 NFC 장치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NFC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NFC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NFC 태그와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 사이에는 NFC 고유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NFC 태그와 휴대 단말기의 NFC 장치 사이에는 Peer to Peer 통신, RFID 판독 기능, 또는 카드 에물레이션(Card Emulation)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10: 디스플레이부 120: 로우 감지부
130: 컬럼 감지부 140: 판단부
150: 제어부

Claims (10)

  1.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도전 라인들;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라인들에 연결되며,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1 센서들;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들에 연결되며,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가 적어도 두 개인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 중 선택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 중 선택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센서들의 감지 결과들 중 소정의 센서의 감지 결과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 중 상기 소정의 센서에 대응하는 NFC 태그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하여 활성화된 NFC 태그 사이에는 Peer to Peer 통신 기능, RFID 판독 기능, 또는 카드 에물레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NFC 장치를 탑재한 외부 장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응답하여, 복수의 NFC 태그들 중 소정의 NFC 태그가 활성화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도전 라인들 및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도전 라인들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도전 라인들을 통하여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행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도전 라인들을 통하여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NFC 태그의 열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NFC 태그들 중 활성화된 NFC 태그가 적어도 두 개인 경우에,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들을 기준 값과 각각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활성화된 NFC 태그들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들 중 소정의 활성화된 NFC 태그에 대응하는 감지 결과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소정의 활성화된 NFC 태그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KR1020100016723A 2010-02-24 2010-02-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KR20110097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23A KR20110097083A (ko) 2010-02-24 2010-02-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US12/957,909 US20110207401A1 (en) 2010-02-24 2010-12-01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and external device detecting method thereof
JP2010279427A JP2011175626A (ja) 2010-02-24 2010-12-15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その外部装置認識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23A KR20110097083A (ko) 2010-02-24 2010-02-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083A true KR20110097083A (ko) 2011-08-31

Family

ID=4447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723A KR20110097083A (ko) 2010-02-24 2010-02-24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07401A1 (ko)
JP (1) JP2011175626A (ko)
KR (1) KR201100970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48A1 (ko) * 2012-02-20 2013-08-29 주식회사 윈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 일체화된 안테나 패턴을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40024543A (ko) * 2012-08-2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8327A1 (ko) * 2017-10-31 2019-05-09 (주)와이엘캠퍼 다수의 태그를 동시에 감지하는 nfc 리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8190B1 (en) * 2012-02-02 2014-01-28 Google Inc. Gesture detection using an array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s
WO2013132850A1 (ja) * 2012-03-06 2013-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電気機器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装置
US9357332B2 (en) * 2012-06-08 2016-05-31 Broadcom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identification routing in card emulation
US9372657B2 (en) 2012-06-11 2016-06-21 Nec Display Solutions, Ltd. Multi-scre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D setting apparatus, and ID setting method
FR3002051B1 (fr) * 2013-02-13 2016-05-13 Oxo Systeme interactif pour dispositif diffusant un contenu multimedia, dispositif et procede associe
KR102039522B1 (ko) * 2013-06-03 2019-11-2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nfc 태그의 기록방법 및 장치
FR3013482B1 (fr) * 2013-11-20 2017-09-08 Epawn Procede et dispositif de localisation d’elements mobiles pourvus de tags standard de type nfc
WO2016052716A1 (ja) * 2014-10-02 2016-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表示装置、端末装置、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10256868B2 (en) 2014-10-02 2019-04-09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utiliz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to detect movement of an object and displa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tected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310A (en) * 1981-10-29 1985-10-29 Fujitsu Limited Touch sensing device
JP3933278B2 (ja) * 1997-11-04 2007-06-2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を検出可能な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AU2003232360A1 (en) * 2002-06-05 2003-12-22 Synaptics (Uk) Limited Signal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KR20070098817A (ko) * 2004-11-24 2007-10-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대화식 디스플레이 테이블들을 위한 플레이스매트
US20070203796A1 (en) * 2006-02-28 2007-08-30 Riggs George Iii RFID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formation Dispersion Method
US9507375B2 (en) * 2007-06-05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TWI349889B (en) * 2007-12-27 2011-10-01 Ind Tech Res Inst Advertisement apparatus with rfid ta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48A1 (ko) * 2012-02-20 2013-08-29 주식회사 윈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에 일체화된 안테나 패턴을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40024543A (ko) * 2012-08-2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8327A1 (ko) * 2017-10-31 2019-05-09 (주)와이엘캠퍼 다수의 태그를 동시에 감지하는 nfc 리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75626A (ja) 2011-09-08
US20110207401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70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그것의 외부 장치 인식 방법
US88667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N104956602A (zh) Nfc位置的指示
US2014018955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device
US9104263B2 (en) Touch pan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U2014284843A1 (en)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JP5717315B2 (ja) 位置認識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位置認識方法
US9904314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panel based on cover-related information
US11321438B2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electrode selected from electrodes of biometr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1441536A (zh) 装置识别方法和设备、装置信息提供方法和设备
US20150138142A1 (e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communications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by using location detection with aid of touch panel, and an associated apparatus
US10488977B2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20140362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bending
US943293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508371B (zh) 多天線運用系統及方法
US11601791B2 (en) Method for pair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KR101204794B1 (ko) 위치인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치 인식 방법
EP3313054B1 (en) System with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uxiliary device
US8284029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245305A (ja) 集積回路処理装置および集積回路処理方法
US20150227218A1 (en) Dot pattern recognizing device and content executing device
KR20160033454A (ko) 터치 스크린 장치
US9741317B2 (en) Touch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touch link module and related touch link method
JP5594190B2 (ja) 携帯端末
JP2007078360A (ja) 物品所在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