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794A -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794A
KR20110072794A KR1020090129871A KR20090129871A KR20110072794A KR 20110072794 A KR20110072794 A KR 20110072794A KR 1020090129871 A KR1020090129871 A KR 1020090129871A KR 20090129871 A KR20090129871 A KR 20090129871A KR 20110072794 A KR20110072794 A KR 2011007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vacuum
barrier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
황승석
장석
전승민
한정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794A/ko
Publication of KR2011007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무기질층과 함께 알루미늄 증착층을 배리어층에 적용하여 진공 단열재의 열 차단 효과를 향상시키고, 장기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접착되며, 외부의 가스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리어층; 및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접착되며, 코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실링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무기질층과 알루미늄 증착층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COMPLEX FILM FOR VACUUM INSULATION PANEL AND VACUUM INSULATION PANEL APPLIED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V-Pan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리어층(Barrier Layer)에 가스나 수분에 대한 배리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전도율이 알루미늄 호일(Al foil)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배리어층에 적용하여 진공 단열재의 장기내구성 및 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재는 가스나 수분의 투과율이 낮은 외피재와 진공상태를 부여한 코어재로 구성되어 열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폴리우레탄이나 스티로폼 같은 기존 단열재보다 수배 이상 단열성능이 높아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첨단소재이다.
일반적인 진공 단열재의 외피재는 여러 층의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복합 필름으로 되어 있다.
복합 필름은 기본적으로 보호층(Protecting layer), 배리어층(barrier layer) 및 실링층(sealing layer)을 포함한다.
보호층은 진공 단열재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배리어층은 내부진공도 유지 및 외부의 가스나 수증기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실링층은 외피재와 코어재가 밀착되어 패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에서 냉장고 등과 같이 장기내구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의 배리어층의 경우, 최근에는 배리어층으로 알루미늄 호일을 적용하고 있다.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높은 배리어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진공 단열재 제조시 모서리 부분의 처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복합 필름의 모서리를 접어서 마무리하고 있다. 그러나, 복합 필름이 접히는 모서리 부분에서 알루미늄 호일이 찢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도 1a는 알루미늄 호일을 접은 후 다시 폈을 때의 사진을 나타내고, 도 1b는 도 1a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확대 사진을 참조하면 알루미늄 모서리 부분이 찢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인 A1235에서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호일 중에서도 연신율이 우수하다고 하는 A8079나 A8021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알루미늄 모서리 부분이 찢어진 경우, 가스나 수증기 등이 알루미늄 호일이 찢어진 부분을 통하여 코어재 쪽으로 침투하게 되어, 결국 진공 단열재의 장기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자체 열전도율이 높으므로, 알루미늄 호일을 따라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진공 단열재의 전체적인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단열성능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단열재에서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재(10)의 표면에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이(20) 감싸고 있는 형태의 진공 단열재(30)를 볼 수 있다.
이때, 진공 단열재(30)의 일 면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호일을 따라서, 진공 단열재(30)의 반대면까지 열이 전달되는 형태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 효과가 상쇄되므로, 진공 단열재(30)의 열 성능 열화 및 장기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의 외피재에 적용하기 위한 복합 필름에 있어서, 열전도 효율을 적정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이용하되,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배리어성 및 찢어지는 경우에도 배리어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무기질층을 더 형성한 배리어층을 형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시된 복합 필름을 적용하여 열성능 및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Protecting layer)과,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접착되며, 외부의 가스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리어층(Barrier layer) 및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접착되며, 코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실링층(Sealing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이 접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은 나일론 필름과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PET 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기질층은 알루미나층 또는 실리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기질층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기질층의 두께는 5~3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무기질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이 상기 실링층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5~100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실링층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CPP(Casting 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는 코어재 및 가스 또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재를 커버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름은 외부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는 보호층(Protecting layer)과,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을 포함하는 배리어층과,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접착되며 상기 코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실링층(Sealing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05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은 배리어층에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을 적용함으로써,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우수한 배리어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열전달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름을 적용한 진공 단열재는 무기질층과 알루미늄 증착층을 접착하여 배리어층을 구성함으로써, 찢어짐 시에도 우수한 배리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해서도 배리어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기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200)은 보호층(210), 배리어층(220) 및 실링층(2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부'는 진공 단열재의 바깥쪽 방향에 있는 면을 의미하고, '하부'는 진공 단열재의 안쪽 방향에 있는 면을 의미한다.
보호층
보호층(Protecting layer; 2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면이나 내부의 코어재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호층(210)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는 나일론 필름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제시할 수 있다. 나일론 필름이나 PET 필름은 각각 한 겹의 필름으로도 보호층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두 겹 이상을 접착하여 보호층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나일론 필름과 PET 필름을 접착하여 보호층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 필름(211)이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나일론 필름(21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호층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 필름의 경우 신축성이 우수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가스나 수분 차단 능력이 PET 필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가스나 수분 등의 차단 능력이 우수한 PET 필름을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의 최외곽에 배치하여 가스나 수분 등의 침투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210)의 두께는 PET 필름의 경우 5~25㎛, 나일론 필름의 경우 5~30㎛ 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필름이 상기 제시된 두께보다 얇을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커서 보호층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각각의 필름이 상기 제시된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비용문제 및 진공단열재 제조 후 모서리 부분을 접을 때 오히려 알루미늄 증착층의 연신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배리어층
배리어층(Barrier layer; 220)은 보호층(210)의 하부에 접착되며, 내부 진공도 유지 및 외부의 가스 또는 수분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배리어층(220)의 재질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알루미늄 호일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열전도효율이 높아서, 단열재의 열성능을 저해시킬 수 있고, 접힘 부분에서의 배리어성이 현저히 떨어져서 냉장고와 같이 장기 내구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진공 단열재에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층(220)의 재질로 배리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을 사용하되 호일(foil)이 아닌 증착층의 형태로 이용한다.
이때, 알루미늄 증착층(222)을 적용한 후의 진공단열재 유효 열전도율은 0.005 W/mk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단열재의 유효열전도율이 0.005 W/mk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알루미늄 호일과 유사한 열전도율을 갖게 되므로 열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없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두께는 5~10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두께가 5nm 미만일 경우, 그 두께가 너무 얇아서 균열이나 결함이 발생하고, 배리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두께가 1000nm를 초과할 경우,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정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증착층의 두께가 1000nm 를 초과하여 10㎛ 에 가까우면,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호일과의 차이가 거의 없어지므로 열이 전달에 의한 단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표 1은 알루미늄 증착층 및 알루미늄 호일의 각 두께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유효열전도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때, 열전도 측정은 미국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 기준을 따라 측정한 것이다.
[표 1]
알루미늄 증착층
(nm)
알루미늄 호일
(nm)
유효 열전도율
(W/mK)
비교예1 2 - 0.0043
비교예2 4 - 0.0045
실시예1 5 - 0.0047
실시예2 10 - 0.0047
실시예3 50 - 0.0048
실시예4 100 - 0.0048
실시예5 150 - 0.0047
실시예6 200 - 0.0049
실시예7 300 - 0.0048
실시예8 400 - 0.0049
실시예9 500 - 0.0050
실시예10 600 - 0.0049
실시예11 800 - 0.0050
실시예12 1000 - 0.0050
비교예3 1010 - 0.0067
비교예4 1300 - 0.0082
비교예5 - 5 0.0063
비교예6 - 800 0.0086
비교예7 - 1000 0.0092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두께가 5~1000nm인 경우에는 열전도율이 0.005 W/mK 이하로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1 및 2의 경우는 열전도율이 낮지만, 그 두께가 너무 얇아서 배리어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두께가 1000nm를 초과한 비교예 3 및 4에서는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수치로 증가하게 되므로 열특성 개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한 비교예3 내지 비교예6의 경우에는 매우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내므로, 열성능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증착층(222)이 찢어질 경우, 찢어진 부위를 통하여 가스나 수분 등이 침투하여 진공 단열재의 장기 내구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배리어 성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증착층(222)에 무기질층(221)을 접착하여 배리어층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배리어층에 적용되는 무기질층(221)은 알루미나(Al2O3)와 실리카(SiOx)와 같은 배리어성이 우수한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층(221)을 추가로 형성한다.
이때, 보호층(210)이 PET 필름(211)과 나일론 필름(212)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경우, 무기질층(221)은 나일론 필름(212)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일론 필름(212)이 없는 경우 무기질층(215)은 PET 필름(211)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층(221)이 PET 필름(211)의 상부에 형성되면 최외곽층에 무기질층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에 의해 무기질층이 파손되게 되어서 배리어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될 수 있으므로, 무기질층(221)은 보호층(210)과 알루미늄 증착층(222)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층(221)은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층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과 같은 일반 폴리머 필름을 기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무기질층(221)의 두께는 5~300 nm(나노미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층(221)의 두께가 5 nm 미만일 경우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배리어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또한 무기질층(221)의 두께가 300nm를 초과할 경우, 배리어 성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나, 무기질층(221) 형성을 위하여 과다한 공정비용이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용 외피재의 주된 배리어 성능은 배리어층(220)의 알루미늄 증착층(222)에 의해 발휘될 수 있으며, 무기질층(221)은 알루미늄 증착층(222)의 배리어 성능을 보완해주는 것이므로 무기질층(221)은 5~300 nm 두께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여기서, 무기질층(221) 및 알루미늄 증착층(222)은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 가열에 의한 증착(evaporation) 방식,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증착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기질층(221)은 이들 증착 방법들 중에서 어떠한 증착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배리어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스퍼터링 방식으로 무기질층(221)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증착층(222)은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층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과 같은 일반 폴리머 필름을 기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기질층(221) 및 알루미늄 증착층(222)은 기재 필름에 증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배리어 성능을 낼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층
실링층(Sealing layer; 230)은 배리어층(220) 하부에 접착되며, 코어재(미도시)의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실링층(230)은 열융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또한 실링성이 우수한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 등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층(230)의 두께는 4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층(230)의 두께가 40㎛ 미만일 경우 실링층의 박리강도가 떨어져서 해당층의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며, 실링층(230)의 두께가 70㎛를 초과할 경우 비용 문제 및 실링층을 통해 외부의 가스나 수증기가 들어오는 양이 많아져서 진공단열재의 장기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상수한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필름들은 접착층(201)에 의하여 서로 접착된다. 이때, 접착층(201)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접착제는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과 같은 범용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폴리염화비닐계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 Acetate)계 접착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라아마이드계 접착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는 상술한 보호층/배리어층/실링층의 복 합 필름을 외피재로 이용한다. 이때, 특히 코어재를 커버하는 외피재 중 배리어층은 알루미늄 증착층을 포함하여, 그 열적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및 열성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210)/배리어층(220)/실링층(230) 구조를 갖는 외피재(200)가 코어재(300)를 감싸는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가 구비된다.
이때, 외피재(2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은 배리어층(220)에 포함되는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대부분 보호층(210) 내에서 소실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부 열이 알루미늄 증착층까지 전달되더라도,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알루미늄 증착층에 의해서, 열이 분산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은 배리어층에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을 적용함으로써,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우수한 배리어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열적으로도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나(Al2O3)와 실리카(SiOx)와 같은 배리어성이 우수한 무기질 성 분으로 알루미늄 증착층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루미늄 증착층이 찢어지는 경우에도 외피재의 배리어 성능을 보완하여, 가스나 수분 등에 대한 배리어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필름이 적용된 진공 단열재는 냉장고 등의 장기 내구성 및 우수한 열성능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알루미늄 호일을 접은 후 다시 폈을 때의 사진.
도 1b는 상기 도 1a의 모서리 부분을 확대한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단열재에서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및 열성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Claims (21)

  1.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Protecting layer);
    상기 보호층 하부에 접착되며, 외부의 가스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리어층(Barrier layer); 및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접착되며, 코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실링층(Sealing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이 접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나일론 필름과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PET 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은 알루미나층 또는 실리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의 두께는 5~3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이 상기 실링층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5~100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층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CPP(Casting Polypropylen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12. 코어재; 및
    가스 또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성을 갖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재를 커버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름은 외부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는 보호층(Protecting layer)과, 무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질층 및 알루미늄 증착층을 포함하는 배리어층과, 상기 배리어층 하부에 접착되며 상기 코어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실링층(Sealing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은 알루미나층 또는 실리카인층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의 두께는 5~3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PET 필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일론 필름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이 상기 실링층에 접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5~100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층은 PET 필름 또는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필름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05 W/m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층은 LLDPE, LDPE, HDPE 및 CPP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KR1020090129871A 2009-12-23 2009-12-23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20110072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71A KR20110072794A (ko) 2009-12-23 2009-12-23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71A KR20110072794A (ko) 2009-12-23 2009-12-23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94A true KR20110072794A (ko) 2011-06-29

Family

ID=4440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71A KR20110072794A (ko) 2009-12-23 2009-12-23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7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02A1 (ko) * 2011-11-24 2013-05-30 (주)엘지하우시스 복사열 차단 진공단열재
CN103192570A (zh) * 2013-04-19 2013-07-10 黄山永新股份有限公司 便于直接微波加热的高阻隔耐蒸煮包装膜及其制备方法
WO2013122289A1 (ko) * 2012-02-14 2013-08-22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 포일로 포장된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WO2016089101A1 (ko) * 2014-12-03 2016-06-09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CN106081343A (zh) * 2016-06-20 2016-11-09 广东宝佳利彩印实业有限公司 一种无味环保薯片包装膜制备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02A1 (ko) * 2011-11-24 2013-05-30 (주)엘지하우시스 복사열 차단 진공단열재
CN103946619A (zh) * 2011-11-24 2014-07-23 乐金华奥斯有限公司 辐射热阻隔真空绝热材料
WO2013122289A1 (ko) * 2012-02-14 2013-08-22 오씨아이 주식회사 기밀 포일로 포장된 진공 단열재의 포장 방법
CN103192570A (zh) * 2013-04-19 2013-07-10 黄山永新股份有限公司 便于直接微波加热的高阻隔耐蒸煮包装膜及其制备方法
WO2016089101A1 (ko) * 2014-12-03 2016-06-09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CN106081343A (zh) * 2016-06-20 2016-11-09 广东宝佳利彩印实业有限公司 一种无味环保薯片包装膜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773B2 (en)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230918A1 (en)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0047B1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성능 진공단열재
KR101260306B1 (ko)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다층형 슈퍼 배리어 봉지 부재
US8961843B2 (en) Core material for vacuum insul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16743A (ko) 진공단열재용 복합심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진공단열재
KR20110072794A (ko)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101773230B1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302474B1 (ko) 내충격성 및 불연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봉지부재
KR20140110144A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진공단열재 및 단열 벽체
KR101863381B1 (ko) 진공단열재
US20210301970A1 (en) Laminate for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vacuum insulation material using the laminate
KR20130002110A (ko)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포장용 백
KR20180099442A (ko) 진공단열재 외피재용 적층재 및 이를 포함한 진공단열재 외피재
KR20110072795A (ko)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101825776B1 (ko) 진공 단열재
KR20110072793A (ko)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102120810B1 (ko) 진공단열재 외피재용 적층재 및 이를 포함한 진공단열재 외피재
CN205058730U (zh) 一种共挤复合铝箔膜及共挤复合铝箔袋
US20200200317A1 (en) Vacuum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home appliance, house wall and transport equipment provided with same
KR101870017B1 (ko) 진공단열 복합패널
KR20160067240A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1749397B1 (ko) 진공 단열재
KR20110072796A (ko) 진공 단열재용 복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진공 단열재
KR20170011559A (ko) 진공 단열재 일체형 복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