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719A -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719A
KR20110088719A KR1020100008352A KR20100008352A KR20110088719A KR 20110088719 A KR20110088719 A KR 20110088719A KR 1020100008352 A KR1020100008352 A KR 1020100008352A KR 20100008352 A KR20100008352 A KR 20100008352A KR 20110088719 A KR20110088719 A KR 2011008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int
screen
axis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719A/ko
Publication of KR2011008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것으로, 확대 동작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가 변경되면, 변경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ZOOMING SCREEN IN DISPLAY US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touch panel)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기기는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키패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 수단 및 입력 수단을 겸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의 용이성으로 인해, 상기 터치 채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외에 다른 장비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 및 정전 용량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저항막 방식은 화면 위에 투명 전극 필름을 배치시키고, 일정 공간, 즉, 저항막을 구성한 후, 저항막 위에 겉 표면 렌즈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때, 압력이 발생하면 렌즈 및 전극 필름이 접촉되고, 이로 인해 입력 위치가 식별된다. 상기 정전 용량식은 상기 저항막 방식과 달리 공간을 없애고, 상기 투명 전극 필름 및 상기 겉 표면 렌즈를 밀착시킴으로써, 정전기 반응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해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수단의 크기 제한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하기 위해, 표시된 화면의 일부를 확대(zoom)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면 확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조작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zoom)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2개의 압력점들을 이용한 화면 확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가 변경되면, 변경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과,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가 변경되면, 변경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같이 확대의 중심 지점 및 확대/축소를 위한 드래그가 별도의 입력 지점에서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부분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대/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화면 확대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zoom)를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확대 기술은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물론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화면 확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알파벳이 기재된 원들(101, 102, 103)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압력점을 나타내며, 각 알파벳은 압력점의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zoom point)(101)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한 점에서의 입력을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이 유지된 지점이 상기 확대 지점(10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확대 지점(101)이 결정된 후, 사용자는 상기 확대 지점(101)의 입력을 유지한 채 다른 지점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다른 지점은 시작 지점(102)으로 설정된다. 저항막 방식의 경우, 서로 다른 2개의 지점들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2개의 지점들의 중간 지점의 저항 값이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확대 지점(101) 및 상기 시작 지점(102)에 압력을 가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확대 지점(101) 및 상기 시작 지점(102)의 중간 지점을 입력 좌표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입력 좌표가 상기 확대 지점(101)으로부터 상기 확대 지점(101) 및 상기 시작 지점(102)의 중간 지점으로 변경되었음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작 지점(102)의 입력을 종료 지점(103)으로 드래그(drag)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경우 서로 다른 2개의 지점들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2개의 지점들의 중간 지점의 저항 값이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 좌표는 상기 확대 지점(101) 및 상기 시작 지점(102)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확대 지점(101) 및 상기 종료 지점(103)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입력 좌표의 변화량 및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101)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한다. 이때, 상기 변화량 및 상기 변화 방향은 특정 기준 축 상에서 측정된다. 상기 특정 기준 축은 화면의 Y 축(수직 축) 또는 X 축(수평 축)이거나, 상기 Y 축 및 상기 X 축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Y 축을 이용하는 경우, + 방향은 확대, - 방향은 축소가 되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은 좌표 변화량에 대한 함수로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은 상기 좌표 변화량에 대한 선형 비율 또는 로그(log)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작 지점(102)로부터 상기 종료 지점(103)으로의 압력점 드래그에 따라 실제 이동하는 좌표 변화량(111)은 상기 압력점 드래그 길이의 절반이다. 따라서, 상기 확대 및 축소의 정도는 상기 좌표 변화량 및 상기 압력점 드래그 길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device)의 화면 확대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는 201단계에서 동일한 좌표에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동일한 좌표에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됨은 확대 지점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장치는 상기 201단계에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함으로써, 확대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 유지 외의 다른 규칙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장치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대 기능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1단계에서 입력이 유지되었던 최초의 입력 좌표를 상기 확대 지점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확대 지점은 화면 확대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최초 입력점을 확대 지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장치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대 지점을 기준으로 Y 축의 좌표가 변화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Y 축의 좌표의 변화는 상기 확대 지점과 임계치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된 좌표로 입력 지점이 변경됨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Y 축의 좌표가 변화하지 아니하면, 상기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2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Y 축의 좌표가 변화하면, 상기 장치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변화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장치는 상기 확대 기능 활성화 후 최초 변화된 좌표의 지점을 상기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장치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Y 축의 좌표가 이동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Y 축의 좌표가 이동하지 아니하면, 상기 장치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이 해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2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Y 축의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장치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Y 축의 좌표의 변화량 및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변화 방향이 상기 Y 축의 + 방향인 경우, 상기 장치는 화면을 확대하고, 상기 변화 방향이 상기 Y 축의 - 방향인 경우, 상기 장치는 화면을 축소한다. 또한, 상기 확대 또는 축소의 비율은 상기 좌표의 변화량에 대한 함수로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은 상기 좌표 변화량에 대한 선형 비율 또는 로그(log)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한 설명에서, 상기 확대 및 축소의 여부 및 상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변화량 및 변화 방향은 Y 축 상에서 측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변화량 및 상기 변화 방향 X 축 상에서 측정되거나, 상기 X 축 및 상기 Y 축을 모두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터치스크린(302), 영상처리기(304), 제어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302)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판넬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터치 판넬 및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302)은 상기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표시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302)는 상기 영상처리부(304)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신호를 시각적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302)는 상기 터치 판넬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입력 좌표를 상기 제어부(306)로 제공한다. 상기 영상처리기(304)는 상기 제어부(306)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화상 신호를 상기 터치스크린(302)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06)는 상기 터치스크린(302)를 통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처리기(304)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6)는 상기 터치스크린(302)으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입력의 발생 정보에 따라 화면 확대 기능을 제어한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306)는 동일한 지점에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동일한 지점에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됨은 확대 지점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 유지 외의 다른 조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의 입력이 유지되면, 상기 제어부(306)는 상기 확대 기능을 활성화하고, 입력이 유지되었던 최초 입력점을 상기 확대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 상기 확대 지점을 기준으로 Y 축의 좌표가 변화하면, 상기 제어부(306)는 변화 후의 Y 축의 좌표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Y 축의 좌표가 변화하면, 상기 제어부(306)는 상기 Y 축의 좌표의 변화량 및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확대 및 축소의 여부 및 상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은 Y 축 좌표만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확대 및 축소의 여부 및 상기 확대 및 축소의 비율은 X 축 좌표만을 이용하거나, 상기 X 축 및 상기 Y 축 좌표 모두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가 변경되면, 변경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동일 좌표에 소정 시간 동안의 입력이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량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상기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은,
    상기 변화 방향이 기준 축의 +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확대하는 과정과,
    상기 변화 방향이 기준 축의 -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축은, X 축 및 Y 축 중 하나 또는 X 축 및 Y 축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의 변경은, 상기 확대 지점과 임계치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된 좌표로 입력 지점이 변경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과,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확대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가 변경되면, 변경 후의 입력 좌표를 시작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입력 좌표가 이동하면,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 방향에 따라 상기 확대 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동일 좌표에 소정 시간 동안의 입력이 유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량에 따라 결정되는 비율로 상기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 방향이 기준 축의 +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확대하고, 상기 변화 방향이 기준 축의 - 방향이면 상기 화면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축은, X 축 및 Y 축 중 하나 또는 X 축 및 Y 축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지점 대비 입력 좌표의 변경은, 상기 확대 지점과 임계치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된 좌표로 입력 지점이 변경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08352A 2010-01-29 2010-01-29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KR2011008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52A KR20110088719A (ko) 2010-01-29 2010-01-29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52A KR20110088719A (ko) 2010-01-29 2010-01-29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19A true KR20110088719A (ko) 2011-08-04

Family

ID=4492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352A KR20110088719A (ko) 2010-01-29 2010-01-29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7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27B1 (ko) * 2012-09-28 2014-03-19 유상현 선형터치패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화면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KR20140071282A (ko) * 2012-09-29 2014-06-11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된 대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KR101501811B1 (ko) * 2012-08-27 2015-03-12 이영재 터치 화면 확대 기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11B1 (ko) * 2012-08-27 2015-03-12 이영재 터치 화면 확대 기술
KR101375727B1 (ko) * 2012-09-28 2014-03-19 유상현 선형터치패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화면확대/축소 방법 및 장치
KR20140071282A (ko) * 2012-09-29 2014-06-11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된 대상의 줌을 제어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US9632680B2 (en) 2012-09-29 2017-04-25 Huawei Device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zooming of displayed object
US10324604B2 (en) 2012-09-29 2019-06-18 Huawei Device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zooming of displayed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an interface based on touch operations
EP3103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CN104932809B (zh) 用于控制显示面板的装置和方法
US9223406B2 (en)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00012088A (ko) 터치 스크린 기기들용 스크롤링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93234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ze of displayed objects
EP2560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on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KR2008004180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102117086B1 (ko) 단말기 및 그의 조작 방법
JP614635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ollmann et al. HoverZoom: making on-screen keyboards more accessible
KR20140075424A (ko) 컨텐츠 확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5138360A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KR20140082434A (ko)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20274573A1 (en) Korean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 scree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 input apparatus
JP2009098990A (ja) 表示装置
KR20110088719A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확대 장치 및 방법
US92507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56469A (ko)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027548B1 (ko) 전자장치에서 화면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55544B1 (ko)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979095B1 (ko)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포인팅 방법
KR201500491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 글씨 교정방법
KR2011012183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