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838A - Antenna device - Google Patents

Antenn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838A
KR20110066838A KR1020100090029A KR20100090029A KR20110066838A KR 20110066838 A KR20110066838 A KR 20110066838A KR 1020100090029 A KR1020100090029 A KR 1020100090029A KR 20100090029 A KR20100090029 A KR 20100090029A KR 20110066838 A KR20110066838 A KR 2011006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device
dielectric
foldable
finge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히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19171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33901A3/en
Priority to US12/928,117 priority patent/US2011014097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05Patch antenna using one or more coplanar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PURPOSE: An antenna device is provided to operate at a board band and cover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CONSTITUTION: A dielectric(12) is arranged in the end of a base plate(14). A folder L type antenna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A broadband monopole antenna is arranged on other side of the dielectric. A power supply unit(13) is arranged between the folder L type antenna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An antenna element(11) is formed near the base plate.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ANTENNA DEVICE}ANTENNA DEVICE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장치에 내장되는 소형의 멀티밴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multi-band antenna device embed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최근, 무선통신장치용 내장 안테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로서는, 예를 들어 고속 데이터통신에 적합한 UWB(Ultra Wide Band) 전용의 내장 안테나나, 셀룰러(cellular)용 내장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의 소형화 경향에 따라 이들 안테나에 대해서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l antenn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in progress. Examples of such an antenna include a built-in antenna dedicated to ultra wide band (UWB) suitable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a built-in antenna for cellular,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of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es, miniaturization of these antennas is also required.

따라서, 무선통신장치용 내장안테나에는 역L형 혹은 역F형 안테나의 엘리먼트 형상의 고안이나 전원공급부의 회로를 튜너블(Tunable)화함으로써 광대역으로 동작하는 안테나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형 엘리먼트와 L형 엘리먼트의 안테나 구성에 의해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임피던스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나 선형상 및 평면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형상 고안이나 지판과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광대역 특성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가 있다. 또한, 곡류 형상의 안테나 엘리먼트에 실장된 스위치 제어에 의해 멀티밴드(Multi-Band)화에 대응시키고자 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Accordingly, an antenna for operating in a wide area by implementing an element shape of an inverted L-type or inverted-F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tunable a circuit of a power supply unit is realized. For example, the antenna configuration of the spherical element and the L-type element enables resonance adjustment in two or more frequency bands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or the shape of the linear and planar antenna elements. There exists a thing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to implement | achieve a broadband characteristic by the design and capacitive coupling with a fingerboard. In addition, there is a desire to cope with multi-banding by switch control mounted on a grain-shaped antenna element (see Patent Document 3, for example).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9450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94501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특개2008-29509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95090 특허문헌 3 : 국제공개 제08/088463호 팜플렛Patent Document 3: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08/088463 Pamphlet

그런데, 최근 무선통신장치는 무선통신방식의 다양화나 국제 로밍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GSM850/900은 0.824∼0.960Hz, UMTS(WCDMA)는 1.92∼2.17GHz, WiMAX는 2.5∼2.7, 3.3∼3.8GHz 등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이들 모든 무선통신방식에 대응시키기가 어렵다.However,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ave increased in demand for divers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international roaming. For example, the GSM850 / 900 is 0.824 to 0.960 Hz and the UMTS (WCDMA) is 1.92 to 2.17 GHz. WiMAX needs to correspond to frequency bands such as 2.5 to 2.7 and 3.3 to 3.8 GHz. However, in the antenna device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ll thes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의 형상을 역L형 혹은 역F형의 형상으로 한 경우, 안테나를 소형화했을 때에 공진의 날카로움을 나타내는 Q값이 높아져서 저효율이면서 협대역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안테나 장치에서는 복수의 무선통신방식에 대응시키기 위해 별도의 안테나를 탑재할 필요가 있고, 탑재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면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antenna element is inverted L type or inverted F shap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Q value indicating sharpness of resonance increases when the antenna is miniaturized, resulting in low efficiency and narrow band. Therefore, 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mount a separate antenna to cope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meet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antenna device if the mounting space cannot be secur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의 안테나 장치에 의해 복수의 무선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광대역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 소형화가 가능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one antenna device can cover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n operate in a wide band, and can be miniaturized antenna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지판과, 상기 지판의 단부에 배치된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한 쪽에 배치된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유전체의 다른 쪽에 배치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와,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사이에 배치된 전원공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폴더 L형 안테나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서로 전기특성의 간섭을 줄여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공진 특성을 유지한 채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공진 특성도 얻을 수 있다.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gerboard, a dielectric disposed at an end of the fingerboard, a foldable L-type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a wideband monopole antenn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electric, And a power supply disposed between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can be operated by reducing the interference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with each other, the high frequency range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band Resonance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band on the side can also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의 일부는 곡류 형상을 갖고, 상기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일부는 테이퍼형상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공진 특성을 더욱 광대역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art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may have a grain shape, and a part of the broadband dipole antenna may have a tapered shap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in the high frequency band can be further wid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판의 상기 단부의 중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폴더 L형 안테나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의 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시키는 것이 쉬워진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end of the fingerboard.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can be reduced, it is easy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frequency ba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의 일부는 상기 지판의 근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저역측과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공진 특성을 유지한 채 더욱 양호한 VSWR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art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may be disposed near the fingerboard.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ter VSWR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while maintaining resonance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bands on the low side and the high 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폴더 L형 안테나는 복수의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튜너블 회로를 갖고, 상기 튜너블 회로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바이패스 전압이 가변하면, 상기 가변 용량 다이오드의 용량이 가변되어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 원하는 공진 특성으로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able L-type antenna has a tunable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able capacitance diode, the tunable circuit is variable if the bypass voltage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s variable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may be varied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ntenna device may be easily changed to a desired resonance characteristic in a low frequency frequency ba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유전체는 박판 형상이며, 상기 폴더 L형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의 한 쪽 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의 다른 쪽 면의 단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is thin plate-like, the foldable L-type antenn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is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ielectric It may be arranged in.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device can be miniatur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상기 유전체는 프린트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may be formed using a printed board.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는, 상술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통신방식에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suppor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안테나 장치에 의해 복수의 무선통신방식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광대역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 소형화가 가능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셀룰러 방식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antenna device can cover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operate in a wide ba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miniaturization, and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ellular systems.

도 1은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일반적인 2개의 설계조건에 기초하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고, (b)는 (a)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도 1의 (a)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b)는 도 1의 (b)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 및 도 3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도 1의 (a)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b)는 도 3의 (b)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의 한 쪽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의 4개의 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도 7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상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b)는 도 7의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표면을 나타내고, (c)는 도 7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하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d)는 도 7의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0.9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1.71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2.17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2.5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3.5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4.5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5.5GHz의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0.9GHz의 주파수에서 소정시간 전류를 흘린 경우의 전류 벡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의 4개의 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상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b)는 도 19의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표면을 나타내고, (c)는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하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d)는 도 19의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의 한 쪽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부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의 한 쪽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가 유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를 표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안테나 장치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에 형성된 튜너블 회로를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에서 전압을 가변한 경우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n antenna device based on two general design conditions, (b)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a), and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unit shown in (a),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unit shown in (b).
FIG. 2 is a graph show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a) of FIG. 1, and (b)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b) of FIG.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a),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b).
4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of FIGS. 1A and 3.
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a) of FIG. 1, (b)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b) of FIG.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a),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b).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illustrated in FIG. 5.
7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b) shows the back surface.
Fig.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tenna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7, (a) shows a state where a wideband monopole antenna is dispos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and (b) shows a folder L-type antenna on the dielectric.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IG. 9 is a view showing four surfaces of an antenna unit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7, (a) shows a plane view of the antenna unit shown in FIG. 7, and (b) shows an antenna shown in FIG. The negative surface is shown, (c) shows the surface seen from the lower part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FIG. 7, and (d) i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FIG.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illustrated in FIG. 8.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0.9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1.71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2.17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2.5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3.5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4.5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distribution at a frequency of 5.5 GHz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vector when a predetermined time current flows i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frequency of 0.9 GHz.
19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and (b) shows the rear surface thereof.
FIG. 20 is a view showing four surfaces of an antenna unit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19, (a) shows a plane view of the antenna unit shown in FIG. 19, and (b) shows an antenna shown in FIG. 19 (a). The negative surface is shown, (c) shows the surface seen from the bottom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FIG. 19, and (d) i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FIG.
21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illustrated in FIG. 19.
FIG. 2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shows a surface of an antenna device and (b) shows a rear surface thereof.
Fig. 2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tenna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22, (a) shows a state where a wideband monopole antenna is dispos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and (b) shows a folder L-type antenna for the dielectric materia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IG. 24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illustrated in FIG. 22.
2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shows a surface of an antenna device and (b) shows a rear surface thereof.
FIG. 2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tenna por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25, (a) shows a state where a wideband monopole antenna is dispos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and (b) shows a folder L-shaped antenn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FIG. 27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illustrated in FIG. 25.
28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device from the surface,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device from the back, (c)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a), (d)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antenna portion shown in (b).
FIG. 29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tunable circuit formed in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28.
FIG. 30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when the voltage is changed in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28.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ollowing example, It can implement in various forms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에 이르는 경위)(Process to reach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장치용 내장 안테나를 설계함에 있어서, 통상은 사용 주파수 대역, 안테나 체적, 안테나 탑재위치, 지판(GND-Plane) 크기 등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Ⅰ)전원공급부 부근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지판에서 극력 사이를 두고 형성할 것, 및 (Ⅱ)전원공급부는 지판의 모서리부(corner) 부근에 설계할 것, 이 두 가지 점에 주의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In designing a built-in antenn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frequency band used, an antenna volume, an antenna mounting position, and a GND-plane size. The antenna element is to be form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pole force, and (II) the power supply unit should be designed near the corner of the base plate.

이것은 (Ⅰ)에 대해서는 안테나 엘리먼트와 지판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서로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안테나의 임피던스 저하 형상이 발생하고, 전기 특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전원공급부 부근의 안테나 엘리먼트는 전류 분포가 높고, 성능에 영향을 받기 쉽다. (Ⅱ)에 대해서는 모서리부 부근에서 전원공급한 쪽이 결과적으로 안테나 엘리먼트의 체적을 크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테나 장치의 소형화나 멀티밴드용으로 다엘리먼트화하는 경우에도 모서리부에서 전원공급한 쪽이 유리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I), if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element and the fingerboard is too close, the impedance deterioration shape of the antenna occurs due to the capacitive coupling between them,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deteriorate. In particular, the antenna element near the power supply has a high current distribution and is susceptible to performanc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II), the power supply near the corner portion can design a large volume of the antenna element, resulting in good antenna performa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antenna device is miniaturized or multi-element for multiband, it is advantageous to supply power from the edge portion.

여기에서, 상술한 두 가지 설계조건에 기초하는 안테나 장치의 일례와 그 변형 예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based on the above two design conditions and a modific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은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상술한 두 가지 설계조건에 기초하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고, (b)는 (a)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n antenna device based on the above two design conditions, (b) shows a modification of (a), and (c) shows (a) The back side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 is enlarged,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 side of the antenna part shown in (b).

도 1의 (a) 및 (c)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는 안테나 엘리먼트(11), 유전체(12), 전원공급부(13) 및 지판(1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16)는 안테나 엘리먼트(11), 유전체(12) 및 전원공급부(13)를 포함한다. 안테나 장치(10)는 상술한 두 가지 조건에 기초하여 (Ⅰ)전원공급부(13) 부근의 안테나 엘리먼트(11)는 지판(14)으로부터 극력 사이를 두고 형성되고, (Ⅱ)전원공급부(13)는 지판(14)의 모서리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C, the antenna device 1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11, a dielectric 12, a power supply 13, and a finger board 14. The antenna portion 1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11, a dielectric 12 and a power supply 13. The antenna device 10 is based on the two conditions described above (I) the antenna element 11 near the power supply unit 13 is formed between the fingerboard 14 and the pole force, (II) the power supply unit 13 Is arranged near the edge of the fingerboard 14.

도 1의 (b) 및 (d)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20)는 안테나 엘리먼트(21), 유전체(22), 전원공급부(23) 및 지판(2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26)는 안테나 엘리먼트(21), 유전체(22) 및 전원공급부(23)를 포함한다. 안테나 장치(20)는 상술한 두 가지 조건 중, 전원공급부(23)는 지판(24)의 모서리부 부근에 배치되고, (Ⅱ)의 조건을 만족하지만, 전원공급부(23) 부근의 안테나 엘리먼트(21)는 지판(24)의 근방에 형성되고, (Ⅰ)의 조건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하였다.Referring to FIGS. 1B and 1D, the antenna device 2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21, a dielectric 22, a power supply 23, and a finger board 24. The antenna portion 2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21, a dielectric 22 and a power supply 23. In the antenna device 20, among the two condition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23 is disposed near the edge of the fingerboard 24, and satisfies the condition of (II), but the antenna element (near the power supply unit 23) ( 21) wa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fingerboard 24, and the condition of (I) was formed not to be satisfied.

안테나부(16, 26)의 크기는 길이 50mm, 폭 10mm, 높이 5mm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체적을 2.5cc로 한다. 지판(14, 24)은 모두 셀룰러용 휴대단말에 탑재되는 일반적인 크기인 10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한다. 안테나부(16, 26)는 모두 지판(14, 2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설치하였다. 유전체(12, 22)는 재료로서 일반적인 내장 안테나에서 많이 이용하는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였다.The size of the antenna portions 16 and 26 is formed into a thin plate shape having a length of 50 mm, a width of 10 mm, and a height of 5 mm, and the volume is 2.5 cc. Both of the fingerboards 14 and 24 have a thin plate shape of 100 mm x 50 mm, which is a general size mounted on a cellular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parts 16 and 26 were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board 14 and 24, respectively. The dielectrics 12 and 22 were formed by using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which is commonly used in general internal antennas as a material.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 20)를 현행 셀룰러 밴드인 GSM850/900의 주파수대(0.0824∼0.894GHz, 0.88∼0.96GHz)를 상정하고, 중심 주파수가 0.9GHz가 되도록 안테나 엘리먼트(11, 21)는 모두 1/4λ 전기장의 L형 안테나로서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싱글밴드 안테나를 설계하고, 양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The antenna devices 10 and 20 shown in Figs. 1A and 1B assume the frequency bands (0.0824 to 0.894 GHz, 0.88 to 0.96 GHz) of GSM850 / 900 as the current cellular bands, and the center frequency is 0.9 GHz. The antenna elements 11 and 21 are all L-shaped antennas with a 1 / 4λ electric field, and a single band antenna is designed using electromagnetic sim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re compared.

도 2는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 20)의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pparatuses 10 and 20 shown in FIGS. 1A and 1B.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a)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는 상술한 조건 (Ⅰ)(Ⅱ)를 고려하여 이상적인 조건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장치용 안테나로서 필요한 VSWR<3의 사양을 약 230MHz의 대역폭에서 만족하기 때문에 셀룰러 용도로서 양호한 성능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 2, since the antenna device 10 shown in Fig. 1A is designed under ideal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onditions (I) and (II), the VSWR < Since the specification of 3 is satisfied at a bandwidth of about 230 MHz, it has been confirmed that good performance is obtained for cellular use.

한편, 도 1의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20)는 전원공급부(23)로부터 연장되는 안테나 엘리먼트(21)의 배선이 지판(24)에 너무 가깝기 때문에 용량성 결합의 증가에 의해 임피던스의 저하 현상에 의해 VSWR이 열화하여 셀룰러 용도로서는 만족스럽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ntenna device 20 shown in FIG. 1B, since the wiring of the antenna element 21 extending from the power supply unit 23 is too close to the fingerboard 24, the impedance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capacitive coupling. It was confirmed that VSWR deteriorated by the phenomenon and was not satisfactory for cellular use.

이어서, 도 1의 (a) 및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 20)를 각각 상술한 조건 (Ⅱ)에 대하여 굳이 지판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서 전원공급시키도록 변경하고, 또 1/4λ인 L형 안테나 엘리먼트의 선단부를 곡류 형상으로 하여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계한 안테나 장치를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어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antenna devices 10 and 20 shown in Figs. 1A and 1B are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near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 rather than the edge of the fingerboard under the condition (II) described above. The antenna device designed by using electromagnetic simulation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shaped antenna element of 1/4 lambda as a curvatur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은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도 1의 (a)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b)는 도 1의 (b)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3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a) of FIG. 1, and (b)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b) of FIG.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a),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b).

도 3의 (a) 및 (c)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엘리먼트(31), 유전체(32), 전원공급부(33) 및 지판(3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36)는 안테나 엘리먼트(31), 유전체(32) 및 전원공급부(33)를 포함한다. 도 3의 (b) 및 (d)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40)는 안테나 엘리먼트(41), 유전체(42), 전원공급부(43) 및 지판(4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46)는 안테나 엘리먼트(41), 유전체(42) 및 전원공급부(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A and 3C,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n antenna element 31, a dielectric 32, a power supply 33, and a fingerboard 34. The antenna portion 3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31, a dielectric 32 and a power supply 33. Referring to FIGS. 3B and 3D, the antenna device 4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41, a dielectric 42, a power supply 43, and a finger board 44. The antenna portion 4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41, a dielectric 42 and a power supply 43.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30)는 조건(Ⅰ)을 고려하여 안테나 엘리먼트(31)를 지판(43)에서 극력 사이를 두고 형성하였지만, 도 3의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40)는 조건(Ⅰ)을 고려하지 않고 지판(44) 근방에 안테나 엘리먼트(41)의 일부를 형성하였다. 또한, 안테나 장치(30, 40)는 모두 조건(Ⅱ)를 고려하지 않고 전원공급부(33, 43)를 각각 지판(34, 4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하였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30 shown in FIG. 3A is formed with the antenna element 31 between the fingerboard 43 and the pole force in consideration of condition (I), but the antenna shown in FIG. The device 40 formed part of the antenna element 41 near the fingerboard 44 without considering condition (I). 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s 30 and 40 all arranged the power supply parts 33 and 43 near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s 34 and 44, respectively without considering condition (II).

또한, 안테나 장치(30, 40)는 안테나 엘리먼트(31, 41)의 구성을 제외하면 각각 안테나 장치(10, 2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 안테나 장치(10, 20)와 마찬가지로 안테나부(36, 46)의 체적은 2.5cc(길이 50mm, 폭 10mm, 높이 5mm)로 하고, 지판(34, 44)의 치수는 100mm×50mm로 하고, 중심 주파수가 0.9GHz가 되도록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싱글밴드 안테나로서 설계하였다.The antenna devices 30 and 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ntenna devices 10 and 2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elements 31 and 41, respectively. Like the antenna devices 10 and 20, the volume of the antenna parts 36 and 46 is 2.5 cc (50 mm long, 10 mm wide, 5 mm high), and the dimensions of the fingerboards 34, 44 are 100 mm x 50 mm. The frequency was designed as a single band antenna using electromagnetic simulation so that the frequency was 0.9 GHz.

도 4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30, 40)와, 도 1의 (a)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10)의 VSWR 특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s 30 and 40 shown in FIGS. 3A and 3B and the antenna device 10 shown in FIG. 1A.

도 4를 참조하여 VSWR 성능을 비교하면, 안테나 장치(30, 40)는 선단 형상을 곡류 형상화하여 안테나 엘리먼트(31, 41)의 체적을 소형화한 것에 의한 성능 열화가 발생하여 안테나 장치(10)와 비교하여 VSWR과 주파수 대역이 모두 열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 장치(30)와 안테나 장치(40)에서는 거의 성능에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When comparing the VSWR performanc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antenna devices 30 and 40 have a grain shape of the tip shape to deteriorate the performance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volume of the antenna elements 31 and 41 so that the antenna device 10 and In comparison, it can be seen that both the VSWR and the frequency band are degrade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antenna device 30 and the antenna device 40.

이상에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 조건(Ⅱ)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지판의 모서리부에 배치한 경우에는 배선방법에 따라 안테나 성능에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만, 조건(Ⅱ)에 따르지 않고 지판의 한 변의 중간부 부근에서 전원공급시킨 경우에는 안테나 엘리먼트와 지판의 거리나 배선방법에 따라 성능 열화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1 to 4,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fingerboard according to condition (II), the antenna performance greatly varies depending on the wiring method, but the fingerboard is not dependent on condition (II). When the power was supplied near the middle of one side, it was confirmed that performance deterioration did not easily occur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element and the fingerboard or the wiring method.

이어서, 도 1의 (a) 및 도 3의 (d)에 전선으로 나타낸 공간(15, 45)에 각각 안테나 엘리먼트를 추가하여 설계ㆍ배선한 안테나 장치를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어 설명한다.Subsequently, an antenna device designed and wired by adding an antenna element to the spaces 15 and 45 shown by the wires in FIGS. 1A and 3D, respectively, is shown in FIGS. 5A and 5B. It demonstrates and demonstrates.

도 5는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도 1의 (a)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b)는 도 3의 (b)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의 이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ntenna device, (a)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a) of FIG. 1, (b) shows a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shown in (b) of FIG.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a), and (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antenna portion shown in (b).

도 5의 (a) 및 (c)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50)는 안테나 엘리먼트(51), 유전체(52), 전원공급부(53) 및 지판(5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56)는 안테나 엘리먼트(51), 유전체(52) 및 전원공급부(53)를 포함한다. 도 5의 (b) 및 (d)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60)는 안테나 엘리먼트(61), 유전체(62), 전원공급부(63) 및 지판(64)을 포함한다. 안테나부(66)는 안테나 엘리먼트(61), 유전체(62) 및 전원공급부(6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A and 5C, the antenna device 5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51, a dielectric 52, a power supply 53, and a finger plate 54. The antenna portion 5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51, a dielectric 52 and a power supply 53. Referring to FIGS. 5B and 5D, the antenna device 6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61, a dielectric 62, a power supply 63, and a fingerboard 64. The antenna portion 66 includes an antenna element 61, a dielectric 62 and a power supply 63.

안테나 엘리먼트(51, 61)는 각각 도 1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안테나 엘리먼트(11, 41)와 동일한 형상의 엘리먼트부(51a, 61a)와 추가된 엘리먼트부인 51b, 61b를 포함한다. 안테나 장치(50, 60)는 각각 추가한 엘리먼트부(51b, 61b)를 제외하면 안테나 장치(10, 4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였다.The antenna elements 51 and 61 are the element portions 51a and 61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ntenna elements 11 and 41 shown in Figs. 1A and 3B, respectively, and the elements 51b and 61b which are additional elements. It includes. The antenna devices 50 and 60 ha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tenna devices 10 and 40 except for the added element portions 51b and 61b, respectively.

또한, 도 5의 (a) 및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50, 60)는 주로 제3 세대에서 사용되는 셀룰러 밴드인 UMTS(WCDMA)대의 2GHz 부근에서도 공진 특성이 얻어지도록 설계한 것이다.The antenna devices 50 and 60 shown in Figs. 5A and 5B are designed so that resonance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even in the vicinity of 2 GHz of the UMTS (WCDMA) band, which is a cellular band mainly used in the third generation.

도 6에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50, 60)의 VSWR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6 is a graph comparing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s 50 and 60 shown in FIGS. 5A and 5B.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a)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10)와, 도 5의 (a)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50)의 VSWR 특성을 비교하면, 안테나 장치(50)는 안테나 장치(10)의 안테나 엘리먼트(11)에 엘리먼트부(51b)를 추가함으로써 0.9GHz 부근의 저역측의 공진 특성을 유지한 채 1.9∼2.1GHz 부근의 고역측의 공진 특성을 얻는 안테나를 실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When comparing the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10 shown in FIG. 1A and the antenna device 50 shown in FIG. 5A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the antenna device 50 is an antenna. By adding the element part 51b to the antenna element 11 of the apparatus 10, the antenna which obtains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of the high frequency side near 1.9-2.1 GHz while maintaining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of the low frequency side near 0.9 GHz is realized. It can be seen that.

또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3의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40)와, 도 5의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60)의 VSWR 특성을 비교하면, 안테나 장치(60)는 안테나 장치(40)의 안테나 엘리먼트(41)에 엘리먼트부(61b)를 추가함으로써 0.9GHz 부근의 공진 특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저역측의 공진 특성을 유지한 채 1.9∼2.5GHz 부근의 고역측의 공진 특성을 광대역으로 얻는 안테나를 실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4 and 6, when comparing the VSW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device 40 shown in FIG. 3B and the antenna device 60 shown in FIG. 5B, the antenna device 60 is compared. By adding the element portion 61b to the antenna element 41 of the antenna device 40,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near 0.9 GHz can be made more favorable, and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near 1.9 to 2.5 GHz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low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 It can be seen that an antenna that obtains a high frequency resonance characteristic with a wide bandwidth is realized.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도 5의 (a)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50)와 도 5의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60)를 비교하면, 점선부(L)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SM850/900의 주파수대 부근에서는 안테나 장치(50)보다도 안테나 장치(60) 쪽이 VSWR<2를 커버하는 대역을 갖고 있고, 양호한 특성을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싱글밴드 안테나와의 비교에서는 GSM850/900의 주파수 부근에서 안테나 장치(10) 쪽이 안테나 장치(40)보다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안테나 장치(10)와 안테나 장치(40)에 각각 엘리먼트부(51b, 61b)를 추가함으로써 안테나 장치(60) 쪽이 안테나 장치(50)보다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역전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엘리먼트부(61a)에 곡류 형상을 채용한 안테나 장치(60)가 GSM850/900의 주파수대 부근에서 가장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Next, referring to FIG. 6, when the antenna device 50 shown in FIG. 5A is compared with the antenna device 60 shown in FIG. 5B, the GSM850 / 90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portion L is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frequency b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antenna device 60 has a band covering VSWR <2 than the antenna device 50, and obtains good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e comparison with the single band antenna shown in Fig. 4, although the antenna device 10 showed better characteristics than the antenna device 40 near the frequency of GSM850 / 900, the antenna device 10 and the antenna device 40 were better. By adding the element portions 51b and 61b to the antenna elements 60, the antenna device 60 can obtain better characteristics than the antenna device 50.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a reverse phenomenon occurs. That 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antenna device 60 employing the grain shape in the element portion 61a can obtain the best characteristics in the vicinity of the frequency band of GSM850 / 900.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점선부(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MTS(WCDMA)의 주파수대 부근에서도 도 5의 (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60) 쪽이 도 5의 (a)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50)보다도 광대역에서 양호한 VSWR 성능을 얻는 것이 확인되었다.6, the antenna device 60 shown in FIG. 5B also shows the antenna device shown in FIG. 5A even in the vicinity of the frequency band of UMTS (WCDMA) as shown by the dotted line portion H. As shown in FIG. It was confirmed that better VSWR performance was obtained at broadband than (50).

이상과 같은 고찰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이르렀다.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e to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elow.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이하, 도 7∼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표면과 대향하는 이면을 나타낸다.7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b) shows the back surface facing the surface.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안테나 엘리먼트(101), 유전체(102), 전원공급부(103) 및 지판(104)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101)는 도 7의 (a)에 나타낸 테이퍼 형상을 갖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와, 도 7의 (b)에 나타낸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101b)를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101)는 1/4λ 전기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전원공급부(103)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와 폴더 L형 안테나(101b) 사이에 배치되고, 지판(104)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10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된다. 안테나 엘리먼트(101), 유전체(102) 및 전원공급부(10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110)는 지판(10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7, the antenna device 10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101, a dielectric 102, a power supply 103, and a finger board 104. The antenna element 101 include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having a tapered shape shown in FIG. 7A and a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having a grain shape shown in FIG. 7B. The antenna element 101 is assumed to have a 1/4 lambda electric field. The power supply 103 is disposed between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and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and is disposed near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 104 rather than at the edge of the fingerboard 104. An antenna portion 110 comprising an antenna element 101, a dielectric 102 and a power supply 103 is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ngerboard 104.

안테나 엘리먼트(101)는 Molede Interconnect Device(MID) 기술에 의해 형성하거나 혹은 얇은 판금을 일체로 성형하여 유전체(102)의 표면 상에 형성해도 된다.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도체폭으로서는 예를 들어 1mm로 해도 된다. 또한, 유전체(102)의 재료로서는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탄디엔ㆍ스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의 크기는 길이(L) 50mm, 폭(W) 10mm, 높이(H) 5mm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체적을 2.5cc로 하였다. 지판(104)은 10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하였다.The antenna element 101 may be formed by Molede Interconnect Device (MID) technology o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electric 102 by integrally molding a thin sheet metal. The conductor width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may be, for example, 1 mm. Moreover, you may form using ABS (acrylonitrile butane diene styrene) resin as a material of the dielectric body 10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110 wa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having a length L of 50 mm, a width W of 10 mm, and a height H of 5 mm, and the volume was 2.5 cc. The fingerboard 104 had a thin plate shape of 100 mm x 50 mm.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안테나부(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가 유전체(102)의 길이방향의 한 쪽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101b)가 유전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안테나부(110b)에서의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와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배치상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FIG.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unit 110 of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102. (B) shows a state where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is disposed on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material 102.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and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in the antenna section 110b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9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안테나부(110)의 4개의 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도 7에 나타난 안테나부(110)를 상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b)는 도 7의 (a)에 나타난 안테나부(110)의 표면을 나타내고, (c)는 도 7에 나타난 안테나부(110)를 하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d)는 도 7의 (b)에 나타난 안테나부(110)의 표면을 나타낸다.FIG. 9 is a view showing four planes of the antenna unit 110 shown in FIGS. 7 and 8, (a) shows a plane view of the antenna unit 110 shown in FIG. 7, and (b) 7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110 shown in (a), (c)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110 shown in FIG. 7 seen from below, and (d) shows the surface of FIG. Th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110 is show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는 대략 직방체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 유전체(102)의 측면 중 도 9의 (a)∼(c)에 나타낸 3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 폴더 L형 안테나(101b)는 유전체(102)의 측면 중 도 9의 (a) 및 (d)에 나타낸 2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8 and 9,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is formed along three surfaces shown in FIGS. 9A to 9C of the side of the dielectric 102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in plate shape.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is formed along two surfaces shown in FIGS. 9A and 9D of the side of the dielectric 102.

또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와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배치 위치는 유전체(102)의 한 쪽과 다른 쪽 측부이면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전체(102)의 단부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Incidentally,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and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are not limited to the ends of the dielectric 102 as shown in the side of one side of the dielectric 102 and the other side thereof.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102)는 직방체의 단부의 일부가 결여된 절결부(102a)가 있어도 된다. 도 9의 (b)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102)의 절결부(102a)의 치수는 L7을 10mm, L6을 1mm로 해도 되고, 높이는 도 9의 (c)에 나타낸 유전체(102)의 높이(H)와 동일한 5mm로 해도 된다. 이 유전체(102)에서의 절결부(102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가 지판(104)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7-9, the dielectric 102 may have the notch part 102a which lacks a part of end par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S. 9B and 9D, the cutout portion 102a of the dielectric 102 may have a size of 10 mm for L7 and 1 mm for L6, and the height of the dielectric 102 shown in FIG. 9C. It is good also as 5 mm same as height H of (). The cutout 102a in the dielectric 102 is formed so that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ngerboard 104.

또한, 도 9에 L1∼L5로서 도시한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각 부의 치수는 각각 대응시키는 주파수 대역 및 임피던스 정합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60)는 도 3의 (b)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40)의 곡류 형상을 갖는 안테나 엘리먼트(41)에 엘리먼트부(61b)를 추가함으로써 고역측의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100)에서도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치수가 저역 주파수대의 성능에 영향을 주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의 치수가 고역 주파수대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제에 기초하여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설계에 관계되는 길이(L1, L2)를 저역 주파수대의 임피던스 정합에 따라 조정하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의 설계에 관계되는 길이(L3, L4, L5)를 고역 주파수대의 임피던스 정합에 따라 조정하고, 원하는 주파수대에 대응하도록 최적화 설계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안테나 엘리먼트(110)의 각 부의 치수는 L1을 1∼2mm, L2를 12∼20mm, L3을 5∼10mm, L4를 10mm, L5를 10∼20mm로 해도 된다. 또한, 도 9의 (c)에 R1으로서 도시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가 갖는 테이퍼 형상에 대해서도 고역 주파수대의 광대역화 및 임피던스 정합에 따라 치수는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of each part of the antenna element 101 shown as L1-L5 in FIG. 9 can be adjusted suitably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nd impedance matching,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the antenna device 60 shown in FIG. 5B has an element portion in the antenna element 41 having a grain shape of the antenna device 40 shown in FIG. 3B. Since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of the high frequency side was obtained by adding 61b), the dimension of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having a grain shape also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antenna device 100,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imension of 에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high frequency band. Therefore, based on this premise, the lengths L1 and L2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ar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mpedance matching of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length L3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 L4, L5)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edance matching of the high frequency band and optimized design was made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frequency band. The dimension of each part of the antenna element 110 may be 1 to 2 mm for L1, 12 to 20 mm for L2, 5 to 10 mm for L3, 10 mm for L4, and 10 to 20 mm for L5. In addition, the taper shape of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shown as R1 in FIG. 9C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widening of the high frequency band and impedance matching.

이어서, 도 7∼도 9에 나타난 안테나부(110)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100)의 VSWR 특성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어 설명한다.Next, the VSWR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device 100 including the antenna unit 110 shown in FIGS. 7 to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의한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VSWR characteristics by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GSM850, GSM900, DCS(1.71∼1.88GHz), PCS(1.85∼1.99GHz), UMTS, mWimax 및 UWB Low-Band(3.4∼4.8GHz)의 7개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고, 0.824∼0.96GHz 및 1.71∼4.8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VSWR<3.0을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전기 특성을 얻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ntenna device 100 includes a frequency band of GSM850, GSM900, DCS (1.71 to 1.88 GHz), PCS (1.85 to 1.99 GHz), UMTS, mWimax, and UWB Low-Band (3.4 to 4.8 GHz). Since it covers seven frequency bands and covers VSWR <3.0 in the frequency bands of 0.824-0.96 GHz and 1.71-4.8 GHz, it turns out that favorabl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acquir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도 11∼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8.

도 11∼도 17은 안테나 장치(100)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에 대하여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각 주파수로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다.11 to 17 show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in the antenna device 100 at each frequency by using electromagnetic field simulation.

도 11은 0.9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2는 1.71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3은 2.17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4는 2.5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5는 3.5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6은 4.5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도 17은 5.5GHz의 주파수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101)의 전류 분포를 나타낸다. 11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a frequency of 0.9 GHz, FIG. 12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a frequency of 1.71 GHz, and FIG. 13 shows the antenna at a frequency of 2.17 GHz.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element 101, FIG. 14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a frequency of 2.5 GHz, FIG. 15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a frequency of 3.5 GHz, FIG. 16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the frequency of 4.5 GHz, and FIG. 17 show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antenna element 101 at the frequency of 5.5 GHz.

도 11을 참조하면, 0.9GHz의 주파수에서는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곡류 형상부분으로의 전류 분포가 매우 강한 것이 확인되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에는 거의 전류 분포가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 11,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distribution to the grain-shaped portion of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is very strong at a frequency of 0.9 GHz, and almost no current distribution is seen in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한편, 도 12∼도 17에 나타내는 1.71G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곡류 형상 부분으로의 전류 분포가 약해지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로의 강한 전류 분포가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at a frequency of 1.71 GHz or more shown in Figs. 12 to 17, the current distribution to the grain-shaped portion of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101b is weakened, and a strong current distribution to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was confirmed.

이러한 도 11∼도 17에 나타난 전류 분포의 변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서는 폴더 L형 안테나(101b)에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용(GSM850/900)으로서 최적화 설계를 실시하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에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용(DCS/PCS+UMTS+mWimax+UWB Low)로서 최적화 설계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폴더 L형 안테나(101b)는 저역측의 원하는 주파수대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는 고역측의 원하는 주파수대에 대응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in the current distribution shown in FIGS. 11 to 17 corresponds to the low frequency side band for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GSM850 / 900). Since the optimization design is performed for the high frequency band (DCS / PCS + UMTS + mWimax + UWB Low) on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has a low frequency sid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desired frequency band,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can be operated in response to the desired frequency band on the high frequency side.

또한, 도 11에 나타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에 0.9GHz의 주파수에서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현상을 검증하기 위해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전류진폭의 벡터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에 대하여 도 18에 나타낸다.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at almost no current flows in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shown in FIG. 11 at a frequency of 0.9 GHz, vector analysis of the current amplitude is performed using electromagnetic simulation. This result is shown in FIG.

도 18은 안테나 엘리먼트(101)에 0.9GHz의 주파수에서 소정시간 전류를 흘린 경우의 전류 벡터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current vector when a predetermined time current is passed through the antenna element 101 at a frequency of 0.9 GHz.

일반적으로 접지형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는 전파를 효율적으로 방사시키기 위해 전류의 방향을 안테나 엘리먼트와 지판으로 맞추어 평형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 L형 안테나(101b)는 지판(104)과 전류의 방향이 맞추어져 있고, 안테나로서 이상적인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general, in a grounded antenna device, it is necessary to flow a balanced current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to the antenna element and the fingerboard in order to radiate radio waves efficiently. Referring to FIG. 18, it can be seen that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igned with the finger plate 104 and is operating in an ideal state as an antenna.

한편,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에는 지판(104)의 전류와는 역방향의 전류가 발생하고 있어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와 지판(104)에서는 불평형전류로 서로 부정하여 전파 방사가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용으로서 설계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는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용으로 설계한 폴더 L형 안테나(101b)의 동작에서는 거의 간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장치(100)는 폴더 L형 안테나(101b)에 의해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 양호한 VSWR 특성을 얻을 수 있고,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에 의해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 양호한 VSWR 특성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generates a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urrent of the fingerboard 104,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and the fingerboard 104 are in an unbalanced current, which is indeterminate. You can judge.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a designed for the high frequency side band can be judged to have little inter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designed for the low frequency side band. That is, the antenna device 100 can obtain good VSWR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side band by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and obtain good VSWR characteristics in the high frequency side band by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또한, 통상 안테나 장치를 멀티밴드화하거나 소형화하면 공진의 날카로움을 나타내는 Q값이 높아지거나 안테나 임피던스가 낮아지거나 또한 안테나 엘리먼트 사이의 전자계 결합이 야기되는 등, 안테나 장치의 주파수 대역의 협대역화나 임피던스 열화 등이 발생되기 쉬워진다.In addition, when the antenna device is multi-banded or downsized, a narrow band or an impedance deterioration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antenna device may occur, such as a high Q value indicating resonance sharpness, a low antenna impedance, or an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antenna elements. It becomes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지판(104)의 한 변의 중간부 부근에서 전원공급시키고, 폴더 L형 안테나(101b)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를 안테나부(110)의 좌우로 나뉘도록 배치하고, 전원공급부(103) 부근의 안테나 엘리먼트(101)를 지판(104)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설계하여 사용 주파수 대역에 따른 최적화 설계를 실시하였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장치(100)에 의하면 저역측의 주파수 대역과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에서 폴더 L형 안테나(101b)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101a)가 서로의 간섭을 줄여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크게 하지 않고 광대역인 VSWR 특성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한 채 멀티밴드화에 대응시킬 수 있다.However,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in the vicinity of the middle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ngerboard 104, and supplies the foldable L-type antenna 101b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to the antenna unit (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110, and the antenna element 101 in the vicinity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is designed to b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fingerboard 104 to optimize the design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u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100, the L-shaped antenna 101b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101a can operate by reduc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wide band VSWR characteristic without increasing the structure, and to cope with multibanding while miniaturizing.

또한, 최근 무선통신장치는 GSM/DCS/PCS/ UMTS(IMT2000) 등의 셀룰러대의 시스템 외에 다양한 무선시스템이 증가하여 다기능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시스템 수의 증가에 의한 안테나 탑재수의 증가는 틀체의 설치공간이나 비용 문제 때문에도 허용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end to be multifunctional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less systems in addition to cellular systems such as GSM / DCS / PCS / UMTS (IMT2000). Neither is it allowed due to space or cost concerns.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의하면, 주파수 6GHz 이하에서 무선통신장치에서의 사용이 상정되는 무선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안테나 탑재수의 감소에 의해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v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adio system in which the use of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is assumed at a frequency of 6 GHz or less, and the number of antennas mounted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cost.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nufactured by using the design method of the antenna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디자인성(슬림화)의 중시나 단말 자체의 소형화가 요구됨으로써 상술한 안테나부(110)의 크기인 2.5cc보다도 더욱 소형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design (slimization) such as a smart phone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tself are required, so that the miniaturization may be required more than 2.5cc, which is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110 described above.

따라서, 안테나부의 얇기를 2mm로 하고, 1cc 정도로 소형화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해서 도 19∼도 21에 나타내어 설명한다.Therefore,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ntenna portion thinned to 2 mm and downsized to about 1 c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1.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표면과 대향하는 이면을 나타낸다.19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b) shows the back surface facing the surface.

도 19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200)는 안테나 엘리먼트(201), 유전체(202), 전원공급부(203) 및 지판(204)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201)는 도 19의 (a)에 나타낸 테이퍼 형상을 갖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201a)와, 도 19의 (b)에 나타낸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201b)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03)는 지판(204)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20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된다. 안테나 엘리먼트(201), 유전체(202) 및 전원공급부(20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210)는 지판(20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9, the antenna device 20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201, a dielectric 202, a power supply 203, and a finger board 204. The antenna element 201 include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201a having a tapered shape shown in FIG. 19A, and a foldable L-shaped antenna 201b having a grain shape shown in FIG. 19B. The power supply 203 is disposed near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 204, not at the edge of the fingerboard 204. An antenna portion 210 comprising an antenna element 201, a dielectric 202 and a power supply 203 is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ngerboard 204.

또한, 안테나부(210)의 크기는 길이(L) 50mm, 폭(W) 10mm, 높이(H) 2mm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체적을 1cc로 했다. 지판(204)은 10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하였다.Moreover, the size of the antenna part 210 was formed in thin plate shape of length L of 50 mm, width W of 10 mm, and height H of 2 mm, and the volume was 1 cc. The fingerboard 204 had a thin plate shape of 100 mm x 50 mm.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부(210)의 4개의 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부(210)를 상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b)는 도 19의 (a)에 나타난 안테나부(210)의 표면을 나타내고, (c)는 도 19에 나타난 안테나부(210)를 하부에서 본 면을 나타내고, (d)는 도 19의 (b)에 나타난 안테나부(210)의 표면을 나타낸다.FIG. 20 is a view showing four surfaces of the antenna unit 210 shown in FIG. 19, (a) shows a plane view of the antenna unit 210 shown in FIG. 19, and (b) shows a surface of FIG.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part 210 shown in FIG. 19 from below, and (d) shows the antenna part (b) shown in FIG. The surface of 210 is shown.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201a)는 도 19의 (a)∼(c)에 나타낸 유전체(202)의 3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 폴더 L형 안테나(201b)는 도 19의 (a), (b) 및 (d)에 나타낸 3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유전체(202)는 절결부(202a)를 갖는다. 이 절결부(202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201a)가 지판(204)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202)의 절결부(202a)의 치수는 L17을 10mm, L16을 1mm로 해도 되고, 높이는 유전체(202)의 높이(H)와 동일한 2mm로 해도 된다.19 and 20, a wideband monopole antenna 201a is formed along three sides of the dielectric 202 shown in Figs. 19A to 19C. The foldable L-type antenna 201b is formed along three planes shown in Figs. 19A, 19B and 19D. In addition, the dielectric 202 has a cutout 202a. This notch 202a is formed so that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201a does not contact the fingerboard 204. As shown in FIG. 20B, the cutout portion 202a of the dielectric 202 may have a size of L17 as 10 mm and L16 as 1 mm, and the height may be 2 mm equal to the height H of the dielectric 202. .

또한, 도 20에 나타난 안테나 엘리먼트(201)의 각 부의 치수인 L11∼L15에 대해서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L11을 1∼2mm, L12를 12∼20mm, L13을 7mm, L14를 5mm, L15를 10∼20mm로 해도 된다. 또한, R2로서 도시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201a)가 갖는 테이퍼 형상에 대해서도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대응시키는 주파수 대역 및 임피던스 정합에 따라 치수가 결정되어도 된다.In addition, impedance adjustment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suitably about L11-L15 which are the dimension of each part of the antenna element 201 shown in FIG. 20 similarly to 1st Embodiment. For example, you may make L11 1-2 mm, L12 12-20 mm, L13 7 mm, L14 5 mm, and L15 10-20 mm. In addition, the taper shape of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201a shown as R2 may be dimensioned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nd impedance match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안테나 장치(200)는 상술한 안테나 엘리먼트(201)의 구성 및 안테나부(210)의 크기 이외에는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tenna device 10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element 201 and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210 described above.

이어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안테나부(210)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200)의 VSWR 특성에 대하여 도 21에 나타내어 설명한다.Next, the VSWR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device 200 including the antenna unit 210 shown in FIGS. 19 and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도 21은 도 19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200)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21 is a graph showing the VSWR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device 200 shown in FIG. 19.

도 21을 참조하면, 안테나부(210)의 크기를 길이 50mm, 폭 10mm, 높이 2mm로 하여 약 1cc의 체적으로 소형화한 경우에도 현행의 셀룰러 단말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 0.824∼0.96GHz+1.71∼4GHz에서 VSWR<3.0의 특성을 커버하는 소형이고 광대역인 멀티밴드 안테나를 실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even when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210 is 50 mm long, 10 mm wide, and 2 mm high, the antenna unit 210 has a size of about 1 cc. It can be seen that a compact and wideband multiband antenna 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SWR <3.0 can be realized.

또한, 통상은 셀룰러용 내장 멀티밴드 안테나를 소형화시키면 저역측 주파수대(GSM850/900 등)에서의 성능 열화가 현저하게 발생하지만, 안테나 장치(200)에 의하면 저역측 주파수대를 사용할 때에는 고역 주파수대에 사용되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201a)의 간섭을 극력 억제한 상태에서 폴더 L형 안테나(201b)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 의한 성능 열화를 억제한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다.In general, miniaturization of the cellular internal multiband antenna causes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GSM850 / 900, etc.). However,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200, when the low frequency band is used, the antenna is used for the high frequency band. Since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201b can be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interference of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201a is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 antenna with reduced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miniaturization can be realized.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이어서, 안테나부의 크기를 0.5cc 정도로 더욱 소형화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도 22∼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urther miniaturized to about 0.5 c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300)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300)의 안테나부(31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가 유전체(302)의 길이방향의 한 쪽의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301b)가 유전체(302)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300)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300, and (b) shows the back surface. FIG. 2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ntenna unit 310 of the antenna device 300 shown in FIG. 22, and (a) show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301a dispos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302. (B) shows a state where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301b is disposed on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302. 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VSWR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device 300 shown in FIG. 22.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300)는 안테나 엘리먼트(301), 유전체(302), 전원공급부(303) 및 지판(304)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301)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와,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301b)를 포함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와, 폴더 L형 안테나(301b)는 유전체(302)의 대향하는 2면에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302)의 내부에는 2개의 스루홀(301c, 301d)이 형성된다. 이 스루홀(301c)을 관통 전극으로 하여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와 폴더 L형 안테나(301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폴더 L형 안테나(301b)의 일부에 대해서도 스루홀(301d)을 관통 전극으로 하여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폴더 L형 안테나(30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원공급부(303)는 지판(304)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30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되고, 안테나 엘리먼트(301), 유전체(302) 및 전원공급부(30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310)는 지판(30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22 and 23, the antenna device 30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301, a dielectric 302, a power supply 303, and a finger board 304. The antenna element 301 include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301a having a tapered shape and a foldable L-shaped antenna 301b having a grain shape. As shown in Fig. 23,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301a and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301b are formed on two opposite surfaces of the dielectric 302, and two through holes 301c, 301d) is forme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301a and the foldable L-type antenna 301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through hole 301c as a through electrode. In addition, a part of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301b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301a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301b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 using the through hole 301d as a through electrode. do.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303 is disposed near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 plate 304, not the edge of the finger plate 304, and includes an antenna element 301, a dielectric 302 and a power supply unit 303. The antenna unit 310 is disposed at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plate 304.

또한, 안테나부(310)는 길이 50mm, 폭 12.5mm, 높이 0.8mm의 박판 형상을 형성하고, 체적을 0.5cc로 하였다. 또한, 안테나부(310)는 안테나(110, 210)와는 달리 유전체(302)는 직방체의 일부가 결여된 형상을 갖지 않는다. 이것은 안테나 엘리먼트(301)의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301a)가 지판(304)에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전체(302)에서 절결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판(304)은 10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하였다.Moreover, the antenna part 310 formed the thin plate shape of length 50mm, width 12.5mm, and height 0.8mm, and made the volume into 0.5 cc. In addition, unlike the antennas 110 and 210, the antenna unit 310 does not have a shape in which the dielectric 302 lacks a part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is is because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301a of the antenna element 301 has a shape that does not contact the fingerboard 304 so that no cutout is required in the dielectric 302. The fingerboard 304 wa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f 100 mm x 50 mm.

또한, 안테나부(310)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판 재료로서 FR-4를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프린트 기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forming the antenna portion 310, FR-4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material. In that case, since a printed board can be used as it is,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안테나 장치(300)는 상술한 안테나 엘리먼트(301)의 구성 및 안테나부(310)의 크기 및 형상 이외에는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tenna device 10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element 301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antenna unit 310 described above.

도 24를 참조하면, 안테나부(310)의 크기를 길이 50mm, 폭 12.5mm, 높이 0.8mm로 하여 약 0.5cc의 체적으로 소형화한 경우에도 현행의 셀룰러 단말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 0.824∼0.96GHz+1.71∼4GHz에서 VSWR<3.0의 특성을 커버하는 소형이고 광대역인 멀티밴드 안테나를 실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테나 장치(300)는 높이를 0.8mm로 하여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비하여 더욱 저자세화하였기 때문에 휴대단말에 실장할 때의 용적을 축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even when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310 is 50 mm in length, 12.5 mm in width, and 0.8 mm in height, the frequency band 0.824-0.96 GHz + 1.71 is used in the current cellular terminal even when the size is reduced to about 0.5 cc.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compact and wideband multiband antenna capable of 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SWR <3.0 at -4 GHz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the antenna device 300 has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th a height of 0.8 mm, the volume of the antenna device 300 can be reduced.

(제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또한, 안테나부의 치수를 바꾸어 1.5cc의 크기로 소형화시킨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하여 도 25∼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iniaturized to a size of 1.5 cc by changing the dimensions of the antenna p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to 27.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4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400)의 표면을 나타내고, (b)는 이면을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난 안테나 장치(400)의 안테나부(41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며, (a)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401a)가 유전체(402)의 길이방향의 한 쪽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폴더 L형 안테나(401b)가 유전체(402)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낸 안테나 장치(400)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ws the surface of the antenna device 400, and (b) shows the back surface. FIG. 2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ntenna unit 410 of the antenna device 400 illustrated in FIG. 25, and (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wideband monopole antenna 401a is dispos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402. (B) shows a state where the foldable L-shaped antenna 401b is disposed on th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lectric 402. FIG. 27 is a graph showing the VSWR characteristic of the antenna device 400 shown in FIG. 25.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400)는 안테나 엘리먼트(401), 유전체(402), 전원공급부(403) 및 지판(404)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401)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401a)와,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401b)를 포함한다.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401a)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402)의 3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폴더 L형 안테나(401b)도 유전체(402)의 3개의 면을 따라 형성된다. 전원공급부(403)는 지판(404)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40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되고, 안테나 엘리먼트(401), 유전체(402) 및 전원공급부(40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410)는 지판(40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25 and 26, the antenna device 40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401, a dielectric 402, a power supply 403, and a fingerboard 404. The antenna element 401 include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401a having a tapered shape and a foldable L-shaped antenna 401b having a grain shape. Wideband monopole antenna 401a is formed along three sides of dielectric 40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foldable L-shaped antenna 401b is also formed along three surfaces of the dielectric 402. The power supply 403 is disposed near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 404, not at the edge of the fingerboard 404, and includes an antenna element 401, a dielectric 402, and a power supply 403. 410 is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ngerboard 404.

안테나부(410)는 길이 50mm, 폭 7mm, 높이 5mm의 박판 형상을 형성하고, 체적을 1.75cc로 하였다. 지판(404)은 10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하였다.The antenna portion 410 formed a thin plate shape having a length of 50 mm, a width of 7 mm, and a height of 5 mm, and the volume was 1.75 cc. The fingerboard 404 had a thin plate shape of 100 mm x 50 mm.

또한, 안테나 장치(400)은 상술한 안테나 엘리먼트(401)의 구성 및 안테나부(410)의 크기 이외에는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ntenna device 4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tenna device 10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ntenna element 401 and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410 described above.

도 27을 참조하면, 안테나부(410)의 크기를 길이 50mm, 폭 7mm, 높이 5mm로 하여 약 1.75cc의 체적으로 소형화한 경우에도 현행의 셀룰러 단말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 0.824∼0.96GHz+1.71∼4GHz에서 VSWR<3.0의 특성을 커버하는 저자세 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최근 많은 요구가 있는 휴대단말의 저자세화에 대응한다.Referring to FIG. 27, even when the size of the antenna unit 410 is 50 mm long, 7 mm wide, and 5 mm high, the frequency band 0.824 to 0.96 GHz + 1.71 to 4 GHz used in the current cellular terminal is reduced. A low-frequency antenna 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SWR <3.0 can be realized,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low-definition of a mobile terminal which has recently been highly demanded.

또한, 앞으로 셀룰러의 통일규격으로서 LTE(Lomg Term Evolution)의 사양이 책정되어 있고, 북미 여러나라에서는 LTE700/LTE2600대(0.698∼0.806GHz, 2.5∼2.69GHz)의 사용이 상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하 LTE700이나 LTE2600 등의 복수의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튜너블 안테나(Tunable Anttenna)로 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 28∼도30에 나타내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of LTE (Lomg Term Evolution) has been formulated as a cellular standard in the future, and in North America, the use of 600 LTE700 / LTE2600 (0.698 to 0.806GHz, 2.5 to 2.69GHz) is expected. Therefore,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unable antenna (Tunable Anttenna) so as to cope with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such as LTE700 and LTE2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 to 30.

(제5 실시 예)(Fifth Embodiment)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5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a)는 안테나 장치(500)를 표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안테나 장치(500)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a)에 나타난 안테나부(51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d)는 (b)에 나타난 안테나부(510)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500)에 형성된 튜너블 회로를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500)에서 바이패스 전압을 가변한 경우의 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28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ntenna device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tenna device 500 from the surface, and (b) is an antenna device ( 50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ntenna unit 510 shown in (a), and (d)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ntenna unit 510 shown in (b). . 29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tunable circuit formed in the antenna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graph illustrating VSWR characteristics when the bypass voltage is changed in the antenna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8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500)는 안테나 엘리먼트(501), 유전체(502), 전원공급부(503) 및 지판(504)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501)는 테이퍼형상을 갖는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501a)와, 곡류 형상을 갖는 폴더 L형 안테나(501b)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503)는 지판(504)의 모서리부가 아닌, 지판(504)의 상변의 중간부 부근에 배치되고, 안테나 엘리먼트(501), 유전체(502) 및 전원공급부(503)를 포함하는 안테나부(510)는 지판(50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8, the antenna device 500 includes an antenna element 501, a dielectric 502, a power supply 503, and a finger board 504. The antenna element 501 includes a wideband monopole antenna 501a having a tapered shape and a foldable L-shaped antenna 501b having a grain shape. The power supply unit 503 is disposed near the middle of the upper side of the fingerboard 504, not at the edge of the fingerboard 504, and includes an antenna element 501, a dielectric 502, and a power supply unit 503. 510 is dispos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ngerboard 504.

도 28의 (d)는 안테나부(510)의 튜너블 회로를 구성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 도 28의 (d)에서 폴더 L형 안테나(501b)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상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각 위치에 콘덴서(C), 저항(R), 코일(L21∼23) 및 가변 용량 다이오드(VD1, VD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기부품에 의해 구성되는 튜너블 회로의 등가회로를 도 29에 나타내고, 회로구성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FIG. 28 (d)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constituting a tunable circuit of the antenna unit 510. In FIG. 28 (d), each position shown in the drawing is shown o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oldable L-type antenna 501b. The capacitor C, the resistor R, the coils L21 to 23, and the variable capacitor diodes VD1 and VD2 are disposed in the array.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tunable circuit comprised by these electrical components is shown in FIG. 29, and a circuit structure is further demonstrated.

도 29에서 입력단자(IN)에는 외부의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바이어스 전압(Vcc)이 입력된다. 입력단자(IN)의 근방에는 콘덴서(C)의 일단부와 저항(R)의 일단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C)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즉, 도 28의 (d)에서 콘덴서(C)의 타단부는 지판(5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R)의 타단부에는 코일(L23)의 일단부가 직렬로 접속되고, 코일(L23)의 타단부에는 가변 용량 다이오드(VD1, VD2)의 각 캐소드 단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가변 용량 다이오드(VD1)의 애노드 단자에는 코일(L21) 및 코일(L22)의 각 일단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L22)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코일(L21)의 타단부에는 전원공급부(503)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501a)의 각 일단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가변 용량 다이오드(VD2)의 애노드 단자에는 코일(L22) 및 폴더 L형 안테나(501b)의 각 일단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L22)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In FIG. 29, a bias voltage Vcc is input to an input terminal IN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not shown). In the vicinity of the input terminal IN, one end of the capacitor C and one end of the resistor R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C is grounded. That is, in FIG. 28D,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nger board 504. One end of the coil L23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R, and the cathode terminals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s VD1 and VD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L23. Each end of the coil L21 and the coil L22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VD1. The other end of the coil L22 is grounded. The other end of the coil L2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503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501a. One end of each of the coil L22 and the foldable L-type antenna 501b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variable capacitor diode VD2. The other end of the coil L22 is grounded.

또한, 도 29에 나타난 등가회로에서 각 회로소자는 코일 L21=22nH, L2=220nH, L3=180nH, 저항 R=1㏀, 콘덴서 C=180pF, 바이어스 전압(Vcc)을 0.1∼1.6V로 하고, 가변 용량 다이오드(VD1, VD2)가 1∼6pF로 가변되도록 설계하였다.In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29, each circuit element has coils L21 = 22nH, L2 = 220nH, L3 = 180nH, resistor R = 1kV, capacitor C = 180pF, and bias voltage (Vcc) of 0.1 to 1.6V.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VD1 and VD2 are designed to vary from 1 to 6 pF.

또한, 안테나부(510)의 크기로서는 길이 50mm, 폭 10mm, 높이 3mm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체적을 1.5cc로 해도 된다. 유전체(502)를 ABS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는 안테나부(510)의 크기를 길이 50mm, 폭 10mm, 높이 2.2mm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유전체(502)를 FR-4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는 안테나부(510)의 크기를 길이 50mm, 폭 10mm, 높이 0.8mm로 형성해도 된다. 지판(504)은 110mm×50mm의 박판 형상의 것으로 하였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antenna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having a length of 50 mm, a width of 10 mm, and a height of 3 mm, and the volume may be 1.5 cc. When the dielectric 502 is formed using ABS resin, the size of the antenna portion 510 may be formed to be 50 mm long, 10 mm wide, and 2.2 mm high. In the case where the dielectric 502 is formed using FR-4, the size of the antenna portion 51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50 mm, a width of 10 mm, and a height of 0.8 mm. The fingerboard 504 had a thin plate shape of 110 mm x 50 mm.

도 30을 참조하면, 튜닝회로를 실장하고, 입력단자(IN)에 인가하는 바이어스 전압(VCC)을 가변하여 가변 용량 다이오드(VD1, VD2)의 용량을 가변함으로써 저역측의 LTE700∼GSM850/900의 주파수대에서 공진 주파수의 가변이 가능하며, 또 DCS/PCS/UMTS 및 LTE2600을 포함하는 고역측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셀룰러대 및 LTE대에 대응하는 튜너블ㆍ안테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 30, a tuning circuit is mounted and the bias voltage VCC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 is varied to change the capacitances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VD1 and VD2, so that The resonant frequency can be changed in the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side band including DCS / PCS / UMTS and LTE2600 can be covered so that a tunable antenna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cellular band and LTE band can be realized. It was confirmed.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전압(Vcc)을 0V, 0.8V, 1.6V로 가변한 경우에 고역측의 주파수대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고, 저역측만 주파수가 가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역측의 주파수대와 고역측의 주파수대에서 폴더 L형 안테나(501b)와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501a)는 서로 간섭이 극력 억제되어 동작하고 있고, 폴더 L형 안테나(501b)의 엘리먼트 상에만 튜닝회로를 설계함으로써 고역측의 주파수대에서의 동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저역측의 주파수대에서 원하는 공진 특성으로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FIG. 30,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bias voltage Vcc was varied to 0 V, 0.8 V, and 1.6 V,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the frequency band on the high side, and the frequency was changed only on the low side. As described above,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the foldable L-type antenna 501b and the broadband monopole antenna 501a operate by suppress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and on the elements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501b. By designing only the tuning circuit, it was confirmed that the tuning circuit can be easily changed to a desired resonance characteristic in the low frequency band with little effect on the operation in the high frequency ban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의하면, 안테나 탑재수를 증가하지 않고 앞으로 무선통신장치에서의 사용이 상정되는 무선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광대역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안테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device capable of covering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ystem,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uture, without hav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ennas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miniaturization, and having the sam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be provided.

100, 200, 300, 400, 500 : 안테나 장치
101, 201, 301, 401, 501 : 안테나 엘리먼트
101a, 201a, 301a, 401a, 501a :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101b, 201b, 301b, 401b, 501b : 폴더 L형 안테나
102, 202, 302, 402, 502 : 유전체
103, 203, 303, 403, 503 : 전원공급부
104, 204, 304, 404, 504 : 지판
100, 200, 300, 400, 500: antenna device
101, 201, 301, 401, 501: antenna element
101a, 201a, 301a, 401a, 501a: wideband monopole antenna
101b, 201b, 301b, 401b, 501b: Folder L type antenna
102, 202, 302, 402, 502: dielectric
103, 203, 303, 403, 503: power supply
104, 204, 304, 404, 504: fingerboard

Claims (8)

지판과,
상기 지판의 단부에 배치된 유전체와,
상기 유전체의 한 쪽에 배치된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유전체의 다른 쪽에 배치된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와,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사이에 배치된 전원공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Fingerboard,
A dielectric disposed at an end of the fingerboard;
A foldable L-type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A wideband monopole antenn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electric;
And a power supply disposed between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의 일부는 곡류 형상을 갖고, 상기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일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rt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has a grain shape, and a part of the wideband dipole antenna has a taper shap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지판의 상기 단부의 중간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board.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와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의 일부는 상기 지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part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and the wideband monopole antenna are arranged near the fingerboard.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L형 안테나는 복수의 가변 용량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튜너블 회로를 갖고,
상기 튜너블 회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바이패스 전압이 가변하면, 상기 가변 용량 다이오드의 용량이 가변되어 상기 폴더 L형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oldable L-type antenna has a tunable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able capacitance diodes,
And the tunable circuit adjust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oldable L-type antenna by varying the capacitance of the variable capacitance diode when the bypass voltage a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s variable.
제1 항 내지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박판 형상이며, 상기 폴더 L형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의 한 쪽 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는 상기 유전체의 다른 쪽 면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said dielectric is thin in shape, said clamshell L antenna is disposed on one side of said dielectric, and said wideband monopole antenna is disposed at an end of said other side of said dielectric.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프린트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the dielectric is formed using a printed board.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100090029A 2009-12-11 2010-09-14 Antenna device KR2011006683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1717A EP2333901A3 (en) 2009-12-11 2010-11-18 Antenna device
US12/928,117 US20110140978A1 (en) 2009-12-11 2010-12-03 Antenn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2113A JP5586933B2 (en) 2009-12-11 2009-12-11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JPJP-P-2009-282113 2009-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38A true KR20110066838A (en) 2011-06-17

Family

ID=4428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029A KR20110066838A (en) 2009-12-11 2010-09-14 Antenna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86933B2 (en)
KR (1) KR2011006683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2216A (en) * 2012-02-02 2013-08-19 Smk Corp Antenna device
JP6341602B2 (en) * 2014-06-06 2018-06-13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Broadband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0916A (en) * 2000-09-22 2002-04-05 Taiyo Yuden Co Ltd Method for adjusting dielectric antenna and the dielectric antenna
JP4432254B2 (en) * 2000-11-20 2010-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Surface mount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4140496A (en) * 2002-10-16 2004-05-13 Taiyo Yuden Co Ltd Dielectric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ontaining the same
JP2004186731A (en) * 2002-11-29 2004-07-02 Tdk Corp Chip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292396A (en) * 2005-10-17 2008-10-22 日本电气株式会社 Antenna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4775770B2 (en) * 2006-07-13 2011-09-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ANTENNA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6933B2 (en) 2014-09-10
JP2011124878A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227B1 (en) Adjustable multiband antenna
FI120427B (en) Adjustable multiband antenna
US8736509B2 (en) Multiband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7629931B2 (en) Antenna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t frequencies
KR100533624B1 (en) Multi band chip antenna with dual feeding port,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77440B1 (en) Antenna and wireless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6819290B2 (en) Variable multi-band planar antenna assembly
Komulainen et al. A frequency tuning method for a planar inverted-F antenna
US20080231526A1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Unit Employing It
US20120056795A1 (en) Antenna matching circuit, antenna device, and method of designing antenna device
US20100295737A1 (en) Adjustable Multiband Antenna and Methods
EP2704253A1 (e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therein
EP1894274B1 (en) Planar antenna assembly with impedance matching and reduced user interaction, for a rf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40081148A (en) Tunabl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70007966A (en) Multi-band antenna, circuit substrat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2714347A (en) Adjustable antenna
KR20070052292A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such an antenna device
CN111786134B (e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JP2001284954A (en) Surface mount antenna, frequency control and setting method for dual resonance therefo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provided with surface mount antenna
CN112421211B (en) Antenna and electronic equipment
EP2333901A2 (en) Antenna device
JP2013017112A (en)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66838A (en) Antenna device
Yoon et al. A frequency-selecting technique for mobile handset antennas based on capacitance switching
CN118156768A (en) Antenn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