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239A -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239A
KR20110061239A KR1020090117829A KR20090117829A KR20110061239A KR 20110061239 A KR20110061239 A KR 20110061239A KR 1020090117829 A KR1020090117829 A KR 1020090117829A KR 20090117829 A KR20090117829 A KR 20090117829A KR 20110061239 A KR20110061239 A KR 2011006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key
dome switch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반상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239A/ko
Priority to US12/928,022 priority patent/US20110127150A1/en
Publication of KR2011006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키;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한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조그키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조그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조그키, 이중 돔, 풀 브라우징, Jog key, dome switch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JOG KEY OF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돔 스위치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 예컨대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능, 이메일(E-mail) 서비스 기능,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및 슬림화되는 반면에 표시부의 크기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입력 장치의 실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많은 수의 키 버튼을 실장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실장 가능한 키 버튼의 수가 제한됨에 따라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인 조작을 위한 기능키만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부가적인 기능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키맵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키 버튼의 실장 공간이 부족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별도의 키 버튼 추가없이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돔 스위치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키;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한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조그키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은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키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하 여 저장한 키 맵을 검색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조그키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매핑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은 조그키를 이용한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그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기능키 추가를 위한 공간이 필요치 않아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키버튼을 추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키 맵을 구성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돔 스위치(dome switch)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돔 스위치는 압력이 가해질 때 상부의 전극이 하부에 위치하는 접점 회로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로서, 버튼 식 입력 장치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키 클릭감, 수명 및 얇은 두께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메탈 돔 스위치가 주로 이용되며, 두 개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이중 돔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중 돔 스위치는 카메라의 셔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반셔터 입력을 통해 초점을 조절한 후 셔터 입력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돔 스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조그키(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그키(40)는 방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그키(40)는 눌림이 발생하면 눌림 신호(push signal)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키(40)는 종래 조그키가 제공하는 방향 신호 및 눌림 신호 이외에 당김 신호(pull signal)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대응 하여 상기 돔 스위치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그키(40)는 하우징의 하단부에만 돔 스위치가 위치하는 종래 조그키와 달리 하우징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돔 스위치부가 위치하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그키(40)는 방향 신호, 눌림 신호, 당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돔 스위치(dome switch) 중 적어도 하나를 이중 돔 스위치(double dome switch)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그키(40)는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당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중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키(40)의 상세한 구조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는 레버(41), 압력판(42), 하우징(43) 및 제1 내지 제3돔 스위치부(44, 45, 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3)은 압력판(42), 제1돔 스위치부(44) 내지 제3돔 스위치부(46)를 감싸는 케이스이다. 상기 레버(41)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우징(43)에 장착된다. 상기 레버(41)를 통해 사용자는 방향 신호, 누름 신호, 이중 누름 신호, 당김 신호 및 이중 당김 신호를 입력 할 수 있다. 상기 레버(41)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돔 스위치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전의 위치(중앙)로 되돌아온다.
상기 압력판(42)은 상기 레버(41)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4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돔 스위치부(44) 내지 제3돔 스위치부(46)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상태(아무런 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41)를 왼쪽으로 미는 경우 상기 압력판(42)은 제1돔 스위치부(44) 중 좌측 방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좌방향 돔 스위치(44a)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 2a의 식별 부호 22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방향 돔 스위치(44a)에 의해 1번 전극과 2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좌측 방향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좌측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좌방향 돔 스위치(44a)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레버(41)를 오른쪽으로 미는 경우 상기 압력판(42)은 제1돔 스위치부(44) 중 우측 방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우방향 돔 스위치(44b)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2a의 식별 부호 23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방향 돔 스위치(44b)에 의해 3번 전극과 4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우측 방향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우측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우방향 돔 스위치(44b)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기준 크기 이상 제2기준 크기 미만의 힘으로 레버(41)를 누르는 경우 압력판(42)은 제2돔 스위치부(45)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2b의 식별 부호 24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부 돔 스위치(45a)에 의해 5번 전 극과 6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누름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1외부 돔 스위치(45a)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2기준 크기 이상의 힘으로 레버(41)를 누르는 경우 상기 도 2b의 식별 부호 25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 전극, 6번 전극 및 7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이중 누름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1외부 돔 스위치(45a) 및 제1내부 돔 스위치(45b)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사용자가 제1기준 크기 이상 제2기준 크기 미만의 힘으로 레버(41)를 당기는 경우 상기 압력판(42)은 제3돔 스위치부(46)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2c의 식별 부호 26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부 돔 스위치(46a)에 의해 8번 전극과 9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당김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외부 돔 스위치(46a)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2기준 크기 이상의 힘으로 레버(41)를 당기는 경우 상기 도 2c의 식별 부호 27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번 전극, 9번 전극 및 10번 전극이 도통되어 상기 조그키(40)는 이중 당김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레버(41)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외부 돔 스위치(46a) 및 제2내부 돔 스위치(46b)의 탄성력에 의해 압력판(42)은 디폴트 위치 즉, 도 2a의 식별 부호 210 도면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압력판(42)은 제1돔 스위치부(44) 내지 제3돔 스위치부(46)와 접촉되는 부분에 돌기들(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돔 스위치부(44)는 방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돔 스위치부(44)는 상하좌우 방향 신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4개의 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돔 스위치부(44)는 좌측 방향 신호를 입력하는 좌방향 돔 스위치(44a), 우측 방향 신호를 입력하는 우방향 돔 스위치(44b)와 상측 방향 신호를 입력하는 상방향 돔 스위치(미도시) 및 하측 방향 신호를 입력하는 하방향 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제1돔 스위치부(44)를 하나의 신호를 입력하는 일반 돔 스위치로 도시하였지만 두 개의 신호를 입력하는 이중 돔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돔 스위치부(45)는 제어부(110)에 누름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돔 스위치부(45)는 이중 돔 스위치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에 이중 누름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기준 크기 이상 제2기준 크기 미만의 힘으로 레버(41)를 누르면 제2돔 스위치부(45)는 제1외부 돔 스위치(45a)가 눌러져 누름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가 제2기준 크기 이상의 힘으로 레버(41)를 누르면 제1내부 돔 스위치(45b)가 눌러져 이중 누름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3돔 스위치부(46)는 제어부(110)에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3돔 스위치부(46)는 이중 돔 스위치로 형성 되어 제어부(110)에 이중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기준 크기 이상 제2기준 크기 미만의 힘으로 레버(41)를 당기면 상기 제3돔 스위치부(46)는 제2외부 돔 스위치(46a)가 눌러져 당김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기준 크기 이상의 힘으로 레버(41)를 당기면 제2내부 돔 스위치(46b)가 눌러져 이중 당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그키(40)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된 레버(41)를 이동전의 원래 위치(중앙)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체,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그키(40)의 상세한 구조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조그키(40)를 포함하고, 저장부(120)는 키 맵 DB(Data Base)(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40)는 음성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 화상 통화 요청을 위한 화상 통화키,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종료 등을 요청하는 종료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40)는 조그키(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그키(40)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그키(40)는 이중 누름 신호 및 이중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미도시)와,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RF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조그키(40)의 당김 신호 발생 시 이전 웹 페이지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웹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특정 웹 페이지가 링크된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조그키(40)의 누름 신호 발생 시 상기 링크된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및 화상 통화 화면, 웹 페이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스크롤된 웹 페이지, 줌 인 또는 줌 아웃된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조그키(40)의 당김 신호 발생 시 이전 웹 페이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AM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140)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한 키 맵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아래 <표 1>과 같이 키 맵을 저장할 수 있다.
조그키의 조작 신호 기능
누름 신호 확인
당김 신호 뒤로가기
2중 누름 신호 Zoom-in
2중 당김 신호 Zoom-out
상측 방향 신호 포인터 상측 이동
하측 방향 신호 포인터 하측 이동
좌측 방향 신호 포인터 좌측 이동
우측 방향 신호 포인터 우측 이동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조그키(40)의 방향 신호에는 웹 페이지 출력 시 나타나는 포인터의 이동 기능이 매핑되고, 당김 신호에는 이전 웹 페이지로의 이동 기능이 매핑되고, 2중 당김 신호에는 웹 페이지의 축소(줌 아웃)기능이 매핑되며, 2중 누름 신호에는 웹 페이지의 확대(줌 인)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조그키(40)의 누름 신호에는 확인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웹 페이지의 링크가 설정된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신호 발생 시 링크된 웹 페이지가 표시부(13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누름 상태에서 발생하는 방향 신호에는 웹 페이지 이동(스크롤) 기능이 매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그키(40)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웹 서핑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1>은 조그키(40)의 키 맵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그키(40)의 키 맵은 출력 모드(예컨대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카메라 촬영 모드, 웹 페이지 출력 모드, 대기 화면 출력 모드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120)는 모드별 키 맵을 저장한 키 맵 DB(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에 특정 기능을 매핑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조그키(40)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방향 신호 입력 시 방향 키 기능을 수행하고, 이중 누름 신호 입력 시 줌 인 기능을 수행하고, 이중 당김 신호 입력 시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며, 누름 상태에서 상기 방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은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예컨대 웹 페이지 출력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카메라 촬영 모드, 대기 화면 출력 모드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조그키(40)의 조작 신호 입력 시 저장부(120)의 키 맵 DB(20)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를 출력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조그키(40)의 당김 신호 입력 시 이전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뒤로가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이중 당김 신호 입력 시 웹 페이지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줌 인(Zoom-in) 기능을 수행하고, 이중 눌림 신호 입력 시 웹 페이지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줌 아웃(Zoom-ou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눌림 신호 입력 시 확인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특정 웹 페이지가 링크된 영역(이미지, 아이콘, 텍스트 등)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눌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링크된 웹 페이지를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눌림 상태에서 방향 신호가 입력되면 웹 페이지를 이동(스크롤)시켜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조그키(40)를 이용하여 줌 인/줌 아웃 기능, 뒤로 가기 기능 및 스크롤 기능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웹 서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웹 페이지 출력 모드를 예로 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조그키(4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웹 페이지 출력 모드에서 조그키(4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동영상 재생 모드, 카메라 촬영 모드, 앨범 보기 모드, 대기 화면 출력 모드 등)에서 조그키(4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 단계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403 단계에서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41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조그키(40)가 아닌 입력부(140)의 다른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5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조그키(40) 조작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된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누름 신호인지, 당김 신호인지, 방향 신호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407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키 맵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키 맵 DB(20)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키 맵 DB(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17 단계로 진행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매핑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화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413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키 맵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09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조그키(40)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확인하고, 411 단계에서 상기 매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그키(40)의 조작 신호가 방향 신호인 경우 방향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당김 신호인 경우 이전 웹 페이지로 이동하고, 2중 당김 신호인 경우 웹 페이지를 축소(줌 아웃)하며, 2중 누름 신호인 경우 웹 페이지를 확대(줌 인)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링크가 설정된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누름 신호 발생 시 링크된 웹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누름 상태에서 방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웹 페이지를 입력된 방향 신호에 따라 이동(스크롤)시켜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413 단계에서 웹 페이지 출력 모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 출력 모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웹 페이지 출력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4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조그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그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기능키 추가를 위한 공간이 필요치 않아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키버튼을 추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키 맵을 제공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구조 및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면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돔 스위치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돔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는
    상기 레버를 이동 전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은
    상기 돔 스위치부들과 접촉되는 각 부위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5.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키;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한 키 맵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조그키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는
    상기 방향 신호를 입력하는 제1돔 스위치부;
    상기 누름 신호를 입력하는 제2돔 스위치부; 및
    상기 당김 신호를 입력하는 제3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돔 스위치, 제2돔 스위치부 및 제3돔 스위치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돔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웹 페이지 출력 모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 카메라 촬영 모드, 텍스트 뷰어 모드, 대기 화면 출력 모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별로 구분하여 상기 키 맵을 저장한 키 맵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신호 입력 시 방향 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중 누름 신호 입력 시 줌 인 기능을 수행하고, 이중 당김 신호 입력 시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방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방향 신호에 따라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방향 신호, 누름 신호 및 당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그키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와 특정 기능을 매핑하여 저장한 키 맵을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된 조그키의 조작 신호에 매핑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의 조작 신호는
    이중 당김 신호, 이중 누름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특정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방향 신호에 대응하여 포인터 이동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당김 신호 입력 시 이전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뒤로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이중 당김 신호 입력 시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누름 신호 입력 시 확인 키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이중 누름 신호 입력 시 줌 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누름 신호와 상기 방향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누름 신호와 동시에 입력되는 방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웹 페이지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의 운용 방법.
KR1020090117829A 2009-12-01 2009-12-01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061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29A KR20110061239A (ko) 2009-12-01 2009-12-01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US12/928,022 US20110127150A1 (en) 2009-12-01 2010-12-01 Jog key of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829A KR20110061239A (ko) 2009-12-01 2009-12-01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239A true KR20110061239A (ko) 2011-06-09

Family

ID=4406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829A KR20110061239A (ko) 2009-12-01 2009-12-01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27150A1 (ko)
KR (1) KR201100612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4477B2 (en)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4354A (en) * 1972-03-17 1974-07-16 N Anderson Operator means associated with multiple switch array and signal to function correlator means
JPH0850532A (ja) * 1994-08-05 1996-02-20 Nippon Steel Corp 三次元方向ジョイスティック
JP2000003637A (ja) * 1998-04-15 2000-01-07 Seimitsu Kogyo Kk 起倒スティック式指示装置
JP3925067B2 (ja) * 2000-10-05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591649B2 (ja) * 2001-09-26 2010-12-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十字キースイッチ
JP2003187671A (ja) * 2001-12-14 2003-07-04 Nec Saitama Ltd キー入力回路、及び、携帯端末の入力装置
TW570281U (en) * 2002-08-06 2004-01-01 Excel Cell Elect Co Ltd Multi-directional trigger switch
JP2004139845A (ja) * 2002-10-17 2004-05-13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US7123240B2 (en) * 2003-05-13 2006-10-17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with joystick
TWI263879B (en) * 2005-01-07 2006-10-11 Transpacific Plasma Llc Switching signal input device used for an electronic device
DE102005042462A1 (de) * 2005-07-15 2007-01-25 Preh Gmbh Bedienelement mit zentralem Taster
US8058571B2 (en) * 2008-10-08 2011-1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action single-key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7150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1725550B1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CN1319356C (zh) 在移动终端中使用旋转键以及控制显示的装置和方法
US7738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on a mobile terminal
KR10074687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753397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8797270B2 (e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US8269124B2 (en) Dome switch structur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9003366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JP5136345B2 (ja) 電子機器
JP2008166972A (ja) 情報処理装置
US20100322456A1 (en) Speaker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8560011B2 (en) Terminal device with image display function
CN102257794A (zh) 具有滑动显示屏和屏幕划分构件的移动通信设备
US20130127778A1 (en) Ke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WO2003077098A1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110061239A (ko)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9266040A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文字入力方法
KR100663429B1 (ko) 줌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100606067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876682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input
KR1006515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