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874A -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874A
KR20110057874A KR1020090114473A KR20090114473A KR20110057874A KR 20110057874 A KR20110057874 A KR 20110057874A KR 1020090114473 A KR1020090114473 A KR 1020090114473A KR 20090114473 A KR20090114473 A KR 20090114473A KR 20110057874 A KR20110057874 A KR 2011005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discharge roller
pressing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874A/ko
Priority to US12/912,138 priority patent/US20110123241A1/en
Publication of KR2011005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용지의 잼(jam)이나 적재불량이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는 가압 탄성부재의 가압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가압력 조절장치에 의해 가능해 진다. 가압력 조절장치는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와,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데, 높이 조절부는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 바디부를 회전시키면서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한다. 용지의 두께나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서 용지의 컬(curl)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Paper-Dis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출되는 용지의 컬(curl)량을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 전사체를 거쳐 용지에 전사되고, 용지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용지에 고정된다. 그 후 용지는 배지장치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용지는 정착열 등으로 인하여 용지가 말리는 현상인 컬(curl)이 발생하게 되고, 배지장치는 배출롤러와 및 이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정방향의 컬을 억제하는 디컬(de-curl)롤러를 배치시켜 용지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컬량을 감소시켰다.
하지만 디컬롤러는 일정한 가압력으로 배출롤러를 가압하고 있어, 용지의 두께나 주위 환경에 따라서 배출되는 용지의 컬량이 일정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용지의 잼(jam)이나 적재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출되는 용지의 잼(jam)이나 적재불량이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지의 두께나 주위 환경에 따라서 컬(curl)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제2배출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 탄성부재의 가압 위치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력 조절장치는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 바디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캠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 중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캠 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3거리 만큼 이격된 제3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통상적인 제1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고온고습인 제2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저온저습인 제3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3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용지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통상적인 제1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용지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얇은 제2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용지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꺼운 제3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3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 압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2플레이트 접촉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3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인 타원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캠 바디부에 구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바디부에서 연장된 레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제2배출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탄성 부재와, 상기 용지의 컬(curl)량에 따라 상기 가압 탄성부재의 가압 위치를 변경시켜 디컬(de-curl)량을 조절하는 디컬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컬량 조절장치는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 바디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캠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어 느 하나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3거리 만큼 이격된 제3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2플레이트 접촉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3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캠 바디부에 구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바디부에서 연장된 레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롤러를 상기 제1배출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탄성 부재와,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용지의 두께가 얇 거나 주위 환경이 고온고습인 경우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껍거나 주위 환경이 저온저습인 경우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배출롤러를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의 가압 위치를 변경시켜 용지의 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두께나 주위 환경에 따른 컬량의 조절로 용지의 잼(jam)이나 적재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5)와, 용지(P)를 적재하는 급지장치(10)와,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장치(20)와,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60)와,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40)와,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50)와, 본체(5)의 상부 전면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커버(80)를 포함한다.
급지장치(10)는 용지(P)를 공급하며, 본체(5)의 하부에 설치된다. 급지장치(10)는 카세트방식으로 장착되는 급지트레이(11)와, 급지트레이(11) 내부의 용지(P)를 상측의 픽업롤러(15)로 밀어 주는 가압판(12) 및 가압스프링(13)을 포함한다. 가압스프링(13)은 가압판(12)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판(12)을 픽업롤러(15) 쪽으로 밀어 준다. 픽업롤러(15)는 회전에 의해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장치(20)로 공급한다.
이송장치(20)는 픽업롤러(15)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경로(A)로 이송한다. 이송장치(20)는 이송롤러(21), 이송백업롤러(22) 및 인쇄경로(A)를 형성하는 이송가이드(23)를 포함한다.
현상장치(60)는 본체(5)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인쇄경로(A)에 위 치하며 표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61)와, 감광체(6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62)와, 감광체(6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현상롤러(63)와, 현상롤러(63)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64a, 64b)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저장부(66)와, 현상제 저장부(66) 내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교반시키는 현상제 교반기(67a, 67b)와, 현상장치(60)의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장치 하우징(69)을 포함한다.
한편, 인쇄경로(A) 상에는 감광체(61)에 형성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장치의 일 예로 전사롤러(6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5) 내부에는 대전된 감광체(61)로 화상정보가 포함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는 노광장치(LSU, Laser Scanning Unit)(70)가 마련된다.
감광체(61)는 대전롤러(62)에 의해 대전되고, 그 표면에는 노광장치(7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63)는 현상제를 감광체(61)의 정전잠상에 부착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전사롤러(65)는 감광체(61)에 부착된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한다.
정착장치(40)는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를 포함한다. 정착장치(40)는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 사이로 용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지(P)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현상제가 용지(P)에 융착되도록 한다.
배지장치(50)는 정착장치(40)를 거친 용지(P)를 본체(5) 상부의 적재부(3)로 이송한다. 배지장치(50)는 용지(P)를 적재부(3)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들(51) 과, 배지경로(B)에 배치된 복수의 배지롤러들(52)과, 용지(P)를 적재부(3)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부(1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배지장치(50)의 배출롤러부(1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배지장치의 배출롤러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장치(50)의 배출롤러부(100)는 롤러부 프레임(130)과,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와,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용지(P)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포함한다.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는 제1배출롤러 축(125)에 끼워져 회전하며, 복수개가 제1배출롤러 축(125)의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1배출롤러 축(125)은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도 제1배출롤러 축(12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는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한다. 용지(P)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와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 사이를 지나가게 된다.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는 복수개의 롤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1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롤러부 프레임(130)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된다. 제2배출롤러(120a, 120b, 120c, 120d)는 정착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정방향의 컬(curl)을 억제시키는 디컬(de-curl)롤러의 역할을 한다.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의 하측에서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한다.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는 복수개가 각각의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프링(spring)이 사용된다.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는 가압력 조절장치(160)에 의해 가압 위치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데, 가압력 조절장치(160)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170)와, 가압 플레이트(170)의 높이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80a, 180b)를 포함한다. 가압력 조절장치(160)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가압 위치를 변경시켜 디컬(de-curl)량을 조절하는 디컬량 조절장치의 역할을 한다.
가압 플레이트(170)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를 하측에서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부(180a, 180b)의 높이 조절에 따라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가압 위치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 플레이트(170)는 롤러부 프레임(130)을 따라 배치되는 플레이트부(173)와, 플레이트부(173)에서 각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돌기부(175a, 175b, 175c, 175d)를 포함한다. 지지돌기부(175a, 175b, 175c, 175d)는 롤러부 프레임(130)을 관통하여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를 지지한다.
가압 플레이트(170)의 양단에는 높이 조절부(180a, 180b)가 각각 마련된다. 좌우 양측의 높이 조절부(180a, 180b)가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우측의 높이 조절부(18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높이 조절부(180a)는 편심된 회전 중심(O)을 가지는 캠 바디부(185a)와, 캠 바디부(185a)의 외측에 마련되어 그 중 어느 하나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186a, 187a, 188a)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186a, 187a, 188a) 중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접촉부(186a, 187a, 188a)는 캠 바디부(185a)의 회전에 따라 결정된다.
캠 바디부(185a)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캠 바디부(185a)에 구동력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캠 바디부(185a)에서 연장되는 레버부(190a)가 마련된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가 배출되는 용지(P)의 두께나 주변 환경에 따라서 레버부(190a)를 돌리게 되고, 레버부(190a)에 연결된 캠 바디부(185a)가 회전하면서 가압 플레이트(17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며,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하는 가압 위치도 위아래로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캠 바디부(185a)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다.
플레이트 접촉부(186a, 187a, 188a) 각각은 회전 중심(O)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데, 플레이트 접촉부(186a, 187a, 188a)는 회전 중심(O)으로부터 소정 거리인 제1거리(d1) 만큼 이격된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와, 회전 중 심(O)으로부터 제1거리(d1)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거리(d2) 만큼 이격된 제2플레이트 접촉부(187a)와, 회전 중심(O)으로부터 제1거리(d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3거리(d3) 만큼 이격된 제3플레이트 접촉부(188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와 제2플레이트 접촉부(187a), 및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와 제3플레이트 접촉부(188a)는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지장치(50)의 배출롤러부(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용지 두께가 일반적이고 주변 환경이 통상적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용지 두께가 얇거나 주변 환경이 고온고습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용지 두께가 두껍거나 주변 환경이 저온저습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주변 환경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용지 두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정착장치(40)를 거친 용지가 배지장치(50)의 배지롤러부(100)를 통해 적재부(3)로 배출되는데, 용지(P)의 두께나 주변 환경에 따라서 정착열 등으로 인하여 용지가 말리는 현상인 컬(curl)의 정도가 다르다. 즉, 용지(P)가 얇거나 고온고습인 경우에는 정방향의 컬 정도가 약하며, 용지(P)가 두껍거나 저온저습인 경우에는 정방향의 컬 정도가 심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발생하는 컬 정도에 따라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하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가압 위치를 상하로 변경시키면서 컬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 때,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는 정방향의 컬 발생을 억제하는 디컬(de-curl)롤러가 된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용지(P)의 두께가 일반적인 경우 그에 따른 용지(P)의 컬량도 일반적인 수준이다. 이 때, 가압 플레이트(170)는 캠 바디부(185a)의 회전 중심(O)에서 제1거리(d1) 만큼 높은 위치에서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면, 가압 플레이트(170)의 지지돌기부(175a, 175b, 175c, 175d)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도 가압 플레이트(170)의 높이에 상응하는 가압력으로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하게 된다.
하지만, 용지(P)의 두께가 얇거나 주변 환경이 고온고습인 경우 그에 따른 용지(P)의 컬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때에는 도 5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190a)를 상측으로 돌려서 제2플레이트 접촉부(187a)가 캠 바디부(185a)의 회전 중심(O)에서 제2거리(d2) 만큼 높은 위치에서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한다. 즉, 컬량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그에 따라서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해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지지 위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한 것이다.
이와 반대로, 용지(P)의 두께가 두껍거나 주변 환경이 저온저습인 경우 그에 따른 용지(P)의 컬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이 때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190a)를 하측으로 돌려서 제3플레이트 접촉부(188a)가 캠 바디부(185a)의 회전 중심(O)에서 제3거리(d3) 만큼 높은 위치에서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한다. 즉, 컬량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그에 따라서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가 제2배출롤러(140a, 140b, 140c, 140d)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커지도록 하기 위해 가압 탄성부재(150a, 150b, 150c, 150d)의 지지 위치를 상대적으로 높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레버(190a)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켰으나, 배지장치(50) 내부에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회전 중심(O)에 연결하여 캠 바디부(185a)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용지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미도시)를 본체(5) 내부에 배치시키며, 용지 감지장치에서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보내고, 제어부가 캠 바디부(185a)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용지(P)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감지장치(미도시)를 본체(5) 내부에 배치시키며, 온습도 감지장치에서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가 캠 바디부(185a)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두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용지 감지장치가 용지(P)의 두께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낸다.
제어부는 측정된 용지(P)의 두께가 통상적인 두께인 제1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는 측정된 용지(P)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제2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 접촉부(187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제어부는 측정된 용지(P)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3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제3플레이트 접촉부(188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환경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온습도 감지장치가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게 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낸다.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통상적인 제1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 접촉부(186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상대적으로 고온고습인 제2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 접촉부(187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저습인 제3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제3플레이트 접촉부(188a)가 가압 플레이트(170)를 지지하도록 구동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배출롤러부를 나타내 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롤러부는 캠 바디부(385)의 형상이 타원형의 타원 바디부이다. 그리고, 캠 바디부(385)의 회전 중심(O')은 구동모터(39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9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캠 바디부(385)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캠 바디부(385)를 회전시킬 때 가압 플레이트(170)의 상하 유동량이 작아져서 부드럽게 가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회전 중심(O')에서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386, 387, 388)까지의 거리(d1', d2', d3')에 대한 구성 등 다른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그에 따른 제어방법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화상형성장치(1)에 의하면 배출되는 용지(P)의 잼이나 적재불량이 개선되고, 배출된 용지(P)의 인쇄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이 커진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배지장치의 배출롤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용지 두께가 일반적이고 주변 환경이 통상적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용지 두께가 얇거나 주변 환경이 고온고습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용지 두께가 두껍거나 주변 환경이 저온저습인 경우 배출롤러부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주변 환경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용지 두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배출롤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3 : 적재부
5 : 본체 10 : 급지장치
20 : 이송장치 40 : 정착장치
50 : 배지장치 60 : 현상장치
70 : 노광장치 80 : 커버
100 : 배출롤러부
120a, 120b, 120c, 120d : 제1배출롤러
140a, 140b, 140c, 140d : 제2배출롤러
150a, 150b, 150c, 150d : 가압 탄성부재
170 : 가압 플레이트

Claims (20)

  1.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제2배출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 탄성부재의 가압 위치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부재는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력 조절장치는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 바디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캠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 중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캠 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3거리 만큼 이격된 제3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통상적인 제1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고온고습인 제2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온습도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가 저온저습인 제3온습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3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용지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통상적인 제1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용지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얇은 제2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용지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꺼운 제3두께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3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2플레이트 접촉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3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인 타원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캠 바디부에 구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바디부에서 연장된 레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제2배출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탄성 부재와,
    상기 용지의 컬(curl)량에 따라 상기 가압 탄성부재의 가압 위치를 변경시켜 디컬(de-curl)량을 조절하는 디컬량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탄성부재는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컬량 조절장치는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 바디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캠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 만큼 이격된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2거리 만큼 이격된 제2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제3거리 만큼 이격된 제3플레이트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2플레이트 접촉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접촉부와 제3플레이트 접촉부는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사각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바디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캠 바디부에 구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캠 바디부에서 연장된 레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
  20.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장치는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제1배출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롤러와, 상기 제2배출롤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롤러를 상기 제1배출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탄성 부재와, 상기 가압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압 플레이트(plate)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용지의 두께가 얇거나 주위 환경이 고온고습인 경우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상기 용지의 두께가 두껍거나 주위 환경이 저온저습인 경우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14473A 2009-11-25 2009-11-25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7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73A KR20110057874A (ko) 2009-11-25 2009-11-25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912,138 US20110123241A1 (en) 2009-11-25 2010-10-26 Discharge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73A KR20110057874A (ko) 2009-11-25 2009-11-25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74A true KR20110057874A (ko) 2011-06-01

Family

ID=4406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473A KR20110057874A (ko) 2009-11-25 2009-11-25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23241A1 (ko)
KR (1) KR20110057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24B1 (ko) * 2017-03-31 2018-06-28 심재곤 매체처리기의 방출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8060A (ja) * 1991-05-14 1992-11-25 Fuji Xerox Co Ltd 用紙のカール低減装置
GB9308803D0 (en) * 1993-04-28 1993-06-09 Rue De Systems Ltd Thickness detection device
JPH07179258A (ja) * 1993-12-22 1995-07-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カール矯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848347A (en) * 1997-04-11 1998-12-08 Xerox Corporation Dual decurler and control mechanism therefor
US5947467A (en) * 1997-09-22 1999-09-07 Billings; Bradford Selectively adjustable decurler
US6002913A (en) * 1998-11-05 1999-12-14 Xerox Corporation Xerographic fuser module with integral sheet decurler
US6758470B1 (en) * 2000-06-27 2004-07-06 Fargo Electronics, Inc. Card thickness selection gate for a card feeder
JP4189661B2 (ja) * 2002-08-14 2008-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7062218B2 (en) * 2002-08-29 2006-06-13 Xerox Corporation Quad-roll decurler
US20070102873A1 (en) * 2005-11-08 2007-05-10 Lexmark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varying pressure roll nip force
JP2011191607A (ja) * 2010-03-16 2011-09-29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24B1 (ko) * 2017-03-31 2018-06-28 심재곤 매체처리기의 방출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3241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051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cartridge in and from a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121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4171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owered image forming position and recessed sheet stacking portion
US7891654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ide surface air mechanism
US7505707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o which storage trays having various storage capacities can be removably attached
US8157257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ing charged belt
JP4503066B2 (ja) 画像形成装置
US88430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member mount accommodating multiple different sizes of transfer members
US85541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44599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feeding device
JP201006480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2343601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7006410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4701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247316A (en) Laser beam printer having three-point support system
KR20110057874A (ko) 화상형성장치의 배지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311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202446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0587612C (zh) 片材排出装置和成像装置
JP6743207B2 (ja) 画像形成装置
JP5176770B2 (ja) 画像形成装置
JP3764674B2 (ja) 給紙装置
JP688206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152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1522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