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517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517A
KR20110032517A KR1020090090052A KR20090090052A KR20110032517A KR 20110032517 A KR20110032517 A KR 20110032517A KR 1020090090052 A KR1020090090052 A KR 1020090090052A KR 20090090052 A KR20090090052 A KR 20090090052A KR 20110032517 A KR20110032517 A KR 20110032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bracket
display
supporter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517A/en
Publication of KR2011003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6Glass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09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EMI leakage through the joi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for simplify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member is provided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a front cover and to offer the excellent surface property. CONSTITUTION: One or more brackets(20) adhere to the rear side of a non display area of a front cover(10). A plurality of boss holes is formed in the bracket.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 supporter(40) supports the front cover. A display module(50) is arrang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 rear cover(60) is coupled with the bracke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가지며, 구성부재 간의 접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having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adhesive effect between the constituent member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가지며,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구성부재 간의 접착 시 접착제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내부 미접착 구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to have an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to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of each componen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dhesion between th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the adhesive from flowing down and ensures reliability of an inner unbonded section.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및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과 음향을 표시하는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display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Such a display device is a concept including a monitor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from a computer and a television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ound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all devices for displaying an image input from the outside.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고화질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high-quality large display devices equipped with flat panel display modul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LCDs) or plasma display panels (PDPs) have been in the spotlight.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전공간에 설치된 전극들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일으키고, 가스 방전시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형광체로 여기 시킴으로써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대형화와 경량화뿐만 아니라 평면 박형화가 유리하고, 상하 좌우로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며, 풀 컬러 및 고휘도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In particular, the plasma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 character or a graphic b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electrodes provided in a discharge space and causing a discharge, and exciting a plasma generated during gas discharge with a phosphor. However, the planar thinning is advantageous, an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wide viewing angl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realizing full color and high brightness.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 필터와 상기 전면 필터의 각 에지부를 지지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The plasma display device is coupled to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a front 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module, a front cover supporting each edge portion of the front filter, and the front cover to accommodate the display module therein. And a rear cover.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전면 커버가 전면 필터의 전면 에지부를 둘러싼 상태로 고정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베젤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베젤부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아보이게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plasma display device, a bezel portion is formed in which a front cover is fixed around a front edge portion of a front filter so that an image is not displayed. Such a bezel portion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appearance quality of the display apparatus by making the display screen appear small. .

뿐만 아니라, 전면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전면 커버가 필요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front cover is required to support the front filter,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lay device is increas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한편, 전면 커버는 종래 다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구조와 더불어 단일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접착 방식을 통하여 인접하는 구성부재가 전면 커버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cover may have a single plate shap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having a frame shape of a conventional polygon, in which an adjacent component is coupled to the front cover through an adhesive method.

즉,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에 다른 구성부재를 직접 체결하게 되면, 체 결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면 커버의 체결부에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며, 이 경우 종래와 같은 체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제의 종류 및 접착 강도가 고려된다.In other words, when directly fastening the other constituent members to the front cover to form the appearance, since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fastening portion is the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ront cover, the adhesive is used to prevent such deformation, In this case, the type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are considere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ventional fastening strength.

특히, 접착제의 양이 과다한 경우에는 흘러내림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접착제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미접착 구간이 발생하여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amount of the adhesive is excessive, problems such as flow down occurs, and when the amount of the adhesive is insufficient, an unbonded section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the adhesive strengt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by minimizing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by simplify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each compon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부재 간의 접착 시 접착제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내부 미접착 구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the adhesive when bonding between the constituent members, an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internal non-adhesive se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 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 및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front cover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t least one bracket bonded to a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boss holes; And a support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nd fastened to the bracket and supporting the front cover.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커버의 표시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의해 일 종단부가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disposed behind the 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nd supported at one end thereof by the supporter; And a rear cover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accommodat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nd fastened to the bracket.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는 글라스 필터일 수 있다.Here, the front cover may be a glass filter.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스홀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양 측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전면 커버의 배면에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각 레그부 사이의 공간에 접착층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racke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dy having one or more boss hole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protruding down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It can be formed in the adhesive layer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s.

또한, 상기 브라켓의 본체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body of the bracket.

또한, 상기 브라켓의 제 1 레그부와 제 2 레그부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부면을 향하여 하나 이상의 단을 갖도록 돌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of the bracket may have the same heigh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y be protruded to have one or more ends toward the upper surfac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포터와 전면 커버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EMI가스켓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MI gasket dispos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브라켓의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미들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over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of the bracket to be fastened to the bracket.

여기서, 상기 미들 커버와 서포터는 동일한 보스홀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middle cover and the supporter may be fastened together in the same boss hole.

상기 서포터는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보스홀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전면 커버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의 지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가 배치되고, 체결부와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er has a fastening hole,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ss hole, a support part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asten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er. One end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bracket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외관 품질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by minimizing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구성부재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by simplify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each compon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성부재 간의 접착 시 접착제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내부 미접착 구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low of the adhesive when bonding between the constituent member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inner non-adhesive sec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irrespective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defined by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11)과 비표시영역(11)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10)를 포함하는 디스 플레이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탠드(1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2)와 상기 베이스부와 디스플레이 본체를 연결하는 넥부(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탠드(100)는 틸팅 또는 스위블 동작이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area 11 for display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d a front cover 10 including a non-display area 11. And a stand 100 supporting the load of the display main body, and the stand may include a base part 102 seat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 neck part 101 connecting the base part and the display main body. The stand 10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a tilting or swivel operation.

도 1에는 디스플레이 본체가 스탠드(100)에 의하여 하중이 지지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벽걸이 타입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load is supported by the stand 100 in the display main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main body may be supported by a wall-mounted typ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 LED), 진공형 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전계 방출 영상표시(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의 발광형 또는 수광형 패널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main body includes a cathode ray tube (CRT),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vacuum fluorescence display (VFD), and a field emission. A light emitting or light receiving panel such as an image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The display device 1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video display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발광형 또는 수광형 패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light emitting or light receiving panels, bu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splay apparatus is limited to the cas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PDP).

도 2는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state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영역(11)과 비표시영역(12)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10)와 상기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1)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20) 및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전면 커버(10)를 지지하는 서포터(4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cover 10 including a display area 11 and a non-display area 12 and a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11 of the front cover 10. It is bonded to the one or more brackets 20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ss holes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is fastened to the bracket, and includes a supporter 40 for supporting the front cover 1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전면 커버(10)의 표시영역(1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터(40)에 의해 일 종단부가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5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0)이 수용되고,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스크류(S)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6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area 12 of the front cover 10, and the display module 50 and the display module 50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40 are supported. Is received, the fastening hole 61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includes a rear cover 60 is fastened to the bracket through the screw (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에너지 상태의 플라즈마를 발광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 전달을 위한 R, G, B 3색광 이외에도 인체에 유해한 근적외선과 유해 전자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발생한다.Since the plasma display panel uses a high energy plasma as a light emitting medium, in addition to the three colors of R, G, and B colors for visual transmission, it generates near-infrared rays and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EMI).

상기 전면 커버(1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의 광 특성을 보정하거나 전자파 또는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의 기능층이 적층된 글라스 필터일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ront cover 10 corrects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image or shields electromagnetic waves or near infrared rays. For this purpose, the front cover 10 may be a glass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functional layers are stacked.

또한, 전면 커버(10)는 전자파 차폐 필름(EMI shielding film), 근적외선 차단 필름(NIR blocking film), 오렌지색 등의 색상보정 및 색순도 향상 필름(Color Adjusting Film), 충격 흡수 필름(impact absoption film) 및 외부 광선의 화면 표면에서의 반사에 따른 화상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방지 필름(AR/anti-reflection film)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 기재로 하여 층을 이루고, 이들을 중첩하여 전면 커버(1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10 is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EMI shielding film), a near-infrared blocking film (NIR blocking film), color correction and color purity improvement film (Color Adjusting Film), such as an orange color (impact absoption film) and And an anti-reflection film (AR / anti-reflection film) for preventing image degradation due to reflection of the external light rays on the screen surface. Here, each film may be layered using a transparent plastic film as a base substrate, and the front cover 1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them.

또한, 상기 전면 커버(10)는 디스플레이 모듈(40)과 분리하여 별도의 기판에 전술한 각각의 필름이 부착된 분리형 필터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직접 부착된 일체형 필터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ver 10 may be a separate filter attach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lm on a separate substrate separated from the display module 40, or may be an integrated filter directly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상기 전면 커버(10)는 대형화에 따른 강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강화 유리 재질의 베이스 기판에 각각의 필름이 적층될 수도 있으나(글라스 필터),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즉, 투명하고 소정 수준의 강도를 만족하는 어떤 종류의 소재도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 지 않는다.The front cover 10 may be laminated with each film on a base substrate of tempered glass material (glass filter) in order to satisfy the strength condition of the enlargement, bu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That is, any kind of material that is transparent and satisfies a predetermined level of strength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면 커버(10)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투명부와 비투명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전면 커버에 부착할 수도 있고, 비표시영역에 색상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10 may be partitio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film including a transparent part and a non-transparent part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cover, and a color layer may be formed on the non-display area. It may be 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front cov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브라켓(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브라켓(20)은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2)의 배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각각 접착될 수 있다.The bracket 20 may have a bar-type structu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20 may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12 of the front cover 10. And may be bonded to each other in a spaced apart state.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는 상기 브라켓(20)을 매개로 각각 조립되며, 이러한 조립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0)은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12)의 배면에 접착된다.Each member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1 is assembled through the bracket 20, and the bracket 20 is a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10 to prevent the assembly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12).

여기서, 상기 브라켓(20)의 너비(W)에 따라 비표시영역(12, 베젤부)의 면적이 달라지게 되므로,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0)의 너비(W)를 줄이는 한편, 상기 브라켓(20)에 고정되는 각 구성부재의 체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전면 커버(10)와 브라켓(20)의 접착력이 확보되어야 한다.Here, since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12 (bezel portion) varies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bracket 20, the width W of the bracket 20 is reduced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The adhesive force of the front cover 10 and the bracket 20 should be secured so as to have a strength that can withstand the fastening load of each component fixed to the bracket 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브라켓(2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20)의 측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20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20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브라켓(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bracke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상기 브라켓(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스홀(23)을 갖는 본체(21) 및 상기 본체(21)의 하부면의 양 측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전면 커버(10)의 배면에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레그부(24, 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ownwar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 ends of the main body 21 having one or more boss holes 2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Each protruding por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24 and 25 se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브라켓의 인접하는 2개의 보스홀(23)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boss holes 23 of the bracket for strength reinforcement.

상기 보스홀(2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40)와 후면 커버(60)가 동일한 스크류(S로 체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ss hole 23 and the supporter 40 and the rear cover 60 may be fastened with the same screw (S).

여기서, 상기 본체(21)의 하부면과 각 레그부(24, 25) 사이의 공간에 접착층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과 전면 커버(10)가 상호 접착된다.Here, an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nd the leg portions 24 and 25 so that the bracket 20 and the front cover 10 are bonded to each other.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의 단면도로서, 전면 커버(10)의 비표시 영역 배면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cket illustrated in FIG. 5 and shows a state of being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1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의 제 1 및 제 2 레그부(24, 25)는 동일한 높이(H)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21)의 하부면과 각 레그부(24)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접착제가 브라켓과 전면 커버의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24 and 25 of the bracket 2 may have the same height H, and thus,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may be ang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contained in the space between the leg portions 24 from flowing out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bracket and the front cover.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레그부(24, 25)는 접착층(A) 형성을 위하여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브라켓(20)과 전면 커버(10)의 경계부를 따라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us, the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24 and 25 not only provide space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A, but also allow the adhesive to flow outwar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bracket 20 and the front cover 1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또한, 상기 브라켓(20)의 본체(21)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제가 브라켓(20)의 하부면과 제 1 및 제 2 레그부(24 및 25)로 이루어진 공간을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21 of the bracket 20, so that an adhesi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20 and the first and first It can flow along the space which consists of the 2 leg parts 24 and 25.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도, 접착제의 유동을 통해 미접착 구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여분의 접착제는 관통홀(22)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접촉 면적이 확대되므로 접착 강도가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7, even when the adhesive is not uniformly applied, the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cure the adhesion reliability by preventing the non-adhesive section from occurring through the flow of the adhesive. And, the excess adhesive can flow out through the through-hole 22, thereby increasing the air contact area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또한, 상기 브라켓(20)의 본체(21)의 하부면(26)은 상부면을 향하여 하나 이상의 단을 갖도록 돌출 성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26 of the body 21 of the bracket 20 may be protruded to have one or more ends toward the upper surface.

이러한 단차 구조를 갖는 하부면(26)을 통하여 넓은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브라켓(20)의 너비(W)를 줄여도 동일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브라켓(20)의 너비(W)를 줄임으로써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Since a wide adhesive area can be secured through the lower surface 26 having the stepped structure, the same adhesive strength can be obtained even by reducing the width W of the bracket 20, and thus the width W of the bracket 20. ),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can be minimized.

또한, 브라켓(20)의 제 1 및 제 2레그부(24 및 25) 사이의 너비(W)와 높이(H)는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너비 및 접착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너비(W)는 약 11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높이(H)는 약 8m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th W and the height 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24 and 25 of the bracket 2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Preferably, the width W is about 11 mm, and the height H is about 8 mm.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트(40)는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보스홀(23)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결부(41)와 상기 전면 커버(1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43) 및 상기 체결부(41)와 지지부(43)를 연결하는 연결부(42)를 포함할 수 있 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support 40 has a fastening hole and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astening part 41 seated on the boss hole 2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0 ( 43) and the connection portion 42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portion 41 and the support 43.

이때, 상기 서포터(40)의 지지부(43)와 연결부(42) 사이의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50)의 일 종단부가 배치될 수 있고, 체결부(41)와 연결부(42)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20)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display module 5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er 43 and the connection part 42 of the supporter 40, and the bracket may be in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part 41 and the connection part 42. 20 may be disposed.

또한, 상기 서포터(40)와 디스플레이 모듈(50)의 일 종단부 사이에는 접착층(80)이 형성되어 상호 접착될 수도 있고, 쿠션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dhesive layer 8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er 40 and one end of the display module 50 to be bonded to each other, or a cushion member (not shown) may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서포터(40)의 지지부(43)와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EMI가스켓(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I gasket 70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43 of the supporter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EMI가스켓(70)은 전면 커버(10)의 표시영역(11)의 외곽에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50)의 에지부를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3 and 4, the EMI gasket 70 is disposed in a ring shape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area 11 of the front cover 10, and emits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outside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50. It serves to block.

EMI란 전자파 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의미한다. EMI가스켓(70)은 이러한 EMI를 차단하기 dln한 가스켓으로 상기 서포터(40)와 전면 커버의 배면 사이에 부착된다. 즉, 상기 서포터(40)의 지지부(43)와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 사이에 부착되어 균일한 접지를 시도할 수 있다.EMI refers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he EMI gasket 70 is a gasket for blocking such EMI and is attached between the supporter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That is, it may be attached between the support part 43 of the supporter 4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to attempt uniform grounding.

상기 전자파는 EMI가스켓(70)과 서포터(40)를 통해 차례로 유도되어 후면 커버(60) 또는 전면 커버(10)까지 전달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sequentially guided through the EMI gasket 70 and the supporter 40 to be transmitted to the rear cover 60 or the front cover 10.

상기 서포터(40)는 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갈 바륨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er 40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gal barium.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60)의 사이 공간에 각 종 구성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60)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Until now, when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various components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cover 10 and the rear cover 60, only the front cover 10 and the rear cover 60 are exposed to the outside. Explained.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면 커버(10)의 비표시영역의 배면과 후면 커버(60) 사이에 설치되는 미들 커버(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over 30 install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10 and the rear cover 60.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커버(30)는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부(31)와 상기 외관부(31)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iddle cover 30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extends to an exterior portion 31 and the exterior portion 31 forming an exterior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bracket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of 20,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2 fastened to the bracket.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커버(30)와 서포터(40)는 동일한 보스홀에 함께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어 조립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 3, the middle cover 30 and the supporter 40 can be fastened together in the same boss hole,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can reduce the assembly time and cost.

한편, 지금까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발광형 또는 수광형 패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imited to the cas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light emitting or light receiving panels.

예를 들어, 액정표시패널(LCD)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 함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a front cover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nd a back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bracket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ss holes.

또한,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서포터 및 상기 전면 커버의 표시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의해 일 종단부가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nd is fastened to the bracket, the display module supporting the front cover and the display modul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nd supported by one end of the display module. And a rear cover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accommodat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nd fastened to the bracket.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 다각형의 틀 형상을 갖는 전면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성부재 간의 접착시 접착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내부 미접착 구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can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by using the front cover including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without using the front cover having the frame shape of the conventional polyg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flowing down and to ensure reliability of the inner unbonded section.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선 I-I'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front cov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constitu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의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ure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

Claims (1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전면 커버;A front cover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상기 전면 커버의 비표시영역의 배면에 접착되고, 복수의 보스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브라켓;At least one bracket adhered to a rear surfac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boss holes;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며, 전면 커버를 지지하는 서포터;A support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and fastened to the bracket and supporting a front cover; 상기 전면 커버의 표시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터에 의해 일 종단부가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A display module disposed behind the display area of the front cover and supported at one end by the supporter; And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rear cover having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ed therein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to be fastened to the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 커버는 글라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front cover is a glass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cket,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스홀을 갖는 본체; 및A main bod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boss hole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하부면의 양 측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전면 커버의 배면에 각각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레그부를 포함하며,Protruding down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leg portions respectively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각 레그부 사이의 공간에 접착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ach le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본체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레그부와 제 2 레그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have the same heigh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부면을 향하여 하나 이상의 단을 갖도록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rotruded to have at least one end toward the upp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와 전면 커버의 배면 사이에 배치된 EMI가스켓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EMI gasket dispos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브라켓의 보스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미들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middle cover which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ss hole of the bracket to be fastened to the bracke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미들 커버와 서포터는 동일한 보스홀에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middle cover and the supporter are fastened together to the same boss ho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터는 체결공을 가지고, 상기 보스홀의 상부에 안착되는 체결부와 상기 전면 커버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supporter has a fastening hole,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ss hole, a support part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asten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서포터의 지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종단부가 배치되고, 체결부와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ne end of the display module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upporter,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KR1020090090052A 2009-09-23 2009-09-23 Display device KR201100325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52A KR20110032517A (en) 2009-09-23 2009-09-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52A KR20110032517A (en) 2009-09-23 2009-09-23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17A true KR20110032517A (en) 2011-03-30

Family

ID=4393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52A KR20110032517A (en) 2009-09-23 2009-09-23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5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77B1 (en) * 2011-09-18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77B1 (en) * 2011-09-18 201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8182B2 (en) Flat display apparatus
US10390451B2 (en) Display device
WO2012036081A1 (en) Display device
US20120287645A1 (en) Display apparatus
EP3400481B1 (en) Display device
US7742143B2 (en) Large-size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odule used in large-sized display apparatus
US9891471B2 (en) Backlight unit having a lens with refraction and reflection portions
KR20110033472A (en) Display device
KR20190078995A (en) Multi Display Device
KR20160141983A (en) Display apparatus
KR102029048B1 (en) Display apparatus
US20100171684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12007504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32517A (en) Display device
KR20110076304A (en) Display device
US10244643B1 (en) Display device
US20080144173A1 (en)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70017375A (en) Display device
KR10172554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74055A (en) Display device
KR102665993B1 (en) Display device
KR20110062786A (en) Display device
KR10170213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assembling the same
KR20170084470A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47465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