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296A -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296A
KR20110045296A KR1020090101803A KR20090101803A KR20110045296A KR 20110045296 A KR20110045296 A KR 20110045296A KR 1020090101803 A KR1020090101803 A KR 1020090101803A KR 20090101803 A KR20090101803 A KR 20090101803A KR 20110045296 A KR20110045296 A KR 2011004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iewing angle
square
angle limiting
o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좌진
차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2009010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5296A/ko
Publication of KR2011004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66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volving the reflection of light at a particular angle of incidence, e.g. Brewster's ang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압착된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야각, 제한 필름, 인쇄 필름, 제조 방법

Description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A Film for Controlling View Ang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노트북, 휴대폰, ATM 등의 표시장치에서 좌우 및 상하의 4 방향에 대한 시야를 차단할 수 있는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생활 보호 및 보안 유지 등의 이유로 노트북, 휴대폰, ATM 등의 표시장치에 시야각 제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야각 제한 필름은 공항의 출입국 심사대, 학교 전산실, 도서관, 구청, 동사무소의 무인증명 발급기 등의 표시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등 그 적용 분야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시야각 제한 필름은 프라이버시 필름이라고도 불리며, 각도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시야각 제한 필름의 투과율은 필터 정면에서 가장 높으며, 정면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시야각 제한 필름을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장착할 경우, 정면에 있는 사용 자는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자유롭게 볼 수 있으나, 측면(좌/우 각도로 30° 이상)에 있는 사람에게는 어둡고 검은 화면만 보이게 되어, 타인에게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시야각 제한 필름은 3M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것으로, 상기 3M사의 시야각 제한 필름은 빛을 흡수하는 불투명 물질(또는 검은 물질)과 빛을 투과하는 투명 물질을 교대로 적층한 후, 상기 적층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물질과 빛을 흡수하는 불투명 물질(이하 "흑색 패턴")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그 결과 정면에서 입사하는 빛은 투과되지만,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흑색 패턴에 흡수되어 투과되지 못한다. 따라서, 정면에 있는 사용자에게만 표시장치에 표시된 정보가 보이고, 측면에 있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시야각 제한 효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3M사의 종래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의 경우, 표시장치의 사이즈에 해당되는 두께만큼 두 물질을 교대로 적층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최종 시야각 필름의 균일성(uniformity)이 낮아 품질이 조악하며,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종래기술이 주식회사 엘지화학에 의해 2008년 3월 13일자에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08-0023235호로 출원되어, 2009년 9월 17일자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번호 제10-2009-0098061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1a는 대안적인 종래기술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종래기술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방법은 주로 (1) 레지스트 패턴 형성 단계, (2) 소수화 처리 단계, (3) 마스터 몰드 제조 단계, (4) 필름 제조 단계, 및 (5) 잉크 주입 단계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레지스트 패턴 형성 단계에서는 먼저 당업자에게 매우 잘 알려진 포토리소그라피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 상에 감광성 물질인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미세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소수화 처리 단계에서는 형성된 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예를 들어 소수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소수화 처리한다. 그 결과 레지스트 표면이 소수성을 띄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몰드의 재질인 실리콘 수지와 레지스트가 강하게 접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마스터 몰드를 분리할 때 박리가 깨끗하게 이루어진다. 그 후, 마스터 몰드 제조 단계에서는, 소수화 처리가 완료된 레지스트 표면에 수지를 주입하여 마스터 몰드를 제조한다.
예를 들면, 레지스트 패턴 상에 실리콘 수지를 적당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상온(약 20℃ 내지 40℃)에서 5 내지 25시간 동안 방치하여 일정한 두께로 레벨링 되도록 하면서 자연 경화를 시키고, 최종적으로 100~180℃에서 10~30분 정도 가열하여 완전 경화시킨 다음, 레지스트에서 분리하는 방법으로 마스터 몰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몰드 제조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마스터 몰드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필름을 제조한다. 그 결과, 제조된 필름에는 마스터 몰드 패턴의 역상인 레지스트 패턴과 동일한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 그 후, 요철 패턴의 요부(또는 오목부)에 블랙 잉크를 주입하여 흑색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흑색 패턴 상부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여 시야각 제한 필름이 제조된다.
도 1b는 도 1a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 도 1a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3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132)의 전방에 장착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100)에서는 전방(F)의 사용자는 투명부 수지(120)를 통해 표시장치(130)의 정보를 볼 수 있지만, 좌우 측면(S)에서 보는 사람은 블랙 잉크에 의해 시야가 차단되어 표시장치(130)의 정보를 볼 수 없다.
그러나, 상술한 3M사의 종래 기술 및 대안적인 종래 기술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100)은 각각 좌우 측면(S)에 위치된 사람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지만, 상방향(U) 및 하방향(D)에서 경사 방향(또는 사선방향)에 위치된 사람의 시야는 차단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트북, 휴대폰, ATM 등의 표시장치에서 좌우 및 상하의 4 방향에 대한 시야를 차단할 수 있 는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유리 기판 상에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소수화 처리하는 단계; c) 복수의 음각된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을 구비한 마스터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블랙 잉크를 주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블랙 잉크의 주입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부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은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각각 주입되는 블랙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압 착하는 단계; 및 c) 압착된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은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메쉬 형상은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 각각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은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메쉬 형상은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 각각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
1. 좌우 및 상하의 4 방향에 대한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2.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의 복수개의 인쇄 필름으로 구성된 시야각 제한 필름은 종래 기술에 비해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제조 공정 시간 및 재료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좌우 및 상하의 4 방향에 대한 시야를 차단하기 위해 시야각 제한 필름 상에 메쉬 형태(mesh type) 또는 격자 형태의 흑색 패턴, 또는 불투명층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유리 기판(240) 상에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의 표면을 소수화 처리하는 단계; c) 복수의 음각된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을 구비한 마스터 몰드(260)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마스터 몰드(260)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이 형성된 필름(220)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의 수평 방향 오목부(223h) 및 수직 방향 오목부(223v) 내에 블랙 잉크(212)를 주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블랙 잉크(212)의 주입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214)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의 상부에 보호 필름(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른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 형성 단계에서는 먼저 당업자에게 매우 잘 알려진 포토리소그라피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240) 상에 감광성 물질인 포토레지스트(250)를 도포한 후(도 2a 참조), 복수의 사각 형상 또는 복수의 메쉬 형상의 포토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250)를 선택적으로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복수의 사각 형상을 구비한 미세 패턴(252)을 형성한다(도 2b 참조). 그 후, 소수화 처리 단계에서는 형성된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의 표면을 예를 들어 소수성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소수화 처리한다(미도시). 그 결과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의 표면이 소수성을 띄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몰드(260)의 재질인 실리콘 수지와 레지스트(250)가 서로 강하게 접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마스터 몰드(260)를 분리할 때 박리가 깨끗하게 이루어진다. 그 후, 마스터 몰드 제조 단계에서는, 소수화 처리가 완료된 레지스트 표면에 수지를 주입하여 마스터 몰드(260)를 제조한다(도 2c 참조). 이러한 마스터 몰드(260)는 예를 들어 i)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 상에 실리콘 수지를 적당한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ii) 상온(약 20℃ 내지 40℃)에서 제 1 일정 시간(대략 5 내지 25시간) 동안 방치하여 일정한 두께로 레벨링되도록 자연 경화시키는 단계; 및 iii) 일정 온도 범위(대략 100 내지 180℃)에서 제 2 일정 시간(대략 10 내지 30분 정도)동안 가열하여 완전 경화시킨 후 레지스트(250)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음각된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을 구비한 마스터 몰드(260)가 얻어진다. 여기서, 마스터 몰드(260)의 제조용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마스터 몰드(260)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주입 및 경화시킴으로써 마스터 몰드(260)의 복수의 음각된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과는 역상인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252)과 동일한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이 형성된 필름(200)이 제조된다(도 2d 참조). 제조된 필름(200)에 형성된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은 수평 방향 오목부(223h) 및 수직 방향 오목부(223v)를 구비한다. 그 후,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의 수평 방향 오목부(223h) 및 수직 방향 오목부(223v) 내에 각각 블랙 잉크(212)를 주입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214)을 형성한다. 그 후,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214) 및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의 상부에 보호 필름(미도시)을 형성하여 시야각 제한 필름(200)이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200)은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이 형성된 필름(200);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오목부(223h) 및 수직 방향 오목부(223v) 내에 각각 주입되는 블랙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214);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214)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222)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200)은 수직 방향 오목부(223v) 내에 주입된 블랙 잉크(21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방향 흑색 패턴(214v)에 의해 좌우 방향의 측면(S) 시야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 오목부(223h) 내에 주입된 블랙 잉크(212)에 의해 형 성되는 복수의 수평 방향 흑색 패턴(214h)에 의해 상하 방향(U 및 D 방향)의 경사 시야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도 2f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f는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g는 도 2f에 도시된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을 복수개 적층한 수평 방향(H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2h는 도 2f에 도시된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을 복수개 적층한 수직 방향(V 방향)의 단면도이다.
다시 도 2f 내지 도 2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압착된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의 상부 표면 상에 보호 필름(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른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을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먼저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한 인쇄 필름(220)을 복수개 준비한다. 여기서, 메쉬 형상은 인쇄 필름(22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222h) 및 인쇄 필름(22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222v)로 구성된다. 그 후, 준비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을 정렬 상태로 적층한다. 그 후, 적층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은 압착 장치를 이용한 필름의 다층 압착 방법에 의해 다층 필름막이 얻어진다. 이러한 필름의 다층 압착 방법에서는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인쇄 필 름(220) 사이에 열경화성, 광경화성, 또는 압력경화성 본딩제(bonding agent)가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본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쇄 필름(220)의 열특성을 이용하여 압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물리적인 힘만으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 사이의 여유 공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다층 압착이 행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각각의 인쇄 필름(220) 상에 구비된 메쉬 형상(즉,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222h)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222v))이 정렬된 상태로 압착되어 불투명층 격자 패턴(222)을 형성한다. 그 후, 압착된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의 상부 표면 상에 보호 필름(미도시)이 코팅되어 시야각 제한 필름(200)이 제조된다.
도 2i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i를 도 2f 내지 도 2h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200)은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220)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메쉬 형상은 인쇄 필름(22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222h) 및 인쇄 필름(22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222v)로 구성된다. 또한,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메쉬 형상은 불투명층 격자 패턴(222)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 2e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 한 필름(200) 또는 도 2i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200)은 예를 들어 노트북, 휴대폰, ATM, PC용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의 표시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132)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도 1b 참조). 이러한 노트북, 휴대폰, ATM 등의 표시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132)에 장착된 시야각 제한 필름(200)은 복수의 수직 방향 흑색 패턴(214v)(도 2e 참조) 또는 불투명층 격자 패턴(222)을 구성하는 수직 방향 불투명부(222v)(도 2i 참조)에 의해 좌우 방향의 측면(S) 시야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평 방향 흑색 패턴(214h)(도 2e 참조) 또는 불투명층 격자 패턴(222)을 구성하는 수평 방향 불투명부(222h)(도 2i 참조)에 의해 상하 방향(U 및 D 방향)의 경사 시야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도 1a는 대안적인 종래기술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 도 1a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는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g는 도 2f에 도시된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을 복수개 적층한 수평 방향(H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h는 도 2f에 도시된 메쉬 형상의 인쇄 필름을 복수개 적층한 수직 방향(V 방향)의 단면도이다.

Claims (11)

  1.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유리 기판 상에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의 표면을 소수화 처리하는 단계;
    c) 복수의 음각된 사각 형상의 레지스트 패턴을 구비한 마스터 몰드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마스터 몰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블랙 잉크를 주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블랙 잉크의 주입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부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은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를 구비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
  3. 시야각 제한 필름에 있어서,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각각 주입되는 블랙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4.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메쉬 형상을 구비한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c) 압착된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상은 상기 인쇄 필름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상기 인쇄 필름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가 불투명층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의 제조 방법.
  7. 시야각 제한 필름에 있어서,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메쉬 형상은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 각각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
  8. 시야각 제한 필름에 있어서,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메쉬 형상은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 각각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쉬 형상은 불투명층 격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는 좌우 방향의 측면 시야를 차단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는 상하 방향의 경사 시야를 차단하는
    시야각 제한 필름.
  10. 표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시야각 제한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은
    각각이 메쉬 형상을 구비하며, 정렬된 상태로 적층 및 압착된 복수개의 인쇄 필름;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메쉬 형상은 상기 복수개의 인쇄 필름 각각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방향 불투명부 및 복수개의 수직 방향 불투명부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제한 필름은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필름;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에 형성된 수평 방향 오목부 및 수직 방향 오목부 내에 각각 주입되는 블랙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흑색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사각 형상의 요철 패턴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101803A 2009-10-26 2009-10-26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10045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03A KR20110045296A (ko) 2009-10-26 2009-10-26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03A KR20110045296A (ko) 2009-10-26 2009-10-26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296A true KR20110045296A (ko) 2011-05-04

Family

ID=4424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803A KR20110045296A (ko) 2009-10-26 2009-10-26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52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33B1 (ko) * 2012-04-27 2014-01-21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KR20150131676A (ko) * 2014-05-16 2015-11-25 (주)에이치앤에스테크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방법 및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장치
KR20160093517A (ko) * 2015-01-29 2016-08-08 한국과학기술원 매크로 프리패턴을 이용한 보안패널의 제조방법
US10564326B2 (en) 2014-09-24 2020-02-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433B1 (ko) * 2012-04-27 2014-01-21 주식회사 퓨어메이트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장치,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공정 및 그 공정으로 제조된 시야각 제한 필름
KR20150131676A (ko) * 2014-05-16 2015-11-25 (주)에이치앤에스테크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방법 및 사생활 보호 필름 제조장치
US10564326B2 (en) 2014-09-24 2020-02-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56297B2 (en) 2014-09-24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60093517A (ko) * 2015-01-29 2016-08-08 한국과학기술원 매크로 프리패턴을 이용한 보안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84B1 (ko)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280B1 (ko) 광학소자 및 이 광학소자를 사용하는 조명장치,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자장치
US7817361B2 (en) Beam direction contro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82504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363981B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520174B2 (en) Patterned retard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8594515B (zh)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30000349A (ko) 패턴 위상차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45296A (ko)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WO2016135811A1 (ja) 光線方向制御素子及び表示装置
CN104977751A (zh) 显示设备
US9132593B2 (en) Hollow cell array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ollow cell array structure
TWI767021B (zh) 微細凹凸積層體及其製造方法以及相機模組搭載裝置
KR101149962B1 (ko) 굴절패턴을 구비한 화상차폐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76055A (zh) 柔性准直器及其制备方法、指纹识别模组以及电子设备
TWI453508B (zh) 圖案化相位延遲膜及其製造方法
TWI457665B (zh) 圖案相位延遲膜及其製造方法
TW200831983A (en)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ubstrat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using the optical film
TWI449993B (zh) 顯示器之製造方法及其所製造之顯示器
CN102937728B (zh) 相位差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1847979B1 (ko) 롤투롤 코팅방법을 이용한 패턴화된 박막 필름 제조방법
CN206594326U (zh) 光学膜
TWI706202B (zh) 顯示面板
KR101654943B1 (ko) 3차원 필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70094697A (ko) 시야각 제한 필름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