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853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853A
KR20110076853A KR1020110048769A KR20110048769A KR20110076853A KR 20110076853 A KR20110076853 A KR 20110076853A KR 1020110048769 A KR1020110048769 A KR 1020110048769A KR 20110048769 A KR20110048769 A KR 20110048769A KR 20110076853 A KR20110076853 A KR 20110076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ents
outlet
container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김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11004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853A/ko
Publication of KR2011007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며, 회전시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회전축을 따라서 배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나선날개부를 가지는 스크류부재;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내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삽입되며, 스크류부재의 회전시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마개부재; 및 스크류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스크류부재에 의한 내용물의 이동시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내용물이 추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용기{Vessel}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이나 설탕 또는 간장 등의 양념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금이나 설탕 등과 같은 분말 형태의 양념이나 간장이나 식초 등과 같은 액상의 양념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에나 조리된 음식의 간을 맞출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념은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보관되며, 음식점 등에서 사용된다.
설탕 등과 같은 분말 형태의 양념을 담기 위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상호 분리 가능한 중공의 본체와 본체 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시에는 스푼을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양념을 뜨게 된다. 그리고 뚜껑에는 수푼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 후에는 스푼이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간장 등과 같은 액상 양념을 담기 위한 용기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정도 길게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중공 본체와 본체 내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뚜껑이나 본체에는 액상 양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용기를 기울여서 용기 내부의 양념이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스푼을 이용하거나 양념을 뜨는 과정에서 양념의 일부가 테이블에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테이블이 오염되며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양념용 용기에 있어서는, 뚜껑을 열고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입하기 쉬워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내용물을 간편한 조작으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내용물이 테이블 등에 떨어지지 않아 위생적이며 나아가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배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나선날개부를 가지는 스크류부재;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부재에 의한 내용물의 이동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용물이 추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용기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용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직선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배출구쪽으로의 이동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마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배출구가 개방되어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내용물의 배출시, 내용물이 테이블 등에 떨어지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다. 그리고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하우징 내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로서, 각각 마개부재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로서, 각각 마개부재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100)는 케이스(10)와, 하우징(20)과, 스크류부재(30)와, 마개부재(40)와, 접시부재(50)와,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용기(100)의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0)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원형을 이룬다. 케이스(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케이스(10)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중앙에 구멍(111)이 형성된 격벽(1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 중 격벽(11)과 케이스(10)의 바닥면 사이의 부분에는 관통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을 테이블 등과 같은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해서, 케이스의 하단에는 지지부재(18)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8)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린콘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8)에는 케이스(10)의 하단부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181)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공(181)의 바닥면과 케이스(10)의 바닥면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재(18) 또한 삽입공(181)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돌기(18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돌기(181)는 케이스(10)의 삽입공(13)에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제2기어부재(6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83)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케이스(10)의 내부 중 격벽의 위쪽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부(21)와, 실린더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고깔형상의 고깔부(22)와, 고깔부(22)와 연결되며 구멍이 관통 형성된 원형의 넥부(23)를 포함한다. 고깔부(22)는 케이스의 상단부에 밀착 결합된다. 실린더부(2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부(21)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원형을 이룬다. 실린더부(21)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단 개방구 및 하단 개방구는 각각 배출구(211) 및 유입구(212)를 구성한다. 배출구(211) 및 유입구(212)는 하우징(20)의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한다. 배출구(211)는 넥부(23)에 형성된 구멍까지도 포함한다. 실린더부(21)의 상단 내측면, 즉 배출구(211)의 내측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1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21)의 하단부 부근에는 관통부(21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214)는 하우징(2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크류부재(30)는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20) 및 케이스(10)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 예를 들어 소금이나 설탕 등과 같은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류부재(30)는 회전축(31)과, 나선날개부(32)와, 원뿔대부(33)를 포함한다.
회전축(3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3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하우징(20)의 실린더부(21)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나선날개부(32)는 회전축(31)에 연결된 부분으로서, 회전축(3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나선날개부(32)는 복수의 피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선날개부(32)의 상단부가 실린더부(21)의 배출구(21) 부근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나선날개부(32)의 하단부가 실린더부(21)의 유입구(22)에까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나선날개부(32)의 가장자리는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즉 나선날개부(32)와 실린더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서, 나선날개부(32)의 회전시 나선날개부(32)는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원뿔대부(33)는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31)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과 함께 회전한다. 원뿔대부(33)는 평판 형상의 평판요소(331)와, 평판요소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뿔대요소(332)를 포함한다. 평판요소(331)에는 나선날개부(32)의 하단부가 접촉하게 배치된다. 원뿔대요소(332)의 상단부는 케이스(10)의 내주면과 마찬가지로 원형을 이루며, 케이스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밀착되게 배치된다. 즉 원뿔대요소(332)와 케이스(10)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부재(30)의 회전시 원뿔대요소(332)가 케이스(1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뿔대요소(332)에는 복수의 교반부재(34)가 방사형을 이루면서 결합되어 있다. 각 교반부재(34)는 회전축(31)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우징(20)의 외부에 배치되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각 교반부재(34)는 일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반부재(34)는 스크류부재(30)의 회전시 내용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뭉쳐있는 내용물이 쪼개져서 더욱 작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아 설탕이 뭉쳐있는 경우에, 교반부재(34)가 회전함에 따라 뭉쳐있는 설탕이 분쇄된다.
마개부재(40)는 하우징의 배출구(211)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0)에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부재(40)는 마개부(41)와, 복수의 연장부(42)와, 복수의 걸림부(43)를 포함한다.
마개부(41)는 상면이 돔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마개부(41)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실린더부(21)의 배출구에 삽입되면 배출구(211)를 폐쇄한다. 그리고 마개부(4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부의 배출구(2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배출구(211)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마개부(41)는 도 3에 도시된 폐쇄위치 및 도 4에 도시된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내용물은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으며, 배출이 방지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연장부(42)는 각각 마개부(4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배출구(211)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된다. 복수의 연장부(42)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마개부재(40)가 도 4의 개방위치에 배치될 때에, 배출구(211)는 복수의 연장부(42)에 의해서 복수 개의 내용물 배출로로 분할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42)가 4개 구비되어 있어서, 내용물이 하우징(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 즉 내용물 배출로는 4개 형성되며, 각 내용물 배출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복수의 걸림부(43)는 연장부(42)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각 걸림부(43)는 각 연장부(42)로부터 하우징(2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마개부재(40)가 도 3의 폐쇄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11)를 개방할 때에, 각 걸림부(43)는 하우징의 단차부(213)에 걸리게 되어 마개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하며, 이에 따라 마개부재(40)가 하우징(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접시부재(50)는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것이다. 접시부재(50)는 하우징의 넥부(23) 및 고깔부(2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넥부 및 고깔부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부(51)와, 밀착부(5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폐곡면을 형성하는 펜스부(52)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배출구(211)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은 펜스부(52)에 의해 접시부재(5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접시부재(50)는 펜스부(52)를 잡고 하우징의 넥부(23)에 삽입하거나 이탈시킴으로써 하우징(20)에 착탈된다.
구동유닛은 스크류부재(3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유닛은 제1기어부재(61)와, 제2기어부재(62)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재(61)는 스크류부재의 회전축(31)에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31)에 용접이나 핀 등에 의해 결합된다. 제1기어부재(6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다. 제1기어부재(61)는 케이스의 격벽(11)과 케이스(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제2기어부재(62)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어부재(62)는 제1기어부재(61)와 기어결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기어부재(62)와 제1기어부재(61)는 직접 맞물리게 결합된다. 제2기어부재(62)의 직경은 제1기어부재(6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2기어부재(62)의 1 회전시에 제1기어부재(61)는 복수 회 회전하게 된다. 제2기어부재(62)는 케이스의 격벽(11)과 케이스(1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되, 제2기어부재(62)의 일부는 관통공(12)을 통해 돌출되어 있어서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기어부재(62)의 노출된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부재(3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기어부재(62)는 케이스(10)의 샤프트부(14)에 삽입되어 샤프트부(1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100)에 있어서, 케이스(10)와 하우징(20) 사이에 내용물, 예를 들어 설탕을 채운 후에, 제2기어부재(62)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재(62)의 회전이 가속되어 스크류부재(30)의 회전축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부재(30)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부재의 나선날개부(32)가 회전함에 따라서 설탕이 나선날개부(32)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설탕의 상방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하우징의 유입구(212)로는 설탕이 추가로 유입되면서 설탕은 끊임없이 연속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스크류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서, 설탕이 상방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설탕이 이동하는 양만큼 하우징(200의 내부로는 설탕이 다시 유입됨으로써 설탕이 끊임없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설탕이 상방으로 유입되어 배출구(211)에 도달한 후에도 스크류부재(30)가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면, 마개부재(40)가 설탕에 의해 가압되어 상방으로 직선이동 하게 됨으로써 배출구(211)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설탕이 배출구(211)를 통해서 4개의 내용물 배출로를 따라서 접시부재(40)로 배출된다. 그리고 설탕이 더 이상 배출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제2기어부재(62)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으면, 마개가 더 이상 가압되지 않게 되며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시부재에 설탕을 담은 후에는, 접시부재(50)를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접시부재에 담겨진 설탕을 요리나 간을 맞추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설탕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접시부재(50)를 깨끗이 씻은 후에 다시 하우징(2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기(100)는 테이블 등의 바닥면에 올려 놓고, 제2지지부재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내용물을 접시부재에 원하는 양만큼 담을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접시부재를 깨끗하게 씻어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을 간편한 조작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내용물이 테이블 등에 떨어지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용기(100)에 있어서는, 수분을 흡수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수분에 의해 오염되거나 딱딱하게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카겔 등과 같은 수분흡수제가 케이스의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공기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다.
수분흡수제(70)는 지지부재(18)의 삽입공(181)의 바닥면과 케이스(1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 및 지지부재(18)에는 각각 연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구멍은 상기 공간(S)과 연결된다. 따라서 용기 외부의 공기는 지지부재(18)의 연결구멍, 공간(S) 및 케이스(10)의 연결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는, 공기가 항상 수분흡수제(70)를 통과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분이 제거된 건조한 공기만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다만 수분흡수제(70)의 위치는 반드시 공간에 배치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케이스(1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에 형성되는 연결구멍은 수분흡수제의 위치에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용기가 테이블 등에 높인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사용자가 용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경우 접시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2기어부재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양념을 직접 배출하여 원하는 곳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부재 및 제2기어부재가 용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1기어부재 및 제2기어부재의 위치는 디자인에 따라서 용기의 가운데 또는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에 수분흡수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공간에 수분흡수제가 배치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하게 되면, 용기 내부의 양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연결구멍을 통하여 배출되어 공간에 저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시부재가 한 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시부재가 복수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100a)에 있어서, 접시부재(50a)가 내용물 배출로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구비되며, 접시부재(50a)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해서 고깔부재(55)가 결합되어 있다.
고깔부재(55)는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시부재(50)는 하우징의 넥부(23) 및 고깔부(2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넥부 및 고깔부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부(551)와, 밀착부(55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폐곡면을 형성하는 펜스부(55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펜스부(552)에는 4개의 삽입홈(553)이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착부(551)에는 4개의 격벽(554)이 방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시부재(50a)는 4개 구비되며, 각 접시부재(50a)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밀착부(51a)와, 밀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3의 펜스부(53,52a)를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펜스부(53)는 각각 밀착부의 격벽(554)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펜스부(52a)는 2개의 펜스부(53)와 상호 연결된다. 또한 각 접시부재의 펜스부(52a)에는 고깔부재의 삽입홈(553)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100a)에 있어서는, 접시부재(50a)가 내용물 배출로의 개수만큼 복수 구비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접시부재(50a)에 동시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접시부재(50a)는 삽입돌출부(54)를 삽입홈(553)에 끼우기만 하면 간편하게 설치되어 설치 작업이 매우 간소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이 스크류부재의 나선날개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가 승강함에 따라서 내용물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100b)는 하우징과, 가압부재와, 마개부재와, 접시부재와,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하우징(20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10), 하우징의 고깔부(22) 및 넥부(23)가 한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하우징(20b)은 상단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0b)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20b)의 실린더부(21b)(케이스(10)에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실린더부(21b)의 내측면도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부(21b)의 상단 개방구는 배출구(211)를 구성하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 예를 들어 설탕이나 소금 같은 분말 양념이나 간장이나 식초 같은 액상 양념은 배출구(211)를 통해 하우징(20b)의 외부로 배출된다.
가압부재(80)는 하우징(20b)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재(80)는 하우징(20b)의 단면형상과 동일하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80)의 크기는 하우징(20b)의 단면 모양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가압부재(80)의 외측면은 하우징의 내측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하게 배치되어, 하우징(20b)의 내부는 가압부재(80)를 사이에 두고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가압부재(80)는 하우징(20b)의 내측면에 걸려서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고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재(80)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가압부재(80)가 구성되면, 가압부재(80)와 하우징(20b)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실질적으로 밀봉되어 가압부재(80)와 하우징(20b)의 내측면 사이로 내용물이 새는 것이 방지된다. 가압부재(80)의 중앙에는 암나사공(81)이 형성되어 있다.
마개부재(40) 및 접시부재(50)는 배출구(미도시)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배출구(미도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유닛은 가압부재(80)의 직선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유닛은 볼트부재(63)와, 제1기어부재(미도시)와, 제2기어부재(62)를 포함한다.
볼트부재(6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볼트부재(6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볼트부재(63)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볼트부재(63)에는 가압부재(80)의 암나사공(81)이 맞물린다. 볼트부재(63)는 하우징(20b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특히 제자리에서 자전만 할 뿐이다.
제1기어부재(미도시) 및 제2기어부재(62)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기(100b)에 있어서, 제2기어부재(62)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재(62)의 회전력이 가속되어 제1기어부재(미도시)에 전달되며, 볼트부재(6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볼트부재(63)가 회전함에 따라, 볼트부재에 나사결합된 가압부재(80)는 볼트부재(6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즉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 예를 들어 볼트부재(63)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가압부재(80)는 상승하며, 볼트부재(63)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가압부재(80)는 하강한다. 이 때, 하우징(20b) 및 볼트부재(63)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볼트부재(63)는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강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80)가 상승하게 되면, 가압부재(80)의 위쪽에 배치된 내용물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개부재(40)가 배출구(미도시)를 개방하며 결국 내용물이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접시부재(50)에는 내용물이 담겨지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하우징 및 가압부재가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가압부재가 볼트부재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만 있다면 가압부재 및 하우징의 형상이 타원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및 가압부재가 모두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더라도, 하우징에 돌기나 홈이 형성되며, 가압부재에는 홈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돌기 및 홈의 삽입구조에 의해 가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상단 개방구가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단부 부근에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각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접시부재에 담겨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용기에 있어서 하우징(20c)에는 복수의 배출구(211c)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20c)의 내부 및 외부는 각 배출구(211c)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마개부재(40)가 하우징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되어 있어서, 마개부재(40c)가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상방으로 밀리게 되면, 마개부재의 마개부(41c)가 복수의 배출구(211c)를 모두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마개부(41c)는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단 개방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마개부(41c)가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복수의 배출구(211c)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다만 도 7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하우징 및 마개부재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10c...케이스 11,554...격벽
12...관통공 13...삽입공
18...지지부재 20,20b...하우징
21,21b...실린더부 22...고깔부
23...넥부 30...스크류부재
31...회전축 32...나선날개부
33...원뿔대부 34...교반부재
40...마개부재 41...마개부
42...연장부 43...걸림부
50,50a...접시부재 51,51a,551...밀착부
52,52a,552...펜스부 55...고깔부재
61...제1기어부재 62...제2기어부재
63...볼트부재 80...가압부재
100,100a,100b...용기 111...구멍
181...삽입공 182...돌기
183...삽입홈 211,211c...배출구
212...유입구 213...단차부
214...관통부 331...평판요소
332...원뿔대요소

Claims (16)

  1.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상기 배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나선날개부를 가지는 스크류부재;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마개부재; 및
    상기 스크류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부재에 의한 내용물의 이동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용물이 추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용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직선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상기 배출구쪽으로의 이동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이동된 내용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마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담겨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에 복수 형성되며,
    상기 접시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에 비해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 정지 또는 가압부재의 직선 이동 정지시 중력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내용물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 또는 가압부재의 직선 이동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왕복 직선이동 가능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와, 상기 각 연장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단차부에 걸려서 상기 마개부재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에 의해 복수 개의 내용물 배출로로 분할되며,
    상기 내용물 배출로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구비되며, 상기 각 내용물 배출로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담겨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제1기어부재와,
    상기 제1기어부재와 기어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기어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부재의 회전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개방구로 구성되며,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아래쪽에는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외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연결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경로 상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흡수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직선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나사공과 나사결합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볼트부재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걸려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분할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전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10048769A 2011-05-24 2011-05-24 용기 KR20110076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69A KR20110076853A (ko) 2011-05-24 2011-05-24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69A KR20110076853A (ko) 2011-05-24 2011-05-24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853A true KR20110076853A (ko) 2011-07-06

Family

ID=4491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69A KR20110076853A (ko) 2011-05-24 2011-05-24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85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66B1 (ko) * 2015-12-24 2016-03-11 (주)톨리코리아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US10196197B2 (en) 2016-10-07 2019-02-05 Toly Korea Inc. Packaging container with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shaped contents
KR20190002574U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526131B2 (en) 2017-06-21 2020-01-0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US10562696B2 (en) 2015-12-24 2020-02-18 Toly Korea Inc.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US10839635B2 (en) 2017-06-21 2020-11-1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CN112932235A (zh) * 2019-12-11 2021-06-11 广东天机工业智能***有限公司 出料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66B1 (ko) * 2015-12-24 2016-03-11 (주)톨리코리아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WO2017111200A1 (ko) * 2015-12-24 2017-06-29 (주)톨리코리아 캡슐형 내용물이 하나씩 배출되는 포장용기
US10562696B2 (en) 2015-12-24 2020-02-18 Toly Korea Inc.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US10994920B2 (en) * 2015-12-24 2021-05-04 Toly Korea Inc.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US10196197B2 (en) 2016-10-07 2019-02-05 Toly Korea Inc. Packaging container with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shaped contents
US10526131B2 (en) 2017-06-21 2020-01-0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US10839635B2 (en) 2017-06-21 2020-11-17 Toly Management Ltd. Sweep bead dispenser
KR20190002574U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12932235A (zh) * 2019-12-11 2021-06-11 广东天机工业智能***有限公司 出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6853A (ko) 용기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100571711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RU2582467C2 (ru) Удерживаемая в руке смесительная емкость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ES2706233T3 (es) Recipiente de mezcla
US20100302897A1 (en) Tumbler with stirring assembly
KR20030093938A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AU2009313081A1 (en) Beverage container
JP2017511474A (ja) 注ぎ口を含む、液体を供給するための投与装置
KR100593245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1049783B1 (ko) 누액방지기능을 갖는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AU8027287A (en) A multichamber container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US20130201784A1 (en) Batter shaker
US20200283217A1 (en) Tumbler bottle
WO2017142024A1 (ja) 混合容器
KR101925914B1 (ko) 다중통합용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0369670Y1 (ko)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KR100571748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310154B1 (ko) 걸름망을 갖는 주서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