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046A - Audio visual system - Google Patents

Audio visu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046A
KR20110064046A KR1020090120465A KR20090120465A KR20110064046A KR 20110064046 A KR20110064046 A KR 20110064046A KR 1020090120465 A KR1020090120465 A KR 1020090120465A KR 20090120465 A KR20090120465 A KR 20090120465A KR 20110064046 A KR20110064046 A KR 20110064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s
angle
output unit
audio vis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1294B1 (en
Inventor
박승민
Original Assignee
박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민 filed Critical 박승민
Priority to KR1020090120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294B1/en
Publication of KR2011006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PURPOSE: An audio visual system is provided to offer realistic image and sound for a listener by accurately matching a direction of the sound outputted by a speaker with a location of an object of an image displayed on a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CONSTITUTION: A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110) displays an image. A plurality of speakers(120) are arranged in a back side of the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A plurality of speakers have two dimensional array configuration. A min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primary two speakers is more than the first angle which is a minimum angle for distinguishing the sound direction. A max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secondary speakers is less than the second angle which enables a user to feel continuously movement of the sound. The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pixel and a plurality of cells made of holes for sound penetration.

Description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AUDIO VISUAL SYSTEM}Audio visual system {AUDIO VISUAL SYSTEM}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AUDIO VISUAL SYSTEM}Audio visual system {AUDIO VISUAL SYSTEM}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영상과 소리를 출력한다.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거나 또는 스크린을 통해 영사기(또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크린 후면에 배치된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visual system outputs video and sound. The audio visual system may output an image through a panel of the display device or display an image projected from a projector (or projector) through a screen. In addition, the audio visual system may output sound through a display system or a speaker system disposed behind the screen.

실시예들 중에서,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음성(sound penetration) 영상출력부 및 상기 투음성 영상출력부의 후면에 배치하고, 2차원 어레이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설계된 가상 청취자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인접한 제1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소 수평각은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각인 제1 각 이상이고, 제2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대 수평각은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는 제2 각 이하이다.Among the embodiments, the audio visual system includes a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plurality of speaker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acoustic image output unit and having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The min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first two speakers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designed virtual listener posi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that is the minimum angle that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nd the max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second two speakers indicates the movement of the sound. It is below the 2nd angle which can feel continuously.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 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nd / o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given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ny combination of the possible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but not to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 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the identifiers (e.g., a, b, c, ...)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is clearly contextual. Unless stated in a specific order,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100)은 투음성(Sound Penetration) 영상출력부(110) 및 복수의 스피커들(120)을 포함하고,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투음성 영상출력부(110)의 후면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n audio visual system 100 includes a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110 and a plurality of speakers 120, and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include a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I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110.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후면에 배치된 스피커들(12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통과시킨다. 투음성 영상 출력부(110)는 투음을 위한 복수의 홀(hole)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피커들(120)에서 출력된 소리는 복수의 홀들을 통해 투음성 영상출력부(110)의 전면 방향으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다.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displays an image and passe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s 120 disposed at the rear side. The sound absorbing image output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 sound absorption. The sound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be better transmitted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설계된 가상 청취자 위치를 기준으로 가상 청취자가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고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는 2차원 어레이 구조로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in which the virtual listener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nd feel the movement of the sound continuously based on the designed virtual listener position.

도 2는 도 1의 투음성 영상출력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스캔 구동회로(210), 데이터 구 동회로(220) 및 패널(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includes a scan driving circuit 210, a data driving circuit 220, and a panel 230.

일 실시예에서,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234) 및 투음을 위한 홀(hole)(236)로 구성된 복수의 셀(cell)들(23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AMOLED(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응할 수 있다.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홀(236)을 포함하더라도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ells 232 composed of at least one pixel 234 and a hole 236 for sound transmission. May correspond. For example,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may correspond to an AMOLED (Active Matrix OLED) display panel. This is because the AMOLED display panel may display an image unlike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even though the AMOLED display panel includes the hole 236.

스캔 구동회로(210)는 스캔 라인(212)을 통해 셀들(232)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회로(220)는 데이터 라인(222)을 통해 셀들(232)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패널(230)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234) 및 투음을 위한 홀(236)로 구성된 복수의 셀들(232)을 포함하고, 셀들(232)을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The scan driving circuit 210 applies a scan signal to the cells 232 through the scan line 212, and the data driving circuit 220 applies a data signal to the cells 232 through the data line 222. The panel 230 includes a plurality of cells 232 composed of at least one pixel 234 and a hole 236 for sound transmission, and displays an image through the cells 232.

셀들(232)은 각각 3가지 색깔(R, G, B)의 화소(234) 및 홀(236)을 포함하고, 스캔 라인(212)과 데이터 라인(222)을 통해 스캔 구동회로(210) 및 데이터 구동회로(220)와 각각 연결된다. 홀(236)은 스피커들(120)에서 출력된 소리를 투과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홀(236)의 크기는 셀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홀(236)의 크기는 화소(234) 한 개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화소(234) 한 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cells 232 include pixels 234 and holes 236 of three colors (R, G, B), respectively, and the scan driving circuit 210 and the scan line 212 and the data line 222. It is connected to the data driving circuit 220, respectively. The hole 236 transmit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s 120.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hole 236 may be smaller than the cell. For example, the size of the hole 236 may be equal to the size of one pixel 234 or smaller than the size of one pixel 234.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서 설명된 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ell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3 내지 도 5 각각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셀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each of FIGS. 3 to 5, the cel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3을 참조하면, 한 개의 셀(310)은 2개의 레드(R) 화소들, 1개의 그린(G) 화소, 2개의 블루(B) 화소들 및 1개의 홀(H)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화소는 정사각형이고 각 화소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의 크기는 각 화소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one cell 310 includes two red (R) pixels, one green (G) pixel, two blue (B) pixels, and one hole (H). In one embodiment, each pixel is square and the size of each pixel may be the same.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hole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each pixel.

도 4를 참조하면, 한 개의 셀(410)은 레드(R) 화소, 그린(G) 화소, 블루(B) 화소 및 홀(H)을 각각 1개씩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화소는 직사각형이고 각 화소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의 크기는 각 화소의 크기와 동일할 수도 있고 각 화소의 크기와 다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one cell 410 includes one red (R) pixel, one green (G) pixel, one blue (B) pixel, and one hole (H). In one embodiment, each pixel is rectangular and the size of each pixel may be the same.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hole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each pixel or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each pixel.

도 5를 참조하면, 한 개의 셀(510)은 홀을 포함하는 제1 서브 셀(510a)과 홀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서브 셀(510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셀(510a)은 2개의 레드(R) 화소들, 1개의 그린(G) 화소, 2개의 블루(B) 화소들 및 1개의 홀(H)을 포함하고, 제2 서브 셀(510b)은 2개의 레드(R) 화소들, 2개의 그린(G) 화소들 및 2개의 블루(B) 화소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화소는 정사각형이고 각 화소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의 크기는 각 화소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one cell 510 may include a first subcell 510a including a hole and a second subcell 510b not including a hole. The first subcell 510a includes two red (R) pixels, one green (G) pixel, two blue (B) pixels, and one hole (H), and the second subcell 510b. ) Includes two red (R) pixels, two green (G) pixels, and two blue (B) pixels. In one embodiment, each pixel is square and the size of each pixel may be the same. 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hole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each pixel.

도 6은 도 1의 투음성 영상출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of FIG. 1.

도 6은 가상 청취자(630)가 방(room)(610)에서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100)을 통하여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였다.FIG. 6 assumes that the virtual listener 630 is watching an image through the audio visual system 100 in a room 610.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100)은 투음성 영상출력부(110) 및 스피커들(120)을 포함하고,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영사기(620)로부터 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to FIG. 6, the audio visual system 100 includes a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and speakers 120, and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displays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620. do.

도 7은 도 6의 투음성 영상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투음성 영상출력부(110)는 외부로부터 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710)을 포함하고, 스크린(710)은 투음을 위한 균일한 밀도의 홀(hole)들(7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들(720)은 2차원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피커들(120)에서 출력된 소리는 홀들(720)을 통해 스크린(710)의 전면 방향으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110 includes a screen 710 for display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outside, and the screen 710 has holes 720 of uniform density for sound absorption. ). In one embodiment, the holes 720 may be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Sound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be better transmitted to the front direction of the screen 710 through the holes 720.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의 스피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speakers of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X, Y인 영역에 배치되고, 가상 청취자(810)는 복수의 스피커들(120)과 D만큼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are disposed in regions where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and the vertical are X and Y, respectively, and the virtual listener 810 is located at a distance D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2차원 어레이 구조로 배열된다.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설계된 가상 청취자(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상 청취자(130)가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고, 가상 청취자(130)가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는 2차원 어레이 구조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가상 청취자(130)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기초로 해당 소리가 출력되는 방향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스피커들 사이에 일정 시간 차이로 소리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가상 청취자(130)는 소리의 방향이 이동한 것으로 느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have two directions in which the virtual listener 130 may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the sound based on the designed position of the virtual listener 130, and the virtual listener 130 may continuously sense the movement of the sound. Arranged in a dimensional array structure. For example, the virtual listener 130 may distinguis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sound is output based on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n addition, when the sound is output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akers, the virtual listener 130 may feel that the direction of the sound has moved.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가상 청취자(130)의 위치를 기준으 로 수평으로 인접한 제1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소 수평각이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각인 제1 각 이상이 되도록 스피커 시스템(110)에 배치된다. 가상 청취자(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수평각은 스피커 시스템(1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므로, 스피커 시스템(110)의 중심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120a)와 그 다음으로 먼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120b) 사이의 수평각(a)이 최소 수평각이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include a first angle at which a min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wo horizontally adjacent first speaker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stener 130 is a minimum angle capable of distinguishing a direction of sound. It is arranged in the speaker system 110 to be above. Since the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two speaker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stener 130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peaker system 110 decreases, the speaker 120a disposed at the position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speaker system 110. Next, the horizontal angle a between the speakers 120b disposed at the far position becomes the minimum horizontal angle.

따라서, 해당 스피커들(120a, 120b) 간의 수평각(a)이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각인 제1 각 이상이 되도록 스피커를 배치한다. 해당 스피커들(120a, 120b) 간의 수평각이 제1 각인 경우에는 해당 스피커들(120a, 120b) 사이의 수평 거리는 L1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각인 제1 각은 3°에 상응할 수 있다. 인간의 청각 시스템은 소리의 출처들 사이의 각이 3° 이상이 되는 경우에 소리의 출처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speaker is disposed such that the horizontal angle a between the speakers 120a and 120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angle that is a minimum angle that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sound. When the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speakers 120a and 120b is the first angl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peakers 120a and 120b may correspond to L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gle, which is the minimum angle that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sound, may correspond to 3 °. The human auditory system can distinguish between sources of sound when the angle between the sources of sound is greater than 3 °.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피커들(120)은 가상 청취자(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인접한 제2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대 수평각이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는 최대각인 제2 각 이하가 되도록 스피커 시스템(110)에 배치된다. 가상 청취자(130)의 위치를 기준으로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수평각은 스피커가 스피커 시스템(110)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므로, 스피커 시스템(110)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120c)와 그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120d) 사이의 수평각(b)이 최대 수평각이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eakers 120 may include a second angle at which a max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wo horizontally adjacent speaker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stener 130 is a maximum angle at which sound movement may be continuously felt. The speaker system 110 is disposed below. Since the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two speaker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rtual listener 130 increases as the speaker gets closer to the center of the speaker system 110, the speaker 120c disposed at the position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speaker system 110. ) And the next horizontal angle (b) between speakers 120d disposed at the closest position is the maximum horizontal angle.

따라서, 해당 스피커들(120c, 120d) 간의 수평각(b)이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 로 느낄 수 있는 최대각인 제2 각 이하가 되도록 스피커들을 배치한다. 해당 스피커들(120c, 120d) 간의 수평각이 제2 각인 경우에는 해당 스피커들(120c, 120d) 사이의 수평 거리는 L2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리의 이동을 느낄 수 있는 최대각인 제2 각은 10°에 상응할 수 있다. 사이의 각이 10° 이상인 소리의 출처들 사이에 시간 차이를 두고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은 소리가 이동한 것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speakers are arranged such that the horizontal angle b between the corresponding speakers 120c and 120d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angle, which is the maximum angle at which the movement of the sound can be continuously felt. When the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speakers 120c and 120d is the second angle,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peakers 120c and 120d may correspond to L2.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ngle, which is the maximum angle at which movement of the sound can be felt, may correspond to 10 °. This is because the human auditory system is less likely to feel the movement of the sound if it occurs with a time difference between sources of sound with an angle of more than 10 °.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수평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스피커 시스템에(110)에 배치된 각 스피커들의 수평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 개의 스피커들 사이의 수평 거리(L1)와 제2 두 개의 스피커들 사이의 수평 거리(L2)는 동일한 값일 수 있고, 나머지 스피커들의 수평 거리도 동일한 값(L1(=L2))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청취자(130)는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고 동시에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speakers may be equal to each other. That is, the horizontal distances of the speakers arranged in the speaker system 110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horizontal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two speakers and the horizontal distance L2 between the second two speakers may be the same value, and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remaining speakers is also the same value L1 (= L2). May be)). Thus, the virtual listener 130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nd at the same time can feel the movement of the sound continuously.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청취자가 투음성 영상 출력부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면서 소리의 방향을 정확하게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투음성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객체의 위치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방향을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고, 청취자에게 현실적인 영상과 소리를 제공 할 수 있다.The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allow a listener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sound while viewing an image through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objec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image output unit and the directio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precisely matched, and the listener can provide a realistic image and sound.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은 청취자가 투음성 영상 출력부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면서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투음성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객체의 이동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이동을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고, 청취자에게 현실적인 영상과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The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allow a listener to continuously feel the movement of sound while watching an image through the transmissive image output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atch the movement of the objec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image output unit with the move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and provide a realistic image and sound to the listen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의 스피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aker system of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udio visual system including the speaker system of FIG. 1.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ell of FIG. 2.

도 6은 도 1의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udio visual system including the speaker system of FIG. 1.

도 7은 도 6의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audio visual system of FIG. 6.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의 스피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speakers of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Claims (6)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투음성(sound penetration) 영상출력부; 및A sound penetration image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상기 투음성 영상출력부의 후면에 배치하고, 2차원 어레이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하고,Arranged on the back of the sound-absorbing image output unit,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speakers having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설계된 가상 청취자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인접한 제1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소 수평각은 소리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각인 제1 각 이상이고, 제2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최대 수평각은 소리의 이동을 연속으로 느낄 수 있는 제2 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반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The min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first two horizontally adjacent speakers based on the designed virtual listener posi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ngle that is the minimum angle that can distinguish the direction of the sound, and the maximum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second two speakers indicates the movement of the sound. An image-based audio visu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a second angle that can be felt continuou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음성 영상출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absorbing video output unit 적어도 하나의 화소 및 투음을 위한 홀(hole)로 구성된 복수의 셀(cell)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An audio visual system corresponding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ells composed of at least one pixel and holes for perme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음성 영상출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absorbing video output unit 외부로부터 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투음을 위한 균일한 밀도의 홀(hole)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And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screen includes holes of uniform density for permea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은 3 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4.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first angle corresponds to three degre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은 10 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4. An audio visua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econd angle corresponds to 1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스피커들 간의 수평 거리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The audio visual system of claim 1, wherein horizontal distances between two adjacent ones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re equal to each other.
KR1020090120465A 2009-12-07 2009-12-07 Audio visual system KR101161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65A KR101161294B1 (en) 2009-12-07 2009-12-07 Audio visu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65A KR101161294B1 (en) 2009-12-07 2009-12-07 Audio visu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46A true KR20110064046A (en) 2011-06-15
KR101161294B1 KR101161294B1 (en) 2012-07-04

Family

ID=4439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65A KR101161294B1 (en) 2009-12-07 2009-12-07 Audio visu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2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958B2 (en) 2010-03-23 2018-12-1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7269B2 (en) 1999-11-02 2002-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Transmission screen and rear projector using the same
JP2005117267A (en) * 2003-10-06 2005-04-28 Sony Corp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scree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jection scre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958B2 (en) 2010-03-23 2018-12-1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US10499175B2 (en) 2010-03-23 2019-12-0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dio reproduction
US10939219B2 (en) 2010-03-23 2021-03-0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dio reproduction
US11350231B2 (en) 2010-03-23 2022-05-3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dio re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294B1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643B1 (en) Permeable display device for sound output with object-based position coordinate effect
KR101195929B1 (en) Multi-channel imaging system
US20110157696A1 (en) Display with adaptable parallax barrier
KR101856629B1 (en) A studio and a system for life-size videoconferencing
WO2017012300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resolution of display substrate
JP2008096990A (en) Dual screen display panel
US20140292825A1 (en) Multi-laye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ing it
TR201702620A2 (en) Sound Reproduction Screen
US8384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conferencing among a plurality of locations
US9400627B2 (en) Display including signal transmission scheme using optical interconnection and electrical interconnection
KR20150006331A (en) Prism sheet member and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0477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10123030A1 (en) Dynamic spatial audio zones configuration
US8125578B2 (en) Table type bi-directional imaging apparatus
KR101161294B1 (en) Audio visual system
US956877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birefringence
KR101046959B1 (en) Permeable OLED display panel for sound output with object-based positional coordinate effect
WO2006094780A8 (en) Method for autostereoscopically viewing images and autostereoscopic arrangement
US20110123055A1 (en) Multi-channel on-display spatial audio system
de Vries et al. Audiovisual perception using wave field synthesis in combination with augmented reality systems: horizontal positioning
KR20200120360A (en) transmission type real hologram 3D display system
US10042175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JP2013153421A (en) Display device
CN102750120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emonstration special effect on splicing wall
KR20120014386A (en) Diod module for 3d display and 3d video wall app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