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262A -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262A
KR20110032262A KR1020090089660A KR20090089660A KR20110032262A KR 20110032262 A KR20110032262 A KR 20110032262A KR 1020090089660 A KR1020090089660 A KR 1020090089660A KR 20090089660 A KR20090089660 A KR 20090089660A KR 20110032262 A KR20110032262 A KR 2011003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replacement
sector number
physical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262A/ko
Publication of KR2011003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11B7/0037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physical defects, e.g. of recording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cluster, i.e. a data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 fixed number of sectors or ECC blo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 상기 데이터 영역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이너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가 기록된 대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결함 관리 리스트, Defect Entry, 스페어 영역, 스페어 영역 사용 방향, CRD

Description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기록/재생 시에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관리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러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고용량을 갖는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의 예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 이외에도 차세대 기록매체로 보다 획기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킨 기록매체들이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는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근접장 기록매체(Near Field Recording Medium)등이 있다. 또한, 기록매체의 용량을 더욱 더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다층 기록매체도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용량, 다층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재생 시,기록매체 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결함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보다 효율적인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결함이 발생한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시에 가장 효율적으로 결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 상기 데이터 영역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이너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가 기록된 대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너 영역 및 아우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스페어 영역의 대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주소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스페어 영역에 포함된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읽는 단계; 및 상기 결함 정보에 따라, 상기 대체 영역에서 상기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픽업; 및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스페어 영역의 대체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읽는 픽업; 및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주소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스페어 영역에 포함된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읽고, 상기 결함 정보에 따라, 상기 대체 영역에서 상기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읽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대체 영역에서 결함 영역의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에 발생한 결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루레이 디스크(BD) 중에서도 재기록이 가능한 타입(BD-RE)의 기록매체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1회 기록 가능한 타입(BD-R)과 같은 다른 타입의 기록매체에 적용가능함도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일정한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한 예로, 기록매체는 클러스터(Cluster)라는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는 하위 단위인 섹터(S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클러스터는 32개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각 단위의 명칭 및 개수 등은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은 4개의 기록층(L0,L1,L2,L3)으로 구성된 기록매체(10)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모든 기록매체(10)에 적용가능하다. 각 기록층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첫 번째 기록층(L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 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10)는 이너 영역(Inner Zone, 210), 데이터 영역(Data Zone, 220), 아우터 영역(Outer Zone, 230)을 포함한다.
이너 영역(210)은 기록매체(10)의 안둘레 측에 위치하고, 아우터 영역(230)은 기록매체(10)의 바깥 둘레 측에 위치하여, 기록매체(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너 영역(210)과 아우터 영역(230)은 기록매체(10)의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디스크 관리영역(Disc Management Area: DMA)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220)에는 사용자가 기록하기 원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기록매체(10) 상의 이너 영역(210)과 아우터 영역(230)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 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220)은 이너 스페어 영역(Inner Spare Area: ISA, 221), 아우터 스페어 영역(Outer Spare Area: OSA, 223) 및 사용자 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 222)을 포함한다. 도 1은 두 개의 스페어 영역(이너 스페어 영역, 아우터 스페어 영역)을 도시하고 있으나, 배치 및 개수 등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어 영역(221,223)에는 기록매체(10)에서 결함이 발생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대체되어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재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의 특성상, 스페어 영역(221,223)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스페어 영역(221,223)을 확장하는 경우에는 스페어 영역(221,223)에 인접한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일부가 스페어 영역(221,223)으 로 바뀌게 되며, 스페어 영역(221,223)을 축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에 인접한 스페어 영역(221,223)의 일부가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으로 바뀌게 된다.
기록매체(10)의 이너 영역(210)과 아우터 영역(230)은 디스크 관리영역(DMA)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디스크 관리영역(DAM)은 DMA1, DMA2, DAM3, DMA4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32 클러스터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관리영역(DMA)의 배치 및 개수 등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각 디스크 관리영역(DMA1, DMA2, DAM3, DMA4)에 기록되는 정보는 동일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각 디스크 관리영역(DMA)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는 다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다층 기록매체(10)에서 각 기록층의 디스크 관리영역(DMA)에는 동일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크 관리영역(DMA)에는 기록매체(10)의 구조정보와 같은 일반 관리정보와 결함 리스트와 같은 결함 관리정보 등이 기록된다.
일반 관리정보에는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 DDS)가 기록된다. 디스크 정의 구조(DDS)에는 기록매체(10)의 포맷 또는 형식이 기록되는데, 기록매체(10)의 스페어 영역(221,223) 크기, 결함 리스트(DFL)에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일례로,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4 클러스터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록된 정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정의 구조(DDS)는 디스크 관리영역(DMA)에 4번 반복 기록될 수 있다.
결함 관리정보에는 기록매체(10)의 결함정보인 결함 리스트(Defect List: DFL)가 기록된다. 결함 리스트(DFL)는 기록매체(10)에 발생한 결함 영역의 주소 정보와 결함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대체하여 기록한 영역의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리스트(DFL)의 구조 개략도이다.
결함 리스트(DFL)에는 결함 리스트 헤더(DFL Header),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DFL Terminator)가 기록된다.
우선, 결함 리스트 헤더에(DFL Header)는 결함 리스트 헤더에 인접하여 기록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정보로는 식별자(Identifier), 결함 리스트(DFL) 업데이트 정보,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개수 등이 포함된다. 일례로, 결함 리스트 헤더는 64 바이트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는 결함 리스트 헤더에 인접하여 기록되며, 기록매체(10)에 발생한 결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는 식별 정보(Staus 1, Status 2), 기록매체(10)에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주소 정보(Defective Cluster first PSN), 결함이 발생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대체하여 기록한 영역의 주소 정보(Replacement Cluster first PSN)가 기록된다. 그리고, 결함 영역 또는 대체 영역의 주소는 해당 클러스터의 제 1 물리적 섹터 넘버(Cluster first PSN)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기록매체(10)의 하나의 결함 정보를 나타내므로, 기록매체(10)에 결함이 발생한 영역이 증가할수록 결함 리스트(DFL)에 기록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수도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일례로 하나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가 8 바이트 크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에,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결함 리스트 헤더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전술한 결함 정보 이외에 기록매체(10)의 결함을 관리하는 다른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에(DFL Terminator)는, 모든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기록이 종료되면, 결함 리스트의 기록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다. 일례로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는 8 바이트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층 기록매체(10)에서 기록층의 수가 증가할수록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매체(10)의 기록층 수에 따라, 결함 리스트(DFL)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기록층으로 구성된 기록매체(10)에서는 4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기록층으로 구성된 기록매체(10)에서는 8 클러스터, 세 개의 기록층으로 구성된 기록매체(10)에서는 16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결함 리스트(DFL)에서 결함 리스트 터미네이터가 기록된 이후 영역, 즉 비어있는 나머지 영역에는 임의의 값이 연속적으로 기록(Padding)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나머지 영역에 00h 값이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의 구조 개략도이다.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식별 정보(Staus 1, Status 2), 결함이 발생한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Defective Cluster first PSN, 이하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로 한다.), 결함이 발생한 영역을 대체해서 기록한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Replacement Cluster first PSN, 이하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로 한다.)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는 기록매체(10)에 결함이 발생한 영역의 주소 정보로서, 해당 클러스터의 제 1 물리적 섹터 넘버(Cluster first PSN)가 기록된다.
그리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는 결함이 발생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대체하여 기록한 영역의 주소 정보로서, 마찬가지로 해당 클러스터의 제 1 물리적 섹터 넘버(Cluster first PSN)가 기록된다.
따라서, 결함 리스트 엔트리가 포함된 기록매체(10)를 리딩하는 경우, 데이터 재생 장치는 결함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 대신에, 대체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딩하게 된다.
식별 정보(Staus 1, Status 2)에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 기록되는 결함 정보의 타입 정보가 기록된다.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여러 결함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결함 타입에 대한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는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가 다른 형식으로 기록된다.
본 발명의 결함 타입은 CRD(Contiguous Re-allocated Defect) 타입을 포함한다. CRD 타입의 결함 타입은 기록매체(10)의 결함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클러스터에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클러스터에서 발생한 결함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대체 클러스터가 기록매체(10)의 스페어 영역(221,223)에 연속적인 범위로 할당되므로,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는 한 클러스터마다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구성하지 않게 되어,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일례로 식별 정보 1(Status 1)은 0000h값을, 식별 정보 2(Status 2)는 0001h 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하에서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라 함.) 이 경우,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결함이 발생한 연속적인 영역 중에서 첫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기록매체(10)의 스페어 영역(221,223)에 위치하여 결함 영역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Original Data)가 기록되는 연속적인 영역 중에서 첫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일례로 식별 정보 1(Status 1)은 0000h값을, 식별 정보 2(Status 2)는 0010h 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하에서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라 함.) 이 경우,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결함이 발생한 연속적인 영역 중에서 마지막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대체 영역 중에서 마지막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가 기록된다.
따라서,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가 한 쌍을 이루어, 연속적으로 발생한 결함 영역의 정보를 나타내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결함 영역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스페어 영역(221,223)의 대체 영역에 기록된 기록매체(10)와 해당 결함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후술할 픽업(70)과 같은 기록/재생부를 기록매체(10)에서 이동시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한다. 이때, 픽업(70)의 이동 방향,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방향을 트랙킹(Tracking) 방향이라 한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매체(10)의 물리적 섹터 넘버(Physical Sector Number; PSN)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픽업의(70)의 트랙킹(Tracking)을 수행한다. 즉, 각 기록층에서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증가하는 방향이 해당 기록층의 트랙킹 방향이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다층 기록매체(10)에서 트랙킹 방향을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즉, 홀수 번째 기록층(L0,L2)에서는 기록매체(10)의 내주에서 외주 방향으로, 짝수 번째 기록층(L1,L3)에서는 기록매체(10)의 외주에서 내주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트랙킹 방향과 관련하여,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이란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스페어 영역(221,223)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을 각 기록층마다 설정할 수 있으며, 스페어 영역(221,223)의 효율적인 사용 또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확장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기록매체(10)의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의 관계에 따라, 대체 영역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방법과 해당 결함 정보에 대한 결함 리스트 엔트리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기록매체(10)에서, 데이터 영역(222)에 도시된 단위 영역은 결함 영역으로 하나의 결함 클러스터를 나타낸다. 그리고, 스페어 영역(221,223)에 도시된 단위 영역은 대체 영역으로 하나의 대체 클러스터를 나타낸다. 또한, 대체 클러스터에는 동일한 번호로 구성된 결함 클러스터의 오리지널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10에서 대체 클러스터가 배치되는 스페어 영 역(221,223)으로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외주 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스페어 영역(223)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너 스페어 영역(221)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10에서 A 내지 D는 각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을 나타낸다. A와 B는 연속적인 결함 영역에서 시작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와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를 나타내고, C와 D는 연속적인 대체 영역에서 시작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와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를 나타낸다.
우선,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221,223) 사용 방향이 동일한 경우의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이 동리한 경우에, 기록매체(1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에 기록된 결함 클러스터와 스페어 영역(223)에 기록된 대체 클러스터가 배치되는 순서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결함/대체 클러스터의 기록/재생 순서가 기록매체(10)의 트랙킹 방향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픽업(70)을 트랙킹 방향으로만 이동시켜,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매체(10)의 스페어 영역(223)에 연속하여 기록/재생할 수 있다. 도면의 실선은 오리지널 데이터를 대체 클러스터에 기록하기 위한 픽업(70)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 결함이 발생한 기록매체(10)와 해당 결함 정보를 포함하는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이 상이한 경우, 스페어 영역(221,223)에 대체 클러스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방법과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어 영역(223)의 대체 클러스터는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결함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므로, 대체 클러스터는 결함 클러스터와 상이한 순서로 배치된다. 도면에서, 마지막 대체 클러스터(대체 클러스터 3)가 스페어 영역(223)에서 트랙킹 방향으로 먼저 배치된다. 즉, 마지막 대체 클러스터(대체 클러스터 3)는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가장 작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A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D가 기록된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B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C가 기록된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로 구성되어, CRD 타입의 결함 정보를 나타낸다.
즉,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서 처음 또는 마지막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결함 클러스터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트랙킹 방향 또는 대체 클러스터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으로, 처음 또는 마지막에 배치되는 클러스 터의 주소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기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의 순서대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때, 데이터 기록 장치의 메모리(150)에는 오리지널 데이터가 결함 클러스터 1~3 순서대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기록 장치는 대체 클러스터 1에 먼저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고 대체 클러스터 2,3 순서대로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의 역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기록 장치의 픽업(70)은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잦은 이동이 발생한다. 먼저 기록되는 대체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더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가 대체 클러스터에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픽업(70)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스페어 영역(223)의 대체 클러스터는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결함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므로, 대체 클러스터는 결함 클러스터와 상이한 순서로 배치된다.
그리고, 결함 리스트 엔트리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A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D가 기록된 제 1 CRD 타 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B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C가 기록된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로 구성되어, CRD 타입의 결함 정보를 나타낸다.
다만,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기록 장치는 메모리(150)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를 결함 클러스터의 역순서 대로 정렬한다. 도면에서, 결함 클러스터 3~1 순서대로 정렬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는 대체 클러스터 3에 먼저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고, 대체 클러스터 2,1 순서대로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기록 장치의 픽업(70)은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의 이동만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 재생 장치가 대체 클러스터에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대체 클러스터 1~3 순서대로 재생해야하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픽업(70)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스페어 영역(223)의 대체 클러스터는 대응하는 결함 클러스터의 발견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치된다. 즉, 데이터 기록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결함 클러스터를 트랙킹 방향을 따라 발견하므로, 대체 클러스터 또한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스페어 영역(223)에 배치된다. 즉, 대체 클러스터는 결함 클러스터와 동일한 순서로 배치 된다.
그리고, 결함 리스트 엔트리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A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C가 기록된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B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D가 기록된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로 구성되어, CRD 타입의 결함 정보를 나타낸다.
즉,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서 처음 또는 마지막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의 트랙킹 방향,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처음 또는 마지막에 배치되는 클러스터의 주소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다.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기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의 순서대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한다. 대체 클러스터 3에 먼저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고, 대체 클러스터 2,1 순서대로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장치의 픽업(70)은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잦은 이동이 발생한다. 먼저 기록되는 대체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더 크기 때문이다.
다만, 데이터 재생 장치가 대체 클러스터에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대체 클러스터 1~3 순서대로 재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픽업(70)의 이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만 필요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같이, 스페어 영역(223)의 대체 클러스터는 대응하는 결함 클러스터의 발견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치된다. 결함 클러스터와 대체 클러스터 모두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와 스페어 영역(223)에 배치된다.
그리고, 결함 리스트 엔트리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같이,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A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C가 기록된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B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D가 기록된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로 구성되어, CRD 타입의 결함 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나,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달리, 스페어 영역(223)의 사용 방향의 순서대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한다. 대체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픽업(70)의 이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만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대체 클러스터에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대체 클러스터 1~3 순서대로 재생해야하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픽업(70)의 이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만 필요하게 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CRD 타입의 결함을 관리하는 경 우에,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트랙킹 방향 즉,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스페어 영역(221,223)을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와 같이, 스페어 영역(223)의 대체 클러스터는 대응하는 결함 클러스터의 발견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배치된다. 결함 클러스터와 대체 클러스터 모두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사용자 데이터 영역(222)와 스페어 영역(223)에 배치된다.
그리고, 해당 결함 리스트 엔트리에 대체 클러스터의 배치가 트랙킹 방향의 순서로 바뀌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일례로, 대체 클러스터의 배치가 트랙킹 방향의 순서로 바뀌었음을 나타내는 제 3, 4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제 1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제 4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제 2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그 내용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대체 클러스터의 배치가 트랙킹 방향의 순서로 바뀌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례로, 제 3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Status 2에 1001h 값을 갖도록 구성하고, 제 3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는 Status 2에 1010h 값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A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 에 C가 기록된 제 3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와, 결함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B가 기록되고 대체 클러스터 주소 정보에 D가 기록된 제 4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로 구성되어, CRD 타입의 결함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같이,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경우, 대체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픽업(70)의 이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만 필요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재생 장치가 대체 클러스터에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대체 클러스터 1~3 순서대로 재생해야하므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같이, 픽업(70)의 이동이 트랙킹 방향으로 한 번만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5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픽업(70)을 트랙킹 방향으로의 일회 이동으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CRD 타입의 결함을 관리할때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을 트랙킹 방향으로 설정해야하고,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제 3, 4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더 정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식별 정보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CRD 타입의 결함에 대한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CRD 타입의 결함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CRD 타입의 결함은 연속적인 영역에 발생한 결함으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스페어 영역(221,223)의 연속적인 영역에 대체 영역을 설정하고, 오리지널 데이터를 해당 대체 영역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페어 영역(221,223)에서 CRD 타입의 결함을,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트랙킹 방향 즉,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커지는 방향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대체 클러스터를 배치하는 순서와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순서 등을,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커지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스페어 영역(221,223)의 대체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는 이후에 배치되는 대체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PSN)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대체 클러스터는 트랙킹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데 필요한 픽업(70)의 이동 구간이 줄어들게 되어,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픽업(70)은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구비하여 기록매체(10)의 표면 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매체(10)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읽어온다.
서보(90)는 픽업(70)의 트래킹(Tracking) 및 포커싱(Focusing) 동작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R/F부(80)는 픽업(7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의 포커스 이탈과 트랙 이탈을 검출한 신호인 포커스 에러(Focus Error)신호와 트랙킹 에러(Tracking Error) 신호를 생성한다.
스핀들 모터(110)는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에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모터 구동부(100)는 서보(90)의 제어를 받아 픽업(70)과 스핀들 모터(110)의 동작을 구동한다.
신호 처리부(40)는 R/F부(80)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원하는 재생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데이터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맷으로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비트 인코더(5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된 기록 신호를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변환하고, 픽업 구동부(60)는 비트 인코더(50)에서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기록매체(10)에 저장될 광 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50)는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 오리지널 데이터 등 기록매체(10)와 관련된 정보를 일시 저장하거나, 기록매체(10)에 기록 또는 재생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Buffer)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20)은 신호 처리부(40), 서보(90), 메모리(1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가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결함 제어부(130)는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한다. 기록매체(10)의 결함 정보가 기록된 결함 리스트(DFL)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함 리스트(DFL)를 디스크 관리 영역(DMA)에 기록하도록 픽업(70)을 제어한다. 결함 리스트(DFL)는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를 포함하여,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는 각 결함 영역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결함 제어부(130)는 연속적인 영역에 발생한 결함(CRD 타입의 결함)을 관리하기 위하여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함 제어부(1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페어 영역(221,223)에서 CRD 타입의 결함을,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트랙킹 방향 즉,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커지는 방향으로 관리하도록 한다.
즉, 결함 제어부(130)는 스페어 영역(221,223)에 대체 클러스터를 배치하는 순서와 대체 클러스터에 오리지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순서 등을, 스페어 영역(221,223)의 사용 방향과 관계없이, 물리적 섹터 넘버(PSN)가 커지는 방향으로 설정한다.
결함 제어부(130)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함 제어부(130)의 기능을 여러 개의 구성 요소들이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함 제어부(130)는 제어부(120) 및/또는 호스트(140)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결함 제어부(130)를 신호 처리부(40), 비트 인코더(50), 픽업 구동부(60), 픽업(70), 서보(90), 모터 구동부(100), 스핀들 모터(110), 제어부(120), 메모리(150)를 포함하는 드라이브(Drive)에 추가로 연결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호스트(140)는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내 전체 구성 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이루어 기록매체(10)의 기록 또는 재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140)는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가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관련하여, 제어부(120)과 호스트(140)는 별개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과 결함 제어부(130), 호스트(140)의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제어부(Control Unit)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트(140)는 컴퓨터, 서버, 오디오 장치 또는 비디오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등에 제공되는 광 드라이브(Drive)일 수 있으며, PC 등에 장착되지 않는 플레이어(Player)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는 PC 등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영되는 광 드라이브(Drive) 및 단독 제품으로 활용되는 플레이어(Player)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AV 인코더(20)는 기록매체(1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특정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부(4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AV 인코더(20)는 입력 신호를 엠펙(MPEG) 포멧 신호로 인코드(Encode)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0)는 AV 인코더(20)로부터 인코드된 신호에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가하여 기록매체(10)에 기록 가능한 포멧으로 변환하여 비트 인코더(5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AV 디코더(30)는 신호 처리부(40)에서 전송받은 기록매체(10)의 재생 신호를 최종적으로 디코드(Decode)하여 비디오, 오디오 신호 등의 출력 데이터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AV 디코더(30)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디코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서로 연동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리스트(DFL)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함 리스트 엔트리(DFL Entry)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이 동일한 경우의 기록매체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10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랙킹 방향과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이 상이한 경우의 기록매체와 해당 CRD 타입의 결함 리스트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CRD 타입의 결함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

Claims (25)

  1.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
    상기 데이터 영역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이너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어 영역은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가 기록된 대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된 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기록매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영역 및 아우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가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관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기록매체.
  6.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스페어 영역의 대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데이터 기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데이터 기록 방법.
  11.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주소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스페어 영역에 포함된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읽는 단계; 및
    상기 결함 정보에 따라, 상기 대체 영역에서 상기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데이터 재생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데이터 재생 방법.
  16.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픽업; 및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 터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스페어 영역의 대체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결함 영역과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데이터 기록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데이터 기록 장치.
  21.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읽는 픽업; 및
    상기 기록매체의 이너 영역 또는 아우터에 포함된 디스크 관리영역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결함 영역의 주소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스페어 영역에 포함된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결함 정보를 읽고,
    상기 결함 정보에 따라, 상기 대체 영역에서 상기 결함 영역의 데이터인 오리지널 데이터를 읽도록 상기 픽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은 복수의 대체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클러스터는 물리적 섹터 넘버가 커지는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어 영역의 사용 방향은,
    물리적 섹터 넘버가 작아지는 방향인 데이터 재생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주소 정보는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와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영역의 첫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는 상기 대체 영역의 마지막 클러스터의 물리적 섹터 넘버보다 작은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090089660A 2009-09-22 2009-09-22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110032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660A KR20110032262A (ko) 2009-09-22 2009-09-22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660A KR20110032262A (ko) 2009-09-22 2009-09-22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262A true KR20110032262A (ko) 2011-03-30

Family

ID=4393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660A KR20110032262A (ko) 2009-09-22 2009-09-22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2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86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결함 정보 관리방법 및 장치
RU2348989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ной зоной на оптическом диске неперезаписываемого типа
KR101201424B1 (ko) 기록 장치의 교체 처리 방법,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KR10106777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JP4837067B2 (ja) 記録媒体の少なくとも一つのデータ領域を管理するデータ構造を有する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KR19980071214A (ko) 결함 관리를 위한 재생시스템,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070003511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4337569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US74873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KR20110032262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070058292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JP2007519136A (ja) 欠陥管理情報を再構成を伴う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7519137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KR20100121806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100121200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JP4835714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
JP5131343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
KR20110021382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JP5433711B2 (ja) 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100125603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KR2008004701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 할당방법, 그리고 관리정보독출방법 및 독출장치
KR20110029307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
KR20050074078A (ko)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결함영역 관리방법및 재생방법
KR20080083462A (ko) 기록 매체, 제어 정보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재생 방법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