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749A -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749A
KR20110053749A KR1020090110415A KR20090110415A KR20110053749A KR 20110053749 A KR20110053749 A KR 20110053749A KR 1020090110415 A KR1020090110415 A KR 1020090110415A KR 20090110415 A KR20090110415 A KR 20090110415A KR 20110053749 A KR20110053749 A KR 2011005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obile terminal
call
mode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완
홍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749A/ko
Priority to US12/927,463 priority patent/US20110117875A1/en
Publication of KR2011005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되는 DTMF 톤을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메시지 전송 및 긴급통화 발신을 하는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모드를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긴급모드, 긴급메시지, 긴급통화, DTMF, 3자 통화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MERGENCY MOD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긴급모드(emergency mode)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중에 발생하는 긴급 상황에 대하여 긴급모드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휴대단말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근래의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기능이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긴급 상황 알림 기능(긴급모드 서비스)은 휴대단말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미리 등록된 수신처로 긴급 메시지(예컨대, SOS 메시지 등)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긴급 메시지가 수신된 휴대단말에서는 상기 긴급 메시지와 함께 전달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은 긴급모드 서비스 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호출하 여 긴급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긴급통화를 발신하는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구비된 입력수단에서 특정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조작을 통해서만 긴급모드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실수 등에 의해 불필요한 긴급모드 서비스가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특정키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긴급모드 서비스 자체를 활성화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긴급모드 서비스는 해당 휴대단말이 항상 대기모드(idle mode)의 환경에서만 지원된다. 즉, 종래의 긴급모드 서비스는 휴대단말이 특정 다른 모드 예컨대, 통화모드에서 통화 중인 경우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중에 긴급모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의지로 긴급메시지 전송 또는 긴급통화 발신을 할 수 없는 상황(예컨대, 쇼크, 마비, 운전 중 등) 또는 휴대단말이 긴급모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긴급모드를 활성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수신하는 DTMF 톤을 이용하여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DTMF 톤을 수신할 시 상기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메시지 또는 긴급통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긴급모드 지원 시 통화 중인 상대 휴대단말 및 DTMF 톤에 의해 추출된 전화번호 대상의 긴급센터 간에 3자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모드를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과 긴급모드에서 발생하는 긴급메시지 및 긴급통화를 설정된 통신채널 기반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수신된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상기 긴급모드를 운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수신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메시지 전송 또는 긴급통화 발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통화 중에도 긴급모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통화 중 긴급메시지 전송 또는 긴급통화를 발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추가적인 동작 없이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DTMF 톤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긴급모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 중에 쇼크 혹은 마비 상황이 발생하거나 또는 운전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상대방이 전송하는 DTMF 톤을 기반으로 긴급메시지 또는 긴급통화를 자동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중에 발생한 긴급 상황에서도 자신의 위치를 긴급센터(Emergency Center)에 알릴 수 있으며, 또한 3자 통화를 통해서 상대방의 도움을 받아 위기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특정 상대 휴대단말과 통화 중인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해서 긴급모드 서비스에 따른 긴급메시지(Emergency Message) 또는 긴급통화(Emergency Call) 발신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통화 중에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하면 상기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메시지를 자동 전송하거나 또는 긴급통화를 자동 발신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상기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및 그의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 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본 발명의 긴급 전화번호 생성을 위한 DTMF 톤은 상기 제1휴대단말(100)과 통화 연결 설정된 상대 휴대단말(예컨대,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 톤인 것을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이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1휴대단말(100) 및 제2휴대단말(200)은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중 상태일 수 있다(10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통화를 발신하여 상기 제2휴대단말(200)과 통화 연결 설정 후 상기 통화 중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휴대단말(200)로부터 통화 수신이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통화 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은 이동통신 기반 및 인터넷 기반 중 어느 하나의 기반으로 연결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휴대단말(100)과 제2휴대단말(200)이 통화 중에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예컨대, 마비, 쇼크 등)이 발생할 시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는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을 음성으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휴대단말(100) 사용자는 상기 긴급 상황으로 인해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없을 시 긴급 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긴급 상황을 인지할 시 긴급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 전화번호는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휴대단말(200)은 상기 통화 연결이 설정된 상태 즉, 통화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시 상기 사용자 입력 기반의 DTMF 톤을 생성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100)로 전송한다(103단계). 상기 DTMF 톤은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키패드 기반의 입력신호에 대응하게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터치스크린 기반의 입력신호에 대응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TMF 톤은 입력되는 입력신호(키 신호 또는 터치신호) 발생 횟수에 대응하는 수로 생성되며, 하나의 입력신호마다 생성되어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통화 연결이 설정된 상태 즉, 통화모드에서 상기 제2휴대단말(200)로부터 DTMF 톤이 순차적으로 수신될 시 수신된 개별 DTMF 톤을 취합하고 취합된 전체 DTMF 톤을 분석한다(105단계). 즉,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통화 중에 DTMF 톤을 수신할 시 수신된 개별 DTMF 톤을 취합하고 취합된 전체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휴대단말(200)로 전송한다(107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설정된 방식(예컨대,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또는 위치정보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등)에 따라 상기 제1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 즉,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제2휴대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긴급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긴급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본 발명의 긴급 전화번호 생성을 위한 DTMF 톤은 긴급센터(Emergency Center)(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 톤인 것을 가정한다. 이때, 상기 긴급센터(300)는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에서 운영되는 센터,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통화 연결 설정된 상대 휴대단말(예컨대,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제1휴대단말(100)과 통화 연결 설정되지 않은 제3자의 휴대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이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 전송 및 긴급통화 발신을 함께 수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1휴대단말(100) 및 제2휴대단말(200)은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중 상태일 수 있다(201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화 연결은 이동통신 기반 및 인터넷 기반 중 어느 하나의 기반으로 연결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휴대단말(200)은 상기 제1휴대단말(100)과 통화 연결이 설정된 상태 즉, 통화모드에서 전술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긴급 상황에 따라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 기반의 DTMF 톤을 생성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100)로 전송한다(203단계). 상기 DTMF 톤은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키패드 기반의 입력신호 또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입력신호에 대응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TMF 톤은 긴급센터(300)의 전화번호,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 및 제3자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DTMF 톤이 상기 긴급센터(300)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통화 연결이 설정된 상태 즉, 통화모드에서 상기 제2휴대단말(200)로부터 DTMF 톤이 순차적으로 수신될 시 수신된 개 별 DTMF 톤을 취합하고 취합된 전체 DTMF 톤을 분석한다(205단계). 즉,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통화 중에 DTMF 톤을 수신할 시 수신된 개별 DTMF 톤을 취합하고 취합된 전체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 메시지를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긴급센터(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207단계).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센터(300) 모두에 전송하는 구성을 예시로 하지만, 설정 방식(예컨대, 3자 통화 기능 지원 여부를 고려한 설정 등)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만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긴급 메시지 생성 시 현재 통화 연결 중인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추출된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수신처로 하여 상기 생성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설정된 방식(예컨대,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또는 위치정보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획득 등)에 따라 상기 제1휴대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후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센터(300)로 긴급통화를 발신한다(209단계). 그리고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긴급통화 발신에 따른 상기 긴급센터(300)의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제1휴대단말(100) 및 긴급센터(300) 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211단계).
이러한 절차에 따라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 및 긴급센터(300)에서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긴급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긴급센터(300)에서는 상기 긴급통화 발신에 따른 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빨리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에 대한 긴급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제1휴대단말(100)과 현재 통화 연결 중인 상기 제2휴대단말(200)의 전화번호가 아닌 상기 긴급센터(30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일 시 3자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휴대단말(100),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센터(300) 간에 3자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휴대단말(100)과 상기 긴급센터(300) 간에 통화 연결이 설정되면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3자 통화 서비스의 설정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3자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3자 통화 서비스가 설정된 경우 상기 201단계에서 통화 연결 중인 제2휴대단말(200)과 상기 211단계에서 통화 연결 중인 긴급센터(300)와 3자 통화 서비스 설정을 위한 제어 이벤트를 자동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휴대단말(200)과 통화 연결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긴급센터(300)로 긴급통화 발신 시 상기 제2휴대단말(200)과의 통화를 보류하고 상기 긴급센터(300)와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휴대단말(100)은 상기 3자 통화 서비스가 설정된 경우 상기 보류 중인 상기 제2휴대단말(200)과 상기 통화 연결 중인 상기 긴급센터(300) 통화를 결합하여 3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3방향 통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센터(300)는 상기 제1휴대단말(100)의 제어 이벤트를 기반으로 서로 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221단계). 따라서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센터(300) 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시 상기 제1휴대단말(100), 상기 제2휴대단말(200) 및 상기 긴급센터(300)는 서로 간에 3자 통화 연결이 설정된다(223단계).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긴급 상황에서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 상기 제2휴대단말(200) 사용자 및 상기 긴급센터(300) 간에 3자 통화를 통해 상기 제1휴대단말(100) 사용자의 긴급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은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스템 환경에서 본 발명의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 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의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휴대단말은 상기 도 1의 구성 중 제1휴대단말(100) 및 제2휴대단말(200) 모두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은 특정 상대 휴대단말과 통화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통화모드에서(301단계) DTMF 톤의 수신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303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 수신이 없으면(303단계의 No) 상기 통화모드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305단계) 통화모드 종료 요청을 감지할 시(305단계의 Yes)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307단계).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통화모드 종료 요청이 없으면(305단계의 No) 상기 30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화모드 종료는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상대 휴대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 수신이 있으면(303단계의 Yes) 수신된 DTMF 톤을 분석한다(30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이 수신될 시 수신된 DTMF 톤을 분석하여 상기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TMF 톤 기반으로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311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되는 전화번호와 상기 긴급 전화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전화번호는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긴급 전화번호로 지정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전화번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전화번호는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에서 폰북 기반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판별결과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지 않을 시(311단계의 No)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에 대한 버퍼링을 중지하고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제거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판별결과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311단계의 Yes)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313단계). 이때,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에 대한 버퍼링은 긴급메시지 전송 또는 긴급통화 발신 시까지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기지국 또는 위치정보 수신기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한다(315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후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17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될 시 변경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고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통화를 발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긴급 메시지 전송 후 통화 모드를 종료하고 이어서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 기반으로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의 긴급센터로 긴급통화를 자동 발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는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스템 환경에서 본 발명의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의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휴대단말은 상기 도 2의 구성 중 제1휴대단말(100), 제2휴대단말(200) 및 제3자 휴대단말 모두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은 특정 상대 휴대단말과 통화 연결 설정이 이루어진 통화모드에서(401단계) DTMF 톤의 수신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403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 수신이 없으면(403단계의 No) 상기 통화모드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405단계) 통화모드 종료 요청을 감지할 시(405단계의 Yes)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통화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407단계).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통화모드 종료 요청이 없으면(405단계의 No) 상기 401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화모드 종료는 상기 휴대단말 또는 상기 상대 휴대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 수신이 있으면(403단계의 Yes) 수신된 DTMF 톤을 분석한다(40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 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DTMF 톤이 수신될 시 수신된 DTMF 톤을 분석하여 상기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DTMF 톤 기반으로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411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되는 전화번호와 상기 긴급 전화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전화번호는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긴급 전화번호로 지정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직접 설정된 전화번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긴급 전화번호는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에서 폰북 기반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판별결과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하지 않을 시(411단계의 No) 상기 405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에 대한 버퍼링을 중지하고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를 제거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판별결과 생성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411단계의 Yes)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413단계). 이때,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에 대한 버퍼링은 긴급메시지 전송 및 긴급통화 발신 시까지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기지국 또는 위치정보 수신기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 호에 의거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 및 긴급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4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일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긴급센터의 전화번호일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긴급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의 상기 긴급센터로 전송할 시 상기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동보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후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센터로 긴급통화를 발신하고 상기 긴급센터의 응답을 기반으로 상기 긴급센터와의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417단계). 여기서, 만약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일 시 상기 417단계 및 이하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 통화 발신 시 설정방식 또는 지원방식에 따라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를 보류하거나 또는 통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417단계에서 긴급통화 발신 시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유지하는 즉, 통화를 보류 상태로 처리하는 것을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3자 통화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4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이 3자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센터와의 통화 연결이 설정되면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3자 통화 기능 수 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3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시(419단계의 Yes) 3자 통화를 연결한다(421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3자 통화 서비스가 설정된 경우 상기 긴급 통화 발신에 따라 보류 중인 상기 상대 휴대단말 통화와 상기 긴급통화 발신에 따른 통화 연결 중인 긴급센터의 통화를 결합하여 3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3방향 통화 기능에 따라 3자 통화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3자 통화 연결 후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4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될 시 변경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 및 긴급센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3자 통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시(419단계의 No) 통화 보류 중인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모드를 종료한다(42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상대 휴대단말과 설정된 통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긴급센터와의 긴급통화 발신에 따른 통화를 유지하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4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될 시 변경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긴급센터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 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나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560)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한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모듈(510)과, 입력부(520)와, 표시부(530)와, 오디오처리부(540)와, 저장부(550) 및 제어부(56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40)는 스피커(SPK, Speaker) 및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60)는 긴급모드 처리부(57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제어부(560)의 제어에 따라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기지국 등)와 설정된 방식의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영상통신 등의 무선통신과 메시지 서비스 및 인터넷(Internet)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frequency)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제어부(5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긴급모드 서비스 기반의 통화 발신 시 그에 따른 시그널을 설정된 통신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채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채널과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등과 같은 방식의 인터넷통신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전송되는 DTMF 톤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상기 DTMF 톤 기반으로 운용되는 긴급모드에서 긴급메시지 및 긴급통화를 설정된 통신채널 기반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인터넷 기반 통신을 지원할 시 상기 무선통신모듈(510)은 인터넷통신모듈(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2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 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및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DTMF 톤을 발생한다. 즉,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60)로 전달한다. 상기 DTMF 톤 발생을 위한 상기 입력신호는 키패드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가상 키패드 조작에 따른 터치신호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5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재생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5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3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53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3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가상의 키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의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DTMF 톤을 발생한다. 즉,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가상의 키패드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터치신호를 상기 제어부(560)로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4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54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5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56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54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미디어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신호, 기능 실행 시의 효과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예컨대, 통화로그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폰북 데이터,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방송 데이터, 사진 데이터 등),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웹 서버,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의 지원 기능들 중 설정된 해당 기능/메뉴의 바로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50)는 본 발명의 긴급모드 서비스와 관련된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휴대단말 이용 및 상기 긴급모드 서비스 지원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 위치정보, 3자 통화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정보, 긴급 메시지 전송 방식에 대한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50)는 긴급모드 서비스 운용 시 수신되는 DTMF 톤, 수신된 DTMF 톤 기반으로 추출하는 전화번호 등을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5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55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5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5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510)과, 상기 입력부(520)와, 상기 표시부(53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540) 및 상기 저장부(55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60)는 본 발명의 긴급모드 서비스 운용에 따른 기능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60)는 통화모드에서 수신되는 DTMF 톤을 기반으로 긴급모드 서비스 운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60)는 통화 모드에서 DTMF 톤 수신을 감지할 시 수신된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 생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60)는 생성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560)는 추출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할 시 긴급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긴급메시지를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전송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통화 발신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긴급메시지 생성 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제어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메시지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6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긴급모드 서비스 운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 및 그의 기능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560)의 일련의 제어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60)는 긴급모드 처리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긴급모드가 운용될 시 그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처리한다.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수신하는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화번호가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긴급모드를 운용한다.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긴급모드 운용 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 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송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긴급센터 등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상기 긴급센터 등으로 전송하고,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에도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긴급모드에서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통화 발신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는 상기 휴대단말의 3자 통화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긴급모드에서 긴급통화 발신을 기반으로 통화 연결되는 긴급센터와 이전에 통화 연결된 상대 휴대단말 간의 3방향 통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러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의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상기 제어부(560)에 로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570)의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6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56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510) 모두에 구비되거나, 상 기 제어부(56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510)과 분리되어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휴대단말의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 및 인터넷 기반의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도 5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도 5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기반의 통화 기능 또는 인터넷 기반의 통화 기능 및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유무선 전화기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수행을 위한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긴급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긴급모드를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DTMF 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전화번호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에 의하여 일치하는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하는 과정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상기 긴급모드를 운용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하는 과정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메시지 전송 및 긴급통화 발신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하는 과정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현재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하는 과정은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긴급센터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현재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 및 상기 긴급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메시지 전송 후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로 긴급통화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 발신 후 상기 휴대단말, 상기 상대 휴대단말 및 상기 긴급센터 간에 3자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긴급모드 운용 방법.
  8. 휴대단말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전송되는 DTMF 톤(Dual-Tone Multi-Frequency Tone)을 수신과 긴급모드에서 발생하는 긴급메시지 및 긴급통화를 설정된 통신채널 기반으로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수신된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기 설정된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상기 긴급모드를 운용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DTMF 톤 기반으로 생성하는 전화번호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긴급 전화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상기 긴급모드를 운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서 상기 긴급모드가 운용될 시 상기 DTMF 톤을 기반으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긴급 전화번호에 대응할 시 상기 긴급모드에 따른 긴급메시지 전송 또는 긴급통화 발신을 처리하는 긴급모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는
    상기 긴급모드 운용 시 상기 휴대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는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는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가 긴급센터의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긴급메시지를 상기 긴급센터 및 상기 통화모드에 따라 통화 연결 중인 상대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는
    상기 긴급메시지 전송 후 상기 DTMF 톤 기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긴급통화 발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처리부는
    상기 긴급통화 발신 후 상기 휴대단말, 상기 상대 휴대단말 및 상기 긴급센터 간에 3자 통화 연결을 위한 제어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10415A 2009-11-16 2009-11-16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53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15A KR20110053749A (ko) 2009-11-16 2009-11-16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US12/927,463 US20110117875A1 (en) 2009-11-16 2010-11-16 Emergency mode operating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415A KR20110053749A (ko) 2009-11-16 2009-11-16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749A true KR20110053749A (ko) 2011-05-24

Family

ID=4401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15A KR20110053749A (ko) 2009-11-16 2009-11-16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17875A1 (ko)
KR (1) KR201100537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21B1 (ko) * 2012-08-21 2013-02-18 캐쉬벨 컴퍼니 리미티드 캐쉬벨쓰리이펙트와 원샷캐쉬벨쿠폰을 통한 전화발신·전화수신·통화 종료 상에서의 포이펙트형 캐쉬벨 광고표출장치 및 방법
KR101524497B1 (ko) * 2012-10-12 2015-06-01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5250B2 (en) * 2011-01-11 2016-09-13 GreatCall, Inc. Emergency call placement systems and methods
US9439054B2 (en) 2011-01-11 2016-09-06 GreatCall, Inc. Emergency call redirection systems and methods
US8934877B2 (en) 2011-10-19 2015-01-13 Facebook, Inc. Inferential urgency notification delivery channel
US9055415B2 (en) * 2011-10-19 2015-06-09 Facebook, Inc. Urgency notification delivery channel
CN105874826B (zh) * 2013-11-08 2021-01-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辅助紧急呼叫的方法和设备
US9681282B2 (en) * 2014-10-08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telematics-enhanced emergency calls from mobile pho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9923B (en) * 1990-09-10 1995-03-08 Oki America Inc Remotely programmable radiotelephone
US6014555A (en) * 1996-06-21 2000-01-11 Tendler Cellular, Inc. System for providing the telephone number of a telephone making an emergency call
US20070155412A1 (en) * 2003-12-22 2007-07-05 911Tracker Inc. SMS initiated emergency conference call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21B1 (ko) * 2012-08-21 2013-02-18 캐쉬벨 컴퍼니 리미티드 캐쉬벨쓰리이펙트와 원샷캐쉬벨쿠폰을 통한 전화발신·전화수신·통화 종료 상에서의 포이펙트형 캐쉬벨 광고표출장치 및 방법
KR101524497B1 (ko) * 2012-10-12 2015-06-01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7875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065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quickly starting application service
KR20110053749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US9456082B2 (en) Determining probable topics of conversation between users of two communication devices
KR20110064528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31525B2 (en) Single button contact request and response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US9078111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s communications device
CN102752030A (zh) 一种来电连接蓝牙耳机的方法及***
US10257350B2 (en) Playing back portions of a recorded conversation based on keywords
KR20140023082A (ko) 수신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24920B1 (ko)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40094951A (ko)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5005103B1 (ja) 通話システム
CN112367648B (zh) 通话管理方法、芯片和音频输出装置
KR20100132187A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화 제어 시스템
US20150045004A1 (en) Communication time reminders based on text messages
US9301112B2 (en) Urgent call-back feature that locks-out non-urgent calls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EP2566143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obtain voice messages
TW201444331A (zh) 訊息注入系統及方法
KR20060112895A (ko) 부재중 전화번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8074A (ko)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