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448A -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448A
KR20110066448A KR1020090123107A KR20090123107A KR20110066448A KR 20110066448 A KR20110066448 A KR 20110066448A KR 1020090123107 A KR1020090123107 A KR 1020090123107A KR 20090123107 A KR20090123107 A KR 20090123107A KR 20110066448 A KR20110066448 A KR 2011006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adhesiv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448A/ko
Priority to JP2010097883A priority patent/JP5398628B2/ja
Priority to US12/962,607 priority patent/US20110143193A1/en
Priority to CN201010589205XA priority patent/CN102097651A/zh
Priority to EP10194759A priority patent/EP2333869A1/en
Publication of KR2011006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전지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와 분리되며 상기 제 1케이스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 사이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의 휴대용 무선 기기 제품이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전지에 비해 경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금속의 캔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 캔의 일 측면은 통상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캔 내부에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을 주입한다. 그리고, 개구에 해당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캡조립체로 캔을 마감하여 밀봉된 베어셀(Bare cell)을 형성한다.
하지만, 캔을 이용하여 이차전지를 형성하는 경우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캔을 사용하는 경유 전극 조립체의 삽입과정, 각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용접과정을 등을 거치게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캔을 사용하는 경우 전극탭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하여 캡 플레이트 등 다수의 부품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캔을 사용하는 경우 캔 내부의 온도상승에 대응하여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과 수분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이 전해질은 리튬염을 함유하는 고체 폴리머의 형태일 수도 있고,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액상이거나, 액상의 전해질이 세퍼레이터에 함침된 형태일 수 있다. 이 중, 세퍼레이터 역할을 동시에 하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이나 세퍼레이터에 함침된 전해질의 경우 누액의 위험이 적으므로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의 케이스로 파우치가 사용될 수 있다.
파우치 케이스는 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캔에 비해 가볍고, 부피도 덜 차지하며, 전지의 형상이나 기기 내 설치 방법에서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파우치 케이스는 매우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내부에 수납된 전극조립체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제로, 파우치 케이스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구멍등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파우치 케이스 내부의 전극조립체는 전지의 초기 충방전에 따라 전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는 스웰링 현상에 의하여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극조립체의 전극판들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전극판들이 양측의 파우치 케이스 방향으로 부풀어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양극판과 음극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단락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극 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온전지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와 분리되며 상기 제 1케이스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 사이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는 120 내지 200℃의 융점을 갖는다. 상기 접착제는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이다.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 1단차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1케이스쪽으로 신장되며 상기 제 1단차부에 안착되는 제 2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돌출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제 2단차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 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 1케이스와 평행하게 신장되는 제 2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돌출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케이스와 결합된다.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 2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1돌출부 및 제 2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제 3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의한 리튬 이차전지에 의하면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가 결합되어 하우징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금속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조립체를 안정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스웰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본원 발명에서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소정의 융점을 가지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전극 조립체가 제 1극판과 제 2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는 제 1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 2극판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는 소정 전류를 생성하는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가 수납되는 하우징(20)을 구비한다.
전극조립체(10)는 제 1극판과 제 2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다. 제 1극판에는 제 1전극탭(12a)이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10)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제 2극판에는 제 2전그탭(12b)이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10)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전극조립체(10)에서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이 전극조립체(10)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라미네이션 테이프(11a, 11b)가 감겨져 있다. 라미네이션 테이프(11a, 11b)는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고, 제1 전극탭(12a) 또는 제2 전극탭(12b)의 가장자리에 의해 전극조립체(10)가 압박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은 하우징(20)과 결합시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이 하우징(20)과 맞닿 는 부분에는 절연 테이프(13)가 접착된다. 여기서, 하우징(20)과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은 접착제(즉, 절연물질)에 의하여 접착되기 때문에 절연 테이프(13)는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20)은 전극조립체(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케이스(22)와, 전극조립체(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2케이스(24)를 구비한다.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10)를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제 1케이스(22)에는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홈(40a) 및 제 2홈(40b)이 구비된다. 또한, 제 2케이스(24)에는 제 1홈(40a)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 3홈(40c)과, 제 2홈(40b)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 4홈(40d)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1홈(40a) 내지 제 4홈(40d)은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의 결합시에 제 1전극탭(12a) 및 제 2전극탭(12b)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을 형성한다.
상술한 본원 발명에서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가 결합되어 하우징(20)이 형성된다. 이 경우, 하우징(2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10)를 삽입하는 공정 등이 단순화되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는 금속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위부의 충격으로부터 전극조립체(10)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스웰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 다.
더불어, 본원 발명은 소정의 온도에서 융점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한다. 이 경우, 하우징 내부(10)의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가 오픈되고, 이에 따라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일측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케이스(22)의 측면은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신장되는(즉, 제 2케이스(24)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28a)와, 제 1돌출부(28a)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 1단차부(26a)를 구비한다. 제 2케이스(22)의 측면은 제 1케이스(22)쪽으로 신장되는 제 2돌출부(28b)와, 제 2돌출부(28b)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제 2단차부(26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의 결합시 제 1돌출부(28a)는 제 2단차부(26b)에 안착되며, 제 2돌출부(28b)는 제 1단차부(26a)에 안착된다. 이 경우,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돌출부(28a의 외측면 및 제 2돌출부(28b)의 내측면에는 접착제(30)가 도포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30)는 120℃ 내지 200℃ 사이의 융점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접착제(30)는 120℃ 내지 200℃ 사이의 융점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 로 선택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 발명에서 접착제(30)는 하우징(2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때 폭발을 방지하기 위히여 200℃ 이하의 융점을 가지는 물질로 선택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일반적은 사용환경에서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의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12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물질로 선택된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에서 접착제(30)는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 PE),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 PP) 또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 CPP)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방식, 즉 국부적으로 접착제(30)만을 가열함으로써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조립체(10)로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제(30)를 가열함으로써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일측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 각각의 측면(50, 52)은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50, 52)의 측면은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 성된다.
결합과정에서 제 1케이스(22)는 제 2케이스(24)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제 1케이스(22)는 측면(50)의 외측에 접착제(30)가 도포되고, 제 2케이스(24)는 측면(52)의 내측에 접착제(30)가 도포된다. 따라서, 제 2케이스(24)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제 1케이스(22)는 접착제(30)에 의하여 제 2케이스(24)에 결합된다. 한편, 접착제(30)의 특징 및 물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일측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케이스(22)의 측면은 제 2케이스(24)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54a)와, 제 1돌출부(54a)의 끝단으로부터 제 1케이스(22)의 내측으로 신장되는 제 2돌출부(54b)를 구비한다.
제 1케이스(22)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 1돌출부(54a)는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그 높이가 결정된다.
제 1돌출부(54a)의 끝단에서 제 1케이스(22)의 내측으로 신장되는 제 2돌출부(54b)는 제 2케이스(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 2케이스(24)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돌출부(54b) 상에는 접착제(30)가 도포된다. 그리고, 제 2케이스(24)에서 제 2돌출부(54b)와 접착되는 부분에도 접착제(30)가 도포된다.
결합과정에서, 제 2케이스(24)는 제 2돌출부(54b)에 안착되며, 이후 접착제(30)에 의하여 결합된다. 한편, 접착제(30)의 특징 및 물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일측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케이스(24)는 측면(또는 제 3돌출부(58))은 제 1케이스(22) 쪽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케이스(24)는 측면에 위치되며 제 2케이스(24)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56a) 및 제 2돌출부(56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돌출부(56a) 및 제 2돌출부(56b)는 제 3돌출부(5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결합 과정에서 제 3돌출부(58)가 제 1 및 제 2돌출부(56a, 56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접착제(30)에 의하여 결합된다. 접착제(30)의 특징 및 물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설명할 때 접착제(30)가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 모두에 도포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제(30)는 제 1케이스(22)또는 제 2케이스(24)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 일측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극탭들(12a, 12b)이 노출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삼측면이 도 2 내지 도 5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는 하우징과 전극탭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결합과정에서 제 1케이스(22)에 위치된 제 1홈(40a) 및 제 2홈(40b) 각각은 제 2케이스(24)에 위치된 제 3홈(40c) 및 제 4홈(40d)과 대향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제 1홈(40a) 및 제 3홈(40c)의 사이에는 제 1전극탭(12a)이 위치되고, 제 2홈(40b) 및 제 4홈(40d)의 사이에는 제 2전극탭(12b)이 위치된다.
이후, 접착제(30)에 의하여 제 1케이스(22) 및 제 2케이스(24)가 결합된다. 이때, 접착제(30)는 절연 테이프(13)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전극탭들(12a, 12b)을 하우징(2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에서 전극탭들(12a, 12b)은 결합과정에서 접착제(30)에 의하여 하우징(20)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 접착제(30)는 절연물질로 선택되기 때문에 전극탭들(12a, 12b)에서 절연 테이프(13)는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할 때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함과 아 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가 수납되는 하우징(8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는 하우징(80)의 일측면에 결합되도록 위치되는 플레이트(60)를 구비한다.
하우징(80)은 전극조립체(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케이스(72)와, 전극조립체(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2케이스(7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 1케이스(72) 및 제 2케이스(74)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10)를 보호한다.
여기서, 하우징(80)은 전극 조립체(10)의 전극탭들(12a,12b)이 노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 1케이스(72) 및 제 2케이스(7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되어 하우징(80)을 형성한다.
플레이트(60)는 제 1관통홀(62a) 및 제 2관통홀(62b)을 구비한다. 제 1관통홀(62a)은 하우징(80)과 겹합시 제 1전극탭(12a)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 2관통홀(62b)은 하우징(80)과 결합시 제 2전극탭(12b)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60)는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하우징(80)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 방식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하우징과 전극탭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튬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극조립체 11a,11b : 라미네이션 테이프
12a,12b : 전극탭 13 : 절연 테이프
20,80 : 하우징 22,24,72,74 : 케이스
40a,40b,40c,40d : 홈 26a,26b : 단차
28a,28b,54a,54b,56a,56b,58 : 돌출부 30 : 접착제
50,52 : 측면 60 : 플레이트
62a,62b : 관통홀

Claims (15)

  1.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와 분리되며 상기 제 1케이스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 사이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120 내지 200℃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고분자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 1단차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1케이스쪽으로 신장되며 상기 제 1단차부에 안착되는 제 2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돌출부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제 2단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 1케이스와 평행하게 신장되는 제 2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돌출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케이스 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2케이스쪽으로 신장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제 2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케이스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제 1돌출부 및 제 2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제 3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탭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 각각에는 상기 홈과 중첩되는 부부에 절연 테이프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은 상기 홈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외부에 노출되며, 상 기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와 절연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탭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홀들을 구비하며, 개방된 상기 일측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 1케이스 및 제 2케이스 각각의 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KR1020090123107A 2009-12-11 2009-12-11 리튬 이차전지 KR2011006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07A KR20110066448A (ko) 2009-12-11 2009-12-11 리튬 이차전지
JP2010097883A JP5398628B2 (ja) 2009-12-11 2010-04-21 リチウム二次電池
US12/962,607 US20110143193A1 (en) 2009-12-11 2010-12-07 Lithium secondary battery
CN201010589205XA CN102097651A (zh) 2009-12-11 2010-12-10 锂二次电池
EP10194759A EP2333869A1 (en) 2009-12-11 2010-12-13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07A KR20110066448A (ko) 2009-12-11 2009-12-11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448A true KR20110066448A (ko) 2011-06-17

Family

ID=4359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107A KR20110066448A (ko) 2009-12-11 2009-12-11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43193A1 (ko)
EP (1) EP2333869A1 (ko)
JP (1) JP5398628B2 (ko)
KR (1) KR20110066448A (ko)
CN (1) CN1020976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34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특정 온도의 융점 또는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90029683A (ko) * 2016-07-19 2019-03-2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3층 접착 연결부를 통해 서로 밀봉 접착된 하우징 구성요소를 구비한 배터리셀과, 그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70698A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US10770694B2 (en) 2014-09-25 2020-09-08 Lg Chem, Ltd. Prismatic battery cell having two or more case members
WO2022220535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0578B2 (en) * 2010-03-09 2016-01-1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5589737B2 (ja) * 2010-10-07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96964B1 (ko) * 2011-02-10 2013-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4145350B (zh) * 2012-02-29 2017-07-21 日新制钢株式会社 层叠式电池的外壳件、层叠式电池的外壳件的制造方法、以及层叠式电池的制造方法
KR101698770B1 (ko) * 2012-03-23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861524B2 (ja) * 2012-03-23 2016-02-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DE102012217406A1 (de) 2012-09-26 2014-04-1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in Gehäuse formschlüssig fixierter Deckplatte
DE102012218188B4 (de) * 2012-10-05 2021-09-02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in Gehäuse durch Einkleben fixierter Deckplatte
KR101514827B1 (ko) * 2013-02-26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3213551A1 (de) * 2013-07-11 2015-01-15 Robert Bosch Gmbh Aufnahmevorrichtung, Batterie und Kraftfahrzeug
KR101637891B1 (ko) * 2013-09-05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각형 전지셀
DE102013224702A1 (de) 2013-12-03 2015-06-03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CN104167518B (zh) * 2014-08-06 2017-12-19 丁家俊 电池外壳、电芯、电池及其装配方法
DE102014217296A1 (de) * 2014-08-29 2016-03-03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einem Gehäuse aus Halbschalen
DE102015202894A1 (de) * 2015-02-18 2016-08-18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EP3098874A1 (de) * 2015-05-29 2016-11-30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Zellengehäuse für eine batteriezelle,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ellengehäuses für eine batteriezelle
US11901573B2 (en) * 2016-11-15 2024-02-13 American Battery Solutions, Inc. Non-welding joinder of exterior plates of a battery module
EP3364479B1 (fr) * 2017-02-21 2020-11-2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ile, notamment pile bouto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2471092B1 (ko) * 2019-07-18 2022-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지팩
WO2021015461A1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475180B1 (ko) * 2019-07-19 2022-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0880564A (zh) * 2019-10-28 2020-03-13 宜兴市惠华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锂电池外壳以及应用该外壳的壳盖
EP4164038A4 (en) * 2020-07-02 2023-09-20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CN114335822B (zh) * 2020-09-24 2023-10-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芯组件及其制备方法、电池、装置
WO2022070565A1 (ja) * 2020-09-30 2022-04-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KR20220168281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전지팩 케이스
DE102021208034A1 (de) 2021-07-26 2023-0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nergiezelle sowie Energiezelle
DE102022103702A1 (de) 2022-02-17 2023-08-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DE102022107329A1 (de) 2022-03-29 2023-10-05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087A (ja) * 1997-03-27 1998-10-09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00003B1 (en) * 1997-12-09 2001-10-09 Sudhan S. Misra Modular battery assembly with thermal management system
US6110618A (en) * 1998-02-27 2000-08-29 Motorola, Inc. Battery cell housing
EP1035598A4 (en) * 1998-09-01 2007-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INFUL CEL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3165417B2 (ja) * 1998-09-01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ン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59216U (ja) * 1998-11-20 1999-07-0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運動用具用包装体
KR100300428B1 (ko) * 1999-05-06 2001-09-26 김순택 이차전지
JP2001266952A (ja) * 2000-03-23 2001-09-28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6644B2 (ja) * 2000-04-04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13474B2 (en) * 2000-04-06 2003-09-02 Wilson Greatbatch Ltd.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casing of mating portions
KR20020039097A (ko) * 2000-11-20 2002-05-25 이원재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전극 탭
US7201997B2 (en) * 2000-12-28 2007-04-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4148458B2 (ja) * 2002-04-17 2008-09-1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
US20040062985A1 (en) * 2002-09-30 2004-04-01 Aamodt Paul B. Contoured battery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0048295A (ko) * 2002-12-02 2004-06-07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KR100553753B1 (ko) * 2003-10-16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6040596A (ja) * 2004-07-23 2006-02-09 Hitachi Maxell Ltd 扁平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2005011217D1 (de) * 2004-09-22 2009-01-08 Samsung Sdi Co Ltd Kompositmaterialband für sekundäre Lithiumbatterien und sekundäre Lithiumbatterien dieses verwendend
US20060099501A1 (en) * 2004-10-28 2006-05-11 Kim Ka Y Secondary battery
KR100614358B1 (ko) * 2004-10-2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이차 전지
CN2772044Y (zh) * 2004-11-18 2006-04-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
JP4720172B2 (ja) * 2004-12-10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KR100686807B1 (ko) * 2005-03-25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CN1983667A (zh) * 2005-12-13 2007-06-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一种锂离子电池多重保护安全装置
US8507132B2 (en) * 2006-09-19 2013-08-13 Sony Corporation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it, and battery
KR100824876B1 (ko) * 2006-09-28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080206636A1 (en) * 2007-02-21 2008-08-28 Riken Technos Corporation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a laminate housing material
JP4358245B2 (ja) * 2007-03-09 2009-11-0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式電子機器
KR100876270B1 (ko) * 2007-03-19 2008-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80130B1 (ko) * 2007-03-26 2011-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누출시 안전성이 보장된 전지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694B2 (en) 2014-09-25 2020-09-08 Lg Chem, Ltd. Prismatic battery cell having two or more case members
KR20190029683A (ko) * 2016-07-19 2019-03-20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3층 접착 연결부를 통해 서로 밀봉 접착된 하우징 구성요소를 구비한 배터리셀과, 그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25734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특정 온도의 융점 또는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200070698A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0122353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US11335966B2 (en) 2018-12-10 2022-05-17 Lg Energy Solution, Ltd.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WO2022220535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4204A (ja) 2011-06-23
US20110143193A1 (en) 2011-06-16
CN102097651A (zh) 2011-06-15
JP5398628B2 (ja) 2014-01-29
EP2333869A1 (en)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448A (ko) 리튬 이차전지
US1010983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81188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0411241B2 (en) Battery including an insulation spacer
US8546005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955934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US9123929B2 (en) Secondary battery
US9455479B2 (en) Rechargable battery having a fuse
KR1006015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210021844A (ko) 이차전지
KR100696784B1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68420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121205B1 (ko) 이차전지
US11217830B2 (en) Battery pack
KR101114781B1 (ko) 이차 전지의 화성 처리층을 이용한 안전 장치
KR102164973B1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50115510A (ko) 이차 전지
KR100614385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887394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fluorescent coating layer
KR20040022919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KR20110035483A (ko) 이차 전지
KR20180001884A (ko) 이차전지
KR20060087182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KR102197997B1 (ko) 이차전지
KR101446152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