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504A -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504A
KR20110093504A KR1020100013595A KR20100013595A KR20110093504A KR 20110093504 A KR20110093504 A KR 20110093504A KR 1020100013595 A KR1020100013595 A KR 1020100013595A KR 20100013595 A KR20100013595 A KR 20100013595A KR 20110093504 A KR20110093504 A KR 2011009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tungsten
sintering
nanocomposite
ceramic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066B1 (ko
Inventor
홍순형
박희섭
신유철
이동주
이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1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0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7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particles having a nanoscale micro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7/00Compounds of haf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 B22F2009/043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solid material, e.g. by crushing, grinding or milling by ball mi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는 텅스텐 금속 기지 내부에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밀도, 압축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국방 무기, 항공기 또는 로켓의 추진기관에 사용되는 내열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Tungsten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Nitride Ceramic Nanoparticles and Fabrica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국방 및 항공우주분야, 자동차 내열기관 부품 등으로 이용되는 금속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텅스텐 기지내에 질화물세라믹 입자가 응집됨 없이 균일하게 분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텅스텐(W)은 고융점(Tm=3,410℃)을 갖는 내열 금속으로서, 고온 및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구조물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낮은 열팽창 계수와 우수한 고온 기계적 성질을 이용한 항공기 구조재료로서 현재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순수 텅스텐의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약 1,000℃)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려고 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텅스텐의 고온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텅스텐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TiC, ZrC, HfC 등의 내화 탄화물, Y2O3, ZrO2 등의 산화물 등을 분산 강화재로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중국특허 제 1445377호에는 탄화물과 텅스텐의 기계적 합금화 공정을 통해 탄화물 분산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및 내삭마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탄화물 또는 산화물 들은 고융점으로 인한 난 소결성 재료이기 때문에, 최종 복합재료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밀도와 경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온에서의 압축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역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텅스텐에 질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밀도, 압축강도 및 경도가 우수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텅스텐 금속 기지 내부에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내의 질화물 세라믹의 분율이 0.1∼50부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ZrN, HfN, BN, AlN, Si3N4, TiN, TaN, Ta2N, VN, CrN, Cr2N, Mo2N, NbN, WN 및 W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ZrN, TiN, 및 Hf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크기는 5nm∼1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와 텅스텐 분말의 혼합분말을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를 거침으로써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는 플레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 어트리터(Attritor), 제트 밀(Jet Mill), 고속 텀블러 볼 밀(High Speed Tumbler Ball Mill), 교반 밀(Stirrer Mill) 및 진동 밀(Vibration Mill)로 이루어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밀링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는 플래니터리 볼 밀을 사용하여 200∼300rpm으로 3∼10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 고주파 유도 가열 소결(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HFIHS), 마이크로파 소결(Microwave Sintering, MS), 레이저 마이크로 소결(Laser Micro Sintering, LMS), 고압 고온 소결(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Sintering, HPHTS), 고온 진공 열간 가압 성형(High Temperature Vacuum Hot Pressing, HTVHP) 및 고온 진공 소결(High Temperature Vacuum Sintering, HTV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결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는 질화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밀도, 압축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국방 무기, 항공기 또는 로켓의 추진기관에 사용되는 내열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4a는 주사전자현미경 15,000배의 사진이며, 도 4b는 더 확대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XRD 데이터이다.
도 6a, 도 6b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실시예)와 비교예의 경도 측정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는 텅스텐 금속 기지 내부에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용융점이 텅스텐 금속 기지의 용융점과 유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내의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분율은 0.1∼50부피%인 것이 바람직한데, 0.1 부피% 미만이면 물성 향상에 기여∼도가 부족하고, 50 부피%를 초과하면 질화물 세라믹 입자들 간의 뭉침 현상이 증가하여 텅스텐 기지재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지고 소결시 어려움이 있어 99.9%이상의 상대밀도를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ZrN, HfN, BN, AlN, Si3N4, TiN, TaN, Ta2N, VN, CrN, Cr2N, Mo2N, NbN, WN 및 W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경우 용융점이 텅스텐 기지의 용융점과 유사하여 균일한 합금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족(ⅳ)인 ZrN, TiN, 및 Hf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용융점이 약 2900∼3500℃로서 티타늄의 용융점인 3410℃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ZrN와 같은 족(ⅳ)인 TiN, HfN의 기본 물성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밀도(g/cm3) 녹는점(℃) 열전도도(W/mK) 경도(10N/mm2)
ZrN 7.09 3000 16.75 2000
TiN 5.21 2950 29.31 2450
HfN 13.8 3310 11.3 2000
한편,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크기는 5nm∼1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크기가 5nm 미만인 때에는 질화물 나노입자가 텅스텐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우며 10㎛를 초과하는 때에는 질화물 세라믹 입자의 크기가 텅스텐 결정립의 크기보다 너무 커서 밀도가 낮아지거나 경도 또는 압축강도 등의 물성향상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a)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와 텅스텐 분말의 혼합분말을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를 거침으로써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텅스텐 결정립 내에 나노크기의 질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밀도 및 경도 등의 물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는 금속과 세라믹 분말을 다수의 볼과 함께 용기내에 장입하여 높은 기계적 에너지로 교반하는 건식 볼밀링 공정을 말한다. 공정중 각 원소분말은 볼 사이에서 미세 파단과 콜드웰딩(cold welding)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원자크기 규모까지 혼합되어 특수한 미세구조의 분말이 합성된다. 이러한 고에너지 밀링에 사용되는 밀링기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플레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 어트리터(Attritor), 제트 밀(Jet Mill), 고속 텀블러 볼 밀(High Speed Tumbler Ball Mill), 교반 밀(Stirrer Mill) 및 진동 밀(Vibration Mill)로 이루어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밀링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고에너지 밀링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질화물과 텅스텐의 기계적 합금화(MA : mechanical alloying)가 일어나며 이와 같은 기계적 합금화를 통해 질화물이 텅스텐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나노복합분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링공정은 통상 아르곤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고에너지 밀링 방법으로서 플래니터리 볼 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00∼300rpm으로 3∼10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링 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기계적 합금화가 불충분하고 10시간을 초과하는 때에는 공정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 고주파 유도 가열 소결(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HFIHS), 마이크로파 소결(Microwave Sintering, MS), 레이저 마이크로 소결(Laser Micro Sintering, LMS), 고압 고온 소결(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Sintering, HPHTS), 고온 진공 열간 가압 성형(High Temperature Vacuum Hot Pressing, HTVHP) 및 고온 진공 소결(High Temperature Vacuum Sintering, HTV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결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결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1) 기계적 합금화 단계
질화물로서 순도 99.9%, 입도 2㎛∼3㎛의 ZrN, TiN, HfN 분말과 상기의 텅스텐으로서 순도 99.9%, 입도 2.5㎛의 W 분말을 각각 준비하였다. 상기의 ZrN, TiN, HfN 분말의 부피비는 50부피%로 텅스텐 분말과 각각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였다. 그 후, 플래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을 사용하여 기계적 합금화(Mechanical Alloying, MA)를 수행하였다. 상기의 플래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에서 사용한 볼(ball)은 지르코니아(ZrO2) 볼이며, 반응용기(jar)는 내부용량 600cc의 자(jar)을 사용하였다. 또한, 볼 채움비(ball filling ratio), 즉, 반응용기(jar) : 볼(ball)의 부피비(%)는 15 : 1 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혼합 분말(powder) : 볼(ball)의 무게비가 1 : 10 이 되도록, 상기에서 준비한 혼합 분말을 플래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에 집어넣었다. 밀링(milling) 속도는 250 rpm으로 설정하고, 0.5, 3, 10시간 동안 밀링(milling)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이 완전히 합금화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하여, 미세조직 분석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ZrN 분말과 W 분말을 밀링기를 30분 사용한 후(MA: 0.5hr)에는 기계적 합금화(MA : Mechanical Alloying)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아, 선명하게 구분된 상태로 ZrN 상과 W 상이 따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밀링 시간을 점차 늘려감에 따라, 점차 합금화가 이루어 지면서, 10시간동안 밀링을 한 경우(MA: 10hr)에는 ZrN 상과 W 상이 SEM/BSE mode에서 색상으로 따로 구분하기가 어려운 상태로 합금화가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의 미세조직 결과를 통해서, ZrN 과 W 이 단순히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합금화가 이루어져서 나노크기의 질화물 입자가 텅스텐 기지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직사진에서, 본 발명의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이 수∼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질화물 나노 입자와 수십∼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텅스텐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고밀도 소결 단계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된 (ZrN, TiN, HfN) / W 나노복합분말을 흑연 다이에 충진하고 압력과 전류를 다이에 인가해 전기적 주울열과 스파크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흑연몰드내에서 분말을 소결체로 만들고 압력과 전류를 제거하고 일정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여 최종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다결정에 속하는 텅스텐은, 현미경적 크기의 작은 결정인 결정립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결정립들 사이의 계면인 결정립계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의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에서는 텅스텐 결정립 내에 나노크기의 질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개략적인 미세조직을 도 2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서 고밀도 소결 방법의 하나로 사용된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장치는 수냉 진공 챔버(chamber), 다이 어셈블리(die assembly), 고전류 공급 장치, 가압 장치, 진공 장치, 각종 제어 및 측정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장치를 이용하면, 빠른시간의 소결이 가능하며 빠른시간의 소결에도 불구하고, 치밀한 조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은, 1200∼2000℃의 온도범위 및 1∼500MPa의 압력범위에서 1∼1000분 동안 행해지거나, 또는 1∼500MPa의 압력범위에서 1200∼2000℃의 온도까지 10∼200℃/분의 속도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ZrN/W 나노복합분말을 1300℃의 온도에서 50MPa의 압력을 가하며 3분 동안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하여 기공도가 최소화된 (ZrN, TiN, HfN) / W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동일압력범위에서 1700℃의 온도까지 100℃/분의 속도로 승온하는 과정에서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스파크 플즈마 소결에 의해 제조된 ZrN/W 나노복합재료의 미세조직을 도4에 나타내었다. 도 4a는 15,000배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주며, 도 4b는 더 확대한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이들을 참조하면 ZrN 및 W의 결정립 크기는 수십∼수백 나노미터 크기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의 최대 장점은 고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스파크(spark)의 발생에 의해서 텅스텐 분말 사이에 플라즈마를 형성시킴으로써 물질 전달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짧은 소결시간 내에 소결체의 밀도를 급속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결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미세한 결정립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제조된 ZrN/W 나노복합재료의 XRD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ZrN와 W의 각 구성상이 안정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 3의 다른 상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의 표 2에는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ZrN, TiN, HfN) / W 복합재료의 기본 물성 및 내삭마율을 기재하였으며, 표 3에는 기존의 탄화물, 산화물 텅스텐 복합재료와의 물성비교를 위해 ZrO2, ZrC, ZrN 나노 세라믹 입자를 강화한 텅스텐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물성과 내삭마율을 비교하였다.
지르코늄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티타늄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하프늄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밀도(g/cm2) 13.17 12.22 16.5
상대밀도(%) 99.9 99.9 99.8
경도(GPa) 11 9 12
압축강도(MPa) 3560 3210 3650
삭마율(mg/s) 0.017 0.021 0.015
지르코늄산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지르코늄탄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지르코늄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밀도(g/cm2) 12.47 12.99 13.17
상대밀도(%) 99.8 99.7 99.9
경도(GPa) 9.5 10.5 11
압축강도(MPa) 3120 3420 3560
삭마율(mg/s) 0.017 0.016 0.017
상기 표 2 및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중에서는 하프늄을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가 밀도, 경도 및 압축강도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표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르코늄산화물 또는 지르코늄탄화물을 사용한 텅스텐 복합재료의 경우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르코늄질화물을 사용한 텅스텐 복합재료의 경우가 밀도가 우수하고 경도 및 압축강도 역시 대폭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 방법으로 제조한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에서, 질화물 세라믹 입자가 텅스텐 입자 내에서 얼마나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단순혼합공정을 거쳐 혼합한 분말을 소결하여 제조한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와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로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질화물 강화 텅스텐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통상적인 방법이란, V형 혼합 밀(V Mixer), 텀블러 볼밀(tumbler ball mill)을 이용한 단순혼합 공정을 거쳐서 질화물/텅스텐 혼합물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기계적 합금화 공정을 거치지 않는 방법이다. 이처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질화물 강화 텅스텐 혼합분말을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한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의 미세조직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a는 2,000배, 도 6b는 15,000배로 확대된 주사전자현미경 조직사진을 보여준다. 도 6과 도 4를 비교해 보면, 통상적인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도 4)에 비해 강화재(ZrN)와 기지(W)의 분산성이 상당히 떨어져 ZrN 응집체를 보이고 있으며, ZrN 결정립 크기 또한 수 마이크론 이상으로 매우 큰 조직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와 상기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질화물/텅스텐 복합재료의 경도 측정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 및 도 6에서 비교된 미세조직의 차이에 의해, 본 발명의 경우는 질화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경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예에 비하여 최소 1.5배 이상의 경도증가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텅스텐 금속 기지 내부에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재료내에 질화물 세라믹의 분율이 0.1∼50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ZrN, HfN, BN, AlN, Si3N4, TiN, TaN, Ta2N, VN, CrN, Cr2N, Mo2N, NbN, WN 및 W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는 ZrN, TiN, 및 Hf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의 크기는 5nm∼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6. (a) 질화물 세라믹 나노입자와 텅스텐 분말의 혼합분말을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를 거침으로써 질화물/텅스텐 나노복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는 플레니터리 볼 밀(Planetary Ball Mill), 어트리터(Attritor), 제트 밀(Jet Mill), 고속 텀블러 볼 밀(High Speed Tumbler Ball Mill), 교반 밀(Stirrer Mill) 및 진동 밀(Vibration Mill)로 이루어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밀링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에너지 밀링에 의한 기계적 합금화는 플래니터리 볼 밀을 사용하여 200∼300rpm으로 3∼10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분말을 고밀도 소결하는 단계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ark Plasma Sintering, SPS), 고주파 유도 가열 소결(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HFIHS), 마이크로파 소결(Microwave Sintering, MS), 레이저 마이크로 소결(Laser Micro Sintering, LMS), 고압 고온 소결(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Sintering, HPHTS), 고온 진공 열간 가압 성형(High Temperature Vacuum Hot Pressing, HTVHP) 및 고온 진공 소결(High Temperature Vacuum Sintering, HTV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결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0100013595A 2010-02-12 2010-02-12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9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95A KR101195066B1 (ko) 2010-02-12 2010-02-12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95A KR101195066B1 (ko) 2010-02-12 2010-02-12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504A true KR20110093504A (ko) 2011-08-18
KR101195066B1 KR101195066B1 (ko) 2012-10-29

Family

ID=4493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595A KR101195066B1 (ko) 2010-02-12 2010-02-12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84B1 (ko) * 2010-03-19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WO2014104461A1 (ko) * 2012-12-31 2014-07-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i₂AlN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방전가공 방법
CN111590079A (zh) * 2020-05-08 2020-08-28 华中科技大学 一种纳米氧化物弥散强化钢件及其快速增材制造方法
CN114226720A (zh) * 2021-12-21 2022-03-25 黑龙江省科学院高技术研究院 一种纳米陶瓷增强高温合金球形微粉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4301A (ja) 1998-11-06 2000-05-26 Sumitomo Coal Mining Co Ltd 炭化タングステン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7244B2 (ja) 2004-05-26 2011-03-09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炭化タングステン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884B1 (ko) * 2010-03-19 2012-05-14 한국과학기술원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WO2014104461A1 (ko) * 2012-12-31 2014-07-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i₂AlN 벌크소재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방전가공 방법
CN111590079A (zh) * 2020-05-08 2020-08-28 华中科技大学 一种纳米氧化物弥散强化钢件及其快速增材制造方法
CN111590079B (zh) * 2020-05-08 2022-04-01 华中科技大学 一种纳米氧化物弥散强化钢件及其快速增材制造方法
CN114226720A (zh) * 2021-12-21 2022-03-25 黑龙江省科学院高技术研究院 一种纳米陶瓷增强高温合金球形微粉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066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 et al. Metastable Si-BCN ceramics and their matrix composites developed by inorganic route based on mechanical alloying: Fabrication, microstructures, properties and their relevant basic scientific issues
Ji et al. Process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2O3–5 vol.% Cr nanocomposites
KR101144884B1 (ko)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5057327B2 (ja) 炭化ホウ素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Zhang et al. Understanding the oxidation behavior of Ta–Hf–C ternary ceramics at high temperature
CN109338172A (zh) 一种高熵合金增强的2024铝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11111400B2 (en) Multimaterial powder with composite grains for additive synthesis
CN114315359B (zh) 一种利用固溶耦合法制备高强韧复相高熵陶瓷的方法和应用
KR101850934B1 (ko) 방전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이용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강화 금속기지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재료
EP0429665B1 (en) Method of producing sintered ceramic materials
WO2014098370A1 (ko)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초경합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초경합금 및 초경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경 절삭공구
JP6908248B2 (ja) 被覆SiCナノ粒子を用いたSiC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Chakraborty et al. SPARK PLASMA SINTERING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ZrB 2 BASED CERAMICS: A REVIEW.
KR101195066B1 (ko)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0144248A (ja) 窒化物/タングステンナノ複合粉末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窒化物/タングステンナノ複合粉末
RU275422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теплопроводного алюминий-графитового композита
Cao et al. Progress in densification and toughening of high entropy carbide ceramics
Yin et al. Improvement i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i (C, N) cermet prepared by two-step spark plasma sintering
KR102084452B1 (ko) Mo-Si-B 합금의 제조 방법
US8268035B2 (en) Process for producing refractory metal alloy powders
CN111196726B (zh) 一种SiBCN-Ta4HfC5复相陶瓷及其制备方法
KR102112725B1 (ko) 분산강화 금속 소결체의 제조방법
Mansourirad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g-8% wt Cr2O3 composites prepared by different densification processes
KR102295783B1 (ko) 저온가압소결을 이용한 고강도 텅스텐 제조방법
Zhao et al. Effect of TiO2 addition on the densification behavior,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2O3-Cr cermets prepared via vacuum sin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