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489A - 선박 접안 유닛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489A
KR20110062489A KR1020090119230A KR20090119230A KR20110062489A KR 20110062489 A KR20110062489 A KR 20110062489A KR 1020090119230 A KR1020090119230 A KR 1020090119230A KR 20090119230 A KR20090119230 A KR 20090119230A KR 20110062489 A KR20110062489 A KR 2011006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link
vessel
eyepiec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순흥
이종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489A/ko
Publication of KR2011006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링크와, 상기 베이스 링크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링크가 상기 수용 공간 측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크에 부착되어 선박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바퀴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유닛에 의하면, 베이스 링크와 슬라이딩 링크 사이의 움직임, 링크 조립체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 접촉 바퀴의 탄성에 의하여 선박의 접안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도, 접촉 바퀴의 회전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인 선박 접안 및 선박 정박이 가능하게 된다.
Figure P1020090119230
이동 항구, 모바일 하버, 자동 접안, 접안 장치

Description

선박 접안 유닛 {VESSEL DOCKING UNIT}
본 발명은 선박 접안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자세히는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선박 접안 유닛 및 상기 선박 접안 유닛이 다수 개 설치되는 선박 접안 시스템, 선박 접안 부유체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 사이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키고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항만 또는 항구가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 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대형 선박을 육지에 마련된 항구의 안벽에 접안 시킬 필요 없이,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관련하여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등록번호 제10-0895604호)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 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해상 부유체인 이동 항구(10)는 크레인(20)을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a)는 이동 항구(10)와 대형 컨테이너선(3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 1(b)는 이동 항구(10)와 육상 부두(4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해상운송은 선박이 항만 또는 해상 부유체에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선박의 접안은 접안될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부터 수동적으로 예인선이나 계류선을 이용하여 접안될 위치까지 선박을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접안 위치 근처에서 계선삭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접안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많은 시간과 절차를 필요로 하고 그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송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선박의 접안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정박된 채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이동 항구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 항구와 컨테이너선 간의 화물 이송을 위한 선박의 접안회수가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대형 컨테이너선에 적재되는 화물을 여러 대의 소형 이동 항구가 분산하여 컨테이너선과 육지에 마련된 항구 사이에서 수송하게 됨에 따라 육상 부두와 이동 항구 사이의 접안 회수도 증가하게 된다. 더불어 해상에서는 바람, 파랑, 또는 조류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요동이 불가결하다고 할 것인 바, 이러한 요동에도 불구하고 해상에 부유하는 이동 항구와 대형 컨테이너선이 서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접안하도록 할 필요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선박을 정박시키는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선박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며 선박을 정박 위치로 안내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링크와, 상기 베이스 링크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링크가 상기 수용 공간 측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 크에 부착되어 선박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바퀴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딩 링크와 상기 베이스 링크는 서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접촉 바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링크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 링크와 상기 조향 링크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조향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링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피봇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향 링크의 길이 변화 시 상기 선박 접안 유닛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링크 조립체 및 상기 링크 조립체에 부착되어 선박과 접촉하는 접촉 바퀴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유닛이 다수 배치되고, 상기 선박 접안 유닛은 선박의 접안 시 충격을 흡수하며 선박이 상기 수용 공간에 정박되도록 안내하는 선박 접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서 피봇 가능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변화될 수 잇다.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가지고, 상기 선박 접안 유 닛이 상기 개방되는 일측에 이웃하는 양 측면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는 상기 접촉 바퀴가 상기 개방되는 일측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개방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선박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부가 방현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안 시스템은 선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선박 접안 유닛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선박의 선형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선박 접안 유닛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선박 접안 유닛이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다수 배치되는 선박 접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박 접안 시스템이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하며 이동 가능한 선박 접안 부유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유닛에 의하면, 베이스 링크와 슬라이딩 링크 사이의 움직임, 링크 조립체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 접촉 바퀴의 탄성에 의하여 선박의 접안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도, 접촉 바퀴의 회전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인 선박 접안 및 선박 정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유닛을 채용한 선박 접안 시스템 및 부유체는 컨테이너선이 정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총 하역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냄으로써, 컨테이너선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시스템에 선박이 정박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며 선박을 정박 위치로 안내할 수 있는 선박 접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박 접안 시스템은 선박의 수용 공간(210)과, 다수의 접안 유닛(100)과, 부가 방현재(220)와,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수용 공간(210)은 항구에 마련되어 내부에 선박(V)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공간이다. 수용 공간(210)은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수용 공간(210)은 슬립식 부두를 형성한다.
접안 유닛(100)은 수용 공간(210)의 개방되는 일측에 이웃하는 양 측면에 다수 배치된다. 접안 유닛(100)은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접안 유닛(100)은 수용 공간(210)의 개방되는 일측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접안 유닛(100)은 선박(V)과 접촉하며 선박의 접안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부가 방현재(220)는 개방되는 일측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부가 방현재(22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선박(V)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부가 방현재(220)는 V자 형태로 구성되어 선박(V)의 선수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선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선박 접안 유닛(100)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선박의 선형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에서의 자동 제어는 액추에이터와 센서 등 일반적인 제어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며 선박을 정박 위치로 안내하는 선박 접안 유닛(100)을 제공한다. 접안 유닛(100)은 링크 조립체(110)와 접촉 바퀴(150)를 포함하며, 링크 조립체(110)는 베이스 링크(120)와, 슬라이딩 링크(130)와, 조향 링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링크(120)는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10)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베이스 링크(120)는 수용 공간(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되어 선박의 선형에 부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 링크(120)는 수용 공간(210)의 측면에서, 예를 들면, 에어 쿠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16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링크(120)는 수용 공간(210)의 측면에 피봇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링크(130)는 베이스 링크(120)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 링크(130)와 베이스 링크(120)는 실린더와 피스톤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유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슬라이딩 링크(130)와 베이스 링크(120)는 서로 슬라이딩하며 접촉 바퀴(15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조향 링크(140)는 슬라이딩 링크(13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링크(130)가 수용 공간(210)의 측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조향 링크(140)는 수용 공간(210)의 측면에 베이스 링크(12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조향 링크(140)는 수용 공 간(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슬라이딩 링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향 링크(140)의 길이 변화 시 피봇 가능한 베이스 링크(120)를 포함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접안 유닛(100)이 수용 공간(210)의 개방되는 일측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접촉 바퀴(150)는 슬라이딩 링크(130)에 하나 이상이 부착된다. 접촉 바퀴(150)는 선박(V)이 접안하거나 정박할 때 선박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접촉 바퀴(150)는 선박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바퀴 또는 롤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바퀴(150)는 타이어 등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유닛(100)에 의하면, 베이스 링크(120)와 슬라이딩 링크(130) 사이의 움직임, 링크 조립체(110)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160), 접촉 바퀴(150)의 탄성에 의하여 선박의 접안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도, 접촉 바퀴(150)의 회전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인 선박 접안 및 선박 정박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 접안 부유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 접안 시스템을 활용하여 선박을 접안시키고 해상에서 신속하게 화물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 항구로 기능할 수 있는 선박 접안 부유체(200)를 제공한다.
부유체(200)는 선박 접안 시스템이 설치되어 선박(V)을 접안시킨다. 부유 체(200)는 해상에 부유하며 컨테이너와의 하역 작업이 가능한 이동 항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는 부유체(200)는 소형 선박인 수송 셔틀(300)에 적재된 화물을 수송하도록 하는 환적 터미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부유체(200)에는 선박(V) 또는 수송 셔틀(300)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하역 장치(2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60)에서는 선박(V)의 위치 정보 획득 시 부유체(200)의 움직임 정보도 획득하여 부유체(200)에 대한 상대위치를 계산하고 활용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방법에 따라 선박이 접안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방법을 단계 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선박 접안 방법은, 선박 정보 입수 단계(S410)와, 접안 유닛 초기 배열 단계(S420)와, 접안 유닛 충격 단계(S430)와, 접안 유닛 재 배열 단계(S440)와, 부가 방현재 충격 흡수 단계(S450)와, 접안 유닛 최종 배열 단계(S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선박 정보 입수 단계와 초기 배열 단계를 도시한다.
선박 정보 입수 단계(S410)에서는 선박 접안 시스템에서 접안 대상이 되는 선박(V)의 선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입수한다. 선형 정보는 선박의 건조 시에 선 박을 지지하는데 사용된 지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선박(V)의 실시간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GPS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초기 배열 단계(S420)에서는 선박(V)의 선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을 초기 배열한다. 수용 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접안 유닛(100a)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고 또한 선박(V)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방향을 선수 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선박 유닛의 배열은 제어부(260)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접안 유닛 충격 흡수 단계와 재 배열 단계를 도시한다. 접안 유닛 충격 흡수 단계와 재 배열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접안 유닛 충격 흡수 단계(S430)에서는 선박 접안 유닛(100)이 선박(V)과 접안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선박(V)의 진입 정도에 따라 수용 공간(210)의 개방된 일측에 가까운 접안 유닛(100a)부터 차례대로 선박과 접촉하게 된다.
재 배열 단계(S440)에서는 선박(V)의 선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이 재 배열된다. 선박(V)의 진입 정도에 따라 접안 유닛(100b)이 차례대로 선박의 접안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방향을 선수 쪽으로 향할 수 있다.
도 7은 부가 방현재 충격 흡수 단계와 최종 배열 단계를 도시한다. 부가 방현재 충격 흡수 단계와 최종 배열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부가 방현재 충격 흡수 단계(S450)에서는 선박(V)의 선수 측에 마련된 부가 방현재(220)가 선박과 접안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접안 유닛(100)에서 흡수되지 못한 충격량이 부가 방현재(220)에서 흡수된다.
최종 배열 단계(S460)에서는 선박의 선형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접안 유닛(100)을 최종 배열하여 선박을 정박시킨다. 접안 유닛(100)의 탄성 부재(160)를 활용하여 선박(V)을 제 자리에 위치시키고 흔들림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의 진입 시 다수의 선박 접안 유닛이 접안 충격을 흡수하면서 접안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선박을 접안시키고 정박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선박의 정보를 활용하여 접안 대상의 선박에 대하여 최적의 위치로 선박을 안내하여 정박시킬 수 있다. 또한 예인선 또는 계류선의 도움 없이도 선박의 접안과 계류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고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면에서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 부유체는 해상에서 대형 컨테이너선에 대한 하역을 수행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대형 컨테이너선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 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시스템에 선박이 정박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 접안 부유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방법에 따라 선박이 접안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접안 방법을 단계 별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접안 유닛
120: 베이스 링크 130: 슬라이딩 링크
140: 조향 링크 150: 접촉 바퀴
200: 부유체 210: 수용 공간
220: 부가 방현재 240: 하역 장치
260: 제어부 300: 수송 셔틀
V: 선박

Claims (8)

  1.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링크와,
    상기 베이스 링크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링크가 상기 수용 공간 측면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조향 링크와,
    상기 슬라이딩 링크에 부착되어 선박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바퀴를
    포함하는 선박 접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되는 선박 접안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링크와 상기 베이스 링크는 서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접촉 바퀴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선박 접안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선박 접안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 링크와 상기 조향 링크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조향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링크를 회전시키는 선박 접안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피봇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향 링크의 길이 변화 시 상기 선박 접안 유닛 전체가 회전되는 선박 접안 유닛.
  7. 내부에 선박을 수용하여 정박시키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선박 접안 유닛이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에 다수 배치되는 선박 접안 시스템.
  8. 제7항의 선박 접안 시스템이 설치되고 해상에 부유하며 이동 가능한 선박 접안 부유체.
KR1020090119230A 2009-12-03 2009-12-03 선박 접안 유닛 KR20110062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0A KR20110062489A (ko) 2009-12-03 2009-12-03 선박 접안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0A KR20110062489A (ko) 2009-12-03 2009-12-03 선박 접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89A true KR20110062489A (ko) 2011-06-10

Family

ID=4439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230A KR20110062489A (ko) 2009-12-03 2009-12-03 선박 접안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24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16B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삼안 항만 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충장치
KR20170009442A (ko) 2015-07-17 2017-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CN107472466A (zh) * 2017-07-28 2017-12-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出驳导向护桩及具有其的半潜驳
CN109371812A (zh) * 2018-06-22 2019-02-22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新型栈桥搭靠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16B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삼안 항만 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충장치
KR20170009442A (ko) 2015-07-17 2017-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CN107472466A (zh) * 2017-07-28 2017-12-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出驳导向护桩及具有其的半潜驳
CN107472466B (zh) * 2017-07-28 2019-07-0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出驳导向护桩及具有其的半潜驳
CN109371812A (zh) * 2018-06-22 2019-02-22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新型栈桥搭靠装置
CN109371812B (zh) * 2018-06-22 2023-10-20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新型栈桥搭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709B2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20110062487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
KR20110062489A (ko) 선박 접안 유닛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US109609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ercraft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131573B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20210051841A (ko) 무인 예인장치
KR101141598B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JP2001315685A (ja)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KR101166714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20060380A (ko) 독립 구동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크레인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KR20110051458A (ko)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KR20100123432A (ko) 선박화물 하역설비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25040B1 (ko)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