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120A -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120A
KR20110040120A KR1020090097266A KR20090097266A KR20110040120A KR 20110040120 A KR20110040120 A KR 20110040120A KR 1020090097266 A KR1020090097266 A KR 1020090097266A KR 20090097266 A KR20090097266 A KR 20090097266A KR 20110040120 A KR20110040120 A KR 2011004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sheet member
winding
heating device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기
홍석원
이성호
장성덕
김대래
이세민
이길영
정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120A/ko
Priority to EP10179812A priority patent/EP2312910A1/en
Priority to US12/923,760 priority patent/US20110084058A1/en
Priority to CN2010105056857A priority patent/CN102038435A/zh
Publication of KR2011004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경제적인 형태로 워킹코일을 제작하고 배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조리기기용 가열장치는 도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워킹코일과, 워킹코일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워킹코일에 대응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시트부재를 포함한다. 워킹코일의 각각의 턴을 구성하는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 사이에는 워킹코일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없이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HEATER USABLE WITH COOK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는 유도가열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유도가열장치는 교류 자기장 내에 배치되는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와류 손실(eddy current loss)에 의한 열과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한다.
유도가열장치가 적용된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조리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유해가스의 방출이 없고 조리 시에 조리대가 비교적 낮은 온도를 유지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며, 코일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이나 가스버너를 채택한 조리기기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
일반적으로 워킹코일은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데, 가열장치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에서 워킹코일의 제작에 투입되는 도선의 재료비가 큰 비 중을 차지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경제적인 형태로 워킹코일을 제작하고 배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조를 간소화한 조리기기용 가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용 가열장치는 도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에 대응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시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각각의 턴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 사이에는 상기 워킹코일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없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킹코일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착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실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의 지지면은 평탄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마이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 재와 상기 워킹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페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페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와인딩프레임을 준비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도선을 권선하여 워킹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있는 워킹코일을 시트부재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워킹코일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딩프레임은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선의 권선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에 상기 워킹코일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도선이 권선되어 있는 상기 와이딩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재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반경방향에 대해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킹코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 없이 평탄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워킹코일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시트부재를 벤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도선이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되고,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대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시트부재;와 상기 워킹코일을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각각의 턴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감김부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선의 상기 각각의 감김부 사이로 투입되어 상기 시트부재의 상기 지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굽힘 가능한 전기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페라이트;와 상기 페라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페라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킹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워킹코일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음식물을 밀폐시킨 상태에 서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오븐(10)과, 조리용기를 올려 놓고 조리할 수 있도록 오븐(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쿡탑(30)과, 저장 기능이나 간단한 조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븐(10)의 하측에 마련되는 드로워(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븐(10)은 열 대류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한다. 오븐(10)은 상면판(12), 바닥판(14), 양 측면판(미도시) 및 후면판(16)에 의해 한정되는 조리실(18)과, 조리실(18)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기 위한 오븐 도어(20)를 가진다.
후면판(16)의 외측에는 팬커버(22)가 결합되고, 팬커버(22)에는 조리실(18)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컨벡션 팬(24)이 내장된다. 컨벡션 팬(24)의 외주연에는 컨벡션 히터(26)가 설치되며, 팬커버(22)의 후방에는 컨벡션 팬(24)의 구동을 위한 팬모터(28)가 설치된다.
컨벡션 팬(24)과 마주하는 후면판(16)의 중심 부근에는 조리실(18)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공(16a)이 형성되고, 후면판(16)의 가장자리에는 조리실 내로 열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16b)이 형성된다.
또한 오븐(10)은 그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50)을 구비한다. 컨트롤패널(50)에는 오븐(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2)와 오븐(1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54)들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조리실(18)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컨트롤패널(50)을 통해 오븐(10)을 동작시키면 컨벡션 히터(26)가 발열하고, 컨벡션 팬(24)이 팬모터(28)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조리실(18) 내부의 공기가 흡입공(16a)으로 흡입되어 컨벡션 히터(26)에 의해 가열된 후 배출공(16b)을 통해 조리실(18)로 공급되고, 공급된 뜨거운 공기는 조리실(18) 내부를 순환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한편, 드로워(70)는 별도의 조리공간을 형성한다. 드로워(70)의 내부에는 조리된 음식을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쿡탑에서 가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쿡탑(30)은 케이스(32), 조리대(34), 가열장치(100)와 제어유닛(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2)는 가열장치(100)와 제어유닛(36)을 비롯하여 쿡탑(30)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및 전장물을 수용한다.
조리대(34)는 케이스(32)의 상부에 배치되며, 조리용기가 놓일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조리대(34)는 쉽게 깨지거나 긁히지 않도록 강화유리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조리대(34)에 놓인 조리용기를 유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장치(100)가 설치된다. 조리대(34)에서 가열장치(10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조리영역(32a)이 정의된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가열장치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가열장치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어유닛(36)은 쿡탑(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36)은 사용자가 조리 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유닛(37)을 포함하고, 조작유닛(37)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가열장치(100)를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장치(100)는 워킹코일(110), 시트부재(130), 지지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워킹코일(110)에 전압이 인가되면 워킹코일(110)에 교류자기장이 발생되고, 교류자기장은 조리대(34)에 놓인 조리용기에 작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워킹코일(110)은 도선(110a)을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된다. 도선(110a)은 절연 피복층을 각각 코팅한 여러 가닥의 구리세선을 꼬아서 형성한 리츠(Litz)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선(110a)은 워킹코일(110)의 각각의 턴(turn)을 구성하는 복수의 감김부(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워킹코일(110)에서 반경방향으로 가장 내측에 위치되는 첫 번째 감김부(1121)는 워킹코일(110)의 첫 번째 턴을 형성하고, 워킹코일(110)에서 n번째 감김부(112n)는 워킹코일(110)의 n 번째 턴을 형성한다.
워킹코일(110)을 구성하는 도선(110a)의 각각의 감김부(112)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선(110a)의 첫 번째 감김부(1121)는 인접하는 두 번째 감김부(1122)와 소정 간격(D1)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 도선(110a)의 n 번째 감김부(112n)는 인접하는 n-1 번째 감김부(112n-1) 및 n+1 번째 감김부(112n+1)와 각각 소정 간격(Dn-1)(Dn)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워킹코일은 도선의 감김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촘촘하게 배 치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도선의 감김부를 촘촘하게 감아 요구되는 크기로 워킹코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도선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와는 다른 형태로, 워킹코일을 적어도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워킹코일의 각 영역에서는 도선을 촘촘히 감되, 두 영역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워킹코일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워킹코일의 제작에 소요되는 도선의 양을 어느 정도 절약할 수 있지만, 여전히 워킹코일의 각 영역에서는 도선이 밀착된 상태로 촘촘히 감기므로 재료비를 절감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서로 이격된 두 영역 사이, 즉 도선이 없는 부분의 상부에 조리용기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가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도선(110a)의 각각의 감김부(112)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하면, 워킹코일(110)의 제작에 소요되는 도선의 양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조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112)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감김부(112) 사이의 간격 D1,...,Dn,...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워킹코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워킹코일(110)을 지지한다. 시트부재(130)는 워킹코일(110)에 대응하는 지지면(132)을 가진다.
시트부재(130)는 워킹코일(110)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 구체적으로, 워킹코일(110)의 각각의 감김부(112)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워킹코일(110)이 시트부재(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선(110a)의 각각의 감김부(112) 사이에는 공간(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시트부재(130)에 워킹코일(110)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으면, 시트부재(13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시트부재(130)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시트부재(130)의 지지면(132)은 평탄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킹코일(110)은 시트부재(130)의 지지면(13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제(17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70)는 워킹코일(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도포될 수 있으며, 워킹코일(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170)의 일부분은 워킹코일(110)의 각각의 감김부(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114)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공간(114)으로 투입된 접착제는 인접한 두 감김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시트부재(130)의 지지면(132) 상에 부착됨으로써 워킹코일(110)을 시트부재(130)에 고정시킨다.
접착제(170)로는 실리콘 실란트(silicon silant)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접착성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재(130)로는 마이카 시트(mica sheet)가 사용될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워킹코일(110)을 지지하는 역할과 더불어 시트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워킹코일(11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또 시트부재(130)는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워킹코 일(110)이 시트부재(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부재(130)와 워킹코일(110)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형상을 변형한 워킹코일 조립체는 특수한 형태의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130)의 하부에는 지지부재(150)가 배치된다. 지지부재(150)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부(152)를 가지고, 이 고정부(152)에는 페라이트(190)가 설치된다. 페라이트(190)는 워킹코일(11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지지부재(150)의 하부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지지부재(150)는 하부로 연장되는 다리부(154)를 가지고, 다리부(154)는 케이스(32)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재(150)는 시트부재(130)를 향해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보스(156)를 가질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지지부재(150)의 결합보스(15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공(134)들을 가질 수 있다. 시트부재(130)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결합공(134)을 통해 결합보스(156)에 체결함으로써 지지부재(15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하부에는 워킹코일(11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장물(미도시)이 배치된다. 지지부재(150)는 워킹코일(110)과 전장물들을 전자기적으로 격리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와인딩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제 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와인딩프레임은 도 6에서 Ⅱ-Ⅱ선에 따라 자른 것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와인딩프레임(200)을 준비한다. 와인딩프레임(200)은 원판형의 몸체(210)와, 이 몸체(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30) 및 개구(25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홈(230)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와인딩프레임(200)의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230)과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부분의 가이드홈(230)은 격벽(212)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이드홈(230)은 와인딩프레임(200)의 반경방향에 대해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개구(250)들은 와인딩프레임(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개구(250)는 와인딩프레임(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와인딩프레임(200)의 가이드홈(230)을 따라 도선(110a)을 나선형으로 권선하면, 도 7과 같이 와인딩프레임(200) 상에 워킹코일(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워킹코일(110)이 와인딩프레임(200)에 배치된 상태에서 셀프 본딩 공정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셀프 본딩 공정은 워킹코일(110)에 전류를 가해 워킹코일(110)을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다음, 도 8과 같이, 와인딩프레임(20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워킹코일(110)과 마주하도록 시트부재(130)를 배치하고, 와인딩프레임(200)의 개구(250)들을 통해 워킹코일(110)에 접착제(170)를 도포한다. 그러면 접착제(170)의 일부가 워킹코일(110)의 각각의 감김부(112) 사이로 투입되어 워킹코일(110)이 시트부재(130)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다른 방법으로 워킹코일(110)을 시트부재(13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와인딩프레임(200) 상에 형성되는 개구(250)들을 통해 워킹코일(110)을 밀어내어 워킹코일(110)을 와인딩프레임(200)으로부터 먼저 분리하고, 분리된 워킹코일(110)을 시트부재(130)로 옮긴 후, 시트부재(130) 상에 배치된 워킹코일(110)에 접착제(170)를 도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접착제(170)에 의해 워킹코일(110)이 시트부재(130)에 고정되면, 와인딩프레임(200)을 제거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워킹코일(110)의 각각의 감김부(112)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가 시트부재(130)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각각의 감김부(112)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트부재(130)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조리용기가 특수한 형태를 가져 워킹코일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워킹코일(110)이 고정되어 있는 시트부재(130)를 벤딩하여 워킹코일(110)을 요구되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쿡탑에서 가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와인딩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가열장치 110 : 워킹코일
110a : 도선 112 : 도선의 감김부
130 : 시트부재 150 : 지지부재
170 : 접착제 200 : 와인딩프레임

Claims (20)

  1. 도선이 나선형으로 감긴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워킹코일에 대응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시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각각의 턴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 사이에는 상기 워킹코일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없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 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지지면은 평탄한 표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굽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마이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워킹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페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페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
  10.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가지는 와인딩프레임을 준비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도선을 권선하여 워킹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있는 워킹코일을 시트부재로 이동시켜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접착제를 통해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딩프레임은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선의 권선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에 상기 워킹코일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 도선이 권선되어 있는 상기 와이딩프레임과 상기 시트부재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반경방향에 대해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킹코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 없이 평탄한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시트부재를 벤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의 제조방법.
  17. 조리용기가 놓이는 조리대;와
    도선이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되고,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대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가지는 시트부재;와
    상기 워킹코일을 상기 시트부재에 고정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워킹코일의 각각의 턴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의 감김부는 인접하는 감김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선의 상기 각각의 감김부 사이로 투입되어 상기 시트부재의 상기 지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의 각각의 감김부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굽힘 가능한 전기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페라이트;와
    상기 페라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페라이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90097266A 2009-10-13 2009-10-13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10040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66A KR20110040120A (ko) 2009-10-13 2009-10-13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10179812A EP2312910A1 (en) 2009-10-13 2010-09-27 Heating device usable with cooking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US12/923,760 US20110084058A1 (en) 2009-10-13 2010-10-06 Heating device usable with cooking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CN2010105056857A CN102038435A (zh) 2009-10-13 2010-10-11 与烹饪用具一起使用的加热装置及其制造方法和烹饪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66A KR20110040120A (ko) 2009-10-13 2009-10-13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20A true KR20110040120A (ko) 2011-04-20

Family

ID=4343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66A KR20110040120A (ko) 2009-10-13 2009-10-13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84058A1 (ko)
EP (1) EP2312910A1 (ko)
KR (1) KR20110040120A (ko)
CN (1) CN1020384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5464B2 (en) 2012-10-15 2020-03-31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top
ITTO20120896A1 (it) 2012-10-15 2014-04-16 Indesit Co Spa Piano cottura a induzione
US20160135255A1 (en) * 2013-08-30 2016-05-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duction-heating cooker
EP3094159B1 (en) * 2015-05-14 2018-03-28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cooking hob
CN105082455A (zh) * 2015-09-01 2015-11-25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3d线圈产品的制作方法及3d线圈产品
US10237927B2 (en) * 2016-07-12 2019-03-19 Foshan Shunde Ya In Electric Appliance Manufacture Co., Ltd Coil panel and an induction cooker
CN110073721B (zh) * 2016-12-23 2023-02-17 Bsh家用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装置和用于制造烹饪器具装置的方法
ES2673704B1 (es) * 2016-12-23 2019-05-14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aparato de coccion
EP3432682A1 (en) 2017-07-18 2019-01-2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on cooking hob and cooking hob using such method
US10993292B2 (en) 2017-10-23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n induction circuit
JP7059760B2 (ja) * 2018-03-30 2022-04-26 Tdk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ワイヤレス送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11140751B2 (en) 2018-04-23 2021-10-0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quasi-resonant induction heating devices
KR20210115330A (ko) * 2020-03-12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2228A (en) * 1944-05-24 1949-0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sulating material
US4453067A (en) * 1982-01-11 1984-06-05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coil
US4947464A (en) * 1985-12-07 1990-08-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Heating coil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oking assembly
FR2726961B1 (fr) * 1994-11-15 1996-12-06 Europ Equip Menager Foyer de cuisson a inducteur protege en temperature
FR2748885B1 (fr) * 1996-05-14 1998-08-14 Europ Equip Menager Foyer de cuisson par induction a rendement eleve
US20040025987A1 (en) * 2002-05-31 2004-02-12 Bhagwat Anand W. High carbon steel wire with bainitic structure for spring and other cold-formed applications
JP3823076B2 (ja) * 2002-08-15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用コイル
FR2847115B1 (fr) * 2002-11-12 2005-07-01 Brandt Ind Dispositif inducteur pour foyer de cuisson par induction
CN2746701Y (zh) * 2004-09-24 2005-12-14 上海正捷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电磁炉的加热线圈盘
CN2901772Y (zh) * 2006-05-15 2007-05-16 阮道坤 束状多圈加热线圈盘
CN200968656Y (zh) * 2006-11-02 2007-10-31 刘栈华 用于电磁炉的电磁盘骨架
WO2008072804A1 (en) * 2006-12-14 2008-06-19 Yong Jai Kwon Heating coil i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38435A (zh) 2011-05-04
EP2312910A1 (en) 2011-04-20
US20110084058A1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0120A (ko) 조리기기용 가열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2207401B1 (en) Cooking apparatus and heating device including working coils thereof
EP3651550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WO2010101202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311058A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030010768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system
KR101772189B1 (ko)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장치
CN207118011U (zh) 一种无缝全区加热装置
EP3996470A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with heatsink
KR20170071222A (ko)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전기 조리기
JP200912360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17800B1 (ko) 조리기기와 그 가열장치
JP5625296B2 (ja) 誘導加熱装置
JP3895311B2 (ja) 加熱調理器
EP3448120B1 (en) Cooking hob
JP2019212360A (ja) 加熱コイルユニット及び加熱調理器
JP48434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20167468A1 (en) Electric range
CN220192735U (zh) 煲体及烹饪器具
CN217464552U (zh) 电磁炉及烹饪器具
CN209588122U (zh) 电磁炉
EP4096360A1 (en) Electric range
US11774106B2 (en) Electric range
US20210289591A1 (en) Electric range
CN213605772U (zh) 一种双热源炒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