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305A -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 Google Patents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305A
KR20110094305A KR1020117013308A KR20117013308A KR20110094305A KR 20110094305 A KR20110094305 A KR 20110094305A KR 1020117013308 A KR1020117013308 A KR 1020117013308A KR 20117013308 A KR20117013308 A KR 20117013308A KR 20110094305 A KR20110094305 A KR 20110094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infection
compound
alky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훌 하미드 피어 모하메드
데이빗 워터슨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11009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기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의약으로서의 그의 용도, 및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서의 그의 용도를 기재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2-(PIPERIDIN-1-YL)-4-AZOLYL-THIAZOLE-5-CARBOXYLIC ACID DERIVATIVES AGAINST BACTERIAL INFECTIONS}
본 발명은 항박테리아 활성이 입증된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의약으로서의 그의 용도, 및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이들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국제 미생물 학회는, 항생제 내성이 발생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항박테리아제가 효과적이지 않은 균주가 생성될 수 있다는 심각성을 계속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병원체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병원체로서 분류될 수 있다.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병원체 둘 다에 대해 유효 활성을 갖는 항생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람-양성 및 특정 그람-음성 병원체 둘 다에 대해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근절하기 어렵고 치료하기 어려운 내성 균주가 이미 확립된 병원성 환경으로부터 생성되기 때문에, 그람-양성 병원체, 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시 (Staphylococci), 엔테로코시 (Enterococci), 스트렙토코시 (Streptococci) 및 미코박테리아가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균주의 예로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MRSA), 메티실린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시 (MRCNS),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Streptococcus pneumoniae), 다중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및 다중 약물 내성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MDR 및 XDR TB)가 있다.
이러한 내성 그람-양성 병원체의 최후 치료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임상학적으로 효과적인 항생제는 반코마이신이다. 반코마이신은 글리코펩티드이고, 신독성을 비롯한 다양한 독성과 연관되어 있다. 추가로, 및 가장 중요하게는, 반코마이신 및 기타 글리코펩티드에 대한 항박테리아 내성이 또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내성은 그람-양성 병원체의 치료에서 정상 속도 (steady rate)를 증가시켜 상기 작용제를 차츰 덜 효과적이게 한다. 또한, 현재 에이치.인플루엔자에 (H.influenzae) 및 엠.카타르할리스 (M.catarrhalis)를 비롯한 특정 그람 음성 균주에 의해서도 발병되는 상기도 감염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β-락탐, 퀴놀론 및 매크롤리드와 같은 작용제에 대해 나타나는 내성이 증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광범위한 다중-약물 내성 생물체의 징후를 극복하기 위해, 신규 항생제, 특히 새로운 작용 매카니즘을 갖고/거나 새로운 약물작용발생단 기를 함유한 신규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한 계속적인 필요가 존재한다.
데옥시리보핵산 (DNA) 기라제는 세포 내 DNA의 위상 상태를 조절하는 II형 토포이소머라제 족의 구성원이다 (문헌 [Champoux, J. J.; 2001. Ann. Rev. Biochem. 70: 369-413]). II형 토포이소머라제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ATP) 가수분해로부터의 자유 에너지를 사용하여, DNA에 일시적인 이중-가닥 손상 (double-stranded break)을 도입하고 손상을 통해 가닥 통과를 촉매화하고 DNA를 재봉합함으로써 DNA의 위상을 변경시킨다. DNA 기라제는 박테리아에서 필수적인 보존된 효소이고, 이는 토포이소머라제 중 유일하게 DNA 내로 음성 슈퍼코일을 도입하는 능력이 있다. 상기 효소는 gyrA 및 gyrB에 의해 코딩되어 A2B2 사량체 복합체를 형성하는 2개의 서브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기라제의 서브유닛 A (GyrA)는 DNA 손상 및 재봉합에 관련되고, 가닥 통과 중에 DNA에 일시적인 공유 연결을 형성하는 보존된 티로신 잔기를 함유한다. 서브유닛 B (GyrB)는 ATP의 가수분해를 촉매화하고, 서브유닛 A와 상호작용하여 가수분해로부터의 자유 에너지를 변형시킴으로써 가닥-통과 및 DNA 재봉합이 가능하도록 효소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박테리아에서의 또 다른 보존된 필수적인 II형 토포이소머라제 (토포이소머라제 IV로 지칭됨)는 복제 시 생성되는 연결된 폐쇄 고리형 박테리아 염색체를 분리하는 것에 대해 1차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소는 DNA 기라제에 밀접하게 관련되고, GyrA 및 GyrB와 상동성인 서브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유사한 사량체 구조를 갖는다. 상이한 박테리아 종에서 기라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V 간의 전체 서열 동일성이 높다. 따라서, 박테리아 II형 토포이소머라제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은, 기존의 퀴놀론 항박테리아제의 경우에서와 같이, 세포 내에서 2가지 표적인 DNA 기라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것에 잠재성을 갖는다 (문헌 [Maxwell, A. 1997, Trends Microbiol. 5: 102-109]).
DNA 기라제는 퀴놀론 및 쿠마린을 비롯한 항박테리아제의 널리 입증된 표적이다. 퀴놀론 (예를 들어, 시프로플록사신)은 효소의 DNA 손상 및 재결합 활성을 억제하고 DNA와 공유적으로 복합화된 GyrA 서브유닛을 트래핑 (trap)하는 광역 항박테리아제이다 (문헌 [Drlica, K., and X. Zhao, 1997, Microbiol. Molec. Biol. Rev. 61: 377-392]). 항박테리아제의 이러한 부류의 구성원은 또한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이들 화합물의 1차 표적은 종에 따라 다양하다. 퀴놀론은 성공적인 항박테리아제이지만, 표적 (DNA 기라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V)에서 돌연변에 의해 내성이 생성되면, 에스. 아우레우스 (S. aureus) 및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를 비롯한 여러 생물체에서 문제를 증가시킨다 (문헌 [Hooper, D. C., 2002,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2: 530-538]). 추가로, 화학 부류로서의 퀴놀론은 독성 부작용, 예컨대 관절병증 (어린이에 대해 사용을 금지함)의 문제를 갖는다 (문헌 [Lipsky, B. A. and Baker, C. A., 1999, Clin. Infect. Dis. 28: 352-364]). 추가로, QTc 간격의 연장에 의해 예측되는 바와 같이, 심장 독성의 가능성이 퀴놀론과 관련된 독성으로서 언급된 바 있다.
GyrB 서브유닛에 결합하는 ATP와 경쟁하는 DNA 기라제의 여러 공지된 천연 생성물 억제제가 존재한다 (문헌 [Maxwell, A. and Lawson, D.M. 2003, Curr. Topics in Med. Chem. 3: 283-303]). 쿠마린은 스트렙토미세스 종 (Streptomyces spp.)으로부터 단리된 천연 생성물이고, 그 예로는 노보비오신, 클로로비오신 및 쿠메르마이신 A1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DNA 기라제의 강력한 억제제이지만, 이들의 치료 유용성은 진핵생물에서의 독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에서의 불량한 침투성으로 인해 제한된다 (문헌 [Maxwell, A. 1997, Trends Microbiol. 5: 102-109]). GyrB 서브유닛을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의 또 다른 천연 생성물 부류는 시클로티알리딘이고, 이는 스트렙토미세스 필리펜시스 (Streptomyces filipensis)로부터 단리된다 (문헌 [Watanabe, J. et al. 1994, J. Antibiot. 47: 32-36]). DNA 기라제에 대한 강력한 활성에도 불구하고, 시클로티알리딘은 일부 유박테리아 종에 대해서만 활성을 나타내는 불량한 항박테리아제이다 (문헌 [Nakada, N, 1993,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7: 2656-2661]).
DNA 기라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서브유닛 B를 표적으로 하는 합성 억제제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쿠마린-함유 화합물은 특허 출원 번호 WO 99/35155에 기재되어 있고, 5,6-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화합물은 특허 출원 WO 02/060879에 기재되어 있고, 피라졸 화합물은 특허 출원 WO 01/52845 (US 6,608,087)에 기재되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AstraZeneca)는 또한 항박테리아성 화합물을 기재하는 특정 출원, 특히 WO2006/087543을 공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에 유용한 새로운 부류의 화합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i) R1은 Cl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ii) R1은 Br이고, R2는 Cl, Br, CN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iii) R1은 CN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또는
(iv) R1은 CH3이고, R2 및 R3은 Cl이고;
R4는 H, 플루오로, 메틸, 메톡시, 에톡시, 시클로프로필메톡시, 프로폭시, 알릴옥시 및 벤질옥시이고;
R5는 수소 또는 C1 - 4알킬이고;
Y는 N 또는 C-Ra이고, 여기서 Ra는 H, CH3, F, CF3 또는 CN이고;
R6은 C1 - 4알킬, C1 - 4할로알킬 C2 - 4알케닐, C2 - 4알케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알킬, (C1 - 4알콕시)알킬, (C3 - 6시클로알콕시)알킬, (C1 - 4할로알콕시)알킬, C1 - 4알카노일, N-(C1 - 4알킬)알킬, N,N-(C1 - 4알킬)2알킬, 카르보시클릴-R7- 또는 헤테로시클릴-R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N(R9)-, -C(O)-, -N(R10)C(O)-, -C(O)N(R11)-, -S(O)p-, -SO2N(R12)- 또는 -N(R13)SO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9, R10, R11, R12 및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p는 0 내지 2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에는 직쇄 및 분지쇄 알킬기가 둘 다 포함된다. 예를 들어, "C1 - 4알킬"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t-부틸이 포함된다. 그러나, 개별 알킬기 (예컨대, 프로필)에 대한 언급은 단지 직쇄 형태로만 특정된 것이다. 유사한 규칙이 다른 일반 용어에도 적용된다.
임의의 치환기가 1개 이상의 기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이 정의는 명시된 기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모든 치환기, 또는 명시된 기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1 - 4알콕시)알킬"의 예로는 메톡시 에틸이 있다. "C1 - 4알콕시카르보닐"의 예로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n- 및 t-부톡시카르보닐이 있다. "(C1 - 4알콕시)알킬"의 예로는 메톡시 에틸 및 이소프로폭시 에틸이 있다. "C1 - 4알카노일"의 예로는 프로피오닐 및 아세틸이 있다. "C2 - 4알케닐"의 예로는 비닐, 알릴 및 1-프로페닐이 있다. "C2 - 4알키닐"의 예로는 에티닐, 1-프로피닐 및 2-프로피닐이 있다. "C1 -4할로 알킬"의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2,2-디플루오로에틸이 있다. "C3-6시클로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및 시클로펜틸이 있다. "(C3 - 6시클로알킬)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메틸 및 시클로펜틸메틸이 있다. "(C3 - 6시클로알킬)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메틸 및 시클로펜틸메틸이 있다. "(C3 - 6시클로알콕시)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옥시에틸 및 시클로펜틸옥시에틸이 있다. "(C1 - 4할로알콕시)알킬"의 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틸 및 디플루오로메톡시에틸이 있다. "N-(C1-4알킬)알킬알킬"의 예로는 메틸아미노에틸 및 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이 있다. "N,N-(C1-4알킬)2알킬"의 예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이 있다.
용어 "헤테로시클릴"은 4 내지 12개의 원자 (이 중 1개 이상의 원자가 질소, 황 또는 산소로부터 선택됨)를 함유하는 포화, 부분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를 나타내고, 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탄소 또는 질소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CH2- 기는 -C(O)-에 의해 임의로 대체될 수 있고, 고리 질소 원자는 임의로 C1 - 6알킬 기를 보유하여 4급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고리 질소 및/또는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되어 N-옥시드 및/또는 S-옥시드를 형성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시클릴"의 예 및 적합한 값으로는 모르폴리노, 피페리딜, 피리딜, 피라닐, 피롤릴, 이소티아졸릴, 인돌릴, 퀴놀릴, 티에닐, 1,3-벤조디옥솔릴, 티아디아졸릴, 피페라지닐, 티아졸리디닐, 피롤리디닐, 티오모르폴리노, 피롤리닐, 호모피페라지닐, 3,5-디옥사피페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이미다졸릴, 피리미딜,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이속사졸릴, N-메틸피롤릴, 4-피리돈, 1-이소퀴놀론, 2-피롤리돈, 4-티아졸리돈, 피리딘-N-옥시드 및 퀴놀린-N-옥시드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은 5개 또는 6개의 원자 (이 중 1개 이상의 원자가 질소, 황 또는 산소로부터 선택됨)를 함유하는 포화, 부분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고, 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탄소 또는 질소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CH2- 기는 -C(O)-에 의해 임의로 대체될 수 있고, 고리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되어 S-옥시드를 형성할 수 있다.
용어 "카르보시클릴"은 3 내지 12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부분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탄소 고리를 나타내고, 여기서 -CH2- 기는 -C(O)-에 의해 임의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카르보시클릴"은 5개 또는 6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고리, 또는 9개 또는 10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비시클릭 고리이다. "카르보시클릴"에 대한 적합한 값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1-옥소시클로펜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페닐, 나프틸, 테트랄리닐, 인다닐 또는 1-옥소인다닐이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안정한 산 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염으로서의 화합물의 투여가 적절할 수 있고,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하기에 기재된 것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는 산 부가염, 예컨대 메탄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 α-글리세로포스페이트, 푸마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말레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및 히드로브로마이드가 포함된다. 또한, 인산 및 황산과 형성된 염도 적합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적합한 염은 염기 염, 예를 들어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염,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N-메틸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N-디벤질에틸아민,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아민, N-메틸 d-글루카민 및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과 같은 유기 아민 염이다. 여기에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하전 관능기의 수 및 원자가에 의존적인 하나 초과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나트륨 염이다.
그러나, 제조 동안 염의 단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된 용매에 덜 가용성인 염을 제약상 허용되건 그렇지 않건 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호변이성질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본 명세서 내의 화학식 도면은 가능한 호변이성질체 형태 중 하나만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임의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하고, 화학식 도면에 사용된 임의의 한 호변이성질체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의 화학식 도면은 가능한 호변이성질체 형태 중 단 하나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명세서가 본원에 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호변이성질체 형태가 아닌 도시된 화합물의 모든 가능한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화합물 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화학식 I에 도시된 2개의 비대칭 탄소 이외에도,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들) 및/또는 황 원자(들)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추가의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들) 및 황 원자(들)에 관한 한, 이들 위치에서 광학 활성 및 라세미 형태로 존재하고 단리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추가의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들) 및 황 원자(들)에서,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에 유용한 성질을 보유하는 임의의 라세미, 광학 활성, 다형성 또는 입체이성질 형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광학 활성 형태는 당업계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예를 들어 재결정화 기술에 의한 라세미 형태의 분할, 광학 활성 출발 물질로부터의 합성, 키랄 합성, 효소 분할, 생체내변환, 또는 키랄 고정상을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화합물은 다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에 유용한 특성을 보유하는 임의의 다형성 형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특정 치환기 및 기에 대한 특정한 적합한 값이 하기에 이어진다. 이들 값은 적절한 경우 상기 또는 하기 개시된 임의의 정의 및 실시양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의문점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치환기에 대한 각각의 언급된 값 또는 값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특정한 독립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은, 예를 들어 수화 형태와 같은 용매화 형태 및 비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이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모든 이러한 용매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특정 치환기 및 기에 대한 특정한 적합한 값이 하기에 이어진다. 이러한 값은 적절한 경우 상기 또는 하기에 개시된 임의의 정의 및 실시양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의문점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언급된 종은 본 발명의 특정한 독립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R 1 , R 2 R 3
한 측면에서, R1, R2 및 R3은 편리하게는 임의의 하기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a) R1은 Cl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고;
b) R1은 Br이고, R2는 Cl, Br, CN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고;
c) R1은 CN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고;
d) R1은 CH3이고, R2 및 R3은 Cl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R1, R2 및 R3은 편리하게는 임의의 하기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a) R1은 Cl이고, R2는 Br이고, R3은 CH3이고;
b) R1은 Br이고, R2는 Cl 또는 CN이고;
c) R1은 CN이고, R2는 Br이고, R3은 CH3이고;
d) R1은 CH3이고 R2 및 R3은 Cl이다.
R 4
한 측면에서, R4는 H, F, CH3, OCH3, OCH2CH3, OCH2CH2=CH2,
Figure pct000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4는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및 시클로프로필메톡시로부터 선택된다.
R 5
한 측면에서, R5는 H, CH3, CH2CH3, CH2CH2CH3, CH(CH3)2, C(CH3)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5는 H이다.
Y
한 측면에서, Y는 N 또는 C-Ra이고, 여기서 Ra는 H, CH3, F, CF3 및 C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Y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된다.
R 6
한 측면에서, R6은 질소 상의 치환기이고, H, CH3, CH2CH3, CH2CF3, CH2OCH3, CH2CH2OCH3, CH2CH2OCF3, CH2OCH2CF3,
Figure pct0000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6은 C1 - 4알킬, (C1 - 4알콕시)알킬 및 (C3 - 6시클로알킬)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6은 시클로프로필메틸, 에틸, 메틸 및 메톡시에틸로부터 선택된다.
R 7 R 8
한 측면에서,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N(R9)-, -C(O)-, -N(R10)C(O)-, -C(O)N(R11)-, -S(O)p-, -SO2N(R12)- 또는 -N(R13)SO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9, R10, R11, R12 및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p는 0 내지 2이다.
R 1 , R 2 , R 3 , R 4 , R 5 , Y, R 6
한 측면에서, R1, R2 및 R3은 편리하게는 임의의 하기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a) R1은 Cl이고, R2는 Br이고, R3은 CH3이고;
b) R1은 Br이고, R2는 Cl 또는 CN이고;
c) R1은 CN이고, R2는 Br이고, R3은 CH3이고;
d) R1은 CH3이고 R2 및 R3은 Cl이고;
R4는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및 시클로프로필메톡시로부터 선택되고;
Y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1 - 4알킬, (C1 - 4알콕시)알킬 및 (C3 - 6시클로알킬)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실시예의 화합물이며, 이들 각각은 추가로 본 발명의 독립적인 측면을 제공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실시예 중 임의의 2개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이미다졸-2-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5-디클로로-4-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플루오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2-메톡시에틸)-1H-이미다졸-2-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2-메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2-메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에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에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5-디클로로-4-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2-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시클로프로필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플루오로피페리딘-1-일)-4-(1-(시클로프로필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시클로프로필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플루오로피페리딘-1-일)-4-(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2-((3S,4R)-4-(4-브로모-3-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및
2-((3S,4R)-4-(3,5-디클로로-4-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5-일) 티아졸-5-카르복실산
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제공한다 (여기서, 가변기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활성화된 산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II>
Figure pct00004
<화학식 III>
Figure pct00005
(b)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IV>
Figure pct00006
<화학식 V>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L은 대체가능한 기임)
(c) R5가 C1 - 4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위해,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VI>
Figure pct00008
<화학식 VII>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R4a는 C1 - 4알킬임)
(d) R5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위해,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탈보호하고;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PG는 카르복실산 보호기임)
필요한 경우, 후속으로
i)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또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고/거나;
i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거나;
iii)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고/거나;
iv)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키랄 정제한다.
L은 대체가능한 기이다. L에 대한 적합한 값에는 할로, 예를 들어 클로로 및 브로모, 펜타플루오로페녹시 및 2,5-옥소피롤리딘-1-일옥시가 포함된다.
PG는 카르복실산 보호기이다. PG에 대한 적합한 값은 하기 본원에 정의되어 있다.
상기 반응에 대한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하기와 같다.
(a) 화학식 II 및 III의 화합물을 적합한 커플링 시약의 존재하에 함께 커플링시킬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표준 펩티드 커플링 시약은 임의로 촉매, 예컨대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또는 4-피롤리디노피리딘의 존재하에, 임의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2,6-디-알킬 피리딘, 예컨대 2,6-루티딘 또는 2,6-디-tert-부틸피리딘의 존재하에 적합한 커플링 시약으로서, 또는 예를 들어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및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클로로메탄,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틸포름아미드가 포함된다. 커플링 반응은 편리하게는 -40 내지 4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활성화된 산 유도체에는, 산 할라이드, 예를 들어 산 클로라이드, 및 활성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과 아민의 반응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들은 상기 기재된 것들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그리고 상기 기재된 것들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은 편리하게는 -40 내지 4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PG는 질소 보호기, 예컨대 하기 본원에 기재된 것들이고; L은 대체가능한 기, 예컨대 상기 본원에 기재된 것들이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시판되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이들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b)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N-메틸피롤리딘 중에서 임의로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아민의 존재하에 화학식 IV 및 V의 화합물을 50 내지 100 ℃ 범위의 온도에서 함께 가열한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PG는 질소 보호기, 예컨대 하기 본원에 정의된 것들이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FGI는 필요한 "L"로의 NH2 기의 관능기 상호전환이다.
(c) 적합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바륨의 존재하에 화학식 VI 및 VII의 화합물을 25 내지 100 ℃ 범위의 온도에서 반응시킨다.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본원에 기재된 반응의 적합한 변형에 의해 제조하여, R4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시판되는 화합물이거나, 또는 이들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d) 적합한 탈보호 조건은 하기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본원에 기재된 반응의 적합한 변형에 의해 제조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형성은 표준 기술을 이용하는 통상의 유기 화학자의 기술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다양한 특정 고리 치환기가 표준 방향족 치환 반응에 의해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방법 이전에 또는 직후에 통상의 관능기 변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이것이 본 발명의 방법 측면에 포함됨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고리 치환기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약은 시판되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고리 내로 치환기를 도입하여, 화학식 I의 한 화합물을 또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응 및 변형에는, 예를 들어 방향족 치환 반응에 의한 치환기의 도입, 치환기 환원, 치환기 알킬화, 치환기 산화, 치환기 에스테르화, 치환기 아미드화, 헤테로아릴 고리의 형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절차를 위한 시약 및 반응 조건은 화학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방향족 치환 반응의 구체적인 예에는, 알콕시드의 도입, 디아조화 반응에 이은, 티올기, 알콜기, 할로겐기의 도입이 포함된다. 변형의 예에는, 알킬티오의 알킬술피닐 또는 알킬술포닐로의 산화가 포함된다.
숙련된 유기 화학자는 필요한 출발 물질 및 생성물을 얻기 위해 상기 참고문헌에 포함되고 언급된 정보 및 참고문헌에 첨부된 실시예, 및 또한 본원에 첨부된 실시예를 이용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판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절차를 위해 필요한 출발 물질은 표준 유기 화학 기술로부터 선택된 절차, 공지된 합성법과 유사한 기술,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 또는 상기 기재된 절차 또는 실시예에 기재된 절차와 유사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합성 방법을 위한 다수의 출발 물질은 시판되고/거나 과학 문헌에 광범위하게 보고되어 있거나, 또는 시판되는 화합물로부터 과학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알아둔다. 독자들은 반응 조건 및 시약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위해 문헌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ition, by Jerry March, published by John Wiley & Sons 1992]을 추가로 참조한다.
또한, 본원에 언급된 일부 반응에서 화합물에 있는 임의의 민감성 기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고/바람직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보호가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경우는, 이러한 보호에 적합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보호기가 표준 시행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문헌 [T.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1991] 참조).
히드록시기를 위한 적합한 보호기의 예에는, 예를 들어 아실기, 예를 들어 알카노일기, 예컨대 아세틸, 아로일기, 예를 들어 벤조일, 실릴기, 예컨대 트리메틸실릴, 또는 아릴메틸기, 예를 들어 벤질이 있다. 상기 보호기에 대한 탈보호 조건은 보호기의 선택에 따라 반드시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실기, 예컨대 알카노일 또는 아로일기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적합한 염기를 사용한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별법으로, 실릴기, 예컨대 트리메틸실릴은, 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또는 수성 산에 의해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아릴메틸기, 예컨대 벤질기는, 예를 들어 탄소 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의 수소화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아미노기를 위한 적합한 보호기는, 예를 들어 아실기, 예를 들어 알카노일 기, 예컨대 아세틸, 알콕시카르보닐기,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또는 t-부톡시카르보닐기, 아릴메톡시카르보닐기, 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르보닐, 또는 아로일기, 예를 들어 벤조일이다. 상기 보호기에 대한 탈보호 조건은 보호기의 선택에 따라 반드시 달라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실기, 예컨대 알카노일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로일기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또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적합한 염기를 사용한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별법으로, 아실기, 예컨대 t-부톡시카르보닐기는, 예를 들어 적합한 산, 예컨대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아릴메톡시카르보닐기, 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기는, 예를 들어 탄소 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 상에서의 수소화에 의해 또는 루이스산 (Lewis acid), 예를 들어 보론 트리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의 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1급 이미노기를 위한 적합한 다른 보호기는, 예를 들어 알킬아민,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또는 2-히드록시에틸아민, 또는 히드라진으로의 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프탈로일기이다.
카르복시기를 위한 적합한 보호기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화기,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기 (이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로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 또는 예를 들어 t-부틸기 (이는 예를 들어 산, 예컨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 산으로의 처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 또는 예를 들어 벤질기 (이는 예를 들어 탄소 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 상에서의 수소화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 또는 예를 들어 알릴기 (이는 예를 들어 팔라듐 아세테이트와 같은 팔라듐 촉매의 사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음)이다.
보호기는 화학 분야에 널리 공지된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에서의 임의의 편리한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후속 반응 단계 또는 후처리 중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광학 활성 형태는 광학 활성 출발 물질 (예를 들어, 적합한 반응 단계의 비대칭적 유도에 의해 형성됨)를 사용하여 상기 절차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또는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화합물 또는 중간체의 라세미 형태를 분할함으로써,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되는 경우)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효소 기술이 또한 광학 활성 화합물 및/또는 중간체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순수한 위치이성질체가 요구되는 경우, 이는 순수한 위치이성질체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상기 절차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또는 위치이성질체 또는 중간체의 혼합물을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분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요법에 의한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고, 따라서 이들의 항박테리아 효과가 흥미로움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박테리아 DNA 기라제를 억제하고, 따라서 이들의 항박테리아 효과가 흥미롭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고, 따라서 이들의 항박테리아 효과가 흥미롭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DNA 기라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V 둘 다를 억제하고, 따라서 이들의 항박테리아 효과가 흥미롭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부인과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기도 감염 (RTI)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성병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요로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ACEB)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급성 중이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급성 부비동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카테터-관련 패혈증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연성하감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디아 (chlamydia)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비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심내막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열성 호중구감소증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임균성 자궁경부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임균성 요도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병원 획득 폐렴 (HAP)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골수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패혈증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매독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이 (Acinetobacter baumani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헤몰리티쿠스 (Acinetobacter haemolytic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주니이 (Acinetobacter juni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존소니이 (Acinetobacter johnsoni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루오피 (Acinetobacter lwoff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박테로이데스 비비우스 (Bacteroides bivi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부르크홀데리아 세파시아 (Burkholderia cepacia)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캄필로박터 제주니 (Campylobacter jejun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디아 뉴모니아에 (Chlamydia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디아 우레아리티쿠스 (Chlamydia urealytic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아에 (Chlamydophila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 (Clostridium difficil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박터 아에로게네스 (Enterobacter aerogene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박터 클로아카에 (Enterobacter cloac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에스케리치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가르드네렐라 바기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헤모필루스 파라인플루엔자에 (Haemophilus parainfluenz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Haemophilus influenz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Helicobacter pylor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Klebsiella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Legionella pneumophila)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메티실린-민감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모락셀라 카타르할리스 (Moraxella catarrha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모르가넬라 모르가니이 (Morganella morgani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아에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네이세리아 고노르호에아에 (Neisseria gonorrhoe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페니실린-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페니실린-민감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에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마그누스 (Peptostreptococcus magn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마이크로스 (Peptostreptococcus micro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아나에로비우스 (Peptostreptococcus anaerobi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아사카롤리티쿠스 (Peptostreptococcus asaccharolytic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프레볼티이 (Peptostreptococcus prevoti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테트라디우스 (Peptostreptococcus tetradi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바기날리스 (Peptostreptococcus vagina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Proteus mirabil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퀴놀론-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퀴놀론-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살모넬라 타이피 (Salmonella typh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살모넬라 파라타이피 (Salmonella paratyph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살모넬라 타이피무륨 (Salmonella typhimurium)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Serratia marcescen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디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타필로코쿠스 사프로피티쿠스 (Staphylococcus saprophyticu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아에 (Streptococcus agalacti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Streptococcus pyogenes)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Stenotrophomonas maltophilia)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우레아플라스마 우레아리티쿰 (Ureaplasma urealyticum)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반코마이신-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반코마이신-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반코마이신-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반코마이신-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더미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아시네토박터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박테로이데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부르크홀데리아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캄필로박터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디아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라미도필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로스트리듐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박터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엔테로코쿠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에스케리치아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가르드네렐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헤모필루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헬리코박터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클레브시엘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레지오넬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모락셀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모르가넬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마이코플라스마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뉴세리아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펩토스트렙토코쿠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프로테우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슈도모나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살모넬라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세라티아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타필로코쿠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우레아플라스마 종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호기성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편성 혐기성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통성 혐기성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그람-가변성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비정형 호흡기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감염" 또는 "박테리아 감염"은 미코박테리움, 및 특히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Mtu), 엠. 아비움 인트라셀룰라레(M. avium intracellulare) (Mai) 및 엠. 울세란스(M. ulcerans) (Mul)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항박테리아 효과의 생성 조치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항박테리아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박테리아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 조치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박테리아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 조치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부인과 감염, 기도 감염 (RTI), 성병, 요로 감염,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ACEB),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카테터-관련 패혈증,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 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비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심내막염, 열성 호중구감소증, 임균성 자궁경부염, 임균성 요도염, 병원 획득 폐렴 (HAP), 골수염, 패혈증 및/또는 매독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 조치를 필요로 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적합하게는, 의약은 항박테리아제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박테리아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를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특징에 따르면, 폐결핵, 폐외 결핵, 아비움 감염, 부룰리(Buruli) 궤양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 조치를 필요로 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부인과 감염, 기도 감염 (RTI), 성병, 요로 감염,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ACEB),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카테터-관련 패혈증,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 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비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심내막염, 열성 호중구감소증, 임균성 자궁경부염, 임균성 요도염, 병원 획득 폐렴 (HAP), 골수염, 패혈증 및/또는 매독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박테리아 효과의 생성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박테리아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부인과 감염, 기도 감염 (RTI), 성병, 요로 감염,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ACEB),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카테터-관련 패혈증,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 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비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심내막염, 열성 호중구감소증, 임균성 자궁경부염, 임균성 요도염, 병원 획득 폐렴 (HAP), 골수염, 패혈증 및/또는 매독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사용하기 위해,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의 치료학적 (예방학적 포함) 치료를 위해, 특히 감염 치료에 있어서, 이는 보통 표준 제약 수행에 따라 제약 조성물로서 제제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항박테리아 효과의 생성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온혈동물, 예컨대 인간에서 부인과 감염, 기도 감염 (RTI), 성병, 요로 감염,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ACEB),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약물 내성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 카테터-관련 패혈증, 연성하감, 클라미디아,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 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비합병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 심내막염, 열성 호중구감소증, 임균성 자궁경부염, 임균성 요도염, 병원 획득 폐렴 (HAP), 골수염, 패혈증 및/또는 매독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용도 (예를 들어, 정제, 로젠지,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에멀젼, 분산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 시럽 또는 엘릭시르로서), 국소 용도 (예를 들어, 크림, 연고, 겔, 또는 수성 또는 유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흡입 투여 (예를 들어, 미분된 분말 또는 액상 에어로졸로서), 취입 투여 (예를 들어, 미분된 분말로서) 또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근육내 또는 근육내 투여를 위한 멸균 수성 또는 유성 용액으로서,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로서)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제약 부형제를 사용한 통상의 절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구 용도를 위해 의도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착색제, 감미제, 향미제 및/또는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제제에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에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탄산나트륨, 인산칼슘 또는 탄산칼슘,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전분;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 보존제, 예컨대 에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이 포함된다. 정제 제제는, 비코팅되거나 코팅되어 이들의 붕해 및 추후 위장관 내에서의 활성 성분의 흡수를 조절하거나, 또는 이들의 안정성 및/또는 외형을 개선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통상의 코팅제 및 절차 이용).
경구용 조성물은 경질 젤라틴 캡슐의 형태 (여기서, 활성 성분은 불활성 고형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됨),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여기서 활성 성분은 물, 또는 땅콩 오일, 액상 파라핀 또는 올리브 오일와 같은 오일과 혼합됨)일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일반적으로 미분 형태의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현탁화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트카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분산화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레시틴, 또는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지방산과 헥시톨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또는 지방산과 헥시톨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으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와 함께 함유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컨대, 에틸 또는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당류 또는 아스파탐)을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 (예컨대, 아라키스 오일,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 또는 광유 (예컨대, 액상 파라핀) 중에 현탁시킴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또한 증점제, 예컨대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감미제, 및 향미제를 첨가하여 맛 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보존될 수 있다.
물을 첨가하여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분산가능한 분말 및 과립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을 분산화제 또는 습윤제, 현탁화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함께 함유한다. 적합한 분산화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는 상기에 이미 언급된 것들로 예시된다. 추가의 부형제, 예컨대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유성 상은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또는 아라키스 오일, 또는 광유, 예컨대 액상 파라핀,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는, 예를 들어 자연 발생 검, 예컨대 아카시아 검 또는 트카가칸트 검, 자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과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상기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일 수 있다.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향미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아스파탐 또는 수크로스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고, 또한 완화제, 보존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또한 주사가능한 멸균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언급된 하나 이상의 적절한 분산화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가능한 멸균 제제는 또한 비독성 비경구-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주사가능한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흡입 투여용 조성물은 미분된 고형 또는 액상 액적을 함유한 에어로졸로서 활성 성분을 분배하기 위해 배치된 통상의 가압 에어로졸의 형태일 수 있다. 통상의 에어로졸 추진제, 예컨대 휘발성 불소화 탄화수소, 또는 탄화수소가 사용될 수 있고, 에어로졸 장치는 계량된 양의 활성 성분을 분배하기 위해 편리하게 배치된다.
제제화에 대한 추가 정보에 대해, 독자들은 문헌 [Chapter 25.2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한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조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받는 숙주 및 특정 투여 경로에 따라 반드시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에게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총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8 중량%로 다양할 수 있는, 적절하고 통상적인 양의 부형제와 배합된 활성 작용제 0.5 mg 내지 2 g을 함유할 것이다. 투여 단위 형태는 일반적으로 약 1 mg 내지 약 500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투여 경로 및 투여 요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위해, 독자들은 문헌 [Chapter 25.3 in Volume 5 of Comprehensive Medicinal Chemistry (Corwin Hansch; Chairman of Editorial Board), Pergamon Press 1990]을 참조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특정 질환 상태의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치료를 위해 요구되는 투여량의 크기는 치료받는 숙주, 투여 경로 및 치료하고자 하는 병의 중증도에 따라 반드시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1 내지 50 mg/kg 범위의 일일 용량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일일 투여량은 치료받는 숙주, 특정 투여 경로 및 치료하고자 하는 병의 중증도에 따라 반드시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최적의 투여량은 임의의 특정 환자를 치료하는 전문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치료 의약에서의 용도 이외에도,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및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또한 새로운 치료제를 발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실험실 동물, 예컨대 고양이, 개, 토끼, 원숭이, 래트 및 마우스에서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시험 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에서 약리학적 도구로서 유용하다.
상기의 다른 제약 조성물, 공정, 방법, 용도 및 의약 제조 특징에서,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별도 및 특정 실시양태가 또한 적용된다.
조합물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 치료제로서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다른 물질 및/또는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합 치료는 개별 치료 성분의 동시 투여, 순차 투여 또는 개별 투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순차 또는 개별 투여되는 경우, 조합물의 유익한 효과가 손실되지 않도록 제2 성분의 투여를 지연시켜야 한다. 적합한 부류 및 물질은 하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 기타 항박테리아제, 예를 들어 매크롤리드, 예컨대 에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또는 클라리트로마이신; 퀴놀론, 예를 들어 시프로플록사신 또는 레보플록사신; β-락탐, 예를 들어 페니실린, 예컨대 아목시실린 또는 피페라실린; 세팔로스포린, 예를 들어 세프트리악손 또는 세프타지딤; 카르바페넴스, 예를 들어 메로페넴 또는 이미페넴 등; 아미노글리코시드, 예를 들어 겐타미신 또는 토브라마이신; 또는 옥사졸리디논; 및/또는
ii) 항감염제, 예를 들어 항진균성 트리아졸, 또는 예를 들어 암포테리신; 및/또는
iii) 생물학적 단백질 치료제, 예를 들어 항체, 시토카인, 살균/투과성-증진 단백질 (BPI) 생성물; 및/또는
iv)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의 치료에 유용한 1종 이상의 항박테리아제, 예컨대 리팜피신, 이소니아지드, 피리진아미드, 에탐부톨, 퀴놀론, 예를 들어 목시플록사신 또는 가티플록사신, 스트렙토마이신 중 하나 이상;
v) 유출 펌프 억제제.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i) 하나 이상의 추가적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ii) 하나 이상의 항감염제; 및/또는
iii) 생물학적 단백질 치료제, 예를 들어 항체, 시토카인, 살균/침투 증진 단백질 (BPI) 생성물;
iv) 폐결핵, 폐외 결핵, 아비움 감염, 부룰리 궤양의 치료에 유용한 1종 이상의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v) 하나 이상의 유출 펌프 억제제
로부터 선택된 화학요법제가 제공된다.
실시예
본 발명이 이제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나,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i) 증발은 진공하에 회전 증발에 의해 수행하였고, 후처리 절차는 여과에 의한 잔류 고체 제거 후에 수행하였다.
(ii) 작업은 일반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당업자가 달리 불활성 분위기하에 작업할 것이지 않는 한, 전형적으로 18 내지 26℃의 상온에서 및 공기 배제 없이 수행하였다.
(iii) (플래쉬 절차에 의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화합물 정제에 사용하였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머크 키에셀겔 (Merck Kieselgel) 실리카 (품목 9385) 상에서 수행하였다.
(iv) 수율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도달가능한 최대값일 필요가 없다.
(v) 본 발명의 최종 생성물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NMR 및 질량 분광 기술에 의해 확인하였고; 양성자 자기 공명 스펙트럼이 인용되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자장 세기 300 MHz에서 작동하는 브루커 (Bruker) DRX-300 분광계를 이용하여 DMSO-d6 중에서 측정하였다. 화학 이동은 내부 표준 (δ 척도)으로서 테트라메틸실란으로부터의 하류장 ppm으로 보고하였고, 이에 따라 피크 다중성은 s, 단일선; d, 이중선; AB 또는 dd,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dm, 다중선의 이중선; t, 삼중선; m, 다중선; br, 광폭선으로 나타내었다.
(vi) 고속 원자 충격 (FAB) 질량 분광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전기분무에서 작동하는 플랫폼 분광계 (Platform spectrometer) (마이크로매스 (Micromass)에 의해 공급됨)를 이용하여 얻었고, 경우에 따라, 양이온 데이터 또는 음이온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또는 대기압 화학 이온화 모드에서 작동하는 세덱스 (Sedex) 75ELSD가 장착된 애질런트 (Agilent) 1100 시리즈 LC/MSD를 이용하여 얻었으며, 경우에 따라 양이온 데이터 또는 음이온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질량 스펙트럼은 직접 노출 프로브를 이용하는 화학 이온화 (CI) 모드에서 70 전자 볼트의 전자 에너지로 수행하였고; 표시된 이온화가 전자 충격 (EI), 고속 원자 충격 (FAB) 또는 전기분무 (ES)에 의해 달성된 경우, m/z 값을 제공하였고; 일반적으로, 모 질량을 나타내는 이온만을 보고하였다.
(vii) 각 중간체는 일반적으로 후속 단계에 요구되는 표준으로 정제하였고, 지정된 구조가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분석하였고; 순도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NMR로 평가하였고, 동일성(identity)은 경우에 따라 적외선 분광분석법 (IR), 질량 분광분석법 또는 NMR 분광분석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vii) 하기 약어를 사용할 수 있다.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SM은 출발 물질이고;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이고;
CDCl3은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이고;
MS는 질량 분광분석법이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이고;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이고;
MeOH는 메탄올이고;
TFA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고;
EtOH는 에탄올이고;
DCM은 디클로로메탄이고;
HATU는 N-[(디메틸아미노)-1H,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시드이고;
DIEA는 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이다.
(viii) 온도는 ℃로서 인용한다.
실시예 1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산
Figure pct00014
THF (16.00 mL)와 EtOH (4 mL) 중 에틸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 520 mg, 0.89 mmol)의 현탁액에 물 (2 mL) 중 LIOH (212 mg, 8.86 mmol)를 첨가하고,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를 통해 모니터링하였고, LCMS 프로파일은 60℃로 밤새 가열한 후의 반응의 완료를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6 N HCl (pH 4)로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450 mg, 91%).
Figure pct00015
실시예 2-22
하기 실시예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시된 출발 물질 (SM)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중간체 1
에틸 2-((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일)-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6
DMF (10 mL) 중 3-브로모-4-클로로-N-((3S,4R)-3-메톡시피페리딘-4-일)-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40, 600 mg, 1.71 mmol)의 현탁액에 DIPEA (0.897 mL, 5.13 mmol)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이에 에틸 2-클로로-4-(1-메틸-1H-1,2,4-트리아졸-5-일)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3, 420 mg, 1.54 mmol)를 첨가하고,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를 통해 모니터링하였고, LCMS는 출발 물질의 생성물로의 전환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6 N HCl (pH 4)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520 mg, 51.8%).
Figure pct00027
중간체 2-22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1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시된 출발 물질 (SM)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중간체 23
에틸 2-클로로-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39
염화구리 (II) (4.03 g, 30.00 mmol) 및 tert-부틸 니트라이트 (3.57 mL, 30.00 mmol)를 아세토니트릴 (40 mL)에 현탁시켜 갈색빛을 띠는 녹색 현탁액을 얻었다. 이에 에틸 2-아미노-4-(1-메틸-1H-1,2,4-트리아졸-5-일)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26, 3.80 g, 15 mmol)를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LCMS 프로파일은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의 반응의 완료를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파쇄된 얼음에 붓고, 6 N HCl로 산성화시켰다 (pH 2.0).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3회 추출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냉각시 고체가 되는 녹색빛을 띠는 황색빛 오일 (3.9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0
중간체 24-25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8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시된 출발 물질 (SM)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41
중간체 26
에틸 2-아미노-4-(1-메틸-1H-1,2,4-트리아졸-5-일)-1,3-티아졸-5-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2
0℃에서, 술푸릴 디클로라이드 (1.687 mL, 21.00 mmol)를 15 ml의 DCM 중 에틸 3-(1-메틸-1H-1,2,4-트리아졸-5-일)-3-옥소프로파노에이트 (중간체 29, 3.94 g, 20 mmol)의 용액에 10분에 걸쳐 적하 깔대기를 통해 적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티오우레아 (2.284 g, 30.00 mmol) 및 에탄올 (30 m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LCMS 프로파일은 6시간의 반응 후의 반응의 완료를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빙냉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충분히 초음파처리하고, 포화 탄산나트륨 (20 ml)으로 중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에테르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 (4.8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3
중간체 27-28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11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하기 표에 주어진 출발 물질 (SM)로부터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44
중간체 29
에틸 3-(1-메틸-1H-1,2,4-트리아졸-5-일)-3-옥소프로파노에이트
Figure pct00045
0℃에서, NaH (7.84 g, 196 mmol의 60% 유분산액)를 디에틸카르보네이트 50 ml 중 1-(1-메틸-1H-1,2,4-트리아졸-5-일)에타논 (문헌 [Ohta, S.; Kawasaki, I.; Fukuno, A.; Yamashita, M.; Tada, T.; Kawabata, T. Chem. Pharm. Bull. (1993), 41(7), 1226-31]) 6.18 g (34.5 mmol)의 용액에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농후한 슬러리를 형성시켰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얼음 상의 1 N HCl로 서서히 이동시켰다. 혼합물의 pH를 NaHCO3으로 약 7이 되게 한 후, NaCl로 포화시키고, EtOAc로 4회 추출하였다. EtOAc를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켜 오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EtOAc 4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4.5 g)을 황색빛을 띠는 유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30-31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14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하기 표에 주어진 출발 물질 (SM)로부터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47
중간체 32
에틸 (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48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실산 (WO 2006087543, 8 g, 33.55 mmol)을 CH2Cl2 (100 ml)와 DIEA (17.5 ml, 100.64 mmol)에 용해시키고, HATU (14.03, 36.9 mmol)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S,4R)-에틸 4-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R)-7,7-디메틸-2-옥소비시클로[2.2.1]헵탄-1-일)메탄술포네이트 (WO2006087543, 16.04 mg, 36.9 mmol)를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를 통해 모니터링하였고, 이는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후의 반응의 완료를 보여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에틸 (3S,4R)-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일)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2 g)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9
중간체 33-39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17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하기 표에 주어진 출발 물질 (SM)로부터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중간체 40
3-브로모-4-클로로-N-((3S,4R)-3-메톡시피페리딘-4-일)-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00053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S,4R)-에틸 4-(3-브로모-4-클로로-5-메틸-1H-피롤-2-카르복스아미도)-3-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32, 12.00 g, 28.39 mmol)를 EtOH (100 mL)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NaOH (10 M 용액) (물 40 ml 중 14.76 g, 36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로 2일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를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빙냉수 (2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 N HCl (pH 6)로 중화시키고, 초음파처리하고, 고체 침전물을 여과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연갈색 고체 (10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4
중간체 41-47
하기 중간체를 중간체 20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하기 표에 주어진 출발 물질 (SM)로부터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중간체 48
에틸 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58
0℃에서, 물 (1 L) 중 나트륨 니트레이트 (630 g, 9.230 mol)의 용액을 빙초산 (1.5 L) 중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1 L)의 기계적으로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1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아세틸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 (1022 ml, 7.69 mol)로 처리하고, 아연 분진 (1106 g, 16.92 mol)을 내부 온도가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8시간 동안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0℃로 20분 동안 가열하고, 50℃로 냉각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부었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4%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227 g)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9
중간체 49
에틸 4-브로모-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0
중간체 50
에틸 3,4-디브로모-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1
N-브로모 숙신이미드 (250 g, 1.410 mol)를 실온에서 7시간 동안 클로로포름 (2 L) 중 에틸 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80 g, 1.175 mol)의 용액에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브로모 화합물의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중간체 49 (에틸 4-브로모-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200 g)를 헥산 중 2%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용리하였다.
Figure pct00062
중간체 50 (에틸 3,4-디브로모-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60 g)을 헥산 중 6%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갈색 고체로서 용리하였다.
Figure pct00063
중간체 51
에틸 4-브로모-3-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4
시안화구리 (II) (69.1 g, 0.776 mol)를 DMF (600 ml) 중 에틸 3,4-디브로모-5-메틸-1H-피롤 카르복실레이트 (60 g, 0.194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5℃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1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13 g)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5
중간체 52
4-브로모-3-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66
에틸 4-브로모-3-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13 g, 0.0505 mol)를 MeOH : THF : H2O의 혼합물 (각각 100 ml)에 용해시켰다. 수산화리튬 (32.5 g, 0.758 mol)을 첨가하고,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조 혼합물을 진한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4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물 (10.3 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7
중간체 53
에틸 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68
시안화구리 (II) (77.07 g, 0.866 mol)를 DMF (500 ml) 중 에틸 4-브로모-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50 g, 0.216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0℃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1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45 g)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9
중간체 54
에틸 3-브로모-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70
0℃에서, 브롬 (13.73 ml, 0.266 mol)을 아세트산 (400 ml) 중 에틸 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45 g, 0.254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NMR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아세트산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헥산으로 세척하여, 생성물을 밝은 갈색 고체 (60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1
중간체 55
3-브로모-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산
Figure pct00072
에틸 3-브로모-4-시아노-5-메틸-1H-피롤-2-카르복실레이트 (60 g, 0.233 mol)를 MeOH : THF : H2O의 혼합물 (각각 200 ml)에 용해시켰다. 수산화리튬 (146.9 g, 3.501 mol)을 첨가하고,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조 혼합물을 진한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물 (40 g)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3
중간체 56
3-히드록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4
0℃에서, 무수 메탄올 (1 L) 중 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300 g, 1.752 mol)의 용액에 무수 메탄올 (1.2 L) 중 KOH (422.7 g, 7.535 mol)의 냉각된 용액을 적가하고, 상기 첨가 후에 요오도벤젠 디아세테이트 (846.6 g, 2.628 mol)를 0℃ 내지 5℃에서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RM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RM을 직접 농축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3 L)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 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1.5 L), 염수 용액 (2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Pet 에테르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 목적 생성물을 밝은 황색의 점성 액체 (410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5
중간체 57
3-에톡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6
0℃에서, 무수 THF (600 ml) 중 수소화나트륨 (76.5 g, 1.5947 mol)의 현탁액에 무수 THF (500 ml) 중 3-히드록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310 g, 1.328 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RM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반응은 완료되지 않았다 (TLC에서 관찰된 출발 물질 중 약 20%). 반응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M을 0℃에서 물 (100 ml)로 서서히 켄칭하고, 이어서 물 (5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8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염수 용액 (2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Pet 에테르 중 20% 에틸 아세테이트).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액체 (188 g)로서 수득하였다. 58 g의 미반응 출발 물질을 회수하였다.
Figure pct00077
중간체 58
3-에톡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8
THF (350 ml) 중 3-에톡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40 g, 0.566 mol)의 용액에 5% v/v 수성 황산 (253 ml, 0.238 mol)을 적가하고, 반응물을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RM을 농축시켜 THF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30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의 pH를 고체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10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4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 (200 ml), 염수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밝은 황색 액체 (107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9
중간체 59
시스 (+) 3-에톡시-4-(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0
새로 증류한 THF (200 ml) 중 R (+)-α-메틸 벤질 아민 (72 ml, 0.558 mol)을, 새로 증류한 THF (600 ml) 중 3-에톡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0 g, 0.465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0℃에서, RM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108.4 g, 0.511 mol)를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RM을 0℃에서 물 (150 ml)로 켄칭하고, 이어서 고체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pH 8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6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100 ml), 염수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Pet 에테르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오일 (54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1
중간체 60
시스 (+) 4-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2
5% Pd-C (3 g) (알드리치(Aldrich))를 무수 메탄올 (350 ml) 중 시스 3-에톡시-4-(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32 g, 0.099 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 (1000 ml 용량)에서 밤새 50℃에서 수소화시켰다 (수소 압력 3 kg/cm3).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RM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 (15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생성물을 밝은 황색빛을 띠는 오일 (19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3
중간체 61
시스 (+)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4
0℃에서, 벤질옥시 클로로포르메이트 (톨루엔 중 95% 용액) (22.4 g, 0.131 mol)를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110 ml) 중 시스 4-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9 g, 0.0878 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RM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물 (100 ml), 염수 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Pet 에테르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 순수한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액체 (24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5
중간체 62
(3S,4R)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6
중간체 61 (28 g)을 하기 조건을 이용하여 키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18 g)의 순수한 주요 이성질체를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방법 정보:
칼럼: 키랄팩 AD-H (4.5 mm x 250 mm x 5μ)
유속: 1.0 ml/분
이동상: A: 헥산 중 0.2% 디에틸 아민
B: 에탄올 (10):메탄올 (10)
주사 부피 10.0 ㎕
체류 시간 (RT): 주요 이성질체: 7.78
소수 이성질체: 5.85
Figure pct00087
중간체 63
(3S,4R)-4-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8
실온에서, 10% Pd-C (1.5 g)를 무수 메탄올 중 (3S,4R)-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2 g, 0.032 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파르(Parr) 진탕기에서 수소화시켰다 (수소 압력 3 kg/cm3).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 (100 ml)로 세척하고, 농축 건조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흡습성 백색 고체 (8.4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9
중간체 64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0
0℃에서, 무수 THF (400 ml) 중 수소화나트륨 (24.6 g, 0.5144 mol)의 현탁액에 무수 THF (300 ml) 중 3-히드록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0 g, 0.4287 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첨가 후, RM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반응은 완료되지 않았다 (TLC에서 관찰된 출발 물질 중 약 40%). 반응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M을 0℃에서 물 (50 ml)로 서서히 켄칭하고, 이어서 물 (3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염수 용액 (2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Pet 에테르 중 15% 에틸 아세테이트).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액체 (68 g)로서 수득하였다. 15 g의 미반응 출발 물질을 회수하였다.
Figure pct00091
중간체 65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2
THF (250 ml) 중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4-디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68 g, 0.236 mol)의 용액에 5% v/v 수성 황산 (253 ml)을 적가하고, 반응물을 6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RM을 직접 농축시켜 THF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200 ml)에 용해시키고, 고체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 (200 ml), 염수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밝은 황색 액체 (52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3
중간체 66
시스 (+)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4
새로 증류한 THF (200 ml) 중 R (+)-α-메틸 벤질 아민 (31.46 g, 0.259 mol)을, 새로 증류한 THF (400 ml) 중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52 g, 0.216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RM을 상기 온도에서 추가로 60분 동안 교반하고, 0℃에서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45.86 g, 0.2166 mol)를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고,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RM을 0℃에서 물 (100 ml)로 켄칭하고, 이어서 고체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pH 8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4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200 ml), 염수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Pet 에테르 중 25% 에틸 아세테이트).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오일 (56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5
중간체 67
시스 (+) 4-아미노-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6
10% Pd-C (8 g) (알드리치)를 무수 메탄올 (450 ml) 중 시스 3-시클로프로필메톡시-4-(1-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58 g, 0.1675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포름산암모늄 (74 g, 1.172 mol)을 한꺼번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오토클레이브 (1000 ml 용량)에서 밤새 65℃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2일 후, RM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 (45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백색 페이스트에 클로로포름 (500 ml)을 첨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생성물을 밝은 황색빛을 띠는 오일 (29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7
중간체 68
시스 (+)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8
0℃에서, 벤질옥시 클로로포르메이트 (톨루엔 중 95% 용액) (15.3 g, 0.0897 mol)를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200 ml) 중 시스 4-아미노-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6 g, 0.055 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RM을 에틸 아세테이트 (2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100 ml), 염수 용액 (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Pet 에테르 중 20% 에틸 아세테이트), 순수한 생성물을 연황색의 점성 액체 (24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9
중간체 69
(3S,4R)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0
중간체 68 (24 g)을 하기 조건을 이용하여 키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화합물 (8.5 g)의 순수한 주요 이성질체를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방법 정보
칼럼: 키랄팩 AD-H (250%4.6), 5μ, SC/693.
유속: 1.0 ml/분
이동상: A: 헥산 중 0.2% 디에틸 아민
B: 에탄올 (10):메탄올 (10)
주사 부피 50.0 ㎕
체류 시간 (RT): 주요 이성질체: 10.58
소수 이성질체: 6.69
Figure pct00101
중간체 70
(3S,4R)-에틸 4-아미노-3-(시클로프로필메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102
실온에서, 10% Pd-C (2.35 g)를 무수 메탄올 중 (3S,4R)-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에톡시-피페리딘-1-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8 g, 22.07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파르 진탕기에서 수소화시켰다 (수소 압력 3 kg/cm3).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베드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 (100 ml)로 세척하고, 농축 건조시켜, 순수한 생성물을 흡습성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5 g, 93%).
Figure pct00103
중간체 71
1-에틸-1H-1,2,4-트리아졸
Figure pct00104
0℃에서, THF (200 ml) 중 DBU (220.2 g, 1.736 mol)의 용액을 무수 THF (1 L) 중 1,2,4-트리아졸 (100 g, 1.44 mol) 및 에틸 요오다이드 (318 g, 2.026 mol)의 기계적으로 교반된 현탁액에 3시간에 걸쳐 첨가 깔때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THF (250 ml)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감압 하에 증류하여, 생성물을 무색 액체 (55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5
중간체 72
1-(2-에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Figure pct00106
0℃에서, n-부틸 리튬 (424 ml, THF 중 1.6 M 용액, 0.679 mol)을 THF (400 ml) 중 1-에틸-1H-1,2,4-트리아졸 (55 g, 0.566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3 ml, 0.679 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1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70 g)을 밝은 황색빛을 띠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주: 생성물이 휘발성이므로, 이를 40℃ 미만에서 증류하여야 한다).
Figure pct00107
중간체 73
3-(2-에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8
0℃에서, NaH (48.2 g, 2.012 mol의 60% 유분산액)를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600 ml 중 1-(2-에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70 g, 0.53 mol)의 용액에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얼음-염 혼합물을 사용하여 -10℃로 냉각한 후, 6 N HCl을 첨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pH를 NaHCO3으로 약 7이 되게 하고, EtOAc로 4회 추출하였다. EtOAc를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켜 오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EtOAc 4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32.4 g)을 황색빛을 띠는 유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9
중간체 74
2-아미노-4-(2-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0
0℃에서, 술푸릴 클로라이드 (14.13 ml, 0.175 mol)를 1 L의 DCM 중 3-(2-에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32 g, 0.152 mol)의 용액에 적하 깔때기를 통해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헥산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에탄올 (500 ml) 중 상기 클로로 화합물의 용액에, 티오우레아 (9.15 g, 0.12 mol)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RT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빙냉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0 ml)으로 중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에테르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 (24.3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1
중간체 75
2-클로로-4-(2-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2
0 내지 -5℃에서, 2-아미노-4-(2-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24.3 g, 0.09 mol)를 아세트산 (150 ml)과 진한 HCl (150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물 (100 ml) 중 아질산나트륨 (17.57 g, 0.254 mol)을 상기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100 ml) 중 우레아 (8.1 g, 0.135 mol)를 매우 서서히 첨가하고,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빙냉수를 첨가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헥산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생성물 (10.3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3
중간체 76
1-시클로프로필메틸-1H-[1,2,4]트리아졸
Figure pct00114
0℃에서, THF (100 ml) 중 DBU (105.9 g, 0.695 mol)의 용액을 무수 THF (300 ml) 중 1,2,4-트리아졸 (40 g, 0.579 mol) 및 시클로프로필메틸 브로마이드 (101.7 g, 0.753 mol)의 기계적으로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 깔때기를 통해 3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THF (250 ml)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감압 하에 증류하여, 생성물을 무색 액체 (58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5
중간체 77
1-(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Figure pct00116
0℃에서, n-부틸 리튬 (353 ml, THF 중 1.6 M 용액, 0.565 mol)을 THF (400 ml) 중 1-시클로프로필메틸-1H-[1,2,4]트리아졸 (58 g, 0.47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2.3 ml, 0.564 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1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61 g)을 밝은 황색빛을 띠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주: 생성물이 휘발성이므로, 이를 40℃ 미만에서 증류하여야 한다).
Figure pct00117
중간체 78
3-(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8
0℃에서, NaH (35.4 g, 1.476 mol의 60% 유분산액)를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600 ml 중 1-(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61 g, 0.369 mol)의 용액에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얼음-염 혼합물을 사용하여 -10℃로 냉각한 후, 6 N HCl을 첨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pH를 NaHCO3으로 약 7이 되게 하고, EtOAc로 4회 추출하였다. EtOAc를 건조시키고 (Na2SO4), 농축시켜 오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EtOAc 4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22.5 g)을 황색빛을 띠는 유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9
중간체 79
2-아미노-4-(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0
0℃에서, 술푸릴 클로라이드 (9.0 ml, 0.112 mol)를 1 L의 DCM 중 3-(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2.5 g, 0.094 mol)의 용액에 적하 깔때기를 통해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헥산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에탄올 (500 ml) 중 상기 클로로 화합물의 용액에, 티오우레아 (8.58 g, 0.112 mol)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RT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빙냉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0 ml)으로 중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에테르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0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1
중간체 80
2-클로로-4-(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2
0 내지 -5℃에서, 2-아미노-4-(2-시클로프로필메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0 g, 0.034 mol)를 아세트산 (100 ml)과 진한 HCl (100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물 (100 ml) 중 아질산나트륨 (6.58 g, 0.095 mol)을 상기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100 ml) 중 우레아 (3.06 g, 0.51 mol)를 매우 서서히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빙냉수를 첨가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헥산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생성물 (7.5 g)을 밝은 갈색의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3
중간체 81
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
Figure pct00124
0℃에서, THF (200 ml) 중 DBU (210.7 g, 1.737 mol)의 용액을 무수 THF (1 L) 중 1,2,4-트리아졸 (100 g, 1.44 mol) 및 2-브로모에틸 메틸 에테르 (214.4 g, 1.737 mol)의 기계적으로 교반된 현탁액에 첨가 깔때기를 통해 3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THF (250 ml)로 2회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감압 하에 증류하여, 생성물을 무색 액체 (160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5
중간체 82
1-[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Figure pct00126
-78℃에서 n-부틸 리튬 (944 ml, THF 중 1.6 M 용액, 1.51 mol)을 THF (1 L) 중 1-(2-메톡시-에틸)-1H-[1,2,4]트리아졸 (160 g, 1.26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31.6 ml, 1.51 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1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100 g)을 밝은 황색빛을 띠는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7
중간체 83
3-[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8
-50℃에서 NaH (21.2 g, 0.887 mol의 60% 유분산액)를 1 L의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중 1-[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에타논 (100 g, 0.591 mol)의 용액에 여러 분량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이를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한 후, 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얼음-염 혼합물을 사용하여 -10℃로 냉각한 후, 6 N HCl을 첨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pH를 NaHCO3으로 약 7이 되게 하고, EtOAc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오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00% 헥산에 이어서 헥산 중 EtOAc 40%까지 구배 용리함). 생성물 (35.6 g)을 황색빛을 띠는 유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9
중간체 84
2-아미노-4-[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30
0℃에서, DCM (50 ml) 중 술푸릴 클로라이드 (29.8 ml, 0.221 mol)의 용액을 DCM (400 ml) 중 3-[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3-옥소-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35.6 g, 0.147 mol)의 용액에 적하 깔때기를 통해 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헥산 중 1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생성물 (18 g)을 수득하였다.
에탄올 (200 ml) 중 상기 클로로 화합물의 용액에 티오우레아 (6.9 g, 0.091 mol)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빙냉수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 (200 ml)으로 중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에테르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 (12 g)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1
중간체 85
2-클로로-4-[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32
0 내지 -5℃에서, 2-아미노-4-[2-(2-메톡시-에틸)-2H-[1,2,4]트리아졸-3-일]-티아졸-5-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12 g, 0.04 mol)를 아세트산 (50 ml)과 진한 HCl (50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물 (50 ml) 중 아질산나트륨 (7.8 g, 0.113 mol)을 상기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에,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50 ml) 중 우레아 (3.6 g, 0.06 mol)를 매우 서서히 첨가하고,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료 후에, 빙냉수를 첨가하고, 중탄산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헥산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함) 생성물 (6.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3
미코박테리아 감수성 시험 방법
MIC 시험에 대한 프로토콜: 마이크로플레이트 알라마르 블루(Alamar Blue) 검정법 (문헌 [Franzblau et al., 1998. J.Clin. Microbiol. 36: 362-366]).
인큐베이션 중에 시험 웰에서의 매질의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멸균 탈이온수 200 ㎕를 멸균 96-웰 플레이트의 모든 외부-경계 웰에 첨가하였다. 또 다른 96-웰 플레이트에서 DMSO 중 화합물의 2배 연속 희석액을 64 ㎍/ml에서 출발하여 0.5 ㎍/ml로 제조하였다. 멀티채널 피펫을 이용하여 4 ㎕ 부피의 이들을 칼럼 2 내지 10의 열 B 내지 G의 웰에 분주하였다. 약 5×105 cfu/ml의 세포수로 희석한 엠.투베르쿨로시스 배양물 200 ㎕를 모든 웰에 첨가하고, 웰의 내용물을 잘 혼합하였다. 칼럼 11의 3개 웰이 약물-무함유 (접종물만 함유) 대조군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3개의 웰은 약물-무함유 배지 대조군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알라마르 블루 (아큠드 인터내셔널 (Accumed International), 오하이오주, 웨스트레이크) 시약과 10% 트윈 (Tween) 80의 신선하게 제조한 1:1 혼합물 50 ㎕를 웰 B11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24시간 동안 재인큐베이션하였다. 웰 B11이 핑크색으로 변하면,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모든 웰에 시약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웰이 여전히 청색인 경우, 시약 혼합물을 또 다른 대조군 웰에 첨가하여, 다음날에 결과를 판독함). 마이크로플레이트를 37℃에서 추가로 24시간 동안 재인큐베이션하고, 모든 웰의 색깔을 기록하였다. 웰의 청색은 성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핑크색은 성장한 것으로 스코어링하였다.
MIC는 청색으로부터 핑크색으로의 색깔 변화를 방지하는 최저 약물 농도로 정의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상기 언급된 검정법으로 시험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137

    상기 식에서,
    (i) R1은 Cl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ii) R1은 Br이고, R2는 Cl, Br, CN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iii) R1은 CN이고, R2는 Br 또는 CF3이고 R3은 CH3이거나, 또는
    (iv) R1은 CH3이고, R2 및 R3은 Cl이고;
    R4는 H, 플루오로, 메틸, 메톡시, 에톡시, 시클로프로필메톡시, 프로폭시, 알릴옥시 및 벤질옥시이고;
    R5는 수소 또는 C1 - 4알킬이고;
    Y는 N 또는 C-Ra이고, 여기서 Ra는 H, CH3, F, CF3 또는 CN이고;
    R6은 C1 - 4알킬, C1 - 4할로알킬 C2 - 4알케닐, C2 - 4알케닐, C3 - 6시클로알킬, (C3 - 6시클로알킬)알킬, (C1 - 4알콕시)알킬, (C3 - 6시클로알콕시)알킬, (C1 - 4할로알콕시)알킬, C1 - 4알카노일, N-(C1 - 4알킬)알킬, N,N-(C1 - 4알킬)2알킬, 카르보시클릴-R7- 또는 헤테로시클릴-R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N(R9)-, -C(O)-, -N(R10)C(O)-, -C(O)N(R11)-, -S(O)p-, -SO2N(R12)- 또는 -N(R13)SO2-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9, R10, R11, R12 및 R1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p는 0 내지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 R1이 Cl이고, R2가 Br이고, R3이 CH3이거나;
    b) R1이 Br이고, R2가 Cl 또는 CN이거나;
    c) R1이 CN이고, R2가 Br이고, R3이 CH3이거나; 또는
    d) R1이 CH3이고, R2 및 R3이 Cl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4가 플루오로, 메톡시, 에톡시 및 시클로프로필메톡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이 C1 - 4알킬, (C1 - 4알콕시)알킬 및 (C3 - 6시클로알킬)알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코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9. 박테리아 DNA 기라제 억제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
  10.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 조치가 필요한 온혈 동물, 예컨대 인간에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박테리아 DNA 기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i) 1종 이상의 추가적인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ii) 1종 이상의 항감염제; 및/또는
    iii) 생물학적 단백질 치료제, 예를 들어 항체, 시토카인, 살균/투과성-증진 단백질 (BPI) 생성물; 및/또는
    iv)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의 치료에 유용한 1종 이상의 항박테리아제; 및/또는
    v) 1종 이상의 유출 펌프 억제제
    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요법제.
  12.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활성화된 산 유도체를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II>
    Figure pct00138

    <화학식 III>
    Figure pct00139

    (b)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IV>
    Figure pct00140

    <화학식 V>
    Figure pct00141

    (상기 식에서, L은 대체가능한 기임)
    (c) R5가 C1 - 4알킬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위해,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화학식 VI>
    Figure pct00142

    <화학식 VII>
    Figure pct00143

    (상기 식에서, R4a는 C1 - 4알킬임)
    (d) R5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위해,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탈보호하고
    <화학식 VIII>
    Figure pct00144

    (상기 식에서, PG는 카르복실산 보호기임);
    그후에 필요한 경우,
    i)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또 다른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고/거나;
    ii) 임의의 보호기를 제거하고/거나;
    iii)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하고/거나;
    iv)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키랄 정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및 R6은 화학식 I에 관하여 정의된 바와 같음)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
KR1020117013308A 2008-12-12 2009-12-11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KR20110094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94708P 2008-12-12 2008-12-12
US61/121,947 200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305A true KR20110094305A (ko) 2011-08-23

Family

ID=4179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308A KR20110094305A (ko) 2008-12-12 2009-12-11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20022107A1 (ko)
EP (1) EP2379545A1 (ko)
JP (1) JP2012511562A (ko)
KR (1) KR20110094305A (ko)
CN (1) CN102245603A (ko)
AR (1) AR074721A1 (ko)
AU (1) AU2009326143A1 (ko)
BR (1) BRPI0923324A2 (ko)
CA (1) CA2745725A1 (ko)
MX (1) MX2011005841A (ko)
TW (1) TW201026694A (ko)
UY (1) UY32316A (ko)
WO (1) WO2010067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4984B (zh) * 2013-06-03 2016-08-24 四川铂瑞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5-甲基-吡咯-2甲酸乙酯的制备方法
AU2016330271B2 (en) * 2015-09-30 2020-04-3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Hydroxyalkyl thiadiazole derivatives
JP2020511457A (ja) 2017-03-14 2020-04-16 第一三共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ルキルチアジアゾール誘導体のn−ホスホノキシメチルプロドラッグ
KR20190133667A (ko) 2017-03-24 2019-12-03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2(1h)-퀴놀리논 유도체
EA202091919A1 (ru) * 2018-03-06 2020-10-28 Юпл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унгицидно активных триазо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WO2020048949A1 (en) 2018-09-03 2020-03-12 Univerza V Ljubljani New class of dna gyrase and/or topoisomerase iv inhibitors with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WO2022129327A1 (en) 2020-12-17 2022-06-23 Univerza V Ljubljani New n-phenylpyrrolamide inhibitors of dna gyrase and topoisomerase iv with antibacterial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8046B (en) 1998-01-08 2003-06-21 Hoechst Marion Roussel Inc Aromatic amides having antiobiotic activiti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intermedi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EP1251848B1 (en) 2000-01-18 2004-06-23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MY138797A (en) 2000-12-15 2009-07-31 Vertex Pharma Bacterial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TW200526626A (en) * 2003-09-13 2005-08-16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KR101422432B1 (ko) * 2005-02-18 2014-07-22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항균성 피페리딘 유도체
TW200819437A (en) * 2006-08-17 2008-05-01 Astrazeneca Ab Chemical compounds
TW200906412A (en) * 2007-06-12 2009-02-16 Astrazeneca Ab Pipe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TW201026695A (en) * 2008-12-12 2010-07-16 Astrazeneca Ab Pipe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5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4721A1 (es) 2011-02-09
AU2009326143A1 (en) 2011-06-30
US20120022107A1 (en) 2012-01-26
WO2010067125A1 (en) 2010-06-17
MX2011005841A (es) 2011-06-17
BRPI0923324A2 (pt) 2017-07-11
EP2379545A1 (en) 2011-10-26
JP2012511562A (ja) 2012-05-24
UY32316A (es) 2010-07-30
TW201026694A (en) 2010-07-16
CN102245603A (zh) 2011-11-16
CA2745725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8106B2 (ja) 抗菌性のピペリジン誘導体
US20080269214A1 (en) Pyrrole Derivatives as Dna Gyrase and Topoisomerase Inhibitors
US20090253671A1 (en) Tricyclic derivatives of azetidine and pyrrole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P2009520785A (ja) 抗菌性のピロロピリジン、ピロロピリミジン、及びピロロアゼピン
JP2010500987A (ja) 抗細菌活性を有するピロール誘導体
KR20110097825A (ko)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헤테로시클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EP1856103A2 (en) Pyrrole derivatives as dna gyrase and topoisomerase inhibitors
KR20110094305A (ko) 박테리아 감염에 대항하는 2-(피페리딘-1-일)-4-아졸릴-티아졸-5-카르복실산 유도체
KR20100038095A (ko) 피페리딘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20110031419A (ko) 항박테리아제로서의 티아졸로[5,4­b]피리딘 및 옥사졸로[5,4­b]피리딘 유도체
JP2011522026A (ja) 細菌感染の処置用の複素環式尿素誘導体
US20080161306A1 (en) Pyrrole Derivatives as Dna Gyrase and Topoisomerase Inhibitors
US20090325902A1 (en) Heterocyclic urea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