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306A -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 Google Patents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306A
KR20110080306A KR1020100000472A KR20100000472A KR20110080306A KR 20110080306 A KR20110080306 A KR 20110080306A KR 1020100000472 A KR1020100000472 A KR 1020100000472A KR 20100000472 A KR20100000472 A KR 20100000472A KR 20110080306 A KR20110080306 A KR 2011008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aring aid
microphone
receiv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택
김학기
Original Assignee
이승택
김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택, 김학기 filed Critical 이승택
Priority to KR102010000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306A/en
Publication of KR2011008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is provided for the hearing impaired to conveniently talk over a telephone without a separate hearing aid. CONSTITUTION: A communications unit(10) comprises a microphone(11), an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2), a digital signal processor(13), a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7), a speaker(18), a RF signal processor(15) and a transceiver(14,16). A hearing aid unit(20) includes a microphone(21), an amplifier(22), and a receiver(23). The receiver outputs an amplified analog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e microphone receives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Description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본 발명은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 내부에 보청기가 구비되어 난청과 같은 청각 장애를 가진 자에 대해서도 별도의 보청기 없이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hearing aid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hearing aid is provided inside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so that a person with a hearing impairment such as hearing loss can recognize a voice signal without a separate hearing aid. It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와 리시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스피커는 호출을 알리는 벨소리나 음악을 들려주고, 리시버는 수신음을 들려주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a receiver for reproducing an electrical signal as an acoustic signal. The speaker plays a ring tone or music for notifying a call, and the receiver plays a reception sound.

이러한 스피커와 리시버는 원격지에서 전송되어 오는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청각을 통해서 그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므로 음파의 감지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즉, 청각이 찢어진 중이성 난청이나 나이가 들어 청력이 쇠퇴한 노인성 난청과 같이 청력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음파만으로 통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These speakers and receivers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remote places into sound waves and transmit their meaning through hearing. Therefore, people with low sound sensitivities, ie, middle hearing loss whose hearing is torn or whose hearing has deteriorated with age In the case of a person who has difficulty hearing, such as hearing loss, it is difficult to make a call using only sound waves e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및 일반 통신 기기는 재생 대역이 300 내지 3000Hz 로 통화시 음량을 높여도 청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통화가 용이하기 않아, 별도의 보청기를 사용하게 된다.Currently used mobile phones and general communication devices with a playback band of 300 to 3000Hz, even if you increase the volume during the call, it is not easy to talk to people with poor hearing, use a separate hearing aid.

통상 보청기는 이러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하여 귀에 부착하는 것으로,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 진동으로 바꾸고 이것을 증폭기로 증폭하여 리시버로 다시 음파로 만들어 귀에 들리게 하거나, 전자기 신호를 유도코일로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여 음파로 만들어 귀에 들리게 하고 있다.In general, hearing aids are attached to the ear to compensate for the hearing loss, and the sound waves are received by a microphone and converted into electric vibrations, which are then amplified by an amplifier and converted back into sound waves by a receiver, or heard by an induction coil and amplified by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Made to be heard by the ear.

이러한 보청기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휴대폰이나 전화기와 같은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큰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이어폰이 구비되는 MP3나 PMP와 같은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청기와 동시에 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People wearing these hearing aids are experiencing great inconvenience when making calls using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elephones, and can use earphones at the same time as hearing aids when using terminals such as MP3 or PMP. There is no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리시버가 구비되어, 청각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별도의 보청기가 없어도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microphone and a receiver are provided for performing a hearing ai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so tha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can conveniently make calls without a separate hearing ai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또한, 통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보청기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 hearing aid function even when a telephone function is not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제1마이크로폰, 상기 제1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상기 D/A 컨버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신호 처리부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RF 신호 처리부 사이에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부;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제2마이크로폰, 상기 제2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통신부의 D/A 컨버터에서 변환되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외부로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조청(助聽)부; 및 상기 조청부의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기를 조절하는 이퀄라이저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의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제2마이크로폰의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리시버를 통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상기 조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microphone to which a voice signal is input,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the digital signal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a processing unit into an analog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an external signal as a voice signal, an RF signal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s; A second microphone to which an audio signal is input, an amplifier to amplify an analog signal input to the second microphone and an analog signal converted and transmitted from a D / A converter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 analog signal of the amplifier is output to the outside as a voice signal An inquiry unit including a receiver to be provided; And an equaliz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mplifier to control the amplitud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unit, and the analog signal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alog signal of the second microphone to be output as a voice signal through the receiver.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unit.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조청부의 상기 리시버는 휴대용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earphones detachable to the portable terminal.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조청부 사이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리시버는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hearing aid unit, and the receiver is configured as a Bluetooth earphone.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마이크로폰은 상기 이어폰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econd micro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earphone s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마이크로폰과 리시버가 구비되어, 청각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통화 기능으로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보청기 기능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icrophone and a receiver for performing a hearing aid function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can conveniently talk, When not used as a function, it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general hearing aid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technical problem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폰에 대한 실시예로서, 통화를 위한 통신부(10)와 보청 기능을 위한 조청(助聽)부(20) 및 상기 통신부(10)와 조청부(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bile phone with a hearing aid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 for a call and the hearing aid (20) for the hearing aid 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hearing aid 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통신부(10)는 휴대폰의 일반적인 기능인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1), A/D 컨버터(12), 디지털 신호 처리부(13), D/A 컨버터(17), 스피커(18), RF 신호 처리부(15) 및 송수신기(14,1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0 is configured to perform a call function, which is a general function of a mobile phone, and includes a microphone 11, an A / D converter 12, a digital signal processor 13, and a D into which a voice signal is input. / A converter 17, speaker 18, RF signal processor 15 and transceivers (14, 16).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폰(11)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폰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A/D 컨버터(12)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이크로폰(11)으로 입력된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Here, the microphone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a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user's voice signal, and the A / D converter 12 is a microphone 11 as a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input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인코딩하여 송신기(14)로 전송하고, 상기 송신기(14)는 코드화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하여 RF 신호 처리부(15)로 전송하며, RF 신호 처리부(15)는 무선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송신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RF 무선 신호로 처리하여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3 is a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encod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tter 14, the transmitter 14 transmits the coded digital signal to the outside In order to transmit to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15,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15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radio signal to the outside to transm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F radio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the outside Will be sent.

한편, 상기 수신기(16)는 RF 신호 처리부(15)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대방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3)로 전송한다. 상기 D/A 컨버터(17)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13)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피커(18)는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폰의 타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16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of the other party input through the RF signal processor 15,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 The D / A converter 17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 into an analog signal. The speaker 18 is configured to output the converted analog signal as a voice signal,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phone to output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마이크로폰(11)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A/D 컨버터(1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13), 송신기(14) 및 RF 신호 처리부(15)를 통하여 무선 신호로 상대방으로 전달되며, 상대방의 음성 신호는 RF 신호 처리부(15)와 수신기(16)를 통하여 수신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13), D/A 컨버터(17) 및 스피커(1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D/A 컨버터를 통과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 / D converter 12,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 the transmitter 14, and the RF signal processor ( 15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a wireless signal,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through the RF signal processor 15 and the receiver 16,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 D / A converter 17 and the speaker ( 18) to the user.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nalog signal passed through the D / A converter to adjust the size of the output audio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전술한 조청(助聽)부(20)는 청력이 약한 사용자에 대한 휴대폰의 보조 기구로서, 상기 통신부(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가능한 신호로 증폭시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증폭기(22) 및 리시버(23)와 함께 별도의 마이크로폰(21)이 더 구비된다.The hearing aid 20 is an auxiliary device of a mobile phone to a user who is weak in hearing, and is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 into a signal audible to the user. In addition, a separate microphone 21 is further provided together with the amplifier 22 and the receiver 23.

상기 증폭기(22)는 통신부(10)의 D/A 컨버터(17)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성 신호와 조청부(20)의 마이크로폰(21)을 통하여 직접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크기로 증폭시킨다.The amplifier 22 allows a user to listen to an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D / A converter 17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an analog signal directly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1 of the hearing aid 20. Amplify to size.

상기 리시버(23)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초소형 리시버로 구성된다.The receiver 23 is configured to output an amplified analog signal as a voice signal, and is composed of a miniature receiver.

상기 마이크로폰(21)은 상대방과 실제로 대화를 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신부(10)와는 별도로 보청부(20)에 구비된다. The microphone 21 is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of the counterpart while actually talking with the counterpart, and is provided in the hearing aid 20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0.

전술한 제어부(30)는 상기 통신부(10)와 조청부(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퀄라이저 컨트롤러(31)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32)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ler 3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inquiry unit 20, and includes an equalizer controller 31 and a micro control unit (MCU) 32.

상기 이퀄라이저 컨트롤러(31)는 조청부(20)의 상기 리시버(23)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기(22)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컨트롤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휴대폰에 구비된 기능 버튼(12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qualizer controller 3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plifier 22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eiver 23 of the hearing aid 20, but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ntrol butt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unction button 120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2)은 상기 통신부(10)와 조청부(20)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신 모드에서 통신부(10)의 RF 신호 처리부(15)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가 D/A 컨버터(17)를 통하여 조청부(20)의 증폭기(22)를 통하여 리시버(23)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조청 모드에서 조청부(20)의 마이크로폰(21)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증폭기(22)를 통하여 리시버(23)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icro control unit 3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inquiry unit 20, which is received through 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15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in a communication mode.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controlled to be outputted to the receiver 23 through the amplifier 22 of the hearing aid 20 through the D / A converter 17, and the microphone 21 of the hearing aid 20 is controlled in the hearing aid mode.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22 is output to the receiver 23 through the amplifier 2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동작은 통화 모드와 조청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a call mode and an inquiry mode.

먼저 휴대폰(100)을 통화 모드에서 사용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통신부(10)의 마이크로폰(11)으로 입력되어 RF 신호 처리부(15)를 통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무선 신호로 상대방으로 전송되고, 상대방의 무선 신호는 RF 신호 처리부(15)를 통하여 입력되어 조청부(20)의 증폭기(22)와 리시버(2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어,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First, when the mobile phone 100 is used in the call mod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s input to the microphone 11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s a wireless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through the RF signal processor 15. The radio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RF signal processor 15 and outputted to the user through the amplifier 22 and the receiver 23 of the hearing aid 20, whereby a call is mad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또한, 휴대폰(100)을 조청 모드에서 사용시 상대방의 음성 신호는 조청부(20)의 마이크로폰(21)으로 직접 입력되고,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증폭기(22)에 의해 증폭되어 리시버(2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100 is used in the listening mode,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s directly input to the microphone 21 of the listening unit 20, and the input analog voice signal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22 to receive the receiver 23. By being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conversation is mad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이때, 상기 리시버(23)는 최대 감도 100dB, 최대 임피던스 500Ω, 주파수 100 내지 5000Hz 범위의 주파수에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음성 신호의 크기는 이퀄라이저 컨트롤러(31)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이퀄라이즈 컨트롤러(31)는 휴대폰의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조작 상태는 휴대폰의 화면(1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청부(20)의 리시버(23)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적합한 크기로 조절되도록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2)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er 23 is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signal at a frequency in the range of the maximum sensitivity 100dB, the maximum impedance 500Ω, the frequency 100 to 5000Hz,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is adjusted by the equalizer controller 31. The equalization controller 31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using a function button of the mobile phone, and the operation state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130 of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receiver 23 of the hearing aid 2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manipulated by the user, but may be preset in the micro control unit 32 so as to be adjusted to a size suitable for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can save the trouble of manipulating separately.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통화가 아닐 경우에는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조청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화 모드로의 전환은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되는 경우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since the mobile phone maintains a reception waiting state when it is not a call, a separate switch 110 may be provided to switch to the interrogation mode, and the call m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청력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청부(20)의 리시버(23)는 휴대용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이어폰(200)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소형 리시버(23)는 사용자의 귓속에 꽂을 수 있도록 휴대폰(100)과 탈착 가능한 이어폰(20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and FIG. 3,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hearing aid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r 23 of the hearing aid 20 may b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so that a user who has difficulty hearing can use it conveniently.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phone 200 is provided. That is, as shown, the micro receiver 2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removable earphone 200 so as to be plugged into the ear of the user.

또한, 조청 모드에서 상대방의 음성 신호 입력을 위한 조청부(20)의 마이크로폰(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 본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00)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21 of the hearing unit 20 for inputting the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 the hearing mode may be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00 as shown in FIG. 2, but as shown in FIG. 2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조청부(20)가 블루투스 이어폰(200)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휴대폰(100) 단말기 본체와 이어폰(2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블루투스 통신모듈(24)이 각각 구비되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폰(100)과 이어폰(200) 사이에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4,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luetooth earphone 200. That is, the mobile phone 100 terminal body and the earphone 200 are each provid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4 which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earphone 200 using Bluetooth. .

상기와 같이 리시버(23)가 블루투스 이어폰(200)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보청기가 아닌 마치 일반적인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것과 같은 자연스런 통화나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eceiver 23 is configured as the Bluetooth earphone 2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ake a natural call or conversation, such as making a call using a general Bluetooth earphone, not a hearing aid.

또한, 이 경우에도 조청을 위한 마이크로폰(21)은 휴대폰(100) 본체에 구비되거나 블루투스 이어폰(200) 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crophone 21 for the check may be provided at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100 or may b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Bluetooth earphone 200.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폰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인 MP3, PMP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일반적인 전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hearing aid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to a general portable terminal such as MP3, PMP, and the like. Can b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0 : 통신부 11 : 제1마이크로폰
12 : A/D 컨버터 13 : 디지털신호처리부
14 : 송신기 15 : RF 신호처리부
16 : 수신기 17 : D/A 컨버터
18 : 스피커 20 : 조청부
21 : 제2마이크로폰 22 : 증폭기
23 : 리시버 24 : 블루투스통신모듈
30 : 제어부 31 : 이퀄라이저 컨트롤러
32 : 마이크로컨트롤유닛
10: communication unit 11: the first microphone
12: A / D converter 13: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4 transmitter 15 RF signal processor
16: Receiver 17: D / A Converter
18: speaker 20: hearing aid
21: second microphone 22: amplifier
23: receiver 24: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 control unit 31 equalizer controller
32: micro control unit

Claims (4)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제1마이크로폰, 상기 제1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상기 D/A 컨버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신호 처리부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RF 신호 처리부 사이에서의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부;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제2마이크로폰, 상기 제2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통신부의 D/A 컨버터에서 변환되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외부로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조청(助聽)부; 및
상기 조청부의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기를 조절하는 이퀄라이저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의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제2마이크로폰의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리시버를 통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되도록 상기 조청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A first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D /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to an analog signal. A converter,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outside as a voice signal, an RF signal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nd a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the RF signal processor;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second microphone to which an audio signal is input, an amplifier to amplify an analog signal input to the second microphone and an analog signal converted and transmitted from a D / A converter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 analog signal of the amplifier is output to the outside as a voice signal An inquiry unit including a receiver to be provided; And
Equalizer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amplifier to control the amplitud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unit and the hearing aid so that the analog signal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analog signal of the second microphone is output as a voice signal through the receiver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micro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조청부의 상기 리시버는 휴대용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vable earphone to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와 조청부 사이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리시버는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hearing aid unit.
The receiver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luetooth earphon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이크로폰은 상기 이어폰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econd microphone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earphone side.
KR1020100000472A 2010-01-05 2010-01-05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KR201100803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72A KR20110080306A (en) 2010-01-05 2010-01-05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72A KR20110080306A (en) 2010-01-05 2010-01-05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06A true KR20110080306A (en) 2011-07-13

Family

ID=4491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472A KR20110080306A (en) 2010-01-05 2010-01-05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030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23B1 (en) * 2013-01-15 2014-04-14 장태숙 Inner earphone
WO2017073850A1 (en) * 2015-10-26 2017-05-04 유퍼스트(주) Notific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for hearing-impaired person and device for executing same
WO2021054738A1 (en) * 2019-09-18 2021-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headse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ra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with
KR102356728B1 (en) 2021-05-03 2022-02-08 윤종환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923B1 (en) * 2013-01-15 2014-04-14 장태숙 Inner earphone
WO2017073850A1 (en) * 2015-10-26 2017-05-04 유퍼스트(주) Notific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for hearing-impaired person and device for executing same
WO2021054738A1 (en) * 2019-09-18 2021-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headse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ra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with
KR20210033210A (en) * 2019-09-18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set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ra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the same
KR102356728B1 (en) 2021-05-03 2022-02-08 윤종환 Mobile phone terminal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056B (en) Portable audio device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TWI528274B (en) A system for augmenting multimedia playback on a mobile device, an apparatus for operating in a hearing-aid compatible (hac) voice call mode and a multimedia mode,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in a multimedia mode
US20100329491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JP2007281916A (en) Earphone microphone
US20050135644A1 (en) Digital cell phone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KR20110006598A (en) Headset
CN211047222U (en) Hearing aid system switching control circuit for Bluetooth headset and PCBA circuit board
EP1670283A1 (en) Bluetooth headset
KR100809549B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20110080306A (en) A mobile device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US5850439A (en) Hands-free phone converter
TWM563122U (en) Hearing assistance device
KR100955501B1 (en) Hearing aid for connecting cellular phone
KR100423705B1 (en) A cellulra phone having function of a hearing aid
KR0159358B1 (en) Hand-free hearing-aid telephone
KR20090065743A (en) Wireless head set
KR100886861B1 (en) A hearing ai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3112619U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equipment
JPH10174194A (en) Hearing aid adaptor for mobile telephone set
JP2003125496A (en) Hearing aid and voice reproducer
JP3157404U (en) Wireless earphone device
JP2937974B2 (en) Hands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JP2528757B2 (en) Mobile phone
JPH04156033A (en) Radio conversation device with telephone line connection function for person hard of h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